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4172B1 - 제본 문서 자동 촬영 시스템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제본 문서 자동 촬영 시스템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44172B1 KR100344172B1 KR1019990038374A KR19990038374A KR100344172B1 KR 100344172 B1 KR100344172 B1 KR 100344172B1 KR 1019990038374 A KR1019990038374 A KR 1019990038374A KR 19990038374 A KR19990038374 A KR 19990038374A KR 100344172 B1 KR100344172 B1 KR 1003441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cument
- camera
- unit
- bookshelf
- bookbind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본 문서를 자동으로 넘겨서 카메라로 촬영하고, 그 영상을 디지털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게 하는 제본 문서 자동 촬영 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본 문서 자동 촬영 시스템은, 제본 문서에 수록된 영상을 데이터화하는 제본 문서 자동 촬영 시스템을 구성함에 있어, 제본 문서의 펼쳐진 책장을 자동으로 넘겨서 조명이 설치된 투명밀착판에 밀착시키는 문서준비부와, 상기 문서준비부에 의해 투명밀착판에 밀착되어 준비된 책장의 내용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디오 카메라로 촬영하고, 상기 비디오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데이터로 변환하여 이를 가공하는 영상인식부 및 상기 문서준비부와 영상인식부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본 발명의 제본 문서 자동 촬영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촬영과 관련된 각종의 변수들을 입력하고, 상기 문서의 내용을 촬영하며, 촬영된 영상을 영상 처리하는 단계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작업인력을 절감할 수 있고, 책장넘김시간을 단축하며, 촬영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저렴한 가격으로 고해상도의 기능을 갖는 제품을 제작할 수 있으며, 촬영속도 또는 스캐닝속도를 빠르게 하여 대량의 제본문서를 데이터화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제본 문서 자동 촬영 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본 문서를 자동으로 넘겨서 카메라로 촬영하고, 그 영상을 디지털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게 하는 제본 문서 자동 촬영 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식 정보화 사회로 발전하고 있는 오늘날, 각종 문서 내용을 데이터화하여이를 각종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것은 물론, 저장된 각종 데이터를 자유롭게 편집하거나 전송하는 등의 정보처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사업은 매우 중요한 분야의 하나로 크게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정보의 데이터화를 위하여 각종 문서에 수록된 영상정보를 전기적신호로 바꾸어 컴퓨터 등의 정보처리장치에 입력하는 문서 입력 장치의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이처럼, 문자 또는 영상을 디지털 데이터화하는 종래의 문서데이터 입력장치로는, 스캐너와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데이터입력장치 등이 있었으며, 이러한 스캐너나 디지털 카메라 입력장치들은 낱장의 문서를 촬상한 다음, 데이터화하는 과정을 거쳐서 영상을 전기적 신호로 저장장치에 저장했었다.
특히, 관공서나, 학교, 연구소는 물론 각종 정보제공업자 등 각종 정보통신시스템이나 인터넷 또는 근/장거리통신망을 이용하여 다양한 문자, 영상 정보 등을 제공하는 개인이나 기업 및 단체에 있어서, 문서나 사진 등 대량의 각종 영상 및 문자 정보를 디지털화하여 자신들의 서버에 입력하는 일은 매우 중요한 것으로, 최소의 인원으로 최단 시간에 필요한 정보를 디지털 데이터화하는 것이 사업의 승패를 좌우한다고 하여도 무리가 없을 만큼 국가나 기업의 정보화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스캐너나 디지털 카메라 입력장치 등 각종 문서데이터 입력장치들은 낱장으로 된 문서만을 촬상할 수 있을 뿐, 제본 문서의 책장을 자동으로 넘길 수 없기 때문에 사람이 수작업으로 책장을 넘기고, 문서를 뒤집어서 한 손으로 투명판에 밀착시키고, 다른 한 손으로 스캐닝 명령 스위치를 눌려서 촬상하고, 다시 다음 책장을 넘기는 일련의 책장넘김작업을 수백, 수천번 반복하여야 겨우 한 권의 제본 문서를 데이터화하는 것이 가능했었다.
따라서, 종래의 문서데이터 입력장치들은 제본 문서를 데이터화하기 위해서 다수의 인력이 필요하고, 수작업으로 인한 작업공수가 많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매우 길어지며, 균일도가 떨어지는 수작업의 특성상 촬상된 영상의 질이 떨어진다. 또한, 종래의 스캐너나 디지털 카메라 입력장치 등 각종 문서데이터 입력장치들은 고정되거나 이동하는 하나의 촬상장치가 전체 촬상영역을 담당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고해상도의 데이터를 촬상하기 위해서 고액의 촬상장치를 사용할 수밖에 없고, 전체 촬상영역을 하나의 촬상장치가 촬상하므로 촬상장치의 이동거리가 길어서 스캐닝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특히, 대부분 하나의 촬상장치가 촬상영역 전체를 연속적으로 이동하면서 촬상하기 때문에 이동속도가 촬상속도에 종속되어 매우 느려지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문서데이터 입력장치들은 저렴한 가격으로 고해상도의 성능을 달성하기 어렵고, 느린 스캐닝속도로 인해 제품의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본 문서의 책장을 자동으로 넘길 수 있는 문서준비부를 구비함으로써 작업인력을 절감할 수 있고, 책장넘김시간을 단축하며, 촬영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제본 문서 자동 촬영시스템 및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펼쳐진 책장의 내용을 정지 또는 다수회 간헐적으로 이동하면서 촬영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디오 카메라를 포함하는 영상인식부를 구비함으로써 저렴한 가격으로 고해상도의 기능을 갖는 제품을 제작할 수 있고, 촬영속도 또는 스캐닝속도를 빠르게 하여 대량의 제본문서를 데이터화할 수 있게 하는 제본 문서 자동 촬영 시스템 및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본 문서 자동 촬영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문서준비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4a는 도 2의 문서제본부승하강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b는 도 2의 문서제본부승하강장치의 문서파지대가 대기 위치인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c는 도 2의 문서제본부승하강장치의 문서파지대가 교체 위치인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d는 도 2의 문서제본부승하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a의 문서파지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a는 문서 처음 책장을 넘길 때, 도 5의 회동고리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b는 문서 중간 책장을 넘길 때, 도 5의 회동고리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c는 문서 끝 책장을 넘길 때, 도 5의 회동고리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a, 7b,7c,7d, 7e는 도 5의 회동고리의 회전 상태를 25 퍼센트의 쪽 수 단위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a, 도 8b, 도 8c는 도 2의 문서제본부승하강장치와 문서날개부승하강장치의 승강하여 문서를 투명밀착판에 밀착시키는 상태를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5의 문서파지대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의 문서준비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2의 책장파지장치 및 책장넘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a, 13b, 13c, 13d는 도 12의 다양한 형태의 넘김막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a, 14b, 14c, 14d, 14e, 14f, 14g, 14h는 책장파지장치의 흡착관의 하강 위치와 경사면을 나타내고, 책장이 흡착관에 흡착되어 경사면에 접촉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a, 15b, 15c, 15d, 15e는 도 12의 책장파지장치 및 책장넘김장치의 동작상태를 단계별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a, 16b, 16c, 16d는 본 발명의 책장파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a, 17b, 17c, 17d는 본 발명의 책장파지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a, 18b는 본 발명의 공기분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1의 영상인식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a는 도 1의 영상인식부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b는 도 20a의 카메라장치의 촬영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a는 도 1의 영상인식부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b는 도 21a의 카메라장치의 촬영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도 1의 영상인식부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1의 영상인식부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4개로 분할된 촬영영역을 합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촬영영역 합성에 필요한 촬영보정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 및 도 27은 다양한 형태의 합성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본 문서 자동 촬영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본 문서 자동 촬영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0a, 30b는 도 29의 영상인식부의 스캔바 이동 거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본 문서 자동 촬영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2는 도 31의 촬영단계에서 영상인식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처리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3은 도 31의 촬영단계에서 영상인식부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처리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4는 도 31의 촬영단계에서 영상인식부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처리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본 문서 자동 촬영 시스템은, 제본 문서에 수록된 영상을 디지털 데이터화하는 제본 문서 자동 촬영 시스템을 구성함에 있어, 제본 문서의 펼쳐진 책장을 자동으로 넘겨서 조명이 설치된 투명밀착판에 밀착시키는 문서준비부와, 상기 문서준비부에 의해 투명밀착판에 밀착되어 준비된 책장의 내용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디오 카메라로 촬영하고, 상기 비디오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이를 가공하는 영상인식부 및 상기 문서준비부와 영상인식부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문서준비부는 제본 문서의 펼쳐진 제본부를 파지하고, 상기 투명밀착판 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문서제본부승하강장치와, 상기 문서의 펼쳐진 양 날개부를 각각 상기 투명밀착판 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문서날개부승하강장치와, 상기 문서제본부승하강장치와 상기 문서날개부승하강장치가 하강위치일 때, 상기 문서의 책장을 한 장씩 파지하여 소정의 높이 이상 들어올리는 책장파지장치 및 상기책장파지장치에 의해 소정 높이 이상 들어 올려진 책장을 반대편으로 넘기도록 들어 올려진 책장을 걷어 내는 책장넘김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영상인식부는 카메라를 구비하여 피사체인 영상을 전기적 신호로 바꾸는 카메라장치와, 상기 카메라장치의 전기적 신호를 인가받아 이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영상데이터획득부와, 상기 영상데이터획득부에서 획득된 디지털 데이터를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사용 가능한 정보로 가공하여 저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초기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입력하고, 결과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한 입, 출력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본 문서 자동 촬영 시스템은, 제본 문서에 수록된 영상을 디지털 데이터화하는 제본 문서 자동 촬영 시스템을 구성함에 있어, 제본된 다수개의 문서 책장을 각각 자동으로 넘겨서 조명이 설치된 투명밀착판에 밀착시키고, 연달아 나란히 배치되는 다수개의 문서준비부와, 다수개의 상기 문서준비부에 의해 순차적으로 투명밀착판에 밀착되어 준비된 책장의 내용을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디오 카메라로 다수번 이동하면서 연달아 촬영하고, 상기 비디오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각각의 문서별로 디지털 데이터화하여 기억하여 이를 가공하는 영상인식부 및 상기 각각의 문서준비부와 영상인식부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본 문서 자동 촬영 시스템은,제본 문서에 수록된 영상을 디지털 데이터화하는 제본 문서 자동 촬영 시스템을 구성함에 있어, 제본 문서의 펼쳐진 책장을 자동으로 넘겨서 조명이 설치된 투명밀착판에 밀착시키는 문서준비부와, 상기 문서준비부에 의해 투명밀착판에 밀착되어 준비된 책장의 촬영할 영역을 가로로 다수개 나누고, 각 영역을 담당하는 다수개의 스캔바로 스캔하여 상기 스캔바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이를 가공하는 영상인식부 및 상기 문서준비부와 영상인식부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본 문서 자동 촬영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어부에 장치와 관련된 각종 초기화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문서준비부에 문서를 장착하며, 상기 제어부에 촬영과 관련된 각종의 변수들을 입력하는 촬영준비단계와, 상기 촬영준비단계에서 상기 문서준비부에 장착된 문서가 상기 투명밀착판에 밀착되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영상인식부의 카메라가 상기 문서의 내용을 촬영하고, 문서가 하강하면 상기 문서준비부가 책장 넘김 작업을 실시하는 촬영단계 및 모든 책장의 영상데이터가 획득되기 전까지 상기 촬영단계에서 상기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들의 영상을 상기 문서인식부가 디지털화하고, 이를 영상처리 및 합성하는 영상처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본 문서 자동 촬영 시스템 및 제어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본 문서 자동 촬영 시스템은, 제본 문서(1)에 수록된 영상을 디지털 데이터화하는 제본 문서 자동 촬영 시스템으로서, 크게 문서준비부(10)와, 영상인식부(70) 및 제어부(80)로 나눌 수 있다.
즉, 상기 문서준비부(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본 문서(1)의 펼쳐진 책장을 자동으로 넘겨서 조명이 설치된 투명밀착판(11)에 밀착시키는 것으로서, 문서제본부승하강장치(20)와, 문서날개부승하강장치(40)와, 책장파지장치(50) 및 책장넘김장치(6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문서제본부승하강장치(20)는, 제본 문서(1)의 제본부를 파지하고, 상기 제본 문서(1)를 상기 투명밀착판(11) 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것으로서, 도 4a, 4b, 4c,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본 문서의 제본부를 파지하는 문서파지대(21)와, 책장의 넘김에 따라 상기 문서파지대(21)의 수평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문서파지대(21)를 회전지지하고, 문서의 장착이 용이한 문서 교체 위치와 문서 대기 위치 사이를 미끄럼 왕복운동하는 가동대(22)와, 상기 가동대(22)를 지지하고, 상기 가동대(22)의 미끄럼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가동대(22)에 형성된 레일(23)과 대응하는 형상의 가이드부재(24)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문서제본부승하강장치(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서파지대(21)의 좌우로 문서의 날개부를 받쳐주는 날개부(41)가 힌지결합되어 있고, 상기 날개부(41)의 하강위치를 결정해주는 스토퍼(41a)가 상기 회동고리(21b)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투명밀착판에 밀착된 문서(1)의 제본부 기울기가 책장의 넘김 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변화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문서(1)가 상기 투명밀착판에 밀착되는 가압력에 따라 상기 문서파지대(21)의 수평회전각도가 변화되게 하고, 변화된 상기 문서파지대(21)의 수평회전각도를 고정시키는 각도자동조절수단의 일환으로, 상기 문서파지대(21)의 회전축(21a)을 중심으로 형성된 부채꼴 형태의 자성체 재질인 회동고리(21b) 및 일측이 상기 가이드부재(24)에 고정되고, 상기 회동고리(21b)의 회전운동이 자력에 의해 종속되도록 타측이 상기 회동고리(21b)와 접촉되는 자석부재(24a)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도 6a, 6b,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문서파지대(21)의 회동이 자유롭기 때문에 책장을 넘김에 따라 문서(1)가 상기 투명밀착판(11)에 가압되는 순간 문서의 양편에 남은 책장의 두께에 따라 문서(1)의 좌, 우 기울임이 가능한 동시에 상기 문서(1)의 승하강시에는 상기 자석부재(24a)의 자력에 의해 상기 문서파지대(21)에 고정된 회동고리(21b)가 상기 자석부재(24a)에 부착되어 상기 문서파지대(21)의 기울기 각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문서(1)의 승하강시 불필요한 문서(1)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문서(1)가 상기 투명밀착판(11)에 가압될 때, 상기 문서제본부승하강장치(20)의 가압력이 상기 자석부재(24a)의 자력을 이길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상기 자석부재(24a)의 자력이 결정되어야 한다. 그래야, 도 7a, 7b, 7c, 7d,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문서파지대(21)가 책장의 넘김에 따라 투명밀착판(11)에 가압되는 순간 간헐적으로 미세하게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자석부재(24a)의 역할을 단지 문서파지대(21)의 각도를 고정시키는 것뿐만이 아니라 도 4c와 같이 문서 교체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문서파지대(21)가도 4b와 같이 문서 대기 위치로 돌아왔을 때, 상기 가이드부재(24)에 상기 문서파지대(21)를 자력에 의해 고정시키는 역할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빈 문서파지대(21)를 문서 교체가 용이한 외부로 끄집어내서 문서를 장착한 다음, 상기 문서파지대(21)를 문서 대기 위치로 삽입하고, 상기 문서파지대(21)는 상기 자석부재(24a)의 자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재(24)에 견고히 고정되어 문서 승하강운동에 대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문서제본부승하강장치(20)는, 상기 문서파지대(21)에 파지된 문서(1)의 제본부가 상기 투명밀착판(11)에 밀착되도록 상기 가이드부재(24)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수단의 일종으로서 도 8a, 8b,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상기 가이드부재(24)가 스프링(25)에 의해 탄설되고, 암나사홀이 관통되어 형성된 왕복대(26)와, 상기 왕복대(26)의 암나사홀에 대응하는 형상의 수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왕복대(26)를 관통하는 리드스크류(27)와, 상기 리드스크류(27)를 회전지지하는 고정대(28)와, 상기 리드스크류(27)에 모터(29)의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한 쌍의 벨트(30a) 및 풀리(30b)조합을 구비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왕복대(26)의 승하강위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문서파지대(21)에 의해 파지된 문서(1)의 제본부가 상기 투명밀착판(11)에 밀착되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31)와, 상기 문서파지대(21)에 의해 파지된 문서(1)의 제본부가 책장의 넘김이 가능한 문서 대기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32) 및 상기 센서(31)와 리미트스위치(32)로부터 상기 왕복대(26)의 위치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모터(29)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모터(29)의 정, 역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33)를 더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센서(31)는 접촉식이나 광센서식 센서를 사용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센서가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그 설치위치는 상기 투명밀착판(11)에 설치되는 것 이외에도 상기 가이드부재(24)와 상기 왕복대(26)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서, 상기 가이드부재(24)가 상기 투명밀착판(11)에 접촉되어 반발력을 받아 상기 스프링(25)의 복원력을 이기고, 상기 왕복대(26)와 가까워지면 이를 감지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스프링(25)의 탄성계수와 상기 가이드부재(24) 및 상기 왕복대(26) 사이의 감지거리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투명밀착판(11)에 대한 상기 문서(1)의 밀착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문서날개부승하강장치(40)는, 도 2 및 도 8a, 8b,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문서제본부승하강장치(20)의 좌, 우 양편에 설치되어 상기 문서(1)의 펼쳐진 양 날개부를 각각 상기 투명밀착판(11) 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문서날개부승하강장치(40)는 문서(1)의 날개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문서제본부승하강장치(20)의 문서파지대(21)의 양편에 설치되는 좌측 및 우측 날개판(41)과, 상기 문서파지대(21)에 파지된 문서(1)의 양 날개부가 상기 투명밀착판(11)에 밀착되도록 상기 좌측 및 우측 날개판(41)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수단의 일종으로서, 도 8a, 8b,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좌측 및 우측 날개판(41)과 접촉되는 접촉대(42)와, 상기 접촉대(42)가 스프링 탄설되는 왕복대(43)와, 일측면이 상기 왕복대(43)와 고정되는 벨트(44)와, 상기 벨트(44)에 고정된 왕복대(43)가 승하강하도록 고정물에 회전 지지되고, 상기 벨트(44)를 감고,모터(45)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 및 종동 풀리(46) 및 상기 모터(45)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모터(45)의 정, 역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33)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문서제본부승하강장치(20)와 상기 문서날개부승하강장치(40)의 승하강수단은 매우 다양할 수 있는 것으로서, 각종의 공압 및 유압실린더를 이용하거나 랙 엔 피니언기어를 이용하는 등 이러한 승하강장치에 대한 기술은 해당분야에 종사하는 당업자에 있어 수정 및 변경이 용이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문서제본부승하강장치(20)와 문서날개부승하강장치(40)의 동작관계를 설명하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문서제본부승하강장치(20)의 리미트스위치(32)가 상기 문서제본부승하강장치(20)의 왕복대(26)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33)에 위치신호를 인가하면 상기 제어부(33)는 상기 모터(29)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모터(29)의 역회전을 멈추도록 하여 하강된 상태의 문서(1)가 책장넘김작업을 대비하도록 한다. 여기서, 책장넘김작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후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이때의 문서날개부승하강장치(40)는 상기 제어부(33)에 의해 상기 접촉대(42)가 상기 문서파지대(21)의 하방에 위치되도록 하강상태를 유지한다.
이어서, 책장넘김작업을 마치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해진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제어부(33)는 상기 모터(29)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정회전시키고, 모터(29)의 정회전으로 상기 리드스크류(27)가 회전하면서 상기 왕복대(26)가 상승하여 상기 문서파지대(21)에 고정된 문서(1)가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문서(1)가 계속 상승하여 상기 투명밀착판(11)에 접촉하게 되면 이를 감지한 센서(31)가 상기 제어부(33)에 위치신호를 인가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33)는 상기 모터(29)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모터(29)의 정회전을 멈추도록 한다.
이어서,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33)는 정해진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문서날개부승하강장치(40)의 모터(45)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모터(45)를 정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풀리(46)에 감긴 벨트(44)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접촉대(42)가 상승하여 상기 좌측 및 우측 날개판(41)을 가압하여 상기 문서(1)를 완전히 상기 투명밀착판(11)에 밀착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술되어진 바와 같이 상기 문서(1)의 제본부가 상기 투명밀착판(11)에 먼저 밀착되고, 나중에 상기 문서(1)의 날개부가 상기 투명밀착판(11)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문서(1) 책장의 접힘이나 구김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문서(1)를 착탈가능하도록 견고하게 파지하는 것이 가능한 상기 문서파지대(21)의 형태는 매우 다양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클립형식이나 나사 또는 볼트 조임식 등이 사용될 수 있고, 표지가 얇거나 제본상태가 견고하지 못한 문서의 경우에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문서(1)가 삽입되는 일측 개방형의 문서케이스(21c)와, 상기 문서케이스(21c)의 일측 내벽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문서케이스(21c)에 삽입된 상기 문서(1)의 첫장과, 끝장 및 중간장 사이에 끼워 넣을 수 있는 3개의 문서고정봉(21d)과, 상기 문서고정봉(21d)의 일단부를 스프링(21e)에 의해 고정시키도록 상기 문서케이스(21c)의 타측 내벽에 설치되고, 상기 문서고정봉(21d)에 의해 관통되는 고정판(21f)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문서(1)를 상기 문서고정봉(21d)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복원력이 작용하는 문서지지스프링(21g)과 지지판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스프링(21e)을 해체하여 상기 고정판(21f)을 분리시킨 후 상기 문서(1)를 문서케이스(21c)에 삽입한 다음, 상기 문서(1)의 첫장과, 중간장, 끝장에 각각 문서고정봉(21d)을 끼워 넣고, 상기 스프링(21e)을 재결합시켜서 상기 문서(1)를 상기 문서파지대(21)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이러한 문서파지대의 종류 및 형태에 대한 기술은 해당분야에 종사하는 당업자에 있어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본 문서 자동 촬영 시스템의 문서준비부(10)는, 제본문서(1)가 승하강하는 것이 아닌 상기 투명밀착판(11)이 승하강하면서 상기 문서(1)와 밀착하는 시스템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한 것으로서, 상술한 바 있는 상기 문서제본부승하강장치를 제거하고, 대신 상기 투명밀착판(11)을 승하강시키는 투명밀착판승하강장치(12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즉,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제본 문서 자동 촬영 시스템의 문서준비부(10)는, 제본 문서(1)의 펼쳐진 제본부를 파지하는 문서파지대(21)와, 상기 문서파지대(21)에 파지된 문서방향으로 상기 투명밀착판(11)을 승하강시키는 투명밀착판승하강장치(120)와, 상기 문서(1)의 펼쳐진 양 날개부를 각각 상기 투명밀착판(11) 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문서날개부승하강장치(40)와, 상기 투명밀착판승하강장치(120)가 상승위치이고, 상기 문서날개부승하강장치(40)가 하강위치일 때, 상기 문서(1)의 책장을 한 장씩 파지하여 소정의 높이 이상 들어올리는 책장파지장치(50) 및 상기 책장파지장치(50)에 의해 소정 높이 이상 들어 올려진 책장을 반대편으로 넘기도록 들어 올려진 책장을 걷어 내는 책장넘김장치(60)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각 장치들의 구성은 이미 기술한 장치들의 구성과 동일하고, 그 적용이 다른 뿐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외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벋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문서준비부의 형태는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책장파지장치(50)는,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문서제본부승하강장치(20)와 상기 문서날개부승하강장치(40)가 모두 하강위치일 때, 상기 문서(1)의 책장을 한 장씩 파지하여 소정의 높이 이상 들어올리는 것으로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책장파지장치(50)는 대기 위치에 있는 문서(1)의 책장(2)을 진공 흡착하는 흡착관(51)과, 상기 흡착관(51) 내부에 진공압을 형성하는 진공압형성장치(52)와, 상기 흡착관(51)을 소정의 높이만큼 승하강시키는 흡착관승하강수단의 일종인 흡착관승하강장치(53)와, 상기 흡착관(51)을 소정의 거리만큼 전후진시키는 흡착관전후진수단의 일종인 흡착관전후진장치(54) 및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흡착관승하강장치(53)와 흡착관전후진장치(54)를 제어하는 제어부(33)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여기서, 도 14a, 14b, 14c, 14d, 14e, 1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착관(51)은 상기 흡착관(51)에 흡착되는 도 14e의 책장(2)이 소정 정도의 각도로절곡되어 여러 개의 책장이 동시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책장(2)과 접촉되는 흡입구에 도 14b의 책장절곡각(A)을 갖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즉, 도 14a에서와 같이, 상기 흡착관(51)은 문서날개부처짐깊이(t2)와는 관계없이 문서제본부깊이(t1) 이상으로 하강하여 책장(2)을 흡착하고, 도 14d와 같은 방향으로 진행한다고 할 때, 2장이 겹쳐지는 경우, 도 14c에서처럼 책장절곡각(A)이 없는 경우와는 달리, 도 14e와 같이 책장(2)이 두 번 절곡되므로, 책장(2)은 도 14f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1의 위치에서 2의 위치로 이동면서 힘(Fs)을 받아, 도 14d에 도시된 것처럼, 겹쳐진 2장을 분리함으로써 2장이 겹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4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착관(51)에 반드시 경사면이 형성되지 않더라도 상기 흡착관(51)을 경사지도록 기울이는 흡착관기울임수단(도시하지 않음)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흡착관기울임수단도 역시 2장이 겹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흡착관(51)이 1의 위치에서 2의 위치로 수직하강하여 상기 문서(1)의 책장(2)를 진공흡입한 다음, 3의 위치로 비스듬히 상승하면서 동시에 상기 흡착관의 각도가 기울어지면 흡착된 책장이 1차 절곡되면서 다른 책장들과 쉽게 분리되는 것이다.
또한, 도 14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착관(51)에 경사면이 형성되는 대신 오목한 홈을 형성하여 흡착된 책장(2)이 상기 흡착관의 오목한 홈에 진공흡착되어 밀착됨으로써 1, 2, 3의 위치로 이동하면서 다른 책장들과 쉽게 분리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외에도 상기 책장을 쉽게 분리하기 위한 흡착관의 형상이나 종류 및 동작은 매우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의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착관승하강장치(53)는, 상기 흡착관(51)에 연결되어 모터(53a)의 회전에 의해 상기 흡착관(51)을 상하로 회동시키는 회동막대(53b)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흡착관전후진장치(54)는 일측편에 상기 회동막대(53b)가 고정되고, 모터(54a)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 및 종동풀리(54b)에 감겨 회동하는 벨트(54c)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진공압형성장치(52)는 진공펌프 등 각종 공기기계가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기술은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책장넘김장치(60)는, 상기 책장파지장치(50)에 의해 소정 높이 이상 들어 올려진 책장(2)을 반대편으로 넘기도록 들어 올려진 책장(2)을 걷어 내는 것으로서, 넘김막대(61)와, 상기 넘김막대(61)가 직선왕복운동을 하도록 전후진운동시키는 막대전후진수단의 일종으로 일측에 상기 넘김막대(61)를 고정하고, 모터(62)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 및 종동풀리(63)에 감겨 회동하는 벨트(64)와, 상기 책장파지장치(50)에 의해 들어 올려진 책장(2)을 감지하는 한 쌍의 발광 및 수광센서(65) 및 상기 수광센서(65)의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모터(62)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제어하는 제어부(33)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넘김막대(61)는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책장파지장치(50)에 의해 소정 높이 이상 들어 올려진 책장(2) 사이를 지나 책장(2)을 반대편으로 넘기도록 직선왕복운동하는 세로부재(61a)만으로 이루어지거나 13b, 13c, 13d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로부재(61a)에 설치되고, 상기 세로부재(61a)에 의해 반대편으로 넘겨진 책장이 반대편 책장과 밀착되도록 책장을 쓸어주는 매우 다양한 형태의 가로부재(61b)가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넘김막대(61)의 가로부재(61b)는 상기 세로부재(61a)에 수직 후방으로 다수개가 돌출되어 설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소정 정도의 탄력을 갖는 탄성재질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스프링이 장착되어 상기 세로부재(61a)에 탄설되거나 별도의 상하 회동장치가 구비되어 상기 가로부재(61b)가 상하로 회동하면서 넘어간 책장을 쓸어 주게 하거나,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로부재(61a)에 가로부재(61b)가 연결되어 긴 고리를 형성하거나,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로부재(61a)에 가로부재(61b)가 일체형 날개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모두 가능하다.
이외에도 상기 넘김막대의 형태 및 종류는 매우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는 것으로서, 해당분야에 종사하는 당업자에 있어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문서준비부(10)의 책장넘김작업의 진행과정을 설명하면 도 12의 상기 제어부(33)는,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책장넘김작업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흡착관(51)이 문서(1)의 제본부로 수평전진한 다음 수직하강하도록하고,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본부에서부터 책장(2)을 흡착하여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고 소정 높이 이상 상기 문서(1)의 우측 날개부방향으로 비스듬히 승강하도록 도 12의 상기 흡착관승하강장치(53)의 모터(53a)와 상기 흡착관전후진장치(54)의 모터(54a)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동시 제어한다.
이어서,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광 및 수광센서(65)가 책장(2)의 들림을 감지하여 책장인지신호를 인가하면 제어부(33)는 상기 책장넘김장치(60)의 모터(62)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정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넘김막대(61)를 전진시켜서, 도 1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들어올려진 상기 책장(2)을 반대편으로 넘기는 것이다.
이후, 도 1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33)가 상기 모터(62)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역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넘김막대(61)가 원상 복귀하여 다음 책장(2)의 넘김을 준비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술된 바 있는 상기 흡착관승하강장치 및 상기 흡착관전후진장치의 구성은 매우 다양한 구성이 가능한 것으로서, 사선으로 경사지게 상승하고, 사선으로 경사지게 하강하는 일련의 움직임을 달성하기 위해서, 도 16a, 16b, 16c, 1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가이드면이 형성된 가이드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즉, 도 16a, 16b, 16c, 1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착관(52)은 회동막대(53b)에 고정되고, 상기 흡착관(52)의 상하움직임이 자유롭도록 상기 회동막대(53b)는 모터(54a)에 의한 풀리(54b)의 회전으로 전후진하는 왕복대(53c)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회동막대(53b)에 가이드돌기(53d)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돌기(53d)가 일정한 경로의 가이드면(150a)이 형성된 가이드부재(150)에 대응되면서 미끄럼 안내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도 16a와 같이, 최초 흡착관(52)이 대기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가이드돌기(53d)는 상기 가이드부재(150)의 상단에 위치하여 대기하고 있다가,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3)의 제어신호를 받아 정회전하는 모터(54a)에 의해 벨트(54c)가 회동하면서 상기 왕복대(53c)가 전진하면 상기 회동막대(53b)가 전진하는 동시에 중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재(150)의 경사진 가이드면(150a)을 따라 사선으로 하강하면서, 도 16c와 같이, 상기 흡착관(52)이 최하단위치에 위치하여 문서(1)의 제본부에 안착하게 된다. 이어서, 도 16d와 같이, 제어부(33)의 제어신호를 받아 역회전하는 모터(54a)에 의해 벨트(54c)가 회동하면서 상기 왕복대(53c)가 후진하면 상기 회동막대(53b)가 후진하는 동시에 상기 가이드부재(150)의 경사진 가이드면(150a)을 따라 사선으로 상승하면서 상기 흡착관(52)은 문서(1)의 책장(2)을 진공흡착하여 들어올리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책장넘김작업 후, 도 16a의 상태로 되돌아가서 다음 동작을 대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단 1개의 모터(54a)만을 사용하여 사선으로 승하강하는 구성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흡착관(52)이 상기 문서(1)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상기 문서(1)의 제본부 상방에서 수직하강할 수는 없는 구성이다.
따라서, 이러한 흡착관의 수직하강운동이 가능한 구성은, 상기 흡착관승하강장치 및 상기 흡착관전후진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7a, 17b, 17c, 1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착관(52)은 회동막대(53b)에 고정되고, 상기 흡착관(52)의 상하움직임이 자유롭도록 상기 회동막대(53b)는 모터(54a)에 의한 풀리(54b)의 회전으로 전후진하는 왕복대(53c)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회동막대(53b)가 일정한 경로의 가이드면(150a)이 형성된 가이드부재(150)에 대응되면서 미끄럼 안내되는 구성인 동시에 상기 흡착관(52)이 제본 문서(1)의 제본부 상방으로 전진하는 동안 상기 흡착관(52)이 하강하지 않도록 상기 회동막대(53b)를 고정시키는 솔레노이드걸림장치(160)를 설치한다.
즉, 상기 솔레노이드걸림장치(160)는 전자석의 힘에 의해 스토퍼(162)가 전후진하는 구성인 것으로, 이에 대한 기술은 이미 공지되어 상용화된 것으로 여기서 그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도 17a와 같이, 최초 흡착관(52)이 대기위치에 있을 때, 상기 회동막대(53b)는 상기 가이드부재(150)의 최상단에 위치하고, 상기 솔레노이드걸림장치(160)는 상기 제어부(33)의 제어신호를 받아 걸림상태에 있게 되며, 상기 회동막대(53b)는 상기 솔레노이드걸림장치(160)에 걸려 하방으로 하강하지 못하는 상태로 대기하고 있다가,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3)의 제어신호를 받아 정회전하는 모터(54a)에 의해 벨트(54c)가 회동하면서 상기 왕복대(53c)가 전진하면 상기 회동막대(53b)가 수평으로 전진하여 상기 문서(1)의 제본부 상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어서, 도 17c와 같이, 솔레노이드걸림장치(160)가 상기 제어부(33)의 제어신호를 받아 열림상태로 열려서 상기 회동막대(53b)를 자유롭게 하면 상기 회동막대(53b)가 중력에 의해 낙하회전하여 상기 흡착관(52)이 문서(1)의 제본부에 안착하게 된다. 이어서, 도 17d와 같이, 제어부(33)의 제어신호를 받아 역회전하는 모터(54a)에 의해 벨트(54c)가 회동하면서 상기 왕복대(53c)가 후진하면 상기 회동막대(53b)가 후진하는 동시에 상기 가이드부재(150)의 경사진 가이드면(150a)을 따라 사선으로 상승하면서 상기 흡착관(52)은 문서(1)의 책장(2)을 진공흡착하여 들어올리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회동막대(53b)가 대기위치로 돌아가면 상기 솔레노이드걸림장치(160)와 간섭되어 자동으로 걸리게 되고, 도 17a와 같은 상태로 다음 동작을 대기하게 된다.
그러므로, 단 1개의 모터(54a)와 솔레노이드걸림장치(160)만을 사용하고, 상기 제어부(33)의 간단한 제어만으로 수직하강 및 사선으로 승하강하는 구성이 가능한 것이다.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상기 흡착관승하강장치 및 상기 흡착관전후진장치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흡착관승하강장치와 흡착관전후진장치에 대한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한편,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문서준비부는 책장넘김작업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문서파지장치와 문서넘김장치에 의해 넘겨지는 책장(2)에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구성으로서, 상기 공기분사장치는,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책장(2)의 넘김 작업시 넘겨지는 책장(2)을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넘어가는 책장(2)에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노즐(170)과, 넘겨지기 전 겹쳐진 책장(2)들을 미리 미세하게 이격시키는분사노즐(172)과,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책장넘김작업을 마치면 넘겨진 책장(2)들을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문서(1)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노즐(174)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이러한 분사노즐(170)(172)(174)에는 상기 분사노즐(170)(172)(174)들에게로 선택적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라인(180)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공급라인(180)은 별도의 공기펌프나 송풍기 등을 설치하여 운영하는 것도 가능하나 바람직하기로는,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흡착관(52)과 연결되어 상기 흡착관(52)에 진공압을 형성하는 상기 진공압형성장치에 연결하여 상기 진공압형성장치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을 이용하여 상기 분사노즐(170)(172)(174)들에게 공기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별도의 동력을 추가하지 않고도 책장넘김작업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문서준비부의 에러율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술된 문서준비부(10)의 상방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영상인식부(7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문서준비부(10)에 의해 투명밀착판(11)에 밀착되어 준비된 책장의 내용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디오 카메라(71)로 촬영하고, 상기 비디오 카메라(71)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이를 가공하는 것으로서, 카메라(71)를 구비하여 피사체인 영상을 전기적 신호로 바꾸는 카메라장치(72)와, 상기 카메라장치(72)의 전기적 신호를 인가받아 이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영상데이터획득부(73)와, 상기 영상데이터획득부(73)에서 획득된 디지털 데이터를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사용 가능한 정보로 가공하여 저장하는 제어부(74) 및 상기 제어부(74)에 초기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입력하고, 결과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한 입, 출력장치(75)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장치(72)는 매우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한 것으로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의 고정된 비디오 카메라(71)가 상기 투명밀착판(11)에 밀착되어 펼쳐진 문서(1) 전체를 촬영할 수 있는 구성인 것도 가능하고, 도 2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카메라(71)를 가로로 n개 세로로 m개의 행렬의 행렬형태로 배치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 총 p(p = n ×m)개의 카메라조합(76)과, 상기 카메라조합(76) 중 순차적으로 어느 한 카메라(71)를 선택하여 선택된 상기 카메라(71)의 전기적 신호를 상기 영상데이터획득부에 전달하는 카메라선택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일례로서 여기서는, n = 2, m = 2, p = 4)
이때, 도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할 영역은 가로로 n개 세로로 m개 총 p개로 나뉘어지며 상기 카메라조합(76)의 각각의 카메라(71)들은 상기 p개로 나뉘어진 촬영대상영역을 일대일 담당하는 동시에 각 카메라(71)에서 촬영하는 촬영영역(E)은 반드시 촬영할 대상영역(e)을 포함하여야 한다.
따라서, 촬영할 영상이 다수개로 나뉘고 이를 각각의 영역을 담당하는 다수개의 고정된 카메라(71)로 촬영하기 때문에 영상 처리를 위해 특정 카메라를 선택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카메라선택부는 상기 카메라조합(76) 중 순차적으로 어느 한 카메라(71)를 선택하여 선택된 상기 카메라(71)의 전기적 신호를 상기 영상데이터획득부에 전달하게 되고, 상기 영상데이터획득부는 상기 카메라선택부에 의해 선택된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데이터화하는 것이다.
또한, 도 2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장치(72)는, 촬영할 영역을 세로로 n개 나누고, n개로 나뉜 영역 위를 가로로 n번 수평이동하면서 촬영하는 1개의 카메라(71) 및 상기 카메라(71)를 가로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키는 카메라좌우왕복이동장치(77)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일례로서 여기서는, n = 2)
이때, 도 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할 영역은 세로로 n개 나뉘어지며 상기 카메라(71)는 상기 n개로 나뉘어진 촬영영역을 n번 이동하면서 촬영하는 동시에 각 카메라(71)에서 촬영하는 촬영영역(E)은 반드시 촬영할 대상영역(e)을 포함하여야 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좌우왕복이동장치(77)는 매우 다양할 수 있는 것으로서, 각종, 리드스크류나 벨트 및 풀리조합을 이용하거나 각종의 공압 및 유압실린더를 이용하거나 랙 엔 피니언기어를 이용하는 등 이러한 왕복이동장치에 대한 기술은 해당분야에 종사하는 당업자에 있어 수정 및 변경이 용이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좌우왕복이동장치(77)에 의해 상기 카메라(71)가 간헐적으로 이동하면서 촬영대상영역을 촬영하고, 상기 카메라(71)의 전기적 신호를 상기 영상데이터획득부에 전달하면 상기 영상데이터획득부는 상기 카메라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카메라(71)에서 촬영한 영상을 데이터화하는 것이다.
또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장치(72)는, 촬영할 영역을 세로로 n개 가로로 m개 나누고, n개로 나뉜 영역 위를 가로로 n번, m개로 나뉜 영역 위를 세로로 m번 전후좌우 수평이동하면서 총 p(p = m ×m)번 촬영하는 1개의카메라(71)와, 상기 카메라(71)를 세로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키는 카메라전후진이동장치(78) 및 상기 카메라를 가로방향으로 수평이동되도록 상기 카메라전후진이동장치(78)를 수평이동시키는 카메라좌우왕복이동장치(77)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일례로서 여기서는, n = 2, m = 2, p = 4)
따라서, 상기 카메라전후진이동장치(78)와 카메라좌우왕복이동장치(77)에 의해 상기 카메라(71)가 간헐적으로 전후좌우 이동하면서 촬영대상영역을 촬영하고, 상기 카메라(71)의 전기적 신호를 상기 영상데이터획득부에 전달하면 상기 영상데이터획득부는 상기 카메라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카메라(71)에서 촬영한 영상을 데이터화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카메라(71)의 촬영영역(E)은 촬영대상영역(e)을 포함하여야 한다.
또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장치(72)는, 촬영할 영역을 세로로 n개 가로로 m개 나누고, n개로 나뉜 영역 위를 가로로 n번 좌우 수평이동하면서 촬영하는 세로 배치된 m개의 카메라조합(76)과, 상기 카메라조합(76)을 가로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키는 카메라좌우왕복이동장치(77) 및 상기 카메라조합(76) 중 순차적으로 어느 한 카메라(71)를 선택하여 선택된 상기 카메라(71)의 전기적 신호를 상기 영상데이터획득부에 전달하는 카메라선택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일례로서 여기서는, n = 2, m = 2, p = 4)
따라서, 상기 카메라선택부는 상기 카메라조합(76) 중 순차적으로 어느 한 카메라(71)를 선택하여 선택된 상기 카메라(71)의 전기적 신호를 상기 영상데이터획득부에 전달하게 되고, 상기 영상데이터획득부는 상기 카메라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카메라(71)에서 촬영한 영상을 데이터화하고, 다시 상기 카메라좌우왕복이동장치(77)에 의해 상기 카메라(71)가 간헐적으로 좌우이동하면서 촬영대상영역을 촬영하고, 상기 카메라(71)의 전기적 신호를 상기 영상데이터획득부에 전달하면 상기 영상데이터획득부는 상기 카메라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카메라(71)에서 촬영한 영상을 데이터화하는 것이다. 물론, 이때, 상기 카메라(71)의 촬영영역(E)은 촬영대상영역(e)을 포함하여야 한다.
여기서, 이러한 일렬의 카메라조합을 한 방향으로만 이동시키는 것은 1개의 카메라는 전후좌우 양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 보다 더 유리한 것으로서, 이는 양방향으로 움직이는 카메라의 기계부 복잡성 및 양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카메라의 이동횟수가 증가함에 따른 이동의 누적오차 등으로 인해 양방향 이동보다는 한 방향으로의 이동이 보다 정밀하고, 시스템을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속도의 향상을 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기 카메라조합의 형태와 카메라 이동방식은 매우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이에 대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카메라장치에 의해 촬영된 각 분할영상을 상기 제어부에서 효과적으로 합성하기 위해서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대상영역이 4개의 분할촬영대상영역(e)으로 나누어져 있고, 4대 또는 4회에 걸쳐 카메라로 촬영한 4개의 분할촬영영상(E)이 획득된 경우, 상기 분할촬영대상영역(e)과, 상기 분할촬영영상(E)이 한치의 오차도 없다면 분할촬영영상(E)을 오려붙임으로써 최종 합성영상(Q)이 완성될 수 있는 것이나 실제로는 카메라들의 내부오차, 조립오차, 설치오차, 이동장치의 오차들 때문에 이러한 단순합성은 매우 어려우므로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그림(3)이 그려져 있는 촬영보정판(4)을 카메라로 촬영하고, 이를 기준으로 각 좌표값을 프로그램에 따라 입력하면 자동으로 합성되는 맵핑(Mapping)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촬영보정판(4)을 이용하여 보정작업을 실시하는 것은, 초기 시스템의 조립시 한번만 초기화하면 차후엔 이러한 셋팅작업이 불필요한 것이다.
즉,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원 이동만을 이용한 맵핑은 촬영보정판(4)의 격자그림(3)을 촬영한 분할촬영영상(E)에서 제어부에 4개의 격자그림 모서리 좌표값을 입력하면 이들 좌표값 내부의 영역만을 각각 위치 이동하여 합성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된 분할촬영영역이 직사각형이 아닌 경우, 즉 회전, 변형, 뒤틀림 등의 오차가 생기는 경우에도 촬영보정판의 격자그림(3)을 촬영한 분할촬영영상(E)에서 제어부에 4개의 모서리 좌표값을 입력하여 이들 좌표값 내부의 촬영대상영역(e)을 직사각형태의 변환영역(e')로 변환한 다음 각각 위치 이동하여 합성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맵핑알고리즘이 수학적으로 임의의 사각형을 직사각형으로 맵핑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되어야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맵핑알고리즘은 이미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므로 여기서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겠다.
그러므로, 카메라의 종류나 설치오차 등에 크게 구애를 받지 않으면서 최초초기 값을 설정하여 안정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본 문서 자동 촬영 시스템의 동작관계를 설명하면, 사용자가 도 1의 상기 문서파지대(21)를 외부로 끄집어내서 상기 문서파지대(21)에 문서(1)를 장착한 다음 상기 문서파지대(21)를 수납하게 되면 상기 문서파지대(21)가 상기 문서제본부승하강장치(20)에 의해 승강하게 되고, 상기 문서의 제본부가 상기 투명밀착판(11)에 밀착되면 상기 날개판(41)이 상기 문서날개부승하강장치(40)에 의해 승강하여 상기 문서(1)의 날개부가 상기 투명밀착판(11)에 밀착되어 상기 문서(1)가 문서준비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카메라장치(72)의 비디오 카메라(71)가 분할된 상기 문서의 촬영대상영역을 고정 또는 간헐적으로 이동하면서 촬영하고, 각각의 카메라(71)에서 촬영된 영상의 전기적 신호를 영상데이터획득부(73)에 전달하면 상기 영상데이터획득부(73)에서 이를 합성 및 처리하여 상기 제어부(74)에 전달하게 되고, 제어부(74)는 이를 가공하여 최종 영상 데이터를 완성한 다음 이를 저장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문서파지대(21) 및 상기 날개판(41)이 상기 문서제본부승하강장치(20) 및 상기 문서날개부승하강장치(40)에 의해 하강하게 되고, 상기 문서(1)가 문서 대기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책장파지장치(50)에 의해 책장(2)이 상기 흡착관(51)에 진공흡착되어 들리고, 상기 책장넘김장치(60)에 의해 책장이 반대편으로 넘어가게 된다.
이어서, 상기 문서파지대(21)가 상기 문서제본부승하강장치(20)에 의해 재승강하게 되고, 상기 문서(1)의 제본부가 상기 투명밀착판(11)에 밀착되면 상기 날개판(41)이 상기 문서날개부승하강장치(40)에 의해 승강하여 상기 문서(1)의 날개부가 상기 투명밀착판(11)에 밀착된다. 이어서 상기 문서(1)를 촬영하는 과정을 문서(1)의 마지막 책장까지 계속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본 문서 자동 촬영 시스템은, 제본된 문서를 고속으로 촬영하여 이를 데이터화할 수 있기 때문에 수작업으로 인한 책장넘김작업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작업에 필요한 인력을 절감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작업시간을 혁신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으며, 작업에 의한 데이터의 완성도에 있어서 그 균일도와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본 문서 자동 촬영 시스템은, 고정되거나 이동하는 다수개의 보급용 비디오 카메라가 다수개로 분할된 촬영영역을 담당하여 촬영하기 때문에 비교적 저가격대에서 고해상도의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동 중에 스캐닝을 하는 종래와는 달리 고정상태의 카메라로 1회 촬영하기 때문에 이동속도와는 별개로 촬영속도가 대단히 빠르므로 영상획득시간을 단축시키게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책장넘김작업에 있어서 책장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고, 겹침이나 구김을 방지하여 제품의 안정성이나 품질을 향상시키게 하는 이점도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본 문서 자동 촬영 시스템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제본 문서(1)가 동시에 장착되어 문서준비작업과 촬영작업을 번갈아 가면서 고속으로 촬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다수개의 제본 문서(1)의 책장을 각각 자동으로 넘겨서 조명이 설치된투명밀착판(11)에 밀착시키는 연달아 나란히 배치된 다수개의 문서준비부(10)와, 다수개의 상기 문서준비부(10)에 의해 순차적으로 투명밀착판(11)에 밀착되어 준비된 책장의 내용을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디오 카메라(71)로 상기 문서준비부들 위로 다수번 이동하면서 연달아 촬영하고, 상기 비디오 카메라(71)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각각의 문서별로 디지털 데이터화하여 기억하여 이를 가공하는 영상인식부(70) 및 상기 각각의 문서준비부(10)와 영상인식부(70)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8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다수개(여기서는 3개)의 문서준비부(10)는 수평으로 나란히 배치되며, 상기 영상인식부(70)는 상기 문서준비부(10)의 상방에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71)는 상기 다수개의 문서준비부(10) 전부를 가로지르는 레일(79)을 따라 이동 가능한 카메라장치(72)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본 문서 자동 촬영 시스템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스캔바(90)를 이용하여 짧은 거리를 이동하게 하여 촬상속도를 향상시키게 하는 것으로서, 제본 문서(1)의 펼쳐진 책장을 자동으로 넘겨서 조명이 설치된 투명밀착판(11)에 밀착시키는 문서준비부(10)와, 상기 문서준비부(10)에 의해 투명밀착판(11)에 밀착되어 준비된 책장의 촬영할 영역을 가로로 다수개 나누고, 각 영역을 담당하는 다수개의 스캔바(90)로 스캔하여 상기 스캔바(9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이를 가공하는 영상인식부(70) 및 상기 문서준비부(10)와 영상인식부(70)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10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여기서, 도 3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상인식부는 다수개의 스캔바(90)와, 상기 스캔바(90)를 서로 평행하게 고정하는 스캔바프레임(91)으로 이루어진 스캔장치(92)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다수개(여기서는, 4개)의 스캔바(90)로 이루어져서 촬상할 영역을 4개의 분할영역으로 나눌 경우, 전체 촬상대상영역의 길이(D)는, 스캔바프레임의 이동거리(L)의 4배에서 영상이 서로 겹치는 거리(K)의 3배를 제하는 길이로서, 겹치는 거리(K)를 거의 제로로 줄일 경우에는 스캔장치(72)의 이동거리를 거의 4분의 1로 축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때, 도 3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캔바(90)의 촬상영역(E)은 촬영대상영역(e)을 포함하여야 한다.
이러한 스캔바(90)의 개수는 설치되는 스캔바(90) 개수의 증가에 따라 비례하여 증가하는 영상합성시간과, 스캔바(90) 개수의 증가에 따라 거의 반비례하여 감소되는 스캔바 이동시간을 고려하여 최적화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된 바와 같은 특징으로 갖는 본 발명의 제본 문서 자동 촬영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방법은,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촬영준비단계(S1)와, 촬영단계(S2) 및 영상처리단계(S3)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촬영준비단계(S1)는, 촬영보정판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에 장치와 관련된 각종 초기화정보를 입력하는 단계(S11)와, 이어서 상기 문서준비부에 문서를 장착하는 단계(S12)와 이어서 상기 문서의 종류를 자동인식하고 이를 제어부에 입력하는 단계(S13) 및 이어서 상기 제어부에 촬영과 관련된 각종의 변수들을 입력하는 단계(S14)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촬영단계(S2)는, 상기 문서준비부에 장착된 문서가 상승하여 상기 투명밀착판에 밀착되는 단계(S21)와, 이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영상인식부의 카메라가 상기 문서의 촬영대상영역을 촬영하는 단계(S22) 및 이어서 문서가 하강하면 상기 문서준비부가 책장 넘김 작업을 실시하는 단계(S23)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단계(S3)는, 상기 카메라로 촬영된 분할영상들의 영상을 디지털 처리하는 단계(S31)와, 이어서 상기 문서인식부가 처리된 분할영상들을 합성하는 단계(S32) 및 이어서 최종 합성영상으로 처리하는 단계(S33)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모든 책장의 영상데이터가 획득되기 전까지 상기 촬영단계(S2) 및 영상처리단계(S3)는 계속 반복되며 진행된다. 그리고, 모든 책장의 영상데이터가 획득되면, 제어부는 이들 데이터를 저장하고, 출력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작업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며, 사용자는 입력장치를 통해 대기 명령을 입력하거나 다음 제본문서를 교체하고, 반복 실행을 명령하게 된다.
여기서,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할 영상이 다수개로 나뉘고 이를 각각의 영역을 담당하는 다수개의 고정된 카메라로 촬영하는 경우, 상기 촬영단계(S2)는 상기 문서가 상기 투명밀착판에 밀착되면 상기 제어부가 촬영에 관련된 카메라 조합부의 환경을 참조하는 단계(S221)와, 상기 제어부가 참조된 상기 촬영에 관련된 환경을 초기화하는 단계(S222)와, 상기 영상인식부에서 다수개의 상기 카메라 중에서 촬영할 카메라를 선택하는 단계(S223)와, 상기 선택된 카메라가담당하는 분할촬영영역을 촬영하는 단계(S224)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분할영상을 저장하는 단계(S225)와, 상기 저장된 분할영상을 전처리하는 단계(S226) 및 최종 분할촬영이 완료되기까지 다음 촬영장치를 지정하는 단계(S227)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할 영상이 다수개로 나누고 이를 다수회 간헐적으로 이동하면서 1개의 카메라로 촬영하는 경우, 상기 촬영단계(S2)는 상기 문서가 상기 투명밀착판에 밀착되면 상기 제어부가 촬영에 관련된 카메라 이동부의 환경을 참조하는 단계(S221)와, 상기 제어부가 참조된 상기 촬영에 관련된 환경을 초기화하는 단계(S222)와, 상기 영상인식부가 상기 카메라를 설정환경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S223)와, 상기 이동된 카메라가 분할촬영영역을 촬영하는 단계(S224)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분할영상을 저장하는 단계(S225)와, 상기 저장된 분할영상을 전처리하는 단계(S226) 및 최종 이동이 완료되기까지 다음 촬영위치를 지정하는 단계(S227)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할 영상이 다수개로 나누고 이를 다수회 간헐적으로 이동하면서 다수개의 카메라로 촬영하는 경우, 상기 촬영단계(S2)는, 상기 문서가 상기 투명밀착판에 밀착되면 상기 제어부가 촬영에 관련된 카메라 조합부 및 이동부의 환경을 참조하는 단계(S221)와, 상기 제어부가 참조된 상기 촬영에 관련된 환경을 초기화하는 단계(S222)와, 상기 영상인식부가 상기 카메라를 설정환경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S223)와, 상기 영상인식부에서 다수개의 상기 카메라 중에서 촬영할 카메라를 선택하는 단계(S224)와, 상기 선택된 카메라가 담당하는 분할촬영영역을 촬영하는 단계(S225)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분할영상을 저장하는 단계(S226)와, 상기 저장된 분할영상을 전처리하는 단계(S227)와, 최종 분할촬영이 완료되기까지 다음 카메라를 지정하는 단계(S228) 및 최종 분할촬영이 완료되면 최종 이동이 완료되기까지 다음 촬영위치를 지정하는 단계(S229)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본 문서 자동 촬영 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의하면, 작업인력을 절감할 수 있고, 책장넘김시간을 단축하며, 촬영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저렴한 가격으로 고해상도의 기능을 갖는 제품을 제작할 수 있으며, 촬영속도 또는 스캐닝속도를 빠르게 하여 대량의 제본문서를 데이터화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25)
- 제본 문서에 수록된 영상을 데이터화하는 제본 문서 자동 촬영 시스템을 구성함에 있어,제본 문서의 펼쳐진 책장을 자동으로 넘겨서 조명이 설치된 투명밀착판에 밀착시키는 문서준비부; 상기 문서준비부에 의해 투명밀착판에 밀착되어 준비된 책장의 내용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디오 카메라로 촬영하고, 상기 비디오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데이터로 변환하여 이를 가공하는 영상인식부; 및 상기 문서준비부와 영상인식부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상기 문서준비부는 제본 문서의 펼쳐진 제본부를 파지하고, 상기 투명밀착판 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문서제본부승하강장치; 상기 문서의 펼쳐진 양 날개부를 각각 상기 투명밀착판 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문서날개부승하강장치; 상기 문서제본부승하강장치와 상기 문서날개부승하강장치가 하강위치일 때, 상기 문서의 책장을 한 장씩 파지하여 소정의 높이 이상 들어올리는 책장파지장치; 및 상기 책장파지장치에 의해 소정 높이 이상 들어 올려진 책장을 반대편으로 넘기도록 들어 올려진 책장을 걷어 내는 책장넘김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상기 영상인식부는 카메라를 구비하여 피사체인 영상을 전기적 신호로 바꾸는 카메라장치; 상기 카메라장치의 전기적 신호를 인가받아 이를 데이터로 변환하는 영상데이터획득부; 상기 영상데이터획득부에서 획득된 디지털 데이터를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사용 가능한 정보로 가공하여 저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초기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입력하고, 결과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한 입, 출력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 문서 자동 촬영 시스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제본부승하강장치는 제본 문서의 제본부를 파지하는 문서파지대;책장의 넘김에 따라 상기 문서파지대의 수평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문서파지대의 상기 문서파지대를 회전 지지하고, 문서의 장착이 용이한 문서 교체 위치와 문서 대기 위치 사이에서 미끄럼 왕복운동이 가능한 가동대;상기 가동대를 지지하고, 상기 가동대의 미끄럼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가동대에 형성된 레일과 대응하는 형상의 가이드부재; 및상기 문서파지대에 파지된 문서의 제본부가 상기 투명밀착판에 밀착되도록 상기 가이드부재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 문서 자동 촬영 시스템.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제본부승하강장치는 상기 투명밀착판에 밀착된 문서의 제본부 기울기가 책장의 넘김 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변화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문서가 상기 투명밀착판에 밀착되는 가압력에 따라 상기 문서파지대의 수평회전각도가 변화되게 하고, 변화된 상기 문서파지대의 수평회전각도를 고정시키는 각도자동조절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 문서 자동 촬영 시스템.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자동조절수단은, 상기 문서파지대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형성된 부채꼴 형태의 자성체 재질인 회동고리; 및일측이 상기 가이드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회동고리의 회전운동이 자력에 의해 종속되도록 타측이 상기 회동고리와 부착되는 자석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 문서 자동 촬영 시스템.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수단은 일측에 상기 가이드부재가 탄설되고,암나사홀이 관통되어 형성된 왕복대;상기 왕복대의 암나사홀에 대응하는 형상의 수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왕복대를 관통하는 리드스크류;상기 리드스크류를 회전 지지하는 고정대;상기 리드스크류에 모터의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한 쌍의 벨트 풀리조합;상기 문서파지대에 의해 파지된 문서의 제본부가 상기 투명밀착판에 밀착되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상기 문서파지대에 의해 파지된 문서의 제본부가 책장의 넘김이 가능한 문서 대기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 및상기 센서와 리미트스위치로부터 상기 왕복대의 위치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모터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모터의 정, 역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 문서 자동 촬영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날개부승하강장치는 문서의 날개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문서의 제본부를 파지하는 상기 문서제본부승하강장치의 문서파지대의 양편에 설치되는 좌측 및 우측 날개판: 및상기 문서파지대에 파지된 문서의 양 날개부가 상기 투명밀착판에 밀착되도록 상기 좌측 및 우측 날개판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 문서 자동 촬영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준비부는 제본 문서의 펼쳐진 제본부를 파지하는 문서파지대;상기 문서파지대에 파지된 문서방향으로 상기 투명밀착판을 승하강시키는 투명밀착판승하강장치;상기 문서의 펼쳐진 양 날개부를 각각 상기 투명밀착판 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문서날개부승하강장치;상기 투명밀착판승하강장치가 상승위치하고, 상기 문서날개부승하강장치가 하강위치일 때, 상기 문서의 책장을 한 장씩 파지하여 소정의 높이 이상 들어올리는 책장파지장치; 및상기 책장파지장치에 의해 소정 높이 이상 들어 올려진 책장을 반대편으로 넘기도록 들어 올려진 책장을 걷어 내는 책장넘김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 문서 자동 촬영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책장파지장치는 대기 위치에 있는 문서의 책장을 진공흡착하는 흡착관;상기 흡착관 내부에 진공압을 형성하는 진공압형성장치;상기 흡착관을 소정의 높이만큼 승하강시키는 흡착관승하강수단;상기 흡착관을 소정의 거리만큼 전후진시키는 흡착관전후진수단; 및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흡착관승하강수단과 흡착관전후진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 문서 자동 촬영 시스템.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관은 상기 흡착관에 흡착되는 책장이 소정 정도의 각도로 절곡되어 다수개의 책장이 동시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책장과 접촉되는 흡입구에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 문서 자동 촬영 시스템.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흡착관이 문서의 제본부 상방까지 수평 전진한 다음, 수직하강하여 문서의 제본부부터 책장을 흡착하고,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고 소정 높이 이상 상기 문서의 우측 날개부방향으로 비스듬히 승강하도록 상기 흡착관승하강수단과 상기 흡착관전후진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 문서 자동 촬영 시스템.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관은 상하움직임이 자유롭도록 설치되고, 상기 흡착관에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돌기가 일정한 경로의 가이드면이 형성된 가이드부재에 대응하여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 문서 자동 촬영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책장넘김장치는 상기 책장파지장치에 의해 소정 높이 이상 들어 올려진 책장 사이를 지나 책장을 반대편으로 넘기도록 직선왕복운동하는넘김막대;상기 넘김막대가 직선왕복운동을 하도록 상기 넘김막대를 전후진운동시키는 막대전후진수단;상기 책장파지장치에 의해 들어 올려진 책장을 감지하는 한 쌍의 발광 및 수광센서; 및상기 수광센서의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막대전후진수단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 문서 자동 촬영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준비부는 책장넘김작업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문서파지장치와 문서넘김장치에 의해 넘겨지는 책장에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 문서 자동 촬영 시스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장치는 다수개의 카메라를 가로로 n개 세로로 m개의 행렬의 행렬형태로 배치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 총 p(p = n ×m)개의 카메라조합; 및상기 카메라조합 중 순차적으로 어느 한 카메라를 선택하여 선택된 상기 카메라의 전기적 신호를 상기 영상데이터획득부에 전달하는 카메라선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 문서 자동 촬영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장치는 촬영할 영역을 세로로 n개 나누고, n개로 나뉜 영역 위를 가로로 n번 수평이동하면서 촬영하는 1개의 카메라; 및상기 카메라를 가로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키는 카메라좌우왕복이동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 문서 자동 촬영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장치는 촬영할 영역을 세로로 n개 가로로 m개 나누고, n개로 나뉜 영역 위를 가로로 n번, m개로 나뉜 영역 위를 세로로 m번 전후좌우 수평이동하면서 총 p(p = n ×m)번 촬영하는 1개의 카메라;상기 카메라를 세로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키는 카메라전후진이동장치; 및상기 카메라를 가로방향으로 수평이동되도록 상기 카메라전후진이동장치를 수평이동시키는 카메라좌우왕복이동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 문서 자동 촬영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장치는 촬영할 영역을 세로로 n개 가로로 m개 나누고, n개로 나뉜 영역 위를 가로로 n번 좌우 수평이동하면서 촬영하는 세로 배치된 m개의 카메라조합;상기 카메라조합을 가로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키는 카메라좌우왕복이동장치; 및상기 카메라조합 중 순차적으로 어느 한 카메라를 선택하여 선택된 상기 카메라의 전기적 신호를 상기 영상데이터획득부에 전달하는 카메라선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 문서 자동 촬영 시스템.
- 제본 문서에 수록된 영상을 데이터화하는 제본 문서 자동 촬영 시스템을 구성함에 있어,제본된 다수개의 문서 책장을 각각 자동으로 넘겨서 조명이 설치된 투명밀착판에 밀착시키고, 연달아 나란히 배치되는 다수개의 문서준비부;다수개의 상기 문서준비부에 의해 순차적으로 투명밀착판에 밀착되어 준비된 책장의 내용을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디오 카메라로 다수번 이동하면서 연달아 촬영하고, 상기 비디오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각각의문서별로 데이터화하여 기억하여 이를 가공하는 영상인식부; 및상기 각각의 문서준비부와 영상인식부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 문서 자동 촬영 시스템.
- 제본 문서에 수록된 영상을 데이터화하는 제본 문서 자동 촬영 시스템을 구성함에 있어,제본 문서의 펼쳐진 책장을 자동으로 넘겨서 조명이 설치된 투명밀착판에 밀착시키는 문서준비부;상기 문서준비부에 의해 투명밀착판에 밀착되어 준비된 책장의 촬영할 영역을 가로로 다수개 나누고, 각 영역을 담당하는 다수개의 스캔바로 스캔하여 상기 스캔바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데이터로 변환하여 이를 가공하는 영상인식부; 및상기 문서준비부와 영상인식부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 문서 자동 촬영 시스템.
- 제본 문서에 수록된 영상을 데이터화하도록 제본 문서의 펼쳐진 책장을 자동으로 넘겨서 투명밀착판에 밀착시키는 문서준비부, 책장의 내용을 비디오 카메라로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데이터로 변환하여 이를 가공하는 영상인식부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 문서 자동 촬영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촬영보정판 등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에 장치와 관련된 각종 초기화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문서준비부에 문서를 장착하며, 상기 제어부에 촬영과 관련된 각종의 변수들을 입력하는 촬영준비단계;상기 촬영준비단계에서 상기 문서준비부에 장착된 문서가 상기 투명밀착판에 밀착되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영상인식부의 카메라가 상기 문서의 내용을 촬영하고, 문서가 하강하면 상기 문서준비부가 책장 넘김 작업을 실시하는 촬영단계; 및모든 책장의 영상데이터가 획득되기 전까지 상기 촬영단계에서 상기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들의 영상을 상기 문서인식부가 디지털화하고, 이를 영상처리 및 합성하는 영상처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 문서 자동 촬영 시스템의 제어방법.
-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단계는 촬영할 영상이 다수개로 나뉘고 이를 각각의 영역을 담당하는 다수개의 고정된 카메라로 촬영하는 경우, 상기 문서가 상기 투명밀착판에 밀착되면 상기 제어부가 촬영에 관련된 카메라 조합부의 환경을 참조하는 단계;상기 제어부가 참조된 상기 촬영에 관련된 환경을 초기화하는 단계;상기 영상인식부에서 다수개의 상기 카메라 중에서 촬영할 카메라를 선택하는 단계;상기 선택된 카메라가 담당하는 분할촬영영역을 촬영하는 단계;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분할영상을 저장하는 단계;상기 저장된 분할영상을 전처리하는 단계; 및최종 분할촬영이 완료되기까지 다음 촬영장치를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 문서 자동 촬영 시스템의 제어방법.
-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단계는 촬영할 영상이 다수개로 나누고 이를 다수회 간헐적으로 이동하면서 1개의 카메라로 촬영하는 경우, 상기 문서가 상기 투명밀착판에 밀착되면 상기 제어부가 촬영에 관련된 카메라 이동부의 환경을 참조하는 단계;상기 제어부가 참조된 상기 촬영에 관련된 환경을 초기화하는 단계;상기 영상인식부가 상기 카메라를 설정환경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상기 이동된 카메라가 분할촬영영역을 촬영하는 단계;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분할영상을 저장하는 단계;상기 저장된 분할영상을 전처리하는 단계; 및최종 이동이 완료되기까지 다음 촬영위치를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 문서 자동 촬영 시스템의 제어방법.
-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단계는 촬영할 영상이 다수개로 나누고 이를 다수회 간헐적으로 이동하면서 다수개의 카메라로 촬영하는 경우, 상기 문서가 상기 투명밀착판에 밀착되면 상기 제어부가 촬영에 관련된 카메라 조합부 및 이동부의 환경을 참조하는 단계;상기 제어부가 참조된 상기 촬영에 관련된 환경을 초기화하는 단계;상기 영상인식부가 상기 카메라를 설정환경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상기 영상인식부에서 다수개의 상기 카메라 중에서 촬영할 카메라를 선택하는 단계;상기 선택된 카메라가 담당하는 분할촬영영역을 촬영하는 단계;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분할영상을 저장하는 단계;상기 저장된 분할영상을 전처리하는 단계;최종 분할촬영이 완료되기까지 다음 촬영장치를 지정하는 단계; 및최종 분할촬영이 완료되면 최종 이동이 완료되기까지 다음 촬영위치를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 문서 자동 촬영 시스템의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38374A KR100344172B1 (ko) | 1999-09-09 | 1999-09-09 | 제본 문서 자동 촬영 시스템 및 제어방법 |
PCT/KR2000/000522 WO2001018751A1 (en) | 1999-09-09 | 2000-05-24 | Automatic imaging system for bound documen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AU46226/00A AU4622600A (en) | 1999-09-09 | 2000-05-24 | Automatic imaging system for bound documen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TW089111147A TW472477B (en) | 1999-09-09 | 2000-06-08 | Automatic image for bound documen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38374A KR100344172B1 (ko) | 1999-09-09 | 1999-09-09 | 제본 문서 자동 촬영 시스템 및 제어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84054A KR19990084054A (ko) | 1999-12-06 |
KR100344172B1 true KR100344172B1 (ko) | 2002-07-19 |
Family
ID=19610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38374A KR100344172B1 (ko) | 1999-09-09 | 1999-09-09 | 제본 문서 자동 촬영 시스템 및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KR (1) | KR100344172B1 (ko) |
AU (1) | AU4622600A (ko) |
TW (1) | TW472477B (ko) |
WO (1) | WO2001018751A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3024B1 (ko) | 2011-02-01 | 2011-06-21 | 탐투스 주식회사 | 전자책 제작 및 실시간 교재수업을 위한 북스캔 실물화상기 |
KR101129447B1 (ko) * | 2011-06-10 | 2012-03-26 | 탐투스 주식회사 | 실물 화상기 |
KR20160137211A (ko) * | 2015-05-22 | 2016-11-30 | 정태웅 | 일반 상용 카메라와 일반 상용 평판 스캐너를 이용한 자동 책 스캐너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49780A (ko) * | 2000-04-28 | 2000-08-05 | 이광석 | 디지탈 이미징 시스템 |
TWI395562B (zh) * | 2009-12-01 | 2013-05-11 | Hwa Hsia Inst Of Technology | Automatic book page image capture device |
WO2017068622A1 (ja) * | 2015-10-19 | 2017-04-27 | 株式会社Pfu | 綴じ媒体押圧装置及び綴じ媒体読取装置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53108A (ja) * | 1993-02-22 | 1994-09-09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自動ページめくりスキャナ装置 |
JPH09252390A (ja) * | 1996-03-16 | 1997-09-22 | Ricoh Co Ltd | 画像読み取り装置 |
KR19980018310U (ko) * | 1996-09-25 | 1998-07-06 | 김광호 | 스케닝 장치 |
KR19980035697A (ko) * | 1996-11-14 | 1998-08-05 | 구자홍 | 책 자동 복사 장치 |
JPH10262140A (ja) * | 1997-03-18 | 1998-09-29 | Minolta Co Ltd | 画像読取り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630788B2 (ja) * | 1987-11-30 | 1997-07-16 | 旭光学工業株式会社 | 縮小拡大写真製版システム |
JP3063099B2 (ja) * | 1989-09-29 | 2000-07-12 | ミノルタ株式会社 | 原稿読み取り装置 |
JPH0410857A (ja) * | 1990-04-27 | 1992-01-16 | Toshiba Corp | 画像検出装置 |
JPH0548838A (ja) * | 1991-08-09 | 1993-02-26 | Fuji Xerox Co Ltd | 画像読取り装置 |
JPH11127973A (ja) * | 1997-10-29 | 1999-05-18 | Ikeda Hisaaki | 読書用画像表示システム |
JP3796956B2 (ja) * | 1998-04-17 | 2006-07-12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表示装置 |
KR100324472B1 (ko) * | 1999-06-18 | 2002-02-27 | 오희범 | 제본문서 용지 자동넘김장치 |
KR100312964B1 (ko) * | 1999-06-18 | 2001-11-03 | 오희범 | 다중카메라 영상 합성시스템 및 영상 합성 방법 |
-
1999
- 1999-09-09 KR KR1019990038374A patent/KR10034417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0
- 2000-05-24 WO PCT/KR2000/000522 patent/WO2001018751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0-05-24 AU AU46226/00A patent/AU4622600A/en not_active Abandoned
- 2000-06-08 TW TW089111147A patent/TW472477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53108A (ja) * | 1993-02-22 | 1994-09-09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自動ページめくりスキャナ装置 |
JPH09252390A (ja) * | 1996-03-16 | 1997-09-22 | Ricoh Co Ltd | 画像読み取り装置 |
KR19980018310U (ko) * | 1996-09-25 | 1998-07-06 | 김광호 | 스케닝 장치 |
KR19980035697A (ko) * | 1996-11-14 | 1998-08-05 | 구자홍 | 책 자동 복사 장치 |
JPH10262140A (ja) * | 1997-03-18 | 1998-09-29 | Minolta Co Ltd | 画像読取り装置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3024B1 (ko) | 2011-02-01 | 2011-06-21 | 탐투스 주식회사 | 전자책 제작 및 실시간 교재수업을 위한 북스캔 실물화상기 |
KR101129447B1 (ko) * | 2011-06-10 | 2012-03-26 | 탐투스 주식회사 | 실물 화상기 |
KR20160137211A (ko) * | 2015-05-22 | 2016-11-30 | 정태웅 | 일반 상용 카메라와 일반 상용 평판 스캐너를 이용한 자동 책 스캐너 |
KR101683376B1 (ko) | 2015-05-22 | 2016-12-20 | 정태웅 | 일반 상용 카메라와 일반 상용 평판 스캐너를 이용한 자동 책 스캐너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01018751A1 (en) | 2001-03-15 |
AU4622600A (en) | 2001-04-10 |
KR19990084054A (ko) | 1999-12-06 |
TW472477B (en) | 2002-01-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0779534B1 (en) | Bound document imager with page turner | |
CN101854460B (zh) | 自动翻页扫描装置及其扫描方法 | |
US20100296138A1 (en) | Apparatus for detecting the content of a book | |
US20080316551A1 (en) | Automated page turning apparatus to assist in viewing pages of a document | |
EP1540942A2 (en) | Automated page turning apparatus to assist in viewing pages of a document | |
KR100344172B1 (ko) | 제본 문서 자동 촬영 시스템 및 제어방법 | |
CN103354592A (zh) | 自动翻书页扫描仪 | |
WO1995028052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ly archiving analog images | |
US7639406B1 (en) | Movable document cradle for facilitating imaging of bound documents | |
CN107688232A (zh) | 一种显微镜载物台、显微镜及抓取载玻片的方法 | |
CN213973333U (zh) | 一种便于自动扫描的翻页装置 | |
CN201947356U (zh) | 一种文件快速拍录设备 | |
US7605844B1 (en) | Imaging opposing bound pages at high speed using multiple cameras | |
CN111284179A (zh) | 一种成册书籍数字化智能设备 | |
KR20160137211A (ko) | 일반 상용 카메라와 일반 상용 평판 스캐너를 이용한 자동 책 스캐너 | |
KR20210088846A (ko) | [책 자동 스캐너] | |
CN201504275U (zh) | 书籍双页同步扫描仪 | |
US6459505B1 (en) | Bound document imager | |
CN203416322U (zh) | 自动翻书页扫描仪 | |
CN206117806U (zh) | 一种图书馆用多机位上拍式图书扫描装置 | |
KR100324472B1 (ko) | 제본문서 용지 자동넘김장치 | |
CN216930097U (zh) | 一种用于散页的扫描机器人 | |
CN212677225U (zh) | 一种自动翻页扫描系统 | |
JP2008535416A (ja) | 相互結合された紙葉の光学的な検出及び受取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 |
CN209904311U (zh) | 一种成册书籍数字化智能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