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0477B1 - 수지관 융착 접합시트 - Google Patents

수지관 융착 접합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0477B1
KR100340477B1 KR1019990023281A KR19990023281A KR100340477B1 KR 100340477 B1 KR100340477 B1 KR 100340477B1 KR 1019990023281 A KR1019990023281 A KR 1019990023281A KR 19990023281 A KR19990023281 A KR 19990023281A KR 100340477 B1 KR100340477 B1 KR 100340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esin
heating wires
bonding sheet
termina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3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3119A (ko
Inventor
김성만
Original Assignee
이문승
주식회사 삼정파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문승, 주식회사 삼정파인스 filed Critical 이문승
Priority to KR1019990023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0477B1/ko
Publication of KR20010003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3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0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04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3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 B29C65/340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 B29C65/34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comprising at least a single wire, e.g. in the form of a wi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50General aspects of joining tubular articles; General aspects of joining long products, i.e. bars or profiled element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1Joining tubular articles, profiled elements or bars;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4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shells, to form hollow articles, e.g. for making balls, containe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cylinders, to form tubular articles
    • B29C66/541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shells, to form hollow articles, e.g. for making balls, containe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cylinders, to form tubular articles a substantially flat extra element being placed between and clamped by the joined hollow-pre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24Pipe joints or coup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량이 작은 저가의 트랜스로도 접합이 가능하도록 하여 현장시공시 시공비를 절감하고, 또한 매쉬코일을 사용하지 않고 전열선을 직접 사용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수지관 융착 접합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수지판(40)의 내면 양측에 소정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여러가닥의 제1,2전열선(50)(51)들을 각각 증착하고, 상기 제1전열선(50)들의 일단을 각각 단자판(60)으로 연결하여 도통시키되 이 단자판(60)에 각각 연결단자(70)를 연결하며, 상기 양측 제2전열선(51)들의 일단을 단자판(61)으로 연결하여 도통시키고, 상기 제1,2전열선(50)(51)들의 타단을 단자판(62)으로 각각 연결하여 도통시키며, 상기 수지판(40)의 이면 타단중앙에 지수판(80)을 부착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지관 융착 접합시트{CEMENTATING SHEET FOR PLASTIC PIPE}
본 발명은 수지관 융착 접합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현장시공시시공비를 절감하며, 또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수지관 융착 접합시트에 관한 것이다.
수지관 융착 접합시트는 합성수지재인 하수관,배수관 등의 수지관을 서로 접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수지관의 연결부위에 접합시트를 감고 여기에 전기저항열을 인가시키므로서 2개의 수지관을 열융착을 통하여 접합시킨다.
도 1에서와 같이 전기저항열을 이용한 수지관의 전기적 융착 접합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수지판(1)에 전열코일을 배치하고 이 전열코일의 저항열에 의해 수지관(2)(3)을 서로 접합시키는 것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2개의 수지관(2)(3)을 맞댄 상태에서 경계면을 중심으로 수지관(2)(3)의 외주면에 수지판(1)을 감고, 상기 전열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트랜스(4)를 '온'시켜 전열코일에 전기저항열을 일정시간 동안 공급하면 전열코일의 발열에 의해 수지판(1)이 용융되어 수지관(2)(3)이 수지판(1)에 의해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기존에 알려진 수지관 융착 접합시트는 수지관에 한가닥의 전열선을 지그재그로 배열한 상태로 매입시켰기 때문에, 수지관 접합시 정전압 불안에 의한 일시적인 과전류가 공급될 경우 전열선의 일부에서 국부적인 단선이 발생되어 통전이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융착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96-7294호에서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평면의 수지판(10)과 상기 수지판(10)에 최소한 여러개의 코일을 가로세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교차되도록 고르게 배치한 매쉬코 일(20)을 수지판(10) 중앙과 가장자리에 소정의 공백부(11)(12)를 두고 증착시켜,과전류에 의한 부분적인 단선이 발생하여도 이웃하는 코일에 의해 통전을 보상하는 접합시트가 제공되었다. 이때, 매쉬코일(20)은 연결단자(30),리드와이어(31),단자판(32)의 배열을 통해 트랜스에 전기적으로 통전되도록 연결된다.
그러나, 이러한 수지관 융착 접합시트는 증착되는 열선코일의 이상적인 배열을 통해 수지관의 융착 안정도를 높여주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고유저항이 높은 재질의 매쉬코일(20)을 사용하였으나, 그 구조상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인해 시공시 매쉬코일(20)에 소모되는 전류가 커 전기를 공급하는 주변기기중 전류제어장치인 트랜스가 중량화되어 다루기 어렵고 운반이 불편하며 제작비용도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결과적으로 현장시공시 시공비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과 매쉬코일을 사용하므로 접합시트의 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시공시 용량이 큰 고가의 트랜스가 사용되므로 일반 가정용 전기로는 작업이 불가능하여 시공시 별도로 발전기를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용량이 작은 저가의 트랜스로도 접합이 가능하도록 하여 현장시공시 시공비를 절감하고, 또한 매쉬코일을 사용하지 않고 전열선을 직접 사용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수지관 융착 접합시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지판의 내면 양측에 소정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여러가닥의 전열선들을 평행하게 증착하되, 상기 양측 전열선들의 양단을 단자판으로 수가닥씩 교호로 연결하여 수가닥의 전열선들이 지그재그로 도통되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수지관 융착 접합시트의 융착 개요도.
도 2는 종래 접합시트의 구조를 보인 평면예시도.
도 3은 종래 접합시트에 의한 수지관의 이음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조를 보인 평면예시도.
도 5는 도 4의 저면예시도.
도 6은 도 4의 A - A선 확대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를 보인 평면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40 : 수지판 50 : 제1전열선
51 : 제2전열선 60,61,62 : 단자판
70 : 연결단자 80,81 : 지수판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수지관 융착 접합시트는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지판(40)의 내면 양측에 소정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여러가닥의 제1,2전열선(50)(51)들을 각각 증착하고, 상기 제1전열선(50)들의 일단을 각각 단자판(60)으로 연결하여 도통시키되 이 단자판(60)에 각각 연결단자(70)를 연결하며, 상기 양측 제2전열선(51)들의 일단을 단자판(61)으로 연결하여 도통시키고, 상기 제1,2전열선(50)(51)들의 타단을 단자판(62)으로 각각 연결하여 도통시키며, 상기 수지판(40)의 이면 타단중앙에 지수판(80)을 부착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지판(40)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평판형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수지판(40)은 전기저항열에 쉽게 융착되는 재질로 제작된다.
상기 여러가닥의 제1,2전열선(50)(51)들은 도 4에서와 같이 수지판(40)의 내면 양측으로 각각 평행하게 배열된 상태로 증착되기 때문에 수지판(40)의 중앙에는 공백부(41)가 형성된다.
상기 단자판(60)(61)(62)들은 도 4에서와 같이 각각 설치되어 양측 여러가닥의 제1,2전열선(50)(51)들을 지그재그로 도통시킨다.
상기 연결단자(70)에는 전기를 공급하는 트랜스가 전기적으로 통전되도록 연결된다.
상기 지수판(80)은 접합시 수지판(40)의 양단이 겹쳐지는 중앙부위를 기밀하게 밀폐시켜 이 부위로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서는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수지판(40)의 내면 타단중앙에도 지수판(81)을 부착하여 한층 더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8에서와 같이 연결하고자 하는 2개의 수지 관(90)(91)을 깨끗이 닦은 후, 양측 수지관(90)(91)을 맞댄 상태에서 경계면을 중심으로 수지관(90)(91)의 외주면에 수지판(40)을 감는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연결단자(70)와 단자판(60)을 통해 양측 제1전열 선(50)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트랜스를 '온'시켜 제1,2전열선(50)(51)에 전기저항열을 일정시간 동안 공급하면 제1,2전열선(50)(51)의 발열에 의해 수지 판(40)이 용융되어 수지관(90)(91)에 융착되면서 양측 수지관(90)(91)에 접합되므로, 2개의 수지관(90)(91)이 수지판(40)에 의해 기밀하게 연결된다.
이후 전기저항열의 공급을 중단하면 수지판(40)이 냉각되어 수지관(90)(91)의 접합이 완료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여러가닥의 제1,2전열선(50)(51)들이 수지판(40)의 내면 양측에 소정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증착되어 제1,2전열 선(50)(51)들의 양단이 단자판(60)(61)(62)들에 의해 교호로 연결되어 전기가 지그재그로 도통되기 때문에, 도 2와 도 3에 도시된 종래 접합시트에 비하여 저항이 커지고 전류는 낮아지므로 상대적으로 소모되는 전류가 적어져서 전기요금의 절감효과가 크며, 특히 전기를 공급하는 트랜스가 기존에 비하여 초경량화되어 다루기가 쉽고 운반이 용이하며 제작비용도 절감되는 장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현장시공시 시공비가 대폭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시공시 용량이 작은 저가의 트랜스가 사용되므로 일반 가정용 전기로도 작업이 가능하여 종래와 같이 시공시 별도로 발전기를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아울러 매쉬코일을 사용하지 않고 직접 전열선을 사용하기 때문에 접합시트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수지판(40)의 내면 양측에 각각 증착된 여러가닥의 제1,2전열선(50)(51)들이 단자판(60)(61)(62)에 각각 연결되어 도통되므로 과전류에 의해 국부적인 단선이 발생하여도 이웃하는 전열선에는 통전이 이루어지므로 전기융착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작용을 전기이론으로 뒷받침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오옴의 법칙에 의하면 I=V/R〔A〕(이하에서는 Ⅰ공식이라 함)임을 알수 있고, 주울의 법칙에 따르면 H=0.24 I²Rt〔㎈〕(이하에서는 Ⅱ공식이라 함)임을 알수 있으며, 한편 R=ρℓ/A〔Ω〕(이하에서는 Ⅲ공식이라 함)임을 알수 있다. 이때, I:전류, V:전압, R:저항, H:열량, t(시간), ρ:저항률, ℓ:길이, A:단면적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공식에 따라 도 2(종래의 접합시트)와 도 4(본 발명의 접합시트)를 비교할 때, 도 4는 도 2에 비해 단면적(A)이 적어지고 길이(ℓ)가 길어지므로 Ⅲ공식에 의해 본 발명의 접합시트는 저항(R)값이 높아지고 저항(R)값이 높아지므로 Ⅱ공식에 의해 결과적으로 열량(H)이 높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접합시트에 비해 열량(H)이 높아지기 때문에 융착시간이 단축됨과 동시에 저항(R)값이 높아지므로 Ⅰ공식에 의해 전류(I)값이 낮아진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류(I)값이 낮아지므로 트랜스 용량이 작아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지관 융착 접합시트는 용량이 작은 저가의 트랜스로도 접합이 가능하므로 현장시공시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매쉬코일을 사용하지 않고 전열선을 직접 사용하므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2)

  1. 수지판(40)의 내면 양측에 소정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여러가닥의 제1,2전열선(50)(51)들을 각각 증착하고, 상기 제1전열선(50)들의 일단을 각각 단자판(60)으로 연결하여 도통시키되 이 단자판(60)에 각각 연결단자(70)를 연결하며, 상기 양측 제2전열선(51)들의 일단을 단자판(61)으로 연결하여 도통시키고, 상기 제1,2전열선(50)(51)들의 타단을 단자판(62)으로 각각 연결하여 도통시키며, 상기 수지판(40)의 이면 타단중앙에 지수판(80)을 부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관 융착 접합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판(40)의 내면 타단중앙에도 지수판(81)을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관 융착 접합시트.
KR1019990023281A 1999-06-21 1999-06-21 수지관 융착 접합시트 KR100340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3281A KR100340477B1 (ko) 1999-06-21 1999-06-21 수지관 융착 접합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3281A KR100340477B1 (ko) 1999-06-21 1999-06-21 수지관 융착 접합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3119A KR20010003119A (ko) 2001-01-15
KR100340477B1 true KR100340477B1 (ko) 2002-06-12

Family

ID=19593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3281A KR100340477B1 (ko) 1999-06-21 1999-06-21 수지관 융착 접합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047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3119A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75203A (en) Method and woven mesh heater comprising insulated and noninsulated wire for fusion welding of plastic pieces
CN104010758B (zh) 具有多点接触的大电流变压器、变压器元件、接触板和次级绕组以及用于制造这种大电流变压器的方法
CN207691541U (zh) 一种扫地机充电系统、无线充电扫地机以及无线充电座
CN107534119A (zh) 具有改进的用于单元连接器元件的焊接技术的蓄电池组件
CN107426835A (zh) 加热装置
CN104025441B (zh) 同步整流器
CN104023895B (zh) 电源以及用于冷却这种电源的方法
KR200182485Y1 (ko) 수지관 융착 접합시트
KR100340477B1 (ko) 수지관 융착 접합시트
CA1184105A (en) Method for covering a pipe or cable with heat- shrinkable material
KR200182468Y1 (ko) 수지관 융착 접합시트
CN103441156A (zh) 一种太阳能电池组件及其太阳能电池片
CN203857154U (zh) 一种电热熔承插钢带增强聚乙烯螺旋波纹管的连接结构
KR200346553Y1 (ko) 저자계 면상 발열체
CN207217308U (zh) 一种感应加热用的谐振电容组
KR19990012687U (ko) 수지관 융착 접합시트
CN211090001U (zh) 一种叠片式组合加热芯体
CN201655507U (zh) 变压器的绕组结构
JPH0828094A (ja) 屋根用融雪シート
KR200253863Y1 (ko) 수지관 열융착 접합시트
KR19990007858U (ko) 수지관 융착용 접합구조
CN215345123U (zh) 新型机车电加热玻璃
CN210667946U (zh) 一种具有较高精度的大功率电阻器
CN219740626U (zh) 一种双电阻陶瓷发热芯
CN216015374U (zh) 一种电池串连接件及光伏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