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5183B1 - 시계용푸쉬-피이스-크라운 - Google Patents

시계용푸쉬-피이스-크라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5183B1
KR100355183B1 KR1019940029480A KR19940029480A KR100355183B1 KR 100355183 B1 KR100355183 B1 KR 100355183B1 KR 1019940029480 A KR1019940029480 A KR 1019940029480A KR 19940029480 A KR19940029480 A KR 19940029480A KR 100355183 B1 KR100355183 B1 KR 100355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wn
push
head
piece
w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9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5013A (ko
Inventor
마크-앙드래미체
제라드팔릭스
Original Assignee
에쓰엠에이취 메나즈먼트 써비시스 아크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쓰엠에이취 메나즈먼트 써비시스 아크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에쓰엠에이취 메나즈먼트 써비시스 아크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950015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5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5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51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27/00Mechanical devices for setting the time indicating mea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00Normal winding of clockworks by hand or mechanically; Winding up several mainsprings or driving weights simultaneously
    • G04B3/04Rigidly-mounted keys, knobs or crowns
    • G04B3/048Operation exclusively by axial movement of a push-button, e.g. for chronograph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08Hermetic sealing of openings, joints, passages or slits
    • G04B37/10Hermetic sealing of openings, joints, passages or slits of winding stems
    • G04B37/106Hermetic sealing of openings, joints, passages or slits of winding stems of push butt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시계를 감싸는 케이스 내에 고정된 인도관(T) 위에 설치하고 두가지 축위치를 제공하는 용두(TR)에 축방향으로 또한 회전식으로 고정되고 이중 한 위치는 안정한 제 1 위치("0") 그리고 다른 위치는 일시적인 제 2 위치("-1")인 것으로서, 축에 고정 및 관(T)에서 축운동 할 수 있도록 설치된 헤드(2)와, 한 단부는 헤드(2) 상에서 안정한 위치로 강제되도록 지지하고 다른 단부는 안정한 위치와 일시적 위치사이에서 헤드(2) 속으로 이동하는 받침링(9) 상에서 지지되는 복귀스프링(8)으로 구성되고 한편, 안정한 위치에서는 받침링(9)이 헤드(2) 내부의 쇼올더(13)사이에서 지지되고 일시적 위치에서는 관(T)의 쇼올더(E3)상에 남아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피이스-크라운(1)을 발표한다.

Description

시계용 푸쉬-피이스-크라운
본 발명은 시계 특히 고성능 손목시계의 푸쉬-피이스-크라운(push-piece-crown)에 관계한다. 푸쉬-피이스-크라운은 다음과 같은 세가지 다른 형태를 갖는다.
- 시계가 정상으로 조작하는 휴지위치(the rest position)("0"위치)
- 시계의 시간 설정 축에 고정 결합된 푸쉬-피이스-크라운으로 조정하는 당김 위치(the drawn-out position)("1"위치), 그리고
- 푸쉬-피이스-크라운이 시계 내부와의 전기접촉을 차단하는 누름위치(the pushed-in position)("-1"위치).
처음 두 위치("0" 및 "1"위치)는 표준 크라운에 의하여 작동되는 위치에 상응한다.
셋째 위치("-1"위치)는 일반적으로 복잡한 시계 특히 시간을 가리키는 제 1 아날로그 디스플레이(first analog display)와 그리고 또 다른 시간 혹은 기상시간(wake-up time)등 다른 하나 또는 여러가지 시간기능을 나타내는 액정을 이용한 제 2 디지털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시계에서 공지된 것이다.
따라서, 푸쉬-피이스-크라운의 조작을 통해 원하는 여러 방식의 작동을 행할 수 있다. 이런 푸쉬-피이스-크라운은 무부먼트의 용두(stem)에 고정되며 이것의 방사위치 또는 축 위치가 변화 할 때 용두도 방사 또는 축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휴지위치("0")에서 이 푸쉬-피이스-크라운은 종축방향으로 축에 대해 견고히 결합되고 당기거나 눌러진다. 당김위치("1"위치)에서 푸쉬-피이스-크라운은 각 정보(angular information)를 크라운의 용두에 의해 시간조정을 위한 무부먼트에 전달하기 위하여 용두에 견고히 결합된다.
푸쉬-피이스-크라운과 용두는 누름위치에서 차단되어 머물러있는 경우 또는 초기 위치로 되돌아오지 않고 있는 경우 시계가 작동되어야 할 상태에서 차단되어 머물고 있는 상태이므로 초기위치로 돌아오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용두와 푸쉬-피이스-크라운이 초기위치로 복귀하도록 유도하는 것은 푸쉬-피이스-크라운의 헤드(head)에 복귀스프링을 설치하는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용두가 자유로운 제 1 위치("0"위치)와 용두가 시간조정에 이용되는 무부먼트와 연관되는 제 2 위치("1"위치)등 두 위치를 갖는 푸쉬-피이스-크라운의 디자인은 공지되었다. 이런 푸쉬-피이스-크라운은 스위스 특허 제 577 701 호에 기술되었다. 이 푸쉬-피이스-크라운에는 또한 스프링과 무부먼트 사이의 정렬 결함을 보장하는 스프링이 구비되어 있다. 푸쉬-피이스-크라운은 제 3 위치("-1"위치)를 갖지 않는 비교적 간단한 디자인의 것이다.
푸쉬-피이스-크라운의 방수력을 증가시킬 경우(고성능 시계) 크라운 속에 더 큰 시일링 가스켓(sealing gasket)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스켓을 이용할 경우 또는 그런 팩킹(packing)을 이용할 경우 푸쉬-피이스-크라운과인도관(guide tube) 사이의 마찰이 크게 증가하여 푸쉬-피이스-크라운이 이 마찰력 때문에 비활성 위치에서 복귀하지 못하는 위험성이 커진다.
본 발명은 이러한 결함을 극복하고 또한 고성능 시계에 적합한 방수성을 나타내는 푸쉬-피이스-크라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은 시계를 내장하는 케이스 내에 장착된 인도관(guide tube)과 그리고 시계의 용두에 대해 축으로 그 회전을 하는 푸쉬-피이스-크라운 때문에 달성할 수 있고 그런 용두는 제 1 위치("0")가 안정하고 제 2 위치("-1")가 일시적인 두 축 위치에서 용두에 연결되며 푸쉬-피이스-크라운은 또한 다음 사항을 포함한다.
- 용두에 고정되는 인도관 상에서 축이동하여 용두의 상기 위치에 상응하는 두개 이상의 위치에 축위치 할 수 있어 시계의 한가지 이상의 기능을 제어하도록 하는 헤드(head), 또한
- 복귀 스프링의 다른쪽 말단이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의 헤드속에서 움직일 환형받침대(annular abutment)상에서 지지되고 제 1 위치는 받침대가 헤드 내부에 조립된 쇼울더(shoulder)상에서 지지되는 안정화 위치이고 제 2 위치는 받침대가 관에 조립한 쇼울더상에 위치되는 일시적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서, 안정화 위치에 있는 스프링은 안정화 위치에서 일시적 위치로 이동한 후 해체되자마자 안정화 위치속으로 완전 복귀되고 시일링 가스켓 때문에 관(tube)과 푸쉬-피이스-크라운 사이의 마찰력이 클 경우에도 그러하다.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예비 압축되는 복귀스프링의 사용은 전기적 접촉을 근접시키는 푸쉬-피이스에 적절하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푸쉬-피이스-크라운을 포함하는 시계에 관계한다.
첨부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구체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푸쉬-피이스-크라운의 구체적인 예가 휴지위치("0"위치)를 보여주는 제 1 도를 참조한다.
이 실시 예에서, 시계 특히 시계 상부의 시계줄(C)상에 푸쉬-피이스-크라운(1)이 설치되고 시계줄(C) 측면 모서리에는 관(T)이 나사식으로 연결되어있다. 설치관은 시계줄(C) 모서리에 천공된 방사상의 통로(radial passage)(P) 바깥에 배열된 쇼올더(E2)에 지지하는 쇼올더(E1)를 구성하는 환형 플랜지(annular flange)(R)가 있다. 은(silver)으로 된 시일(seal)(J)은 쇼올더(shoulder) (E1)과 (E2) 사이에 삽입된다. 관(T)은 자유말단(free end)에 접한 또 다른 쇼올더(E3)를 포함한다.
관(T)은 시계줄(C)이 구비된 시계의 작동(도면에 없슴)에 의해 한정된 3가지 위치를 제공할 수 있는 용두(TR)의 경로에서 통상의 방식대로 움직인다.
용두의 3가지 위치는 중간 또는 "0"위치(제 1 도), 시간 조정할 수 있는 당김위치 "+1"(제 2 도) 또한 하나 또는 여러 다른 시계 기능을 예컨대 작동시 전기접촉(도면에 없슴)의 폐쇄로 하나 또는 여러 기계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일시적 누름위치 "-1"(제 3 도)가 된다.
상술한 배열은 공지이며 본 발명의 일부가 아니다. 본 발명은 적용에 있어서 용두(TR)가 당김위치를 제공할 수 있고 용두와 푸쉬-피이스-크라운을 누름위치"-1"에서 중간위치 "0"으로 더 잘 복귀시키는 장점을 고려함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푸쉬-피이스-크라운(1)은 중공상태의 헤드(2)를 갖추고 그 하부는 블라인드 호올(4)이 구비된 돌출부(3)를 포함함을 보여준다. 블라인드 호올(4)은 내부에 나사관통하여 용두(TR) 단부에서 푸쉬-피이스- 크라운과 나사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이 실시 예에서, 헤드(2) 내벽은 축 중간위치에 쇼울더(5)를 포함하고 있다. 헤드(2) 개방단부를 향해 내벽이 둥근 저면(round bottom)을 가진 환형홈이 형성된다. 결국 출구에 가까우면 헤드(2)는 4각형 프로파일(rectangular profile)로된 환형홈(7)을 포함한다.
복귀스프링(8)은 중공상태의 헤드(2) 내부에 축배열하고 돌출부(3)를 에워싼다. 스프링은 헤드(2) 바닥에 내부말단이 지지되고 대향단부는 쇼올더(E3) 아래의 관(T)의 외부단부를 에워싸는 받침링(9)에서 지지된다. 받침링(9)은 복귀 스피링(8)의 작용하에 관(T)의 쇼올더(E3)와 접촉하는 방사상의 쇼올더(11)를 구성하는 내부 칼라(10)를 제 1 도에서 나타낸 푸쉬-피이스-크라운(1)의 구성에 포함한다.
외부에서, 받침링(9)은 중공상태의 헤드(2)의 환형홈(6)에 위치한 서클립(13)에 대해 지지되는 베벨각면(12)을 보여준다. 받침링(9)은 푸쉬-피이스-크라운(1)의 "0" 및 "-1" 위치에서 서클립(13)에 대해 지지한다.
본 발명의 푸쉬-피이스-크라운은 사각형 단면의 두 링(14 와 15)과 한편으로는 서클립(13)에 대해 지지되는 워셔(16)와 다른 한편으로는 헤드(2)의 환형홈(7)에 맞물린 서클립(13)의 워셔(17) 사이에 접하는 시일링 가스킷(sealing gasket)을 포함한다.
제 1 도와 제 2 도의 푸쉬-피이스-크라운 구성에서, 스프링(8)은 헤드(2) 바닥과 쇼올더(11) 사이에 고정위치하는 예비 압축상태의 것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중간위치로 용두(TR)를 유지하는 힘을 극복할 수 없는 축 트러스트(axial thrust)를 일으키고 이 힘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피이스-크라운과 조립한 시계작동의 시간조정 메카니즘에 의해 용두에 가해진다. 알려진 바와 같이, 용두(TR)가 무브먼트와 분리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축받침대에 의해 용두(TR)의 당김위치 '"+1"에 대해서도 그대로 유지되는 것이다. 예비압축력은 모든 코일이 서로 조여져 있는 경우 스프링(8)의 트러스트 힘(thrust force)의 60%에 달한다.
제 4도의 그래프와 더불어 제 1, 2 및 3 도에 설명된 본 발명의 푸쉬-피이스-크라운(1)의 조작을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푸쉬-피이스-크라운은 일시위치 "-1"에서 중간위치 "0" 방향으로의 용두(TR)의 비재현적인 복귀운동(irreproachable return movement)을 더욱 확실하게 보장한다. 또한 이것은 용두를 둘러싸고 있는 시일링 가스켓에 의해 용두에 가해지는 마찰력에도 불구하고 영향이 없다.
상기의 실시 예에서, 푸쉬-피이스-크라운(1)은 사실상 같은 거리에 있는 "0"점 위치의 어느 면에도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것의 축이동은 "0" 위치의 둘레에 걸쳐 동일하다. 도면에서 축이동은 예컨대 0.35mm 이며 이 거리는 시계줄에 대향한 헤드(2)의 면을 측면에서 멀어지게 하는 값이 푸쉬-피이스-크라운이 "0", "+1" 및 "-1" 위치에 따라 각각 0.50mm, 0.85mm 또한 0.15mm를 나타낸다. 알려진 바와 같이, 이런 값은 기본적으로 푸쉬-피이스-크라운이 연결된 무브먼트에 의존하며 이들은 무브먼트의 종류에 따라 변할 수가 있다.
제 1 도의 "0" 위치에서, 복귀 스프링(8)은 예비압축상태이며 따라서 헤드(2)의 하부의 이것을 지지하는 받침링(9)으로부터 분리하려 한다. 이로 인해, 받침링(9)은 서클립(13) 뿐 아니라 관(T)의 쇼올더 (E3)에 대해서도 지지한다. 따라서 "0"위치는 완전한 안정을 갖게된다.
사용자가 용두(T)와 푸쉬-피이스-크라운(1)의 조립체를 바깥으로 이동시켜 시계의 시간조정 조작에 영향을 주기 위하여는 시계줄(C)에 연관된 병진운동을 통해 축변위하도록된 조립체를 이용하는 푸쉬-피이스-크라운(1)을 당긴다. 이 사실로부터, 예비-압출력으로 받침대 사이에 있는 복귀스프링(8)에게는 아무런 변화도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받침링(9)은 관(T)의 쇼올더(E3)의 윗부분에 있음을 볼 수가 있다. 용두(TR)는 시계줄(C)에 연관하여 축변위됨을 볼 수가 있다. 변위시 링(14 와 15)으로부터 형성되는 시일링 가스켓은 관(T)에 연관하여 변위하고 이 변위는 마찰력을 시계 사용자가 제거할 수 있는 것임으로 조작에 어려운 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복귀스프링(8)의 복귀력은 제로(0)가 되며 시험이 행해진 바와 같이 (제 4 도 그래프의 우측부) 두 위치 사이에는 변화가 없었다.
제 1 도의 중간위치 "0"으로부터 제 3 도의 일시위치 "-1" 까지 과정에 나타나는 효과는 별도의 일이다. 이때, 받침링(9)이 헤드(2)가 시계줄(C)쪽으로 축변위하자마자 복귀스프링(8)은 예비압축상태일 때 보다 더 많이 압축되는 방식으로 관(T)의 쇼올더(3)에 의해 축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이다. 그러나, 스프링의 저항력인 복귀력은 서클립(13)의 받침링(9)에서 분리하자마자 예비압축력(Fo)과 같은 초기의 값을 갖는다. 작동 후 이 복귀력은 스프링 탄성계수에 따라서 증가한다.
제 4 도의 그래프 좌측부분에서 푸쉬-피이스-크라운의 누름이동(pushing-internal) 초기에서의 복귀력의 전개 브루스크 이동(brusque transition)을 보여준다. 이 브루스크 증가는 사용자에게 귀찮은 것이 아니며(약한 힘을 가할 뿐임으로) 다른 한편 푸쉬-피이스-크라운(1)과 용두(TR)를 제 1 도의 중간위치로 보내는데 매우 유리하다.
효과면에서, 누름작용(pushing-in)이 진행되는 동안, 관(T)에 대해 눌리는 링(14 와 15)은 우수한 시일링을 보장하며 관(T) 위로 미끄러짐을 볼 수가 있다. 그러나 복귀스프링(8)은 스프링의 동적 변형력(dynamic deformation force)을 가하는 예비압축력으로 인한 힘으로 조립체를 복귀시키므로 중간위치에 대한 복귀력은 아무런 문제도 일으키지 않고 관(T)에 대한 링의 마찰력은 쉽게 극복할 수 있다.
상술한 구체 예에서, 일시 위치 "-1"을 향한 누름작용은 헤드(2)의 방사상의 쇼올더(5)에 의해 제한된다. 방사상의 쇼올더(5)가 받침링(9)과 접촉하면, 복귀 스프링(8)은 최대 압축력(제 4 도의 Fmax)에 매우 밀접한 복귀력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압축된다. 도면에서 볼 수 없는 한 변형 예에 따르면 누름작용 스프링(8)에 의한 총 압축력에 의해 한정되는 방식으로 쇼올더(5)에 가해지며 이때 모든 코일은 서로의 각 코일에 대하여 힘을 받게된다.
유리한 방식에 따라, 예비압축력(Fo)은 필요조건에 따라 선택할 수가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푸쉬-피이스-크라운을 갖는 다이버 시계의 경우, 수압은푸쉬-피이스-크라운을 누르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때 시계를 무사히 유지할 수 있는 수심에서의 기능에 맞는 예비-압축력을 견딜 수 있는 것으로 선택해야 한다. 따라서 매우 깊은 곳에서 방수 시계를 "-1" 위치로 유지하기 위하여는 푸쉬-피이스-크라운을 누르도록 해야한다. 이 경우 예비압축력(Fo)는 최대압축력(Fmax)의 70% 이상이 될 수 있다.
제 1 도는 휴지위치("0"위치)의 본 발명의 푸쉬-피이스-크라운을 보여준다.
제 2 도는 당김위치("+1"위치)의 본 발명의 푸쉬-피이스-크라운을 보여준다.
제 3 도는 누름위치("-1"위치)의 본 발명의 푸쉬-피이스-크라운을 보여준다.
제 4 도는 위치의 함수로서 본 발명에 따른 푸쉬-피이스-크라운상의 복귀스프링이 제공되는 힘을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부호설명
1...푸쉬-피이스-크라운(push-piece-crown) 2...헤드(head)
3...돌출부 (projection) 4...블라인드 호올(blind hole)
5,11...방사상의 쇼올더(radial shoulder) 6,7...환형홈(annular groove)
8...복귀스프링 (spring) 9...받침링(abutment ring)
10...내부 칼라(internal collar)
12...베밸 각면(bevelled angular face) 13...서클립(circlip)
14,15...링(ring) 16,17...위셔(washer)
18...시일링 가스켓(sealing gasket) E1,E2,E3...쇼울더(shoulder)
J...시일 (seal) T...관 (tube)
TR...용두(龍頭,stem) C...시계줄(caseband)
Fo...예비압축력(pre-compression force)

Claims (7)

  1. 시계를 내장하는 케이스 속에 고정된 인도관(T) 위에 설치되고 그리고 용두(TR)와 함께 축방향 회전되도록 되고 이 용두(TR)는 한 위치는 안정한 제 1 위치("0")그리고 다른 위치는 일시적인 제 2 위치("-1")인 두 개의 축 위치를 갖는 용두(TR)를 갖는 시계에 있어서,
    - 시계 기능을 제어할 용두(TR) 위치에 상응한 두 위치에 축방향으로 자리할 수 있도록 용두에 고정되고 그리고 관(T)에서 축운동 할 수 있게 설치된 헤드(2)와,
    - 헤드(2)상에서 안정한 위치로 강제적으로 유도되도록 하기 위하여 헤드(2)에 단부가 지지되는 복귀스프링(8) 그리고,
    - 헤드의 내부에 위치하는 쇼올더 요소에 지지되는 받침링이 있는 안정한 위치에 일치하는 제 1 위치와 관(T) 내에 위치하는 쇼올더(E3)에서 받침링(9)가 머물고 있는 제 2 위치 사이에 헤드(2) 내에서 작동하는 환상의 받침링(9)에 단부를 갖는 복귀스프링 등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피이스-크라운(push-piece-crown)(1).
  2. 제 1 항에 있어서, 헤드(2) 내에 배열된 축방향 쇼올더를 형성하는 요소(element)에 지지되는 안정한 위치("0")에 있을 때 스프링(8)의 예비압축력을 보장하는 방식으로 이동 가능한 환형(annular)의 받침링(9)이 헤드(2) 속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피이스-크라운.
  3. 제 2 항에 있어서, 축방향 쇼올더 형성 요소(shoulder-forming element)는 헤드(2)속의 환형홈(6) 속에 위치하고 있는 서클립(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피이스-크라운.
  4. 전술한 제 1 항에 있어서, 복귀 스프링(8)의 예비압축력은 모든 코일이 서로 조여진 상태에서 최대 압축력의 60% 이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피이스-크라운.
  5. 전술한 제 1 항에 있어서, 헤드(2)와 관(T)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외부로부터 스프링(8)과 푸쉬-피이스-크라운(1)을 분리하고 외부로부터 시계의 무브먼트를 분리하는 시일링 가스켓(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피이스-크라운.
  6. 제 5 항에 있어서, 시일링 가스켓(18)은 워셔(washer)에 의해 헤드(2)속에 유지되고 워셔중 하나는 서클립(13)에 대해 축 지지상태에 있고 다른 하나는 헤드(2)내부에 형성된 환형홈(7)속에 맞물리도록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피이스-크라운.
  7. 전술한 항에 따른 푸쉬-피이스-크라운을 포함하는 시계.
KR1019940029480A 1993-11-25 1994-11-11 시계용푸쉬-피이스-크라운 KR1003551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03531/93-8 1993-11-25
CH03531/93A CH685901B5 (fr) 1993-11-25 1993-11-25 Couronne-poussoir pour piece d'horlogeri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5013A KR950015013A (ko) 1995-06-16
KR100355183B1 true KR100355183B1 (ko) 2002-12-16

Family

ID=4258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9480A KR100355183B1 (ko) 1993-11-25 1994-11-11 시계용푸쉬-피이스-크라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521890A (ko)
EP (1) EP0655664B1 (ko)
JP (1) JP3479132B2 (ko)
KR (1) KR100355183B1 (ko)
CN (1) CN1050910C (ko)
CH (1) CH685901B5 (ko)
DE (1) DE69402945T2 (ko)
HK (1) HK1007808A1 (ko)
SG (1) SG88717A1 (ko)
TW (1) TW25985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879B1 (ko) * 2011-06-08 2015-07-14 오메가쏘시에떼아노님 시계의 나사식 요소를 배향시키기 위한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85148B1 (it) * 1996-06-03 1998-06-03 Panerai Off Srl Dispositivo per il bloccaggio della lunetta girevole di orologi,in particolare orologi subacquei, e di tenuta stagna della corona di
DE19828826B4 (de) * 1998-03-18 2012-03-22 Petra Damasko Betätigungs- oder Stellelement für Uhren, insbesondere Armbanduhren
KR19990088020A (ko) * 1998-05-13 1999-12-27 에따 쏘시에떼 아노님 파브리끄 데보슈 시계,특히크로노그래프의누름단추
EP0957415A1 (fr) * 1998-05-14 1999-11-17 Eta SA Fabriques d'Ebauches Dispositif de poussoir pour pièce d'horlogerie, notamment chronographe
FI19992510A (fi) * 1999-11-24 2001-05-25 Nokia Mobile Phones Ltd Elektroniikkalaite ja menetelmä elektroniikkalaitteessa
CH705218B1 (fr) * 1999-12-02 2013-01-15 Ks 22 S A Procédé de montage d'une couronne vissée sur une boîte de montre.
US6453301B1 (en) * 2000-02-23 2002-09-17 Sony Corporation Method of using personal device with internal biometric in conducting transactions over a network
WO2001071478A2 (en) * 2000-03-22 2001-09-27 Sony Electronics Inc Data entry user interface
US20020026419A1 (en) * 2000-08-24 2002-02-28 Sony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opulating a portable smart device
US7251633B2 (en) * 2000-12-11 2007-07-31 Sony Corporation Method or system for executing deferred transactions
US7765163B2 (en) * 2000-12-12 2010-07-27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ducting secure transactions over a network
US20020124190A1 (en) * 2001-03-01 2002-09-05 Brian Siegel Method and system for restricted biometric access to content of packaged media
DE60137213D1 (de) * 2001-07-28 2009-02-12 Richemont Int Sa Wasserdichte Krone für Uhrengehäuse
JP2003222688A (ja) * 2002-01-30 2003-08-08 Seiko Instruments Inc 携帯時計
ATE514978T1 (de) * 2008-04-01 2011-07-15 Rado Montres Sa Steuervorrichtung mit drücker für uhr
FI124328B (fi) * 2008-12-31 2014-06-30 Suunto Oy Kaksitoiminen säätöelin rannetietokoneelle tai vastaavalle ja menetelmä rannetietokoneen tai vastaavan päätelaitteen säätämiseksi
JP5405945B2 (ja) * 2009-08-28 2014-02-05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携帯時計
JP5285547B2 (ja) * 2009-08-28 2013-09-11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携帯時計
JP5279661B2 (ja) * 2009-08-28 2013-09-04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携帯時計
JP5876316B2 (ja) * 2012-02-07 2016-03-02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携帯機器及び携帯時計
CH707293B1 (fr) 2012-12-18 2017-09-29 Meco Sa Couronne démontable.
JP6057771B2 (ja) * 2013-02-20 2017-01-11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携帯機器及び携帯時計
JP6551662B2 (ja) * 2015-06-12 2019-07-3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押しボタン及び押しボタンを含む電子機器
JP6394563B2 (ja) * 2015-10-21 2018-09-2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および時計
CN106933084A (zh) * 2016-11-07 2017-07-07 东莞市亿丰钟表有限公司 防水智能手表
EP3339966B1 (fr) * 2016-12-23 2020-06-24 Rolex Sa Poussoir pour pièce d'horlogerie
CN110753884B (zh) * 2017-04-18 2022-06-03 天美时集团美国股份有限公司 表冠推动器组件和包括该组件的手腕佩戴式电子设备
US10725429B2 (en) * 2017-05-24 2020-07-28 Omega Sa Timepiece containing a locking device for a pusher
EP3428740B1 (fr) * 2017-07-14 2020-09-02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Soupape de sécurité pour montre
EP3454138B1 (fr) * 2017-09-07 2024-02-21 Montres Breguet S.A. Outil d'actionnement d'un correcteur équipant une montre
EP3454137B1 (fr) * 2017-09-07 2024-03-06 Montres Breguet S.A. Outil d'actionnement d'un correcteur équipant une montre
EP3805871B1 (fr) * 2019-10-09 2024-01-17 Meco S.A. Couronne vissée orientable
EP3828641B1 (fr) * 2019-11-29 2022-07-20 Meco S.A. Couronne-poussoir pour pièce d'horlogerie
CN112984502A (zh) * 2021-01-27 2021-06-18 杭州聚能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微排放煤粉燃烧系统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239783A (fr) * 1942-01-15 1945-11-15 Colomb Henri Poussoir étanche.
CH239240A (fr) * 1943-04-27 1945-09-30 Simon John Poussoir étanche de pièce d'horlogerie.
CH577701B5 (ko) * 1973-05-04 1976-07-15 Nationale Sa
FR2420834A1 (fr) * 1978-03-24 1979-10-19 Suisse Horlogerie Poussoir commutateur pour piece d'horlogerie
CH630771B (fr) * 1979-07-04 Boninchi Sa Organe de commande pour montre etanche.
JPS6042393Y2 (ja) * 1980-01-24 1985-12-26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クオ−ツ腕時計の防水リユウズ装置
CH678138A5 (en) * 1989-04-13 1991-08-15 Screw operated watch pushbutton lock - prevents accidental resetting of watch functions by locking button in non-operating position
CH682199B5 (fr) * 1992-02-07 1994-02-15 Smh Management Services Ag Soupape de sécurité pour pièce d'horlogérie de plongeu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879B1 (ko) * 2011-06-08 2015-07-14 오메가쏘시에떼아노님 시계의 나사식 요소를 배향시키기 위한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55664B1 (fr) 1997-05-02
CH685901B5 (fr) 1996-05-15
TW259852B (ko) 1995-10-11
US5521890A (en) 1996-05-28
DE69402945D1 (de) 1997-06-05
CN1111765A (zh) 1995-11-15
JPH07198863A (ja) 1995-08-01
EP0655664A1 (fr) 1995-05-31
DE69402945T2 (de) 1997-11-20
KR950015013A (ko) 1995-06-16
HK1007808A1 (en) 1999-04-23
CH685901GA3 (fr) 1995-11-15
JP3479132B2 (ja) 2003-12-15
SG88717A1 (en) 2002-05-21
CN1050910C (zh) 2000-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5183B1 (ko) 시계용푸쉬-피이스-크라운
US3362154A (en) Watertight control device, with pushbutton, for timepiece
US4103909A (en) Seal for a drive journal of a ball valve
US3130539A (en) Watch crown seal
CA2014371C (en) Push button particularly for a watch case
CN101470405A (zh) 按钮控制装置
JPS56109067U (ko)
US3389551A (en) Hermetic control device for a watchmaker's movement in a casing
US4967402A (en) Sealed watchcase
US1910908A (en) Watchcase
US4440505A (en) Watchcase having a thin appearance when being worn
DE3666985D1 (en) Watch case at least partially made of a hard material
US4346464A (en) Control member for a water-tight watch
US4408901A (en) Miniature pushbutton
US3525211A (en) Control device for timepiece mechanism
US3994125A (en) Winding time-setting push-button assembly for a watch
CH657495GA3 (ko)
US4118923A (en) Push-button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US4831607A (en) Watch case with glass-to-metal seal
US3418800A (en) Crowns comprising push-button inside of them
US3146580A (en) Winding stem for time-pieces
EP0390243A3 (en) Mechanical face seals
US2851244A (en) Valve seat construction for faucets or the like
US3792576A (en) Watertight watch
US4218601A (en) Pushbutt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