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9289A - 라이오셀 필라멘트 안감 직물 - Google Patents

라이오셀 필라멘트 안감 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9289A
KR20200059289A KR1020207012690A KR20207012690A KR20200059289A KR 20200059289 A KR20200059289 A KR 20200059289A KR 1020207012690 A KR1020207012690 A KR 1020207012690A KR 20207012690 A KR20207012690 A KR 20207012690A KR 20200059289 A KR20200059289 A KR 20200059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ing fabric
fabric
yarn
lining
lyoce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2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함마트 아부-로우스
수산네 칼스
디에터 아힌게르
마르틴 네운테우펠
크리스토프 슈렘프
Original Assignee
렌징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렌징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렌징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to KR1020227015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5079A/ko
Publication of KR20200059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9289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08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cellulose-based
    • D03D15/225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cellulose-based artificial, e.g. viscos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08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cellulose-based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2/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Manufacture thereof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73Tensile strength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3/00Speci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terial treated
    • D06P3/58Material containing hydroxyl groups
    • D06P3/60Natural or regenerated cellulose
    • D06P3/66Natural or regenerated cellulose using reactive dy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2J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20Wove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01/00Cellulose-based fibres, e.g. vegetable fibres
    • D10B2201/20Cellulose-derived artificial fibres
    • D10B2201/22Cellulose-derived artificial fibres made from cellulose solution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Coloring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용품(1)을 위한 안감 직물(3)에 관한 것이다. 우수한 착용 편안함을 보장하도록 흡습성이고, 가정용 세탁기에서 세탁이 가능하도록 충분한 치수적 안정성을 갖는, 안감 직물(3)을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안감 직물(3)은 라이오셀 필라멘트(7)를 함유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얀(6)에서 제조된다. 라이오셀 필라멘트(7)는 1.5 dtex 미만, 바람직하게는 1.4 dtex 미만 및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3 dtex 미만의 평균 선형 밀도를 갖는다. 5회 세탁 후 세탁 수축률은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수직 방향 각각에서 바람직하게는 4% 미만이다.

Description

라이오셀 필라멘트 안감 직물
본 발명은 안감 직물(lining fabric), 및 안감 직물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지는 안감을 갖는 의류 및 의류용품에 관한 것이다.
안감 직물은 주로 겉옷에서 사용되며, 착용자에 닿는 의류용품의 층을 형성한다. 용이한 착의 및 탈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안감 직물은 안감 직물과 의류의 하부층 또는 착용자의 몸 사이에 가능한 적은 마찰이 있도록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다.
종래 기술에서, 천연 필라멘트, 예컨대, 실크 필라멘트 또는 비스코스(viscose), 큐프로(cupro) 또는 아세테이트 필라멘트가 안감 직물을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유형의 필라멘트는 안감 직물을 위한 매끄러운 표면을 제공한다. 게다가, 이들은 편안함을 증가시키기에 충분한 흡습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실크, 비스코스, 큐프로 또는 아세테이트 필라멘트는 이러한 필라멘트로 제조된 직물이 가정에서 이용 가능한 일반 세탁기를 사용하여 세탁되는 경우 치수적으로 안정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필라멘트로 제조된 안감 직물은 1회 세탁 후에도 상당한 수축률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러한 필라멘트로 제조된 직물 안감을 갖는 의류용품은 드라이-클리닝되어야 한다. 이는 소비자에게 부담이 된다.
치수적 안정성은 합성 폴리머, 예컨대,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에스테르의 필라멘트로 제조된 안감 직물에 의해 유지된다. 그러나, 이러한 폴리머는 매우 적은 흡습성만을 갖고, 그에 따라서 착용하기 편하지 않다.
상기 문제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평활도 및 유연도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하여 고품질 표준을 만족시키고, 일반 가정용 세탁기에서 세탁되도록 충분한 치수적 안정성을 나타내는 직물 안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착용 편안함이 높아야 한다.
이러한 문제는 얀(yarn)을 함유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층을 갖는 안감 직물으로서, 얀이 라이오셀 필라멘트를 함유하거나 이로 이루어지고, 라이오셀 필라멘트가 컨디셔닝 상태에서 0.6 내지 4 dtex의 평균 선형 밀도를 갖는, 안감 직물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해결된다.
그러한 미세 라이오셀 필라멘트로 제조된 얀은, 흡습성이고 그에 따라 우수한 편안함을 제공하는 안감 직물을 야기한다. 놀랍게도, 그러한 미세 라이오셀 필라멘트를 사용함으로써 안감 직물은 일반 가정용 세탁기에서 여러 번 세탁되는 경우에도 치수적으로 안정한 것으로 밝혀졌다.
라이오셀 필라멘트를 사용하는 것은 다른 인조 셀룰로오스 필라멘트에 비해 및 셀룰로오스 용매가 공정 내에서 재순환되므로 제조 공정이 친환경적인 합성 폴리머에 비해 추가 이점을 제공한다.
라이오셀 필라멘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US 4,246,221호에서 및 BISFA(인조 섬유 표준화 국제 협회(The International Bureau for the Standardization of Man-Made Fibers)) 간행물["Terminology of Man-Made Fibres", 2009 edition]에 설명되어 있다. 두 참조문헌 모두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항에서 사용된 용어는 BISFA 간행물에 정의된 바와 같다.
또한, 셀룰로오스 필라멘트 얀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WO 02/18682 A1호 및 WO 02/72929 A1호가 참조되며, 이들은 또한 전체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안감 직물은, 한 가지 구체예에 따르면, 두 개의 수직 방향 중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둘 모두에서 3.5 % 미만의 5회 세탁 후 세탁 수축률을 가질 수 있다. 1회 세탁 후 수축률은 두 개의 수직 방향 중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둘 모두의 수직 방향에서 2% 이하일 수 있다. 수축률은 바람직하게는 안감 직물의 샘플의 컨디셔닝 상태에서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안감 직물이 직조되고, 두 개의 수직 방향은 각각 위사 및 경사의 방향으로 정렬된다. 세탁 수축률은 추가로 EN ISO 3759에 따라 제조된 샘플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표준은 전체가 참조로 포함된다. 또한, 세탁은 표준 EN ISO 6330을 따를 수 있다. 이러한 표준은 또한 전체가 참조로 포함된다.
수직 방향에서 샘플의 세탁 수축률의 절대 값을 더함으로써 얻어지는, 5회 세탁 후 합한 세탁 수축률은 10% 이하, 특히, 7% 이하일 수 있다. 더욱이, 3% 이하, 바람직하게는 2% 이하의 1회 세탁 후 합한 세탁 수축률이 본 발명에 따른 안감 직물으로 얻어질 수 있다.
직물 안감이 하나 초과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라이오셀 필라멘트로 이루어지거나 이를 포함하는 얀은 착용자와 접촉되는 층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직조 직물(woven fabric) 안감에서, 경사 및 위사 중 적어도 하나는 직물 안감의 층 전체에 걸쳐 동일한 얀으로 구성된다. 즉, 경사 또는 위사는 0.6 내지 4 dtex,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7 dtex, 특히 0.8 내지 1.5 dtex의 선형 밀도를 갖는 라이오셀 필라멘트로 이루어지거나 이를 함유한다.
경사 얀 및 위사 얀 중 하나는 경사 얀 및 위사 얀의 각각의 다른 하나보다 작은 선형 밀도를 갖는 라이오셀 필라멘트를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위사 얀은 경사 얀의 라이오셀 필라멘트보다 작은 선형 밀도를 갖는 라이오셀 필라멘트를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다. 평균 선형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얀에서 모든 라이오셀 필라멘트에 대하여 결정된다.
예비 시험은 라이오셀 섬유로 제조된 링얀(ring yarn)의 사용이 훨씬 더 낮은 세탁 수축률을 야기할 수 있다는 것을 지시하였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안감 직물의 적어도 하나의 층에서 얀,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얀은 30 내지 100 개,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 개의 라이오셀 필라멘트를 함유하거나 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얀의 선형 밀도는 30 내지 200 dtex,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50 dtex일 수 있다.
강도는 직물 안감에 대한 또 다른 품질 기준이다. 높은 강도 또는 높은 강인도(tenacity)를 갖는 안감 직물은 쉽게 찢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컨디셔닝 상태에서 라이오셀 필라멘트는 적어도 32 cN/tex,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8 cN/tex의 평균 건조 강인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건조 강인도에 대한 상한치는 45 cN/tex, 바람직하게는 40 cN/tex일 수 있다. 평균 건조 강인도는 바람직하게는 얀에서 모든 필라멘트에 걸쳐 결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안감 직물의 충분한 내구성을 갖기 위해, 추가로, 컨디셔닝 상태에서 얀의 라이오셀 필라멘트의 평균 파단시 건조 연신률은 적어도 6%인 것이 바람직하다. 컨디셔닝 상태에서 평균 파단시 건조 연신률은 6% 내지 8%의 범위일 수 있다. 평균 건조 연신률은 바람직하게는 얀에서 모든 필라멘트를 사용하여 결정된다.
안감 직물은 염색, 특히, 제트-염색되거나 냉패드 염색될 수 있다.
직물은 피브릴화를 방지하기 위해 수지 마무리 가공(resin finish)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추가로 상술된 구체예 중 하나에서 안감 직물으로 제조된 안감을 갖는 의료용품, 특히, 겉옷 의류용품에 관한 것이다. 의류용품은 특히 드레스-, 셔츠-, 자켓-, 코트- 또는 망토- 등의 의류용품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의류용품을 위한 안감 직물에서 0.6 내지 4 dtex,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7 dtex, 더욱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5 dtex의 평균 선형 밀도를 갖는 라이오셀 필라멘트로 이루어지거나 이를 함유하는 얀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감 직물의 적어도 하나의 층은 바람직하게는 오로지 라이오셀로만 제조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구체예는 첨부된 도면 및 두 개의 시험 샘플을 참조로 더 상세하게 기술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는 기능 및/또는 설계와 관련하여 서로에 상응하는 요소에 대하여 사용된다.
추가로, 후술되는 구체예의 다양한 특징들은 상술된 바와 같이 서로 독립적으로 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특징은 이러한 특징과 관련된 기술적 효과가 특정 적용에서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구체예로부터 생략될 수 있다. 반대로, 특징은 이러한 구체적인 특징과 관련된 기술적 효과가 특정 적용에서 필요한 경우 구체예에 부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물 안감을 갖는 의류용품의 개략적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직물 안감의 시험 샘플에 대한 개략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은 의료용품(1), 예를 들어, 드레스-, 셔츠-, 자켓-, 코트- 또는 망토- 등일 수 있는 겉옷의 조각을 나타낸 것이다. 의료용품(1)의 내면(2)은 의류용품(1)을 착용한 사람의 몸(미도시)에 닿는다. 의료용품(1)에는 이의 내면에, 바람직하게 의료용품(1)의 외층(4)으로부터 분리층을 형성시키는 안감 직물(3)이 제공된다. 안감 직물(3)은 자체로 여러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안감 직물(3)은, 예를 들어, 제트-염색 또는 냉패드 염색에 의해 염색될 수 있다.
안감 직물(3)은 구체적인 A로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직조될 수 있다. 직조 직물(5)은 바람직하게는 오로지 얀(6)으로만 직조되고, 얀(6)은 라오셀 필라멘트(7)를 함유하고, 바람직하게는 이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얀(6)은 30 내지 100 개의 라이오셀 필라멘트, 특히, 50 내지 70 개의 라이오셀 필라멘트를 함유하고, 바람직하게는 이로 이루어진다.
컨디셔닝 상태에서, 라이오셀 필라멘트(7)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 cN/tex,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8 cN/tex의 평균 건조 강인도를 갖는다. 얀(6)에서 필라멘트(7)의 평균 선형 밀도는 0.6 내지 4 dtex,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7 dtex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5 dtex이다.
컨디셔닝 상태에서, 필라멘트의 파단시 평균 건조 연신률은 적어도 6%, 바람직하게는 6% 내지 8%이다. 얀은 스테이플 섬유가 아니라 라이오셀 필라멘트로 제조되기 때문에, 안감 직물은 매끄럽다. 라이오셀의 흡습성 특징은 편안한 착용감을 보장한다.
라이오셀 필라멘트로 제조된 안감 직물의 사용은 안감 직물이 일반 가정용 세탁기에서 세탁되는 경우에도 치수적으로 안정하다는 추가 이점을 갖는다.
특히, 안감 직물(3)의 세탁 수축률은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안감 직물(3)의 샘플(10)에 대하여 결정된다. 샘플(10)은 표준 ISO 3759에 따라 제조되고, 여기서 주방향(11, 12)은 서로에 대해 직각이고, 각각 경사(13) 및 위사(14)의 방향으로 정렬된다. 세탁 수축률은 샘플(10)에 대하여 결정되고, 세탁은 표준 EN ISO 6330에 따른다. 1회 세탁 후 두 개의 수직 방향 중 어느 하나에서의 세탁 수축률은 바람직하게는 2% 이하이고/거나, 5회 세탁 후에는 수직 방향 중 어느 하나, 바람직하게는 이 둘 모두에서 3.5% 이하이다.
합한 세탁 수축률은 각각 두 개의 수직 방향에서 수축률의 절대 값을 더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1회 세탁 후 합한 수축률은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회 세탁 후에는 7% 이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감 직물으로, 심지어 3% 이하의 합한 세탁 수축률이 5회 세탁 후에 달성될 수 있다. 1회 세탁 후 합한 세탁 수축률은 3% 이하, 바람직하게는 2% 이하일 수 있다.
위사(12)에 사용된 얀(6)은 경사(12)에 사용된 얀(6)보다 낮은 선형 밀도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위사 얀의 평균 선형 밀도는 1.2 dtex 미만일 수 있다.
안감 직물(3)에는 수지 마무리 가공이 제공될 수 있다.
첫 번째 구체예
첫 번째 구체예에 따라, 70 gsm의 평직을 갖는 안감 직물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필라멘트 라이오셀 직조 직물을 지그-염색기(jig-dyeing machine)에서 가공하였다.
2 g/ℓ의 음이온성 세제 및 2 g/ℓ의 소듐 카보네이트를 함유한 배쓰에서 70℃로 30분 동안 직물을 예비-정련하였다.
그 후에, 직물을 온수로 헹궈 화학물질을 제거한 다음 염색하였다.
염욕을 50 g/ℓ의 소듐 설페이트와 함께 60℃로 설정하였다. 5분 작업 후, 6 %의 owg Remazol Navy RGB(비닐 설폰 반응성 염료)를 15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직물을 엔드 투 엔드(end to end)로 15분 동안 계속 작업한 후, 18 g/ℓ의 소듐 카보네이트를 30분에 걸쳐 염욕에 계량하였다. 염료가 고착되는 시간을 허용하도록 추가 30분 동안 계속 염색하였다. 그 후에, 염욕을 비우고, 직물을 6회 배쓰로 다음과 같이 세탁하였다: (1) 50℃에서 온수, (2) 1 cc/ℓ의 아세트산(70%)에서 70℃로 10분 동안 중화, (3) 80℃에서 물, (4) 음이온성 세제와 함께 95℃에서 10분 동안 끓임, (5) 80℃에서 물, 및 (6) 냉수.
그 후에, 1 g/ℓ의 음이온성 세제에서 95℃로 15분 동안 처리에 의해 세탁을 완료하고, 세탁액이 투명해질 때까지 더 헹궜다.
이후, 직물을 지그-염색기에서 꺼내고, 과량의 물을 제거하기 위해 석션 슬롯(suction slot)에 통과시킨 후 직물을 110℃에서 스텐터 프레임(stenter frame) 상에서 건조시켰다.
건조 후, 직물을 다음과 같이 수지처리하였다:
- 패드를 하기 중에서 75 % 습식 픽업:
● 45 g/ℓ의 Fixapret ECO(BASF로부터의 DMDHEU 수지)
● 20 g/ℓ의 Siligen VN(유연제)
● 14 g/ℓ의 Siligen VN(유연제)
● 15 g/ℓ의 마그네슘 클로라이드
● 1 g/ℓ의 아세트산
● 1 g/ℓ의 Kieralon Jet B conc(습윤제)
- 패드를 하기 중에서 70 내지 80% 픽업:
● 스텐터 프레임 상에서, 120℃에서 건조, 그리고 이어서 170℃에서 3분 동안 경화.
수지의 적용으로 세탁 시 발생하는 피브릴화가 방지되었다.
남색 안감 직물은 물빨래 가능한 자켓 안감으로서 적합했다.
두 번째 구체예
두 번째 구체예에서, 다시 70 gsm의 평직으로 안감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라이오셀 필라멘트 직조 직물을 지그 염색기에서 가공하였다.
2 g/ℓ의 음이온성 세제 및 2 g/ℓ의 소듐 카보네이트를 함유한 배쓰에서 70℃로 30분 동안 직물을 예비-정련하였다. 그 후에, 직물을 온수로 헹궈 화학물질을 제거하였다. 직물을 이후 50 g/ℓ의 소듐 설페이트와 함께 60℃로 설정된 염욕을 사용하여 염색하였다. 5분 작업 후, 8%의 owg Remazol Midnight Black RGB(양반응성 비닐 설폰 염료)를 15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직물을 엔드 투 엔드(end to end)로 15분 동안 계속 작업한 후, 20 g/ℓ의 소듐 카보네이트를 30분에 걸쳐 염욕에 계량하였다. 염료가 고착되는 시간을 허용하도록 추가 40분 동안 염색을 계속하였다. 그 후에, 염욕을 비우고, 직물을 6회 배쓰로 다음과 같이 세탁하였다: (1) 50℃에서 온수, (2) 1 cc/ℓ의 아세트산(70%)에서 70℃로 10분 동안 중화, (3) 80℃에서 물, (4) 음이온성 세제로 95℃에서 10분 동안 끓임, (5) 80℃에서 물, 및 (6) 냉수. 세탁을 이후 1 g/ℓ의 음이온성 세제에서 95℃로 15분 동안 처리에 의해 완료하고, 세탁액이 투명해질 때까지 추가로 헹굼을 수행하였다.
그 후에, 직물을 지그-염색기로부터 꺼내고, 과량의 물을 제거하기 위해 석션 슬롯에 통과시킨 후 110℃에서 스텐터 프레임 상에 건조시켰다.
검정색 직물은 피브릴화의 발생 없이 가정용 세탁에 적합했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는 아세테이트, 비스코스 및 큐프로 필라멘트로 제조된 안감 직물보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이오셀 안감 직물의 우수한 특성을 입증한다.
표 1에서 실시예 1 내지 3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이오셀 안감 직물의 특성을 나타내고; 표 2에서 비교예 1 내지 5는 아세테이트, 비스코스, 및 큐프로 필라멘트로 제조된 안감 직물의 특성을 나타낸다.
얀으로 실시예 1 내지 3에 따른 직물 안감을 하기와 같이 생성시켰다:
80 내지 95 g/m2 범위의 안감 직조 물질을 얻도록 샘플 1, 2 및 3을 생성시켰다. 샘플 1 내지 3의 구성, 물질 및 특성은 표 1에 요약되어 있다(중량, 밀도, 짜임, 얀구성).
펄프(셀룰로오스)를 78%의 묽은 N-메틸-모르폴린-N-옥사이드(NMMO) 용액으로 안정화제 및 첨가제와 함께 함침시켰다. 생성된 현탁액은 11.6%의 셀룰로오스, 68%의 NMMO, 20.4%의 물 및 안정화제 GPE를 함유하였다. 펄프는 설파이트 및 설페이트 셀룰로오스의 혼합물로 이루어졌다.
과량의 물을 생성된 슬러리로부터 전단, 진공 및 가열 하에 증발시켜 섬유-비함유 방사 용액을 얻었다. 방사 용액은 13%의 셀룰로오스 및 75.3%의 NMMO(나머지 물)을 함유하였다.
방사 용액을 여과하고, 건식-습식 공정으로 114℃에서 압출하였고, 여기서 방사 용액을 노즐을 통해 에어 갭 내에 압출하였다. 압출 공정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에어 갭에 에어 스트림을 제공하였다.
에어 갭을 교차한 후, 셀룰로오스를 10%의 NMMO(나머지 물)를 함유하는 방사 배쓰에서 침전시켰다.
이에 따라 얻어진 무한 필라멘트(endless filament)를 물로 세탁하고, 마무리 가공으로 함침시키고, 건조시키고, 보빈에 권취시켰다. 단일 필라멘트로 이루어진 다중-필라멘트가 생성되었다. 다중-필라멘트로부터, 꼬이지 않은 필라멘트 얀이 제조되었다. 필라멘트 얀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직물 안감을 직조하였다. 얀의 선형 밀도는 20 내지 200 dtex,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50 dtex였다.
제조 공정의 다른 세부 사항에 대하여 US 4,246,221호, WO 02/18682 A1호 및 WO 02/72929 A1호가 참조된다.
세제로서 Henkel AG & Co. KGaA에 의해 제조된 Fewa Renew 3D Color Effect 및 세탁용 비연수를 40℃에서 사용하여 EN ISO 6330에 명시된 바와 같이 직물 안감을 세탁하였다. 각 세탁 후, 드럼 건조를 이용하였다. EN ISO 3759에 따라 제조된 샘플을 사용하여 20℃에서 65% 습도를 갖는 분위기에 컨디셔닝 후 수축률을 결정하였다.
비교예 4 내지 9에 따른 안감 직물은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직조 직물로부터 입수된 것이었다. 이들을 실시예 1 내지 3과 동일한 방식으로 세탁하고, 건조시키고, 컨디셔닝하였다.
라이오셀 얀으로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안감 직물은 1회 및 5회 세탁 후 안감 직물과 비교할 때 더 우수한 치수적 안정성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3에서 라이오셀 필라멘트의 선형 밀도는 비교예 1 내지 5에 대한 선형 밀도보다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1: 실시예
Figure pct00001
표 2: 비교예
Figure pct00002
참조 부호
1 의류용품
2 내면
3 안감 직물
4 외층
5 직조 직물
6 얀
7 라이오셀 필라멘트
10 샘플
11, 12 샘플의 수직 방향
13 경사
14 위사

Claims (14)

  1. 얀(yarn)(6)을 함유하거나 이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층을 갖는 안감 직물(lining fabric)(3)로서, 상기 얀(6)이 라이오셀 필라멘트(lyocell filament)(7)를 함유하거나 이로 이루어지고, 컨디셔닝 상태에서, 상기 얀(6)에서 상기 라이오셀 필라멘트(7)의 평균 선형 밀도가 0.6 내지 4 dtex인, 안감 직물(3).
  2. 5회 세탁 후 합한 세탁 수축률이 10% 이하인, 안감 직물(3).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얀(6)이 30 내지 200 dtex의 선형 밀도를 갖는, 안감 직물(3).
  4. 제3항에 있어서, 각 얀(6)에서 한 방향에서 5회 세탁 후 수축률이 3.5% 이하인, 안감 직물(3).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컨디셔닝 상태에서, 라이오셀 필라멘트(7)의 평균 건조 강인도가 적어도 30 cN/tex인, 안감 직물(3).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컨디셔닝 상태에서, 필라멘트(7)의 파단 시 평균 건조 연신률이 적어도 6%인, 안감 직물(3).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감 직물(3)이 염색되는, 안감 직물(3).
  8. 제7항에 있어서, 염료가 반응성 염료인, 안감 직물(3).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얀(6)이 수지 마무리 가공(resin finish)을 포함하는, 안감 직물(3).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감 직물(3)의 적어도 하나의 층이 직조되고, 얀(6)으로서 위사 얀(14, 6) 및 경사 얀(13, 6)으로 이루어지거나 이를 함유하는, 안감 직물(3).
  11. 제10항에 있어서, 위사 얀(11)이 경사 얀(13, 6)의 라이오셀 필라멘트(7)보다 낮은 평균 선형 밀도를 갖는 라이오셀 필라멘트(7)로 구성되는, 안감 직물(3).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경사 얀(13, 6) 및 위사 얀(14, 6) 중 적어도 하나가 링얀(ring yarn)인, 안감 직물(3).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안감 직물(3)로 제조된 내면(2)을 갖는, 의류용품(1).
  14. 의류용품(1)의 안감 직물(3)을 제조하기 위한, 1.5 dtex 미만의 평균 선형 밀도를 갖는 라이오셀 필라멘트(7)로 이루어지거나 이를 함유하는 얀(6)의 용도.
KR1020207012690A 2017-10-06 2018-09-19 라이오셀 필라멘트 안감 직물 Ceased KR202000592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7015120A KR20220065079A (ko) 2017-10-06 2018-09-19 라이오셀 필라멘트 안감 직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195260.9 2017-10-06
EP17195260.9A EP3467163A1 (en) 2017-10-06 2017-10-06 Lyocell filament lining fabric
PCT/EP2018/075341 WO2019068468A1 (en) 2017-10-06 2018-09-19 LYOCELL FILAMENT LINING FABRIC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5120A Division KR20220065079A (ko) 2017-10-06 2018-09-19 라이오셀 필라멘트 안감 직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289A true KR20200059289A (ko) 2020-05-28

Family

ID=6005138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2690A Ceased KR20200059289A (ko) 2017-10-06 2018-09-19 라이오셀 필라멘트 안감 직물
KR1020227015120A Ceased KR20220065079A (ko) 2017-10-06 2018-09-19 라이오셀 필라멘트 안감 직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5120A Ceased KR20220065079A (ko) 2017-10-06 2018-09-19 라이오셀 필라멘트 안감 직물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1686016B2 (ko)
EP (2) EP3467163A1 (ko)
JP (1) JP7263683B2 (ko)
KR (2) KR20200059289A (ko)
CN (1) CN111148865A (ko)
AU (1) AU2018344310B2 (ko)
ES (1) ES2968889T3 (ko)
MX (1) MX2020003603A (ko)
PE (1) PE20200921A1 (ko)
RU (1) RU2746092C1 (ko)
TW (1) TWI767063B (ko)
WO (1) WO20190684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67163A1 (en) 2017-10-06 2019-04-10 Lenzing Aktiengesellschaft Lyocell filament lining fabric
US12264412B2 (en) * 2019-04-30 2025-04-01 Aditya Birla Science And Technology Company Pvt. Ltd. Process for manufacturing lyocell filament yarn and an apparatus thereof
KR20220044524A (ko) * 2019-08-13 2022-04-08 올버즈, 인크. 복합 얀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98111A1 (ru) 1952-07-24 1953-11-30 Л.Ф. Крылов Кольцепр дильна или крутильна машина
US4246221A (en) 1979-03-02 1981-01-20 Akzona Incorporated Process for shaped cellulose article prepared from a solution containing cellulose dissolved in a tertiary amine N-oxide solvent
JPS54140641A (en) 1978-04-20 1979-11-01 Toray Industries Washable clothes
TW389799B (en) * 1995-08-29 2000-05-11 Asahi Chemical Ind Cellulose multifilament yarn and fabric made thereof
JPH09143836A (ja) 1995-11-29 1997-06-03 Unitika Ltd フィブリル化芯鞘複合紡績糸織編物
JP3011112B2 (ja) 1996-10-22 2000-02-21 日清紡績株式会社 セルロース系繊維含有構造物の防縮加工方法
JPH1018145A (ja) * 1996-07-02 1998-01-20 Asahi Chem Ind Co Ltd セルロースマルチフィラメント交織裏地、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72740A (ja) 1996-07-02 1998-03-17 Asahi Chem Ind Co Ltd セルロースマルチフィラメント糸を用いた裏地
GB9703813D0 (en) 1997-02-24 1997-04-16 Ici Plc Dyeing of textiles
JPH11335935A (ja) 1998-05-26 1999-12-07 Kaihara Kk デニム用混紡糸およびデニム用織編物
FR2804695B1 (fr) * 2000-02-03 2002-04-05 Antoine Bertheas Et Cie Ets Tissu elastique pour bande de contention, veineuse notamment
DE10043297B4 (de) 2000-09-02 2005-12-08 Thüringisches Institut für Textil- und Kunststoff-Forschung e.V.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Cellulosefasern und Cellulosefilamentgarnen
US7579078B2 (en) * 2001-09-21 2009-08-25 Outlast Technologies, Inc. Temperature regulating cellulosic fibers and applications thereof
DE10112050B4 (de) 2001-03-14 2004-02-12 Thüringisches Institut für Textil- und Kunststoff-Forschung e.V.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Cellulosefasern und Cellulosefilamentgarnen
PL354835A1 (en) 2001-07-12 2003-01-13 Ciba Sc Holding Ag Method of trichromatic dyeing and printing of synthetic material from polyamide fibres
US20050245164A1 (en) * 2004-04-30 2005-11-03 Aneja Arun P Fire blocker fiber composition, high loft web structures, and articles made therefrom
JP4518936B2 (ja) * 2004-12-22 2010-08-04 旭化成せんい株式会社 セルロース系交織織物
BRPI0716271B1 (pt) * 2006-08-31 2018-09-11 Southern Mills Inc tecido resistente à chama
US20090094726A1 (en) * 2007-10-10 2009-04-16 Morning Pride Manufacturing, L.L.C. Composite structure for protective garment
AT506268B1 (de) * 2008-01-11 2014-08-15 Chemiefaser Lenzing Ag Mikrofaser
US9144625B2 (en) * 2008-11-27 2015-09-29 Speciality Fibres And Materials Ltd. Cellulose ethylsulfonate-based absorbent material
EP2589689B1 (en) * 2010-06-30 2018-02-28 Kolon Industries, Inc. Dope for spinning lyocell, method for preparing lyocell filament fiber , and method for preparing a lyocell staple fiber using same
AT510909B1 (de) * 2010-12-20 2013-04-15 Chemiefaser Lenzing Ag Flammgehemmte cellulosische man-made-fasern
TWI667378B (zh) * 2014-01-03 2019-08-01 奧地利商蘭精股份有限公司 纖維素纖維
WO2016033593A1 (en) * 2014-08-29 2016-03-03 Southern Mills, Inc. Flame resistant fabrics having cellulosic filament yarns
CN104287127A (zh) 2014-11-05 2015-01-21 江苏大唐世家服饰有限公司 一种飘逸灵动型女式夹克
EP3467163A1 (en) 2017-10-06 2019-04-10 Lenzing Aktiengesellschaft Lyocell filament lining fabri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5079A (ko) 2022-05-19
US11686016B2 (en) 2023-06-27
PE20200921A1 (es) 2020-09-14
TWI767063B (zh) 2022-06-11
EP3692190A1 (en) 2020-08-12
AU2018344310B2 (en) 2020-12-17
AU2018344310A1 (en) 2020-03-19
US20200232123A1 (en) 2020-07-23
JP2020536183A (ja) 2020-12-10
BR112020004678A2 (pt) 2020-09-15
JP7263683B2 (ja) 2023-04-25
WO2019068468A1 (en) 2019-04-11
TW201915235A (zh) 2019-04-16
EP3692190B1 (en) 2023-11-01
CN111148865A (zh) 2020-05-12
MX2020003603A (es) 2020-10-05
ES2968889T3 (es) 2024-05-14
RU2746092C1 (ru) 2021-04-06
EP3467163A1 (en) 2019-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68157B (zh) 一种纺织毛巾面料
TWI756473B (zh) 織物及其製造方法、女裝或男裝、床用織物、面布、床單或床包
EP3692190B1 (en) Lyocell filament lining fabric
JP2013209756A (ja) 高密度織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0536183A5 (ko)
TWI770284B (zh) 針織的連續長絲萊纖布
BR112020004678B1 (pt) Tecido de forro de filamentos de liocel, artigo de vestuário, e uso de um fio de filamentos de liocel
JPH1018145A (ja) セルロースマルチフィラメント交織裏地、及びその製造方法
JP6605266B2 (ja) 衣料用布帛
TW201923178A (zh) 難燃萊纖長絲
WO2012116384A1 (en) Shrink resist and industrially launderable fabrics made from viscose, lyocell or modal fibers containing particulate additives
JPH02169707A (ja) 再生セルローズ繊維及びその織編物
JPH05239737A (ja) アクリル長繊維の交織物
JP2003227050A (ja) 原着糸を含む織物
JPS63165579A (ja) 衣料品の製造方法
JPH08100346A (ja) セルロース・エステル交織裏地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2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8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02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080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02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9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2203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030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020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9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210802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PA0104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A01041R01D

Patent event date: 20220504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220519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3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02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220831

Appeal identifier: 2022101001174

Request date: 20220519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100117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20519

Effective date: 20220831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220831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220519

Decision date: 20220831

Appeal identifier: 2022101001174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PC1202 Submission of document of withdrawal before decision of registration

Comment text: [Withdrawal of Procedure relating to Patent, etc.] Withdrawal (Abandonment)

Patent event code: PC12021R01D

Patent event date: 20221027

PJ1201 Withdrawal of trial

Patent event code: PJ12011R01D

Patent event date: 20221027

Comment text: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Appeal identifier: 2022101001174

Request date: 20220519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22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