KR100356041B1 -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 - Google Patents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6041B1
KR100356041B1 KR1020000039823A KR20000039823A KR100356041B1 KR 100356041 B1 KR100356041 B1 KR 100356041B1 KR 1020000039823 A KR1020000039823 A KR 1020000039823A KR 20000039823 A KR20000039823 A KR 20000039823A KR 100356041 B1 KR100356041 B1 KR 100356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support
fixing
support portion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9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6257A (ko
Inventor
장스티브
Original Assignee
코베스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베스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베스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39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6041B1/ko
Priority to US10/312,837 priority patent/US6807918B2/en
Priority to AU2001269588A priority patent/AU2001269588A1/en
Priority to PCT/KR2001/001180 priority patent/WO2002004732A1/en
Priority to MXPA03000344A priority patent/MXPA03000344A/es
Priority to JP2002509581A priority patent/JP2004502515A/ja
Priority to EP01948106A priority patent/EP1309745A1/en
Publication of KR20020006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6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6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60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08Loop takers, e.g. loopers for lock-stitch sewing machines
    • D05B57/10Shuttles
    • D05B57/14Shuttles with rotary hook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08Loop takers, e.g. loopers for lock-stitch sewing machines
    • D05B57/10Shuttles
    • D05B57/16Shuttles with bobbin casings guided in track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26Bobbin holders or casings; Bobbin holder or case guards; Bobbin discharge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28Applications of bobbins for storing the lower thread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3/00Devices associated with the loop-taker thread, e.g. for tensioning

Abstract

본 발명은 외측 북을 3개의 구성요소로 분할될 수 있도록 형성하여 과도하게 마모되거나 교체를 필요로 하는 부분만을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는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를 제공한다. 외측 북(20)은 베이스(34)와, 상기 베이스(34)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내측에 제 1부분 궤도홈(40)이 형성되는 제 1지지부(36)와, 제 1지지부(36)와 이격되고 상기 베이스(34)의 다른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내측에 제 2부분 궤도홈(42)이 형성되는 제 2지지부(38)를 일체로 구비하는 본체(32); 제 1지지부(36)와 제 2지지부(38)사이에 해제 가능하게 장착되며, 내측에 상기 제 1지지부(36)의 제 1부분 궤도홈(40)과 제 2지지부(38)의 제 2부분 궤도홈(42)과 연통하는 제 3부분 궤도홈(52)이 형성되는 궤도홈 부재(50); 및 일단부에서 상기 보빈(24)의 감긴 밑실이 접촉 통과하는 홈(64) 및 첨단부(66)를 구비하고, 내측에서 제 2지지부(38)의 제 2부분 궤도홈(42)과 연통하는 제 4부분 궤도홈(60)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32)의 제 2지지부(38)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는 홈부재(58)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ROTARY SHUTTLE DEVICE FOR SEWING MACHINE}
본 발명은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3개의 부분으로 분리 형성되어 상호 해체 가능하게 결합 또는 조립될 수 있어 해당 마모부분 또는 교체를 요하는 부분만을 용이하고 간편하게 수리 또는 교체할 수 있는 외측 북을 구비한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봉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실을 공급하기 위한 회전 북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 북 장치는 동력장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축(1)에 장착되는 외측 북(2)과, 외측 북(2)에 수납되는 내측 북(3)과, 내측 북(3)에 수납되며 밑실이 감겨져 있는 보빈(4)과, 보빈(4)을 수납하기 위한 보빈 케이스(5)를 구비한다. 통상적으로, 보빈(4)은 밑실이 감겨지는 직원통상의 권통(6)과, 이 권통(6)의 축선 방향 양단부에 고정되는 플랜지(8,9)를 지닌다. 그리고, 내측 북(3)의 바닥(7)에는 스터드(10)가 입설되어 있으며, 그 스터드(10)에는 보빈(4)의 권통(6)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이다. 외측 북(2)의 내측에는 궤도홈(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단부에는 첨단부(12)가 형성되어 있다. 그 첨단부(12)의 근처에는 밑실이 접촉되어 통과되도록 완만한 곡률반경을 갖는 홈(1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측 북(3)의 외측에는 외측 북(2)의 궤도홈(11)에 삽입되는 궤도(14)가 형성되어 있어, 내측 북(3)이 외측 북(2)에 회전 가능하게 삽설되는 것이다. 한편, 외측 북(2)의 외측의 절반부에는 내측 북(3)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또한 내측 북(3)의 삽입되거나 그로부터 해제될 수 있도록 대체로 반원형의 가이드(15)가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가이드(15)에는 외측 북(2)의 본체에 형성된 첨단부(12)와 대향하는 다른 하나의 첨단부(1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측 북(2)의 외측의 나머지 절반부에는 브래킷(18)이 상기 가이드(15)에 연이어 외측 북(2)의 본체에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해제 가능하게 고정된다. 그 브래킷(18)에는 역시 가이드(15)의 첨단부(16)와 마주하는 또 다른 하나의 첨단부(19)를 구비하고 있다. 이 같은 구성에 따라, 재봉틀이 작동하면 외측 북(2)과 내측 북(3)이 상대적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보빈(4)에 감겨진 밑실이 풀려 나와 외측 북(2)의 첨단부(12) 근처에 형성된 홈(13)을 지나 재봉될 직물의 하부로 공급되어 그 직물의 상부로부터 공급되는 윗실에 꿰어져 직물이 재봉질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는 다소의 문제점이 초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내측 북(3)이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보빈(4)으로부터 풀려지는 밑실이 외측 북(2)의 홈(13)에 접촉상태로 지나므로 그 홈(13)이 마모되며, 국부적으로 마모되는 경우 밑실의 절단을 초래하며, 심한 경우 홈(13)부분이 절단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홈(13)의 일부만이 과도하게 마모된 경우에도 외측 가이드 북 또는 북 회전 장치 전체를 교체해야 하므로 비용이 과도하게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내측 북(3)이 외측 북(2)에 대해 고속으로 회전됨으로써, 내측 북(3) 둘레에 형성된 궤도(14)에 의해 외측 북(2)의 궤도홈(11)이 마모되며, 궤도홈(11)이 과도하게 마모되는 경우 내측 북(3)이 요동하거나 정상적으로 회전될 수 없으므로 밑실이 절단되거나 회전 북 장치의 전체적인 고장을 초래하여 재봉질을 불량하게 하거나 불가능하게 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도 고가의 외측 북 또는 회전 북 장치 전체를 교체해야 하므로 비용이 과도하게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내측 북에 대한 외측 북의 수용을 위한 개방공간이 매우 제한적이고 한정적이며, 외측 북의 궤도홈에 내측 북의 궤도를 정확히 삽입하는데 고도의 숙련을 필요로 하므로 조립성 및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외측 북에 대한 내측 북의 삽입을 위해 필연적으로 가이드가 외측 북에 부가되어야 하므로 부품수가 많아지며, 각각의 부품들을 상호 결합시키기 위한 볼트와 같은 체결부품의 수가 증가되어 원가가 증가되며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과도하게 마모되거나 교체를 필요로 하는 부분만을 선택적으로 교체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측 북의 홈 또는 내측 북의 궤도에 의해 마모되는 궤도홈부재 만을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는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체, 홈부재 및 궤도홈부재로 분리 형성되는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측 북에 내측 북을 용이하게 삽설할 수 있으며, 부품수가 감소되는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제봉틀용 회전 북 장치의 외측 북을 상세히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의 외측 북을 상세히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의 외측 북을 상세히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외측 북 32: 본체
36: 제 1지지부 38: 제 2지지부
44,46,48: 고정홈 50: 궤도홈 부재
54,56,66: 고정편 58: 홈부재
78,82,86: 쇄정홈 90,94,98: 쇄정변
102,106,110: 결합부 120,124,128: 체결부
이 같은 목적들은 재봉틀의 동력발생장치의 구동축에 장착되는 외측 북, 외측 북에 회전 가능하게 내삽되는 내측 북, 내측 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밑실이 감겨진 보빈, 상기 보빈을 수납하기 위한 보빈 케이스 및 상기 외측 북의 둘레에 장착되는 브래킷을 구비하는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측 북은 상기 구동축에 장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내측에 제 1부분 궤도홈이 형성되는 제 1지지부와, 제 1지지부와 이격되고 상기 베이스의 다른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내측에 제 2부분 궤도홈이 형성되는 제 2지지부를 일체로 구비하는 본체; 상기 제 1지지부와 제 2지지부 사이에 해제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 1지지부의 제 1부분 궤도홈과 제 2지지부의 제 2부분 궤도홈과 연통하는 제 3부분 궤도홈이 형성되는 궤도홈 부재; 및 일단부에서 상기 보빈에 감긴 밑실이 접촉 통과하는 홈 및 첨단부를 구비하고, 내측에서 제 2지지부의 제 2부분 궤도홈과 연통하는 제 4부분 궤도홈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의 제 2지지부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는 홈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있어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북 장치는 기본적으로 외측 북(20), 그 외측 북(20)에 회전 가능하게 내삽되는 내측 북(22), 내측 북(22)에 역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보빈(24) 및 보빈(24)을 수납하기 위한 보빈 케이스(26)를 구비한다. 물론, 내측 북(22)의 외측 둘레에는 궤도(28)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의 중앙에는 보빈(24)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스터드(30)가 입설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 북 장치를 구성하는 내측 북(22), 보빈(24) 및 보빈 케이스(26)는 전술된 바와 같은 일반적인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더 이상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 북 장치의 외측 북(20)은 재봉틀에 설치된 동력발생 장치의 구동로드에 장착되는 본체(32)를 구비한다. 본체(32)는 장착공이 형성된 베이스(34)와, 베이스(34)의 일측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제 1지지부(36)와, 제 1지지부(36)와 이격되며 베이스(34)의 다른 일측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제 2지지부(38)를 포함한다. 제 1지지부(36)의 내측에는 상기 내측 북(22)의 궤도(28)의 일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설되는 제 1부분 궤도홈(40)이 형성되며, 제 2지지부(38)의 내측에도 역시 내측 북(22)의 궤도(28)의 일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설되는 제 2부분 궤도홈(42)이 형성된다. 또한, 제 1지지부(36)의 일단부의 외측에는 제 1고정홈(44)이 형성되며, 제 2지지부(38)의 일단부, 즉, 상기 제 1지지부(36)의 일단부에 대응하는 일단부에는 제 2고정홈(46)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일단부에는 제 3고정홈(48)이 형성된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지지부에 형성된 각각의 고정홈(44,46,48)의 둘레는, 상세히 후술되는 바와 같이 궤도홈부재 및 홈부재가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예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측 북(20)은 본체(32)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궤도홈부재(50)를 분리형으로 포함한다. 궤도홈부재(50)의 내측에는, 상기 내측 북(22)의 궤도(28)의일부가 삽설되며 양단이 제 1지지부(36)의 제 1부분 궤도홈(40)과 제 2지지부재(36)의 제 2부분 궤도홈(42)과 연통하는 제 3부분 궤도홈(52)이 전체적으로 형성된다. 특히, 궤도홈부재(50)의 일단부에는 제 1지지부(36)의 제 1고정홈(44)에 헤제가능하게 체결되는 제 1고정편(54)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제 2지지부(38)의 제 2고정홈(46)에 해제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 2고정편(56)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각각의 고정편(54,56)의 둘레는 상기 각각의 고정홈(44,46)에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그 고정홈의 둘레에 대응하게 예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 북 장치의 외측 북(20)은 본체(32)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홈부재(58)를 구비한다. 홈부재(58)의 내측에는 상기 내측 북(22)의 궤도(28)의 일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설되며 제 2지지부(38)의 제 2부분 궤도홈(42)과 연통하는 제 4부분 궤도홈(60)이 형성된다. 물론, 홈부재(58)의 일단부에는 첨단부(62)가 형성되며, 그 첨단부(62)의 부근에는 밑실이 접촉통과하는 홈(64)이 형성된다. 특히, 홈부재(58)의 다른 일단부에는 본체(32)의 제 2지지부(38)에 형성된 제 3고정홈(48)에 해제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 3고정편(66)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제 3고정편(66)의 둘레는 제 3고정홈(48)에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그 고정홈의 둘레에 대응하게 역시 예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32)의 제 2지지부(38)에 궤도홈부재(50) 와 홈부재(58)를 상호 견고하게 일체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고정공(68)이 형성된 브래킷(70)이 제공된다. 물론, 제 2지지부(38), 궤도홈부재(50) 및 홈부재(58)에는 브래킷(70)에 각각의 위치에 천공된 고정공(68)에 대응하는 체결공이 천공 형성된다. 즉, 제 2지지부(38)에는 체결공(72)이, 궤도홈부재(50)에는 체결공(74)이, 또한 홈부재(58)에는 체결공(76)이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측 북(20)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간의 결합방식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북(20)의 각각의 구성요소를 홈 및 핀결합식으로 상호 해제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체(32)의 제 1지지부(36)의 일단부에는 제 1쇄정홈(78)이 형성되며, 그 쇄정홈(78)에는 하나 이상의 쇄정공(80)이 형성된다. 또한, 제 2지지부(38)의 일단부에는 제 2쇄정홈(82)이 형성되고 그 제 2쇄정홈(82)에는 2개의 고정공(84)이 천공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제 3쇄정홈(86)이 형성되고 그 제 3쇄정홈(86)에도 역시 2개의 쇄정공(88)이 형성된다. 각각의 쇄정홈(78,82,86)은 모두 예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지지부(36,38)에 대응하게 궤도홈부재(50)의 일단부에는 제 1지지부(36)의 제 1쇄정홈(78)에 해제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 1쇄정변(90)이 형성되며, 그 제 1쇄정변(90)에는 각각의 세정공(80)에 해제 가능하게 체결되는 쇄정핀(92)이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궤도홈부재(50)의 타단부에는 제 2지지부(38)의 제 2쇄정홈(82)에 해제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 2쇄정변(94)이 형성되며, 그 제 2쇄정변(94)에는 각각의 세정공(84)에 해제 가능하게 체결되는 쇄정핀(96)이 돌출 형성된다. 또한, 제 2지지부(38)에 해제 가능하게 장착되는 홈부재(58)의 다른 일단부에는 제 2지지부(38)의 타단부에 형성된 제 3쇄정홈(86)에 삽입되는 제 3쇄정변(98)이 형성되며, 그 제 3쇄정변(98)에는 쇄정공(88)에 해제 가능하게 체결되는 쇄정핀(100)이 형성된다. 각각의 쇄정변(90,94,98)은 상기 각각의 쇄정홈(78,82,86)에 정확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그 쇄정홈과 동일한 예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북(20)의 각각의 구성요소를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상호 해제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체(32)의 제 1지지부(36)의 일단부에는 단(段)식으로 형성된 제 1결합부(102)가 형성되며, 그 제 1결합부(102)에는 고정공(104)이 천공된다. 본체(32)의 제 2지지부(38)의 일단부에는 단(段)식으로 형성된 제 2결합부(106)가 형성되며, 그 제 2결합부(106)에는 고정공(108)이 천공된다. 또한, 제 2지지부(38)의 타단부에는 역시 단(段)식으로 형성된 제 3결합부(110)가 형성되며, 그 제 3결합부(110)에는 고정공(112)이 천공된다. 특히, 각각의 결합부(102,106,110)의 수평부와 수직부에 의해 형성되는 각각의 단부(114,116,118)는 예각을 갖는 홈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응하게, 궤도홈부재(50)의 일단부에는 제 1지지부(36)의 제 1결합부(102)에 결합되는 제 1체결부(120)가 형성되며, 그 제 1체결부(120)에는 제 1결합부에 형성된 고정공(104)에 대응하는 체결공(122)이 천공된다. 궤도홈부재(50)의 타단부에는 제 2지지부(38)의 제 2결합부(106)에 결합되는 제 2체결부(124)가 형성되며, 그 제 2체결부(124)에는 제 2결합부에 형성된고정공(108)에 대응하는 체결공(126)이 천공된다. 또한, 제 2지지부(38)에 장착되는 홈부재(58)의 다른 일단부에는 제 2지지부(38)의 타단부에 형성된 제 3결합부(110)에 고정되는 제 3체결부(128)가 형성되며, 그 제 3체결부(128)에는 제 3결합부(110)의 고정공(112)에 대응하는 체결공(130)이 천공된다. 물론, 각각의 결합부(102,106,110)에 형성된 고정공(104,108,112)과 각각의 체결부(120,124,128)에 천공된 체결공(122,126,130)은 상호 볼트(B)에 의해 체결된다. 특히, 각각의 체결부(120,124,128)의 단부에지(132,134,136)는 상기 각각의 결합부(102,106,110)의 단부(114,116,118)에 정확하고 견고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그 각각의 단부와 동일한 예각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회전 북 장치의 외측 북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부품의 결합방식을 3가지로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면, 3가지의 결합방식을 각각 단독으로 실행할 수 있음은 2가지 또는 3가지의 결합방식을 편의에 따라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의 결합방식 및 그 작용모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예컨대, 외측 북(20)의 각각의 구성요소를 상호간 계합 또는 억지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하는 경우에는 궤도홈부재(50)의 일단부에 형성된 제 1고정편(54)을 제 1지지부(36)의 제 1고정홈(44)에 삽입체결시킴과 동시에 궤도홈부재(50)의 타단부에 형성된 제 2고정편(56)을 제 2지지부(38)의 제 2고정홈(46)에 삽입체결 시킴으로써 궤도홈부재(50)가 본체(32)에 결합된다. 또한, 홈부재(58)의 제3고정편(66)을 제 2지지부(38)에 형성된 제 3고정홈(48)에 체결고정 시킴으로써, 홈부재(58)가 본체(32)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본체(32)에 대한 궤도홈부재(50) 및 홈부재(58)의 채결시 각각의 고정편(54,56,66)의 둘레가 예각을 이루며 각각의 고정홈(44,46,48)의 둘레 또한 예각을 이루므로 상호 견고한 체결고정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외측 북(20)의 각각의 구성요소가 홈 및 핀결합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경우에는, 궤도홈부재(50)의 일단부에 형성된 제 1쇄정변(90) 및 쇄정핀(92)을 제 1지지부(36)의 제 1쇄정홈(78) 및 쇄정공(80)에 삽입 체결시킴과 동시에 궤도홈 부재(50)의 타단부에 형성된 제 2쇄정변(94) 및 쇄정핀(96)을 제 2지지부(38)의 제 2쇄정홈(82) 및 쇄정공(84)에 삽입고정 시킴으로써 궤도홈부재(50)가 본체(32)에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홈부재(58)의 제 3쇄정변(98) 및 쇄정핀(100)을 제 2지지부(38)에 형성된 제 3쇄정홈(86) 및 쇄정공(90)에 삽입고정 시킴으로써 홈부재(58)가 본체(32)에 결합되는 것이다. 각각의 쇄정변(90,94,98)과 상기 각각의 쇄정홈(78,82,86)은 상호 동일한 예각을 지니므로 본체(32)에 대해 궤도홈 부재(50) 및 홈부재(58)가 상호 정확하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북(20)의 각각의 구성요소가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경우에는, 궤도홈부재(50)의 일단부에 형성된 제 1체결부(120)의 체결공(122)을 제 1지지부(36)의 제 1결합부(102)의 고정공(104)에 연통시키고 타단부에 형성된 제 2체결부(124)의 체결공(126)을 제 2지지부(38)의 제 2결합부(106)의 고정공(108)에 연통시킨 상태에서 각각의 연통구멍에 적절하게 볼트(B)를 체결함으로써 궤도홈부재(50)가 본체(32)에 결합된다. 또한, 홈부재(58)에 형성된 제 3체결부(128)의 체결공(130)을 제 2지지부(36)의 제 3결합부(110)의 고정공(112)에 연통시킨 상태에서 그 연통구멍에 볼트(B)를 적절하게 체결함으로써 홈부재(58)가 본체(32)에 결합되는 것이다. 이 같은 본체에 대한 궤도홈부재(50)와 홈부재(58)의 결합시, 각각의 체결부(120,124,128)의 단부에지(132,134,136)는 상기 각각의 결합부(102,106,110)의 단부(114,116,118)는 동일한 예각을 지니므로 상호 정확하고 견고하게 삽입됨으로써, 본체에 궤도홈부재와 홈부재가 각각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물론, 상술된 바와 같이 외측 북(20)을 결합시키기 전에는 필수적으로 내측 북(22)을 외측 북(20)에 삽설해야 한다. 또한, 외측 북(20)의 조립 후에는 브래킷(70)을 이용하여 본체(32)에 궤도홈부재(50) 와 홈부재(58)가 견고하게 일체로 결합시킨다. 즉, 브래킷(70)의 적정위치에 천공된 각각의 고정공(68)과, 이에 대응하게 제 2지지부(38), 궤도홈부재(50) 및 홈부재(58)에 각각 천공된 체결공(72,74,76)을 연통시킨 상태에서 볼트(B)로 체결한다. 특히, 브래킷(70)에 천공형성된 고정공(68)들 중 일부는 궤도홈부재(50) 와 홈부재(58)에 제공될 수 있는 고정공 또는 체결공과 연통될 수 있으므로 본체(32)와 궤도홈부재(50) 및 홈부재(58)간의 결합시 하나의 볼트에 의해 동시에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 북 장치가 조립됨으로써, 예컨대 외측 북(20)의 궤도홈부재(50)가 내측 북(22)의 궤도에 의해 과도하게 마모되거나 또는 홈부재(58)가 과도하게 마모되는 경우에는 이들 각각의 부재만을 선택적으로 분해하여 교체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내측 북(22)이 외측 북(20)에 수용될 개구부가 넓으므로 내측 북(22)을 외측 북(20)에 용이하고 신속하게 삽설하거나 또는 그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해낼 수 있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에 의하면, 외측 북 중에서 과도하게 마모되거나 교체를 필요로 하는 부분만을 선택적으로 교체하면 되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체, 홈부재 및 궤도홈부재를 각각 분리하여 형성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며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어 재료의 낭비가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외측 북에 내측 북을 용이하게 삽설할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이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10)

  1. 재봉틀의 동력발생장치의 구동축에 장착되는 외측 북, 외측 북에 회전 가능하게 내삽되는 내측 북, 내측 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밑실이 감겨진 보빈, 상기 보빈을 수납하기 위한 보빈 케이스 및 상기 외측 북의 둘레에 장착되는 브래킷을 구비하는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측 북은
    상기 구동축에 장착되는 베이스(34)와, 상기 베이스(34)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내측에 제 1부분 궤도홈(40)이 형성되는 제 1지지부(36)와, 제 1지지부(36)와 이격되고 상기 베이스(34)의 다른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내측에 제 2부분 궤도홈(42)이 형성되는 제 2지지부(38)를 일체로 구비하는 본체(32);
    상기 제 1지지부(36)와 제 2지지부(38)사이에 해제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 1지지부(36)의 제 1부분 궤도홈(40)과 제 2지지부(38)의 제 2부분 궤도홈(42)과 연통하는 제 3부분 궤도홈(52)이 형성되는 궤도홈 부재(50); 및
    일단부에서 상기 보빈(24)의 감긴 밑실이 접촉 통과하는 홈(64) 및 첨단부(66)를 구비하고, 내측에서 제 2지지부(38)의 제 2부분 궤도홈(42)과 연통하는 제 4부분 궤도홈(60)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32)의 제 2지지부(38)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는 홈부재(5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32)의 제 1지지부(36)의 일단부에는 제 1고정홈(44)이 형성되고,상기 제 1지지부(36)의 일단부에 대응하는 제 2지지부(38)의 일단부에는 제 2고정홈(46)이 형성되며, 제 2지지부(38)의 타단부에는 제 3고정홈(48)이 형성되며;
    상기 궤도홈부재(50)의 일단부에는 제 1지지부재(36)의 제 1고정홈(44)에 해제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 1고정편(54)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제 2지지부(38)의 제 2고정홈(46)에 해제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 2고정편(56)이 형성되며;
    상기 홈부재(58)의 타단부에는 상기 본체(32)의 제 2지지부(38)에 형성된 제 3고정홈(48)에 해제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 3고정편(66)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고정홈(44;46;48)의 둘레는 예각을 이루며, 이에 대응하게 각각의 고정편(54,56,66)의 둘레는 상기 고정홈의 예각과 동일한 예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32)의 제 1지지부(36)의 일단부에는 제 1쇄정홈(78)이 형성되고, 상기 제 1지지부(36)의 일단부에 대응하는 제 2지지부(38)의 일단부에는 제 2쇄정홈(82)이 형성되며, 제 2지지부(38)의 타단부에는 제 3쇄정홈(86)이 형성되며;
    상기 궤도홈부재(50)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 1지지부재(36)의 제 1쇄정홈(78)에 해제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 1쇄정변(90)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제 2지지부(38)의 제 2쇄정홈(82)에 해제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 2쇄정변(94)이 형성되며;
    상기 홈부재(58)의 타단부에는 상기 본체(32)의 제 2지지부(38)에 형성된 제 3쇄정홈(86)에 해제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 3쇄정변(98)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쇄정홈(78;82;86)에는 쇄정공(80;84;88)이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쇄정변(90;94;98)에는 상기 각각의 쇄정공에 해제 가능하게 삽입되는 쇄정핀(92;96;10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쇄정홈(78;82;86)은 예각을 이루며, 이에 대응하게 상기 각각의 쇄정변(90;94;98)은 상기 쇄정홈과 동일한 예각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32)의 제 1지지부(36)의 일단부에는 고정공(104)이 천공된 제 1결합부(102)가 형성되고, 상기 제 1지지부(36)의 일단부에 대응하는 제 2지지부(38)의 일단부에는 고정공(108)이 천공된 제 2결합부(106)가 형성되며, 제 2지지부(38)의 타단부에는 고정공(112)이 천공된 제 3결합부(110)가 형성되며;
    상기 궤도홈부재(50)의 일단부에는 제 1지지부재(36)의 제 1결합부(102)의 고정공(104)에 연통하고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체결공(122)이 형성된 제 1체결부(120)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제 2지지부(38)의 제 결합부(106)의 고정공(108)에 연통하고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체결공(126)이 천공된 제 2체결부(124)가 형성되며;
    상기 홈부재(58)의 타단부에는 상기 본체(32)의 제 2지지부(38)에 형성된 제 3결합부(110)의 고정공(112)에 연통하고 볼트에 의해 해제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공(130)이 천공된 제 3체결부(128)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32)의 제 2지지부(38)의 제 3결합부(110)에 형성된 고정공(112)과 홈부재(58)의 제 3체결부(128)의 체결공(130)은 상기 브래킷(70)에 천공된 고정공(68)과 연통할 수 있으며, 상기 연통공에 볼트(B)가 공통으로 체결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결합부(102,106,110)의 수평부와 수직부에 의해 형성되는 각각의 단부(段部)(114,116,118)는 예각을 갖는 홈으로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체결부(120,124,128)의 단부에지(132,134,136)는 상기 단부(114,116,118)와 동일한 예각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
  10. 제 1항 내지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32)의 제 2지지부(38)에는 상기 브래킷(70)에 천공된 고정공(68)중 하나에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체결공(72)이 형성되고, 상기 궤도홈부재(50)에는 상기 브래킷(70)에 천공된 고정공(68)중 다른 하나에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체결공(74)이 형성되며, 상기 홈부재(58)에는 상기 브래킷(70)에 천공된 고정공(68)중 또 다른 하나에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체결공(7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
KR1020000039823A 2000-07-12 2000-07-12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 KR100356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9823A KR100356041B1 (ko) 2000-07-12 2000-07-12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
US10/312,837 US6807918B2 (en) 2000-07-12 2001-07-10 Rotary shuttle device for sewing machine
AU2001269588A AU2001269588A1 (en) 2000-07-12 2001-07-10 Rotary shuttle device for sewing machine
PCT/KR2001/001180 WO2002004732A1 (en) 2000-07-12 2001-07-10 Rotary shuttle device for sewing machine
MXPA03000344A MXPA03000344A (es) 2000-07-12 2001-07-10 Dispositivo de lanzadera giratoria para maquina de coser.
JP2002509581A JP2004502515A (ja) 2000-07-12 2001-07-10 ミシン用回転釜装置
EP01948106A EP1309745A1 (en) 2000-07-12 2001-07-10 Rotary shuttle device for sew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9823A KR100356041B1 (ko) 2000-07-12 2000-07-12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9984U Division KR200219030Y1 (ko) 2000-07-12 2000-07-12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6257A KR20020006257A (ko) 2002-01-19
KR100356041B1 true KR100356041B1 (ko) 2002-10-18

Family

ID=19677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9823A KR100356041B1 (ko) 2000-07-12 2000-07-12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807918B2 (ko)
EP (1) EP1309745A1 (ko)
JP (1) JP2004502515A (ko)
KR (1) KR100356041B1 (ko)
AU (1) AU2001269588A1 (ko)
MX (1) MXPA03000344A (ko)
WO (1) WO20020047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226B1 (ko) * 2004-04-02 2006-07-06 장 스티브 재봉틀용 교체식 북
CA2585434A1 (en) * 2004-11-24 2006-06-01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Horizontal rotary hook for sewing machine
JP4508844B2 (ja) * 2004-11-24 2010-07-21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水平回転釜
JP4447436B2 (ja) * 2004-11-24 2010-04-07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水平回転釜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69495A (en) * 1955-04-02 1959-01-20 Vittorio Necchi S P A Rotary hook for sewing machines
US4319362A (en) * 1979-10-29 1982-03-16 Ettinger Donald N Protective neck apparatus
US4338685A (en) * 1980-06-02 1982-07-13 Laporta Jr Phil Cervical collar
JPS60147384U (ja) * 1984-03-09 1985-09-30 ジャガー株式会社 ミシンの全回転釜
JPS60149388U (ja) * 1984-03-14 1985-10-03 ジャガー株式会社 ミシンの釜
US4504023A (en) * 1984-05-23 1985-03-1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Apparatus producing constant cable tension for intermittent demand
US5123408A (en) * 1991-09-18 1992-06-23 Gaines Leonard F Sports helmet braced for protection of the cervical spine
US5474004A (en) * 1992-10-16 1995-12-12 Bakron Corporation Rotary loop taker with a detachable loop seizing point
JPH0775638B2 (ja) * 1993-03-12 1995-08-16 株式会社廣瀬製作所 垂直全回転かまの内かま
JPH06327873A (ja) * 1993-05-26 1994-11-29 Hirose Mfg Co Ltd 本縫ミシンの内かま押え
US5546601A (en) * 1995-02-23 1996-08-20 Abeyta; Alan Neck and cervical spine protector device for dispersing axial compressive forces
US5617803A (en) * 1995-04-27 1997-04-08 Bakron Corp. Rotary loop taker with replaceable tip
JPH11313997A (ja) * 1998-03-06 1999-11-16 Juki Corp ミシンの釜
US6006368A (en) * 1998-04-09 1999-12-28 Phillips; Richard L. Combination helmet and shoulder pad for minimizing cervical injuries
US6182300B1 (en) * 1999-11-12 2001-02-06 Claude M. Severance Neck protective ge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09745A1 (en) 2003-05-14
KR20020006257A (ko) 2002-01-19
US20030172859A1 (en) 2003-09-18
WO2002004732A1 (en) 2002-01-17
JP2004502515A (ja) 2004-01-29
MXPA03000344A (es) 2004-12-13
US6807918B2 (en) 2004-10-26
AU2001269588A1 (en) 2002-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6041B1 (ko)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
KR20120019352A (ko) 재봉기기 밑실공급장치
KR200219030Y1 (ko)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
US4073324A (en) Slot-mortising or mortising machine
EP1719830B1 (en) Sewing machine with a base designed to hold interchangeable means for sewing fabrics using different types of stitch
JPH11226283A (ja) ミシンの針棒ストローク調整装置
KR100597226B1 (ko) 재봉틀용 교체식 북
KR20100034363A (ko) 고속 재봉틀용 회전북장치
US6263812B1 (en) Looper thread take-up structure of sewing machine capable of very easily clearing up tangling thread
CN102888722B (zh) 缝纫机
US6347597B1 (en) Flat sewing device without thread bobbins
JP2006141838A (ja) 水平回転釜
KR101478281B1 (ko) 셔틀케이스
JP3997474B2 (ja) ミシン
US323916A (en) Bobbin for sewing-machine shuttles
KR20180002795U (ko) 브래킷 일체형 중공 모터
US5404704A (en) Spindle driving and supporting device for textile machines
US967950A (en) Power-transmission mechanism.
JP3656854B2 (ja) 多頭ミシン
US1047178A (en) Sewing-machine.
KR200167318Y1 (ko) 직기의 변사 꼬임장치
KR200204615Y1 (ko) 슬라이드파스너 성형기의 심봉고정장치
KR200320491Y1 (ko) 자수기의 원단 공급장치
US4594959A (en) Locking device for removable sewing-machine control cams
KR200222005Y1 (ko)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의 보빈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