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2917B1 - 베개 - Google Patents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2917B1
KR100342917B1 KR1019990040155A KR19990040155A KR100342917B1 KR 100342917 B1 KR100342917 B1 KR 100342917B1 KR 1019990040155 A KR1019990040155 A KR 1019990040155A KR 19990040155 A KR19990040155 A KR 19990040155A KR 100342917 B1 KR100342917 B1 KR 100342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user
pillow
head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0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8087A (ko
Inventor
김현태
Original Assignee
김현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태 filed Critical 김현태
Priority to KR1019990040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2917B1/ko
Publication of KR20010028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8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2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29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54Pillows for lying face downwar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또는 환자가 눕거나 엎드리는 상태에 따라 다른 높이 또는 다른 위치에서 머리 또는 안면을 편안하고 안정적인 상태로 지지할 수 있는 베개를 제공한다.
그 베개(10)는 정상상태로 반듯이 누울 때 머리의 뒷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제 1받침부(12); 제 1받침부(12)에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받침부(12)보다 높으며, 옆으로 누울 때 머리의 측부를 지지하기 위한 제 2받침부(14); 및 제 2받침부(14)에 연결되어 형성되고, 턱을 지지하기 위한 턱받침부(18)를 구비하며, 엎드렸을 때 그들의 상체의 일부 및 턱을 지지하기 위한 제 3받침부(16)를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제 3받침부(16)의 턱받침부(18)의 주변에는 사용자의 안면을 받치기 위한 안면지지부(2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안면지지부(20)에는 위생용 커버(22)가 교체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Description

베개{PILLOW}
본 발명은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또는 환자가 눕거나 엎드리는 상태에 따라 다른 높이 또는 다른 위치에서 머리 또는 안면을 편안하고 안정적인 상태로 지지할 수 있는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식, 취침 또는 치료를 위해 눕거나 엎드리는 경우 머리를 고이거나 받치기 위해 베개가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베개는 매우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그 재질 또한 다양하게 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베개들 중 주로 취침시 또는 휴식시 이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베개가 도 1a 및 1b에 도시되어 있다. 도 1a에 예시된 베개(1)는 기본적으로 일정 두께의 형상을 이루도록 솜, 곡물, 공기 등이 충전될 수 있는 본체(2)와, 그 본체(2)의 외부를 감싸기 위한 베갯닢 즉, 외피(3)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베개(1)는 가장 전통적인 형태를 취하는 것으로서, 본체(2)의 형상은 다양한 크기를 취할 수 있는 원주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주로 똑바로 누운상태로 취침시 또는 휴식시 머리를 고이거나 받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근 유행하는 베개(4)는 기본적으로 도 1a의 베개와 같이 일정한 부피를 유지할 수 있는 물체가 충전된 본체(5)와, 역시 그 본체의 외부를 감싸기 위한 외피(6)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베개는 젊은층들이 즐겨 사용하는 서구식 베개로서, 본체(5)의 형상은 장방형 또는 정방형을 취하고 있으며, 침대에서 취침용으로 사용됨은 물론 소파, 거실에서도 취침용 이외에 허리받침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의 베개들은, 비록 본체의 신축성에 의해 사용높이가 다소 가변적일 수는 있지만, 그 받침 높이가 고정적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취침상태 또는 사용상태에 따라 사용자의 머리의 위치 또는 높이가 달라지기 때문에 불편함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대부분의 성인용 베개의 유효높이는 평균적인 신체조건을 가진 사람이 정상적인 상태로 누웠을 때 편안할 수 있는 머리의 높이를 기준으로 하여 고정적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눕지 않고 옆으로 또는 모로 눕거나, 엎드리는 경우에는 그 사용자의 머리의 높이 및 위치가 다르게 되므로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취침하거나 휴식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여러 사람 또는 환자들이 번갈아 사용하는 경우 위생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취침상태 또는 휴식상태에 따라 머리를 다른 높이 또는 위치로 고일 수 있는 베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사용상태에 따라 달라지는 머리의 높이에 적합한 유효높이를 갖는 복수의 머리 받침부와, 엎드린 경우 턱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턱받침부 또는 안면을 지지하기 위한 안면지지부가 형성되며 사용자의 안면 및 가슴을 지지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베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 내지 1b는 일반적인 베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베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선 Ⅲ-Ⅲ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베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에에 따른 베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선 Ⅵ-Ⅵ에 따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베개 12: 제 1받침부
14: 제 2받침부 16: 제 3받침부
18,18': 턱받침부 20: 안면지지부
22: 위생커버 24: 연결부재
이 같은 목적들은, 사용자 또는 환자가 취침, 휴식 또는 치료시 그들의 머리를 고일 수 있는 베개에 있어서, 사용자 또는 환자가 정상상태로 반듯이 누울 때 머리의 뒷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제 1받침부; 상기 제 1받침부에 연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 1받침부보다 높으며, 사용자 또는 환자가 옆으로 누울 때 머리의 측부를 지지하기 위한 제 2받침부; 및 상기 제 2받침부에 연접하여 형성되고, 사용자 또는 환자의 턱을 지지하기 위한 턱받침부를 구비하며, 사용자 또는 환자가 엎드렸을 때 그들의 상체의 일부 및 턱을 지지하기 위한 제 3받침부를 일체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제 3받침부의 턱받침부의 주변에는 사용자 또는 환자의 안면을 받치기 위한 안면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안면지지부에는 위생용 커버가 착탈 가능하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베개의 사시도 및 정면도를 각각 보여주는 도 2 및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베개(10)는 기본적으로 입체감 또는 소정의 두께를 유지하기 위해 내부에 직물, 공기, 곡물, 스폰지, 물 등과 같은 물체가 충전될 수 있다. 베개(10)는, 예컨대 직물, 비닐 또는 합성수지와 같은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채워지는 물체와 함께 다소의 신축성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베개(10)는 사용자의 취침상태에 따라 높이가 달라지는 머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각각 다른 유효높이를 갖는 복수개의 받침부를 구비한다. 즉, 그 베개(10)는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눕는 경우 머리 높이에 해당하는 높이를 갖는 제 1받침부(12)와, 그 제 1받침부(12)에 연접, 연결 또는 연이어형성되며 그 높이가 제 1받침부(12)보다는 높은 제 2받침부(14)를 포함한다. 제 2받침부(14)의 높이는 사용자가 옆으로 또는 모로 눕는 경우 지면으로부터 머리까지의 높이에 해당하는 높이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받침부(14)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엎드리는 경우 머리를 포함한 상체의 일부를 지지하거나 받치기 위한 제 3받침부(16)가 연접, 연결 또는 연이어 일체로 형성된다. 제 3받침부(16)는 물론 사용자의 머리 및 상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넓이 및 형상으로 형성됨은 물론, 그 것의 높이는 제 2받침부(14)의 높이와 같거나 그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제 3받침부(16)에는 사용자가 엎드리는 경우 그 사용자의 턱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다소 오목하게 형성되는 턱받침부(18)가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제 3받침부(16)의 저면에도 턱받침부(18)와 유사한 턱받침부(18')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베개가 도시되어 있다. 그 베개(10)의 제 3받침부(16)의 턱받침부(18)의 주변에는, 사용자의 턱뿐 아니라 사용자의 안면의 전체 또는 일측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안면지지부(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안면지지부(20)는 사람의 안면, 즉 얼굴의 형상과 유사한 마스크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안면지지부(20)에는 그 부분을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는 위생커버(22)가 착탈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어, 각각 다른 사용자들이 하나의 베개를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물론, 그 위생커버(22)는 안면지지부(20)의 모양에 상응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안면지지부(20)와 위생커버(22)에는 그들 상호간의 착탈을 위해 상호 대응하는 패스너(20a;22a)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베개(10)는,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받침부(12), 제 2받침부(14) 및 제 3받침부(16)가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연질의 연결부재(24)에 의해 상호 일체로 연결될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받침부(12,14,16)가 각각 연결부재(24)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각각의 받침부는 일정범위에서 자유롭게 변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베개의 사용방식 및 그 작용모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반듯이 누워서 취침하거나 휴식을 취하기를 원하면, 그 사용자는 자신의 머리의 뒷부분을 베개의 제 1받침부(12)에 고여 지지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지면으로부터의 사용자의 머리의 높이는 가장 낮게 유지되므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머리의 뒷부분을 베개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높이를 갖는 제 1받침부(12)에 위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안정적이고 편안하게 취침 또는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정상적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옆으로 눕거나 또는 모로 눕게 되면, 그 사용자의 어깨 또는 상부에 의해 머리의 높이가 방바닥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베개 또는 자신의 머리를 이동시켜 머리의 측부를 베개의 제 2받침부(14)에 고여 지지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제 2받침부(14)의 높이는 제 1받침부(12)의 높이보다 높으므로,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하는 사용자의머리가 높은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됨으로써 편안하고 안정적인 취침 또는 휴식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엎드리는 경우에는 자신의 상체의 일부를 베개의 제 3받침부(16)에 지지함과 동시에 턱을 턱받침부(18)에 지지하여 안정적인 상태로 취침 또는 휴식을 취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는 제 3받침부(16)에 형성된 2개의 턱받침부(18,18')중 임의로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받침부(12,14,16)가 연결부재(24)에 의해 연결된 경우에는 일정범위내에서 사용자가 각각의 받침부를 독립적으로 변위시켜 머리, 안면, 또는 상체를 고일 수 있어 더욱 편안하고 안정적인 상태를 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엎드려 휴식을 취하거나, 환자가 치료를 위해 엎드리는 경우에는 그들의 안면을 제 3받침부(16)에 형성된 안면지지부(20)에 대거나 지지하여 그들이 가장 편한 상태로 안면을 유지할 수 있다. 이때, 베개의 안면지지부(20)에는 위생커버(22)가 제공될 수 있으므로, 하나의 베개를 여러 사람 또는 환자가 교대로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바뀔 때마다 위생커버를 교환하여 위생적인 분위기를 유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베개에 의하면, 사용자 또는 환자가 자신이 취하고 있는 취침상태, 치료상태 또는 휴식상태에 따라 변하는 머리의 위치 또는 높이에 적합한 받침부에 자신의 머리, 안면 또는 턱을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고여 지지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 또는 환자의 턱 또는 안면이 접하는 부분에 위생용 커버가 착탈가능하게 제공됨으로써, 위생적인 잇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3)

  1. 사용자 또는 환자가 취침, 휴식 또는 치료시 그들의 머리를 고일 수 있는 베개에 있어서,
    사용자 또는 환자가 정상상태로 반듯이 누울 때 머리의 뒷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제 1받침부(12);
    상기 제 1받침부(12)에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제 1받침부(12)보다 높으며, 사용자 또는 환자가 옆으로 누울 때 머리의 측부를 지지하기 위한 제 2받침부(14); 및
    상기 제 2받침부(14)에 연이어 형성되고, 사용자 또는 환자의 턱을 지지하기 위한 턱받침부(18)를 구비하며, 사용자 또는 환자가 엎드렸을 때 그들의 상체의 일부 및 턱을 지지하기 위한 제 3받침부(16);를 일체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10).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받침부(16)의 턱받침부(18)의 주변에는 사용자의 안면을 지지하기 위한 안면지지부(20)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안면지지부(20)에는 위생용 커버(22)가 착탈 가능하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10).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받침부(12,14,16)는 각각 독립적으로 변위 가능하도록 연결부재(24)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10).
KR1019990040155A 1999-09-17 1999-09-17 베개 KR100342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155A KR100342917B1 (ko) 1999-09-17 1999-09-17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155A KR100342917B1 (ko) 1999-09-17 1999-09-17 베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8087A KR20010028087A (ko) 2001-04-06
KR100342917B1 true KR100342917B1 (ko) 2002-07-04

Family

ID=19612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0155A KR100342917B1 (ko) 1999-09-17 1999-09-17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291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8087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54998A (en) Therapeutic bedding pad
US3757365A (en) Therapeutic pillow
US5154649A (en) Inflatable nursing pillow
US5437070A (en) Multiple use pillow
US3315282A (en) Headrest for cosmetic use and the like
US5848448A (en) Pillow with cutouts adapted to accommodate the ear, nose and cheek of a user
US5644810A (en) Pillow for supine and side-orientated sleeping positions
JP4858809B2 (ja) 機能性枕
US5426798A (en) Resting support particularly adapted for prone sleeping
JP2006346218A (ja) 局部高さ調節機能付き敷き布団
JPH10117907A (ja) 患者用寝返り背当て枕
KR102571552B1 (ko) 자세변환용 기능성 쿠션용구
KR100342917B1 (ko) 베개
US6694551B1 (en) Facial support device
JP2004166925A (ja) マットレス
KR200417962Y1 (ko) 다용도 기능성 베개
JP3047525U (ja) 寝具用補助装置
JP3234680U (ja)
KR100665859B1 (ko) 팔베개
KR200370104Y1 (ko) 환자용 매트리스
KR200234279Y1 (ko) 건강베개
KR200298146Y1 (ko) 팔걸이가 있는 쿠션
WO2017142700A1 (en) Leu's pillow
KR20050088552A (ko) 경추 및 어깨 결림 방지 베개
JP2006075488A (j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