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6325B1 -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수신 장치 및 송수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수신 장치 및 송수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6325B1
KR100346325B1 KR1019990040005A KR19990040005A KR100346325B1 KR 100346325 B1 KR100346325 B1 KR 100346325B1 KR 1019990040005 A KR1019990040005 A KR 1019990040005A KR 19990040005 A KR19990040005 A KR 19990040005A KR 100346325 B1 KR100346325 B1 KR 100346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elay
wave
signal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0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3248A (ko
Inventor
다니구치도모히코
노하라아키라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23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3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6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63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74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subgroups of receive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22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located in transportation means, e.g. personal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environmental sensors, e.g. for detecting temperature, luminosity, pressure, earthquak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MPEG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2Demodulation or channel decoding, e.g. QPSK de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09Monitoring of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bandwidth variations of a wireless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24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Abstract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는 제 1 내지 제 N 신호들을 수신하며 정궤환 제어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중에 적어도 제 (N-1) 신호를 변경시키는 변경 수단 및, 상기 변경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들을 가산하는 가산 수단을 포함한다. N은 2 또는 이보다 큰 자연수이다.

Description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수신 장치 및 송수신 시스템{Digital TV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stem}
본 발명은 방송 신호의 재밍(jamming)을 감소시키기 위해 디지털 텔레비전(TV)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수신 장치 및 송신국과 이와 같은 수신 장치간에서 디지털 신호를 송신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아날로그 TV 수신에 있어서의 수신 신호의 열화를 일으키는 것중 하나는 전파의 반사·산란 등에 의한 다중 경로 장해가 있었다. 다중 경로 장해를 받은 영상은 영상의 왜곡이나 일시적인 인터럽트가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개소 63-109697호 공보에는, 지상파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의 고정 수신시 등에, 텔레비전 신호의 송신시에 삽입된 기준 신호를 기초로, 전파의 전달 특성을 추정하고, 방해 신호를 캔슬하는 적응형 등화 필터를 구성하여 고스트(ghost)를 제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지상파 텔레비전 신호의 이동 수신 장치에 있어서, 전파 특성이 장치의 이동에 따라 심하게 변하기 때문에, 전파의 전파 특성을 추정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근년, 종래의 지상파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 방식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디지털 지상파 텔레비전 방송 방식이 제안되었다. 디지털 지상파 텔레비전 방송 방식은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에 기초하고 있다. OFDM은 다수의 캐리어를 이용한 통신 방법이고, 다중 경로 장해에 대해 효과가 있다. 예를 들면, 지연파의 수신에 의해 생긴 부호간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원래의 OFDM 심볼 사이에 가드 인터벌(guard interval)이라고 하는 가드 기간(guard period)이 삽입된다.
그러나, 이동 환경에서, 신호 품질은 주파수 선택 페이딩, 도플러 이동에 의한 다중 경로 페이딩 등에 의해 크게 열화된다. 그것은 반사 신호에 의해 발생된 간섭이 OFDM 신호의 직교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에 있어서, SFN(Single Frequency Network) 방식이 제안되어 있다. SFN 방식에 있어서는 동일한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복수의 송신국으로부터 동일 주파수를 사용하여 송신되기 때문에, 주파수 대역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방식은 다중 경로 간섭과 같은 방식으로, 반드시 심볼간 간섭 및 주파수 특성의 열화를 일으킨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7은 신호 수신 장치에 의해 수신될 때 지연파에 의해 방해된 신호의 주파수 분석 결과를 도시한 개념도.
도 8은 가산 수단에 의해 수행된 이득 제어의 개념도.
도 9는 에러율과 지연파의 지연 시간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개념도.
도 10은 안테나 스위칭을 예시한 순서도.
도 11은 지연 수단에 의해 지연 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예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13은 수신 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14는 다른 수신 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15는 또 다른 수신 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16은 안테나를 도시한 블록도.
도 17은 도 16의 확대도.
도 18a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디지털 TV 수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18b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디지털 TV 수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18c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디지털 TV 수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18d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디지털 TV 수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19는 위상 시프트 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디지털 TV 수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1은 지연 시간 제어 수단의 예시적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디지털 TV 수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3a 및 23b는 상대적으로 강한 수신 간섭을 갖는 환경에서 발생하는 수신 에러 발생 상태를 예시한 그래프.
도 24는 전압에 따라 변화하는 위상 시프트량과 가변 리액턴스 소자에 인가되는 전압 사이의 관계를 예시한 그래프.
도 25a, 25b 및 25c는 위상 시프트부에 인가되는 전압과 시간 사이의 관계를 예시한 그래프.
도 26은 또 다른 수신 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7은 입력 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8은 OFDM 신호의 예시적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9는 아날로그 TV 송신신호의 예시적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0은 보호 간격 기간과 유효 심볼 기간을 예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입력 수단 2: 지연 수단
3: 가산 수단 4: 수신 수단
5: 복조 수단 6: 가산 제어 수단
7: 지연파 추정 수단 8: 위치 정보 판정 수단
9: 차량 정보 검출 수단 11: 안테나
12: 증폭 수단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는, 제 1 내지 제 N 신호들을 수신하고, 정궤환 제어에 의해 수신된 신호중에 적어도 제 (N-1) 신호를 변경시키는 변경 수단 및, 상기 변경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가산하는 가산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N은 2 또는 이보다 큰 자연수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는, 제 1 내지 제 N 신호들을 수신하고, 외부 신호에 기초하여 수신된 신호중에 적어도 제 (N-1) 신호를 변경시키는 변경 수단 및, 상기 변경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가산하는 가산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N은 2 또는 이보다 큰 자연수이며, 상기 외부 신호는 가산 수단에 의해 얻어진 신호에 기초하여 발생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변경 수단은 적어도 제 (N-1) 신호의 위상을 시프트하기 위한 위상 시프트 수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변경 수단은 적어도 제 (N-1) 신호를 변경할 수 있도록 적어도 제 (N-1) 신호를 지연하는 지연 수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변경 수단은 적어도 제 (N-1) 신호의 위상을 규정된 양만큼 시프트시키는 위상 시프트 수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변경 수단은 적어도 제 (N-1) 신호를 변경시키도록 적어도 제 (N-1) 신호를 규정된 지연 시간만큼 지연시키는 지연 수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는, 전자파를 다수의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고, 다수의 전기 신호를 제 1 내지 제 N 신호들로 출력시키는 입력 수단과, 가산 수단에 의해 가산된 신호의 주파수 변환을 수행하고, 주파수 변환된 신호를 출력시키는 수신 수단 및, 주파수 변환된 신호를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시키는 변환 수단을 더 포함하며, 지연 수단은 규정된 지연 시간이 임의로 설정되도록 하며, 가산 수단은 지연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들이 가산되는 가산비가 임의로 설정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는, 전자파를 다수의 전기 신호들로 변환시키고, 다수의 전기 신호들을 출력시키는 입력 수단과, 다수의 전기 신호들을 규정된 증폭비로 증폭시키고, 증폭된 신호들을 제 1 내지 제 N 신호들로 출력시키는 증폭 수단과, 가산 수단에 의해 가산된 신호의 주파수 변환을 수행하고, 주파수 변환된 신호를 출력시키는 수신 수단과, 주파수 변환된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 수단과, 상기 복조 수단에 의해 얻어진 복조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고, 복조 상태에 기초하여 입력 수단에 의해 수신된 전자파에 포함된 지연파 정보를 추정하는 지연파 추정 수단 및, 상기 지연파 추정 수단에 의해 얻어진 지연파 정보에 기초하여 규정된 증폭비와 규정된 지연 시간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하고, 규정된 증폭비와 규정된 지연 시간중 적어도 하나를 증폭 수단 및 지연 수단중 적어도 하나에 출력시키는 가산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는, 전자파를 다수의 전기 신호들로 변환시키고, 다수의 전기 신호들을 출력시키는 입력 수단과, 다수의 전기 신호들의 주파수 변환을 수행하고, 다수의 주파수 변환된 신호들을 제 1 내지 제 N 신호들로서 출력시키는 수신 수단 및, 가산 수단에 의해 가산된 신호를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시키는 복조 수단을 더 포함하며, 지연 수단은 규정된 지연 시간이 임의로 설정되도록 하며, 가산 수단은 지연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들이 가산되는 가산비가 임의로 설정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는, 전자파를 다수의 전기 신호들로 변환시키고, 다수의 전기 신호들을 제 1 내지 제 N 신호들로 출력시키는 입력 수단과, 가산 수단에 의해 가산된 신호의 주파수 변환을 수행하고, 주파수 변환된 신호를 출력시키는 수신 수단 및, 주파수 변환된 신호를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시키는 복조 수단을 더 포함하며, 위상 시프트 수단은 규정된 양이 임의로 설정되도록 하며, 가산 수단은 위상 시프트 수단에 의해 출력된 신호들이 가산되는 가산비가 임의로 설정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는, 전자파를 다수의 전기 신호들로 변환시키고, 다수의 전기 신호들을 출력시키는 입력 수단과, 다수의 전기 신호들을 규정된 증폭비로 증폭시키고, 증폭된 신호들을 제 1 내지 제 N 신호들로 출력시키는 증폭 수단과, 가산 수단에 의해 가산된 신호의 주파수 변환을 수행하고, 주파수 변환된 신호를 출력시키는 수신 수단과, 주파수 변환된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 수단과, 상기 복조 수단에 의해 얻어진 복조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고, 복조 상태에 기초하여 입력 수단에 의해 수신된 전자파에 포함된 지연파 정보를 추정하는 지연파 추정 수단 및, 상기 지연파 추정 수단에 의해 얻어진 지연파 정보에 기초하여 규정된 증폭비와 규정된 양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하고, 규정된 증폭비와 규정된 양중 적어도 하나를 증폭 수단 및 위상 시프트 수단중 적어도 하나에 출력시키는 가산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는, 전자파를 다수의 전기 신호들로 변환시키고, 다수의 전기 신호들을 출력시키는 입력 수단과, 다수의 전기 신호들의 주파수 변환을 수행하고, 다수의 주파수 변환된 신호들을 제 1 내지 제 N 신호들로 출력시키는 수신 수단 및, 가산 수단에 의해 가산된 신호를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시키는 복조 수단을 더 포함하며, 위상 시프트 수단은 규정된 양이 임의로 설정되도록 하며, 가산 수단은 위상 시프트 수단에 의해 출력된 신호들이 가산되는 가산비가 임의로 설정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는, 복조 수단에 의해 얻어진 복조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고, 복조 상태에 기초하여 입력 수단에 의해 수신된 전자파에 포함된 지연파 정보를 추정하는 지연파 추정 수단 및, 지연파 추정 수단에 의해 얻어진 지연파 정보에 기초하여 규정된 가산비와 규정된 지연 시간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하고, 규정된 가산비와 규정된 지연 시간중 적어도 하나를 가산 수단 및 지연 수단중 적어도 하나에 출력시키는 가산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는, 복조 수단에 의해 얻어진 복조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고, 복조 상태에 기초하여 입력 수단에 의해 수신된 전자파에 포함된 지연파 정보를 추정하는 지연파 추정 수단 및, 지연파 추정 수단에 의해 얻어진 지연파 정보에 기초하여 규정된 가산비와 규정된 양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하고, 규정된 가산비와 규정된 양중 적어도 하나를 가산 수단 및 위상 시프트 수단중 적어도 하나에 출력시키는 가산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는, 상기 지연파 추정수단은 복조 수단에 의해 얻어진 복조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고, 지연파의 강도, 지연파와 직접파간의 위상차 및 직접파에 대한 지연파의 지연 시간을 포함한 지연파 정보를 추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산 제어 수단은 가변 리액턴스 소자를 갖는 지연 시간 제어 수단을 포함하며, 가변 리액턴스 소자에 인가된 전압을 변경함으로써 규정된 지연 시간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산 제어 수단은 가변 리액턴스 소자를 갖는 위상 제어 수단을 포함하여, 가변 리액턴스 소자에 인가된 전압을 변경함으로써 규정된 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의 수신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 및, 상기 위치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수신 위치에서의 무선 상태를 판단하는 위치 정보 판정 수단을 더 포함하며, 가산 제어 수단은 지연파 추정 수단에 의해 얻어진 지연파 정보 및, 위치 정보 판정 수단에 의해 얻어진 무선 상태에 기초하여 규정된 증폭비와 규정된 지연 시간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의 수신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 및, 상기 위치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수신 위치에서의 무선 상태를 판단하는 위치 정보 판정 수단을 더 포함하며, 가산 제어 수단은 지연파 추정 수단에 의해 얻어진 지연파 정보 및, 위치 정보 판정 수단에 의해 얻어진 무선 상태에 기초하여 규정된 증폭비와 규정된양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의 이동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검출 수단과,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의 수신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 및, 상기 위치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신호 및 상기 속도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수신 위치에서의 무선 상태를 판단하는 위치 정보 판정 수단을 포함하며, 가산 제어 수단은 지연파 추정 수단에 의해 얻어진 지연파 정보 및, 위치 정보 판정 수단에 의해 얻어진 무선 상태에 기초하여 규정된 증폭비와 규정된 지연 시간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의 이동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검출 수단과,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의 수신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 및, 상기 위치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신호 및 상기 속도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수신 위치에서의 무선 상태를 판단하는 위치 정보 판정 수단을 포함하며, 가산 제어 수단은 지연파 추정 수단에 의해 얻어진 지연파 정보 및, 위치 정보 판정 수단에 의해 얻어진 무선 상태에 기초하여 규정된 증폭비와 규정된 양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속도 검출 수단 및 상기 위치 검출 수단은 항법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증폭 수단은 신호 분배시 신호 이득의 감소를 보상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입력 수단은 다른 수신 특성들을 갖는 다수의 안테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는, 전자파를 다수의 전기 신호들로 변환하는 입력 수단과,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얻어진 다수의 전기 신호들의 주파수 변환을 수행하는 수신 수단과, 다수의 주파수 변환된 신호들을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시키는 복조 수단과, 상기 복조 수단에 의해 얻어진 복조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전자파에 포함된 지연파 정보를 추정하는 지연파 추정 수단 및, 지연파 정보에 기초하여 복조 수단에 의해 처리된 전달 함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복조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조 수단은, 수신 수단에 의해 얻어진 다수의 신호들의 주파수 변환을 수행하는 주파수 분석 수단과, 상기 주파수 분석 수단에 의해 얻어진 다수의 신호를 동작시키는 조정 수단 및, 상기 조정 수단에 의해 얻어진 다수의 신호들을 디코딩하는 디코딩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지연파 추정 수단은 상기 디코딩 수단에 의해 얻어진 복조 상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지연파의 강도, 지연파와 직접파간의 위상차 및 직접파에 대한 지연파의 지연 시간 주기를 포함한 지연파 정보를 추정하며, 상기 복조 제어 수단은 상기 조정 수단의 전달 함수를 제어할 수 있도록 지연파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조정 수단에 제어 신호를 공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조 수단은, 수신 수단에 의해 얻어진 다수의 신호들의 주파수 변환을 수행하는 주파수 분석 수단과, 상기 주파수 분석 수단에 의해 얻어진 다수의 신호를 동작시키는 조정 수단 및, 상기 조정 수단에 의해 얻어진다수의 신호들을 디코딩하는 디코딩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지연파 추정 수단은 상기 디코딩 수단에 의해 얻어진 복조 상태 및 상기 주파수 분석 수단으로부터 얻어진 신호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지연파의 강도, 지연파와 직접파간의 위상차 및 직접파에 대한 지연파의 지연 시간 주기를 포함한 지연파 정보를 추정하며, 상기 복조 제어 수단은 상기 조정 수단의 전달 함수를 제어할 수 있도록 지연파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조정 수단에 제어 신호를 공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의 수신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 및, 상기 위치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수신 위치에서의 무선 상태를 판단하는 위치 정보 판정 수단을 더 포함하며, 복조 제어 수단은 지연파 추정 수단에 의해 얻어진 지연파 정보 및, 위치 정보 판정 수단에 의해 얻어진 무선 상태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조정 수단에 제어 신호를 공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의 이동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검출 수단과,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의 수신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 및, 검출된 이동 속도 및 검출된 수신 위치에 따라 수신 위치에서의 무선 상태를 판단하는 위치 정보 판정 수단을 더 포함하며, 복조 제어 수단은 지연파 추정 수단에 의해 얻어진 지연파 정보와, 위치 정보 판정 수단에 의해 얻어진 무선파 및, 주파수 분석 수단에 의해 얻어진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조정 수단에 제어 신호를 공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속도 검출 수단 및 위치 검출 수단은 항법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입력 수단은 다른 수신 특성들을 갖는 다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는, 전자파를 다수의 전기 신호들로 변환시키는 입력 수단과,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얻어진 다수의 전기 신호들의 주파수 변환을 수행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얻어진 다수의 신호들을 가산하는 가산 수단과, 상기 가산 수단에 의해 얻어진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 수단과,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얻어진 복조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고, 전자파에 포함된 지연파 정보를 추정하는 지연파 추정 수단 및, 지연파 정보에 기초하여 가산 수단 및 수신 수단을 제어하는 가산 제어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수신 수단은 가산 제어 수단에 의해 얻어진 정보에 따라 주파수 변환시의 주파수 변환량을 제어하고, 상기 가산 수단은 상기 가산 제어 수단에 의해 얻어진 정보에 따라, 수신 수단에 의해 얻어진 다수의 신호가 가산되는 가산비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산 제어 수단은, 지연파 정보에 따라 가산비를 판단하는 이득 제어 수단 및, 다수의 신호들 각각에 대하여 기준 신호의 주파수를 설정하는 기준 신호 제어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주파수는 지연파 정보에 따라 수신 수단에 의해 수행된 주파수 변환을 위해 이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지연파 추정 수단은 복조 수단에 의해 얻어진 복조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고, 지연파의 강도, 지연파와 직접파간의 위상차및, 직접파에 대한 지연파의 지연 시간을 포함하는 지연파 정보를 추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의 수신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 및, 검출된 수신 위치에 따라 수신 위치에서의 무선 상태를 판단하는 위치 정보 판정 수단을 포함하며, 가산 제어 수단은 지연파 정보 및 무선 상태에 기초하여 가산 수단 및 수신 수단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의 이동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검출 수단과,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의 수신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 및, 검출된 이동 속도 및 검출된 수신 위치에 따라 수신 위치에서의 무선 상태를 판단하는 위치 정보 판정 수단을 더 포함하며, 가산 제어 수단은 지연파 정보 및 무선 상태에 기초하여 가산 수단 및 수신 수단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속도 검출 수단 및 위치 검출 수단은 항법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입력 수단은 다른 수신 특성들을 갖는 다수의 안테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조 상태는 전자파에 포함된 파일럿 신호로 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위치 정보 판정 수단은 송신국의 위치를 포착하고, 차량 정보 검출 수단에 의해 얻어진 정보 및 송신국의 위치에 의해 얻어진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 위치에서 무선 상태를 추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위치 정보 판정 수단은 다수의 위치들에서의 무선 상태를 미리 기억하고, 차량 정보 검출 수단에 의해 얻어진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 위치에서의 무선 상태를 추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위치 정보 판정 수단은 다수의 위치들에서의 무선 상태를 규정된 간격 또는 임의의 간격으로 포착하고, 다수의 위치들에서 무선 상태를 갱신하며, 차량 정보 검출 수단에 의해 얻어진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 위치에서의 무선 상태를 추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방송국은 다수의 위치들에서의 수신 상태를 나타내는 수신 정보 데이터를 전송하고, 청구항 42항에 따른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는 방송국이 전송하는 수신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무선파를 추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위치 정보 판정 수단은 다수의 위치들에서의 무선 상태를 규정된 간격 또는 임의의 간격으로 포착하고, 차량 정보 검출 수단에 의해 얻어진 정보 또는 위치 정보 판정 수단에 의해 얻어진 정보에 기초한 수신 위치에서의 무선 상태 및, 다수의 위치들에서의 수신 상태를 추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조 수단에서의 신호 에러율을 측정하는 에러율 측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에러율이 규정된 시간 기간동안 규정된 값을 초과할 때, 상기 에러율 측정부는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입력 수단은 에러율 측정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출력 신호를 선택하는 선택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산 제어 수단은 복조 수단에서 규정된 값을 넘는 에러율을 갖는 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를 감쇄하도록, 지연파 추정 수단에 의해출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가산 수단의 가산비를 변경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입력 수단이 출력 신호를 선택하는 선택 타이밍이 수신 신호의 규정치와 같거나 또는 큰 간격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산 수단의 가산비가 변경되는 변경 타이밍이 수신 신호의 규정치와 같거나 또는 큰 간격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입력 수단이 출력 신호를 선택하는 선택 타이밍이 수신된 신호의 수신 프레임 상에 있으며, 규정치 또는 임의의 프레임과 동일한 간격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산 수단의 가산비가 변경되는 변경 타이밍이 수신 신호의 수신 프레임 상에 있으며, 규정치 또는 임의의 프레임과 동일한 간격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산 수단의 가산비, 지연 수단의 지연 시간, 증폭 수단의 증폭비 또는 위상 시프트 수단의 규정된 양이 갱신되는 시간이 수신 신호의 보호 기간 또는 유효 심볼 기간의 직전 또는 직후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입력 수단은 다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안테나들중 적어도 하나의 설치 위치는 시간적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와의 거리는 수신될 TV 신호의 파장에 따라 제어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다수의 안테나들중 적어도 2개의 설치 위치들 사이의 거리는 수신될 TV 신호의 파장 보다 짧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는, 전자파를 다수의 전기 신호들로 변환시키는 입력 수단과,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얻어진 다수의 신호들을 증폭시키는 증폭 수단과, 상기 증폭 수단에 의해 얻어진 다수의 신호들에 지연 시간을 공급하는 지연 수단과, 상기 지연 수단에 의해 얻어진 다수의 신호들을 가산하는 가산 수단과, 상기 가산 수단에 의해 얻어진 신호를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시키는 주파수 변환 수단과, 상기 주파수 변환 수단에 의해 얻어진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 수단과, 이동체의 이동 속도 정보를 얻는 속도 검출 수단과, 다중 경로 간섭 상태를 얻는 수신 상태 추정 수단과, 다중 경로 간섭 상태 및 이동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증폭 수단의 증폭비를 제어하는 이득 제어 수단 및, 다중 경로 간섭 상태 및 이동 속도에 기초하여 지연 수단에 공급된 지연 시간을 제어하는 지연 시간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체의 이동 속도가 저속이거나 또는 이동체가 정지할 때, 지연 시간 제어 수단이 지연 시간을 시간적으로 변경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지연 시간 제어 수단은 수신 신호의 송신 시스템에 따라 지연 시간의 변화량을 측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수신 상태 추정 수단은 입력 수단의 입력 상태에 관한 정보를 얻어서 이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증폭 수단은 입력 수단에 의해 얻어진 다수의 전기 신호들을 증폭하기 위한 다수의 증폭비들을 갖고, 상기 이득 제어 수단은 수신신호의 수신 특성에 따라 증폭 수단의 다수의 증폭비들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지연 시간 제어 수단은 수신 신호의 송신 시스템에 따라 지연 시간의 변화량의 상한을 측정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는, 전자파를 다수의 전기 신호들로 변환시키는 입력 수단과,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얻어진 다수의 신호들을 증폭시키는 증폭 수단과, 상기 증폭 수단에 의해 얻어진 다수의 신호들에 규정된 위상 시프트량을 공급하는 위상 시프트 수단과, 상기 위상 시프트 수단에 의해 얻어진 다수의 신호들을 가산하는 가산 수단과, 상기 가산 수단에 의해 얻어진 신호를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시키는 주파수 변환 수단과, 상기 주파수 변환 수단에 의해 얻어진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 수단과, 이동체의 이동 속도 정보를 얻는 속도 검출 수단과, 다중 경로 간섭 상태를 얻는 수신 상태 추정 수단과, 다중 경로 간섭 상태 및 이동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증폭 수단의 증폭비를 제어하는 이득 제어 수단 및, 상기 위상 시프트 수단에 공급될 위상 시프트량을 제어하는 위상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체의 이동 속도가 저속이거나 또는 이동체가 정지할 때, 상기 위상 제어 수단이 규정된 위상 양을 시간적으로 변경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위상 제어 수단은 수신 신호의 송신 시스템에 따라 규정된 위상 양의 변화량을 측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수신 상태 추정 수단은 입력 수단의 입력 상태에 관한 정보를 얻어 이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증폭 수단은 입력 수단에 의해 얻어진 다수의 전기 신호들을 증폭하기 위한 다수의 증폭비들을 갖으며, 상기 이득 제어 수단은 수신 신호의 수신 특성에 따라 증폭 수단의 다수의 증폭비들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위상 제어 수단은 수신 신호의 송신 시스템에 따라 규정된 위상 양의 변화량의 상한을 측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산 수단은, 지연파 정보에 따라 가산비를 판단하는 이득 제어 수단 및, 기준 신호의 위상이 다수의 신호들에 대하여 상이하도록 기준 신호를 설정하는 기준 신호 제어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기준 신호는 수신 수단에 의해 수행된 주파수 변환을 위해 이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지연파 추정 수단은 복조 수단에 의해 얻어진 복조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고, 지연파의 강도, 지연파와 직접파간의 위상차 및, 직접파에 대한 지연파의 지연 시간을 포함한 지연파 정보를 추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는, 신호 분배시 신호 이득의 감소를 보상하는 증폭 수단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본 발명은 이동중에 데이터를 수신하면서 디지털 데이터의 수신 간섭을 줄이기 위한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및, 스테이션과 상기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사이의 송수신을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상기 및 이외의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설명을 통해 당업자는 명백히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된다.
(예 1)
본 발명에 따른 제 1 예에서의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은 제 1 예에서의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예에서의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는 입력 수단(1), 지연 수단(2), 가산 수단(3), 수신 수단(4), 복조 수단(5), 가산 제어 수단(6) 및 지연파 추정 수단(7)을 포함한다.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는 예를 들면 다음의 방식으로 동작한다.
TV 방송의 무선파는 예를 들면 입력 수단(1) 내의 수신 안테나(11)에 의해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지연 수단(2) 및 가산 수단(3)에 전송된다. 더 상세하게, 전기 신호로 변환된 TV 방송 신호는 가산 제어 수단(6)으로부터 전송된 지연 제어 신호에 따라 지연 수단(2)에 의해 지연되고, 다음에 가산 수단(3)에 전송된다. 가산 수단(3)은 입력 수단(1)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들 각각과 지연 수단(2)으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이득을 주고, 다음에 2개의 신호들을 가산한다. 가산된 신호는 수신 수단(4)에 전송된다. 가산은 예들 들면 가산 및 최대값 선택 같은 간단한 동작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지연 수단(2)에 의해 수행된 지연 시간의 제어가 설명된다.
지연 수단(2)에 의해 처리되는 신호의 주파수 대역은 TV의 주파수 대역이다. 따라서, 지연 수단(2)은 예를 들면 스위치에 의해 다수의 경로들 P1 내지 PN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신호의 지연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다수의 경로들 P1 내지PN은 다른 길이를 갖는 신호선들일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스위치는 가산 제어 수단(6)에 의해 얻어진 지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다수의 경로들 P1 내지 PN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다수의 경로들 P1 내지 PN은 다른 신호 확산 특성을 갖는 신호선일 수 있다. 이 경우, 또한 도 11에 도시된 스위치는 가산 제어 수단(6)에 의해 얻어진 지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다수의 경로들 P1 내지 PN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지연 수단(2)은 도 11에 도시된 스위치를 이용하는 경로의 길이 즉 신호 확산 특성을 바꾸는 대신에 전압을 이용하는 가변 리액턴스 소자를 제어함으로써, 각각의 위상들을 시프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다시 살펴보면, 수신 수단(4)은 가산 수단(3)에 의해 얻어진 신호들 사이에 필요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추출한다. 다음에, 수신 수단(4)은 추출된 신호를 복조 수단(5)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주파수를 갖는 신호로 변환하여, 신호를 복조 수단(5)에 전송한다. 복조 수단(5)은 수신 신호를 복조하고, 그 신호를 지연파 추정 수단(7)에 출력한다. 즉, 복조 수단(5)은 지연파 추정 수단(7)에 복조 정보를 공급한다.
지연파 추정 수단(7)은 복조 수단(5)에 의해 얻어진 복조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파에 포함된 지연파를 추정한다. 예를 들면, 지연파 추정 수단(7)은, 복조 수단(5)에 의해 얻어진 정보에 기초하여, 다수의 양의 지연 정보중 적어도 하나, 즉 입력 수단(1)에 의해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지연파의 강도, 직접파의 강도, 지연파와 직접파 사이의 위상 차이, 및 직접파에 대한 지연파의 지연 시간을 추정한다.
지연파 추정 및 복조를 위한 방법은 후술된다.
방송 시스템을 표준화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진 일본에서의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은 변조 모드로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을 이용한다. 복조 수단(5)은 수신된 코드를 디코드하기 위해 OFDM 복조를 수행한다. 디코딩 처리는 예를 들면 FFT(Fast Fourier Transform)를 이용하는 주파수 분석을 포함한다. 주파수 분석이 FFT를 이용하여 수행되면, 지연 시간은 주파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수신 신호의 주파수 성분의 딥(dip)의 위치 및 수를 검출함으로써 검출될 수 있다. 또한, 복조 수단(5)은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여러 가지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복조할 수 있다. 복조 수단(5)은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신호의 송신특성을 추정할 수 있다.
도 7은 지연파가 존재할 때 OFDM 시스템중에 분석된 주파수를 예시한 그래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연파가 존재하는 경우, 다수의 주파수 성분들은 딥을 포함한다. 어떠한 지연파도 존재하지 않는 경우, 주파수 특성은 평탄하게 된다(도시되지 않음).
다수의 주파수 성분들이 딥을 포함할 때, 즉 수신 신호가 지연파를 포함할 때, 지연파 추정 수단(7)은 파일럿 신호의 검출 또는 파일럿 신호에서의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지연파를 검출할 수 있다.
수신 신호가 지연파를 포함할 때, 지연파 추정 수단(7)은 FFT 다음에 수행되는 에러 보정 처리에 의해 에러를 포함한 데이터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정보에 기초하여 간섭파의 지연 시간을 추정한다.
상술한 설명은 일본에서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 관하여 이루어졌지만, 본 발명은 다른 국가에서 이용되는 아날로그 방송 시스템 및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OFDM 시스템 대신에 단일 캐리어 송신시스템에 적용가능하다.
이하, 예시적인 가산 이득의 설정 및 지연 시간의 발생이 설명된다.
가산 제어 수단(6)은 지연파 추정 수단(7)에 의해 제공된 지연파 정보에 기초하여 지연 수단(2) 및 가산 수단(3)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산 제어 수단(6)은 이득 제어 수단(61) 및 지연 시간 제어 수단(62)을 포함한다.
이득 제어 수단(61)은 지연파 추정 수단(7)에 의해 얻어진 지연파 정보에 기초하여 가산 수단(3)에서의 가산 이득을 설정한다. 가산 이득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설정된다. 지연 수단(2)(도 1)은 제 1 지연부 및 제 2 지연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8에서, 수평축은 지연파의 진폭을 나타내고, 수직축은 신호 B 이득에 대한 신호 A 이득의 비(신호 A 이득/신호 B 이득)를 나타낸다. 신호 A 이득은 제 1 지연부로부터 가산 수단(3)에 전송된 신호의 이득을 나타내고, 신호 B 이득은 제 2 지연부로부터 가산 수단(3)에 전송된 신호의 이득을 나타낸다.
지연파의 레벨이 기준 레벨 보다 높다면, 특히 지연파의 레벨이 직접파의 레벨과 거의 동일하다면, 이득 제어 수단(61)은 동일한 이득을 갖도록 가산될 직접파 및 지연파을 제어한다.
지연파의 레벨이 기준 레벨보다 낮거나 또는 직접파의 레벨 보다 높다면, 이득 제어 수단(61)은 예를 들면 지연 수단(2)으로부터의 신호의 이득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입력 수단(1)으로부터 신호의 이득을 감소시키도록 가산 수단(3)을 제어하여, 가산될 지연파 및 직접파가 다른 이득들을 갖을 수 있게 된다.
이득 제어가 지연파 추정 수단(7)에 의해 얻어진 지연파의 지연 시간에 기초하여 수행되면, 이득 제어 수단(61)은 예를 들면 가산 수단(3)을 제어하여, 지연파와 직접파 사이의 이득차가 지연 시간이 짧을 때(도 8에서는 곡선 b) 보다 지연 시간이 길 때(도 8에서는 곡선 a) 더 크게 된다.
지연 시간 제어 수단(62)(도 1)은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신호가 지연 시간 제어 수단(62)의 제어하에 지연 수단(2)에서 지연될 필요가 있는 지연 시간은 지연파 추정 수단(7)에 의해 추정된 지연 시간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설정된다.
도 9는 지연파와 변조된 신호의 에러율 사이의 예시적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연 시간이 짧아지면(약 2.5㎲ 보다 적은 포인트 B), 에러율은 상당히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지연 시간 제어 수단(62)은 지연파 추정 수단(7)에 의해 얻어진 값 대신에 지연 시간을 예를 들면 약 2.5㎲ 또는 그 이상의 규정된 레벨(디폴트값)로 설정함으로써 상기 에러율의 증가를 효율적으로 피할 수 있다. 용어 "에러"는 수신 신호의 잘못된 인식을 칭한다. 용어 "에러율"은 예를 들면 올바른 신호의 수와 에러 신호의 수 사이의 비를 나타낸다.
지연 시간의 상한은 OFDM 신호에 가산된 보호 기간 보다 적게 필요로 한다. 지연 수단(2)은 에러율이 상대적으로 짧은 지연 시간을 갖는 지연파로 인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규정된 지연 시간을 항상 설정할 수 있다. 짧은 지연 시간을 갖는 지연파의 영향은 지연 시간을 포인트 B에서 2배의 값(즉, 약 5㎲)으로 설정함으로써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신호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에 의해 수신되면, 수신 신호의 대역폭 상호간 보다 짧은 지연 시간이 신호에 주어지는 것과, 지연된 신호가 수신 신호에 가산되는 것이 가능하며, 따라서 그 결과의 신호의 노이즈 레벨이 감소되어 에러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것은 가산의 결과로서 신호에 의해 발생된 딥 위치가 신호의 대역폭 외부에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예를 들면, 신호의 대역폭이 500kHz 이면, 가산된 지연 시간이 2㎲ 또는 이보다 작게 된다. 짧은 지연 시간이 제공된 신호를 가산한 상기 시스템은 수신 신호의 주파수의 수신 레벨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다. 특히, 이동 수신 장치를 위한 서비스 방송으로 이용되는 좁은 대역폭의 방송에서 효과적이다.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가 차량에 장착되면, 장치는 위치 정보 판정 수단(8) 및 차량 정보 검출 수단(9)을 포함한다. 제 1 예에서의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는 차량에 장착되지 않을 때라도 위치 정보 판정 수단(8) 및 차량 정보 검출 수단(9)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예에서의 차량에 장착된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의 예시적 신호 수신 동작이 설명된다.
이동되는 차량에서의 정보를 검출하기 위해 제공된 차량 정보 검출 수단(9)은 속도 검출 수단(91) 및 위치 검출 수단(92)을 포함한다.
속도 검출 수단(91)은 이동중에 신호를 수신하는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며, 위치 검출 수단(92)은 차량의 위치를 검출한다. 항법 장치는 차량 정보 검출 수단(9)으로 이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GPS 장치, PHS 유닛, 셀룰러 폰과 VICS 같은 도로 모니터링 시스템이 위치 검출 장치로서 이용가능하다. 차량 정보 검출 수단(9)에 의해 검출된 차량 정보는 위치 정보 판정 수단(8)에 전송된다.
위치 정보 판정 수단(8)은 지형 같은 정보를 얻으며, 무선파가 디지털 TV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위치(수신 위치)에서 수신될 수 있는 디지털 TV 방송국을 확인한다. 위치 정보 판정 수단(8)은 또한 수신 위치와 송신위치간의 거리 또는 산이나 빌딩에 의한 무선파의 반사를 고려하여 수신 위치에서 무선파의 강도 또는 지연 시간을 추정한다. 상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위치 정보 판정 수단(8)은, 예를 들면 방송국 또는 중계국, 송신국의 위치, 신호 송신출력 등 같은 송신국으로부터 전송된 신호의 주파수에 관한 정보를 기억한다. 상기 정보는 예를 들면 방송 또는 전화선 같은 통신 수단을 통해 보유 또는 다운로드함으로써 기억될 수 있다. 위치 정보 판정 수단(8)은 상기 정보를 차량 정보 검출 수단(9)으로부터 얻어진 위치 정보와 비교하고, 수신 위치에서의 무선파의 강도 또는 지연 시간을 확인한다.
위치 정보 판정 수단(8)은, 또한 예를 들면 방송국의 위치와 함께 수신 위치 부근의 빌딩들의 위치, 크기, 높이에 관한 정보를 맵에 나타낼 수 있다. 지연 시간 및 무선파의 강도는 빌딩 등에 의한 반사들을 고려하여 더 정교하게 확인될 수 있다. 항법 시스템은, 예를 들면 송신국, 빌딩, 산 등에 관한 정보를 처리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속도 검출 수단(91)은 이동중에 신호를 수신하는 차량의 속도를 제공하기 때문에, 다음에 나타나는 지연파가 추정될 수 있다. 따라서, 지연파는 차량의 속도를 고려하지 않는 시스템에 의한 것보다 빨리 이어질 수 있다.
가산 제어 수단(6)은 위치 정보 판정 수단(8)에 의해 얻어진 지연파 정보에 기초하여 가산 이득 제어 및 지연 시간 제어를 수행한다. 가산 이득 제어 및 지연 시간 제어는 지연파 추정 수단(7)에 의해 얻어진 지연파 정보가 이용될 때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된다.
지연파 추정 수단(7)에 의해 얻어진 정보 및 위치 정보 판정 수단(8)에 의해 얻어진 정보는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수단(7, 8)에 의해 얻어진 지연파 정보의 내용이 서로 비슷할 때만, 이득 제어 및 지연 시간 제어가 수행된다. 수단(7, 8)에 의해 얻어진 지연파 정보의 내용이 서로간에 차이가 있을 때, 현재 상태가 유지되거나, 또는 이득 제어와 지연 시간 제어가 더 높은 지연파 레벨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상기 설명에서, 차량 정보 검출 수단(9)은 속도 검출 수단(91) 및 위치 검출 수단(92)을 포함한다. 또한, 차량 정보 검출 수단은 위치 검출 수단(92)만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도, 신호는 차량이 고정된 위치에서 뿐만아니라 이동중에서 수신될 수 있다.
도 1에서, 입력 수단(1)은 안테나(11) 및 증폭 수단(12)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테나의 수가 2개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지연부는 다수의 안테나 각각에 대응하여 제공될 수 있다.
도 2는 입력 수단(1)이 다수의 안테나를 포함하고, 지연 수단(2)은 다수의안테나(11)에 각각 대응하여 다수의 지연부(예컨대, 제 1 지연부,... 제 N 지연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는 다음의 방식으로 동작한다.
다수의 안테나(11)가 동일한 방송 무선파를 수신할 때, 다수의 안테나(11)는 다른 방식으로 다중 경로 간섭에 의해 간섭된다. 따라서, 다수의 안테나(11)가 다른 출력 신호들을 공급한다. 상기 신호는 다른 깊이를 갖는 다른 위치(주파수)에서 도 7에 도시된 딥을 갖는다.
즉, 다른 위치에서 또는 다른 깊이를 갖는 딥을 포함한 신호는 다수의 다른 수신 신호들을 가산함으로써 얻어진다. 그 결과, 에러율(즉, 수신 신호의 잘못된 인식비)가 감소될 수 있다.
지연 수단에서, 가산 제어 수단(6)에 의해 얻어진 지연 시간은 제 1 내지 제 N 지연부에서 상대적으로 설정된다. 가산 수단(3)은 지연된 신호에 따라 가산 제어 수단(6)에 의해 얻어진 이득을 설정한다. 상술된 소자의 동작을 제외하면, 도 2에 도시된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한다.
다수의 안테나(11)가 TV 신호의 1/4 또는 그이상의 파장인 간격으로 설정되면, 다수의 입력 신호들간의 관계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안테나(11)로부터 다수의 입력 신호들을 함께 가산함으로써, 수신 신호의 질이 향상된다.
다수의 안테나(11)가 지향성 또는 편파성에서 차이가 있다면, 다수의 입력 신호들 사이의 관계가 또한 감소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입력 신호들을 함께 가산함으로써, 수신 신호의 질이 또한 향상된다.
도 2에서, 지연 수단(2)으로부터 출력된 다수의 신호들은 이득 제어 수단(61)으로부터 제어 신호에 따라 이득이 각각 제공되고, 그 결과의 신호가 가산된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이득이 이득 제어 수단(61)으로부터 제어 신호에 따라 제 1 내지 제 N 증폭부(도시되지 않음)에 주어질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제 1 예에서의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는 지연 수단(2)으로부터의 신호를 가산하여 신호에서의 딥을 줄이고, 그 결과 디지털 데이터의 에러율을 감소한다.
에러율의 증가는 짧은 지연 시간을 갖는 신호의 영향을 피할 수 있도록 지연 시간을 설정함으로써 회피된다.
에러율의 증가는 또한 신호 내의 딥을 더 정교하게 회피함으로써 피해질 수 있다. 신호 내의 딥은 지연파 추정 수단(7), 차량 정보 검출 수단(9) 및 위치 정보 판정 수단(8)에 의해 정교한 지연파를 얻음으로써 더 정교하게 감소될 수 있다.
다수의 안테나로부터의 신호는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에러 상태에 따라 이용하기 위해 스위치될 수 있다.
도 10은 스위칭 안테나의 동작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우선, 안테나(11)(도 2)에 입력된 신호의 C/N 비(캐리어/노이즈 비) 및 이전의 소정의 시간 기간동안(예컨대, 한 프레임 기간 이내)의 수신 에러 발생 상태가 얻어진다. C/N 비가 임계치 보다 높고(스텝 S100에서 "Yes") 에러율이 임계치 보다 낮다면(스텝 S101에서 "Yes"), 안테나는 스위치되지 않는다(스텝 S102).
에러율이 임계치보다 낮지 않더라도, 에러 발생이 연속적인 대신에 버스트 방식으로 짧은 시간 기간에 발생한다면, 안테나는 스위치되지 않는다(스텝 S102).
C/N 비가 임계치 보다 높지 않거나(스텝 S100에서 "No"), 또는 에러율이 임계치 보다 낮지 않고(스텝 S101에서는 "No"), 에러 발생이 짧은 시간 기간에 연속적으로 발생한다면(스텝 S103에서는 "No"), 안테나는 스위치된다(스텝 S104).
안테나를 스위칭하기 위한 타이밍은 차량의 위치 및 속도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
안테나는 OFDM 신호에 가산된 보호 간격의 유닛에 의해 스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안테나를 스위칭하기 위한 최적의 타이밍이 차량이 이동하는 동안 신호 수신 상태의 변화에 연관하여 얻어질 수 있다.
(예 2)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 2 예에서의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가 설명된다. 도 3은 제 2 예에서의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제 2 예에서의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는, 입력 수단(1), 지연 수단(2), 가산 수단(3), 수신 수단(4), 변조 수단(5), 가산 제어 수단(6) 및 지연파 추정 수단(7)을 포함한다. 가산 제어 수단(6)은 이득 제어 수단(61) 및 지연 시간 제어 수단(62)을 포함한다. 제 2 예에서의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가 차량 같은 이동체상에 장착될 때, 장치는 위치 정보 판정 수단(8) 및 차량 정보 검출 수단(9)을 더 포함한다. 차량 정보 검출 수단(9)은 속도 검출 수단(91) 및 위치 검출 수단(92)을 포함한다. 제 2 예에서의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는 차량에 장착되지 않을 때라도 위치 정보 판정 수단(8) 및 차량 정보 검출 수단(9)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예에서의 장치는 가산 수단(3) 바로 다음에 접속된 수신 수단(4)을 포함하는 반면, 제 2 예에서의 장치는 입력 수단(1) 바로 다음에 접속된 수신 수단(4)을 포함한다.
제 2 예에서의 차량에 장착된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의 예시적 신호 수신 동작이 설명된다.
TV 방송의 무선파는 예를 들면 입력 수단(1) 내의 수신 안테나(11)에 의해 전기 신호로 변환되고, 수신 수단(4)에 전송된다. 수신 수단(4)은 입력 수단(1)에 의해 얻어진 신호 사이에서 필요한 주파수 대역의 신호만을 추출하고, 그 신호를 지연 수단(2) 및 가산 수단(3)에 전송한다. 수신 수단(4)에 의해 얻어진 신호는 가산 제어 수단(6)으로부터 전송된 지연 제어 신호에 따라 지연 수단(2)에 의해 지연되고, 가산 수단(3)에 전송된다. 가산 수단(3)은 입력 수단(1)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들 각각과 가산 제어 수단(6)으로부터 전송된 가산 제어 신호에 따라 지연 수단(2)으로부터 전송된 신호(가중)에 이득을 주고, 다음에 2개의 신호를 가산한다. 가산된 신호는 복조 수단(5)에 전송된다. 가산은 예컨대 제 1 예에서와 같이 가산 및 최대값 선택 같은 간단한 동작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복조 수단(5)은 그 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한다.
지연파 추정 수단(7)은 복조 수단(5)으로부터 전송된 복조 정보에 기초하여 지연파를 추정하고, 제 1 예에서 설명된 것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지연파를 가산 제어 수단(6)에 전송한다. 위치 정보 판정 수단(8)은 차량 정보 검출 수단(9)으로부터 전송된 이동 수신 정보에 기초하여 지연파를 추정하고, 지연파를 제 1 예에서 규정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가산 제어 수단(6)에 전송한다.
가산 제어 수단(6)은 지연파 추정 수단(7) 및 위치 정보 판정 수단(8)으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지연 수단(2) 및 가산 수단(3)에 대한 제어 신호(지연 시간 및 가산비)를 얻는다.
신호 수신시, 가산 제어 수단(6) 및 차량 정보 검출 수단(9)은 제 1 예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한다. 제 2 예에서의 장치에 있어서, 지연 수단(2) 및 가산 수단(3)에 의해 처리된 신호의 주파수 대역은 수신 수단(1)에 의해 제한된다. 따라서, 지연 수단(2) 및 가산 수단(3)에 의해 수행된 처리는 제 1 예에 비해서 간단하며,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지연 수단(2)에 의해 처리된 신호의 주파수 대역은 제 1 예에서 보다 낮다. 따라서, 지연 수단(2)이 신호를 지연하면, 지연 시간은 입력 신호가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후 디지털 신호 처리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 2 예에서의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수단(1)은 제 1 내지 제 N 수신부를 갖을 수 있다. 지연 수단(2)은 제 1 내지 제 N 지연부를 갖을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은 상술된 동작과 유사하며 따라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수의 안테나(11)가 도 4에 도시된 장치에서 동일한 방송 무선파를 수신하면, 다수의 안테나(11)는 다른 방식으로 다중 경로 간섭에 의해 간섭된다. 따라서, 다수의 안테나(11)는 다른 출력 신호를 공급한다. 상기 신호는 다른 깊이(도시되지 않음)로 다른 위치(주파수)에서 도 7에 도시된 딥을 갖는다. 다른 위치에서 다른 깊이를 갖는 딥을 포함한 신호는 다수의 수신 신호들을 가산함으로써 얻어진다. 그 결과, 에러율은 감소될 수 있다.
(예 3)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 3 예에서의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가 설명된다. 도 5는 제 3 예에서의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제 3 예에서의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는, 입력 수단(1), 수신 수단(4), 복조 수단(5), 지연파 추정 수단(7) 및 복조 제어 수단(55)을 포함한다. 제 3 예에서의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가 차량 같은 이동체상에 장착되면, 장치는 위치 정보 판정 수단(8) 및 차량 정보 검출 수단(9)을 더 포함한다. 제 3 예에서의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는 차량에 장착되지 않을 때라도 위치 정보 판정 수단(8) 및 차량 정보 검출 수단(9)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된 위치 및 이동중인 제 3 예에서의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의 예시적 동작은 도 5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된다. 위치 정보 판정 수단(8) 및 차량 정보 검출 수단(9)의 동작은 제 2 예에서와 동일하기 때문에 반복된 설명을 하지 않는다.
TV 방송의 무선파는 예를 들면 입력 수단(1) 내의 수신 안테나(11)에 의해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수신 수단(4)에 전송된다. 수신 수단(4)은 입력 수단(1)으로부터 얻어진 신호들 사이의 필요한 주파수 대역의 신호만을 추출하고, 그 신호를 복조 수단(5)에 전송한다. 복조 수단(5)은 수신 수단(4)으로부터의 신호를 복조하고, 그 결과의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고, 또한 복조 상태를 지연파 추정 수단(7)에 전송한다.
복조 수단(5)의 동작은 이하에 설명된다.
복조 수단(5)은 주파수 분석 수단(51), 조정 수단(52) 및 디코딩 수단(53)을 포함한다.
수신 수단(4)에 의해 얻어진 신호는, 예를 들면 FFT, 리얼 FFT, DFT 또는 FHT 같은 주파수 분석 방법으로 주파수 분석 수단(51)에 의한 주파수 분석에 의해 처리된다. 주파수 분석된 신호는 조정 수단(52)에 전송된다. 주파수 분석된 신호는 예를 들면 신호의 주파수 및 진폭으로 표시될 수 있다.
조정 수단(52)은 복조 제어 수단(55)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주파수 분석 수단(51)에 의해 얻어진 주파수축상의 신호를 조작한다. 조작은 예를들면 복조 제어 수단(55)으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주파수 분석 수단(51)으로부터 얻어진 신호를 전달 함수에 제공하고, 필터를 이용하여 계산을 수행하거나, 또는 특정 주파수 성분을 강조 또는 삭제되는 것으로 고려되는 주파수 성분을 보간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디코딩 수단(53)은 조정 수단(52)에 의해 얻어진 신호를 디지털 코드로 디코드한다.
지연파 추정 수단(7)은 복조 수단(5)으로부터 얻어진 신호에 기초하여 지연파 정보를 추정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주파수 분석 수단(51)으로부터 얻어진 주파수 스펙트럼 또는 디코딩 수단(53)에 의해 수행되는 디코딩 동작중 얻어진 파일럿 신호가 참조된다.
도 7은 수신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TV 방송에서 이용되는 OFDM 복조 모드에서, 주파수 스펙트럼은 평탄하다. 지연파가 존재할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딥이 발생된다. 따라서, 지연파의 진폭 및 지연 시간이 추정될 수 있다.
진폭 및 지연 시간은 파일럿 신호의 삭제 또는 위상 시프트로부터 추정될 수 있다.
복조 제어 수단(55)은 지연파 추정 수단(7) 또는 위치 정보 판정 수단(8)에 의해 얻어진 지연파 정보에 기초하여 조정 수단(52)을 제어한다. 복조 제어 수단(55)은 조정 수단(52)에 대응하는 제어 파라미터(들)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 파라미터를 조정 수단(52)에 전송한다. 예를 들면, 조정 수단(52)이 지연파에 관한 전달 함수를 필요로 하는 경우, 복조 제어 수단(55)은 지연파에 대응하는 전달 함수를 찾아서 상기 전달 함수를 조정 수단(52)에 전송한다. 조정 수단(52)이 필터인 경우, 복조 제어 수단(55)은 필터 계수(들)를 조정 수단(52)에 전송한다. 조정 수단(52)이 보간의 구성을 갖는다면, 복조 제어 수단(55)은 보간값을 조정 수단(52)에 전송한다. 위치 정보 판정 수단(8) 및 차량 정보 검출 수단(9)은 각각 제 1 예에서와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3 예에서, 조정 수단(52)은 지연파의 영향을 감소하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정교한 디코딩이 실현되고, 수신된 디지털 신호의 에러율이감소된다.
제 3 예에서의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수단(1)은 다수의 안테나(11)를 갖을 수 있으며, 수신 수단(4)은 제 1 내지 제 N 수신부를 갖을 수 있다. 제 6 도는 주파수 분석 수단(51), 하나의 조정 수단(52) 및 하나의 디코딩 수단(53)을 도시하지만, 상기 수단들(51, 52, 53)중 적어도 하나는 안테나(11)의 수에 대응하는 수로 제공될 수 있다. 수단의 수는 그 구성에 좌우된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가 하나의주파수 분석 수단(51)을 포함할 때라도,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는 제 1 내지 제 N 수신부로부터 출력된 다수의 신호들중에 주파수 분석 수단(51)에 의해 처리될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정상적으로 동작한다. 동일하게 디코딩 수단(53) 및 조정 수단(52)의 수가 제공된다.
도 6에 도시된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 주파수 분석은 입력 수단(1)으로부터 출력된 각 신호에 대하여 수행된다. 따라서, 입력 수단(1)으로부터 출력된 각 신호에 대응하는 지연파의 지연 시간 및 진폭이 추정될 수 있다. 따라서, 최상의 상태에서 수신된 신호가 조정 수단(52)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전달 함수, 필터링 또는 보간을 이용하는 상술한 조정은 다수의 신호들이 디코딩 수단(53)에 의해 디코드되도록 신호마다 수행될 수 있다.
디코딩 수단 또는 조정 수단(52)에 있어서, 양호한 상태에서 수신된 주파수 스펙트럼을 갖는 신호만이 안테나들(11) 각각으로부터의 신호의 주파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선택되어 처리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지털 코드의 만족스러운 복조가 실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6에 도시된 장치에 다수의 안테나(11)를 제공하면 수신 에러를 줄일 수 있다.
(예 4)
본 발명에 따른 제 4 예에서의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는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2는 제 4 예에서의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예에서의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는 입력 수단(1), 가산 수단(3), 수신 수단(10), 복조 수단(5), 가산 제어 수단(6) 및 지연파 추정 수단(7)을 포함한다.
도 12에 도시된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가 차량에 장착되면, 장치는 위치 정보 판정 수단(8) 및 차량 정보 검출 수단(9)을 더 포함한다. 제 4 예에서의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는 차량에 장착되지 않을 때라도, 위치 정보 판정 수단(8) 및 차량 정보 검출 수단(9)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는 지연 수단을 포함하지 않는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동일한 소자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수신 수단(10)은 VHF, UHF 또는 다른 대역으로 입력 수단(1)에 전송된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를 복조 수단(5)에 전송한다. 수신 수단(10)은 신호를 복조 수단(5)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한다.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수신 수단(10)은 상세히 후술된다. 도 13은 검출기로서 작용하는 수신 수단(10)의 예시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수신 수단(10)은대역 통과 필터부(101), 기준 신호 생성 수단(102), 저역 통과 필터부(103) 및 정현파 신호 생성 수단(104)을 포함한다. 대역 통과 필터부(101)는 제 1 내지 제 N 대역 통과 필터를 포함한다. 기준 신호 생성 수단(102)은 제 1 내지 제 N 기준 신호 발생기를 포함한다. 저역 통과 필터부(103)는 제 1 내지 제 N 저역 통과 필터를 포함한다. 정현파 신호 생성 수단(104)은 제 1 내지 제 N 정현파 신호 발생기를 포함한다.
수신 수단(10)은 예를 들면 다음의 방식으로 동작한다.
입력 수단(도 12)에 의해 얻어진 다수의 수신 신호들은 대역 통과 필터부(101)를 통과한다. 기준 신호 생성 수단(102)은 수신 신호의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정현파 신호를 발생한다. 수신 신호의 주파수가 500MHz 이면, 예컨대 기준 신호 생성 수단(102)으로 된 제 1 기준 신호 발생기는 500MHz의 주파수를 갖는 정현파 신호를 발생한다. 기준 신호 생성 수단(102)으로 된 제 1 내지 제 N 기준 신호 발생기는 각각 기준 신호를 발생한다.
이 때, 대역 통과 필터부(101)를 통과한 신호는 기준 신호 생성 수단(102)에 의해 얻어진 정현파 신호에 의해 승산된다. 그 결과의 신호는 주파수 변환을 위해 저역 통과 필터부(103)를 통과한다. 주파수 변환된 신호는 저역 통과 필터부(103)로부터 출력된다.
정현파 신호 생성 수단(104)은 기준 신호 제어 수단(64)에 의해 얻어진 위상 정보에 따라 정현파 신호를 발생한다. 정현파 신호 생성 수단(104)은 각각 0 내지 수십 킬로헤르츠 정도로 낮은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발생한다. 예를 들면, 제 1정현파 발생기는 0Hz의 주파수(DC 신호)를 갖는 신호를 발생하고, 제 2 정현파 발생기는 10Hz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발생하고, 제 N 정현파 발생기는 15Hz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발생한다. 정현파 신호 생성 수단(104)에 의해 발생된 다수의 신호들은 저역 통과 필터부(103)를 통해 다수의 신호들에 의해 조작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수신 수단(10)은 입력 수단(1)으로부터 얻어진 다수의 신호들의 각각의 위상을 서로간의 시간에 관계하여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된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는 입력 신호가 180°위상차를 갖는 경우에 수신 수단(10)으로부터의 입력 신호들이 과도하게 소거되는 상태를 회피할 수 있다.
도 14는 검출기로서 작용하는 다른 수신 수단(10')의 예시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수신 수단(10)은 위상을 시프트하기 위해 정현파 신호 생성 수단을 필요로 하지만, 도 14에 도시된 수신 수단(10')은 기준 신호 생성 수단(102')을 이용하여 위상을 시프트할 수 있다.
수신 수단(10')은 대역 통과 필터부(101), 기준 신호 생성 수단(102') 및 저역 통과 필터부(103)를 포함한다. 수신 수단(10')은 정현파 신호 생성 수단을 포함하지 않는다. 기준 신호 생성 수단(102')은 수신 수단(10)에서와 같이 제 1 내지 제 N 기준 신호 발생기를 포함한다.
기준 신호 생성 수단(102')은 기준 신호 제어 수단(64)에 의해 출력된 위상 정보에 따라 발생된 정현파 신호의 주파수를 조정한다. 예를 들면, 수신 신호(TV 신호)의 주파수가 500MHz이면, 기준 신호 생성 수단(102')의 제 1 기준 신호 발생기가 500MHz의 주파수를 갖는 정현파 신호를 발생하고, 기준 신호 생성 수단(102')의 제 2 기준 신호 발생기는 500,000,010Hz의 주파수를 갖는 정현파 신호를 발생한다. 즉, 기준 신호 생성 수단(102')은 TV 신호의 주파수와 약간의 차이를 준다. 따라서, 도 14에 도시된 수신 수단(10')은 도 13에 도시된 수신 수단(10)과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기준 신호 생성 수단에 있어서, 제 1 내지 제 N 기준 신호 발생기에 의해 발생된 다수의 기준 신호들(제 1 내지 제 N 기준 신호)의 주파수는 각 기준 신호 발생기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주파수와 동일할 필요가 있거나, 또는 기준 신호 발생기에 의해 발생된 신호의 주파수와 각 기준 신호 발생기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주파수간의 차가 규정된 범위 내에 있어야 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도 26에 도시된 수신 수단(10n)이 효과적이다.
수신 수단(10n)은 대역 통과 필터부(101), 기준 신호 생성 수단(102n), 저역 통과 필터부(103) 및 위상 시프트 수단(105)을 포함한다. 대역 통과 필터부(101) 및 저역 통과 필터부(103)는 수신 수단(10)(도 13)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위상 시프트 수단(105)은 제 1 내지 제 N 위상 시프트부를 포함한다. 제 1 내지 제 N 위상 시프트부는 각각 기준 신호 제어 수단(64)으로부터 제어 신호에 따라 기준 신호의 위상을 제어한다. 위상 시프트 수단(105)은 예를 들면 가변 리액턴스 소자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N 위상 시프트부는 기준 신호 제어 수단(64)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예를 들면, 제어 전압)에 따라 기준 신호의 위상을 독립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수신 수단(10n)에서, 하나의 기준 신호만이 기준 신호 생성 수단(102n)에 의해 발생된다. 따라서, 수신 수단(10n)은 기준 신호의 위상이 기준 신호 발생기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주파수에 대하여 약간 시프트되도록 한다.
위상 시프트 수단(105)에 의해 위상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이후에 설명된다.
(예 5)
본 발명에 따른 제 5 예에서의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는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6은 입력 수단으로 이용되는 안테나(110)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다. 도 17은 안테나의 상세도이다. 입력 수단을 제외하면, 제 5 예에서의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는 본 명세서에서의 제 1 내지 제 7 예에서 설명된 구성중 임의의 하나를 갖을 수 있다.
안테나(110)의 동작은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110)는 트렁크의 상면 또는 차량의 후면 유리상에 설치된다. 본 예에서, 안테나(110)는 안테나(110)가 무선파를 수신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110)는 안테나 소자(111, 112) 및 안테나 지지대(113)를 포함한다. 안테나 소자(111, 112)와 안테나 지지대(113)의 접속부는 안테나 소자(111, 112)와 안테나 지지대(113)가 서로간에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안테나 소자(111, 112)는 모터 등을 이용하는 원격 제어에 의해 도 17에서 화살표 A 및 B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일정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안테나(110)를 제어함으로써,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는 이동중에 데이터를 수신하지만, 송신안테나(예컨대, 방송국의 안테나) 및 수신 안테나(예컨대, 안테나(110))의 송신경로 특성이 시간적으로 상이하다. 상기 시스템으로 인해, 신호가 다중 경로 환경하에서 수신될 때, 간섭(예컨대, 주파수 방향에서의 딥)의 상태가 변화될 수 있다. 함께 가산된 다수의 신호가 180°위상차를 갖고 이에 따라 신호가 가산될 때 서로간에 상쇄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상기 신호가 수신될 때 발생되는 에러율은 수신 신호의 신호 특성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안테나 소자(111, 112)의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본 예에서 안테나 소자(111, 112)의 상기 구성은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가 저속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정지한 때 소정의 기간 또는 그 이상의 기간동안 서로간에 상쇄를 지속하는 경우에 장점이 있다. 안테나(110)가 이동가능한 범위는 예를 들면 수신될 TV 신호의 송신신호의 파장의 약 1/4일 수 있다.
또한, 안테나(111, 112)의 위치는 수신될 채널이 판단된 때 수신되도록 요구되는 신호의 파장에 따라 고정될 수 있다. 위치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판단될 수 있다. 안테나 소자(111, 112)의 위치는 수신될 TV 신호의 파장의 약 1/4 범위로 이동된다. 안테나 소자(111, 112)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함께 가산된다. 안테나 소자(111, 112)의 위치는 향상된 수신 특성이 얻어질 때 고정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안테나 소자(111, 112)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위상이 반대로 되는 것을 상당히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신호가 서로간에 다른 딥(다중 경로 교란에 의해 발생됨) 위치 등을 갖게 되며, 상기 딥은 다중 경로 간섭에 의해 발생된다.
안테나(110)의 위치가 수신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변화되면, 수신 특성이 향상된다. 상기 예에서, 안테나(110)는 이동가능하다. 또한, 2개의 안테나 소자(111, 112)는 고정된 위치에서 서로 폐쇄될 수 있다. 이 경우,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예 6)
본 발명에 따른 제 6 예에서의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는 도 18a, 18b, 18c, 18d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8A, 18B, 18C, 18D는 각각 제 6 예에서의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의 예시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8a, 18b, 18c, 18d는 각각 다른 것을 나타내며, 프라임(') 및 이중 프라임(")을 갖는 참조 번호로 표시된 소자는 프라임 없이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된 소자에 대응한다.
도 18a, 18b, 18c, 1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6 예에서의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는 입력 수단(1), 가산 수단(3), 수신 수단(4), 복조 수단(5), 지연파 추정 수단(7), 증폭 수단(12), 위상 시프트 수단(13) 및 가산 제어 수단(600)을 포함한다. 가산 제어 수단(600)은 이득 제어 수단(61) 및 위상 제어 수단(63)을 포함한다. 증폭 수단(12)은 제 1 내지 제 N 증폭부를 포함한다. 위상 시프트 수단(13)은 제 1 내지 제 N 위상 시프트부를 포함한다.
제 6 예에서,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가 차량에 장착될 때, 장치는 위치 정보 판정 수단(8) 및 차량 정보 검출 수단(9)을 더 포함한다. 차량 정보 검출 수단(9)은 속도 검출 수단(91) 및 위치 검출 수단(92)을 포함한다.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는 차량에 장착되지 않더라도 차량 정보 검출 수단(9)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8a, 18b, 18c, 18d 각각에 도시된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지연 수단(2) 대신에 증폭 수단(12) 및 위상 시프트 수단(13)을 포함하며, 또한 도 2에 도시된 가산 제어 수단(6) 대신에 가산 제어 수단(600)을 포함한다.
이후 명세서에서, 제 6 예에서의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의 예시적 동작을 도 18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TV 방송용 무선파는 예를 들면 입력 수단(1) 내의 수신 안테나에 의해 다수의 전기 신호로 변환한 다음 증폭 수단(12)에 전송한다. 증폭 수단(12)은 이득 제어 수단(61)으로부터 얻어진 제어 정보에 따라 입력 수단으로부터 얻어진 각 신호의 이득을 증폭한다. 위상 시프트 수단(13)은 위상 제어 수단(63)으로부터 얻어진 위상 제어 신호에 따라 증폭 수단(12)으로부터 전송된 각 신호의 위상을 시프트한다. 가산 수단(3)은 위상 시프트 수단(13)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가산한다. 수신 수단(4)은 가산 수단(3)에 의해 가산된 신호로부터 필요한 주파수 대역의 성분을 추출하고, 추출된 성분을 복조 수단(5)에 전송한다. 복조 수단(5)은 수신 수단(4)으로부터의 성분을 복조하고, 그 결과의 디지털 데이터를 출력한다. 복조 수단(5)은 또한 수신 수단(4)으로부터의 수신 신호에 포함된 지연파에 관한 정보를 지연파 추정 수단(7)에 출력한다. 지연파 추정 수단(7)은 복조 수단(5)으로부터 얻어진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 신호에 포함된 지연파 정보를 출력한다.
가산 제어 수단(600)은 증폭 수단(12)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 및, 지연파 추정 수단(7)과 위치 정보 판정 수단(8)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얻어진 정보를 이용하여 위상 시프트 수단(13)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얻는다. 입력 수단(1), 가산 수단(3), 수신 수단(4), 복조 수단(5), 지연파 추정 수단(7), 위치 정보 판정 수단(8), 차량 정보 검출 수단(9) 및 증폭 수단(12)의 동작은 이전의 예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반복적인 설명을 피한다.
이후 명세서에서, 가산 제어 수단(600)의 예시적 동작이 상세히 설명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산 제어 수단(600)은 이득 제어 수단(61) 및 위상 제어 수단(63)을 포함한다.
이득 제어 수단(61)은 지연파 추정 수단(7) 및 위치 정보 판정 수단(8)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 신호에 관한 정보를 입력한다. 이득 제어 수단(61)은 예를 들면 수신 신호가 지연파 성분(간섭 성분)을 포함하는 가의 여부를 판단한다. 지연파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이득 제어 수단(61)은 강도, 지연 시간, 지연파의 위상, 이동 상태, 이동체의 지난 수신 간섭 상태에 관한 정보를 얻는다. 이득 제어 수단(61)은 수신 신호가 지연파 등에 의해 간섭될 때 주로 이득을 제어하며 이에 따라 수신된 신호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증폭 수단(12)에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수신 신호가 크게 간섭되면, 이득 제어 수단(61)은 다수의 입력 신호 각각에 이득을 제공한다. 수신 신호가 보다 적게 간섭되면, 이득 제어 수단(61)은 이득을 갖는 입력 신호중 하나를 공급할 수 있으며 한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그 결과, 제 1 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주파수 선택 페이딩을 받은 신호의 주파수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입력 신호의 레벨이 불충분하더라도, 증폭 수단(12)은 신호 레벨을 증폭할 수 있다.
다음에, 위상 제어 수단(63)의 예시적 동작이 설명된다. 위상 제어 수단(63)은 지연파 추정 수단(7)과 위치 정보 판정 수단(8)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증폭 수단(12)으로부터의 신호 각각에 대하여 위상 시프트 수단(13)에 의해 주어진 위상 시프트량을 판단한다. 위상 시프트 수단(13)은 위상 제어 수단(63)으로부터 얻어진 제어 신호에 따라 다수의 입력 신호의 위상을 시프트한다. 위상 시프트 수단(13)에 의해 위상 시프트 처리된 다수의 신호는 가산 수단(3)에 의해 함께 가산되기 때문에, 180°위상차를 갖는 신호가 서로간에 상쇄되도록 함께 가산될 확률이 증폭 수단(12)으로부터의 신호가 함께 가산되는 시스템에 비해서 낮다.
이후 명세서에서, 위상 시프트 수단(13)의 예시적 구성 및 동작이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9는 위상 시프트 수단(13)의 예시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상 시프트 수단(13)은 입력부(131), 위상 시프트 회로(132), 부정 회로(133, 134), 승산 회로(135, 136, 137, 138) 및 가산 회로(139)를 포함한다. 부정 회로(133, 134)는 수신된 신호를 반전시킨다. 승산 회로(135, 136, 137, 138)는 수신된 신호를 적절하게 증폭시킨다.
입력부(131)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위상 시프트 회로(132), 부정 회로(133) 및 승산 회로(136)에 전송된다. 위상 시프트 회로(132)에 전송된 신호는 예를 들면 90도의 위상 지연이 주어진다. 위상 시프트 회로(132)로부터 출력된 신호중 하나는 부정 회로(134) 및 승산 회로(137)를 통하여 가산 회로(136)에 전송된다. 위상 시프트 회로(132)로부터 출력된 다른 신호는 승산 회로(138)를 통해 가산회로(139)에 전송된다.
부정 회로(133)에 전송된 신호는 부정 회로(133)에 의해 반전되어 승산 회로(135)를 통하여 가산 회로(139)에 전송된다. 승산 회로(136)에 전송된 신호는 승산 회로(136)에 의해 증폭되어 가산 회로(139)에 전송된다. 가산 회로(139)는 신호를 수신하여 가산한다.
그 결과, 가산 회로(139)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위상 시프트 회로(132)에 입력된 신호에 대하여 0도 내지 360도의 임의의 위상 시프트를 갖을 수 있다. 승산 회로(135, 136, 137, 138)에 주어진 이득값은 가산 회로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위상을 변경시키기 위하여 시간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위상 시프트 회로(132)는 가변 리액턴스 소자를 전압 제어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도 24는 가변 리액턴스 소자에 공급된 전압과 상기 전압에 따라 변화하는 위상 시프트량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0V 내지 1V의 전압과 연관하여 0도 내지 360도로 입력 신호의 위상을 선형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가변 리액턴스 소자가 도 18a, 18b, 18c, 18d 각각에 도시된 위상 시프트 수단(13)에 제 1 내지 제 N 위상 시프트부 각각이 이용될 수 있다.
시간에 따라 위상을 변화시키는 예시적 방법이 도 25a, 25b, 25c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25a, 25b, 25c는 위상 시프트부에 인가된 전압과 시간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다. 예를 들면, 위상 시프트 회로(132)(도 19)가 제 1, 제 2 및 제 3 시프트부를 포함하는 경우, 도 25a에 도시된 신호는 제 1 위상 시프트부에 입력되고, 도 25b에 도시된 신호는 제 2 위상 시프트부에 입력되며, 도 25c에 도시된 신호는 제 3 위상 시프트부에 입력된다. 각 신호의 위상은 독립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위상은 0도 내지 360도로 변화되며, 360도 이상으로 위상을 변화시킬 필요는 없다.
위상 시프트 회로(132)(도 19)는 제 1 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신호 경로 길이를 변화시키거나 또는 SAW 소자를 이용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실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인해, 다수의 신호들 각각의 위상은 위상 제어 수단(63)으로부터 얻어진 제어 신호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이전의 예에서 설명된 지연 수단에 의한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제공하기 때문에, 180°위상차를 갖는 신호가 함께 가산될 때 서로 상쇄되는 것을 방지한다. 안테나를 통해 입력된 다수의 신호가 단순히 함께 가산되는 경우에 비해서, 수신 신호상의 간섭이 상당히 감소된다.
도 18a에 도시된 구성에서, 입력 수단(1)에 의해 얻어진 신호는 증폭 수단(12) 및 위상 시프트 수단(13)에 의해 처리된 다음, 가산 수단(3)에 의해 가산되며, 수신 수단(4)에 의해 주파수 변환 처리된다.
상기 예에서,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N 수신국을 포함한 수신 수단(4')은 증폭 수단(12) 바로 다음에 위치될 수 있으며, 위상 시프트 수단(13)은 수신 수단(4') 바로 다음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8b에 도시된 구성에 있어서, 위상 시프트 수단(13)에 의한 위상 시프트와 가산 수단(3)에 의한 가산이 기저 대역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서 수행된다.
도 1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수단(4")이 수신 수단(4) 대신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8c에 도시된 구성에 있어서, 입력 수단(1)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증폭 수단(12)에 의해 증폭되고, 신호의 주파수와 기저 대역 신호의 주파수 대역 사이의 주파수 대역 내의 신호(즉, 중간 주파수 신호)로 변환된다. 이후, 중간 주파수 신호는 수신 수단(4")에 의해 복조 수단(5)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주파수의 신호(예컨대,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도 18c에 도시된 구성에 있어서, 위상 시프트 수단(13)은 수신 수단(4") 바로 다음에 위치된다. 따라서, 위상 시프트 수단(13)에 의해 처리될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도 18a에서의 구성에서 보다 낮게 될 수 있다. 신호가 수신 수단(4")에 의해 중간 주파수 신호로 변환되는 경우, 신호는 일정한 주파수 대역 내의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채널의 신호가 요구되더라도, 위상 시프트 수단(13)에 의해 이용되는 위상 제어 방법이 요구되는 채널의 주파수에 따라 변경될 필요가 없다.
제 1 내지 제 4 예에서 설명된 지연 수단 대신에, 중간 주파수 대역에서의 수신 신호의 특성을 변화시키기 위한 구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제 6 예에서와 동일한 효과가 제공된다.
도 18a, 18b, 18c에 도시된 구성에 있어서, 증폭 수단(12)은 입력 수단(1) 바로 다음에 위치되며, 이에 따라 각 신호의 이득이 이득 제어 수단(61)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도 1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상 시프트 수단(12)으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이득이 제어될 수 있다.
도 18a, 18b, 18c에 도시된 구성이 이득 제어 수단(61)을 삭제함으로써 간단하게 될 수 있다. 이 경우, 신호는 일정한 레벨에 의해 증폭된다.
(예 7)
본 발명에 따른 제 7 예에서의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20은 제 7 예에서의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의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7 예에서의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는, 입력 수단(1), 지연 수단(2), 가산 수단(3), 수신 수단(4), 복조 수단(5), 가산 제어 수단(6) 및 수신 상태 추정 수단(14)을 포함한다. 가산 제어 수단(6)은 이득 제어 수단(61) 및 지연 시간 제어 수단(62)을 포함한다. 지연 수단(2)은 제 1 내지 제 N 지연부를 포함한다. 가산 수단(3)은 제 1 내지 제 N 이득 조정부(31)를 포함한다.
제 7 예에서의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가 차량에 장착될 때, 장치는 차량 정보 검출 수단(9)을 더 포함한다. 차량 정보 검출 수단(9)은 속도 검출 수단(91)을 포함한다.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는 차량에 장착되지 않을 때 차량 정보 검출 수단(9)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지연파 추정 수단(7) 대신에 수신 상태 추정 수단(14)을 포함한다. 차량 정보 검출 수단(9)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다른 구성을 갖는다. 가산 수단(3)은 제 1 내지 제 N 이득 조정부(31)를 포함한다.
이후 명세서에서, 제 7 예에서의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의 예시적 동작이도 20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TV 방송용 무선파는 예를 들면 입력 수단(1) 내의 수신 안테나(11)에 의해 다수의 전기 신호로 변환되고, 지연 수단(2)에 전송된다. 지연 수단(2)은 지연 시간 제어 수단으로부터 얻어진 제어 신호에 따라 신호에 지연을 제공한다. 지연을 갖는 신호는 가산 수단(3)에 전송된다. 가산 수단(3)은 이득 제어 수단(61)에 따라 지연 수단(2)으로부터 얻어진 다수의 신호들의 가산비를 조정한다. 다음에, 가산 수단(3)은 다수의 신호들을 가산한다. 수신 수단(4)은 가산 수단(3)에 의해 가산된 신호로부터 필요한 주파수 대역의 성분을 추출하고, 추출된 성분을 복조 수단(5)에 전송한다. 복조 수단(5)은 수신 수단(4)으로부터의 성분을 복조하고, 그 결과의 디지털 데이터를 출력한다.
복조 수단(5)은 수신 상태 추정 수단(14)이 수신 상태(무선 상태)를 추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복조 상태의 정보를 수신 상태 추정 수단(14)에 출력한다. 복조 수단(5)은, 예를 들면 입력 수단(1)으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레벨 변화 같은 입력 상태에 관한 정보 및/또는 복조 수단(5)에 의해 얻어진 복조 상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 상태를 판단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가산 제어 수단(6)은 이득 제어 수단(61) 및 지연 시간 제어 수단(62)을 포함한다. 이득 제어 수단(61)은 수신 상태 추정 수단(14)과 차량 정보 검출 수단(9)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얻어진 정보를 이용하여, 조정부(31)에 이득 제어 정보를 공급한다. 지연 시간 제어 수단(62)은 수신 상태 추정 수단(14)과 차량 정보 검출 수단(9)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얻어진 정보를 이용하여 지연 수단(2)에 지연 시간 제어 정보를 공급한다. 입력 수단(1), 지연 수단(2), 수신 수단(4), 복조 수단(5), 가산 제어 수단(6) 및 속도 검출 수단(91)의 동작은 이전의 예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후 명세서에서, 수신 상태 추정 수단(14)의 예시적 동작이 상세히 설명된다. 수신 상태 추정 수단(14)은, 예를 들면 복조 수단(5)에 의해 얻어진 신호의 송신 특성 같은 정보를 취하여, 수신 신호가 예컨대 지연파 같은 재밍(jamming) 신호를 포함하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 간섭 신호가 수신 신호에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수신 상태 추정 수단(14)은 신호 레벨, 지연 시간, 지연파의 위상 중 적어도 하나인 다중 경로 간섭 상태를 추정한다. 수신 상태 추정 수단(14)은 또한 복조된 데이터에서의 에러량에 관한 정보를 얻는다. 수신 신호의 송신 특성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은 이전의 예들에서 설명되었기 때문에,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수신 상태 추정 수단(14)은 입력 수단(1)에 의해 수신된 신호 레벨의 정보를 취하고, 예컨대 1년 전의 각 안테나(11)의 수신 상태 같은 데이터를 얻는다. 다음에, 수신 상태 추정 수단(14)은 입력 수단(1) 및 복조 수단(5)으로부터 얻어진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의 수신 상태를 추정하고, 추정된 현재의 수신 상태를 가산 제어 수단(6)에 전송한다. 수신 상태 추정 수단(14)은 또한 필요하다면 수신 신호의 송신 파라미터의 변조 모드에 관한 정보를 취한다.
다음은 이득 제어 수단(61)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득 제어 수단(61)은 수신 상태 추정 수단(14)에 의해 추정된 수신 상태에 기초하여 가산 수단(3)에 포함된 이득 조정부(31)에 관한 제어 정보를 얻는다. 제 1 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수신 상태가 충족되면, 하나의 입력 신호만을 이용하여 충분한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이득 제어 수단(61)은 이득을 하나의 입력 신호에 제공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가산 수단(3)에 공급한다. 상기 시스템에 의해, 하나의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가 선택되고, 이에 따라 하나의 안테나에 의해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실현되는 수신 상태가 생성된다. 신호 레벨이 감소되거나 또는 다중 경로 간섭이 증가되는 경우, 이득 제어 수단(61)은 이득을 다수의 입력 신호에 제공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가산 수단(3)에 공급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득 제어 수단(61)은 입력 신호들 사이의 관계를 줄이기 위하여 다른 이득값을 모든 적절한 입력 신호에 제공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가산 수단(3)에 공급한다. 이득 제어 수단(61)은 빠른 이득 변화를 피하기 위하여 가산 수단(3)에 명령할 필요가 있다. 그 이유는, OFDM 변조 신호가 복조를 위해 이용된 제어 신호를 포함해서, 빠른 안테나 스위칭이 지난 1년동안 누적된 데이터를 원하지 않게 무효로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득 제어 수단(61)은 이득의 고정된 값이 신호에 주어지도록 간단화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연 시간을 제어하는 대신에, 신호의 위상이 제 6 예에서와 같이 직접 제어될 수 있어서,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다음은 지연 시간 제어 수단(62)의 예시적 동작을 설명한다. 지연 시간 제어 수단(62)은 수신 상태 추정 수단(14)에 의해 얻어진 수신 상태 및 다른 정보에 기초하여 지연 수단(2)에 의해 각 입력 신호에 주어질 데이터량을 판단한다. 여기서, 예를 들어 시간에 따라 각각의 위상이 변화하는 동안 다수의 신호들이 가산되는 경우에 지연량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이 설명된다. 지연 수단(2)에 의해 주어진 지연량은 제 1 내지 제 4 예들에서 설명된 방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다음은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의 이동 상태가 다수의 안테나에 입력된 신호를 가산하는 동안 지상 디지털 TV 신호의 수신에 어떻게 연관되는가에 대하여 설명한다.
디지털 TV 방송은 다중 경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여러 가지 기술을 포함한다. 따라서, 종래의 아날로그 TV 방송에 비해서, 디지털 TV 방송은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의 이동 상태에 관계없이 간섭을 적게 받을 수 있다.
간섭에 대처하는 상술한 측정들은 다음을 포함한다: (1) OFDM 변조 모드가 적용됨; (2) 보호 간격 기간이 지연파에 의한 내부 코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유효 심볼 기간들 사이에 제공됨; (3) 전송될 데이터 스트림이 시간 및 주파수 방향으로 재배치되어, 수신 신호에서의 데이터 에러가 분산되고 이에 따라 에러 보정 용량이 버스트 방식으로 발생하는 수신 에러의 발생을 피하기 위하여 에러 정정 코딩에 의해 향상됨.
도 28 내지 도 30을 참조하여, 유효 심볼, 유효 심볼 기간 및 보호 간격 기간이 설명된다.
도 28은 OFDM 신호의 예시적 구성을 도시하며, 도 29는 아날로그 TV 송신신호의 예시적 구성을 도시한다.
OFDM 신호는 다수의 캐리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B, C, D..."의 정보가 전송되면, 정보 블록 A 내지 G가 동시에 전송되며, 다음에 정보 블록 H 내지 N이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시에 전송된다. 정보 블록 A 내지 G가 전송된 기간은 하나의 유효 심볼 기간으로 불리운다. 하나의 유효 심볼 기간은 OFDM 신호의 내부 캐리어 간격에 좌우된다. 예를 들어, 내부 캐리어 간격이 4kHz이면, 하나의 유효 심볼 기간은 1/4000=250×10-6초이다. 정보 블록 A 또는 G는 하나의 유효 심볼로 불리운다.
OFDM 신호는 정보 블록 A를 전송하기 위하여 유효 심볼 기간과 더불어 보호 간격 기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0은 하나의 유효 심블 기간 및 하나의 보호 간격 기간을 도시한다. 예를 들면, 정보 블록 A는 하나의 유효 심볼 기간동안 전송될 수 있다. 그러나, 정보 블록 A가 간섭파를 포함하여 정보 블록 A가 정보 블록 H의 직접파에 영향을 주게 되는 원치 않는 가능성이 있게 된다. 이것을 피하기 위하여, 각 정보 블록의 선두 부분은 동일한 블록이 기입된 후미 부분에 관한 정보를 갖는다. 선두 부분은 보호 간격 기간으로 불리운다. 또한, 각 정보 블록의 후미 부분은 동일한 블록이 기입된 선두 부분에 관한 정보를 갖는다.
그러나, 입력 신호 레벨이 지나치게 낮거나 고 레벨 간섭파에 의해 주파수 선택 페이딩과 같은 수신 간섭이 발생되면, 에러 보정 용량을 넘는 양의 데이터 수신 에러가 발생되는 것으로 예상된다. 이것을 피하기 위하여, 다수의 안테나(11)로부터 입력 신호를 함께 가산함으로써 입력 신호 레벨을 높이고 또한 주파수 선택 페이딩을 줄임으로써 에러를 감소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가 이동하는 동안, 다수의 안테나(11)의 신호 수신 특성이 연속적으로 변화한다. 다수의 안테나로부터의 신호가 함께 가산되더라도, 신호는 긴 시간 기간동안 서로 상쇄하기 위해 180°위상차를 갖지 않는다.
그러나,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가 정지하거나 또는 저속으로 이동하는 경우, 다수의 안테나(11)의 신호 수신 특성이 크게 변화하지 않는다. 이것은 180°위상차를 갖는 신호들이 연장된 시간 기간동안 함께 가산되는 동안 서로 상쇄하는 가능성을 유발한다. 이를 피하기 위하여,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는 다수의 입력 신호중 적어도 하나의 지연 시간이 시간에 따라 변화한다. 이 방식으로, 다수의 입력 신호들의 각각의 위상이 시간에 따라 서로간에 연관하여 변화될 수 있다. 이것은 각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전자파가 도플러 효과를 받는 경우에 대응한다. 상기 시스템은 신호의 특성이 일정하게 변화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체가 이동하는 동안에, 신호의 수신 특성은 일정하게 변하기 때문에, 신호의 위상을 거의 제어할 필요가 없다.
이후 명세서에서,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의 이동 상태를 고려하여 지연 시간 제어 수단(62)의 예시적 동작이 설명된다.
도 21은 지연 시간 제어 수단(62)의 동작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스텝 S1에서, 지연 시간 제어 수단(62)은 수신 상태 추정 수단(14)으로부터 수신 상태 정보를 얻는다. 스텝 S2에서, 지연 시간 제어 수단(62)은 수신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다중 경로 간섭 수신량을 판단한다. 지연 시간 제어 수단(62)이 다중 경로 간섭이 스텝 S2에서의 기준량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지연 시간 제어수단(62)은 스텝 S3에서 속도 검출 수단(91)으로부터 이동 속도 정보를 얻는다. 스텝 S4에서, 지연 시간 제어 수단(62)은 이동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체의 이동 속도를 판단한다. 지연 시간 제어 수단(62)이 이동체가 스텝 S4에서 저속으로 이동 또는 정지한다고 판단하면, 지연 시간 제어 수단(62)은 스텝 S5에서 수신 상태 추정 수단(14)으로부터의 방송 모드 정보를 얻는다. 본 명세서에서, "저속"은 본 예에서의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를 장착한 차량의 이동에 의해 발생된 도플러 주파수가 예를 들면 약 0Hz 내지 약 10Hz로 되는 속도로 불리운다. 스텝 S6에서, 지연 시간 제어 수단(62)은 지연 시간동안 제어량의 최적값을 얻기 위하여 지연 시간 제어량과 방송 모드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표를 조회한다. 스텝 S7에서, 지연 시간 제어 수단(62)은 지연 시간 제어 정보를 출력한다.
지연 시간 제어 수단(62)이, 다중 경로 간섭이 스텝 S2에서의 기준량 보다 크지 않거나 또는 이동체가 스텝 S4에서 저속으로 거의 이동하지 않거나 또는 정지한다고 판정하면, 지연 시간 제어 수단(62)은 스텝 S8에서 지연 시간의 제어를 방지하기 위한 지연 시간 제어 정보를 출력한다. 따라서, 동작이 종료된다.
스텝 S6에서 조회되는 지연 시간동안의 제어량에 관한 표가 간단히 설명된다. 지연 시간이 시간에 따라 신호의 위상이 변화할 수 있도록 제어되는 경우, 위상의 변화는 OFDM 변조 신호에 내부 캐리어 간섭을 일으킨다. 이를 피하기 위하여, 지연 시간 제어 수단(62)은 위상 시프트량의 상한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시프트량의 상한은 예를 들면 내부 캐리어 간격의 약 1% 또는 이보다 낮을 수 있다. 내부 캐리어 간섭의 영상은 변조 모드 또는 송신파라미터(예컨대, 시간 간격)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각 캐리어 변조 모드 또는 각 송신파라미터에 대하여 위상 시프트량 또는 위상 시프트량의 상한을 설정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예를 들면, 지연 시간은 다음과 같이 제어될 수 있다: OFDM 변조 신호의 내부 캐리어 간격이 2kHz이고, 캐리어 변조 모드가 DQPSK 변조 모드인 경우, 위상 시프트량의 상한은 내부 캐리어 간격의 1%인 20Hz로 설정되며; 데이터가 16QAM 변조 모드에 의해 변조되는 경우, 위상 시프트량이 내부 캐리어 간격의 0.5%인 10Hz로 설정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지연 시간을 제어하는 대신에, 신호의 위상이 제 6 예에서와 같이 직접 제어될 수 있어, 동일한 효과가 제공된다. 도 22는 신호의 위상이 직접 제어될 때 이용가능한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의 예시적 구성을 도시한다. 도 22에 도시된 장치에서, 위상 시프트 수단(13)은 도 20에 도시된 지연 수단(2) 대신에 이용된다. 위상 제어 수단(63)은 도 20에 도시된 지연 시간 제어 수단 대신에 이용된다. 위상 시프트 수단(13) 및 위상 제어 수단(63)의 동작은 제 6 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기 때문에,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3a 및 23b를 참조하여, 각 위상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동안 다수의 입력 신호들이 함께 가산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수신 에러 발생 상태가 설명된다. 도 23a는 상대적으로 간섭이 강한 수신 상태를 갖는 환경에서 하나의 안테나에 의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수신 에러 발생 상태를 도시하며, 도 23b는 동일한 환경에서 다수의 안테나들에 의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수신 에러 발생 상태를 도시한다. 도 23a 및 23b에서, 수평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수직축은 에러의 수를 나타낸다.
도 23a 및 23b로부터 이해될 수 있듯이, 신호가 다수의 안테나에 의해 수신될 때, 데이터 에러의 수는 감소되고, 에러가 발생하는 타이밍이 시간에 따라 분산된다. 따라서, 짧은 시간에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에러 발생 수신은 각 위상이 제어되는 동안 다수의 입력 신호를 함께 가산함으로써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예에서의 수신 시스템은 짧은 시간에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에러 발생 수신을 방지하고 데이터 에러의 수를 감소할 수 있기 때문에, 신호 전송시 필요한 시간 인터리브의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그 이유는, 본 예에서의 시스템이 에러의 연속적인 발생을 방지하여, 시간 인터리브의 길이가 짧아지더라도 데이터 에러가 시간에 따라 분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신호 전송시 필요한 시간 인터리브의 길이를 단축함으로써,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에서의 데이터 스트림을 회복하기 위해 기억될 필요가 있는 수신 데이터량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7 예에서의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는 수신 상태 및 이동 속도에 관한 정보를 얻고, 다음에 위상 및 이득이 얻어진 정보에 따라 제어되는 동안 다수의 입력 신호를 함께 가산함으로써, 수신 간섭의 발생을 감소시킨다. 또한, 신호의 각각의 위상을 시간에 따라 변화시킴으로써, 다수의 안테나 입력 신호가 함께 가산될 때 발생하는 문제였던 짧은 시간에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에러 발생이 억제된다. 본 예에서의 시스템은 종래의 기술과 다른 수신 에러의 연속적인 발생을 방지하여, 시간 인터리브 길이가 짧아질 때에도 에러가 분산될 수 있다. 이로서 신호 전송시 가산된 시간 인터리브가 짧아지도록 할 수 있다. 본 예에서의 구성은 제 1 내지 제 6 예들에서 설명된 구성중 일부와 결합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7 예에서, 입력 수단(1)은 복수의 안테나(11)를 포함하고, 입력 수단(1)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복수의 안테나(11)로부터 출력된 신호들 가운데서 선택될 수 있다. 수신 효율은 안테나(11)로부터 출력된 신호로부터 불필요한 신호를 제거함으로써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의 일부를 도 2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27은 복수의 안테나(11) 및 선택부 및 에러율 측정부를 포함하는 입력 수단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는 입력 수단(1) 및 에러율 측정부를 제외하면 제 1 내지 제 7 예에서 설명한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입력 수단(1)은 복수의 안테나(11) 및 에러율 측정부로부터 얻어진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출력되는 신호를 선택하는 선택부를 포함한다. 상기 에러율 측정부는 복조 수단에서 신호의 에러율을 측정한다. 에러율이 규정값을 초과하면, 에러율 측정부는 입력 수단(1)의 선택부에 제어 신호를 공급하여 선택부가 안테나(11)로부터 출력된 신호들 가운데 규정된 레벨을 초과하는 레벨을 갖는 신호를 선택하도록 한다. 도 27에 도시된 구조에 의해 디지털 TV 방송이 안정하게 수신될 수 있다.
선택부는 안테나(11)로부터 출력된 신호들 가운에 규정된 레벨을 초과하는 레벨을 갖는 신호를 선택한다. 상기 선택은 수신 신호의 규정된 값 이상인 간격으로 행해진다. 수신 신호의 규정값은 예를 들면, OFDM 신호의 데이터의 한 프레임을 송신하는데 필요한 시간 주기를 말한다. 선택부는 수신 신호의 각각의 수신 프레임 또는 각각의 임의의 프레임 내의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안테나(11)로부터 출력된 신호들로부터 불필요한 신호를 제거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산 제어 수단(6)은 지연파 추정 수단(7)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거하여 가산 수단(3)의 가산비를 변화시키는 제어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산비는 가변한다. 가산 수단(3)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 중에서, 복조 수단(7)에서 규정 레벨을 초과하는 레벨의 에러율을 갖는 신호에 대응하는 신호의 레벨이 0이 되도록 신호들이 감쇄된다.
가산비는 수신 신호의 규정된 값 이상인 간격으로 가변할 수 있다. 상기 가산비는 수신 신호의 각각의 수신 프레임 또는 각각의 임의의 프레임에서 가변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7 예에서, 예를 들면 가산 수단의 가산비, 지연 수단의 지연 시간, 증폭 수단의 증폭률, 위상 이동 수단의 이동량과 같은 설정값은 유효 심벌 주기 직후 또는 유효 심벌 주기 직전에 수신 신호의 보호 기간 동안에 갱신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7 예에서, 위치 정보 판정 수단(8)은 송신국의 위치에서 정보를 획득하고, 차량 정보 검출 수단(9)에 의해 얻어진 정보 및 상기 송신국의 위치에 의거하여 수신 위치의 무선 상태를 추정할 수 있다. 정보 판정 수단(8)은 미리 복수의 위치의 무선 상태를 기억하고 차량 정보 검출 수단(9)에 의해 얻어진 정보에 의거하여 수신 위치의 무선 상태를 추정할 수 있다. 정보 판정 수단(8)은 규정된 간격 또는 임의의 간격에서 복수의 위치의 무선 상태를 얻을 수 있으며, 차량 정보 검출 수단(9)에 의해 얻어진 정보에 의거하여 수신 위치의 무선 상태를 추정할 수 있다. 한편, 무선 상태는 방송국이 복수의 위치의 수신 상태를 나타내는 수신 정보 데이터를 송신하는 시스템에 의해 추정될 수 있고, 제 1 내지 제 7 예의 어떠한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도 상기 수신 정보 데이터를 수신한다.
본 발명은 수신 장치가 이동하는 동안 발생하는 수신 간섭을 개선하는 한편, 비행에 의해 발생하는 송신특성에서의 변화에 의해 발생된 수신 간섭을 개선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본 발명은 이동 수신기와 고정 수신기에 응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비하여, 예를 들면, 다중-경로 간섭 또는 디지털 TV 신호가 수신될 때 발생하는 TV 신호의 전기장의 세기의 감소와 같은 수신 간섭을 개선한다. 이러한 특징은 예를 들면 수신 신호의 지연 제어, 복수의 신호의 가산 또는 수신 간섭의 추정과 같은 신호 처리에 의해 구현된다. 이러한 특징은 또한 신호 입력 수단으로서 복수의 안테나를 사용하거나 하나 이상의 안테나의 설치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구현된다.
디지털 TV 방송의 수신 위치에서의 수신 상태의 데이터가 송신국으로부터 전송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는 수신 위치에서의 수신 간섭을 측정하고, 상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간섭을 경감한다.
당업자들에 의해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많은 다른 변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첨부한 청구범위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님을 주지해야 한다.

Claims (70)

  1. 삭제
  2. 삭제
  3.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
    제 1 내지 제 N 신호들을 수신하고, 정궤환 제어에 의해 수신된 신호 중에 적어도 제 (N-1) 신호를 변경시키는 변경 수단 및,
    상기 변경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가산하는 가산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N은 2 또는 이보다 큰 자연수이고,
    상기 변경 수단은 적어도 제 (N-1) 신호의 위상을 시프트하기 위한 위상 시프트 수단인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4.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
    제 1 내지 제 N 신호들을 수신하고, 정궤환 제어에 의해 수신된 신호 중에 적어도 제 (N-1) 신호를 변경시키는 변경 수단 및,
    상기 변경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가산하는 가산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N은 2 또는 이보다 큰 자연수이고,
    상기 변경 수단은 적어도 제 (N-1) 신호를 변경하기 위해 적어도 제 (N-1) 신호를 지연하는 지연 수단인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5.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
    제 1 내지 제 N 신호들을 수신하고, 외부 신호에 기초하여 수신된 신호 중에 적어도 제 (N-1) 신호를 변경시키는 변경 수단 및,
    상기 변경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가산하는 가산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N은 2 또는 이보다 큰 자연수이며,
    상기 외부 신호는 가산 수단에 의해 얻어진 신호에 기초하여 발생되고,
    상기 변경 수단은 적어도 제 (N-1) 신호의 위상을 규정된 양만큼 시프트시키는 위상 시프트 수단인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6.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
    제 1 내지 제 N 신호들을 수신하고, 외부 신호에 기초하여 수신된 신호 중에 적어도 제 (N-1) 신호를 변경시키는 변경 수단 및,
    상기 변경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가산하는 가산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N은 2 또는 이보다 큰 자연수이며,
    상기 외부 신호는 가산 수단에 의해 얻어진 신호에 기초하여 발생되고,
    상기 변경 수단은 적어도 제 (N-1) 신호를 변경하기 위해 적어도 제 (N-1) 신호를 규정된 지연 시간만큼 지연시키는 지연 수단인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전자파를 다수의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고, 다수의 전기 신호를 제 1 내지 제 N 신호들로서 출력시키는 입력 수단과,
    상기 가산 수단에 의해 가산된 신호의 주파수 변환을 수행하고, 주파수 변환된 신호를 출력시키는 수신 수단 및,
    상기 주파수 변환된 신호를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시키는 복조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연 수단은 규정된 지연 시간이 임의로 설정되도록 하며,
    상기 가산 수단은 지연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들이 가산되는 가산비가 임의로 설정되도록 하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전자파를 다수의 전기 신호들로 변환시키고, 다수의 전기 신호들을 출력시키는 입력 수단과,
    다수의 전기 신호들을 규정된 증폭비로 증폭시키고, 증폭된 신호들을 제 1 내지 제 N 신호들로 출력시키는 증폭 수단과,
    상기 가산 수단에 의해 가산된 신호의 주파수 변환을 수행하고, 주파수 변환된 신호를 출력시키는 수신 수단과,
    상기 주파수 변환된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 수단과,
    상기 복조 수단에 의해 얻어진 복조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고, 복조 상태에 기초하여 입력 수단에 의해 수신된 전자파에 포함된 지연파 정보를 추정하는 지연파 추정 수단 및,
    상기 지연파 추정 수단에 의해 얻어진 지연파 정보에 기초하여 규정된 증폭비와 규정된 지연 시간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고, 규정된 증폭비와 규정된 지연 시간중 적어도 하나를 증폭 수단 및 지연 수단중 적어도 하나에 출력시키는 가산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전자파를 다수의 전기 신호들로 변환시키고, 다수의 전기 신호들을 출력시키는 입력 수단과,
    다수의 전기 신호들의 주파수 변환을 수행하고, 다수의 주파수 변환된 신호들을 제 1 내지 제 N 신호들로서 출력시키는 수신 수단 및,
    상기 가산 수단에 의해 가산된 신호를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시키는 복조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연 수단은 규정된 지연 시간이 임의로 설정되도록 하며,
    상기 가산 수단은 지연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들이 가산되는 가산비가 임의로 설정되도록 하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전자파를 다수의 전기 신호들로 변환시키고, 다수의 전기 신호들을 제 1 내지 제 N 신호들로 출력시키는 입력 수단과,
    가산 수단에 의해 가산된 신호의 주파수 변환을 수행하고, 주파수 변환된 신호를 출력시키는 수신 수단 및,
    주파수 변환된 신호를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시키는 복조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위상 시프트 수단은 규정된 양이 임의로 설정되도록 하며,
    상기 가산 수단은 위상 시프트 수단에 의해 출력된 신호들이 가산되는 가산비가 임의로 설정되도록 하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11. 제 5 항에 있어서,
    전자파를 다수의 전기 신호들로 변환시키고, 다수의 전기 신호들을 출력시키는 입력 수단과,
    다수의 전기 신호들을 규정된 증폭비로 증폭시키고, 증폭된 신호들을 제 1 내지 제 N 신호들로 출력시키는 증폭 수단과,
    가산 수단에 의해 가산된 신호의 주파수 변환을 수행하고, 주파수 변환된 신호를 출력시키는 수신 수단과,
    주파수 변환된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 수단과,
    상기 복조 수단에 의해 얻어진 복조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고, 복조 상태에 기초하여 입력 수단에 의해 수신된 전자파에 포함된 지연파 정보를 추정하는 지연파 추정 수단 및,
    상기 지연파 추정 수단에 의해 얻어진 지연파 정보에 기초하여 규정된 증폭비와 규정된 양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고, 규정된 증폭비와 규정된 양중 적어도 하나를 증폭 수단 및 위상 시프트 수단중 적어도 하나에 출력시키는 가산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12. 제 5 항에 있어서,
    전자파를 다수의 전기 신호들로 변환시키고, 다수의 전기 신호들을 출력시키는 입력 수단과,
    다수의 전기 신호들의 주파수 변환을 수행하고, 다수의 주파수 변환된 신호들을 제 1 내지 제 N 신호들로 출력시키는 수신 수단 및,
    가산 수단에 의해 가산된 신호를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시키는 복조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위상 시프트 수단은 규정된 양이 임의로 설정되도록 하며,
    상기 가산 수단은 위상 시프트 수단에 의해 출력된 신호들이 가산되는 가산비가 임의로 설정되도록 하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13. 제 7 항에 있어서,
    복조 수단에 의해 얻어진 복조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고, 복조 상태에 기초하여 입력 수단에 의해 수신된 전자파에 포함된 지연파 정보를 추정하는 지연파 추정 수단 및,
    지연파 추정 수단에 의해 얻어진 지연파 정보에 기초하여 규정된 가산비와 규정된 지연 시간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하고, 규정된 가산비와 규정된 지연 시간중 적어도 하나를 가산 수단 및 지연 수단중 적어도 하나에 출력시키는 가산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14. 제 10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복조 수단에 의해 얻어진 복조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고, 복조 상태에 기초하여 입력 수단에 의해 수신된 전자파에 포함된 지연파 정보를 추정하는 지연파 추정 수단 및,
    지연파 추정 수단에 의해 얻어진 지연파 정보에 기초하여 규정된 가산비와 규정된 양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고, 규정된 가산비와 규정된 양중 적어도 하나를 가산 수단 및 위상 시프트 수단중 적어도 하나에 출력시키는 가산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15. 제 8 항, 제 11 항, 제 1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파 추정 수단은 복조 수단에 의해 얻어진 복조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고, 지연파의 강도, 지연파와 직접파간의 위상차 및 직접파에 대한 지연파의 지연 시간을 포함한 지연파 정보를 추정하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16. 제 8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산 제어 수단은 가변 리액턴스 소자를 갖는 지연 시간 제어 수단을 포함하며, 가변 리액턴스 소자에 인가된 전압을 변경함으로써 규정된 지연 시간을 제어하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산 제어 수단은 가변 리액턴스 소자를 갖는 위상 제어 수단을 포함하여, 가변 리액턴스 소자에 인가된 전압을 변경함으로써 규정된 양을 제어하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18. 제 8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의 수신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 및,
    상기 위치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수신 위치에서의 무선 상태를 판단하는 위치 정보 판정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산 제어 수단은 지연파 추정 수단에 의해 얻어진 지연파 정보 및, 위치 정보 판정 수단에 의해 얻어진 무선 상태에 기초하여 규정된 증폭비와 규정된 지연 시간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하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19. 제 11 항에 있어서,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의 수신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 및,
    상기 위치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수신 위치에서의 무선 상태를 판단하는 위치 정보 판정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산 제어 수단은 지연파 추정 수단에 의해 얻어진 지연파 정보 및, 위치 정보 판정 수단에 의해 얻어진 무선 상태에 기초하여 규정된 증폭비와 규정된 양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하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20. 제 8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의 이동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검출 수단과,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의 수신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 및,
    상기 위치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신호 및 상기 속도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수신 위치에서의 무선 상태를 판단하는 위치 정보 판정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가산 제어 수단은 지연파 추정 수단에 의해 얻어진 지연파 정보 및, 위치 정보 판정 수단에 의해 얻어진 무선 상태에 기초하여 규정된 증폭비와 규정된 지연 시간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하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21. 제 11 항에 있어서,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의 이동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검출 수단과,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의 수신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 및,
    상기 위치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신호 및 상기 속도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수신 위치에서의 무선 상태를 판단하는 위치 정보 판정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가산 제어 수단은 지연파 추정 수단에 의해 얻어진 지연파 정보 및, 위치 정보 판정 수단에 의해 얻어진 무선 상태에 기초하여 규정된 증폭비와 규정된 양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하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검출 수단 및 상기 위치 검출 수단은 항법 시스템인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23. 제 8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 수단은 신호 분배시 신호 이득의 감소를 보상하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24. 제 7 항 내지 제 13 항, 제 17 항, 제 19 항, 제 21 항, 제 2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수단은 다른 수신 특성들을 갖는 다수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25.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
    전자파를 다수의 전기 신호들로 변환하는 입력 수단과,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얻어진 다수의 전기 신호들의 주파수 변환을 수행하는 수신 수단과,
    다수의 주파수 변환된 신호들을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시키는 복조 수단과,
    상기 복조 수단에 의해 얻어진 복조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전자파에 포함된 지연파 정보를 추정하는 지연파 추정 수단 및,
    지연파 정보에 기초하여 복조 수단에 의해 처리된 전달 함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복조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조 수단은,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얻어진 다수의 신호들의 주파수 변환을 수행하는 주파수 분석 수단과,
    상기 주파수 분석 수단에 의해 얻어진 다수의 신호를 동작시키는 조정 수단 및,
    상기 조정 수단에 의해 얻어진 다수의 신호들을 디코딩하는 디코딩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지연파 추정 수단은 상기 디코딩 수단에 의해 얻어진 복조 상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지연파의 강도, 지연파와 직접파간의 위상차 및 직접파에 대한 지연파의 지연 시간 주기를 포함한 지연파 정보를 추정하며,
    상기 복조 제어 수단은 상기 조정 수단의 전달 함수를 제어하기 위해 지연파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조정 수단에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조 수단은,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얻어진 다수의 신호들의 주파수 변환을 수행하는 주파수 분석 수단과,
    상기 주파수 분석 수단에 의해 얻어진 다수의 신호를 동작시키는 조정 수단 및,
    상기 조정 수단에 의해 얻어진 다수의 신호들을 디코딩하는 디코딩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지연파 추정 수단은 상기 디코딩 수단에 의해 얻어진 복조 상태 및 상기 주파수 분석 수단으로부터 얻어진 신호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지연파의 강도, 지연파와 직접파간의 위상차 및 직접파에 대한 지연파의 지연 시간 주기를 포함한 지연파 정보를 추정하며,
    상기 복조 제어 수단은 상기 조정 수단의 전달 함수를 제어하기 위해 지연파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조정 수단에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28. 제 25 항에 있어서,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의 수신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 및,
    상기 위치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수신 위치에서의 무선 상태를 판단하는 위치 정보 판정 수단을 더 포함하며,
    복조 제어 수단은 지연파 추정 수단에 의해 얻어진 지연파 정보 및, 위치 정보 판정 수단에 의해 얻어진 무선 상태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조정 수단에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29. 제 25 항 내지 제 2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의 이동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검출 수단과,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의 수신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 및,
    검출된 이동 속도 및 검출된 수신 위치에 따라 수신 위치에서의 무선 상태를 판단하는 위치 정보 판정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복조 제어 수단은 지연파 추정 수단에 의해 얻어진 지연파 정보와, 위치 정보 판정 수단에 의해 얻어진 무선파 및, 주파수 분석 수단에 의해 얻어진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조정 수단에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검출 수단 및 위치 검출 수단은 항법 시스템인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31. 제 25 항 내지 제 28 항, 제 3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수단은 다른 수신 특성들을 갖는 다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32.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
    전자파를 다수의 전기 신호들로 변환시키는 입력 수단과,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얻어진 다수의 전기 신호들의 주파수 변환을 수행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얻어진 다수의 신호들을 가산하는 가산 수단과,
    상기 가산 수단에 의해 얻어진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 수단과,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얻어진 복조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고, 전자파에 포함된 지연파 정보를 추정하는 지연파 추정 수단 및,
    지연파 정보에 기초하여 가산 수단 및 수신 수단을 제어하는 가산 제어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수신 수단은 가산 제어 수단에 의해 얻어진 정보에 따라 주파수 변환시의 주파수 변환량을 제어하고,
    상기 가산 수단은 상기 가산 제어 수단에 의해 얻어진 정보에 따라, 수신 수단에 의해 얻어진 다수의 신호가 가산되는 가산비를 제어하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산 제어 수단은,
    지연파 정보에 따라 가산비를 판단하는 이득 제어 수단 및,
    다수의 신호들 각각에 대하여 기준 신호의 주파수를 설정하는 기준 신호 제어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주파수는 지연파 정보에 따라 수신 수단에 의해 수행된 주파수 변환을 위해 이용되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34. 제 32 항 또는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파 추정 수단은 복조 수단에 의해 얻어진 복조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고, 지연파의 강도, 지연파와 직접파간의 위상차 및, 직접파에 대한 지연파의 지연 시간을 포함하는 지연파 정보를 추정하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35. 제 32 항 또는 제 33 항에 있어서,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의 수신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 및,
    검출된 수신 위치에 따라 수신 위치에서의 무선 상태를 판단하는 위치 정보 판정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가산 제어 수단은 지연파 정보 및 무선 상태에 기초하여 가산 수단 및 수신 수단을 제어하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36. 제 32 항 또는 제 33 항에 있어서,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의 이동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검출 수단과,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의 수신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 및,
    검출된 이동 속도 및 검출된 수신 위치에 따라 수신 위치에서의 무선 상태를 판단하는 위치 정보 판정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산 제어 수단은 지연파 정보 및 무선 상태에 기초하여 가산 수단 및 수신 수단을 제어하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검출 수단 및 위치 검출 수단은 항법 시스템인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38. 제 32 항 또는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수단은 다른 수신 특성들을 갖는 다수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39. 제 8 항, 제 11 항, 제 13 항, 제 25 항, 제 26 항, 제 27 항, 제 3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조 상태는 전자파에 포함된 파일럿 신호로 표시되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40. 제 19 항, 제 21 항, 제 2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판정 수단은 송신국의 위치를 포착하고, 차량 정보 검출 수단에 의해 얻어진 정보 및 송신국의 위치에 기초하여 수신 위치에서의 무선 상태를 추정하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41. 제 19 항, 제 21 항, 제 2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위치 정보 판정 수단은 다수의 위치들에서의 무선 상태를 미리 기억하고, 차량 정보 검출 수단에 의해 얻어진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 위치에서의 무선 상태를 추정하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42. 제 19 항, 제 21 항, 제 2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위치 정보 판정 수단은 다수의 위치들에서의 무선 상태를 규정된 간격 또는 임의의 간격으로 취하고, 다수의 위치들에서 무선 상태를 갱신하며, 차량 정보 검출 수단에 의해 얻어진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 위치에서의 무선 상태를 추정하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43.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방송국은 다수의 위치들에서의 수신 상태를 나타내는 수신 정보 데이터를 전송하고,
    청구항 42항에 따른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는 방송국이 전송하는 수신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무선 상태를 추정하는 송수신 시스템.
  44. 제 19 항, 제 21 항, 제 2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판정 수단은 다수의 위치들에서의 무선 상태를 규정된 간격 또는 임의의 간격으로 취하고, 차량 정보 검출 수단에 의해 얻어진 정보 또는 위치 정보 판정 수단에 의해 얻어진 정보에 기초한 수신 위치에서의 무선 상태 및, 다수의 위치들에서의 수신 상태를 추정하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45. 제 7 항 내지 제 13 항, 제 17 항, 제 19 항, 제 21 항, 제 22항, 제 25 항내지 제 28 항, 제 30 항, 제 32 항, 제 33 항, 제 37 항, 제 4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조 수단에서의 신호 에러율을 측정하는 에러율 측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에러율이 규정된 시간 기간동안 규정된 값을 초과할 때, 상기 에러율 측정부는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입력 수단은 에러율 측정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출력 신호를 선택하는 선택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46. 제 8 항, 제 11 항, 제 13 항, 제 17 항, 제 19 항, 제 21 항, 제 32 항, 제 3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산 제어 수단은 복조 수단에서 규정된 값을 넘는 에러율을 갖는 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를 감쇄하기 위해 지연파 추정 수단에 의해 출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가산 수단의 가산비를 변경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47.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수단이 출력 신호를 선택하는 선택 타이밍이 수신 신호의 규정치와 같거나 또는 큰 간격인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48.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산 수단의 가산비가 변경되는 변경 타이밍이 수신 신호의 규정치와 같거나 또는 큰 간격으로 있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49.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수단이 출력 신호를 선택하는 선택 타이밍이 수신된 신호의 수신 프레임상에 있거나, 규정치와 동일한 간격에 있거나, 임의의 프레임에 있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50.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산 수단의 가산비가 변경되는 변경 타이밍이 수신 신호의 수신 프레임상에 있거나, 규정치와 동일한 간격에 있거나, 임의의 프레임에 있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51. 제 5 항 내지 제 13 항, 제 19 항, 제 21 항, 제 32 항, 제 33 항, 제 48 항, 제 5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산 수단의 가산비, 지연 수단의 지연 시간, 증폭 수단의 증폭비 또는 위상 시프트 수단의 규정된 양이 갱신되는 시간이 수신 신호의 보호 기간 또는 유효 심볼 기간의 직전 또는 직후에 있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52. 제 7 항 내지 제 13 항, 제 17 항, 제 19 항, 제 21 항, 제 22 항, 제 25 항내지 제 28 항, 제 30 항, 제 32 항, 제 33 항, 제 37 항, 제 43 항, 제 47 항 내지 제 5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수단은 다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안테나들중 적어도 하나의 설치 위치는 시간적으로 이동되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53. 제 5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까지의 거리는 수신될 TV 신호의 파장에 따라 제어되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54. 제 52 항에 있어서,
    다수의 안테나들중 적어도 2개의 설치 위치들 사이의 거리는 수신될 TV 신호의 파장 보다 짧은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55.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
    전자파를 다수의 전기 신호들로 변환시키는 입력 수단과,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얻어진 다수의 신호들을 증폭시키는 증폭 수단과,
    상기 증폭 수단에 의해 얻어진 다수의 신호들에 지연 시간을 공급하는 지연 수단과,
    상기 지연 수단에 의해 얻어진 다수의 신호들을 가산하는 가산 수단과,
    상기 가산 수단에 의해 얻어진 신호를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시키는 주파수 변환 수단과,
    상기 주파수 변환 수단에 의해 얻어진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 수단과,
    이동체의 이동 속도 정보를 얻는 속도 검출 수단과,
    다중 경로 간섭 상태를 얻는 수신 상태 추정 수단과,
    다중 경로 간섭 상태 및 이동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증폭 수단의 증폭비를 제어하는 이득 제어 수단 및,
    다중 경로 간섭 상태 및 이동 속도에 기초하여 지연 수단에 공급된 지연 시간을 제어하는 지연 시간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56.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이동 속도가 저속이거나 또는 이동체가 정지할 때, 지연 시간 제어 수단이 지연 시간을 시간적으로 변경시키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57. 제 55 항 또는 제 5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시간 제어 수단은 수신 신호의 송신시스템에 따라 지연 시간의 변화량을 판단하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58. 제 55 항 또는 제 5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상태 추정 수단은 입력 수단의 입력 상태에 관한 정보를 얻어서이용하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59.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 수단은 입력 수단에 의해 얻어진 다수의 전기 신호들을 증폭하기 위한 다수의 증폭비들을 갖고,
    상기 이득 제어 수단은 수신 신호의 수신 특성에 따라 증폭 수단의 다수의 증폭비들을 제어하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60. 제 55 항 또는 제 5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시간 제어 수단은 수신 신호의 송신시스템에 따라 지연 시간의 변화량의 상한(upper limit)을 판단하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61.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
    전자파를 다수의 전기 신호들로 변환시키는 입력 수단과,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얻어진 다수의 신호들을 증폭시키는 증폭 수단과,
    상기 증폭 수단에 의해 얻어진 다수의 신호들에 규정된 위상 시프트량을 공급하는 위상 시프트 수단과,
    상기 위상 시프트 수단에 의해 얻어진 다수의 신호들을 가산하는 가산 수단과,
    상기 가산 수단에 의해 얻어진 신호를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시키는 주파수 변환 수단과,
    상기 주파수 변환 수단에 의해 얻어진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 수단과,
    이동체의 이동 속도 정보를 얻는 속도 검출 수단과,
    다중 경로 간섭 상태를 얻는 수신 상태 추정 수단과,
    상기 다중 경로 간섭 상태 및 상기 이동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증폭 수단의 증폭비를 제어하는 이득 제어 수단 및,
    상기 위상 시프트 수단에 공급될 위상 시프트량을 제어하는 위상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62.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이동 속도가 저속이거나 또는 이동체가 정지할 때, 상기 위상 제어 수단이 규정된 위상 양을 시간적으로 변경시키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63. 제 61 항 또는 제 6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제어 수단은 수신 신호의 송신시스템에 따라 규정된 위상 양의 변화량을 판단하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64. 제 61 항 또는 제 6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상태 추정 수단은 입력 수단의 입력 상태에 관한 정보를 얻어 이용하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65.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 수단은 입력 수단에 의해 얻어진 다수의 전기 신호들을 증폭하기 위한 다수의 증폭비들을 가지며,
    상기 이득 제어 수단은 수신 신호의 수신 특성에 따라 증폭 수단의 다수의 증폭비들을 제어하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66. 제 61 항 또는 제 6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제어 수단은 수신 신호의 송신시스템에 따라 규정된 위상 양의 변화량의 상한을 판단하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67.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산 수단은,
    상기 지연파 정보에 따라 가산비를 판단하는 이득 제어 수단 및,
    기준 신호의 위상이 다수의 신호들에 대하여 상이하도록 기준 신호를 설정하는 기준 신호 제어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기준 신호는 수신 수단에 의해 수행되는 주파수 변환을 위해 이용되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68. 제 6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파 추정 수단은 복조 수단에 의해 얻어진 복조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고, 지연파의 강도, 지연파와 직접파간의 위상차 및, 직접파에 대한 지연파의 지연 시간을 포함한 지연파 정보를 추정하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69. 제 13 항에 있어서,
    신호 분배시 신호 이득의 감소를 보상하는 증폭 수단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70.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검출 수단 및 상기 위치 검출 수단은 항법 시스템인 디지털 TV 방송 수신 장치.
KR1019990040005A 1998-09-17 1999-09-17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수신 장치 및 송수신 시스템 KR1003463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6258098 1998-09-17
JP98-262580 1998-09-17
JP36050398 1998-12-18
JP98-360503 1998-12-18
JP13067899 1999-05-11
JP99-130678 1999-05-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3248A KR20000023248A (ko) 2000-04-25
KR100346325B1 true KR100346325B1 (ko) 2002-07-26

Family

ID=27316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0005A KR100346325B1 (ko) 1998-09-17 1999-09-17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수신 장치 및 송수신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2) EP1804494A3 (ko)
KR (1) KR100346325B1 (ko)
CN (1) CN100370825C (ko)
DE (1) DE69941419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39521B2 (ja) * 2000-11-10 2005-04-20 株式会社ケンウッド ダイバーシティ受信機及び直交周波数分割多重信号受信方法
KR101174131B1 (ko) 2004-10-14 2012-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시의 에러 검출 방법 및 장치
JP2009060169A (ja) 2007-08-29 2009-03-19 Toshiba Corp アンテナ装置および信号受信方法
JP5246272B2 (ja) 2009-01-20 2013-07-24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中継局、移動局および無線通信方法
DE112009005070B4 (de) 2009-07-15 2014-05-2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Mobil -Empfänger-Gerät
CN113162745B (zh) * 2015-07-01 2024-04-19 三星电子株式会社 发送装置和接收装置及其控制方法
CN112290989B (zh) * 2020-09-23 2022-09-27 中国空间技术研究院 一种星地通信的方法及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4463A (ja) * 1996-01-31 1997-08-15 Toshiba Corp Ofdm送信装置及びofdm受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7556B2 (ja) * 1984-03-30 1995-09-2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テレビ受信機
JPH0621711A (ja) * 1992-06-30 1994-01-28 Sumitomo Chem Co Ltd 自動車用アンテナ装置
EP0617531A1 (en) * 1993-03-25 1994-09-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ultiresolution transmission system
US5659572A (en) * 1993-11-22 1997-08-19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Phased array spread spectrum system and method
JPH07245633A (ja) * 1994-03-04 1995-09-19 Toshiba Corp デジタルデータ受信装置
US5606579A (en) * 1994-05-23 1997-0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 VSB detector with final IF carrier at submultiple of symbol rate, as for HDTV receiver
EP0728384A4 (en) * 1994-09-09 2002-11-04 Motorola Inc DIVERSITY RECEIVER WITH A MIXER FOR EQUALIZATION AND DIVERSITY TRANSMITTER WITH A DIVIDER AND DELAY ELEMENT
US5553102A (en) * 1994-12-01 1996-09-03 Motorola, Inc. Diversity reception communication system with maximum ratio combining method
WO1996028909A1 (en) * 1995-03-16 1996-09-19 Bell Atlantic Network Services, Inc. Simulcast transmission of digital programs to shared antenna receiving systems
US5659353A (en) * 1995-03-17 1997-08-19 Bell Atlantic Network Services, Inc. Television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4463A (ja) * 1996-01-31 1997-08-15 Toshiba Corp Ofdm送信装置及びofdm受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04494A3 (en) 2008-04-30
EP1804494A2 (en) 2007-07-04
EP0987887A2 (en) 2000-03-22
CN100370825C (zh) 2008-02-20
EP0987887B1 (en) 2009-09-16
CN1249618A (zh) 2000-04-05
KR20000023248A (ko) 2000-04-25
EP0987887A3 (en) 2006-08-30
DE69941419D1 (de) 2009-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5067B2 (en)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method and apparatus of relay using the same frequency band in OFDM-based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7636593B2 (en) Receiver
US7826541B2 (en) Wireless relay system, wireless relay apparatus, and wireless relay method
EP1299963B1 (en) Ofdm antenna diversity receiver
US7627047B2 (e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receiver
KR100869432B1 (ko) Ofdm 수신기
US7787574B2 (en) Reception terminal apparatus
RU98124072A (ru) Устройство связи и способ подавления помех с помощью адаптивной коррекции в системе связи с расширенным спектром
US20070230635A1 (en) Wireless communication reception with cooperation between agc and digital baseband
JP2003283405A (ja) 車載デジタル通信受信装置およびアンテナ
JP4452350B2 (ja) デジタル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装置および送受信システム
KR100346325B1 (ko)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수신 장치 및 송수신 시스템
JP2002094483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US20090097577A1 (en) Ofdm receiving apparatus having plurality of ofdm branches
KR100793571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간섭 제거를 위한 무선 중계장치
KR101266804B1 (ko) Ofdm 수신장치
KR101161355B1 (ko) 패이딩 보상으로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디바이스
EP1333604A1 (en) Diversity receiver an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ed signal receiving method
JP2001285156A (ja) ダイバーシティ受信機
JPH1141196A (ja) 直交周波数分割多重信号のダイバーシティ受信装置
JP2006345428A (ja) デジタル通信・放送に関する受信装置、受信方法、受信回路、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054675A (ja) Ofdm受信装置及びofdm信号中継装置
JP5257457B2 (ja) 受信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5269181A (ja) 車載デジタル通信受信装置
JP3767690B2 (ja) ダイバーシティ受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