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9315B1 - 선재 자동 교체장치 - Google Patents

선재 자동 교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9315B1
KR100349315B1 KR1020000012804A KR20000012804A KR100349315B1 KR 100349315 B1 KR100349315 B1 KR 100349315B1 KR 1020000012804 A KR1020000012804 A KR 1020000012804A KR 20000012804 A KR20000012804 A KR 20000012804A KR 100349315 B1 KR100349315 B1 KR 100349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wire
wire rod
turning bar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2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1284A (ko
Inventor
김승달
엄태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12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9315B1/ko
Publication of KR20010091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1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9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93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7/00Replacing or removing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 B65H67/02Arrangements for removing spent cores or receptacles and replacing by supply packages at paying-out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4Handled filamentary material electric cords or electric power cables
    • B65H2701/341Handled filamentary material electric cords or electric power cables in a manufacturing process

Landscapes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캐리어에 권취된 선재의 공급이 끝나면 선재의 일정 장력에 의하여 대기중인 "B" 캐리어로 중심이 자동으로 이동되어 연속 작업이 무인화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선재 자동 교체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전선 제조기로 공급되는 선재에 일정한 장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텐션롤러가 프레임에 설치된 브래킷을 매개로 설치되고, 상기 브래킷의 하부에 설치된 중심블록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터닝바가 설치되며, 상기 터닝바의 일측으로는 캐리어로부터 공급되는 선재를 가이드 하는 인입다이스를 구비한 인입롤러 및 이 인입롤러로부터 안내된 선재를 상기 중심블록으로 안내하는 센터링롤러가 설치되며, 상기 터닝바의 타측으로는 상기 인입롤러 및 센터링롤러 부분과 밸런스를 맞추어 캐리어로부터 공급되는 선재의 공급장력만으로 터닝바가 터닝하여 캐리어의 선재 공급이 전환될 수 있도록 하는 무게추가 설치되어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재 자동 교체장치{Design for Auto Change Equipment Carrier Wire}
본 발명은 전선 제조기에 선재를 공급하기 위해 권취된 선재를 공급하는 캐리어를 자동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선재 자동 교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을 제조하기 위하여 전선 제조기로 선재 공급을 하는 공정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는 신선기에서 제조된 선재를 캐리어 내에 권취하여 전선 제조공정에 투입하게 된다.
종래에는 전선 제조기에 선재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재(100)를 전선 제조기(도시생략)로 공급하고 있는 "A" 캐리어(200)의 선재 종단과 대기중인 "B" 캐리어(300)의 선재 시단을 압접한 상태로 하여 상기 "A" 캐리어(200) 내의 선재(100) 공급이 끝 날 때쯤 작업자가 끈(102)을 잡아 당겨 대기중인 "B" 캐리어(300) 방향으로 이동시켜 선재(100)가 계속해서 공급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끈(102)은 캐리어(200) 가장자리에 설치된 파이프(104)에 묶여 있고, 그 타단부는 터닝바(106)에 묶여 있다.
도면중 설명부호 108은 터닝바(106)의 일측 하단에 브래킷(110)을 매개로 설치되어 선재(100)를 안내하는 인입롤러이고, 112는 출선롤러이며, 114는 상기 터닝바(106)의 타단과 연결되어 터닝바(106)의 회전중심이 되는 브래킷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작업자가 끈(102)을 이용하여 "A" 캐리어(200)에서 "B" 캐리어 (300)로 선재(100)의 이송 중심부를 이동시켜 주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선재의 이동각도가 30°이상되어 캐리어 내에서 선재가 엉킴되거나 오버텐션 등으로 끊어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여기서 선재의 이동각도란 출선롤러(112)로부터 "A"캐리어(200)로 연결되는 선재(100)의 방향과 출선롤러(112)로부터 "B" 캐리어(300)로 연결되는 선재(100)의 방향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를 의미한다. 따라서 선재가 "캐리어"(200)로부터 완전히 풀려진 상태에서 선재(100)가 풀려지는 방향이 "캐리어"(300)의 중심부에서 가까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선재(100)에 가해지는 장력이 지나치게 작용하여 오버텐션이 일어나고, 이 오버텐션의 힘에 의해 갑자기 선재(100)가 풀려나가는 경우가 발생하여 선재 엉킴이 발생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양 캐리어(200)(300) 간에 선재(100)의 이동을 위하여 작업자가 끈(102)을 이용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작업인원이 필요하게 되어 생산비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A" 캐리어에 권취된 선재의 공급이 끝나면 선재의 일정 장력에 의하여 대기중인 "B" 캐리어로 중심이 자동으로 이동되어 연속 작업이 무인화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선재 자동 교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선 제조기로 공급되는 선재에 일정한 장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텐션롤러가 프레임에 설치된 브래킷을 매개로 설치되고,
상기 브래킷의 하부에 설치된 중심블록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터닝바가 설치되며,
상기 터닝바의 일측으로는 캐리어로부터 공급되는 선재를 가이드 하는 인입다이스를 구비한 인입롤러 및 이 인입롤러로부터 안내된 선재를 상기 중심블록으로 안내하는 센터링롤러가 설치되며,
상기 터닝바의 타측으로는 상기 인입롤러 및 센터링롤러 부분과 밸런스를 맞추어 캐리어로부터 공급되는 선재의 공급장력만으로 터닝바가 터닝하여 캐리어의 선재 공급이 전환될 수 있도록 하는 무게추가 설치되어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입롤러 외관에는 터닝바의 터닝시 캐리어로부터 공급되는 선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탈방지핀이 일정간격으로 복수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게추는 터닝바에서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선재 교체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선재 자동 교체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요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레임 12 : 브래킷
14 : 텐션롤러 16 : 중심블록
18 : 중공축 20 : 트러스트 베어링
22 : 볼베어링 24 : 터닝바
26 : 인입다이스 28 : 인입롤러
30 : 센터링롤러 32 : 무게추
34 : 이탈방지핀 100 : 선재
200 : "A" 캐리어 300 : "B" 캐리어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종래와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은 같은 도면부호로 표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선재 자동 교체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요부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의 상부에 브래킷(12)이 고정 설치되고, 이 브래킷(12)을 통해 전선 제조기(도시생략)로 공급되는 선재(100)에 일정한 장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텐션롤러(14)가 설치된다.
상기 브래킷(12)의 하부에는 중심블록(16)이 설치되고, 상기 중심블록(16)의 하부에는 일축으로 볼베어링(22)과 트러스트 베어링(20)이 설치되고, 상기 볼베어링(22)에는 중공축(18)의 일단이 강제 끼움으로 결합 연결되어 있고, 중공축(18)의 타단은 터닝바(24)에 연결 고정되어 있고, 상기 스터스트 베어링(20)은 볼베어링(22)의 밑면에 배치되어 볼베어링(22)에 작용하는 수직의 힘을 지지하게 되어 있다.즉, 터닝바(24)는 증공축(18)을 중심으로 하여 360° 회전가능하고, 이때 중공축(18)의 회전은 볼베어링(22)에 의해 지지되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터닝바(24)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트러스트 베어링(20)에 의하여 터닝바(24)의 회전시 진동 및 수평을 유지하게 되고, 볼베어링 (22)에 의하여 흔들림이 방지되게 된다.
상기 터닝바(24)의 일측으로는 "A" 캐리어(200) 또는 "B" 캐리어(300)로부터 공급되는 선재(100)를 가이드 하는 인입다이스(26)를 구비한 인입롤러(28) 및 이 인입롤러(28)로부터 안내된 선재(100)를 상기 중심블록(16)의 중공축(18)으로 안내하는 센터링롤러(30)가 설치되며, 상기 터닝바(24)의 타측으로는 상기 인입롤러 (28) 및 센터링롤러(30) 부분과 밸런스를 맞추어 "A" 캐리어(200) 또는 "B" 캐리어 (300)로부터 공급되는 선재(100)의 공급장력만으로 터닝바(24)가 터닝하여 "A" 캐리어(200) 또는 "B" 캐리어(300)의 선재(100) 공급이 전환될 수 있도록 하는 무게추(32)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입롤러(28)의 외관에는 터닝바(24)의 터닝시 "A" 캐리어(200) 또는 "B" 캐리어(300)로부터 공급되는 선재(1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탈방지핀(34)이 일정간격으로 복수 설치된다.
상기에서 인입롤러(28) 및 센터링롤러(30)는 가볍고 내구성이 우수한 알루미늄합금 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선재(100)가 안내되는 홈의 치수는 선재 (100)의 꺾임을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인입다이스(26)의 내경을 경질 크롬 도금 처리하여 선재(100)의 이송시 표면 흠집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무게추(32)는 터닝바(24)에서 볼트조절수단에 등에 의하여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선 제조기에 선재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전선 제조기(도시생략)로 선재(100)를 공급하고 있는 "A" 캐리어(200)의 선재 종단과 대기중인 "B" 캐리어(300)의 선재 시단을 압접한 상태로 하여 둔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A" 캐리어(200)에서의 선재(100) 종단이 인입다이스 (26) 구멍으로 통과할 때 선재(100)에 텐션롤러(14)의 긴장력에 의한 장력이 발생되며, 이때 터닝바(24)는 무게추(32)의 밸런스에 의해 회전하여 선재(100)가 대기중인 "B" 캐리어(300)로 교체되고 선재(100)가 인입다이스(26)로 위치하게 되어 선재(100)의 공급 교체가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된다.선재(100)의 공급장력 및 무게추(32)의 작용에 의해서 터닝바(24)가 "A"캐리어(200)의 위치에서 다른 "B"캐리어(300)의 위치로 전환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캐리어(200)에서 선재가 다 풀리게 되면 캐리어(200)에 감아진 최종단은 "B"캐리어(300)의 시작단을 끌어올려 도 2의 제1일점쇄선(X)으로 도시한 위치로 선재가 옮겨지게 된다.선재의 위치가 일점쇄선으로 전환되면 텐션롤러(14)가 갖는 긴장력이 인입다이스(26)와 "B"캐리어(300)구간 사이의 선재(100)에도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일점쇄선의 선재에 작용하는 장력은 중공축(18)과 터닝바(24)에 연결된 인입다이스(26)와는 회전반경(인입다이스와 중공축 간의 거리)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회전력(토르크)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터닝바(24)는 어느 한쪽 즉, 인입다이스(26)측에서 회전력을 부여하기 때문에 회전밸런스를 유지하면서 자연스럽게 회전을 하게 된다.일단 터닝바(24)가 회전을 하게 되면 티닝바(24)는 회전력을 받지 않는 위치까지 회전을 하게 되어 결국 무게추(32)가 반대의 위치에 머무르게 되고 도 3과 같이 선재가 제2일점쇄선(Y)으로 위치를 잡은 상태에서 계속적으로 "B"캐리어(300)로부터 풀려나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작업자가 캐리어 내의 선재를 체인지하던 것을 본 발명에서는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무인화가 가능하게 되고, 선재의 자체 장력에 의해 선재의 자동 교체가 이루어지게 됨으로서 무 구동력으로 비용을 절감하게 되고 그 장치 또한 간단히 이루어져 유지 보수에 유리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현재 공급되는 캐리어의 선재 종단과 차후 전환하려는 캐리어의 선재 시단을 압접한 상태에 두고, 전선 제조기로 공급되는 선재에 일정한 장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텐션롤러가 프레임에 설치된 브래킷을 매개로 설치되고, 상기 브래킷의 하부에 설치된 중심블록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터닝바가 설치되며, 상기 터닝바의 일측으로는 캐리어로부터 공급되는 선재를 가이드 하는 인입다이스를 구비한 인입롤러 및 이 인입롤러로부터 안내된 선재를 상기 중심블록으로 안내하는 센터링롤러가 설치되며, 상기 터닝바의 타측으로는 상기 인입롤러 및 센터링롤러 부분과 밸런스를 맞추어 캐리어로부터 공급되는 선재의 공급장력만으로 터닝바가 터닝하여 캐리어의 선재 공급이 전환될 수 있도록 하는 무게추가 설치되어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자동 교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롤러 외관에는 터닝바의 터닝시 캐리어로부터 공급되는 선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탈방지핀이 일정간격으로 복수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선재 자동 교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는 터닝바에서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자동 교체장치.
KR1020000012804A 2000-03-14 2000-03-14 선재 자동 교체장치 KR100349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2804A KR100349315B1 (ko) 2000-03-14 2000-03-14 선재 자동 교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2804A KR100349315B1 (ko) 2000-03-14 2000-03-14 선재 자동 교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1284A KR20010091284A (ko) 2001-10-23
KR100349315B1 true KR100349315B1 (ko) 2002-08-21

Family

ID=19655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2804A KR100349315B1 (ko) 2000-03-14 2000-03-14 선재 자동 교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93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065B1 (ko) * 2007-03-09 2008-01-17 한국전기연구원 파동 전파형 장선 테이프 증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1284A (ko) 2001-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30298A (en) Self-centering sheave for filaments
CN115041764B (zh) 一种线切割系统及线切割机
US4045992A (en) Dancer pulley mechanism
US8474234B2 (en) Machine for manufacturing strands from wires
KR100349315B1 (ko) 선재 자동 교체장치
US3672584A (en) Winding apparatus
CN216763894U (zh) 一种纱线输送的稳定导纱组件
US4549393A (en) Machine for cabling yarns and in particular glass yarns
CN213112040U (zh) 一种金刚线收放线装置
CN111585406A (zh) 一种绕线用张力调节装置
KR100281481B1 (ko) 와이어 연동공급장치
JP2888127B2 (ja) 線材繰り出しサプライ装置
CN212518732U (zh) 绕线用张力调节装置
JPH0318556Y2 (ko)
JP3036434B2 (ja) フープ材供給リールの交換機構
SU148644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мотки конусных бобин
CN217026211U (zh) 一种锭子防断纱向下弯折导片
CN220886464U (zh) 一种励磁转子绕线机的多工位弹性供线设备
CN116422714A (zh) 一种不停车换轮的自收线水箱拉丝机
KR100196666B1 (ko) 와이어 공급 완충장치
JP2591589Y2 (ja) 供給ボビン同軸型巻線装置
JP2547312B2 (ja) ベルトラッパー装置
EP1331650B1 (en) Method and associated apparatus for reducing the tension of wires during a strand production process
JPS62215474A (ja) 放電加工機のワイヤ電極供給装置
JPH07157195A (ja) タイトコイル巻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