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4330B1 -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4330B1
KR100354330B1 KR1020000003553A KR20000003553A KR100354330B1 KR 100354330 B1 KR100354330 B1 KR 100354330B1 KR 1020000003553 A KR1020000003553 A KR 1020000003553A KR 20000003553 A KR20000003553 A KR 20000003553A KR 100354330 B1 KR100354330 B1 KR 100354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outer casing
pinion gear
moto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3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6429A (ko
Inventor
정한식
이중섭
신유식
Original Assignee
정한식
이중섭
신유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한식, 이중섭, 신유식 filed Critical 정한식
Priority to KR1020000003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4330B1/ko
Publication of KR20010076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6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4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43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front, e.g. structure of the glazing, mounting of the gla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우천시 미러 표면에 물방울이 맺히지 않도록 구성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사이드미러 어셈블리는, 후면이 개구된 외부케이싱(10)과; 상기 케이스의 개구된 면에 설치되어, 후방을 반사할 수 있는 미러와; 상기 미러의 후면 양측에 연결된 랙기어(14a,14b)와; 상기 랙기어(14a,14b)와 맞물리고, 각각 모터(12a,12b)에 의하여 회전하는 피니언기어(12p,12s)와; 상기 피니언기어 (12p.12s) 및 랙기어(14a,14b)를 탑재하는 이동블럭(20)과; 상기 이동블럭(20)에 연결되고, 출력축에 피니언기어(21)가 설치된 모터(12c); 그리고 상기 피니언기어(21)에 맞물리고, 케이스 내부에 고정된 랙기어(22)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모터(12c)의 구동에 의하여, 미러(14)가 외부케이싱(10)의 내부로 더욱 깊이 들어가서, 빗방울을 피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어셈블리{Side mirror assembly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에서 측면의 후방을 감시하기 위한 사이드미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빗물에 의하여 물방울이 맺히지 않도록 구성되는 사이드미러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서 사이드미러는, 측면의 후방을 운전자가 감시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이다. 통상 이러한 사이드미러는 미러외부케이싱와, 상기 미러외부케이싱 내부에서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미러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미러는 좌우로 회동 하는 것에 의하여, 측면 후방의 감지영역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사이드미러는 차체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비가 오면, 빗방울이 미러의 표면에 맺히게 된다. 이렇게 맺히는 물방울은, 미러 자체의 반사 기능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운전자가 측면 후방을 감지하는데 장애를 일으키게 된다.
종래의 사이드미러는 이러한 물방울의 맺힘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러의 내측에 열선을 장착하고 있다. 그러나 열선은, 온도차에 의하여 맺히는 서리의 제거 또는 습기에 의하여 발생하는 미세한 물방울 입자의 제거에는 어느 정도 효과가 있지만, 비에 의하여 맺히는 물방울을 제거하기에는 충분하지 못한 단점이 지적된다.
또는 소형의 와이퍼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비에 의한 물방울을 제거하는 종래의 구성예도 있지만, 이러한 구성은 전체적인 구성이 복잡하게 되어, 제품의 제조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비에 의하여 사이드미러의 표면에 물방울이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사이드미러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비가 내릴 때, 사이드 미러 자체가, 외부케이싱의 내부로 더욱 들어가게 되면, 빗방울이 미러의 표면에 물방울로 맺히지 못하게 될 것이고, 본 발명은 이러한점에 착안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사이드미러 어셈블리의 단면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사이드미러 어셈블리에서, 미러가 후퇴한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외부케이싱 12a,12b,12c ..... 모터
12p, 12s..... 피니언기어 14 ..... 미러
14a, 14b ..... 랙기어 20 ..... 이동블럭
21 ..... 피니언기어 22 ..... 랙기어
24 ..... 지지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사이드미러 어셈블리는, 후면이 개구된 외부케이싱와; 상기 외부케이싱의 개구된 면에 설치되어, 후방을 반사할 수 있는 미러와; 상기 미러의 후면 양측에 연결된 랙기어와; 상기 랙기어와 맞물리고, 각각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 및 랙기어를 탑재하는 이동블럭과; 상기 이동블럭에 연결되고, 출력축에 피니언기어가 설치된 모터; 그리고 상기 피니언기어에 맞물리고, 외부케이싱 내부에 고정된 랙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우천시에는 미러를 외부케이싱의 내측으로 더욱 밀어넣는 것에 의하여, 미러에 빗방울이 맺히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후방의 측면을 보다 정확하게 시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잇점이 기대된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사이드미러 어셈블리의 단면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사이드미러 어셈블리는, 외부케이싱(10)의 내부에 세개의 모터(12a,12b,12c)가 설치되어 있다.
외부케이싱(10)은, 후면이 개구된 형태의 것이고, 그 후면에는 미러(14)가 설치되어 있어서, 운전자가 상기 미러(14)를 통하여 자동차의 측면 후방을 볼 수있도록 하는 것이다.
모터(12a) 및 모터(12b)는, 미러(14)를 좌우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실질적으로 종래의 것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모터(12a,12b)의 출력축에는 피니언기어(12p,12s)가 각각 설치되어 있어서,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측면 후방을 감지하기 위한 미러(14)의 이면에는 상기 피니언기어(12p,12s)가 맞물리는 직선형의 랙기어(14a,14b)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랙기어(14a,14b)는, 상기 피니언기어(12p,12s)에 각각 맞물려 있어서, 상기 피니언기어(12p,12s)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랙기어(14a,14b)를 전후진시키는 직선 왕복운동을 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외측의 피니언기어(12p)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외측의 랙기어(14a)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미러(14)는 외측을 향하여 더욱 경사지도록 움직이게 된다. 그리고 내측의 피니언기어(12s)가 반시계방향을 회전하게 되면 랙기어(14b)가 도면상에서 우측(실제로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한쌍의 모터(12a,12b)에 의하여, 미러(14)의 일측단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상에서 좌우로 이동하면서, 측면 후방의 물체의 유무를 볼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한쌍의 모터(12a,12b)의 구동에 의하여, 미러(14)에 의하여 운전자가 감시할 수 있는 측면 후방의 영역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이 자체에 대한 구성은 종래와 동일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한쌍의 모터(12a,12b) 및 미러(14)와 연결되는 랙기어(14a,14b)는, 이동블럭(20)의 내부에 탑재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블럭(20)이 도면상에서 좌우로 이동하게 되면, 실질적으로 미러(14)가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블럭(20)의 후방으로는 모터(12c)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모터(12c)의 출력축에는 피니언기어(21)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피니언기어(21)는, 지지대(24)에 고정되어 있는 랙기어(22)와 맞물려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12c)가 회전하게 되면, 피니언기어(21)가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고정된 랙기어(22)와 맞물려 있는 피니언기어(21) 및 모터(12c)는 후방으로 후퇴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모터(12c)가 이동블럭(20)과 연결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상기 이동블럭(20)도 후방으로 후퇴하게 될 것이다.
다음에는 도 1 및 도 2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사이드미러 어셈블리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상태는 일반적인 상태이다. 즉, 비가 오지 않는 일반적인 환경하에서 사이드미러의 사용상태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환경하에서는 비가 오기 않기 때문에, 빗방울이 미러(14)에 맺힐 우려가 없게 되어, 운전자는 측면후방을 정확하게 감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 때 필요에 따라서 사용자는, 조작버튼을 이용하여 모터(12a) 또는 모터(12b)를 동작시키는 것에 의하여, 감시하고자 하는 측면후방의 감시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비가 오는 상황하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 조작하게 된다. 즉, 운전자는, 조작버튼을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모터(12c)를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 모터(12c)의 구동에 의하여, 그 출력축과 연결되어 있는 피니언기어(21)이 회전하게 되면서, 랙기어(22)를 따라 후방으로 후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모터(12c)의 피니언기어(21)이 후방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 실질적으로 이동블럭(20)도 같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동블럭(20)의 후진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상기 이동블럭(20)과 연결되어 있는 미러(14)도 같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고, 이렇게 상기 미러(14)가 후방으로 이동한 상태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상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상기 미러(14)는 외부케이싱(10)의 내부로 많이 들어간 상태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부케이싱(10)의 내측으로 들어간 상태이기 때문에, 비가 오는 상황하에서도 미러(14)는 빗방울이 맺히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미러(14)가 외부케이싱(10)의 내부에 들어갈 수 있도록 구성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케이싱(10)는, 종래의 것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길게 성형하여야 할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미러(14)가 외부케이싱(10)의 내부로 더욱 깊이 들어갈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외부케이싱(10)는 미러(14)가 빗물을 피할 수 있도록 깊이 들어갈 수 있도록 성형해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러(14)가 외부케이싱(10)의 내측으로 깊이 들어간 상태에서도, 상기 모터(12a)와 모터(12b)를 동작시키는 것에 의하여, 미러(14)의 후방 감시 각도를 충분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에서는, 비가 오더라도 빗방울이 상기 미러(14)의 표면에 맺히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미러(14)를 외부케이싱(10)의 내부에 더욱 깊숙하게 넣을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내에서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미러를 더욱 내부로 넣을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비가 와도 빗방울이 미러에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천시에도, 사이드미러로써의 기능, 즉 측면 후방을 운전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는 잇점이 기대된다. 실질적으로 이러한 잇점은, 우천시에도 운전자가 더욱 안전운전을 가능하게 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후면이 개구된 외부케이싱와;
    상기 외부케이싱의 개구된 면에 설치되어, 후방을 반사할 수 있는 미러와;
    상기 미러의 후면 양측에 연결된 랙기어(14a,14b)와;
    상기 랙기어(14a,14b)와 맞물리고, 각각 모터(12a,12b)에 의하여 회전하는 피니언기어(12p,12s)와;
    상기 피니언기어(12p.12s) 및 랙기어(14a,14b)를 탑재하는 이동블럭(20)과;
    상기 이동블럭(20)에 연결되고, 출력축에 피니언기어(21)가 설치된 모터(12c); 그리고
    상기 피니언기어(21)에 맞물리고, 외부케이싱 내부에 고정된 랙기어(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미러 어셈블리.
KR1020000003553A 2000-01-26 2000-01-26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어셈블리 KR100354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3553A KR100354330B1 (ko) 2000-01-26 2000-01-26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3553A KR100354330B1 (ko) 2000-01-26 2000-01-26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6429A KR20010076429A (ko) 2001-08-16
KR100354330B1 true KR100354330B1 (ko) 2002-09-28

Family

ID=19641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3553A KR100354330B1 (ko) 2000-01-26 2000-01-26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433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6429A (ko) 2001-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91193B2 (ja) 自動車のフロントガラス被覆装置
KR100354330B1 (ko)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어셈블리
JP2023512326A (ja) 検出システムのための拭き取り装置
CN106973256B (zh) 光学信息采集装置以及光学信息采集系统
KR100432002B1 (ko) 자동차 사이드 미러의 빗물 제거장치
EP3541669B1 (en) A wiper mechanism
KR100439888B1 (ko) 차량의 윈드실드글라스 김서림 제거장치
KR100324950B1 (ko) 자동차용 와이퍼 작동 시스템
KR19980023565U (ko) 차량의 아웃사이드미러용 와이퍼장치
KR100704576B1 (ko) 차량 레인거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0391618B1 (ko) 자동차용 와이퍼 장치
KR100372701B1 (ko) 내장용 도르래에 의한 길이 가변형 와이퍼
KR19980014010U (ko)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의 와이퍼 장치
KR19980039432U (ko) 아웃사이드 미러의 와이퍼장치
KR200391988Y1 (ko) 미러표면 습기제거용 아웃사이드미러 구조
JPH017651Y2 (ko)
KR0165781B1 (ko)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KR20070049894A (ko)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어셈블리
JP2005297868A (ja) 車両用アウタミラー
KR0140652Y1 (ko) 자동차의 인너와 아웃터 채널 몰딩부에 형성되는 내, 외측 와이퍼
KR0117348Y1 (ko) 자동차용 실외후사경
JP2009061961A (ja) 車両用アウタミラー装置
KR20080089828A (ko) 자동차의 와이퍼 수납 장치
KR19990054230A (ko) 자동차의 와이퍼장치
KR19980048847U (ko) 차량용 윈도우 와이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