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2916B1 - 이동작업이 용이한 승,하강기 - Google Patents
이동작업이 용이한 승,하강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42916B1 KR100342916B1 KR1019990023152A KR19990023152A KR100342916B1 KR 100342916 B1 KR100342916 B1 KR 100342916B1 KR 1019990023152 A KR1019990023152 A KR 1019990023152A KR 19990023152 A KR19990023152 A KR 19990023152A KR 100342916 B1 KR100342916 B1 KR 1003429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aft
- gear
- fixed
- frame
- interlock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현장과 같은 실내의 작업장에서 천정이나 높은 벽면을 작업할때에 편리하고 안전하게 작업을 할수 있도록 하는 이동 작업이 용이한 승,하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작업장에서 천정이나 높은 벽면을 작업할때에는 자업자가 용이하게 작업을 하기 위하여 두께가 두꺼운 나무를 가로와 세로로 얼기설기하게 고정을 시킨 상태에서 그 위에 판넬을 고루게 깔아서 발판을 만들고, 만든 발판위에서 작업자가 떨어져서 사고가 나지 않도록 함으로서 작업자가 천정이나 높은 벽면을 완전히 작업을 하는데에는 불편한 점이 없으나, 작업이 완전히 끝난 상태에서 설치하였던 발판을 제거하여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건설현장과 같은 많은 현장에서는 실내공간마다 발판을 설치하여야만 함으로 작업이 지연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조립식 발판을 사용하여 작업현장에서 각각의 조립구조물을 6면체 형상으로 조립을 하고 그 위에 판넬을 깔아서 발판으로 사용을 하고는 있으나 조립식 발판이 파이프로 이루어져 있어 조립된 부분이 이격이 되어 조립식발판이 무너져서 발판위에서 작업을 하던 인부가 떨어져서 다치게 되는 등이 빈번하였었다.
본 발명은 'ㄴ'자 형태의 프레임의 일측으로 승,하강할수 있는 승,하강판을 설치하는 승,하강기를 형성하여 작업자가 승,하강판상에서 승,하강판을 자유로이 승,하강을 시킬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승,하강판위에서 작업을 할수 있도록 함으로작업을 하는데 편리하고 안전하게 작업을 할수 있고, 승,하강기의 이동을 작업자가 승,하강판위에서 전,후와 회전을 시킬수 있도록 함으로 실내에서 이동을 하면서 편리하게 작업을 할수 있도록 하며, 부피를 작고 무게를 적게 형성하여 작업자가 용이하게 다룰수 있도록 함으로 작업시간을 단축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설현장과 같은 실내의 작업장에서 천정이나 높은 벽면을 작업할때에 편리하고 안전하게 작업을 할수 있도록 하는 이동 작업이 용이한 승,하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작업장에서 천정이나 높은 벽면을 작업할때에는 자업자가 용이하게 작업을 하기 위하여 두께가 두꺼운 나무를 가로와 세로로 얼기설기하게 고정을 시킨 상태에서 그 위에 판넬을 고루게 깔아서 발판을 만들고, 만든 발판위에서 작업자가 떨어져서 사고가 나지 않도록 함으로서 작업자가 천정이나 높은 벽면을 완전히 작업을 하는데에는 불편한 점이 없으나, 작업이 완전히 끝난 상태에서설치하였던 발판을 제거하여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건설현장과 같은 많은 현장에서는 실내공간마다 발판을 설치하여야만 함으로 작업이 지연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조립식 발판을 사용하여 작업현장에서 각각의 조립구조물을 6면체 형상으로 조립을 하고 그 위에 판넬을 깔아서 발판으로 사용을 하고는 있으나 조립식 발판이 파이프로 이루어져 있어 조립된 부분이 이격이 되어 조립식발판이 무너져서 발판위에서 작업을 하던 인부가 떨어져서 다치게 되는 등이 빈번하였었고, 천장을 작업하기 위하여 이동하기 편리한 'V'자형 사다리를 사용하여 작업을 하고있는 실정이나 이 또한 사다리의 특성상 발로 디디고 있는 부분이 파이프의 형태로 되어 있어 작업자가 불안한 상태에서 작업을 하게 됨으로 작업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으며, 작업위치를 바꾸고자 할 때에는 사다리에서 내려온 상태에서 사다리를 작업하고자 하는 위치로 옮기고 다시 사다리위로 올라가 작업을 하여야만 하는 등의 불편함과 각종 작업공구를 사다리 위에 비취를 할수 없음으로 작업자의 허리부분에 별도의 공구결착밴드로서 착용을 하여야만 함으로 작업자가 거동이 불편하게 되어 작업을 하는데 장애를 받게 되는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과일을 재배하거나 대형의 재배하우스내에서 사람의 키보다 큰 작물을 재배함에 있어 사람의 키보다 높은곳을 작업하고자 할 때에는 별도의 발판이 없음으로 사다리를 사용하거나 과일이나 특용작물을 담기위한 박스를 바닥에 놓고 그 위에 올라가서 작업을 하여야만 하는등의 불편함이 있었고, 사다리나 박스를 사용하여 그 위에서 작업을 하게 됨으로 수확하는 과일이나 특용작물을 담아서 옮기기위해서는 작업자의 몸에 부착을 할수 있는 별도의 바구니를 사용하여 1차적으로 바구니에 수확한 과일이나 특용작물을 담은 상태로 작업을 함으로서 작업자의 거동이 불편하였었으며, 바구니에 과일이나 특용작물이 차이면은 일정한 장소까지 와서 별도의 포장상자에 옮겨담아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음과 동시에, 과일이나 특용작물을 옮겨담는과정에서 옮겨담는 과일이나 특용작물에 손상을 입혀서 상품의 가치를 떨어트리게 되고, 이와 같은 여러번의 작업을 나누어서 하게 됨으로서 작업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ㄴ'자 형태의 프레임의 일측으로 승,하강할수 있는 승,하강판을 설치하는 승,하강기를 형성하여 작업자가 승,하강판상에서 승,하강판을 자유로이 승,하강을 시킬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승,하강판위에서 작업을 할수 있도록 함으로 작업을 하는데 편리하고 안전하게 작업을 할수 있고, 승,하강기의 이동을 작업자가 승,하강판위에서 전,후와 회전을 시킬수 있도록 함으로 실내에서 이동을 하면서 편리하게 작업을 할수 있도록 하며, 부피를 작고 무게를 적게 형성하여 작업자가 용이하게 다룰수 있도록 함으로 작업시간을 단축하도록 함과 동시에, 승,하강판의 위에 작업자가 사용을 하기 위한 작업도구를 올려놓고 사용을 할수 있도록 하여 작업을 하는데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데 주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구동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구동장치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발취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구동장치의 구동관계를 평면에서 바라본 상태의 횡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요부인 감속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감속장치인 클러치부분을 나타내는 일부절결발취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감속장치인 클러치부분이 접한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감속장치인 클러치부분이 이격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요부인 구동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요부인 구동부의 체인의 발취사시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보조다리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2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구동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3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인 구동장치를 나타내는 계략도.
도 14 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인 구동장치를 나타내는 계략도.
도 15 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인 변환장치를 나타내는 발취분해사시도.
도 16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인 변환장치의 승,하강판를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7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인 변환장치 승,하강판를 작동하는 상태를평면에서 바라본 상태의 횡단면도.
도 18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인 변환장치의 승하강기를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9 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인 변환장치의 승하강기를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상태를 평면에서 바라본 횡단면도.
도 20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인 도 18 과 도 19 의 변환장치작동으로 양측바퀴가 상호 다른 방향으로 작동하여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상태의 평면도.
도 21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인 변환장치의 승하강기를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22 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인 변환장치의 승하강기를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상태를 평면에서 바라본 횡단면도.
도 23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인 도 21 과 도 22 의 변환장치작동으로 일측바퀴가 작동하여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상태의 평면도.
도 24 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인 변환장치의 승하강기를 전,후진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25 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인 변환장치의 승하강기를 전,후진하는 상태를 평면에서 바라본 횡단면도.
도 26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인 도 24 와 도 25 의 변환장치작동으로 양측바퀴가 동일방향으로 구동하여 전,후진하는 상태의 평면도.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하부프레임 2) 승,하강판 3) 구동장치 4) 감속장치
5)6) 기둥프레임 7)8) 평기어 11)12) 가로프레임 15) 보조다리
21)22) 연장프레임 27)28) 체인기어 29) 체인 129) 걸림돌기
31) 구동기어박스 60) 변환장치
도 1 내지 도 10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프레임(11,12)과 세로프레임(17,18)을 각각 사각형상이 이루어지도록 하부에 고무판(16)을 설치한보조다리(15)를 갖는 연결편(13)으로 고정설치하는 하부프레임(1)과;
정면측으로 각각 평기어(7,8)를 고정설치하고, 상부측을 상호 결합고정하는 가로대(9)를 형성하며, 하부측이 상기 하부프레임(1)의 연결편(13)에 고정설치하는 기둥프레임(5,6)과;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프레임(121)의 배면 양측으로 상기 기둥프레임(5,6)에 내접하고 , 상기 기둥프레임(5,6)의 배면에 접하여 구동하는 로울러(23,24)를 고정설치하는 한쌍의 연장프레임(21,22)을 일체로 형성하는 승,하강판(2)과;
동축인 회전축(37)에 일방향베어링(135,136)을 설치하는 한쌍의 피니언기어(35,36)에 형성한 걸림돌기(235,236)에 일측이 결합고정되는 스프링(38,138)에 탄지설치하고, 상부측으로 로울러(133,134)를 갖는 한쌍의 랙기어(33,34)가 상기 피니언기어(35,36)에 각각 외접하는 형태로 기어박스(39)내에 설치하는 구동기어박스(31)가 상기 승,하강판(2)의 프레밍(121) 배면하부측에 고정설치하며, 구동기어박스(31)의 상부측으로 일측이 상기 연장프레임(21,22)에 각각 고정설치되어 있는 페달(31,32)에 의해 랙기어(33,34)가 승,하강하도록 작동하는 구동장치(3)와;
가요성축(81)의 일측이 상기 구동기어박스(31)의 회전축(37)에 고정설치하고 타측이 입력축(41)에 고정설치하며, 중앙 양측으로 출력축(147)이 인출되어 있는 감속장치(4)와;
상기 감속장치(4)의 출력축(147)에 결합고정하는 회전축(25,26)의 일측으로 상기 평기어(7,8)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체인기어(27)를 설치하고, 그 하부로 각각연동하는 체인기어(28)를 상기 연장프레임(21,22)에 고정설치하며, 상기 체인기어(27,28)의 외주연으로 설치하고 상기 평기어(7,8)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돌기(129)를 갖는 체인(29)으로 이루어져 승,하강기(100)를 구성한다.
즉 상기 감속장치(4)는 양측으로 상기 회전축(25,26)와 연결설치할수 있고, 일측으로 연동기어(146)를 고정설치하는 출력축(147)과;
상기 출력축(147)의 연동기어(146)일측 외주연에 회동하도록 결합고정하고, 일측에 고정볼트(44)를 나사결합고정하는 일측외주연에 9열숫나사(43)를 형성하는 축관(42)과;
상기 축관(42)의 외주연에 형성한 9열숫나사(43)와 결합하는 9열암나사(245)를 중앙으로 형성하고, 일측으로 마찰력이 강한 디스크판(46)을 고정설치하는 연동기어(45)와;
상기 축관(42)의 외주연 일측으로 고정설치하고 일측에 연동기어(142)를 고정설치하는 타측으로 일측면에 디스크판(48)을 고정설치하는 연동판(49)과;
상기 연동판(49)의 외주연과 디스크판(46)과 디스크판(48)의 사이에 접하고, 스톱퍼(148)에 걸리도록 하며, 일측방향으로만 회동하도록 하는 스톱퍼기어(47)와;
상기 출력축(147)의 일측으로 설치되고, 가용성축(81)의 일측을 결합고정하는 타측으로 상기 연동기어(142)와 연동기어(146)를 동시에 치차물림하는 연동기어(143)를 회동가능하도록 설치하며, 타측으로 상기 연동기어(45)와 치차물림하는 구동기어(141)를 고정설치하는 입력축(41)과;
상기 연동기어(142)와 연동기어(146)를 동시에 치차물림하는 연동기어(144)를 회동이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고정축(145)을 상기 출력축(147)에 대하여 상기 입력축(41)의 타측방향으로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서 도 1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프레임(1)의 가로프레임(11,12) 양측으로 고정설치하는 연결편(13)에 가로로 관통형성하는 가이드공(14)과 내측으로 상기 가로프레임(11,12) 내측으로 결합하도록 하는 걸림턱(113)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공(14)에 결합하여 슬라이드 인,입출이 가능한 일측으로 상기 걸림턱(113)에 걸리도록 하는 플랜지(119)를 형성하는 연장프레임(19)의 타측으로 하부에 360°회전하는 회전바퀴(120)를 하부에 고정설치하는 보조다리(15)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서 도 1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하강판(2)의 프레임(121)의 배면상부측으로 고정설치하고 상기 감속장치(4)의 입력축(41)에 고정설치하는 가요성축(81)의 타측이 결합고정하는 핸들(5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로서 도 1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유탱크(54)에서 유압유를 펌핑하고 별도의 동력으로 구동하는 유압펌프(53)를 형성하고, 상기 유압펌프(53)에서 펌핑된 유압유를 단속하는 작동레버(52)를 설치하며, 상기 작동레버(52)에서 단속하여 유입되는 유압유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유압모우터(51)의 일측인 출력축에 상기 감속장치(4)의 입력축(41)에 고정설치하는 가요성축(81)의 일측을 고정설치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로서 도 1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에 연결설치하여 전원을 단속하는 온/오프스위치(59)와 정회전버튼(57) 및 역회전버튼(58)을 갖는콘트롤박스(56)를 설치하고, 콘트롤박스(56)에 의해 정회전과 역회전을 하도록 하는 정,역모우터(55)의 회전축에 상기 감속장치(4)의 입력축(41)에 고정설치하는 가요성축(81)을 고정설치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로서 도 15 내지 도 2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프트축(68)에 결합하여 변환레버(69)에 의해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시프트포크(168)가 일측으로 결합하는 주축기어(63)의 중앙 내측으로 스플라인(163)을 형성하고, 상기 스플라인(163)이 결합하는 스플라인(162)을 외주연으로 형성하는 주축(62)과;
상기 주축(62)의 좌측 상부 부분에 설치하고, 상기 주축기어(63)와 치차물림이 가능하고 넓이가 넓은 구동기어(165)를 고정설치하는 우바퀴출력축(65)과;
상기 주축(62)의 좌측 하부 부분에 설치하고, 상기 주축기어(63)와 치차물림이 가능하고 넓이가 동일한 구동기어(266)와 구동기어(166)를 고정설치하는 좌바퀴출력축(66)과;
상기 주축(62)의 하부에 설치하고, 상기 구동기어(166)와 일측부분이 치차물림되어 있으며, 타측부분이 주축기어(63)와 치차물림이 가능하도록 공전축(67)에 고정설치하는 공전기어(167)와;
상기 주축(62)의 우측에 설치하고 상기 주축기어(63)와 치차물림이 가능하도록 구동기어(164)를 고정설치하는 승,하강출력축(64)과;
상기 주축(63)과 좌,우바퀴출력축(65,66), 공전축(67) 및 승,하강출력축(64)을 기어박스(61)내에 설치하여 변환장치(60)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프레임(1)의 세로프레임(17,18)의 중간부분에 상호 연결하는 가로프레임(70)을 형성하고, 세로프레임(17,18)과 가로프레임(70)의 하부 양측으로 상기 좌,우바퀴출력축(65,66)과를 가요성축(83,84)으로 연결설치하는 좌,우측바퀴(71,72)를 설치며, 보조다리(15)의 하부측으로 각각 회전바퀴(120)를 설치하여 구성한다.
또한 승하강판(2)의 배면하부 양측으로 형성한 회전축(25,26)에 드럼을 고정설치하고, 기둥프레임(5,6)의 상부측에 와이어의 일측끝을 고정설치하며, 와이어의 타측끝을 상기 회전축(25,26)에 고정설치하는 드럼에 고정설치하여 승,하강판(2)을 승,하강시킬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기둥프레임(5,6)의 중간부분을 절단하고 이의 절단된 부분의 배면측에 경첩을 고정설치하여 기둥프레임(5,6)을 절첩할수도 있고, 기둥프레임(5,6)을 상부로 연속적으로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연결설치를 할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본 발명의 작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하부프레임(1)과 승,하강판(2)의 넓이가 사방 1M2의 넓이로 형성을 하고, 기둥프레임(5,6)의 높이를 약 2M의 높이로 형성을 하며, 재질은 무게가 가벼운 알루미늄재질로 형성을 함으로 자업자가 용이하게 이동설치를 할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어 있는 본 발명인 승,하강기(100)를 작업하고자 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작업도구를 승,하강판(2)의 상부에 올려놓고, 작업자가 승,하강판(2)의 상부에 올라선 상태에서 발을 사용하여 페달(32,132)을 밟으면 승,하강판(2)이 기둥프레임(5,6)의 평기어(7,8)를 타고 상승 및 하강을 하게 된다.
즉 승,하강판(2)의 배면에 설치한 페달(132)을 밟으면 페달(132)의 중간 부분이 구동기어박스(31)의 상부로 돌출이 되어 있는 랙기어(33)의 상부측인 로울러(133)부분을 누르게 됨으로서 랙기어(33)가 하강을 하게 되는데 랙기어(33)와 치차물림한 피니언기어(35)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며, 이때에 일방향베어링은 록크상태가 되어 회전축(37)을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을 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페달(132)을 밟으면 회전축(37)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을 하게되고, 페달(31)을 놓으면 피니언기어(35)를 탄지하고 있던 스프링(138)의 탄지력에 의해 피니언기어(35)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시키게 되는데 이때에 일방향베어링(135)은 록크상태가 해제가 됨으로 회전축(37)은 정지한 상태에서 피니언기어(35)만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됨으로서 피니언기어(35)와 치차물림한 랙기어(33)가 상승을 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페달(132)을 연속적으로 밟음으로서 회전축(37)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얻은 회전구동력은 가용성축(81)을 통하여 감속장치(4)의 입력축(41)을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을 시키게 되고. 입력축(41)에 고정설치된 구동기어(141)와 치차물림한 연동기어(4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는데 이때에 연동기어(45)의 회전력에 의해 축관(42)의 외주연에 형성한 9열숫나사(43)에 의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동판(49)축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견고히 접하게 됨으로서 연동기어(45)와 디스크판(46,48), 스톱퍼기어(47) 및 연동판(49)이 상호 견고히 접하게 된다.
그러므로 연동기어(45), 스톱퍼기어(47), 연동판(49), 연동기어(142), 축관(42)이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고, 연동기어(142)에 치차물림한 양측의 연동기어(143,144)가 모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며, 연동기어(143,144)와 치차물림한 연동기어(146)는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됨으로서 연동기어(146)를 고정설치한 출력축(147)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감속장치(4)의 출력축으로부터 얻게 되는 동력은 출력축(147)과 일직선상으로 고정설치한 회전축(25,26)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됨으로서 회전축(25,26)의 일측 끝에 고정설치한 체인기어(27)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면서 체인기어(28)와 체인(29)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시키게 되고, 체인(29)의 일측으로 형성한 걸림돌기(129)가 기둥프레임(5,6)의 전방으로 고정설치한 평기어(7,8)에 걸리어 회전을 하게 됨으로 승,하강판(2)이 상승을 하게된다.
이때에 승,하강판(2)의 자체 무게에 의해 역회전을 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감속장치(4)내에 설치되어 있는 스톱퍼(148)에 의해 스톱퍼기어(47)가 항상 시계방향으로만 회전을 할수 있도록 함으로 축관(42)이 역회전을 하게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 승,하강판(2)이 떨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작용을 함에 있어 감속장치(4)내에서는 구동기어(141)와 연동기어(45)간에 상호 1차적으로 회전력을 감소시키게 되고, 연동기어(142)와 연동기어(143,144)에 의해 2차적으로 회전력을 감소시키게 되며, 연동기어(143,144)와 연동기어(146)에 의해 3차적으로 회전력을 감소시키게 됨으로 페달(132)을 밟는 힘이 약하게 이루어지더라도 승,하강판(2)의 무게에 큰 영향을받지않는 상태에서 승,하강판(2)을 상승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승,하강판(2)을 상승시킨 상태에서 승,하강판(2)을 하강시키고자 할 때에는 타측의 페달(32)을 밟으면 페달(32)에 의해 랙기어(34)가 하강을 하게 되고, 랙기어(34)와 치차물림한 피니언기어(36)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며, 이때에 일방향베어링(136)은 록크상태가 되어 회전축(37)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페달(32)을 밟으면 회전축(27)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고, 페달(32)을 놓으면 스프링(38)의 탄지력에 의해 피니언기어(36)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때의 일방향 베어린(136)은 록크상태가 해제되어 회전축(37)은 정지된 상태에서 피니언기어(36)만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며, 피니언 기어(36)와 치차물림되어 있는 랙기어(34)는 피니언기어(36)의 회전력에 의해 상승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얻은 회전력은 가요성축(81)에 의해 입력축(41)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시키게 됨으로서 입력축(41)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구동기어(141)와 치차물림되어 있는 연동기어(45)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고, 이때에 연동기어(45)의 회전력으로 인하여 9열숫나사(43)와 9열 암나사(44)에 의해 스톱퍼기어(47)로부터 이격됨이 도 8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되며, 승,하강판(2)의 자체무게에 의해 연동기어(45)의 회전력보다 축관(42)의 회전력이 빠르게 회전을 하게 될 때에는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가 됨으로 스톱퍼(148)와 스톱퍼기어(47)의 작동으로 안전하게 된다.
이때에 연동기어(45)가 스톱퍼기어(47)로부터 이격이 됨으로 스톱퍼기어(47) 또한 연동판(49)으로부터 이격이 되어 록크상태를 해제하게 되고, 연동기어(45)의 시계방향으로의 회전력으로 인하여 출력축(147)으로 감속되어진 회전력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체인기어(27,28)와 체인(29)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을 하여 승,하강판(2)이 안전하게 하강을 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서 도 1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다리(15)와 가로프레임(11,12)간을 연장프레임(19)으로 연결설치함으로서 보조다리(15)를 외측으로 당기면 연장프레임(19)이 인출이 되고, 일정한 길이만큼 인출이 되면 연장프레임(19)의 일측에 형성한 플랜지(119)가 연결편(13)의 걸림턱(113)에 걸리게 되어 더 이상 인출이 되지 않게 되며, 이와 같이 보조다리(15)를 외측으로 인출을 시켜 놓음으로 승,하강승강기(100)가 무게의 균형을 잃어서 넘어지게 되는 방지하게 됨으로 승,하강판(2)의 상부에서 작업을 하게 되는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을 할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서 도 1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장치(3)를 핸들(50)로 형성하여 구동력을 손으로 회전을 시키도록 함으로 승,하강판(2)이 상승이나 하강을 하게 되는 속도를 가중시키게 할수 있음으로 짧은 시간에 승,하강판(2)을 작동완료시킴으로서 작업시간을 단축시킬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로서 도 1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과수원과 같은 장소에서 작업을 할시나 실내의 전기가 인가되는 장소에서 작업을 할시에 유압펌프(53)의 동력을 경운기나 트랙터 또는 전기모우터로서 구동력을 얻어 유압펌프(53)를 가동시킬수 있음으로 작동레버(52)에 의해 유압모우터(51)의 구동력을 정회전과 역회전을 손쉽게 할수 있음으로 작업자가 승,하강판(2)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간편하게 조작을 할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로서 도 1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가 인가되는 장소에서 설치가 간편하면서도 조작 및 작동을 편리하게 할수 있도록 콘트롤박스(56)의 정회전버튼(57)과 역회전버튼(58)을 사용하여 정,역모우터(55)의 회전력을 단속하여 승,하강기(100)의 승,하강판(2)을 손쉽게 상승 및 하강을 시킬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로서 도 15 내지 도 2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1)의 세로프레임(17,18) 중간부분에 상호 연결되도록 가로프레임(70)을 고정형성하고, 세로프레임(17,18)과 가로프레임(70)의 양측 하부에 좌,우측바퀴(71,72)를 설치하며, 변환장치(60)를 승,하강판(2)의 일측하부에 설치고정함과 동시에 주축(62)은 상기 구동장치(3)와 가요성축(81)으로 연결설치를 하고, 승,하강출력축(64)은 감속장치(4)의 입력축(41)과가요성축(82)으로 연결설치를 하며, 우바퀴출력축(65)은 하부프레임(1)에 설치한 우측바퀴(72)와 연결시킴과 동시에 좌바퀴출력축(66)은 하부프레임(1)에 형성한 좌측바퀴(71)에 연결시키면 된다.
이와 같이 연결시킨 상태에서 변환장치(60)의 변환레버(69)를 당기어 1단계의 위치에 놓으면 시프트축(68)상에서 시프트포크(168)가 배면측으로 완전히 이동을 하여 주축기어(63)를 구동기어(164)와 치차물림하도록 함으로서 구동장치(3)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이 주축(62)과 주축기어(63) 및 구동기어(164)와 승,하강출력축(64)을 통하여 구동력이 전달됨이 도 16 내지 도 17 에 도시한 바와같이 되고, 승,하강출력축(64)으로 전달된 구동력이 가요성축(82)을 통하여 감속장치(4)의 입력축(41)으로 전달이 됨으로서 승,하승강기(100)의 승,하강판(2)이 상승 또는 하강을 하게 된다.
변환레버(69)를 배면측으로 밀어서 2단계의 위치에 놓으면 주축(62)의 주축기어(63)가 어떠한 구동기어(164,165,166,266)에도 상호 치차물림을 하지 않는 상태인 중립의 상태가 됨으로 구동장치(3)로부터 전달밭은 구동력을 어떠한 출력축으로도 출력을 시킬수 없음으로 모든 작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변환레버(69)를 배면측으로 3단계 밀면 시프트축(68)상에서 시프트포크(168)가 전방측으로 3단계 이동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주축(62)상에 결합되어 있는 주축기어(63)가 구동기어(165)의 배면측과 구동기어(266)에 치차물림하게 됨으로서 구동장치(3)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이 주축(62)과 주축기어(63)를 통하여 구동기어(165,266)에 전달이 되어 상호 같은 방향으로 구동함이 도 18 내지 도 19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됨으로서 좌,우바퀴출력축(65,66)이 구동을 하게 됨으로 하부프레임(1)에 설치되어 있는 좌,우측바퀴(71,72)에 구동력이 가요성축(83,84)으로 전달이 됨으로서 좌,우측바퀴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을 하여 승,하강승강기(100)가 제자리에서 사방의 보조다리(15)간의 중심점을 중심으로하여 360°회전을 하게 되어 승,하강 승강기(100)의 방향을 바꿀수 있게 됨이 도 20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된다.
변환레버(69)를 배면측으로 4단계 밀면 시프트축(68)상에서 시프트포크(168)가 전방측으로 4단계 이동을 하게 됨으로 주축기어(63) 또한 주축(62)상에서 전방측으로 이동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주축기어(63)와 구동기어(165)만이 치차물림하게 됨으로서 구동장치(3)로부터 얻은 동력이 주축(62)과 주축기어(63)를 통하여 구동기어(165)로 전달이 되어 우바퀴출력축(65)이 구동하게 됨을 도 21 내지 도 22 에 도시한 바와 같게 되며, 우바퀴출력축(65)과 가요성축(83)으로 연결설치한 우측바퀴(72)만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하게 되어 좌측바퀴(71)를 중심으로 하여 승,하강승강기(100)가 360°회전을 하게 됨이 도 23 에 도시한 바와 같이된다.
변환레버(69)를 배면측으로 완전히 밀은 상태인 5단계의 위치로 놓으면 시프트축(68)상에서 시프트포크(168)가 전방측으로 이동을 하게 됨으로서 주축(62)의 주축기어(63)가 구동기어(165)의 전방측과 공전기어(167)의 배면측에 상호 치차물림을 하게 되고, 구동장치(3)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은 주축(62)과 주축기어(63)에 의해 구동기어(165)가 정회전을 할시에 구동기어(166)는 공전기어(167)와 치차물림을 하고 있음으로 구동기어(165)와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됨이 도 24 내지 도 25 에 도시한 바와 같으며, 좌,우바퀴출력축(65,66)에 전달받은 구동력은 가요성축(83,84)을 통하여 좌,우측바퀴(71,72)에 구동력을 전달하게 되는데 이때에 좌,우측바퀴(71,72)는 동일한 방향으로 구동을 하게 됨으로서 승,하강승강기(100)가 전진이나 후진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작용을 하는 본 발명의 다른예인 회전축(25,26)의 일측에 드럼을 설치고정하여 와이어의 일측끝을 상기 드럼에 고정을 시킴으로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릴수 있도록 하고, 와이어의 타측을 기둥프레임(5,6)의 상부측에 고정설치를 함으로서 와이어가 드럼에 감길시에는 승,하강판(2)이 상승을 하게 되고, 드럼으로부터 와이어가 풀릴시에는 승하강판(2)이 하강을하게 된다.
그리고 기둥프레임(5,6)의 중간부분을 절단하고, 절단된 배면측을 상호 절첩이 가능하도록 경첩으로 고정을 시킴으로 다른 장소로 이동시나 보관시에 부피를 최소로 할수도 있고, 기둥프레임(5,6)의 상부측으로 다른 기둥프레임(5,6)을 통상의 연결수단으로 연결하여 작업 위치의 높이에 맞추어서 승,하강승강기(100)의 높이를 조절할수도 있게 된다.
또한 승,하강승강기(100)를 양측으로 설치를 하고 그 사이에 발판을 설치하여 양측으로 왕복을 하면서 작업을 할수 있음으로 발판의 설치와 해체를 간편하게 할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 작용하는 본 발명은 작업하고자 하는 위치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동을 할수 있고, 작업장소인 승,하강판의 넓이가 넓어서 작업자가 불편함을 느끼지 않는 상태에서 작업을 할수 있음으로 작업자가 순조롭게 작업을 할수 있으며, 작업대를 간편하고 편리하게 이동이 가능함으로 작업대의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고, 승,하강판이 넓게 이루어져 있어 작업자가 사용을 하는 작업 도구를 올려놓고 사용을 할수 있어 작업자가 편리하게 작업을 할수 있는 매우 우수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0)
- 가로프레임(11,12)과 세로프레임(17,18)을 각각 사각형상이 이루어지도록 하부에 고무판(16)을 설치한 보조다리(15)를 갖는 연결편(13)으로 고정설치하는 하부프레임(1)과;정면측으로 각각 평기어(7,8)를 고정설치하고, 상부측을 상호 결합고정하는 가로대(9)를 형성하며, 하부측이 상기 하부프레임(1)의 연결편(13)에 고정설치하는 기둥프레임(5,6)과;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프레임(121)의 배면 양측으로 상기 기둥프레임(5,6)에 내접하고 , 상기 기둥프레임(5,6)의 배면에 접하여 구동하는 로울러(23,24)를 고정설치하는 한쌍의 연장프레임(21,22)을 일체로 형성하는 승,하강판(2)과;동축인 회전축(37)에 일방향베어링(135,136)을 설치하는 한쌍의 피니언기어(35,36)에 형성한 걸림돌기(235,236)에 일측이 결합고정되는 스프링(38,138)에 탄지설치하고, 상부측으로 로울러(133,134)를 갖는 한쌍의 랙기어(33,34)가 상기 피니언기어(35,36)에 각각 외접하는 형태로 기어박스(39)내에 설치하는 구동기어박스(31)가 상기 승,하강판(2)의 프레밍(121) 배면하부측에 고정설치하며, 구동기어박스(31)의 상부측으로 일측이 상기 연장프레임(21,22)에 각각 고정설치되어 있는 페달(31,32)에 의해 랙기어(33,34)가 승,하강하도록 작동하는 구동장치(3)와;가요성축(81)의 일측이 상기 구동기어박스(31)의 회전축(37)에 고정설치하고타측이 입력축(41)에 고정설치하며, 중앙 양측으로 출력축(147)이 인출되어 있는 감속장치(4)와;상기 감속장치(4)의 출력축(147)에 결합고정하는 회전축(25,26)의 일측으로 상기 평기어(7,8)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체인기어(27)를 설치하고, 그 하부로 각각 연동하는 체인기어(28)를 상기 연장프레임(21,22)에 고정설치하며, 상기 체인기어(27,28)의 외주연으로 설치하고 상기 평기어(7,8)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돌기(129)를 갖는 체인(29)으로 이루어져 승,하강기(100)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작업이 용이한 승,하강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감속장치를 형성함에 있어 양측으로 상기 회전축(25,26)와 연결설치할 수 있고, 일측으로 연동기어(146)를 고정설치하는 출력축(147)과;상기 출력축(147)의 연동기어(146)일측 외주연에 회동하도록 결합고정하고, 일측에 고정볼트(44)를 나사결합고정하는 일측외주연에 9열숫나사(43)를 형성하는 축관(42)과;상기 축관(42)의 외주연에 형성한 9열숫나사(43)와 결합하는 9열암나사(44)를 중앙으로 형성하고, 일측으로 마찰력이 강한 디스크판(46)을 고정설치하는 연동기어(45)와;상기 축관(42)의 외주연 일측으로 고정설치하고 일측에 연동기어(142)를 고정설치하는 타측으로 일측면에 디스크판(48)을 고정설치하는 연동판(49)과;상기 연동판(49)의 외주연과 디스크판(46)과 디스크판(48)의 사이에 접하고, 스톱퍼(148)에 걸리도록 하며, 일측방향으로만 회동하도록 하는 스톱퍼기어(47)와;상기 출력축(147)의 일측으로 설치되고, 가용성축(81)의 일측을 결합고정하는 타측으로 상기 연동기어(142)와 연동기어(146)를 동시에 치차물림하는 연동기어(143)를 회동가능하도록 설치하며, 타측으로 상기 연동기어(45)와 치차물림하는 구동기어(141)를 고정설치하는 입력축(41)과;상기 연동기어(142)와 연동기어(146)를 동시에 치차물림하는 연동기어(144)를 회동이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고정축(145)을 상기 출력축(147)에 대하여 상기 입력축(41)의 타측방향으로 설치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이 용이한 승,하강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승,하강기를 형성함에 있어 상기 하부프레임(1)의 가로프레임(11,12) 양측으로 고정설치하는 연결편(13)에 가로로 관통형성하는 가이드공(14)과 내측으로 상기 가로프레임(11,12) 내측으로 결합하도록 하는 걸림턱(113)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공(14)에 결합하여 슬라이드 인,입출이 가능한 일측으로 상기 걸림턱(113)에 걸리도록 하는 플랜지(119)를 형성하는 연장프레임(19)의 타측으로 하부에 360°회전하는 회전바퀴(120)를 하부에 고정설치하는 보조다리(15)로 이루어져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작업이 용이한 승,하강기.
- 제1항에 있어서, 승,하강판(2)을 얹는 프레임(121)의 배면측 상단에 가요성축(81)을 연결하여 상기 가요성축(81)의 일단은 감속장치(4)의 입력축(41)에 연결하고 타단에는 핸들(50)을 연결한 구동장치를 구비하여서되는 이동)작업이 용이한 승하강기.
- 제1항에 있어서, 유압펌프(53)의 작동레버(52)에 의하여 단속되는 유압에 따라 정.역회전하는 유압모우터(51)의 출력축에 가요성축(81)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가요성축(81)의 타단은 감속장치(4)의 입력축(41)에 연결한 구동장치를 구비하여서되는 이동작업이 용이한 승,하강기.
- 제 1 항에 있어서, 콘트롤박스(56)에 의하여 정여회전하는 정,역모우터(55)의 회전축에 감속장치(4)의 입력축(41)에 연결한 가요성축(81)을 연결한 구동장치를 구비하여서 되는 이동작업이 용이한 승,하강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승하강기를 형성함에 있어 승하강판(2)의 배면하부 양측으로 형성한 회전축(25,26)에 드럼을 고정설치하고, 기둥프레임(5,6)의 상부측에 와이어의 일측끝을 고정설치하며, 와이어의 타측끝을 상기 회전축(25,26)에 고정설치하는 드럼에 고정설치하여 승,하강판(2)을 승,하강시킬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작업이 용이한 승,하강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승,하강기를 형성함에 있어 기둥프레임(5,6)의 중간부분을 절단하고 이의 절단된 부분의 배면측에 경첩을 고정설치하여 기둥프레임(5,6)을 절첩할수도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작업이 용이한 승,하강기.
- 제 1 항에 있어서, 하부프레임(1)의 후방에 세워지는 기둥프레인(5)(6)을 상부로 연속적으로 연결 설치하도록 구성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작업이 용이한 승하강기.
-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승하강기를 형성함에 있어서, 시프트축(68)에 결합하여 변환레버(69)에의해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시프트포크(168)가 일측으로 결합하는 주축기어(63)의 중앙 내측으로 스플라인(163)을 형성하고, 상기 스플라인(163)이 결합하는 스플라인(162)을 외주연에 형성한 주축(62)과;상기 주축(62)의 좌측 상부 부분에 설치하고, 상기 주축기어(63)와 치차물림이 가능하고 넓이가 동일한 구동기어(266)와 구동기어(166)를 고정설치하는 좌바퀴출력축(66)과;상기 주축(62)의 하부에 설치하고, 상기 구동기어(166)와 일측부분이 치차물림되어 있으며, 차특부분이 주축기어(63)와 치차물림이 가능하도록 공전축(67)에 고정설치하는 공전기어(167)와;상기 주축(62)의 우측에 설치하고 상기 주축기어(63)와 치차물림이 가능하도록 구동기어(164)를 고정설치하는 승,하강출려축(64)과;상기 주축(63)과 좌,우바퀴출력축(65)(66), 공전축(67) 및 승,하강출력축(64)을 기어박스(61)내에 설치하여 변환장치(60)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프레임(1)의 세로프레임(17)(18)의 중간부분에 상호 연결하는 가로프레임(70)을 형성하며, 세로프레임(17)(18)과 가로프레임(70)의 하부 양측으로 상기 좌,우바퀴출력축(65)(66)과를 가요성축(83)(84)으로 연결설치하는 좌,우측바퀴(71)((72)를 설치하며, 보조다리 (15)의 하부측으로 각각 회전바퀴(120)를 설치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작업이 용이한 승,하강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23152A KR100342916B1 (ko) | 1999-06-19 | 1999-06-19 | 이동작업이 용이한 승,하강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23152A KR100342916B1 (ko) | 1999-06-19 | 1999-06-19 | 이동작업이 용이한 승,하강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73195A KR19990073195A (ko) | 1999-10-05 |
KR100342916B1 true KR100342916B1 (ko) | 2002-07-03 |
Family
ID=37488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23152A KR100342916B1 (ko) | 1999-06-19 | 1999-06-19 | 이동작업이 용이한 승,하강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34291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056487A (zh) * | 2020-01-13 | 2020-04-24 | 刘兆喜 | 一种可升降的物流推车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50378B1 (ko) * | 2001-02-16 | 2004-10-06 | (주)명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 이동 작업이 용이한 승,하강기 |
JP5538740B2 (ja) * | 2009-03-18 | 2014-07-02 | 光洋サーモシステム株式会社 | 熱処理装置 |
CN108527274A (zh) * | 2017-03-03 | 2018-09-14 | 国网山东省电力公司潍坊供电公司 | 手摇半自动式高压接地线装卸器辅助操作支架 |
CN106875748B (zh) * | 2017-03-16 | 2023-03-07 | 上海市城市建设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 人行横道智能防冲撞系统的控制方法 |
CN107863715B (zh) * | 2017-12-21 | 2024-02-23 |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衡水供电分公司 | 一种地线辅助安装工具 |
CN111021697A (zh) * | 2019-12-13 | 2020-04-17 | 河北工业职业技术学院 | 施工操作架 |
CN116923945B (zh) * | 2023-09-15 | 2023-11-17 | 山西中科华诺机械装备有限公司 | 用于物料存储的垂直升降库 |
CN118206044B (zh) * | 2024-05-22 | 2024-07-26 | 泰兴市贝特金属制品有限公司 | 一种物料输送升降机以及使用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202598A (ja) * | 1987-02-19 | 1988-08-22 | ソニー株式会社 | 作業台車 |
JPH01192698A (ja) * | 1988-01-25 | 1989-08-02 | Showa Eng:Kk | 簡易昇降台車 |
KR930004855Y1 (ko) * | 1988-04-09 | 1993-07-23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오실로스코프의 오토 셋 업 회로 |
JPH08301589A (ja) * | 1995-03-13 | 1996-11-19 | Focke & Co Gmbh & Co | 包装材のリールを収容し移送する装置 |
-
1999
- 1999-06-19 KR KR1019990023152A patent/KR10034291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202598A (ja) * | 1987-02-19 | 1988-08-22 | ソニー株式会社 | 作業台車 |
JPH01192698A (ja) * | 1988-01-25 | 1989-08-02 | Showa Eng:Kk | 簡易昇降台車 |
KR930004855Y1 (ko) * | 1988-04-09 | 1993-07-23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오실로스코프의 오토 셋 업 회로 |
JPH08301589A (ja) * | 1995-03-13 | 1996-11-19 | Focke & Co Gmbh & Co | 包装材のリールを収容し移送する装置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056487A (zh) * | 2020-01-13 | 2020-04-24 | 刘兆喜 | 一种可升降的物流推车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73195A (ko) | 1999-10-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342916B1 (ko) | 이동작업이 용이한 승,하강기 | |
JP3584317B2 (ja) | 高所作業用昇降移動装置 | |
US6981573B2 (en) | Scaffold lift system | |
KR102642460B1 (ko) | 신축형 사다리의 구동장치 | |
CN110043108B (zh) | 一种医疗康复设备 | |
CN110847579A (zh) | 一种建筑装饰用室内支撑架 | |
CN112978642B (zh) | 多功能高空作业辅助器 | |
CN213174695U (zh) | 一种降噪式建筑施工平台 | |
CN213311007U (zh) | 一种行星轮式结构助老爬楼梯轮椅 | |
JP2701199B2 (ja) | 昇降補助機 | |
KR20020067395A (ko) | 이동 작업이 용이한 승,하강기 | |
CN111973354A (zh) | 一种能辅助轮椅爬楼梯的动力驱动装置 | |
CN112357846A (zh) | 一种可自动安装外墙玻璃的升降设备 | |
CN217794162U (zh) | 一种拉线收卷机构 | |
JPS6332625Y2 (ko) | ||
CN215807372U (zh) | 一种基于城市高层建筑高空抛物的摄像机组件 | |
CN215485832U (zh) | T梁预制人员上下安全梯 | |
CN218149618U (zh) | 一种建筑施工用的升降平台 | |
CN219604809U (zh) | 一种建筑施工架 | |
CN112663923A (zh) | 一种移动式建筑搭架 | |
JPS621944Y2 (ko) | ||
CN2080959U (zh) | 升降式内脚手架 | |
CN220599126U (zh) | 一种房屋建筑安装工程用安全防护装置 | |
CN219298713U (zh) | 一种建筑施工架结构 | |
CN212201201U (zh) | 一种用于室内装饰的建筑平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