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9208B1 - 폴리에스터방적직물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터방적직물의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49208B1 KR100349208B1 KR1019950030702A KR19950030702A KR100349208B1 KR 100349208 B1 KR100349208 B1 KR 100349208B1 KR 1019950030702 A KR1019950030702 A KR 1019950030702A KR 19950030702 A KR19950030702 A KR 19950030702A KR 100349208 B1 KR100349208 B1 KR 10034920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bric
- polyester
- shrinkage
- cover factor
- wef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7/00—Compound processes or apparatus, for finishing or dressing textile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5/00—Calendering, pressing, ironing, glossing or glazing textile fabrics
- D06C15/02—Calendering, pressing, ironing, glossing or glazing textile fabrics between co-operating press or calender roll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3/00—Speci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terial treated
- D06P3/34—Material containing ester groups
- D06P3/52—Polyesters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스터 방적직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산화티탄을 함유하는 폴리에스터 스테이플사를 커버팩터 13∼18로 제직하고, 모소, 탈호, 정련공정을 거친 후 수축공정을 통하여 커버팩터 22∼30으로 가공한 다음 칼렌더링, 감량, 염색 및 열고정시키므로써 표면모우가 깨끗하고 반발탄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터 방적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폴리에스터 방적직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산화티탄을 함유하는 폴리에스터 스테이플사를 커버팩터 13∼18로 제직하고 모소, 탈호, 정련공정을 거친 후 수축공정을 통하여 커버팩터 22∼30으로 가공한 다음 칼렌더링, 감량, 염색 및 열고정시키므로써 표면 모우가 깨끗하고 반발탄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터 방적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판한 것이다.
종래의 폴리에스터 방적직물은 직물표면에 모우가 많이 돌출하고 모우의 크기도 커서 지저분한 외관을 가지며 또한 반발탄성이 부족하여 제품의 품질이 나쁜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모소가공 등을 진행하였으나 염색 등 후가공 공정에서 발생하는 마찰, 외력 등에 의해 모우가 다시 밖으로 돌출하여 문제점을 개선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폴리에스터 스테이플사의 물성 및 제적, 전처리 가공기술을 개선하여 후가공에서 발생하는 마찰, 외력에 대해서 모우가 밖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였고 칼렌더 공정을 삽입하여 직물의 평활성을 부여하여 주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이산화티타늄을 1.0∼1.5 중량% 함유하고 180℃, 1분 조건에서의 건열수축율이 25∼40%인 폴리에스터 스테이플사를 이용하여 커버팩터(Cover Factor) 13∼18로 제직하고 모소, 탈호, 정련공정을 거친 후 수축공정을 통하여 커버팩터 22∼30으로 가공한 다음 칼렌더링, 감량, 염색 및 열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터 방적직물의 제조방법이다.
ρl,ρ2 = 경,위사의 밀도
Dl, D2 = 경,위사의 데니어
이와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터 방적사는 이소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 등으로 중합하여 이산화티타늄의 함량이 1.0∼1.5 중량% 이고 건열수축율(180℃, 1분)이 25∼40%인 것을 사용하였다.
이산화티타늄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이면 반발탄성이 부족하고, 1.5 중량%를 초과하면 원단이 처짐성이 너무 커져 반발탄성의 효과가 감소한다.
또한 건열수축율이 25% 미만이면 방적직물의 커버팩터가 너무 작아 표면모우가 밖으로 많이 돌출하고, 40%를 초과하면 방적직물의 커버팩터가 너무 커져 촉감이 나빠지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터 방적직물의 제조는 폴리에스터 방적사의 제직, 전처리(모소, 탈호, 정련공정), 수축공정, 칼렌더공정, 감량공정, 염색 및 열고정 공정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직은 폴리에스터 방적사를 사용하여 평직으로 제직하여 직물의 커버팩터가 13∼18이 되도록 한다. 제직후 직물의 커버팩터가 13 미만일 경우는 표면모우의 상태가 불량하며, 18을 초과할 때는 제직시 사의 손상 등 불량이 발생한다.
또한 전처리공정은 연속 전처리 설비에서 모소, 탈호, 정련의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수축공정은 연속 열처리 설비에서 이루어지며 이때 경, 위사 방향으로 장력이 들어가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열처리방식은 건열, 습열처리방식 모두가 가능하며 건열처리 방식의 경우, 열처리온도 175∼190℃에서 60∼90초간 처리함에 의해 이루어지는 바, 처리조건이 175℃, 60초 미만의 경우 수축의 효과가 미흡하고, 190℃, 90초 초과의 경우 촉감이 나빠지는 결점이 있다.
습열처리의 경우 열처리온도 180∼190℃에서 2∼3분간 처리함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때 수분의 인입량은 20∼60cc/분이 적당하다.
처리조건이 180℃, 2분 미만이거나 수분 인입량이 20cc/분 미만이면 수축의 효과가 미흡하고, 처리조건이 190℃, 3분을 초과하거나 수분 인입량이 60cc/분을 초과하면 촉감이 나빠진다.
상기 수축공정에 의해서 제조된 방적직물의 커버팩터는 22∼30이 적당하다. 방적직물의 커버팩터가 22 미만이면 후가공 공정의 외력 및 마찰에 의해서 내부의 모우가 다시 밖으로 돌출하여 표면모우 상태를 불량하게 만들며 커버팩터가 30을 초과하면 직물의 촉감이 뻣뻣해진다.
또한 수축공정후 방적직물의 칼렌더 처리는 칼렌더 설비에서 이루어지는 칼렌더 롤의 온도는 140∼160℃, 처리시간은 3∼10초, 롤사이의 압력은 2.5∼3.5 kg·f/cm2이 적당하다. 처리조건이 140℃, 3초, 2.5 kg·f/cm2미만일 경우 표면 평활성이 불량하며, 160℃, 10초, 3.5 kg·f/cm2초과일 경우 촉감이 뻣뻣해진다.
본 발명의 감량공정은 연속 감량설비에서 이루어지며 감량율은 15∼25%가 적당한 바, 15% 미만시 촉감이 뻣뻣해지고, 25% 초과시 반발탄성이 줄어든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염색을 제트 염색기에서 이루어지며 수압이 1.5∼2.5 kg·f/cm2이 적당한 바, 수압이 1.5 kg·f/cm2미만일 경우 염색 불균일 등의 문제가 있고, 2.5 kg·f/cm2초과일 경우 방적직물 내부의 모우가 상대적으로 많이 밖으로 돌출하여 표면의 모우가 불량해진다.
열처리온도는 160∼170℃가 적당한 바, 160℃ 미만일 경우 형태안정성이 미흡하며 180℃ 초과일 경우는 촉감이 나빠진다.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에스터 방적직물은 표면모우가 깨끗하고 뛰어난 반발탄성과 평활한 표면을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는 바, 실시예로 인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
이산화티타늄의 함량이 1.2중량%, 건열수축율(180℃, 1분)이 33%, 모노필라멘트의 섬도가 1.2데니어, 길이다 38mm인 폴리에스터 스테이플사를 총섬도 100데니어와 l20데니어인 방적사로 만들어 각각을 경,위사로 사용하여 방적직물의 커버팩터를 16으로 평직으로 제직한 후 연속전처리 설비에서 모소, 탈호, 정련한 후 다음과 같은 공정으로 처리하였다.
제 1 공정(수축공정) 연속 고온 스팀어설비에서 방적직물을 180℃, 60초, 40cc/분 조건으로 처리하여 방적직물의 커버팩터를 26으로 하였다.
제 2 공정(칼렌더공정) 수축처리된 방적직물을 러버-스틸 칼렌더 설비에서 150℃, 5초, 3 kg·f/cm2조건으로 처리하였다.
상기 공정으로 처리된 방적직물을 연속감량기에서 20% 감량한 후 제트염색기에서 130℃에서 30분간 2 kg·f/cm2의 수압으로 염색한 후 170°C에서 1분간 열처리하였다.
〈 비교예 1 〉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하나, 제 1,2 공정을 생략하였다.
〈 비교예 2 〉
이산화티타늄의 함량이 40 중량% 건열수축율(180℃, 1분)이 10%, 모노 필라멘트의 섬도가 1.2데니어, 길이가 38mm인 폴리에스터 스테이플사를 총섬도 100데니어와 120데니어인 방적사로 만들어 각각을 경,위사로 사용하여 방적직물의 커버팩터를 16으로 평직으로 제직한 후 연속전처리 설비에서 모소, 탈호, 정련한 후 다음과 같은 공정으로 처리하였다.
제 1 공정(수축공정) 연속 고온 스팀어설비에서 방적직물을 180℃, 60초, 40cc/분 조건으로 처리하였다.
제 2 공정(칼렌더공정) 수축처리된 방적직물을 러버-스틸 칼렌더 설비에서 150℃, 5초, 3 kg·f/cm2조건으로 처리하였다.
상기 공정으로 처리된 방적직물을 연속감량기에서 20% 감량한 후 제트염색기에서 130℃에서 30분간 2 kg·f/cm2의 수압으로 염색한 후 170℃에서 1분간 열처리하였다.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된 직물의 물성을 표1에 나타내었다.
[표1]
※ 모 우 수 : 적을수록 표면상태가 양호
반발탄성 : KOSHl, HARI- 숫자가 클수록 양호(Max. 5)
평 활 성 : 두께가 작을수록 평활성 양호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방적직물은 평활한 표면을 가지면서 표면모우 상태가 양호하고 반발탄성 등 촉감이 우수하다.
Claims (4)
- 이산화티타늄을 1.0∼1.5 중량% 함유하고 180℃, 1분 조건에서의 건열수축율이 25∼40%인 폴리에스터 스테이플사를 이용하여 커버 팩터(Cover Factor) 13∼18로 제직하고 모소, 탈호, 정련공정을 거친 후 수축공정을 통하여 커버팩터 22∼30으로 가공한 다음 칼렌더링, 감량, 염색 및 열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터 방적직물의 제조방법.ρ1,ρ2 = 경,위사의 밀도Dl, D2 = 경,위사의 데니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공정은 175∼190℃에서 60∼90초간 건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터 방적직물의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공정은 180∼190℃에서 2∼3분간, 수분인입량 20∼60cc/분으로 습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터 방적직물의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칼렌더링은 칼렌더를 온도 140∼160℃, 처리시간 3∼10초, 롤사이의 압력 2.5∼3.5 kg·f/cm2의 조건으로 실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터 방적직물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50030702A KR100349208B1 (ko) | 1995-09-19 | 1995-09-19 | 폴리에스터방적직물의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50030702A KR100349208B1 (ko) | 1995-09-19 | 1995-09-19 | 폴리에스터방적직물의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15838A KR970015838A (ko) | 1997-04-28 |
KR100349208B1 true KR100349208B1 (ko) | 2002-11-05 |
Family
ID=37488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50030702A KR100349208B1 (ko) | 1995-09-19 | 1995-09-19 | 폴리에스터방적직물의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349208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03681B1 (ko) | 2010-02-12 | 2012-01-11 | 주식회사영인실업 | 천연소재의 질감을 갖는 폴리에스테르직물 및 그 제조방법 |
KR101412098B1 (ko) | 2013-06-28 | 2014-06-26 | 삼성염직(주) | 고강력 폴리에스테르 연신사 직물의 염색방법 및 이에 의해 염색된 고강력 폴리에스테르 연신사 직물 |
-
1995
- 1995-09-19 KR KR1019950030702A patent/KR10034920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03681B1 (ko) | 2010-02-12 | 2012-01-11 | 주식회사영인실업 | 천연소재의 질감을 갖는 폴리에스테르직물 및 그 제조방법 |
KR101412098B1 (ko) | 2013-06-28 | 2014-06-26 | 삼성염직(주) | 고강력 폴리에스테르 연신사 직물의 염색방법 및 이에 의해 염색된 고강력 폴리에스테르 연신사 직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15838A (ko) | 1997-04-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900613A (en) | Comfortable fabrics of high durability | |
US4941884A (en) | Comfortable fabrics of high durability | |
KR20140101851A (ko) | 폴리트라이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코어 방적사로 제조된 연신성이며 치수 안정한 직조 직물 | |
CN105177810A (zh) | 一种轻柔涤棉防羽面料及其加工方法 | |
GB2222838A (en) | Composite polyester yarn for woven or knitted fabric | |
CN105220350A (zh) | 一种抑菌导湿丝光绒经编面料及其加工工艺 | |
KR100349208B1 (ko) | 폴리에스터방적직물의제조방법 | |
CN111876876B (zh) | 一种再生纤维素纤维软席面料及其制备方法 | |
JP2003138446A (ja) | 高密度薄地織物 | |
CN112626666B (zh) | 一种抗菌纺织面料及生产工艺 | |
KR100587474B1 (ko) | 보풀이 적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천연소재로 만든 침대용원단 | |
JPH1018145A (ja) | セルロースマルチフィラメント交織裏地、及びその製造方法 | |
CN111748893A (zh) | 一种新型仿天丝风格面料及染整工艺 | |
JP4059557B2 (ja) | 染色織物の製法 | |
JP2002220759A (ja) | ダウンプルーフ織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CN213804177U (zh) | 一种便于清理的白坯布 | |
JPH06306764A (ja) | 化合繊複合布帛 | |
JP2728856B2 (ja) | 高伸縮性を備えた毛織物の製造方法 | |
JPH04257333A (ja) | 複合紡績糸 | |
JP3533279B2 (ja) | ストレッチ織物の加工方法 | |
CN109703137B (zh) | 一种超细旦黏胶纤维与全棉纱布的复合布及其制备工艺 | |
JPH0987969A (ja) | セルロース系繊維構造物及びその製造方法 | |
JPH05239726A (ja) | 顕在バルキー糸 | |
JPH0491251A (ja) | ふとん側地の製造方法 | |
JPH07157968A (ja) | セルロース系繊維特殊布帛の製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0625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