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7070B1 - 중공 블록 - Google Patents

중공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7070B1
KR100347070B1 KR1020000011481A KR20000011481A KR100347070B1 KR 100347070 B1 KR100347070 B1 KR 100347070B1 KR 1020000011481 A KR1020000011481 A KR 1020000011481A KR 20000011481 A KR20000011481 A KR 20000011481A KR 100347070 B1 KR100347070 B1 KR 100347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block
soft ground
hollow
soil layer
landf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1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7624A (ko
Inventor
조남준
Original Assignee
가산토건 주식회사
주식회사 씨엔이십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산토건 주식회사, 주식회사 씨엔이십일 filed Critical 가산토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11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7070B1/ko
Publication of KR20010087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7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7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70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08Improving by compacting by inserting stones or lost bodies, e.g. compaction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5Geotex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 방향으로 중공(120)이 형성된 프레임 형상의 부재로, 해양의 연약 지반 위에 매립된 매립토층(60)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호안 구조물(50)이 그 자중에 의해 연약 지반 내로 침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중공 블록 기초를 형성하도록 호안 구조물 하측의 연약 지반 내에 다수 개가 적층되는 중공 블록(1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공 블록은 매립토층 하측의 연약 지반인 배면토층(25)과 접하는 면에 다수의 구멍(130)이 형성되고, 각 구멍에는 물만을 통과시키는 필터(14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압밀에 의해 발생되는 과잉 간극 수압은 배면토층에 함유된 물이 구멍을 통해 중공으로 수평하게 배출됨으로써 제거된다. 여기서, 해성 점토로 이루어진 배면토층의 수평 방향 투수 계수가 매우 크기 때문에 배면토층의 압밀은 매우 빠른 기간 내에 완료될 수 있다.

Description

중공 블록{Hollow block}
본 발명은, 호안(護岸) 구조물을 시공할 때 호안 구조물이 그 자중에 의해연약 지반 내로 침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중공 블록 기초를 형성하도록 해양의 연약 지반 내에 다수 개가 적층되는 중공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을 매립하여 매립지를 형성할 경우, 매립된 토양이 해수에 의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호안(護岸) 구조물을 구축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호안 구조물이 구축되는 지반, 즉 해저면은 해성 점토층으로 이루어진 연약 지반인 경우가 많다.따라서, 호안 구조물의 자중에 의해 호안 구조물이 연약 지반이 침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약 지반을 개량 또는 보강할 필요가 있다.
연약 지반을 개량하거나 보강하기 위한 공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최근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중공 블록(10)을 연약 지반(20) 내에 적층함으로써 기초를 형성하는 중공 블록 기초 공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중공 블록(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중공(12)이 형성된 프레임 형상의 부재이며, 이러한 중공 블록(10)을 이용한 중공 블록 기초 공법을 도 3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첫 번째 중공 블록(10)을 해저면에 놓은 다음 중공 내의 해저면을 굴착한다. 그러면, 중공 블록(10)은 자중에 의해 연약 지반(20) 내부로 침하된다. 그리고, 첫 번째 중공 블록(10) 위에 두 번째 중공 블록(10)을 적층하고 다시 중공(12) 내의 해저면을 굴착한다. 이에 따라 첫 번째 및 두 번째 중공 블록들(10)은 연약 지반(20) 내부로 더 침하된다. 그리고, 첫 번째 중공 블록(10)의 저면이 단단한 지지층(30)에 의해 지지될 때까지 이러한 과정을 되풀이하여 다수 개의 중공 블록(10)을 연약 지반(20) 내부에 적층한다. 그리고 나서, 적층된 중공블록들(10)의 중공(12) 내부를 사질토(40)로 채우는 것에 의해 중공 블록 기초를 완성한다.
중공 블록 기초가 완성되고 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의 상측에 사석(沙石)들로 된 기초부(52)를 형성하고 그 상측에 다수의 콘크리트 블록(54)을 적층한 다음 블록들(54)의 배면에 사석들(56)을 채워 호안(50)을 완성하고, 매립 작업을 실시한다.
이러한 중공 블록 기초 공법은 호안 구조물의 자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기초 공법으로서, 매립토(60)에 의해 발생되는 점토의 수평 방향 유동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육상에서 미리 중공 블록(10)을 제작한 다음 제작된 중공 블록(10)을 연약 지반 내에 적층하기 때문에 다른 기초 공법에 비해 공사에 소요되는 기간이 비교적 짧을 뿐만 아니라 굴착되는 흙의 양도 적기 때문에 공사비가 절감되고 환경 파괴가 최소화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중공 블록 기초를 이용한 호안 구조물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중공 블록 기초의 배면측, 다시 말해 매립토층 하측의 지반은 해성 점토층으로 이루어진 연약 지반이다. 따라서, 호안 구조물의 배면측(육지측)에 매립이 진행됨에 따라 매립토층 하측의 연약 지반(이하, 배면토층이라 함)에는 압밀이 발생된다. 일반적으로 해양의 연약 지반을 이루는 해성 점토는 간극비가 매우 크기 때문에 비배수 강도가 매우 작을 뿐만 아니라 압밀 침하량이 과다하게 발생된다.또한, 해성 점토의 투수 계수는 매우 작기 때문에, 압밀 침하는 호안 구조물이 완성된 다음에도 수 년 내지 수십 년 동안에 걸쳐 발생된다.
그 결과, 상기와 같은 종래의 중공 블록 공법으로 호안의 기초를 시공하는 경우, 매립토층의 내부 또는 상측에 시공된, 예를 들어 배수 시설물, 포장, 각종 건물 등과 같은 구조물이 장기간에 걸쳐 발생되는 과다한 압밀 침하로 인하여 손상되는 경우가 많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압밀이 완료된 다음 매립지에 구조물을 건설하는 경우에는, 매립지의 사용이 장기간 동안 불가능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현재로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연약한 해성 점토층에 대해 그라우팅(grouting) 처리를 행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그라우팅(grouting) 처리는 실시에 매우 많은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투수성이 낮은 점토에서는 그 효과가 낮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해성 점토층으로 이루어진 배면토층의 압밀이 매우 빠른 기간 내에 완료될 수 있도록 배면토층의 압밀을 촉진할 수 있는 중공 블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중공 블록 기초를 이용한 호안 구조물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중공 블록 기초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중공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중공 블록을 이용하여 기초를 구축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 블록을 이용한 기초의 작용을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5 ; 배면토층 60 ; 매립토층
100 ; 중공 블록 120 ; 중공
130 ; 구멍 140 ; 필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중공 블록은, 상하 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 프레임 형상의 부재로, 해양의 연약 지반 위에 매립된 매립토층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호안 구조물이 그 자중에 의해 연약 지반 내로 침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중공 블록 기초를 형성하도록 호안 구조물 하측의 연약 지반 내에 다수 개가 적층되는 중공 블록에 있어서, 매립토층 하측의 연약 지반인 배면토층과 접하는 면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고, 각 구멍에는 물만을 통과시키는 필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필터는 토목 섬유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르면, 압밀에 의해 발생되는 과잉 간극 수압은 배면토층에 함유된 물이 구멍을 통해 중공으로 수평하게 배출됨으로써 제거된다. 여기서, 해성 점토로 이루어진 배면토층의 수평 방향 투수 계수가 매우 크기 때문에 배면토층의 압밀은 매우 빠른 기간 내에 완료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 블록을 개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 블록(100)은 상하 방향으로 중공(120)이 형성된 프레임 형상의 부재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 블록의 배면(112), 즉 이 중공 블록(100)이 중공 블록 기초 공법에 의해 연약 지반에 적층될 때, 육지측을 바라보게 되는 면에는 중공(120)과 배면토층을 소통시키는 다수의 구멍(130)이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구멍(130) 내에는 필터(140)가 삽입되어, 도시되지 않은 고정 수단, 예를 들어 구멍(130)의 전후측에 형성된 걸림턱과 같은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 필터(140)는 토목 섬유 재질로 이루어진 망사형 부재로서, 구멍(130)의 단면과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진다. 이와 같이 구멍(130) 내에 필터(140)가 설치됨에 따라 물은 구멍(130)을 통과할 수 있지만, 흙은 구멍(130)을 통과하지 못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 블록(100)은 도 3에 도시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적층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호안 구조물(50)의 기초를 이루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매립이 진행됨에 따라 배면토층(25) 상측에 위치된 매립토층(60) 및 매립토층(60)의 내부 및 상측에 설치되는 구조물(미도시)의 하중에 의해 배면토층(25)에는 압밀이 발생되고, 배면토층(25)에 함유된 물에는 과잉 공극 수압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배면토층(25)을 이루는 해성 점토에 함유된 물은 매립토층(60)의 상방으로 스며 나와서 배면토층(25)으로부터 배출될 뿐만 아니라, 중공 블록(100)의 구멍(130)을 통해 배면토층(25)으로부터 중공(120)으로 배출된다. 그 결과, 배면토층(25)에 함유된 물의 과잉 공극 수압은 제거된다. 중공 블록(100)의 구멍(130)으로 배출된 물은 중공 블록 기초의 상부에 설치된 기초 사석(52)을 통해 해양으로 배출된다.
여기서, 구멍(130)을 통한 물의 배출은 수평 방향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해성 점토의 경우 수평 방향의 투수 계수가 수직 방향의 투수 계수에 비하여 8~10배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중공 블록(100)의 구멍(130)을 통해 배면토층(25)의 물이 수평 방향으로 배출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중공 블록을 이용한 기초 공법에 비하여 배면토층(25)의 압밀이 완료되는데 소요되는 기간이 적어도 1/8로 단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매립 도중 배면토층의 압밀에 의해 발생되는 과잉 간극 수압이 매립과 거의 동시에 제거되므로, 배면토층 즉 해성 점성토층의 강도가 매립의 진행에 따라 곧바로 증대될 수 있다. 따라서, 매립이 완료된 다음 곧바로 매립지에 구조물을 건설하여도 종래와 같이 구조물이 손상되는 일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압밀이 매우 빠른 기간 내에 완료되는 것에 따라 기초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중공 블록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중공 블록 기초의 시공시 굴착되는 흙의 양과 중공을 채우기 위한 토사량도 감소되어 시공비가 크게 절감되는 장점도 있다. 더욱이, 종래와 같은 그라우팅 처리도 필요없기 때문에 시공비는 더욱 효과적으로 절감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상하 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 프레임 형상의 부재로, 해양의 연약 지반 위에 매립된 매립토층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호안 구조물이 그 자중에 의해 연약 지반 내로 침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중공 블록 기초를 형성하도록 호안 구조물 하측의 연약 지반 내에 다수 개가 적층되는 중공 블록에 있어서,
    매립토층 하측의 연약 지반인 배면토층과 접하는 면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고, 각 구멍에는 물만을 통과시키는 필터가 설치됨으로써, 배면토층에 함유된 물이 구멍들을 통해 중공으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배면토층의 압밀시 발생되는 과잉 간극 수압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블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토목 섬유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블록.
KR1020000011481A 2000-03-08 2000-03-08 중공 블록 KR100347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1481A KR100347070B1 (ko) 2000-03-08 2000-03-08 중공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1481A KR100347070B1 (ko) 2000-03-08 2000-03-08 중공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7624A KR20010087624A (ko) 2001-09-21
KR100347070B1 true KR100347070B1 (ko) 2002-08-03

Family

ID=19653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1481A KR100347070B1 (ko) 2000-03-08 2000-03-08 중공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707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7624A (ko) 2001-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44427B (zh) 一种不良地质条件下河道岸坡生态防护结构及清淤方法
JP2004108142A (ja) 管理型護岸の構築法
KR20150061712A (ko) 제방차수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제방축조공법
CN207469222U (zh) 吹填造地区预埋真空排水体系
KR101459703B1 (ko) 준설토 투기장의 표층수 건조 및 표층 보강 공법
KR100347070B1 (ko) 중공 블록
CN114960485A (zh) 可适应沉降地基的防渗路堤及施工工艺
CN212561554U (zh) 一种用于高挡土水工构筑物中的回填结构
KR200185669Y1 (ko) 연약층의 심도가 깊은 지반의 방파제 또는 호안기초구조
CN210459099U (zh) 一种软土地基上的海堤结构
KR100411314B1 (ko) 수공구조물, 해안 세굴보수 및 침식방지를 위한 시공방법
CN108611941B (zh) 一种用于饱和高填方路基处理的方法
CN207714258U (zh) 适用于淤泥地基的围堤结构
KR100627628B1 (ko) 케이슨을 이용한 심해 항만의 연속구조물 시공법
KR20040084126A (ko) 수밀케이션을 이용한 수중 구조물의 건식 시공방법
CN210151661U (zh) 一种带防浪板的桩基式防波堤
CN113638359B (zh) 一种防止海岸侵蚀的防护装置及其建造工艺
JP4606454B2 (ja) 管理型護岸の構築法
CN216640466U (zh) 一种拼图式的护坡结构
KR100414349B1 (ko) 부유인공지반 및 부유인공지반을 이용한 항만구조물의축조방법
KR100583015B1 (ko) 방조제 구축시 최종 체절구간에서의 사석유실 방지공법
JPH0254022A (ja) ライトケーソン埋立工法
KR0182846B1 (ko) 장대파일 및 장대파일을 이용한 해양구조물의 시공방법
JP2007016461A (ja) 傾斜堤の構築方法
CN105780725A (zh) 一种水上建堤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