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4575B1 - 연마포용 기재 - Google Patents

연마포용 기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4575B1
KR100354575B1 KR1020000024779A KR20000024779A KR100354575B1 KR 100354575 B1 KR100354575 B1 KR 100354575B1 KR 1020000024779 A KR1020000024779 A KR 1020000024779A KR 20000024779 A KR20000024779 A KR 20000024779A KR 100354575 B1 KR100354575 B1 KR 100354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fabric
woven
yarns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4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3354A (ko
Inventor
이병원
Original Assignee
고려연마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연마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고려연마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24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4575B1/ko
Publication of KR20010103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3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4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4575B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마포의 구성요소인 기재, 접착제, 연마재중 기재의 직물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직물을 구성하고 있는 경사, 위사의 화학성분과 실의 종류를 달리한 소재로 선택 사용함으로서 종전의 화학성분과 실의 종류가 동일한 기재인 화학섬유 직물의 문제점인 신장율(신율)과 접착강력을 향상시키고 또한 면직물 및 합성섬유 직물의 경우는 인장력을 증대하여 연마포에 적합한 물성과 효과를 가진 기재의 직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마포용 기재 {Backing material for abrasive}
본 발명은 연마포용 기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마재가 접착제로 접착되는 연마포용 기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기재인 직물을 구성하고 있는 경사, 위사의 화학성분과 실의 종류를 다르게 소재를 선택하여 연마포를 제조하는 것이다.
종래, 연마포를 제조할 때 기재인 직물의 역할이 연마재를 지지하고 연마포에 원하는 물리적 특성과 효과 등에 많은 영향을 가져다 주면서도 이 직물에 있어 경사, 위사의 화학성분 또는 실 종류를 동일하게 한가지로만 재직된 것을 사용하고 있다.
그 예를 들면 화학성분은 혼방섬유사와 실의 종류는 OE방적사(Open-end yarns), RING방적사로 한정되어 사용되어져 왔다. 이렇게 제직된 직물은 화학성분 또는 실의 종류 때문에 연마포를 제조하였을 경우 면직물은 인장력이 저하될 뿐만아니라 처리약품의 선택에 문제가 있고, 혼방섬유 직물인 경우는 인장력 저하와 접착강력의 문제가 있으며, 화학섬유 직물의 경우 높은 신장율(신율)과 접착강력의 문제점으로 자주 대두되고 있다.
또한 종래, 연마포의 직물은 경사와 위사의 화학성분이 면섬유사, 혼방섬유사, 화학섬유사이고, 실의 종류는 꼬임의 방법에 따라 OE방적사, RING방적사로 제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제직되고 이용하고 있는 연마포용 기재의 직물 구성인 경사, 위사의 화학성분을 변경하고 실의 종류도 변경함으로서 연마포의 적합한 물리적 특성과 효과를 가진 기재의 직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연마포의 구조도
도2는 직물의 구조도
도1은 연마포의 구성을 보인 것으로, 후면(2)이 첩부된 기재(1)상에 접착제(3)로 연마재(4)가 접착된 것을 보이고 있다.
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재(1)의 직물을 구성하고 있는 경사(6), 위사(5)를 화학성분으로는 면섬유사와 화학섬유사를 사용하거나 면과 혼방섬유사, 혼방섬유사와 화학섬유사를 사용하고, 실의 종류는 OE방적사와 RING방적사, OE방적사와 필라멘트사, MJS방적사(OE방적사와 RING방적사의 중간의 물성을 가지는 실)와 RING방적사, MJS방적사와 필라멘트사를 사용하여 원사(단사)의 문제점을 상호 보완하여 연마포용 기재로 사용코자 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직물을구성하고 있는 경사(6), 위사(5)가 연사(합사)일 경우에 큰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으로 제직된 연마포용 기재인 직물로 연마포를 제조하여 물성을 평가한 결과는 실시예와 같이 실험조건에서 자세히 알 수 있다.
<실험조건>
연마재의 경우는 Al2O336메쉬(즉 Al2O3P36, Average particle size of 525㎛)을 이용하고 연마재 부착량은 1440g/㎡으로 하였다. 접착제의 경우는 Phenol Resin를 사용하였고 고형분이 70%, 점도가 2000cps/25℃의 특성을 가지는 수지이다.
접착제의 건조 및 경화조건은 70℃∼130℃, 10시간으로 하다.
인장강도 측정은 길이 12.5cm×폭 2.54cm로 하여 인장력 측정기 (UTM = Universial test machine, Load Cell 500kgf)에서 50mm/min 속도로 실험하였다.
접착강력 측정은 길이 20cm ×폭 10cm의 연마포를 서로 붙여서 T형 박리틀(T-PEEL) 실험을 하며 UTM(Load Cell 500kgf)에서 50mm/min 속도로 실험하였다.
직물의 조직은 1/4 경주자직(WARP SATIN : 표면에 경사가 많이 떠 있는 주자직)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연마포용 기재중 100% 면으로 제직된 직물을 보완하기 위해서 아래와 같이경사(6), 위사(5)를 혼용하여 실험한 결과이다.
연마포용 기재인 면직물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경사(6), 위사(5)의 화학성분으로는 Polyester/ Cotton사, PE방적사 등을 달리하고, 실의 종류를 OE방적사, RING방적사 등을 달리해서 연사하여 직물을 직조 후 연마제품을 제조하면 인장력이 예1, 예2, 예3, 예4에서 뚜렷하게 증가되었고, 접착강력도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실시예 2>
연마포용 기재중 혼방섬유사로 제직된 직물을 보완하기 위해서 아래와 같이 경사(6), 위사(5)를 혼용하여 실험한 결과이다.
연마포 기재중 하나인 혼방섬유사로 제직된 직물의 문제점인 인장강도 저하와 접착강력을 보완하기 위해서 원사의 종류를 혼합하고 원사를 구성하는 서로 다른 2종의 화학성분을 연사하여 제직된 직물의 경우 예6과 예7에서 인장강도가 개선되며 예6의 경우는 접착강력까지 개선되고 있으나 예7의 경우는 인장강도만 개선되고 접착강력은 크게 개선되지 않고, 신장율이 많이 증가되고 있다.
<실시예 3>
화학섬유는 원사를 방적하는 방식에 따라서 RING방적사와 필라멘트사로 나뉜다. 필라멘트사의 경우 장력은 높으나 신장율과 접착강력의 문제로 제품화에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실의 성분과 종류를 달리하여 실험한 내용을 실시예 3에 표시하였다. 여기서 필라멘트는 실의 굵기를 D(Deiner)로 표기 하였다.
상기의 실험결과에 의하면 종전 조직보다 신장율(신율)의 개선이 뚜렷하게 나타나며 접착강력 역시 뚜렷하게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연마포용 기재인 직물을 구성하고 있는 경사(6), 위사(5)의 화학성분과 실 종류가 동일하게 구성하는 것과는 달리 화학성분과 실의 종류를 사용용도에 따른 적합한 연마포의 직물을 선택하여 연마제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의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6)

  1. 연마포용 직물로 제직된 연마포용 기재에 있어서, 직물을 구성하고 있는 원사의 성분이 종류에 따라 면섬유사, 금속섬유사, 합성섬유사, 혼방섬유사 등이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고 원사의 종류가 평형사, OE방적사, RING방적사, MJS방적사, 필라멘트사 등의 원사가 서로 다른 종류로 단사 또는 그 이상의 합사로 직조된 연마포용 직물의 기재.
  2. 제1항에 있어서, 기재인 직물의 경사, 위사 모두가 호부제를 첨가하지 않거나 호부제를 첨가해서 직조된 연마포용 직물의 기재.
  3. 제1항에 있어서, 정면, 표백, 모소공정을 거치거나 공정을 거치지 않은 연마포용 직물의 기재.
  4. 제1항에 있어서, 연사의 범위에 있어서 연사를 구성하고 있는 원사 실의 굵기가 5S에서 60S까지 단사 또는 그 이상의 합사로 제직된 연마포용 직물의 기재.
  5. 제1항에 있어서, 연사의 범위에 있어서 연사를 구성하고 있는 원사 실의 굵기가 1000D에서 100D까지 단사 또는 그 이상의 합사로 제직된 연마포용 직물의 기재.
  6. 제1항에 있어서, 직물의 조직이 평직, 능직, 주자직으로 직조된 연마포용 직물의 기재.
KR1020000024779A 2000-05-09 2000-05-09 연마포용 기재 KR100354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4779A KR100354575B1 (ko) 2000-05-09 2000-05-09 연마포용 기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4779A KR100354575B1 (ko) 2000-05-09 2000-05-09 연마포용 기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3354A KR20010103354A (ko) 2001-11-23
KR100354575B1 true KR100354575B1 (ko) 2002-09-30

Family

ID=45794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4779A KR100354575B1 (ko) 2000-05-09 2000-05-09 연마포용 기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45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407B1 (ko) 2006-11-22 2007-05-11 주식회사 광명연마 Mdf 연마디스크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1885B1 (ko) * 2002-05-31 2006-01-10 주움텍스타일 주식회사 위주자직형 연마포용 기재
KR100719026B1 (ko) * 2005-11-10 2007-05-16 주식회사 광명연마 화이버 디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100749049B1 (ko) * 2006-03-21 2007-08-14 주식회사 썬텍인더스트리 연마 디스크용 백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72507B1 (ko) * 2007-02-28 2008-12-08 주식회사 썬텍인더스트리 연마 디스크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407B1 (ko) 2006-11-22 2007-05-11 주식회사 광명연마 Mdf 연마디스크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3354A (ko) 2001-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19775A (ko) 별개의 탄성사 시스템을 갖는 신장성 직조물
ITMI991332A1 (it) Processo per la fabbricazione di un articolo tessile in puro cashmere
KR100354575B1 (ko) 연마포용 기재
CN101688339B (zh) 弹性中间衬料及其制造方法和应用
KR100421705B1 (ko) 연마포용 직물기재
KR20200059289A (ko) 라이오셀 필라멘트 안감 직물
US10815591B2 (en) High thread/ yarn count woven textile fabric and process of preparation thereof
JP7289648B2 (ja) 耐摩耗性接着テープ
JP4362765B2 (ja) 光沢感の解消されたフルダル調高密度織物
US20040028873A1 (en) Flocked fabric
JP4147450B2 (ja) ナイロンマルチフィラメント高密度織物の製造方法及びその織物
CN108603333A (zh) 尤其用于将纺织材料染色或更新其中的颜色的释放颜色的产品
KR100378460B1 (ko) 초광폭 연마포용 직물기재
JP2003183948A (ja) 高密度織物のウオータージェットルームによる製造方法及びその織物
KR100541885B1 (ko) 위주자직형 연마포용 기재
KR200406489Y1 (ko) 금분이 함유된 염색섬유사를 경사로 포함하는 직물
US20030073361A1 (en) Process to manufacture novel abrasive belt substrate
KR20010010572A (ko) 연마포용 직물기재
US20210040656A1 (en) High thread/ yarn count woven textile fabric and process of preparation thereof
Ruppenicker et al. Cotton fabrics produced with twistless wrap spun yarns
KR100421704B1 (ko) 유연성 기능을 갖는 연마포용 직물기재
RU38171U1 (ru) Тканая основа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столовой клеенки и искусственной кожи
JP2653845B2 (ja) ナイロン6織物の製造方法
US20040116021A1 (en) Flocked fabric
JP4131382B2 (ja) 高密度織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