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0009B1 - 소음기 - Google Patents

소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0009B1
KR100340009B1 KR1019990054425A KR19990054425A KR100340009B1 KR 100340009 B1 KR100340009 B1 KR 100340009B1 KR 1019990054425 A KR1019990054425 A KR 1019990054425A KR 19990054425 A KR19990054425 A KR 19990054425A KR 100340009 B1 KR100340009 B1 KR 100340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absorbing material
sound absorbing
casing
silen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4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3877A (ko
Inventor
김유일
Original Assignee
김유일
주식회사 유일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일, 주식회사 유일산업 filed Critical 김유일
Priority to KR1019990054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0009B1/ko
Priority to KR2019990026888U priority patent/KR200180896Y1/ko
Publication of KR20010053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3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0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00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2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reson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6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interference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8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 F01N1/082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the gases passing through porous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8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 F01N1/1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in combination with sound-absorbing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40/00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 F01N2240/20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a flow director or defl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음기에 관한 것으로, 공기조화 설비 및 냉,난방등을 목적으로 유체를 이동시키는 덕트(50) 사이에 설치되어, 유체의 이동시 발생되는 소음을 감쇠시킬 수 있도록,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형성되며, 몸체 내측으로는 공간부(11)가 형성된 케이싱(10)과, 상기 케이싱(10)의 내측부로 소정의 두께를 갖고 설치되어 유체 이동시 발생되는 소음을 흡입하여 감쇠시키는 흡음재(20)와, 상기 케이싱(10)의 내측에 설치된 흡음재(20)의 내부에서 흡음재(20)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되며, 몸체 중앙부로는 유체 이동홈(31)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몸체 외주면에는 소정의 배열로 다수개의 타공홈(32)이 구비되는 공명관(30)으로 구성되므로, 유체가 덕트(50)의 내부에서 이동되면서 발생되는 소음을 공명효과와 간섭효과에 의해 흡입 및 감쇠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품성 및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소음기 {Improved muffler}
본 발명은 소음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소음기 내부에 공명판을 형성하여, 덕트등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공명효과로 흡입,감쇠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현장등에서 각종 작업과정 중 발생되는 기체성분을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건물등으로 냉,난방과 공기를 정화시켜 공급 및 배출시키는 공기조화 시스템에서는 덕트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소음은 공기 조화 설비에 있어서 냉동기, 보일러, 펌프, 보일러, 냉각탑 등의 기기류에서 발생되는 소음과, 덕트내, 배출구, 흡입구 등의 기류에 따라 발생하는 소음이나 배관내의 유동에 따라 소음이 발생되고 있다.
한편, 상기 덕트등과 같이 유체를 외부로 배출 및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감쇠시키기 위해서는 소음기가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소음기(A)의 구성은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형성되며, 몸체 내부는 관통되게 형성된 케이싱(C)과, 상기 케이싱(C)의 내부 외측단부면에 설치되어, 유체가 이동되면서 발생되는 소음을 감쇠시키는 흡음재(G)와, 상기 케이싱(C)의 내측 중앙부 및 외측으로 설치되어 유체가 이동되면서 발생되는 와류를 방지하는 스프리터(S)로 크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소음기(A)는 케이싱(C)의 내부 외측단부면에 설치된 흡음재(G)에 의해 유체가 이동하면서, 발생되는 소음을 흡입하여, 감쇠시킬 수 있는 것이며, 또한, 유체 이동시 와류현상으로 인해 발생되는 소음은 스프리터(S)를 이용하여 와류발생을 차단하여 소음을 저감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덕트에 설치되어 소음을 감소시키는 소음기는 그 사용용도(공기조화 시스템, 산업용 특수환기 시스템등)에 따라 그 크기와 형상 그리고, 내부 구조는 상황에 맞게 설정하여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소음기는 고주파대역의 소음에 대해서는 소음을 감쇠시킬 수 있으나, 저주파대역의 소음을 감쇠량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케이싱의 내부로 다수개의 스프리터가 형성되므로, 유체가 이동되면서, 스프리터와 접촉으로 인해 유체를 이송시키는 송풍압력 및 흡입력이 상승되어 기계에 손상이 발생되고, 전력의 낭비가 심한 폐단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소음기는 비교적 내부 구성품이 여러 공정을 거쳐 완성되므로, 제작이 기간이 증대되어, 생상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음기 내부에 공명판을 형성하여, 덕트등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공명효과로 흡입,감쇠시킬 수 있도록 한 소음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체의 이동시 발생되는 압력손실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소음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주파 대역의 감음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소음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소음기가 덕트구조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인 소음기가 덕트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반단면도.
도 3 (A) (B)는 본 발명인 소음기의 내부 형상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및 측면도.
도 4 (A)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및 측면도.
도 5 ∼ 도 6의 (A) (B)는 본 발명의 타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및 측면도.
도 7의 (A) (B)는 종래 소음기의 형상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및 측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싱 11 - 공간부
20 - 흡음재 30 - 공명관
31 - 유체 이동홈 32 - 타공홈
40 - 공기층 50 - 덕트
60 - 격판 70 - 정류격자부
80 - 원형스프리터 81 - 경사부
90 - 관형스프리터 100 - 소음기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조화 설비 및 냉,난방등을 목적으로 유체를 이동시키는 덕트(50) 사이에 설치되어, 유체의 이동시 발생되는 소음을 감쇠시킬 수 있도록,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형성되며, 몸체 내측으로는 공간부(11)가 형성된 케이싱(10)과;
상기 케이싱(10)의 내측부로 소정의 두께를 갖고 설치되어 유체 이동시 발생되는 소음을 흡입하여 감쇠시키는 흡음재(20)와;
상기 케이싱(10)의 내측에 설치된 흡음재(20)의 내부에서 흡음재(20)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되며, 몸체 중앙부로는 유체 이동홈(31)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몸체 외주면에는 소정의 배열로 다수개의 타공홈(32)이 구비되는 공명관(30)으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인 소음기(100)는 케이싱(10)의 내측으로 흡음재(20)가 설치되고, 상기 흡음재(20)의 내측으로는 흡음재(20)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공명관(30)이 형성되므로, 유체가 덕트(50)의 내부에서 이동되면서 발생되는 소음을 공명효과와 간섭효과에 의해 흡입 및 감쇠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품성 및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인 소음기가 덕트구조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소음기가 덕트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반단면도이다.
도 3 (A) (B)는 본 발명인 소음기의 내부 형상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4 (A)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5 ∼ 도 6의 (A) (B)는 본 발명인 소음기의 타실시예를 부분 단면도 및 측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7 (A) (B)는 종래 소음기의 형상을 부분 단면도 및 측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 ∼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공기조화 설비 및 냉,난방등을 목적으로 유체를 이동시키는 덕트(50) 사이에 설치되어, 유체의 이동시 발생되는 소음을 감쇠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소음기(100)의 케이싱(10)은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형성되며, 몸체 내측으로는 공간부(1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0)의 내측부에는 유체 이동시 발생되는 소음을 흡입하여 감쇠시킬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고 흡음재(2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흡음재(20)는 설치목적 및 사용용도 등에 따라 설치되는 두께와 재질은 제품의 성격에 맞게 적용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한편, 상기 흡음재(20)의 내측 중앙부에서 외측으로는 일정거리 만큼 돌출되게 격판(60)이 설치된다.
즉, 상기 격판(60)은 후술될 공명관(30)이 흡음재(20)와 소정의 간격을 갖고 위치되어 형성된 공기층(40) 사이에서 공기층(40)의 공간을 구획하여 공명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공명관(30)은 몸체 중앙부로는 유체 이동홈(31)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몸체 외주면에는 소정의 배열로 다수개의 타공홈(32)이 구비된다.
즉, 상기 공명관(30)은 케이싱(10)의 내측에서 흡음재(20)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유체의 이동시 타공홈(32)과 흡음재(20) 사이의 공기층(40) 사이에서 공명효과와 간섭효과에 소음을 흡입, 감쇠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소음기(100)는 케이싱(10)의 내측으로는 흡음재(20)가 설치되고, 흡음재(20)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공명관(30)의 몸체에는 유체이동시 공명현상을 발생시켜 소음을 감쇠시킬 수 있도록, 타공홈(32)이 형성되므로, 유체가 덕트(50)내에서 이동하면서, 공명관(30)의 타공홈(32)과 흡음재(20) 사이의 공기층(40)내부에서 공명현상으로 소음을 감쇠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 (A)(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공명관(30)의 내측 중심부에는 정류격자부(70)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정류격자부(70)는 공명관(30)의 내측 중심부에서 상호 교차되게 형성되므로써 공명관(30)의 내부를 다수등분 하므로써 유체의 이동시 와류등으로 송풍압력 및 흡입압력이 저하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한 소음의 증대현상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공명관(30)의 내부에 정류격자부(70)를 형성하므로써, 저주파대역의 감음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 (A)(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공명관(30)의 정류격자부(70) 중심으로는 원형스프리터(80)를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원형스프리터(80)는 유체의 이동시 발생되는 소음중 고주파 대역의 감쇠량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공명관(30)의 내측에 설치되는 정류격자부(70)의 중심에 원형스프리터(80)를 형성하면, 정류격자부(70)에 의해 저주파대역을 소음을 감쇠시킬 수 있고, 원형스프리터(80)는 고주파 대역의 소음을 감쇠시키므로 전체 대역에서 감음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원형스프리터(80)의 양측에부에는 유체의 이동시 압력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경사부(81)를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경사부(81)는 유체의 이동시 발생되는 접촉 저항을 최소화 하므로써 유체이동시 발생되는 압력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6 (A)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공명관(30)의 내측에정류격자부(70)가 형성되고, 상기 정류격자부(70)의 중심에 고주파 대역을 소음을 감쇠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원형스프리터(80)의 외측에는 고주파대역의 소음 감음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관형스프리터(90)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관형스프리터(90)를 원형스프리터(80)의 외측부에 2중으로 설치하므로써, 고주파대역의 감음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어 전체 영역대에서의 소음 감음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인 소음기(100)는 케이싱(10)의 내부에 흡음재(20)와 공명관(30)을 설치하여, 유체의 소음을 공명효과 및 간섭효과로 흡입, 감쇠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첫째, 종래 소음기에 비해 압력손실이 없어, 기기의 내구성 및 유지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둘째, 저주파 및 고주파 대역에 대한 감음효과가 증대되어, 소음감쇠률이 증대된다.
그러므로, 제작공정 및 기간이 종래에 비해 단축시킬 수 있어, 제품의 생산단가 저하로 상품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6)

  1. 공기조화 설비 및 냉,난방등을 목적으로 유체를 이동시키는 덕트(50) 사이에 설치되어, 유체의 이동시 발생되는 소음을 감쇠시킬 수 있도록,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형성되며, 몸체 내측으로는 공간부(11)가 형성된 케이싱(10)과;
    상기 케이싱(10)의 내측부로 소정의 두께를 갖고 설치되어 유체 이동시 발생되는 소음을 흡입하여 감쇠시키는 흡음재(20)와;
    상기 케이싱(10)의 내측에 설치된 흡음재(20)의 내부에서 흡음재(20)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되며, 몸체 중앙부로는 유체 이동홈(31)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몸체 외주면에는 소정의 배열로 다수개의 타공홈(32)이 구비되는 공명관(3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
  2.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명관(30)과 흡음재(20) 사이의 공기층(40) 내에는 공기층(40)의 공간을 구획하여 공명효과를 증대시키는 격판(6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
  3.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명관(30)의 내측 중심부에는 유체의 이동시 와류발생으로 송풍압력 및 흡입압력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호 교차되게 형성되어, 공명관(30)의 내측을 다수개로 구획하는 정류격자부(7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
  4. 청구항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격자부(70)의 중앙부에는 유체의 이동시 발생되는 소음중 고주파 대역의 감쇠량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원형스프리터(8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
  5. 청구항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스프리터(80)의 외측으로는 고주파대역의 소음 감음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관형스프리터(9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
  6. 청구항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스프리터(80)의 양측으로는 유체의 이동시 압력저하로 발생되는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경사부(81)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
KR1019990054425A 1999-12-02 1999-12-02 소음기 KR100340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4425A KR100340009B1 (ko) 1999-12-02 1999-12-02 소음기
KR2019990026888U KR200180896Y1 (ko) 1999-12-02 1999-12-02 소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4425A KR100340009B1 (ko) 1999-12-02 1999-12-02 소음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6888U Division KR200180896Y1 (ko) 1999-12-02 1999-12-02 소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3877A KR20010053877A (ko) 2001-07-02
KR100340009B1 true KR100340009B1 (ko) 2002-06-12

Family

ID=1962315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4425A KR100340009B1 (ko) 1999-12-02 1999-12-02 소음기
KR2019990026888U KR200180896Y1 (ko) 1999-12-02 1999-12-02 소음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6888U KR200180896Y1 (ko) 1999-12-02 1999-12-02 소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3400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6290B1 (ko) * 2004-12-27 2006-05-04 한국가스공사 보일러용 소음기
KR101719060B1 (ko) * 2015-06-23 2017-03-22 이용호 소음 저감형 덕트
KR20190008732A (ko) 2017-07-17 2019-01-25 주식회사 씨앤월드 산업용 멀티형 소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0896Y1 (ko) 2000-05-15
KR20010053877A (ko) 2001-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30307A1 (en) Muffle duct
US5663536A (en) Sound attenuation assembly for air-cooling apparatus
CN102538083B (zh) 用于空调器的室外单元
JP2005066309A (ja) 電気掃除機消音装置
KR970009718A (ko) 진공 청소기의 배기 유로를 길게한 흡음방
EP2907997A1 (en) Resonator for vehicle
KR101030440B1 (ko) 음파의 흡음과 팽창에 의하여 감음이 일어나는 공조용 흡음팽창형 덕트소음기
JP6530977B2 (ja) 建設機械の吸気構造
JP2008255969A (ja) ファン装置の騒音低減構造
US20060174708A1 (en) Machine housing component with acoustic media grille and method of attenuating machine noise
KR950006370A (ko) 청정실 설비
US7225504B2 (en) Noise suppressor for use with vacuum air cleaner
KR100340009B1 (ko) 소음기
JP4982165B2 (ja) 消音装置
KR100358237B1 (ko) 흠음장치
JP3530821B2 (ja) 工業空気チャンネル用のリアクティブ形サイレンサー及びその使用方法
JP2005066308A (ja) 電気掃除機消音装置
CN209944714U (zh) 消音装置及空调器
CN109404343B (zh) 一种消音装置、消声系统和清洁设备
KR102640388B1 (ko) 소음저감장치
WO2001011206A2 (en) Perforated acoustic silencer for electrical motors
KR100698852B1 (ko) 친환경 저소음 환기장치
KR20090084594A (ko) 소음기
CN221054018U (zh) 用于散热风扇降噪的消声器
KR102101173B1 (ko) 소음저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