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5104B1 - 잉크 프린터와 레이저 빔을 이용한 영화 자막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잉크 프린터와 레이저 빔을 이용한 영화 자막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5104B1
KR100355104B1 KR1020000045186A KR20000045186A KR100355104B1 KR 100355104 B1 KR100355104 B1 KR 100355104B1 KR 1020000045186 A KR1020000045186 A KR 1020000045186A KR 20000045186 A KR20000045186 A KR 20000045186A KR 100355104 B1 KR100355104 B1 KR 100355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caption
laser beam
subtitles
ink pri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5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0185A (ko
Inventor
김주평
Original Assignee
김주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평 filed Critical 김주평
Priority to KR1020000045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5104B1/ko
Publication of KR20010000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0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5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51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6Projecting separately subsidiary matter simultaneously with main im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4Structure thereof only for on-demand ink jet heads
    • B41J2/14016Structure of bubble jet print heads
    • B41J2/14088Structure of heating means
    • B41J2/14104Laser or electron beam heating the 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H04N7/087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 H04N7/08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the inserted signal being digital
    • H04N7/0882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the inserted signal being digital for the transmission of character code signals, e.g. for teletex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Dot-Matrix Printers And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잉크 프린터와 레이저 빔을 이용한 영화 자막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영화 필름에 자막을 형성함에 있어서, 레이저 빔의 주사 단계에 앞서서 잉크 프린터를 이용하여 자막을 필름에 인쇄하고, 상기 잉크 프린터에 의하여 형성된 자막에 외곽선이 남도록 레이저 빔을 주사하여 자막이 외곽선 글꼴의 형태로 형성되게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잉크 프린터와 레이저 빔을 이용한 영화 자막 형성 방법 {method of shaking a movie film caption using ink printer and lazer beam}
본 발명은 영화 필름에 자막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방법으로 불가능하였던 자막 형성 방법, 즉 흰색 바탕의 필름에는 자막을 형성할 수 없었던 제작상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영화 필름의 흰색 바탕에도 선명한 자막을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는 잉크 프린터와 레이저 빔을 이용한 영화 필름 자막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내에 수입되어 상영되는 외국 영화는 원어로 음성을 출력하면서 음성을 번역한 문자로 되는 자막을 필름에 영상화하고 있다.
영화 필름에 자막을 형성하기 위한 종래의 일반적인 방법은 번역된 문자를 요철로 형성한 동판을 제작하고, 필름에는 자막이 형성될 위치를 분필 등을 이용하여 표시한 다음 프레스를 이용하여 상기 동판을 필름 표면에 압착시킴으로써 자막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동판은 통상적으로 한편의 영화에 수백개가 제작되어야 한다.
또한 각각의 작업 단계가 수작업으로 진행되어 작업 시간이 길고 비능률적이며, 하나의 자막이 형성된 동판이 수백 커트의 필름에 연속적으로 인쇄됨으로서 수작업으로 프레스에 놓여지는 동판의 위치가 연속적으로 미세하게 변경되어 자막의 떨림 현상이 발생하고 기계적인 접촉에 의하여 필름이 손상되는 경우도 많다.
영화 필름에 손상을 주지 않고 선명한 자막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레이저 빔을 이용할 수 있다.
레이저빔을 이용하여 영화 필름에 자막을 형성하는 방법의 일례로 실용신안공고 1991-5069 '레이저 비임을 이용한 영화 자막용 글씨 조각 장치' 특허공개 1998-66397 '영화자막 처리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렇게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자막을 형성할 경우에도 필름의 배경이 흰색일 경우에는 영화 필름 자체가 투명하기 때문에 필름 표면의 제라틴 막을 증발시켜도 필름 표면에 형성된 영화 자막이 육안으로 식별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도 1a 및 도 1b는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자막을 형성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a는 필름(1)이 어두운 바탕색(2)일 경우에 레이저 빔에 의한 자막이 형성된 예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와 같이 바탕색(2)이 검정색이거나 어두운 색일 경우에는 레이저 빔에 의하여 형성되는 자막이 비교적 선명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도 1b와 같이 필름(1a)의 바탕색(2a)이 흰색이거나 흐린색일 경우에는 자막이 식별하기 어려울 정도로 흐리게 나타나거나 아예 나타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잉크 프린터와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영화 자막을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레이저는 고도로 농축된 에너지이기 때문에 알려진 바와 같이 렌즈를 이용하여 레이저 빛을 한 점에 모으면 그 초점 부분의 필름은 투명한 필름 원판을제외한 다른 것들은 증발하게 됨으로서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영화 필름에 자막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영화 필름에 자막을 넣는 방법에 있어서 기존 방식으로는 불가능한 흰색 바탕에 선명한 자막을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은 우선 잉크 프린터 원리를 이용하여 자막을 일차적으로 넣은 후 동일한 자막을 레이저로 다시 한번 넣어주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 경우 잉크 프린터 원리를 이용한 자막은 자막의 선 굵기가 통상 레이저에 의한 자막의 선 굵기에 비하여 굵기 때문에 잉크 프린터 원리를 이용한 자막 속에 레이저에 의한 동일한 자막이 생성되며, 내부는 레이저에 의하여 증발되어 없어지므로 흰색 자막이 되고, 외부에는 잉크 프린터의 잉크 색깔을 갖는 외곽선 글자 형태의 자막이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방식을 사용하여 자막을 넣은 경우 필름 배경의 상태와는 무관하게 선명한 자막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영화 필름에 자막을 넣는 방법으로서 레이저 빔을 이용한 비접촉 방식을 채택하여 자막 삽입 과정 중 필름에 손상을 주지 않고 효과적으로 자막을 넣을 수 있어서 영화 배경 상태에 관계없이 선명한 자막을 넣을 수 있게 됨으로서 기존 방식에 의한 자막 삽입이 문제였던 영화 감상 시 배경에 따른 자막의 선명도가 바뀌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기 때문에 영화 자막의 질적 향상을 추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잉크 프린터 원리와 레이저 빔을 이용한 자막 방식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컴퓨터를 이용한 자동 제어 방식이 필수적이다. 잉크 프린터 원리는 쉽게적용할 수 있고,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잉크 프린팅이 된 자막 위에 정확히 동일한 자막을 생성시키는 방식이 중요한 기술적 과제이나, 이것도 컴퓨터를 이용한 제어를 이용함으로써 해결 가능하다.
도 1a는 종래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어두운 바탕에 자막을 형성한 일례의 필름 표면도
도 1b는 종래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흐린 바탕에 자막을 형성한 일례의 필름 표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써 잉크 프린터를 이용하여 어두운 바탕에 자막을 형성한 일례의 필름 표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써 잉크 프린터를 이용하여 흐린 바탕에 자막을 형성한 일례의 필름 표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잉크 프린팅된 자막을 나타낸 도면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써 잉크 프린팅된 자막에 레이저 빔으로 형성된 자막을 나타낸 도면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써 잉크 프린팅과 자막에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어두운 바탕에 자막을 형성한 일례의 필름 표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써 잉크 프린팅된 자막에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흐린 바탕에 자막을 형성한 일례의 필름 표면도
도 5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도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막 형성 방법은,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영화 필름에 자막을 형성함에 있어서, 레이저 빔의 주사 단계에 앞서서 잉크 프린터를 이용하여 자막을 필요로 하는 부위에 자막을 인쇄하고, 상기 잉크 프린터에 의하여 형성된 자막에 외곽선이 남도록 레이저 빔을 주사하여 자막이 외곽선 글꼴의 형태로 형성되게 하는 것을 기술적인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레이저 빔이 고도로 농축된 에너지이기 때문에 렌즈를 이용하여 레이저 빔을 한 점에 모으면 그 초점 부분의 필름은 투명한 필름 원판을 제외한 다른 것들은 증발하게 되므로 선행하여 잉크 프린팅된 자막에 외곽선이 기획되어 필름 배경의 명암에 관계없이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영화 필름에 자막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레이저 빔을 이용한 영화 자막 방식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레이저 빔을 제어하고, 또한 자막을 필요로 하는 영화 필름을 자동으로 이송시키면서 원하는 위치에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자막을 넣기 때문에 필름과 레이저 자막 장비는 기계적으로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자막 작업 중 필름에 기계적인 손상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필름의 손상 가능성이 없다. 또한 컴퓨터에 의하여 제어되므로 자막용 글자를 임의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어서 특정 자막을 강조할 수 있다.
이렇게 레이저로 자막을 형성하면서 레이저의 출력 및 파장 등 레이저의 특성이 정확하지 않으면 필름에 열적 손상을 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열적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레이저 출력, 파장, Q-스위칭(switching) 특성 등 제반 사항을 정확히 일치시켜야 한다.
레이저 빔을 이용할 경우 영화 필름에 자막을 생성시킬 수는 있으나, 배경이 흰색일 경우에는 영화 필름 자체가 투명하기 때문에 영화 자막이 필름 표면에 생성되지 않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잉크 프린터 원리를 이용하여 우선 잉크 프린터로 영화 필름 표면에 자막을 생성한 후 동일한 위치에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자막을 다시 생성시킬 경우 레이저 빔의 폭에 의한 선의 굵기가 잉크 프린터에 의한 선의 굵기보다 가늘기 때문에 레이저에 의한 자막이 잉크 자막 사이에 있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영화 필름에 남는 잉크 자막은 글자 가운데가 투명한 외곽선 글자 형태의 자막이 된다. 또한 사용하는 잉크의 종류를 바꿈에 따라 자막의 색깔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이렇게 생성된 자막은 영화 필름의 배경 상태에 관계없이 선명하게 보인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영화 필름에 자막을 넣는 방식은 기존 방식에 비하여 영화 배경에 관계없이 선명한 자막을 넣을 수 있게 됨으로서 영화 감상 시 배경에 따른 자막의 선명도가 바뀌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기 때문에 영화 자막의 질적 향상을 기할 수 있다.
상기 자막 형성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는 영화 필름에 레이저 자막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로서 한쪽은 필름이 풀릴 수 있도록 감겨있고 다른 한쪽은 필름이 감겨질 수 있도록 필름이 권취되는 한쌍의 필름롤과; 상기 필름롤 사이에 설치되어필름을 이송시키기 위한 필름이송장치와; 상기 필름이송장치에 의하여 이송되는 필름에 자막을 형성하기 위한 자막기 제어용 컴퓨터를 구비하는 레이저자막장치를 구비하는 영화 필름 자막 형성 장치를 형성함에 있어서, 레이저 자막 장치에 앞서서 잉크 프린터 자막 장치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자막기 제어용 컴퓨터는 종래 레이저 자막을 제어하기 위한 공지된 구성으로부터 잉크 프린터 자막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을 더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시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을 수행하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필름(10)은 한쌍의 필름롤(11)(1a)에 권취되어 있고, 상기 필름롤(11)(11a) 사이에는 필름 이송 장치(12)가 설치되어 한쪽의 필름롤(11)로부터 다른 한쪽의 필름롤(11a)로 필름(10)을 이송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필름 이송 장치(12)에 의하여 이송되는 필름(10)의 상부에는 자막을 형성하기 위한 잉크 프린터 자막 장치(13)와 레이저 자막 장치(14)가 설치되어 있다.
잉크 프린터 자막 장치(13)는 잉크젯, 버블젯 방식 등의 프린팅 수단을 포함하며, 레이저 자막 장치(14)에 앞서서 필름롤(11)에 가깝게 우선적으로 설치된다.
잉크 프린터 자막 장치(13)와 레이저 자막 장치(14)는 자막기 제어용 컴퓨터(15)에 의하여 제어된다.
필름롤(11)(11a), 필름 이송 장치(12), 레이저 자막 장치(14), 자막기 제어용 컴퓨터(15)는 공지된 장치로부터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장치는 잉크 프린터 자막 장치(13)와 상기 잉크 프린터 자막 장치(13)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기능을 자막기 제어용 컴퓨터(15)에 부가하여 구현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필름롤(11)에 권취되어 있는 필름(10)이 필름 이송장치(12)에 의하여 이송되어 다른 한편의 필름롤(11a)에 권취되는 과정에서 자막기 제어용 컴퓨터(15)에 의하여 의도하는 자막이 형성된다.
자막이 형성되는 과정은 먼저 잉크 프린터 자막 장치(13)에 의하여 자막이 형성될 필름에 잉크 분사에 의한 자막이 형성된다.
도 2a 및 도 2b는 잉크 프린터 원리를 이용한 자막을 넣은 경우의 필름 표면도를 나타내고 있는데, 잉크의 특성 상 레이저 빔에 의한 자막과 같이 필름(100)이 어두운 바탕색(101)일 경우에는 자막이 식별하기 어려울 정도로 흐리게 나타나거나 아예 나타나지 않게 되고, 필름(100a)의 바탕색(101a)이 투명하거나 흰색이거나 흐린 색일 경우에는 비교적 선명하게 나타난다.
상기한 잉크 프린팅에 의한 자막은 레이저 자막 장치(14)를 통과하면서 선명한 윤곽선으로 나타나는 자막으로 형성된다.
도 3a는 잉크 프린팅이 된 자막을 나타내고 있고, 도 3b는 잉크 프린팅 후 레이저 빔으로 윤곽선이 기획된 자막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외곽선 자막은 잉크 프린팅을 한 다음 레이저 빔을 굵기를 잉크 자막의 굵기 보다 가늘게 하여 잉크 자막 내부에 투사하면 필름 표면의 잉크와 제라틴 막을 순간적으로 증발시켜서 잉크 자막 보다 작은 크기의 레이저 자막이 잉크 자막 속에 형성됨으로써 형성된다.
이러한 외곽선 자막은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필름(200)이 어두운바탕색(201)일 경우에는 레이저 만으로 형성된 자막과 같이 선명하게 나타나고,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필름(200a)의 바탕색(201a)이 투명하거나 흰색이거나 흐린 색일 경우에도 외곽선에 의하여 자막이 선명하게 나타난다.
본 발명은 통상적인 영화 필름 자막기에 비하여 자동화가 가능하고, 소량의 영화 필름에도 빠르고 경제적으로 선명한 자막을 넣을 수 있다. 또한 자막에 사용되는 글자 및 색깔을 상황과 분위기에 따라서 다양하게 바꿀 수 있어서 영화 감상시 훨씬 선명하고 다양한 자막을 통하여 영화를 감상할 수 있으므로 그만큼 영화의 감동이 커질 수 있고 관객의 시력을 보호할 수 있다.

Claims (1)

  1.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영화 필름에 자막을 형성함에 있어서, 레이저 빔의 주사 단계에 앞서서 잉크 프린터를 이용하여 자막을 필요로 하는 부위에 자막을 인쇄하고, 상기 잉크 프린터에 의하여 형성된 자막이 외곽선이 남도록 레이저 빔을 주사하여 자막이 외곽선 글꼴의 형태로 형성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프린터와 레이저 빔을 이용한 영화 자막 형성 방법.
KR1020000045186A 2000-08-04 2000-08-04 잉크 프린터와 레이저 빔을 이용한 영화 자막 형성 방법 KR100355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5186A KR100355104B1 (ko) 2000-08-04 2000-08-04 잉크 프린터와 레이저 빔을 이용한 영화 자막 형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5186A KR100355104B1 (ko) 2000-08-04 2000-08-04 잉크 프린터와 레이저 빔을 이용한 영화 자막 형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185A KR20010000185A (ko) 2001-01-05
KR100355104B1 true KR100355104B1 (ko) 2002-10-11

Family

ID=19681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5186A KR100355104B1 (ko) 2000-08-04 2000-08-04 잉크 프린터와 레이저 빔을 이용한 영화 자막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51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823B1 (ko) * 2004-02-02 2007-04-23 중 순 박 조립식 계단 마감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3097Y1 (ko) * 1987-12-28 1991-05-10 삼성전자 주식회사 모니터의 시험기기장치
JPH07239498A (ja) * 1994-02-28 1995-09-12 Konica Corp 立体写真用レンズ付きフィルムユニット及び立体写真用カメラ、並びに立体写真用焼き付け方法
JPH10268406A (ja) * 1997-03-26 1998-10-09 Fuji Photo Film Co Ltd カメラ,プリント方法及びプリント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3097Y1 (ko) * 1987-12-28 1991-05-10 삼성전자 주식회사 모니터의 시험기기장치
JPH07239498A (ja) * 1994-02-28 1995-09-12 Konica Corp 立体写真用レンズ付きフィルムユニット及び立体写真用カメラ、並びに立体写真用焼き付け方法
JPH10268406A (ja) * 1997-03-26 1998-10-09 Fuji Photo Film Co Ltd カメラ,プリント方法及びプリント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185A (ko) 200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varsson A short technical history of subtitles in Europe
EP2692518A1 (en) Method of half-cut cutout processing of label paper
GB2036369A (en) Sub-titling Cinematograph Films
DE69940688D1 (de) Bildverarbeitung
EP0343443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Thermokopie
EP2801478A1 (en) Label paper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KR100355104B1 (ko) 잉크 프린터와 레이저 빔을 이용한 영화 자막 형성 방법
EP0938059A3 (en) Form overlay printing
KR920011211A (ko) 출력 방법 및 장치
ZA965308B (en) Process for imaging image points of a video picture and associated apparatus
US5966506A (en) Method for printing electronically sharpened images
ITRM980042A1 (it) Prodedimento per la produzione di un'immaggine da un originale trasparente
US291558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essing
DE3010880C2 (de) Rasterumsetzungsverfahren zum Gravieren von Druckformen
JP4801430B2 (ja) 感熱性孔版原紙の穿孔方法
JP2000244735A (ja) 電子黒板
EP0477441A1 (en) A method for forming plate characters in a half-tone gravure platemaking process
US20220388093A1 (en) Warm-up target for a laser engraver
TW351796B (en) Photo identification apparatus by employing light cutting method
JPH09224121A (ja) 動画用紙及び自動読取装置
KR910005069Y1 (ko) 레이저 비임을 이용한 영화 자막용 글씨 조각장치
JP2022067235A (ja) 画像処理装置
EP0187156B1 (fr) Procede de transfert d'informations du recto au verso d'un document et dispositif de mise en oeuvre du procede
US6236426B1 (en) Apparatus for laser marking indicia on a photosensitive web
US6249308B1 (en) Method of controlling peak power of a radiant energy emit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