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7875B1 - 토크검출장치 - Google Patents

토크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7875B1
KR100347875B1 KR1019990019026A KR19990019026A KR100347875B1 KR 100347875 B1 KR100347875 B1 KR 100347875B1 KR 1019990019026 A KR1019990019026 A KR 1019990019026A KR 19990019026 A KR19990019026 A KR 19990019026A KR 100347875 B1 KR100347875 B1 KR 100347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torque
axis
movable magnetic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9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5716A (ko
Inventor
야스이가쓰아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05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5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7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78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3/00Measuring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or mechanical efficiency, in general
    • G01L3/02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 G01L3/04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 G01L3/10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involv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indica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3/00Measuring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or mechanical efficiency, in general
    • G01L3/02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 G01L3/04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 G01L3/10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involv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indicating
    • G01L3/101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involv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indicating involving magnetic or electromagnetic means
    • G01L3/105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involv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indicating involving magnetic or electromagnetic means involving inductive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토크를 검출할 수 있는 토크검출장치를 얻을수 있다.
이러기 위해서, 상부축(1)과 하부축(2)과의 표면의 상대적인 변위에 대하여 탄성변형하는 소자본체(3)와, 이 소자본체(3)에 지지되고 그 탄성변형에 의해 축방향의 기울기가 변화하는 연자성을 갖는 윙(4)을 포함하는 가동자성소자(5)를 설치하며 윙(4)의 경사를 코일 (6a~6d)에 의해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토크검출장치{TORQUE DETECTOR}
본 발명은 자동차의 파워스티어링기구등, 회전축에 외력이 인가되었을때의 토크를 비접촉으로 검출하기 위한 토크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파워스티어링기구에서는, 파워 어시스트의 량을 결정하기 위해, 조향륜에 가해지는 토크를 검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한 토크검출장치로는 예를 들면 일본국 실개평 1-180737호 공보에 개시된 토크검출장치가 있다.
이 토크검출장치는, 도 7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조향륜이 부착된 상부축(101)과, 조향기구를 도시하지 않은 피니온 기어가 부착된 하부축(102)과, 상부축(101)과 하부축(102)과의 중심축상에 설치되어 2개의 축을 비틀림방향에 탄성적으로 접속하는 토션바(103)와, 상부축(101)을 베어링(104)을 통해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케이스(105)와, 케이스(105)내에 구비된 보빈(106)과 각각 상부축(101)에 고착된 연자성 재료로 되는 제1,제2 가동자성원통(107),(108)과 각각 하부축(102)에 고착된 연자성 재료로 되는 제3,제4 가동자성원통(109),(110)과, 케이스(105)내의 보빈에 감겨진 제1~제4 코일(111),(112),(113),(114)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제3 가동자성원통(107),(109)이 축방향에 대향해 있고, 대향면에는 제1,제2 치(齒)부(107a),(109a)가 설치되어 있다.
이 대향부를 둘러싸듯이 상기 제1 코일(111)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제2,제4 가동자성원통(108),(109)도 서로 대향해 있고, 그 대향면에는 제2,제4 치부(108a),(110a)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대향부를 둘러싸듯이 상기 제2 코일(112)이 배치되어 있다.
또, 제3,제4 코일(113),(114)은 하부축(102)에 고착된 제3,제4 가동자성원통 (109),(110)을 둘러싸듯이 설치되어 있다.
다음, 상기 종래예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상부축(101)에 조향륜으로부터의 토크가 인가되면, 토션바(103)에 비틀림변형이 발생하고, 상부축(101)과 하부축(102)에 각각 고착된 제1 가동자성원통(107)과, 제3 가동자성원통(109)과의 사이 및 제2 가동자성원통(108)과 제4가동자성원통 (110)과의 사이에 각도의 어긋남이 생긴다.
우선, 제1,제3 가동자성원통(107),(109)간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각각의 가동자성원통에 설치된 치(齒)부(107a)과(109a)와의 자로가 되는 대향면적이 변화하기 때문에 제1 코일(111)의 인덕턴스가 변화한다.
이 인덕턴스의 변화를 도시하지 않은 검출회로에 의해 검출함으로써 토크를 구할수가 있다.
그러나 제1 코일(111)의 인덕턴스는, 토크에 의해서 뿐아니라 온도에 의해서도 변화하기 때문에 토션바(103)의 비틀림에 의해서는 인덕턴스가 변화하지 않는 제3 코일(113)의 인덕턴스를 검출함으로써 온도보상을 하고 있다.
제2,제4 가동자성원통(108),(110)간도 꼭같이 동작하는 것으로, 제2,제4 치부 (108a),(110a)의 대향면적이 변화하고 제2 코일(112)의 인덕턴스가 변화한다.
이 인덕턴스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토크를 구한다.
그리고 제4 코일(114)의 인덕턴스를 검출함으로써 온도보상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1,제3 가동자성원통(107),(109)및 제1,제3 코일(111),(113)으로 구성되는 제1의 검출세트와, 꼭같은 계측이 가능한 제2,제4 가동자성원통(108), (110)및 제2,제4 코일(112),(114)로 구성되는 제2의 검출세트를 2중으로 구성함으로써 어느 쪽인가의 검출세트에 단선등의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도 다른쪽의 출력에 의해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2중 안전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종래의 토크검출장치는 제1,제2 코일(111),(112)의 인덕턴스를 변화시키는 제1 내지 제4 가동자성원통(107)~(110)과는 별도로, 토크에 비례한 변형을 발생하는 탄성부재로서 토션바(103)가 필요하고 부품수도 많으며 구성이 복잡한 것으로 되어 있었다.
또 제1 내지 제4 가동자성원통(107)~(110)의 각치부(107a)~(110a)는 형상이 복잡하기 때문에 절삭가공으로 제조할 필요가 있고, 제조에 손이 많이가서 제조 코스트가 높아진다.
또 온도보상기능을 갖게 하기 위해 또 코일의 단선등에 대한 2중안전 기능도 동시에 구비하는데는, 원리적으로 4개의 코일이 필요하다.
종래 예에서는 이 4개의 코일에 대응해서, 치부를 구비한 한쌍의 가동자성원통도 2세트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으로, 간단한 구조로 토크를 검출할 수가 있는 토크검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간단한 구성으로 온도보상기능을 구비한 토크검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또 간단한 구성으로 다중의 안전기능을 구비한 토크검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의 토크검출장치를 표시하는 일부 단면정면도.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 의 토크검출장치를 표시하는 측면 중앙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의 토크검출장치의 제1축과 제2축의 접속부를 표시하는 일부 도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의 토크검출장치의 가동자성소자의 전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의 토크검출장치의 회로.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의 검출장치의 일부 단면정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의 토크검출장치를 표시하는 일부 단면정면도.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의 토크검출장치를 표시하는 측면 중앙단면도.
도 7은 종래의 토크검출장치의 일부 단면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상부축(제1축), 2. 하부축(제2축),
3. 소자본체, 4. 윙,
5. 가동자성소자, 6a~6d. 제1~제4 코일,
10. 동체부, 11. 스테이부,
13a~13e. 요크, 14. 요크,
41,42. 제1,제2 윙, 51,52. 제1 가동자성소자,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관한 토크검출장치는 상호간 토크가 인가되는 제1축 및 제2축과, 상기 제1축과 상기 제2축의 표면에 걸쳐서 고착되고 제1축과 제2축과의 상대회전에 의해 생기는 제1축과 제2축 표면의 상대적인 변위에 대해 탄성변형하는 소자본체 및 이 소자본체에 지지되고 그 탄성변형에 의해 축방향의 경사가 변화하는 연자성을 갖는 윙을 포함하는 가동자성소자와, 이 가동자성소자의 상기 윙과 직경방향 외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윙의 상기 경사를 자기적으로 검출하는 코일과 이 코일의 외측에 설치된 요크를 구비하고 상기 윙의 경사에 의해 생기는 윙과 상기 요크와의 간격의 변화에 의해 생기는 상기 코일의 인덕턴스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토크를 검출하는 것이다.실시의 형태 1.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토크검출장치의 일부 단면정면도, 도 1(b)는 측면 중앙단면도를 표시한다.
즉 이 토크검출장치는, 상호간에 토크가 인가되는 제1축으로서의 상부축(1)및 제2축으로서의 하부축(2)과, 상부축(1)과 하부축(2)과의 각각의 표면에 걸쳐서 고착되고 상부축(1)과 하부축(2)과의 상대회전에 의해 생기는 상부축(1)과 하부축 (2)표면의 상대적인 전단변위에 대해 탄성변형하는 소자본체(3) 및 이 소자본체(3)에 지지되고, 그 탄성변형에 의해 축방향의 기울기를 변화시키는 연자성을 갖는 윙(4)을 포함하는 가동자성소자(5)와 이 가동자성소자(5)의 윙(4)과 직경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윙(4)의 기울기를 자기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코일을 구성하는 제1 내지 제4 코일(6a)~(6d)을 구비하고 있다.
이 가동자성소자(5)의 소자본체(3)자체에 상부축(1)과 하부축(2)과의 사이의 토크에 비례한 비틀림변형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로서의 기능이 있고, 가동자성소자(5)만으로 토크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져 구조를 간략할 수 있다.
또 종래와 같은 토션바가 필요치 않게 된다.
상부축(1)에는 예를 들어 조향륜이 부착되고, 하부축에(2)에는 조향기구의 피티온기어등이 부착되며, 각각이 베어링(7),(8)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도 2는 상부축(1)과 하부축(2)의 접속부의 일부 단면도를 표시하고 있다.
상부축(1)의 축단면에 철(凸)부(1a), 하부축(2)의 축단면에는 요(凹)부(2a)가 설치되어 있고, 서로 맞물려서, 일정각도이상은 회전할 수 없게 되어 있다.
도 1(b)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철(凸)부(1a)의 양측과 요(凹)부(2at)간에 간격(60)에 형성되어 있다). 또 중심에는 상부축(1)과 하부축(2)과의 양쪽에 설치된 구멍(61)에 접속축(9)이 삽입되어 있고, 상부축(1)과 하부축(2)이 서로 크게 구부러지는 일이 없도록 하고 있다.
상부축(1)과 하부축(2)의 접속부에서는 축주위에 90°마다 4면의 평면(1f), (2f)가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평면(1f),(2f)상에 상부축(1)과 하부축(2)을 걸치듯 4개의 가동자성소자(5),(5),(5),(5)가 원주방향으로 여러개 설치되어 있다.
가동자성소자(5)는 소자본체(3)와 윙(4)의 전체가 퍼멀로이(permalloy)로 구성된 일체의 연자성재료의 판금에 의해 프레스가공에 의해 제조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프레스가공으로 형성함으로써 절삭기공을 다용하는 종래예에 비해, 대폭적으로 공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제조코스트를 대폭적으로 내릴수가 있다.
또 예를 들어 가동자성소자(5)의 재료로서 규소강 철이라도 좋다.
상기 소자본체(3)는 축방향으로 뻗는 동체부(10)와, 이 동체부(10)의 양단을 구부림 가공함을써 구성되고 상부축(1) 및 하부축(2)에 고착되는 스테이부(1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윙(4)은 상기 동체부(10)와 병설되어서 축방향으로 뻗고, 또 동체부(10)중앙의 목부(12)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목부(12)에는 코킹(12a)이 되어 보강되어 있다.
동체부(10)의 형상은 윙(4)을 향해서 끝이 가늘어지는 대략 사다리꼴로 성형되어 있고, 스테이부(11)의 변위에 대해 윙(4)의 목부(12)를 중심으로 해서 축방향으로 경사하도록 되어 있다.
또 사다리꼴 동체부의 상변부(목부분의 굵기)의 길이가 짧을수록 윙(4)의 축방향의 경사는 크다.
이는 스테이부(11)의 변위량을 일정하게 한 경우, 목부(12)의 굵기가 짧을수록 윙(4)의 경사의 중심이 되는 목부(12)의 중심선과 목부(12)의 단부와의 사이의 팔의 길이가 짧아지고, 윙(4)의 경사에 관계한 팔의 경사가 그만큼 커지기 때문이다.
도 3에는 가동자성소자(5)의 전개도를 표시하고 있다.
스테이부(11)는 동체부(10)의 좌우에 설치된 구부림편부(15)를, 도 3의 1점쇄선의 꺽어진선에 따라 지면 뒤쪽으로 구부림으로 구성된다.
이 구부림편부(15)에는 각각 3점의 돌기(16)가 설치되어 있고 이 돌기(16)가 상부축(1) 및 하부축(2)의 각각의 평면부(1f),(2f)에 프로젝션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제1 내지 제4 코일(6a)~(6d)은 각각 축을 돌아가도록 감겨져서, 축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각 코일(6a)~(6d)사이에는 각각의 코일(6a)~(6d)을 분리하도록 링상의 요크(13a),(13b),(13c),(13d),(13e)가 개장되어 있다.
또 제1 내지 제 4코일(6a)~(6d) 및 요크(13a)~(13e)의 외주에는 원통상의 요크(14)가 감싸듯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코일(6a)~(6d)은 가동자성소자(5)의 윙(4)의 축방향길이의 범위내에, 상부축(1)과 하부축(2)을 중심으로 해서 윙(4)을 주회(周回)하도록 감겨져있다.
그리고 축방향으로 일정거리 떨어진 제1 코일(6a)와 제3 코일(6c)의 코일쌍을 1세트, 제2 코일(6b)와 제4 코일(6d)로 구성되는 코일쌍을 1세트로 해서, 2중으로 토크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토크검출장치의 회로블록도이다.
제1, 제3의 코일(6a)~(6d)은 인덕턴스 비교회로(41a)에 접속되고, 또 증폭회로(42a)에 접속되어 있다.
또 제2, 제4의 코일(6b),(6d)은 인덕턴스 비교회로(41f)에 접속되고, 또 증폭회로(42f)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조향륜에 의해 상부축(1)에 토크가 인가되면 상부축(1)과 하부축(2)의 접속부의 축표면에서는 회전방향의 상대변위가 발생한다.
이 사이에는 탄성부재로서 작용하는 가동자성소자(5)가 접속되어 있으므로, 그 상대변위는 인가된 토크에 비례한 크기가 된다.
가동자성소자(5)의 윙(4)은 그 상대변위에 의해 경사가 변화되므로 제1 내지 제4 코일(6a)~(6d)에 의해 그 경사를 자기적으로 검출함으로써 인가된 토크의 크기가 구해진다.
예를 들면 우향의 토크가 상부축(1)에 인가된 경우에는, 4개의 가동자성소자 (6a)~(6d)의 전부에서 소자본체(3)의 동체부(10)의 비틀림에 의해 윙(4)의 우측이 들어올려지고(반경방향외측), 좌측이 내려간다(반경방향내측).
그러면 우측일수록 요크(13d),(13e)와 윙(4)과의 사이의 간격이 작아지므로, 우측의 제3, 제4 코일(6c),(6d)만큼 인덕턴스가 커진다.
한편 좌측일수록 요크(13a),(13b)와 윙(4)과의 간격이 커지므로, 좌측의 제1, 제2 코일(6a),(6b)만큼 인덕턴스가 작아진다.
따라서 온도 보상기능도 2중 안전기능도 갖지 않게 하는 경우이면, 어느 한개의 코일 인덕턴스의 변화를 계측함으로써 토크를 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실제로는 온도변화에 대해 센서출력을 보상할 필요가 있으므로, 제1, 제3 코일(6a)~(6d)의 코일쌍, 및 제2, 제4 코일(6b),(6d)의 코일쌍을 사용하고 인덕턴스 비교회로(41a),(41f)에 의해 코일(6a)~(6d)의 온도변화에 의한 인덕턴스변화를 상쇄해서 온도보상을 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토크에 의해, 제1코일(6a)의 인덕턴스보다도 제3 코일(6c)의 인덕턴스가 커지므로, 이들의 인덕턴스를 인덕턴스 비교회로(41a)에서 비교해서, 그 차를 증폭회로(42a)에서 증폭함으로써, 온도 보상된 토크에 따른 제1의 출력이 얻어진다.
또, 제2, 제4 코일(6b),(6d), 인덕턴스 비교회로(41f), 증폭회로(42f)에 의해, 상기와 같은 작용을 하는 계를 또 한계통이 설치되어 있고, 토크에 따른 제2의 출력이 얻어진다.
그리고 어느 한쪽에 단선등의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도, 다른쪽의 출력으로 백업을 가능하게 하는 2중 안전기능이 확보되어 있다.
또 가동자성소자(5)에 이상하게 큰 토크가 가해지면 가동자성소자(5)가 파괴되므로, 상부축(1)의 철(凸)부(1a)와 하부축(2)의 요(凹)부(2a)가 서로 맞물려 일정각도 이상은 회전할 수 없게 되어 있고, 가동자성소자(5)의 파괴를 방지하고 있다.
실시의 형태 2.
도 5에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의 토크검출장치의 일부 단면정면도를 표시하고 있다.
아래의 설명에서는, 상기 실시의 형태 1과 다른 점만을 설명하는 것으로 하고, 같은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4개의 가동자성소자를, 주로 상부축(1)측에 윙(41)을 갖는 2개의 제1 가동자성소자(51)와, 주로 하부축(2)측에 윙(42)을 갖는 2개의 제2가동자성소자(5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1 가동자성소자(51)의 윙(41)의 축방향길이의 범위내에 제2,제4 코일(6b),(6d)의 코일쌍을 제2 가동자성소자(52)의 윙(42)의 축방향길이의 범위내에 제1, 제3 코일(6a),(6c)의 코일쌍을 설치하고 있다.
여기서, 실시의 형태 1과는, 제2 코일(6b)와 제3 코일(6c)의 위치를 서로 바꾸고 있다.
상기 실시의 형태 1에서는, 가동자성소자(5)의 윙(4)의 축방향길이를, 제1 내지 제4 코일(6a)~(6d)의 4개 모두를 커버하는 범위로 넓혔으므로, 코일의 단선에 관해서는 2중 안전기능을 갖고 있다.
그러나, 가동자성소자(5)가 1개라도 변형등의 고장이 발생하면 모든 코일의 인덕턴스에 영향이 나타나므로, 가동자성소자(5)의 변형에 관해서는 2중 안전기능을 갖고 있지 않다.
그래서 제1 가동자성소자(51)의 윙(41)은, 상부축(1)측의 2개의 코일(6b), (6d)만에 하부축(2)측에 윙(42)을 갖는 제2 가동자성소자(52)의 윙(42)은 제1, 제2 코일(6a),(6c)만에 영향을 주도록 해서, 각각 독립된 검출세트를 2세트 구성함으로써, 가동자성소자의 변형에 관해서도 2중 안전기능을 갖도록 한 것이다.
실시의 형태 3.
상기 실시의 형태 1,2에서는 가동자성소자를 1체구조로 구성하였으나, 자기적 성능이 우수한 재료는, 일반적으로 기계적 강도가 떨어지므로, 소자전체를 고강도재료로 제조하고 자기적 성능이 요구되는 윙만을 연자성재료로 제조해도 된다.
또 소자전체와 윙본체와는 일체의 판금에 의해 성형하고, 윙본체위에 아몰퍼스 자성금속박등의 고성능 연자성재료를 고착해서, 윙을 구성해도 된다.
또 실시의 형태 1과 같이 소자전체와 윙을 일체의 판금을 성형하고, 윙에 고성능 연자성재료를 고착해서 자기특성을 실시의 형태 1보다도 더욱더 향상시켜도 된다.
이로써, 구조는 약간 복잡해지나, 고강도화, 고정밀도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실시의 형태 1,2에서는 탄성부재로서의 기능을 가동자성소자만에 가지게하였으나, 강도가 부족한 경우는 토션바를 구비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의 형태 1,2에서는 윙의 축방향의 경사를 검출하기 위해 인덕턴스 비교회로를 사용하였으나 차동트랜스방식, 와전류에 의한 리엑턴스를 검출하는 방식등 코일을 사용하는 자기적인 방법이면 어느 방법을 사용해도 된다.
실시의 형태 4.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관한 토크검출장치의 일부 단면정명도, 6(b)는 측면 중앙단면도를 표시한다.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탄성부재인 소자본체(3)는 구형상의 금속판이 C자형으로 구부러져 가공되어 있다.
상부축(1) 및 하부축(2)의 각각의 선단부에서는 부착판(20),(20)이 각각 부착되어 있다.
부착판(20),(20)에는 각각 4개소에 걸림부(20a)이 형성되어 있다.
한쪽의 부착판(20)의 걸림부(20a)에 소자본체(3)의 한쪽의 스테이부(11)가 고정되어 있고 다른쪽의 부착판(20)의 걸림부(20a)에 소자본체(3)의 다른쪽의 스테이부 (11)가 고정되어 있다.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구형상의 금속판을 C자형으로 구부려 가공해서 소자본체(3)가 형성되어 있고 형상이 단순한 도시에 판두께를 두껍게 할수가 있고, 큰 토크의 검출이 가능해진다.
또 스테이부(11)간에 거리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그만큼 스테이부(11)의 가동범위가 커지고, 상부축(1)과 하부축(2)사이에 큰 비틀림변형을 주어도, 소자본체(3)에는 과대한 응력이 발생하기 힘들게 되고, 다이나믹레인지가 넓은 토크 계측이 가능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상호간에 토크가 인가되는 제1축 및 제2축과, 상기 제1축과 상기 제2축의 표면에 걸쳐서 고착되고 제1축과 제2축과의 상대회전에 의해 생기는 제1축과 제2축표면의 상대적인 변위에 대해 탄성변형하는 소자본체 및 이 소자본체에 지지되고 그 탄성변형에 의해 축방향의 경사가 변화하는 연자성을 갖는 윙을 포함하는 가동자성소자와, 이 가동자성소자의 상기 윙과 직경방향 외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윙의 상기 경사를 자기적으로 검출하는 코일과 이 코일의 외측에 설치된 요크를 구비하고 상기 윙의 경사에 의해 생기는 윙과 상기 요크와의 간격의 변화에 의해 생기는 상기 코일의 인덕턴스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토크를 하도록 하였으므로, 가동자성소자의 소자본체 자체에 제1축과 제2축간에 토크에 비례한 비틀림변형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로서의 기능이 있고, 하나의 가동자성소자만으로 토크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구조를 간략화할 수가 있다.
또 종래와 같은 토션바가 불필요해지고 부품수를 삭감하는 것도 가능해진다.또, 코일의 출력의 차를 취함으로써 온도변화에 의한 영향을 배제할 수 있고 종래와 같이 온도 보상용의 코일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Claims (1)

  1. 상호간에 토크가 인가되는 제1축 및 제2축과, 상기 제1축과 상기 제2축의 표면에 걸쳐서 고착되고 제1축과 제2축과의 상대회전에 의해 생기는 제1축과 제2축 표면의 상대적인 변위에 대해 탄성변형하는 소자본체 및 이 소자본체에 지지되고 그 탄성변형에 의해 축방향의 경사가 변화하는 연자성을 갖는 윙을 포함하는 가동자성소자와, 이 가동자성소자의 상기 윙과 직경방향의 외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윙의 상기 경사를 자기적으로 검출하는 코일과 이 코일의 외측에 설치된 요크를 구비하고 상기 윙의 경사에 의해 생기는 윙과 상기 요크와의 간격의 변화에 의해 생기는 상기 코일의 인덕턴스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토크를 검출하는 토크검출장치.
KR1019990019026A 1998-06-02 1999-05-26 토크검출장치 KR1003478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8-152987 1998-06-02
JP15298798 1998-06-02
JP04447499A JP3480909B2 (ja) 1998-06-02 1999-02-23 トルク検出装置
JP1999-44474 1999-02-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716A KR20000005716A (ko) 2000-01-25
KR100347875B1 true KR100347875B1 (ko) 2002-08-09

Family

ID=26384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9026A KR100347875B1 (ko) 1998-06-02 1999-05-26 토크검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480909B2 (ko)
KR (1) KR100347875B1 (ko)
DE (1) DE19924601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24896B1 (en) * 2000-03-30 2002-07-23 Delphi Technologies, Inc. Steering column differential angle position sensor
JP2002098599A (ja) * 2000-09-27 2002-04-05 Toyoda Mach Works Ltd トルクセンサ
KR100373521B1 (ko) * 2000-09-29 2003-02-25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토크감지장치
KR100397712B1 (ko) * 2001-03-16 2003-09-13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토크센서
JP2006267045A (ja) * 2005-03-25 2006-10-05 Nsk Ltd トルクセンサ
CN202133493U (zh) 2011-06-27 2012-02-01 精量电子(深圳)有限公司 一种方向盘扭矩测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02119A (ja) * 1987-02-03 1990-07-12 ツァーンラートファブリーク、フリードリッヒスハーフェン、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特に電気式舵取り装置のトルク検出器
JPH0731149Y2 (ja) * 1988-06-02 1995-07-19 光洋精工株式会社 トルクセンサ
DE3918862A1 (de) * 1989-06-09 1991-01-10 Danfoss As Drehmoment-messeinrichtung
JPH03205526A (ja) * 1989-12-30 1991-09-09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回転トルク検出装置
US5046371A (en) * 1990-01-08 1991-09-10 Kronberg James W In-line rotating capacitive torque sensor
JP3278772B2 (ja) * 1995-09-05 2002-04-30 高巣 周平 トルクセンサ
DE19533152C1 (de) * 1995-09-08 1997-03-27 Trw Fahrwerksyst Gmbh & Co Lenkventil
JPH11264779A (ja) * 1998-03-18 1999-09-28 Shuhei Takasu トルク・スラスト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716A (ko) 2000-01-25
JP2000055754A (ja) 2000-02-25
DE19924601A1 (de) 1999-12-09
JP3480909B2 (ja) 2003-12-22
DE19924601C2 (de) 2001-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84768B2 (ja) 操舵トルク検出装置
KR101870465B1 (ko) 분할형 롤 안정화기
US7555963B2 (en) Torque sensor
JP2002502962A (ja) 回転シャフトのためのトルクセンサ
US4996890A (en) Torque sensor
CN209979107U (zh) 一种扭矩测量装置及其结构件与过载保护机构
US5975136A (en) Torsional sensor for a power-assisted steering device
KR100347875B1 (ko) 토크검출장치
TW201939005A (zh) 轉矩感測器
CN111964829A (zh) 一种六维力/力矩测量装置
US6223607B1 (en) Torque detector
US6318188B1 (en) Torque detector
US6223608B1 (en) Torque detector
JPH0545240A (ja) 磁歪式トルクセンサの過負荷防止装置
JPS61137036A (ja) 操舵力検出器
JP4704018B2 (ja) トルクセンサ
JPH01244322A (ja) トルクセンサ
JPH0617060Y2 (ja) トルクセンサ
KR102377660B1 (ko) 토크 센서
KR102377663B1 (ko) 토크 센서
JPH0577253B2 (ko)
JPH0747713Y2 (ja) トルクセンサ
JP2004239822A (ja) トルク検出装置の取り付け構造
JP2019086335A (ja) 荷重検出装置
JPS6382331A (ja) 操舵装置のトルク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