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0137B1 -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0137B1
KR100350137B1 KR1019990025234A KR19990025234A KR100350137B1 KR 100350137 B1 KR100350137 B1 KR 100350137B1 KR 1019990025234 A KR1019990025234 A KR 1019990025234A KR 19990025234 A KR19990025234 A KR 19990025234A KR 100350137 B1 KR100350137 B1 KR 100350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substrates
wiring
pair
belon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5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4545A (ko
Inventor
스즈키노부유키
오자키토시후미
미시마야스유키
이시이마사히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10004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4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0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01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23Compensation for problems related to R-C delay and attenuation in electrodes of matrix panels, e.g. in gate electrodes or on-substrate video signal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어있는 한 쌍의 기판과, 상기 한 쌍의 기판 사이에 밀봉되어있는 액정층과, 상기 액정층에 직면한 한 쌍의 기판중 한 기판의 표면위에 배치되어있는 영상신호 구동회로부와, 한 쌍의 기판중 일 기판의 외부회로에 전기적으로 영상신호 구동회로부를 연결하도록 표면상에 형성되어있는 복수의 배선층들로 구성하여, 복수의 배선층들 중 적어도 2개가 제 1그룹에 속하며 각각의 논리신호를 받기위해 영상신호 구동회로부의 입력전극에 연결되고, 제 1그룹의 배선층들 이외에 다른 복수의 배선층들중 적어도 2개가 제 2그룹에 속하며 논리신호를 받기위해 영상신호 구동회로부의 입력전극에 연결되고, 각각의 전압공급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 1그룹에 속해있는 배선층들과 제 2그룹에 속해있는 배선층들의 그룹들 중 적어도 한 그룹은 실제적으로 서로 유사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같이 배열된 액정표시장치는 영상신호 구동회로의 작동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들면 소위, 칩 온 글라스(Chip-on-glass;COG)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한쌍의 투명기판이 외측 하우징을 구성하기 위하여 사이가 밀봉되어진 액정층을 갖고 공간적으로 서로 대향되게 적층되도록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그러한 액정의 확장된 방향에 따라 형성된 다수의 화소들(Multiple pixels; Picture elements)을 갖는다. 이때 각 화소는 각각 독립적으로 액정(LC) 재료내에 가해지는 전기장에 대하여 그것을 통과하는 빛의 광전도를 조절한다.
따라서, 각 화소들 내에서 전기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극들과 상기 전극들에 영상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영상신호 라인들이 액정기판에 맞닿는 투명기판들 중 어느 한 기판의 표면위에 형성된다.
알려진 바와같이 영상신호는 영상신호 라인을 위한 반도체 중첩회로로 구성되는 영상신호 구동회로로부터 제공되고, 상기 반도체 중첩회로는 그것의 표시영역보다는 오히려 투명기판들중 한 기판의 소정 부위에 설치된다.
영상신호가 화소내의 전기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화소내의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의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 중 하나에 인가되기 때문에, 영상신호는 드레인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라 불리우고, 영상신호 구동회로 역시 드레인신호 구동회로 또는 비디오신호 구동회로라고 불리운다.
이 경우에 논리신호, 기준 전압(기준 전압 신호) 및 전기 전원은 배선 패턴을 갖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을 통해 영상신호 구동회로쪽으로 투명기판의 주변부 근처에 배치된 제어회로기판으로부터 제공된다.
따라서, 영상신호 구동회로의 입력전극과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출력단에 연결된 배선층들은 앞서 언급한 투명기판 위에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액정표시장치의 화면 크기가 대형화되고, 영상신호 구동회로에 연결된 상기 배선층들의 밀도가 고밀도화됨에 따라 이러한 점들의 의해 발생되는 액정표시장치의 블리한 점들이 지적되어왔다.
상기 영상신호 구동회로의 입력측 임피던스가 높기 때문에 상술한 각 배선층들의 전기 저항이 어떤 값에 이르게 되나, 실제적으로 상기 배선층들의 각 전기 저항은 균일해야 한다.
이것은 신호파형 지연에 따른 편향이 복수의 배선 라인들 사이에서 일어나고 상기 영상신호 구동회로의 작동을 불안정하게 만든다는 사실에 근거한다.
상기 전원공급 입력부는 상기 영상신호 구동회로의 입력단에 배치되고, 배선층의 전기저항은 상기 영상신호 구동회로의 작동 전압의 감소 때문에 소정 범위 이하로 감소되어야 한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 입력부와 배선층의 저항을 갖는 상술한 영상신호 구동회로 사이의 배선층이외에 다른 배선층들의 저항값의 균형을 더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고려는 고밀도로 배열된 배선층에 적용하기는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향상된 작동 안정성이 있는 영상신호 구동회로를 갖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것들은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요약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어있는 한 쌍의 기판과, 상기 한 쌍의 기판 사이에 밀봉되어있는 액정층과, 상기 액정층에 직면한 한 쌍의 기판중 한 기판의 표면위에 배치되어있는 영상신호 구동회로부와, 한 쌍의 기판중 한 기판의 외부회로에 전기적으로 영상신호 구동회로부를 연결하도록 표면상에 형성되어있는 복수의 배선층들을 구비한다.
또, 복수의 배선층들 중 적어도 2 개가 각각의 논리신호를 받기위해 영상신호 구동회로부의 입력전극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제 1그룹에 구비된다.
또, 제 1그룹 보다는 복수의 배선층들중 적어도 2 개가 논리신호를 받기위해 영상신호 구동회로부의 입력전극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제 2그룹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 2그룹에 관련된 입력 전극들이 제각기 전압 공급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게다가 제 1그룹에 속해있는 배선층과 제 2그룹에 속해있는 배선층의 그룹들중 적어도 한 그룹은 실제적으로 서로 유사하게 된다.
이와같이 배열된 액정표시장치는 심지어 그것의 저항률이 증가할지라도 지정된 범위내에서 논리신호 입력전극들에 연결된 배선층들의 저항값을 유지시킨다. 또 마찬가지로, 심지어 저항률이 증가할지라도 지정된 범위내에서 기준전원 공급전극들에 연결된 배선층의 저항값을 유지시킨다.
배선층의 양측은 전도성 막이나 영상신호 구동회로(IC) 칩이 설치된 기판위에 형성된 전도막들이거나 줄들(Stripes)이다. 상기 배선층은 금속, 합금, 불순물이 도핑된 반도체 또는 그밖의 물질로 형성된다.
또, 저항값들을 서로 비숫하게 하기 위하여 지정된 범위내에서 논리입력전극들에 연결된 배선층들 사이에 저항값을 유지함으로서 바람직하게 신호 파형의 지연이 더 이상 발생되지 않고, 영상신호 구동회로의 작동 안정성이 향상되게 된다.
다른한편으로, 저항값들을 서로 비숫하게 하기 위하여 지정된 범위내에서 기준전원 공급전극들에 연결된 배선층들 사이에 저항값을 유지함으로서 사용된 기준전원 공급의 잠재 전압강하에 따른 편차를 줄이게 된다.
앞서 언급된 배선층에 관련된 전기 저항만의 조절에 의해 상술한 이점들중 적어도 하나를 배선층이 기판상에 밀접하게 배열될지라도 달성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액정표시장치에서 영상신호 구동회로부의 입력전극들의 정해진 갯수가 각각 논리신호 입력전극과 기준전압 공급전극으로 나누어지게 되고, 논리신호 입력전극에 사용되는 입력전극은 서로 인접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기준전압 공급전극에 사용되는 입력전극은 서로 인접되게 배치된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논리입력전극들에 연결된 배선층들은 서로 근처에 배열되고, 기준전원 공급전극들에 연결된 배선층들은 제각기 서로 근접되어 배열되게 된다. 따라서,관련된 배선층의 전기 저항을 실질적으로 균일화하기 위한 배선층의 배선 설계 및 배열이 단순해진다.
위에서 언급된 여러가지 이유를 근거로 하여,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는 서로 맞닿도록 배치되어있는 한 쌍의 기판들과, 상기 한 쌍의 기판들 사이에 밀봉되어있는 액정층과, 상기 한 쌍의 기판중 일 기판의 메인 표면 및 영상신호 구동회로부에 밀접되어있는 한 쌍의 기판중 일 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열되어있는 복수의 입력단자들에 배치되는 영상신호 구동회로부로 구성되어, 복수의 입력 단자들이 그 기능에 따라 그룹들로 나뉘고 각 그룹에 따라 배열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에 의한 다음의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는 본 발명에 의해 액정표시장치의 매트릭스 기판 주위에 형성된 드레인 구동회로에 관련된 배선 패턴을 도시한 개략 배선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배선도이다.
도 3은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화소부 하나의 2차원적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액정표시장치의 메트릭스 기판 위에 형성된 드레인 구동 회로 주변의 실제적인 배선 패턴중 하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설명>
1A : 메트릭스 기판 1B : 칼라 필터기판
2 : 화소(도3에서 영상신호라인)
3 : 주사신호라인 4 : 영상신호라인
5 : 게이트 구동 IC 6 : 드레인 구동 IC
6A : 입력전극 10 : 제어기판
11 : 전원공급회로 12 : 제어 IC
15 : 게이트 회로기판 16A : 드레인 회로기판
18 : 연결 유니트 19A : 연결 유니트
19B : 연결 유니트 22 : 영상신호소스
23 : 케이블 24 : 인터페이스 기판
50 : 대향전압 신호라인 50A : 대향 전극
53 : 화소 전극 54 : 블랙 메트릭스
70 : 배선층 70A : 전도성 단자
70B : 신호공급 단자 TFT : 박막 트랜지스터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전체적인 구성>
도 2는 본 발명을 나타내는 액정표시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개략 배선도이다.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광시야각의 성취를 위해 알려진 소위 횡전계방식(Lateral electric field scheme)을 채용한 액정표시장치의 하나에 적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액정표시패널(1)은 서로 대향되도록 한쌍의 투명기판(1A, 1B)을 겹쳐 놓음에 의해 외측 하우징으로 제작된다.
이 경우에 이러한 투명기판들의 한 기판(소위, 메트릭스 기판이라 불리우는 도 2의 하측 기판(1A))는 상기 투명기판들의 다른 한 기판(소위, 칼라 필터 기판이라 불리우는 도 2의 상측 기판(1B)) 보다 크기면에서 약간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기판들의 양 주변 가장자리가 도 2의 하측 및 우측에서 서로 거의 같은 평면상에 접촉하도록 정렬된다.
따라서, 상기 투명기판(1A)의 좌측 및 상측 주변부는 상기 투명기판(1B)에 대하여 바깥쪽으로 확장되어 있다.
상기의 점들은 이후에 상세히 설명되며, 이러한 부분들이 게이트 구동회로 및 드레인 구동회로를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영역으로 정의된다.
즉, 상기 상측 및 하측 투명기판(1A,1B)는 화소(2)가 2차원적으로 정렬된 방식으로 형성된 중앙 직사각형 영역에서 서로 겹쳐지게 된다. 상기 화소(2)는 도 2의 x방향에 뻗어있으며 y방향과 나란한 주사신호(전송) 라인(3)과 x 방향에 나란하고 y방향에 뻗어있는 영상신호(전송) 라인(4)에 의해 둘러쌓여진 영역에 형성된다.
상기 화소(2)는 적어도 소정 주사라인(3)으로부터 제공된 주사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스위칭부(TFT)와, 영상신호가 스위칭부(TFT)를 거쳐 소정 영상신호 라인(4)으로부터 제공되는 화소 전극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화소들(2)의 각각은 앞서 설명한 소위 횡전계방식을 채용하고 있고, 나중에 설명하게 될 스위칭부(TFT) 및 화소 전극이외에 기준전압(즉, 대향 전극)과 추가된 용량성 요소로 구성된다.
상기 주사신호 라인들(3)의 각각은 상기 투명기판(1A)위에 설치된 게이트 구동 중첩회로(IC)(5)의 출력단자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투명기판(1B)의 바깥쪽으로 뻗어있는 끝단(도 2의 좌측 끝단)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게이트 구동 ICs(5)는 서로 인접된 주사신호 라인들(3)이 상기 게이트 구동 ICs(5)에 관한 그룹들로 모여져 제공된다.
상기 각 그룹들의 주사신호 라인(3)은 각각 그것에 상응하는 그룹 근처에서 상기 게이트 구동 ICs(5)의 하나에 연결되게 된다.
유사하게, 상기 영상신호 라인들(4)의 각각은 상기 투명기판(1A)위에 설치된 게이트 구동 중첩회로(IC)(6)의 출력단자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투명기판(1B)의 바깥쪽으로 뻗어있는 끝단(도 2의 상측 끝단)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드레인 구동 ICs(6)은 서로 인접된 영상신호 라인들(4)이 상기 드레인 구동 ICs(6)에 대하여 그룹들로 모여져 제공된다.
상기 각 그룹들의 영상신호 라인(4)은 각각 그것에 상응하는 그룹 근처에서 상기 드레인 구동 ICs(6)의 하나에 연결되게 된다.
한편, 인쇄회로기판(이하, 제어 기판)이 그 상측에 상기 게이트 구동 ICs(5) 및 상기 드레인 구동 ICs(6)를 갖는 액정표시 패널(1)에 인접되게 배치되고, 상기 게이트 구동 ICs(5) 및 드레인 구동 ICs(6)에 입력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제어회로(12)는 전원공급회로(11) 등에 추가적으로 설치된다.
이 제어 회로(12)는 각각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이하, 게이트 회로기판(15) 및 드레인 회로기판(16a,16b))을 통해 상기 게이트 구동 ICs(5) 및 드레인 구동 ICs(6)에 신호들을 공급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게이트 회로기판(15))은 상기 게이트 구동 ICs(5)가 설치된 메트릭스 기판(1A)의 일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 회로기판의 신호단들이 각각 그것에 대향하는 상기 게이트 구동 ICs(5)의 입력단자에 연결된다.
상기 게이트 회로기판(15)은 상기 제어기판의 일측을 향해 확장시키기 위하여 형성되어지는 부분을 갖으며, 그것의 확장부분에서 연결유니트(18)을 통해 상기 제어기판(10)에 연결된다.
상기 제어기판(10) 위에 설치된 제어회로(12)의 출력신호는 상기 제어기판(10)의 배선층, 연결유니트(18), 게이트 회로기판(15)의 배선층을 거쳐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게이트 구동회로(5)에 입력된다.
게다가, 상기 드레인 회로기판(16A, 16B)은 드레인 구동 ICs(6)가 설치되어진 메트릭스 기판(1A)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드레인 회로기판의 단자들은 제각기 그것에 대응하는 드레인 구동 ICs(6)의 입력단자에 연결된다.
상기 드레인 회로기판들(16A, 16B)의 각각은 상기 제어기판(10)의 일측까지 확장될 수 있도록 형성된 부분을 갖으며, 상기 확장된 부분의 연결 유니트(19A 또는 19B)를 통해 상기 제어기판(10)에 연결된다.
상기 제어기판(10) 위에 설치된 제어회로(12)의 출력신호는 상기 제어기판(10)의 배선층, 연결유니트(19A 또는 19B), 게이트 회로기판(16A 또는 16B)의 배선층을 거쳐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드레인 구동회로(5)에 입력된다.
상기 드레인 구동 ICs(6)의 일측에 구비된 드레인 회로기판들(16A,16B)이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2개의 구성요소로 분리되어있는 것에 주목해야된다.
이러한 기판 분리는 액정표시패널(1)의 화면크기가 커질 때 도 2의 x 방향에서 드레인 회로기판의 길이가 늘어남에 따라 예를 들면, 열적 팽창에 의해 발생되는 문제점을 방지한다.
상기 제어기판(10)상에 구비되는 제어회로(12)의 출력들은 상기 드레인 회로기판(16A)의 연결 유니트(19A)와 상기 드레인 회로기판(16B)의 연결 유니트(19B)를 거쳐 이에 상응되는 상기 드레인 구동 ICs(6)에 입력되게 된다.
더우기 상기 제어기판(10)은 영상신호가 영상신호 소스(22)로부터 외부 컨넥터인 인터페이스 기판(24)를 거쳐 케이블(23)에 의해 제어기판에 공급된 후 상기 제어기판(10)에 설치된 제어회로(12)에 입력되도록 배치된다.
액정표시패널(1), 게이트 회로기판(15), 드레인 회로기판(16A, 16B) 및 제어기판(10)은 도 2에서, 실질적으로 같은 평면상에 위치되어진 것처럼 나타나 있으나 실제로는 상기 제어기판(10)이 액정표시패널(1)의 우측 각도상에 위치되도록 게이트 회로기판(15) 및 드레인 회로기판(16A, 16B)이 굽어져 있다.
이 구조는 " 아키트레이브(Achitrave)" 라 불리우는 영역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데, 상기 "아키트레이브"라는 용어는 액정표시장치의 외측 프레임 외형과 그것의 디스플레이 영역(즉, 화면)의 외형 사이에 있는 여백부분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여백부분의 축소는 상기 외측 프레임에 대비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을 확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화소 구조>
도 4는 상기에서 언급한 화소 부분의 상세한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같이, 주사신호 라인(3) 및 대향 전압신호 라인(50)은 메트릭스 기판(1A)의 메인 표면(Main surface)에 형성된다.
각각의 신호라인(3,50)과 후술하게 될 y방향에서 확장된 영상신호라인(2)에 의해 둘러쌓여진 부분은 화소 영역으로 형성될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대향 전압 신호라인(50)은 다른 하나에 인접된 한쌍의 주사신호 라인(3)을 따라 그 사이에 형성되며, 화소 영역은 그것의 경계를 이루는 대향 전압 신호라인(50)으로부터 ±y 양쪽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배치를 통해, y방향에 나란하게 있는 대향 전압 신호라인(50)을 종래기술의 라인수에 비해 약 절반 정도로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이 부분을 화소 영역의 일부로서 사용될 수 있게 되어 종래 기술에서 밀폐되었던 부분을 활용하는것이 가능해지며 그 결과, 화소영역의 네트(Net) 부분이 넓어지게 된다.
각 픽셀 영역에서 미리 설정된 수 예컨대, 3개의 대향 전극들(50A)이 상기 대향 전압신호 라인(50)에 중첩되며 동일한 간격으로 y방향으로 확장된다.
이러한 각각의 대향 전극(50A)는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주사신호라인(3)에 근접되게 확장되며, 화소의 양측에서 2개의 대향전극이 각각의 영상신호라인(2)에 인접되어 배치되고, 나머지 대향전극은 화소 영역의 중앙에 배치된다.
게다가, 주사신호 라인(3), 대향 전압신호 라인(50) 및 대향 전극(50A)이 상술한 방식에 의해 형성된 투명기판의 주요 표면위에 절연 막(예를 들면, 실리콘 질화물)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절연막이 주사신호 라인 또는 그밖의 라인들을 덮게 된다.
상기 절연막은 영상신호 라인(2)을 상기 주사신호라인(3) 및 대향 전압신호 라인(50)으로부터 절연시키기 위한 층간 절연막(Interlayer insulating film)으로서, 또 박막 트랜지스터(TFT)에 대하여 게이트 절연막(Gate insulating film)으로서, 또 축적 커패시터를 위한 유전체 막(Dielectric film)으로서 작용한다.
상기 절연막의 표면에는 첫번째로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형성된 부분에 반도체층(51)이 만들어지는데 상기 반도체층(51)은 예를 들면, 비결정성 실리콘(Amorphous silicon)으로 만들어지고 후술하게 될 영상신호 라인(2)에 인접한 주사신호 라인의 일부에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기 주사신호 라인(3)의 일부가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게이트 전극으로서 작용된다.
또한, 이러한 절연막에는 y방향으로 확장된 상태에서 x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있는 영상신호 라인(2)이 형성된다. 상기 영상신호 라인(2)이 박막 트랜지스터(TFT)을 구성하는 상기 반도체층(51)의 표면의 일부까지 확장된 드레인 전극(2A)에 중첩된다.
더우기,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소스 전극(53A)에 연결되어진 화소전극(53)은 화소 영역에서 절연막의 표면에 형성된다.
상기 화소 전극(53)은 각 대향 전극(50A) 사이의 중앙을 통과하기 위하여 y방향으로 확장되게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화소 전극의 한 끝이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소스 전극(53A)으로서 작용한다. 그리고, 상기 화소 전극(53)은 y방향의 끝단에서부터 이어져, 그 다음에는 대향 전압신호 라인(50) 위에 x방향으로 이어지고, 마지막에 전체적으로 "U" 같은 평면형이 되도록 y 방향으로 이어지게 된다.
여기서, 대향 전압 라인(50)위에 놓인 화소전극(53)의 일부에는 유전체막으로서 앞서 언급된 절연막을 이용해 이것과 대향 전압신호 라인(50) 사이에 축적 커패시터(Cstg)가 구비된다.
예를 들면, 상기 축적 커패시터(Cstg)에 의해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오프되었을 때 긴 시간동안 화소 전극(53)에서 영상신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효과가 생긴다.
앞서 언급한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드레인 전극(2A) 및 소스 전극(53A)과 접촉면을 갖는 반도체층(51)의 소정 표면부에는 앞서 언급한 각각의 전극들과 저항접촉을 갖기 위하여 표면부에 인(P)과 같은 불순물을 도핑함으로써 고밀도층(High concentration layer)을 형성한다.
이 경우에, 상기 표면부는 전체적으로 반도체층(51)의 표면위에 고밀도층을 형성하고, 상기 언급된 가각의 전극들을 형성하고, 그 다음에 상술한 전극들이 마스크로서 사용되어 에칭 처리된 부분보다 고밀도층의 부분을 제거하는 과정에 의해 처리된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FT), 영상신호 라인(2), 화소 전극(53) 및 축적 커패시터(Cstg)를 갖는 절연막의 상부 표면에는 보호막(예를 들면, 실리콘 질화막으로 된)이 코팅되고 그 다음에 상기 얼라인먼트막(Alignment film)이 상기 절연막의 상부 표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소위 액정표시패널(1)의 저면 기판이 완성되게 된다.
도 3에서는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았지만 각 화소 영역에 해당되는 부분에 개구(Opening)를 갖는 블랙 메트릭스가 상측 기판으로 불리우는 투명기판(앞서 언급된 칼라 필터기판)의 소정 액정면에 형성된다.
상기 블랙 메트릭스의 개구(Opening)는 도 3의 참고번호 54에 의해 표시된 직사각형 프레임에 의해 닫혀진 부분에 해당된다.
더우기, 상기 칼라 필터는 화소 영역에 해당하는 블랙 메트릭스(54)의 개구를 덮기 위하여 형성된다. 복수개의 칼라 필터는 상기 화소 영역에 대하여 x방향으로 나란하게 있다.
상기 칼라 필터중의 하나는 해당 화소 영역에 인접한 다른 두 화소 영역에 해당되는 칼라 필터의 다른 두개와는 다른 색깔을 갖으며, 영상신호 라인(2)의 위로 놓여 y방향을 따라 이어진 라인에 나타난 바와 같이 블랙 메트릭스에 경계를 갖는다.
게다가, 레진(Resin) 물질 또는 그밖의 다른 물질의 레벨링 층(Leveling layer(Film))은 블랙 메트릭스 및 칼라 필터가 상술한 바와같이 형성된 표면상에 형성되고 그 다음에 얼라인먼트 막(Alignment film)이 상기 레벨링 층의 표면위에 형성된다.
<드레인 구동 ICs 근처의 배열>
도 4는 드레인 구동 IC(6)중의 하나와 그 근처를 상세하게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의 점-선에 의해 단혀진 메트릭스 기판(1A)의 Q 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Q 부분이외에 드레인 구동 ICs 및 이것의 각 주변부가 상기 Q부분에 유사한 배열을 갖는다.
도 4와 같이, 메트릭스 기판(1A)위에 형성된 영상신호 라인(4)는 신호공급 단자(4A)가 드레인 구동 ICs의 출력 전극에 반대로 마주보고 있는 각각의 위치에 형성되는 곳의 주변부까지 이어진다.
도 4를 보면 드레인 구동 IC(6)의 출력전극이 영상신호 라인(4)보다 간격이 적다. 따라서, 상기 각각의 영상신호 라인(4)은 연결을 위해 드레인 구동 IC(6)쪽으로 이어지면서 모이도록(서로 밀접하게) 배치된다.
한편, 메드릭스 기판(1A)는 드레인 구동 IC(6)의 입력 전극들(6A)에 반대되는 각각 위치에 형성된 "전도성 단자(Conductive terminal)(70A)" 와, 상기 메트릭스 기판(1A)의 주변부 가장자리 근처까지 이어져 형성된 각각의 단자들(70A)에 연결하기 위한 "배선층(70)"과, 상기 메트릭스 기판의 표면에서 상기 배선층(70)의 연결 끝단에 형성되는 "신호공급단자(70)"를 갖는다.
상기 신호 공급단자들(70B)은 드레인 회로기판에 연결시키기 위한 전도성 패드이다. 도 4를 보면 명확히 알 수 있듯이 신호 공급단자들(70B)의 간격은 드레인 구동 IC(6)의 입력 전극들(6A)의 간격보다 크다.
따라서, 상기 배선층(70)은 입력전극(6A)로부터 신호공급단자(70B)에 이어져 분기되도록 배치된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같이 배선층(70)의 간격은 액정표시장치의 화면크기가 커짐에 따라 더욱 좁아지는 경향이 있다.
상기 드레인 구동 IC(6)의 입력 전극(6A)는 그것의 기능에 따라 몇가지 그룹으로 나누어지고 모든 그룹에 의해 배열되어있다. 예를 들어, 논리입력부, 기준전원공급 입력부, 전원공급 입력부, 기준전압 입력부 및 논리입력부의 5개 그룹은 도 1의 우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열되어있다.
도 4에 도시된 각각의 단자들에 해당되는 도 1의 FPC측 연결 단자들은 도 2에 도시된 드레인 회로기판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배열된 드레인 구동 IC(6)가 배선층들이 모든 기능을 갖고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게 하기 위하여 입력전극들(6A)에 연결되는 각각의 배선층들을 허용하기 때문에 배선층의 설계가 용이해지고 배치의 복잡성이 줄어들게 된다.
각 배선층의 저항율이 모든 기능별로 지정된 값에 근사에서 결정되는 경우에 각 배선층의 저항 조절은 서로 인접되게 같은 사용 목적으로 상기 배선층을 배열함으로서 용이해진다.
도 1에 나타난 바와같이, 드레인 구동 IC(6)의 입력 전극들에 각각 연결된 배선층들(70)은 기능에 따라 몇가지 그룹으로 나누어지고 도 1의 우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논리입력리드, 기준전원 공급 입력리드, 전원공급 입력리드, 기준전원 공급 입력리드, 논리입력리드가 각 그룹에 배열되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논리입력리드는 사실상 이곳에 속해있는 배선층들의 저항값을 하나로 통일하기 위하여 형성되고, 상기 기준 전원공급리드는 이곳에 속해있는 배선층들의 저항값을 하나로 통일하기 위하여 형성되며, 상기 전원공급리드는 사실상 이곳에 속해있는 배선층들의 저항값을 하나로 통일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각 그룹의 배선층들 사이의 저항 편차를 줄이기 위하여 상기 논리입력리드의 배선층은 두개의 서브 그룹으로 나누게 된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좌측의 서브 그룹중 하나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배선층(70)은 우측에서 좌측으로 미리 설정된 번호에 의해 "논리"(논리입력리드), "Ref."(기준전원 공급 입력리드) 및 "전원"(전원공급 입력리드)의 각 그룹으로 분배된다.
논리 군의 배선층의 라인폭은 우측(배선 영역의 끝부분)에서 좌측(배선 영역의 중간부분)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도록 설계된다.
배선영역은 앞서 언급한 배선층들(금속같은 전도성 물질, 합금, 전도성 산화물, 또는 이것들의 조합물)을 배열하기 위한 투명기판에 제공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도 4는 드레인 구동 IC(6)의 대한 배선 영역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논리" 라고 지정된 단자들(70A)은 도 1의 논리입력부에 배치되고, 논리신호를 받기위해 드레인 구동 IC(6)의 입력 전극(6A)에 연결된다.
"Ref." 라고 지정된 단자들(70A)은 도 1의 기준전원 공급 입력부에 배치되고, 기준전압 신호 또는 기준전압을 받기위해 드레인 구동 IC(6)의 입력 전극(6A)에 연결된다.
"전원" 라고 지정된 단자들(70A)은 도 1의 전원 공급 입력부에 배치되고, 드레인 구동 IC 또는 그밖의 것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전기 전원을 받기 위하여 드레인 구동 IC(6)의 입력 전극(6A)에 연결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같이, 각각의 논리입력리드(배선층(70))는 도면에서 이것의 길이가 우측에서 좌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상기 드레인 구동 IC(6)와 신호공급 단자들(70B) 사이에서 방사상으로 분기되어 배열되게 된다.
논리입력리드의 각 배선층들(70)은 신호공급단자들(70B)을 향해 곧바로 이어진 제 1부분과, 상기 제 1부분에 횡방향으로 이어진 제 2부분을 갖는다.
앞서 언급된 논리입력리드의 각 배선층의 저항 조절은 적어도 상기 제 1부분 및 제 2부분중 하나의 라인폭을 바꾸는 것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부분들중의 하나는 배선층의 설계에 따라 제거될 것이다.
앞서 언급한 그룹들의 배선층의 저항 조절을 위하여, 논리입력리드의 배선층들은 (드레인 구동 IC에 해당되는) 전원공급 입력리드의 영역보다는 해당 드레인 구동 IC에 대한 배선 영역의 외측부에 바람직하게 배치되어야 한다.
도 4와 같이 우측에서 좌측으로(드레인 구동 IC(6)에 대한 배선 영역의 중간부분을 향하여)갈수록 라인 폭이 점점 좁아지도록 논리입력리드의 각 배선층을 형성함으로써 배선층의 저항값들이 앞서 언급한 배열에서 똑같게 된다.
배선층의 저항을 똑같이 하는 것이 반드시 미리 설정된 값과 동일하게 저항값을 조절하는 것을 말하는 것은 아니고, 허용된 오차에 기인한 어떤 범위내(실질적으로는 동일한)에서의 편차를 허용하는 것을 말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배선층들의 전기저항의 편차는 드레인 구동 IC의 작동 한계에 의한 평균치에서 20% 이내에서 허용되지만, 제어IC, 전원공급회로 또는 그밖의 것들과 같은 외부회로들을 고려하여 평균치에서 10%이내에서 조절되어진다.
기준전원 공급 리드의 그룹은 논리입력리드가 이용된 다른 배선층의 그룹에 인접한 배선층들의 미리 결정된 개수로 구성하고, 기준전원 공급 리드를 이용한 각 배선층들은 도 4와 같이 우측에서 좌측으로 갈수록 라인 폭이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논리입력리드의 배선층 설계에서, 기준전원 공급리드의 배선층들 역시 도면상에서 길이가 우측에서 좌측으로 갈수록 짧아지도록(드레인 구동 IC(6)에 대하여 배선 영역의 중간부분을 향하여) 드레인 구동 IC(6)와 신호 공급단자들(70B) 사이에 방사상 분기 형태로 배열된다.
도 4와 같이 우측에서 좌측으로(드레인 구동 IC(6)에 대한 배선 영역의 중간부분을 향하여)갈수록 라인 폭이 점점 좁아지도록 기준전원 공급 리드의 각 배선층을 형성함으로써 배선층의 저항값들이 균일하게 배치된다. 기준전원 공급 리드의전기 저항 조절은 논리입력리드의 전기 저항 조절을 한 후에 수행된다.
각 기준전원 공급 리드의 배선층 사이에서 균일해진 저항율은 논리입력리드의 다른 배선층 사이에서 균일해진 저항율과 같아지지 않는 것이 필요하다.
논리입력리드의 균일한 저항과 기준전원 공급 리드의 균일한 저항 사이의 차이를 허용하는 근거는 논리신호 또는 그밖의 신호의 파형 지연에서 가능한 편차는 실제적으로 논리입력리드 저항의 균일화에 의해 피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기준전압은 실제적으로 기준전원 공급 리드 저항의 균일화에 의해 불안정이나 편차없이 각각의 기준전원 공급 리드를 통해 공급될 수 있다.
더우기 이 실시예에서, 전원공급리드에 이용된 배선층들의 길이(리드 길이)간의 차이는 도 1에 나타난 바와같이, 드레인 구동 IC(6)에서 전원공급 입력부의 입력전극(6A)이 상기 드레인 구동 IC의 중간 부분(거의 중앙부분)에 위치되게 설계되기 때문에 논리입력리드 또는 기준전원 공급 리드의 그것들과는 대조적으로 무시하게 된다.
이러한 각각의 전원공급리드는 4개의 배선층들(70)이 상기 단자들(70A) 근처에서 상기 4개의 배선층의 연장 방향에 횡으로 뻗어있는 다른 배선층과 중첩되도록 배열되어진다. 그래서, 다른 배선층은 꽤나 넓은 폭을 가진 전도층으로서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배열을 이용함으로서, 전원공급리드를 통해 공급된 전원공급전압의 가능한 전압강하가 상기 드레인 구동 IC(6)의 작동 전압 범위가 가능한 한 크게 유지되도록 억압된다.
앞에서의 설명으로부터 알수 있듯이 이 실시예의 구조는 상호적으로 고유 저항이 높은 값일 때일지라도 논리신호 입력 전극들에 연결된 배선층의 전기저항을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한다. 그리고, 상호적으로 고유 저항이 높은 값일 때일지라도 기준전원 공급 전극들에 연결된 배선층의 전기저항을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드레인 구동 IC(다른 말로, 영상신호 구동기)의 논리신호 입력전극에 연결된 배선층의 전기저항을 균일하게 함으로서, 그것들을 통해 전송된 신호들의 파형 지연의 편차가 방지되고 이에 따라서 영상신호 구동회로의 작동이 안정화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드레인 구동 IC의 기준전원 공급 전극에 연결된 배선층의 전기저항을 균일하게 함으로서, 공급된 기준전압(또는 기준 전압신호)의 잠재된 전압강하에 있어 가능한 편차를 충분하게 억압시킬 수 있다.
상기 배선층이 영상신호 구동회로의 입력측에 밀접하게 형성되었을지라도 앞서 설명한 것들과 유사한 이점은 오직 같은 종류의 신호들이 전송되는 배선층의 전기적 저항이 서로 실질적으로 균일해짐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논리신호 입력전극에 연결된 배선층들은 서로 상호적으로 밀접하게 배치되고, 기준전원 공급전극에 연결된 배선층들은 서로 상호적으로 밀접되게 배치된다.
그래서, 서로 인접되게 배치된 배선층의 균일화를 위한 저항 조절이 꽤 간단해진다.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 각 배선층들의 저항율은 라인폭의 조절을 통해 균일화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오로지 거기에만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발명 역시 다른 전도층 또는 추가적인 전도층들 또는 앞에서 배선층이라고 언급된 전도층 아래를 적층하는 것에 의해 구현된다.
이와같이 형성된 배선층은 다층구조를 갖는다.
다른 전도층 또는 추가적인 전도층의 길이를 제한하여 배선층의 적층구조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배선층의 전기 저항이 바람직한 값으로 정착될 수 있다.
그래서, 다른 전도층 또는 추가적인 전도층들은 상기 배선층의 위 또는 아래에 부분적으로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적층 구조의 길이는 같은 그룹에 속해있는 배선층들에 따라 변하게 된다.
예를 들면, 배선층과 ITO(Indium-Tin-Oxide)막 사이에 배치된 절연막의 개구내에서 배선층과 접촉된 ITO막은 다른 전도층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배열된 상기 ITO막은 금속, 합금의 적층구조로 형성된 배선층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경우에, 상기 적층구조의 길이는 앞서 언급된 개구의 크기로서 조절되어진다.
상기의 실시예의 목적은 실질적으로 논리신호 입력리드 저항 및 기준전원 공급리드 저항을 균일하게 하는데 있다.
논리신호 입력리드가 다소 드레인 구동 IC(6)의 주변(도 1에서 우측 및 좌측면)에 배치되기 때문에 라인 길이 사이의 차이가 기준전원 공급리드의 라인 길이 사이의 차이에 비해서 커지게 된다. 이 경우에 중요한 이점이 오직 실질적으로 논리신호 입력리드 저항을 균일화하는 것에 의해 나타내게 된다.
더우기, 이 실시예에서 드레인 구동 IC는 도 1에 나나난 바와같이 논리입력부, 기준전원 공급 입력부 및 전원공급 입력부에 그러한 배열이 채용되지 않는 것이 필요하고 이러한 부들은 다른 배열들로 수정될 것이다.
게다가 앞서 설명한 실시예는 소위 횡전계방식의 액정표시장치의 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타입의 액정표시장치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앞의 설명에 나타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는 영상신호 구동회로가 안정된 작동을 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여러가지 실시예가 보여지고 설명되었지만, 같은 것들은 거기에 한정되지 않고 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가 많은 변화와 수정을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보여지고 설명된 사항들에 제한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보호될 수 있는 모든 변화 및 수정들이 수용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어있는 한 쌍의 기판과, 상기 한 쌍의 기판 사이에 밀봉되어있는 액정층과, 상기 액정층에 직면한 한 쌍의 기판중 한 기판의 표면위에 배치되어있는 영상신호 구동회로부와, 한 쌍의 기판중 일 기판의 외부회로에 전기적으로 영상신호 구동회로부를 연결하도록 표면상에 형성되어있는 복수의 배선층들로 구성되어,
복수의 배선층들 중 적어도 2개가 제 1그룹에 속하고 각각의 논리신호를 받기위해 영상신호 구동회로부의 입력전극에 연결되고, 제 1그룹의 배선층들 이외에 다른 복수의 배선층들중 적어도 2개가 제 2그룹에 속하며 논리신호를 받기위해 영상신호 구동회로부의 입력전극에 연결되고, 각각의 전압공급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 1그룹에 속해있는 배선층들과 제 2그룹에 속해있는 배선층들의 그룹들중 적어도 한 그룹은 실제적으로 서로 유사하게 된다.
이와같이 배열된 액정표시장치는 저항값들을 서로 비숫하게 하기 위하여 지정된 범위내에서 논리입력전극들에 연결된 배선층들 사이에 저항값을 유지함으로써 바람직하게 신호 파형의 지연이 더 이상 발생되지 않고, 영상신호 구동회로의 작동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저항값들을 서로 비숫하게 하기 위하여 지정된 범위내에서 기준전원 공급전극들에 연결된 배선층들 사이에 저항값을 유지함으로서 사용된 기준전원 공급의 잠재 전압강하에 따른 편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논리입력전극들에 연결된 배선층들은 서로 근처에 배열되고, 기준전원 공급전극들에 연결된 배선층들은 제각기 서로 근접되어 배열되게 된다. 따라서,관련된 배선층의 전기 저항을 실질적으로 균일화하기 위한 배선층의 배선 설계 및 배열이 단순해진다.
따라서, 이와같이 배열된 액정표시장치는 영상신호 구동회로의 작동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Claims (17)

  1. 그 사이에 액정층이 밀봉되어 있는 한쌍의 기판과,
    상기 한쌍의 기판 중 한측의 기판에 설치된 복수의 스위칭소자(TFT)와,
    상기 한쌍의 기판 중 상기 한측의 기판의 단부에 나란히 설치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스위칭소자에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영상신호구동회로와,
    상기 한쌍의 기판 중 상기 한측의 기판의 상기 단부에 병설된 복수의 단자를 통하여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구동회로 중 하나의 입력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배선층이 각각 형성된 복수의 출력부를 각각 갖는 복수의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한쌍의 기판 중 상기 한측의 기판의 상기 단부에 형성되어 또한 그 각각은 상기 복수의 단자의 하나를 상기 복수의 입력전극의 하나에 접속하는 복수의 배선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단자는 상기 한쌍의 기판 중 상기 한측의 기판의 상기 단부를 따라 적어도 제 1, 제2 및 제 3의 그룹으로 차례로 나누어지고, 상기 제1, 제2 및 제 3의 그룹의 각각은 상기 복수의 단자의 적어도 두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또는 제 3의 그룹의 어느 하나에 속하는 상기 단자는 인쇄회로기판에서의 논리신호를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구동회로의 상기 하나에 입력하고, 상기 제2의 그룹에 속하는 상기 단자는 인쇄회로기판에서의 전력을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구동회로의 하나에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선은 상기 제1의 그룹에 속하는 상기 단자에 접속되는 제 1 논리입력그룹과 상기 제 2의 그룹에 속하는 상기 단자에 접속되는 전원입력그룹 및 상기 제 3의 그룹에 속하는 상기 단자에 접속되는 제 2의 논리입력그룹에 각각 분리되고,
    상기 전원입력그룹의 상기 배선은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구동회로의 상기 하나에 대해서 중앙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논리입력그룹의 상기 배선은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구동회로의 상기 하나에 대한 상기 중앙부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논리입력그룹의 상기 배선은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구동회로의 상기 하나에 대한 상기 중앙부의 타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논리입력그룹 또는 상기 제 2 논리입력그룹의 어느 하나에 속하는 상기 배선은 상기 영상신호구동회로에서 상기 복수의 단자를 향해 방사상으로 발산하도록 상기 중앙부에 대해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4. 그 사이에 액정층이 밀봉되어 있는 한쌍의 기판과,
    상기 한쌍의 기판 중 한측의 기판과 이 한쌍의 기판의 타측 기판이 대향하는 표면에 설치된 복수의 스위칭소자(TFT)와,
    상기 한쌍의 기판의 상기 한측의 기판의 상기 표면의 주변부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스위칭소자에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영상신호구동회로와,
    상기 한쌍의 기판 중 상기 한측의 기판의 상기 표면의 상기 주변부에 상기 영상신호구동회로에서 상기 한쌍의 기판 중 한측의 기판의 표면의 단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그 각각은 상기 영상신호구동회로의 입력전극의 하나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일단과 단자가 형성된 타단을 갖는 복수의 배선층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배선층은 상기 한쌍의 기판 중 한측의 기판의 상기 단에 병설되고 또한 상기 단을 따라 제 1논리입력그룹, 전원입력그룹, 제 2 논리입력그룹으로 차례로 나누어지며,
    상기 그룹의 각각은 상기 복수의 배선층을 적어도 2개 가지고,
    상기 제 1논리입력그룹 또는 제 2논리입력그룹의 어느 하나에 속하는 상기 배선층의 각각은 이것에 대응하는 상기 단자에서 받은 논리신호를 상기 영상신호구동회로에 입력하는 논리입력배선이며,
    상기 전원입력그룹에 속하는 상기 배선층의 각각은 이것에 대응하는 상기 단자에서 받은 전력을 상기 영상신호구동회로에 입력하는 전원(입력배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1 논리입력그룹 또는 제 2논리입력그룹의 어느 하나에 속하는 상기 배선층은 상기 전원입력그룹에 속하는 상기 배선층에 대해서 상기 한쌍의 기판 중 상기 한측의 기판의 상기 표면단부를 향해서 방사상으로 발산하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원입력그룹에 속하는 상기 배선층은 상기 한쌍의 기판 중 한측의 기판의 상기 표면단부를 따라 차례로 배치된 제1, 제2 및 제3의 하부그룹으로 나누어지고,
    상기 하부그룹의 각각은 상기 전원입력그룹에 속하는 상기 배선층을 적어도 2개 포함하고,
    상기 제1의 하부그룹 또는 상기 제3의 하부그룹의 어느 하나에 속하는 상기 배선층의 각각은 상기 영상신호구동회로에의 기준전압공급배선으로 구성되며,
    그리고 상기 제2의 하부그룹에 속하는 상기 배선층의 각각은 상기 영상신호구동회로에의 전원(공급배선)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논리입력그룹은 상기 제 2 논리입력그룹의 어느 하나에 속하는 상기 배선의 배선폭이 상기 중앙부에 접근함에 따라서 서서히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그룹에 속하는 상기 복수의 단자는 상기 한쌍의 기판 중 상기 한측의 기판의 상기 단을 따라 다시 제4, 제5, 제6의 하부그룹으로 차례로 나누어지고,
    상기 제4, 제5, 제6의 하부그룹의 각각은 상기 제 2그룹에 속하는 단자의 적어도 2개를 포함하고,
    상기 제 4의 하부그룹 또는 제 6의 하부그룹의 어느 하나에 속하는 상기 단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서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구동회로의 상기 하나에 기준전압을 입력하고,
    또한, 상기 제5의 하부그룹에 속하는 상기 단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서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구동회로의 상기 하나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한쌍의 기판 중 상기 한측의 기판의 상기 단을 따라 2개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9990025234A 1998-06-29 1999-06-29 액정표시장치 KR1003501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183022 1998-06-29
JP10183022A JP2000019549A (ja) 1998-06-29 1998-06-29 液晶表示装置
JPJP??98-183022^M 1999-06-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4545A KR20010004545A (ko) 2001-01-15
KR100350137B1 true KR100350137B1 (ko) 2002-08-24

Family

ID=16128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5234A KR100350137B1 (ko) 1998-06-29 1999-06-29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437764B1 (ko)
JP (1) JP2000019549A (ko)
KR (1) KR100350137B1 (ko)
TW (1) TW57117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25889B1 (en) * 1998-11-30 2004-11-30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crystal device with an offset toward a clear viewing direction and projection type display device using the liquid crystal device
KR100666317B1 (ko) * 1999-12-15 2007-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구동 신호 인가시점 결정모듈, 이를 포함한 액정표시패널어셈블리 및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의 구동 방법
JP3892650B2 (ja) 2000-07-25 2007-03-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
US6825820B2 (en) * 2000-08-10 2004-11-3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100502801B1 (ko) * 2000-12-15 2005-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100392603B1 (ko) * 2001-04-09 2003-07-2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구동 아이씨 연결부
US20030227447A1 (en) * 2002-06-04 2003-12-11 Ngk Insulators, Ltd. Display device
KR100840330B1 (ko) 2002-08-07 2008-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에 사용하는 구동 집적 회로
JP4059750B2 (ja) * 2002-10-28 2008-03-12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165385A (ja) * 2002-11-12 2004-06-10 Wintek Corp Icに高ボルト静電圧放電を抑制させることができるitoリード配線方法
KR100945585B1 (ko) 2003-06-12 2010-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3965695B2 (ja) 2004-01-30 2007-08-29 船井電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2005242017A (ja) * 2004-02-26 2005-09-08 Optrex Corp 液晶表示パネル及び液晶表示装置
KR20080001975A (ko) * 2006-06-30 2008-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기판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101255275B1 (ko) * 2006-10-13 2013-04-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액정 표시 장치,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위한 제조공정용 합착 장비
CN102062960A (zh) * 2009-11-13 2011-05-18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液晶显示器面板
JP2017021087A (ja) * 2015-07-07 2017-01-26 パナソニック液晶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駆動回路及び表示装置
CN106405956B (zh) * 2016-12-19 2019-06-14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阵列基板、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09143701A (zh) * 2018-08-30 2019-01-04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液晶面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2807A (ja) * 1992-09-04 1994-03-25 Nec Corp 液晶表示装置
JPH07318965A (ja) * 1994-05-24 1995-12-08 Sony Corp 表示装置
JPH0822026A (ja) * 1994-07-08 1996-01-23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
JPH0876147A (ja) * 1994-07-08 1996-03-22 Hitachi Ltd Tft液晶表示ディスプレイ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2199A (en) * 1993-01-27 1997-01-07 Sharp Kabushiki Kaisha Assembly structure of a flat type device including a panel having electrode terminals disposed on a peripheral portion thereof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5610414A (en) * 1993-07-28 1997-03-11 Sharp Kabushiki Kaisha Semiconductor device
US6081305A (en) * 1995-05-30 2000-06-27 Hitachi, Ltd. Liquid crystal light valve and projection type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such valve
TW413993B (en) * 1996-03-15 2000-12-01 Sharp Kk Image display device
JPH1152429A (ja) * 1997-06-05 1999-02-26 Seiko Epson Corp 液晶パネル用基板、液晶パネル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2807A (ja) * 1992-09-04 1994-03-25 Nec Corp 液晶表示装置
JPH07318965A (ja) * 1994-05-24 1995-12-08 Sony Corp 表示装置
JPH0822026A (ja) * 1994-07-08 1996-01-23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
JPH0876147A (ja) * 1994-07-08 1996-03-22 Hitachi Ltd Tft液晶表示ディスプレ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019549A (ja) 2000-01-21
TW571170B (en) 2004-01-11
KR20010004545A (ko) 2001-01-15
US6437764B1 (en) 2002-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0137B1 (ko) 액정표시장치
US712999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840330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에 사용하는 구동 집적 회로
US6618111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4050017B2 (ja) 等抵抗配線液晶表示装置
US7760314B2 (en) Display device
US8395744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dummy pixel region
US924014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671083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stacked insulating film of different layers
EP0617311B1 (en) Liquid crystal display
KR20040060619A (ko) 액정 표시 장치
US20070195253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one pixel electrode having a plurality of generally circular patterns in each pixel region
US20190280013A1 (en) Active matrix substrate and display panel
JP3980462B2 (ja) 画像表示装置
US10928696B2 (en) Wiring substrate and display panel
US7123251B2 (en) Image display device
EP1426914B1 (en) Electro-optic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t
KR100309063B1 (ko) 액정표시장치
US20150103283A1 (en) Display device
JP2020091318A (ja) 薄膜トランジスタ基板及び表示パネル
KR20050010136A (ko) 액정 표시 장치
JP2008077106A (ja) 表示装置
KR20060020896A (ko)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를 포함하는 연성 인쇄 회로 기판
KR20050005257A (ko) 액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