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7788B1 - 차량용 안전주행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안전주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7788B1
KR100347788B1 KR1019990027853A KR19990027853A KR100347788B1 KR 100347788 B1 KR100347788 B1 KR 100347788B1 KR 1019990027853 A KR1019990027853 A KR 1019990027853A KR 19990027853 A KR19990027853 A KR 19990027853A KR 100347788 B1 KR100347788 B1 KR 100347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ehicle
braking
obstacles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7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3410A (ko
Inventor
이희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정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정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정산업
Priority to KR1019990027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7788B1/ko
Publication of KR19990073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3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7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77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01Details of the control system
    • B60W2050/0002Automatic control, details of type of controller or control system architecture
    • B60W2050/0004In digital systems, e.g. discrete-time systems involving sampling
    • B60W2050/0005Processor details or data handling, e.g. memory registers or chip archite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2/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infrastructure
    • B60W2552/50B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08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차량의 주행안전성을 증진시켜 주기 위한 차량용 안전주행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센서신호를 전방과 측방으로 분할송출할 수 있도록 한 센서(S1,S2)에 마이크로프로세서 수단(11)을 연계시키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수단(11)에 차량의 브레이킹을 제어시켜 주기 위한 브레이킹 제어수단(16)을 연계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수단(11)에 시그날 신호를 출력해주기 위한 시그날 출력수단(17)을 연계시켜 구성한 것이며;
차량의 주행선상 측면으로 장애물이 존재할 시에 장애물간의 간격을 측정하여 차량의 진입여부를 판단하여 줄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차량의 주행선상 정면에 존재하는 타 차량 및 각종 장애물이 소정간격내로 근접할 시에 차량을 점진적으로 브레이킹시켜 줄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안전주행 장치{safety moving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안전주행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는 차량의 주행선상 측면으로 장애물이 존재할 시에 장애물간의 간격을 측정하여 차량의 진입여부를 판단하여 줄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차량의 주행선상 정면에 존재하는 타 차량 및 각종 장애물이 소정간격내로 근접할 시에 차량을 점진적으로 제동시켜 줄 수 있도록 발명된 차량용 안전주행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차량의 보급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현실하에서 차량으로 인해 야기되는 각종 사고에 대비한 다수종의 안전장치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는바, 그 대표적인 장치로는 에어백 등과 같이 차량이 직접적인 충돌을 일으켰을 시에 작동하는 안전장치와, 차량의 후미에 센서 등의 수단을 장착하여 차량의 주차시에 후미에 존재하는 장애물이 일정거리내로 근접할 시에 이를 감지하여 경고하거나 브레이킹 동작을 가동시킬 수 있도록 한 안전장치 등이 있다.
상기한 안전장치에 있어서 에어백과 같은 안전장치는 차량이 직접적인 충돌을 일으켰을 시에만 작동하는 것으로 차량의 사고예방에는 적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한 번의 작동후에는 재차 사용이 불가한 소모품이라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장애물의 근접을 경고할 수 있도록 한 안전장치는 차량의 주차시에 장애물의 근접에 대한 경고만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그 사용범위가 극히 제한적이라는 폐단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안전장치의 제반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차량의 주행선상 측면으로 장애물이 존재할 시에 장애물간의 간격을 측정하여 차량의 진입여부를 판단하여 줄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차량의 주행선상 정면에 존재하는 타 차량 및 각종 장애물이 소정간격내로 근접할 시에 차량을 점진적으로 제동시켜 줄 수 있도록 함에 기술적 과제의 주안점을 두고 완성한 차량용 안전주행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안전주행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안전주행 장치의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안전주행 장치 11: 마이크로프로세서 수단
12: 리드 계측부 13: 스페이스 계측부
14: 브레이킹 제어부 15: 시그날 제어부
16: 스페이스 비교부 17: 브레이킹 제어수단
18: 시그날 출력수단 19: 표시창
S1,S2: 감지센서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안전주행 장치(10)의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를 통해 본 발명은 전·후의 두 개조로 구비되는 감지센서(S1,S2)와, 상기 각각의 감지센서(S1,S2)와 연계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수단(11)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수단(11)과 연계되는 브레이킹 제어수단(17) 및 시그날 출력수단(18)과 표시창(19) 등으로 구성됨을 알 수 있는바, 상기 각각의 감지센서(S1,S2)는 센서신호를 전방과 측방으로 분할송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감지센서(S1,S2)의 측면에 존재하는 장애물이나 감지센서(S1,S2)의 정면에 존재하는 장애물을 별도로 감지하여 줄 수 있는 것으로 구비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블록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감지센서(S1,S2)에 마이크로프로세서 수단(11)을 연계시켜 감지센서(S1,S2)에 의해 감지된 신호가 마이크로프로세서 수단(11)에 입력되도록 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수단(11)에는 감지센서(S1,S2)의 감지신호를 통해 정면에 존재하는 장애물과의 거리를 단계(근접거리)별로 계측하여줄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된 리드 계측부(12)와, 상기 감지센서(S1,S2)의 감지신호를 통해 측면에 존재하는 장애물간의 간격을 계측하여줄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된 스페이스 계측부(13)와, 상기 리드 계측부(12)의 계측신호를 입력받아 단계적으로 증폭되는 브레이킹신호를 발생시켜 줄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된 브레이킹 제어부(14)와, 상기 스페이스 계측부(13)의 계측신호를 입력받아 계측된 장애물간의 간격값과 미리 설정된 차량의 폭값을 대비한 후 차량의 진입 가부를 판단하여 시그날신호를 발생시켜 줄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된 시그날 제어부(15)와, 상기 스페이스 계측부(13)의 계측신호를 입력받아 계측된 장애물간의 간격값과 미리 설정된 차량의 폭값을 대비하여 양측에 간격이 존재할 경우 각각의 간격을 전기적인 신호값으로 발생시킬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된 스페이스 비교부(16)가 구비되도록 한다.
상기 브레이킹 제어부(14)에는 브레이킹 제어부(14)의 브레이킹신호에 의해 점진적인 브레이킹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한 브레이킹 제어수단(17)을 연계하고, 상기 시그날 제어부(15)에는 시그날 제어부(15)에서 발생되는 시그날신호에 의해 음성 및 경보 등의 시그날을 발생시켜 주기 위한 시그날 출력수단(18)을 연계하고, 상기 스페이스 비교부(16)에는 스페이스 비교부(16)에서 발생되는 전기적인 신호값을 문자형태로 표현해 주기 위한 표시창(19)을 연계한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전·후 각조의 감지센서(S1,S2)를 차량의 선측과 후미의 양쪽으로 장착하고 브레이킹 제어수단(17)을 차량의 브레이크 케이블 등에 연결하며 표시창(19)을 차량 운전석 주위의 소정 위치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차량의 진행전방에 존재하는 타 차량이나 각종 장애물이 근접할 시에 감지센서(S1,S2)에 의해 전방으로 송출되는 센서신호가 이를 감지하여 그 거리를 마이크로프로세서 수단(11)의 리드 계측부(12)로 전송하게 되고, 리드 계측부(12)는 계측된 근접거리를 브레이킹 제어부(14)에 전송하게 되고, 브레이킹 제어부(14)는 설정된 각각의 근접거리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폭되는 브레이킹신호를 발생시키게 되고, 브레이킹 제어부(14)에서 발생된 브레이킹신호를 입력받은 브레이킹 제어수단(17)이 단계적인 브레이킹작용을 일으켜 차량이 점진적으로 정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차량의 주행방향(전,후진 모두 포함) 양측 또는 어느 일측에 장애물이 존재할 경우 감지센서(S1,S2)에 의해 측방으로 송출되는 센서신호가 장애물을 감지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 수단(11)내의 스페이스 계측부(13)로 전송하고 스페이스 계측부(13)에 의해 계측된 신호는 시그날 제어부(15)와 스페이스 비교부(16)로 입력되는데, 시그날 제어부(15)는 입력된 계측신호를 통해 계측된 장애물간의 간격값과 미리 설정된 차량의 폭값을 대비한 후 차량의 진입가부를 판단하여 진입이 불가할 시에는 시그날신호를 발생시켜 시그날 출력수단(18)에서 경보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며, 스페이스 비교부(16)는 스페이스 계측부(13)의 계측신호를 입력받아 계측된 장애물간의 간격값과 미리 설정된 차량의 폭값을 대비하여 양측에 간격이 존재할 경우 각각의 간격을 전기적인 신호값을 발생시키고 스페이스 비교부(16)에서 발생된 신호값은 운전석에 부착된 표시창(19)에 문자형태로 표현해주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차량용 안전주행 장치는 차량의 주행전방에 장애물이 존재할 시에 이를 감지하여 근접거리에 따라 차량을 점진적으로 제동시켜 줄 수 있도록 함으로서 운전자의 부주의에 따른 충돌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차량의 운행방향 양측으로 장애물이 존재할 시에 그 진입가부를 자체적으로 체크하여 줄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차량과 장애물간의 간격을 알려줄 수 있도록 함으로서 운전초보자의 주행 및 주차에 큰 도움을 도움을 줄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실로 다대한 매우 유익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센서신호를 전방과 측방으로 분할송출하여 정면에 존재하는 장애물과의 거리와 측면에 존재하는 장애물간의 간격을 측정하여 줄 수 있도록 한 전·후 두 개조의 감지센서(S1,S2)와;
    상기 감지센서(S1,S2)와 연계되며, 장애물과의 거리를 단계별로 계측하여줄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된 리드 계측부(12), 장애물간의 간격을 계측하여줄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된 스페이스 계측부(13), 상기 리드 계측부(12)의 계측신호에 의해 단계적인 브레이킹신호가 발생되도록 프로그래밍된 브레이킹 제어부(14), 상기 스페이스 계측부(13)의 계측신호에 의해 차량의 진입 가부를 판단하여 시그날신호를 송출하여줄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된 시그날 제어부(15), 상기 스페이스 계측부(13)의 계측신호를 입력받아 계측된 장애물간의 간격값과 미리 설정된 차량의 폭값을 대비하여 양측에 간격이 존재할 경우 각각의 간격을 전기적인 신호값으로 발생시킬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된 스페이스 비교부(16)가 구비되도록 한 마이크로프로세서 수단(11)과;
    상기 브레이킹 제어부(14)에 연계되며, 브레이킹 제어부(14)의 브레이킹신호에 의해 점진적인 브레이킹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한 브레이킹 제어수단(17)과;
    상기 시그날 제어부(15)에 연계되며, 시그날 제어부(15)에서 발생되는 시그날 신호에 의해 음성 및 경보 등의 시그날을 발생시켜주도록 한 시그날 출력수단(18)과;
    상기 스페이스 비교부(16)에 연계되며, 스페이스 비교부(16)에서 발생되는 전기적인 신호값을 문자형태로 표현해 주기 위한 표시창(1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주행 장치
KR1019990027853A 1999-07-06 1999-07-06 차량용 안전주행 장치 KR100347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7853A KR100347788B1 (ko) 1999-07-06 1999-07-06 차량용 안전주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7853A KR100347788B1 (ko) 1999-07-06 1999-07-06 차량용 안전주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3410A KR19990073410A (ko) 1999-10-05
KR100347788B1 true KR100347788B1 (ko) 2002-08-07

Family

ID=37488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7853A KR100347788B1 (ko) 1999-07-06 1999-07-06 차량용 안전주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778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3410A (ko) 1999-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18801A1 (en) Digital voice/visual warning, alert, and status system for vehicles utilizing laser sensors
KR20200105021A (ko) 전동킥보드의 안전 보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A2255111A1 (en) Aerial work platform with pothole and/or obstacle detection and avoidance system
AU2010233710A1 (en) Method and control system for a fifth wheel coupling sliding device having detection of the bent position of towing vehicles and trailers
KR20140052678A (ko) 차량용 충돌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30114782A (ko) 차량 충돌 방지 시스템
KR20120036440A (ko) 자동차의 충돌 방지 장치
KR20160133731A (ko) 속도 감응형 열차 충돌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0347788B1 (ko) 차량용 안전주행 장치
KR20150052953A (ko) 차량의 위험 경보 장치 및 방법
KR20150087737A (ko) 차량 위험 감지 시스템
KR960021885A (ko) 자동차 충돌방지장치 및 방법
KR200489951Y1 (ko) 자동차의 안전거리 유지 경고장치
KR19990055636A (ko) 차량충돌 방지장치 및 방법
KR20090128716A (ko) 차량의 전자제어장치
CN110667573A (zh) 一种汽车行驶状态风险感知预警系统及其方法
KR100240681B1 (ko) 보행자 감지장치
KR0132370B1 (ko) 차량의 추돌방지 장치
KR100405357B1 (ko) 차량간 및 장애물과의 추돌 방지장치
KR100789674B1 (ko) 자동차의 주행안전거리 경보시스템
KR970007728B1 (ko) 자동차의 안티 록 브레이크 시스템 자동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76192A (ko) 주행 정보 송수신 장치
KR20200064852A (ko) 삼각측거원리를 이용한 차량충돌방지 장치
KR20140140444A (ko) 고소차의 후방감지장치
KR200240947Y1 (ko) 차량추돌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