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1173B1 - 소음저감장치 - Google Patents

소음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1173B1
KR102101173B1 KR1020190089224A KR20190089224A KR102101173B1 KR 102101173 B1 KR102101173 B1 KR 102101173B1 KR 1020190089224 A KR1020190089224 A KR 1020190089224A KR 20190089224 A KR20190089224 A KR 20190089224A KR 102101173 B1 KR102101173 B1 KR 102101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reduction
disposed
reduction device
housing member
sound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9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준석
Original Assignee
양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준석 filed Critical 양준석
Priority to KR1020190089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11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1/00Methods for use of abrasive blasting for producing particular effects;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methods
    • B24C1/04Methods for use of abrasive blasting for producing particular effects;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methods for treating only selected parts of a surface, e.g. for carving stone or g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24F2013/247Active noise-suppre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장치는 소음저감장치의 외장을 형성하는 하우징부재와, 상기 하우징부재 내부에서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치되는 소음저감부재를 포함하는 소음저감장치로서, 상기 하우징부재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공기 전방과 후방에 공기 유입구와 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소음저감부재는 상기 하우징부재의 전방을 향하여 설치되는 전방부와, 상기 전방부와 연결되되 상기 하우징부재의 후방을 향하여 설치되는 후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부의 선단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되, 원호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선단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부와 후방부에는 복수 개의 개구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부와 후방부 내부에는 부직포로 형성되는 흡음부재가 배치되며, 하우징부재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인접하게 배치되는 소음저감부재들 사이에는 공기의 유동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전방부와 후방부의 표면에는 미세한 오목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부의 측단면 상 중심선은 상기 후방부의 측단면 상 중심선에 대해 미리 지정된 각도 기울어지도록 상기 전방부가 후방부에 대해 기울어져 배치되되, 상기 하우징부재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인접하여 상하로 배치되는 소음저감부재들에서 상부에 배치되는 소음저감부재의 전방부에서 가장 아래에 배치되는 부분이 그 하부에 배치되는 소음저감부재의 후방부에서 가장 높이 배치되는 부분보다 낮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본 발명의 목적은 장치의 크기 대비 소음 저감 성능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장기간 경과의 경우에도 장치 내부에 수용되는 흡음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장치 내부 흡음부재가 설치 현장에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음저감장치{NOISE DAMPER}
본 발명은 소음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일한 장치 크기 대비 소음 저감 성능이 대폭 향상되고, 장기간 사용의 경우에도 장치 내부 구성의 파손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장치 내부 흡음부재가 설치 현장에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소음저감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냉난방 또는 환기 등 건물의 실내공기 상태를 사람이 생활하기에 적절히 조절하기 위해 이용되는 설비를 통칭하여 공조설비라고 한다.
통상적으로, 상기 공조설비는 온도와 습도 등이 조절된 공기를 생성하는 장치와, 온도와 습도가 조절된 공기를 보내는 송풍기 및 상기 송풍기에서 건물의 각 공간으로 공기를 분해하기 위한 덕트 라인을 포함한다.
상기 공조설비의 송풍기 등에서 발생한 소음은 덕트를 따라 실내로 전달되어 소음의 주요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공조설비의 덕트 라인에 소음저감장치를 설치하는 것은 덕트를 따라 전달되는 소음 방지에 있어 가장 기본적이고도 직접적인 방법이다.
상기 소음저감장치는 그 소음 저감 방식에 따라 흡음형, 팽창형, 공명형, 그리고 간섭형의 4가지로 대별되는데, 흡음형 소음기는 관로의 일부에 소음을 흡수할 수 있는 흡음재를 설치하여, 소음을 흡수함으로써 저감시키는 장치이다.
그리고, 팽창형은 관로에 팽창부를 두어 음파가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는 동안 음파 에너지가 손실되어 결과적으로 소음을 저감시키는 방식이며, 공명형 소음기는 관로에 목 부분을 설치하고 여기에 공동을 연결하여 공명을 일으킴으로써, 음파의 에너지를 공동의 공기 진동으로 흡수하는 방식이며, 간섭형은 음파가 전달되는 경로를 둘로 나누어 각각의 경로 차이가 해당 음파의 반파장이 되도록 하여 간섭에 의해 음을 감쇄시키는 방식이다.
한편, 엔진 배기구에 부착하는 소음기, 릴리프 밸브의 유출관 등 아주 높은 소음을 유발하는 곳에 사용되는 소음기를 통상 공업용 소음기라고 하는데, 흡음형 소음기와 함께 팽창관을 이용한 팽창형 소음기, 공명형 소음기, 간섭형 소음기, 그리고 이들의 기능이 복합적으로 일어나도록 한 구성의 소음기 등이 사용된다.
공조설비용 소음기로는, 상기의 4가지 소음기의 형식 중 압력 손실이 비교적 적고, 비교적 넓은 주파수 범위의 소음에 대하여 감음 성능이 우수한 흡음형 소음기가 주로 사용된다.
흡음형 소음기의 특성은 흡음재의 흡음률이 높을수록, 흡음재의 주변 둘레 길이가 길수록, 소음기의 전체 길이가 길수록 좋아진다.
소음기의 길이는 설치 공간상 제약으로 인해 크게 할 수 있는 한계가 있으므로, 소음기 내부에 흡음재를 내장하는 스플리터(Splitter)를 다수 개 설치하여 흡음재의 총 주변 둘레 길이를 증대시키는 방식이 이용된다.
공조설비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통상의 흡음형 소음기는 소음기의 길이, 스플리터의 수, 스플리터 간격에 의하여 결정되는 공기 통로의 크기 등 소음기의 형상과 함께, 사용되는 흡음재의 흡음률에 의하여 결정되는데, 흡음재의 흡음률이 높을수록 소음 감음량이 높아진다.
통상 송풍기에서 발생하는 저주파 소음을 충분한 정도로 감쇄할 수 있도록 소음저감장치를 설계하려면, 장치의 길이가 길어지고 커져야 하는데, 이와 같이 소음기가 길고 커질 경우 설치공간에 제약을 받고 소음기의 제작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소음저감장치에 관련된 선행기술로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435007 호(발명의 명칭: 소음 저감형 루버)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치의 크기 대비 소음 저감 성능이 대폭 향상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소음저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기간 사용의 경우에도 장치 내부에 수용되는 흡음부재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소음저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치 내부 흡음부재가 설치 현장에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소음저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장치는 소음저감장치의 외장을 형성하는 하우징부재와, 상기 하우징부재 내부에서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치되는 소음저감부재를 포함하는 소음저감장치로서, 상기 하우징부재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전방과 후방에 공기 유입구와 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소음저감부재는 상기 하우징부재의 전방을 향하여 설치되는 전방부와, 상기 전방부와 연결되되 상기 하우징부재의 후방을 향하여 설치되는 후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부의 선단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되, 원호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선단돌출부가 배치되며, 상기 전방부와 후방부에는 복수 개의 개구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부와 후방부 내부에는 부직포로 형성되는 흡음부재가 배치되며, 하우징부재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인접하게 배치되는 소음저감부재들 사이에는 공기의 유동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전방부와 후방부의 표면에는 미세한 오목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부의 측단면 상 중심선은 상기 후방부의 측단면 상 중심선에 대해 미리 지정된 각도 기울어지도록 상기 전방부가 후방부에 대해 기울어져 배치되되, 상기 하우징부재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인접하여 상하로 배치되는 소음저감부재들에서 상부에 배치되는 소음저감부재의 전방부에서 가장 아래에 배치되는 부분이 그 하부에 배치되는 소음저감부재의 후방부에서 가장 높이 배치되는 부분보다 낮게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부재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인접하여 상하로 배치되는 소음저감부재들에서 상부에 배치되는 소음저감부재의 전방부에서 가장 아래에 배치되는 부분은 그 하부에 배치되는 소음저감부재의 후방부 수평 중심선 보다는 높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세한 오목부들은 샌드 블러스팅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부이다.
여기서, 상기 전방부와 후방부의 경계부분에서 풍향유도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풍향유도부의 표면에는 미세한 오목부들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풍향유도부에는 복수의 개구들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풍향유도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되, 만곡된 곡면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부와 후방부 내부에는 합성수지재 망체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흡음부재가 복수 개의 층으로 적층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 층의 흡음부재들 사이에는 합성수지재 망체가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음부재의 표면 마찰계수보다 상기 합성수지재 망체의 표면 마찰계수가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합성수지재 망체 중 상기 전방부와 후방부의 내면에 접촉되는 합성수지재 망체의 테두리 부분에는 실링재가 도포되어, 상기 합성수지재 망체가 상기 전방부와 후방부의 내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부와 후방부의 표면에는 상기 전방부와 후방부의 표면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ㅗ" 형상으로 형성되는 와류형성부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의 표면에는 미세한 오목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에는 복수의 개구들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높이 방향을 따라 인접하게 배치되는 전방부 표면 간의 최단거리보다 후방부 표면 간의 최단거리가 크게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부의 측단면 상 중심선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전방부의 측단면 상 중심선은 상기 수평 방향에 대해 35도 내지 50도 하방으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음저감부재는 상기 하우징부재의 유입구로부터 유출구를 향하여 복수의 열로 배치되며,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출구를 향하는 방향에 대해 유입구쪽에 가까이 배치되는 소음저감부재들의 후방부들 사이의 높이에, 유출구쪽에 가까이 배치되는 소음저감부재 전방부의 선단부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소음저감장치의 전체 크기를 작게 구성하면서도 소음 저감 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장기간 사용의 경우에도 장치 내부에 수용되는 흡음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장치 내부 흡음부재가 설치 현장에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2 는 상기 소음저감장치에 설치되는 소음저감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3 은 상기 소음저감부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부재 내부에 배치되는 흡음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단돌출부의 사시도이며,
도 6 은 상기 소음저감장치 내부에 소음저감부재가 설치되는 상태의 측면도이며,
도 7 은 한 쌍의 소음저감부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부재의 측면도이며,
도 9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부재의 측면도이며,
도 10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류형성부의 사시도이며,
도 11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풍향유도부의 사시도이며,
도 1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장치에 설치되는 소음저감부재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2 는 상기 소음저감장치에 설치되는 소음저감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3 은 상기 소음저감부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부재 내부에 배치되는 흡음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단돌출부의 사시도이며, 도 6 은 상기 소음저감장치 내부에 소음저감부재가 설치되는 상태의 측면도이며, 도 7 은 한 쌍의 소음저감부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부재의 측면도이며, 도 9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부재의 측면도이며, 도 10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류형성부의 사시도이며, 도 11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풍향유도부의 사시도이며, 도 1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장치에 설치되는 소음저감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장치는 소음저감장치의 외장을 형성하는 하우징부재(10)와, 상기 하우징부재(10) 내부에서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치되는 소음저감부재(20)를 포함하는 소음저감장치로서, 상기 하우징부재(10)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전방과 후방에 공기 유입구(2)와 유출구(4)가 형성되며, 상기 소음저감부재(20)는 상기 하우징부재(10)의 전방을 향하여 설치되는 전방부(22)와, 상기 전방부(22)와 연결되되 상기 하우징부재의 후방을 향하여 설치되는 후방부(24)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부(22)의 선단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되, 원호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선단돌출부(21)가 배치되며, 상기 전방부(22)와 후방부(24)에는 복수 개의 개구부(222, 242)들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부(22)와 후방부(24) 내부에는 부직포로 형성되는 흡음부재(26)가 배치되며, 하우징부재(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인접하게 배치되는 소음저감부재(20)들 사이에는 공기의 유동통로(P)가 형성되며, 상기 전방부(22)와 후방부(24)의 표면에는 미세한 오목부(224, 244)들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부(22)의 측단면 상 중심선(CL1)은 상기 후방부(24)의 측단면 상 중심선(CL2)에 대해 미리 지정된 각도(a) 기울어지도록 상기 전방부(22)가 후방부(24)에 대해 기울어져 배치되되, 상기 하우징부재(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인접하여 상하로 배치되는 소음저감부재들(20)에서 상부에 배치되는 소음저감부재(20)의 전방부(22)에서 가장 아래에 배치되는 부분(FB)이 그 하부에 배치되는 소음저감부재의 후방부(24)에서 가장 높이 배치되는 부분(RT)보다 낮게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부재(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인접하여 상하로 배치되는 소음저감부재(20)들에서 상부에 배치되는 소음저감부재(20)의 전방부(22)에서 가장 아래에 배치되는 부분(FB)은 그 하부에 배치되는 소음저감부재(20)의 후방부(24) 수평 중심선(CL2) 보다는 높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장치는 각종 공기조화장치, 덕트 또는 환기창 부근에 설치되어 소음원으로부터 유동되는 공기를 통과시키는 과정에서 음파를 감쇄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장치는 그 외장을 형성하는 하우징부재(1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부재(10)는 예를 들어 아연도금 강판 또는 갈바늄 도금 강판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부재(10)의 전방에는 소음원으로부터 유동되는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구(2)가 형성되고, 그 후방에는 공기 유출구(4)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부재(10) 내부에는 그 높이 방향을 따라 소음저감부재(20)가 복수 개 배치된다.
도 2 와 3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소음저감부재(20)는 상기 하우징부재(10)의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전방부(22)와, 상기 전방부(22)와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부재(10)의 후방을 향하여 설치되는 후방부(24)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부(22)의 가장 앞 부분 즉 선단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원호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선단돌출부(21)가 배치된다.
도 6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부재(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인접하게 배치되는 소음저감부재(20)들 사이의 공간은, 공기의 유동통로(P)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선단돌출부(21)를 원호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공기 유동통로(P)로 공기가 원활히 진입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선단돌출부(21)가 부드러운 원호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공기 유동통로(P)로 진입되는 공기와의 마찰을 감소시켜, 원활히 상기 유동통로(P) 내로 진입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 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선단돌출부(21)에 개구부(21-1)들을 형성하여, 상기 선단돌출부(21)를 통해 공기가 상기 흡음부재(26)로 유입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전방부(22)와 후방부(24)는 강판 또는 아연도금 강판 등으로 그 외장체(221, 241)가 형성될 수 있으며, 표면에는 복수 개의 개구부(222, 242)들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2 와 3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전방부(22)와 후방부(24) 내부에는 부직포로 형성되는 흡음부재(26)가 배치된다.
상기 흡음부재(26)는 예를 들어 유리섬유(Glass Wool) 또는 멜라민 섬유 부직포 또는 발포 폴리에스테르 부직포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기가 상기 전방부(22)와 후방부(24)를 유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개구부(222, 242)들을 통과하여 상기 흡음부재(26)로 유입됨으로써 소음 음파가 감쇄될 수 있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부(22)와 후방부(24) 내부에는 합성수지재 망체(27)가 상기 외장체(221, 241)에 접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망체(27) 사이에 상기 흠음부재(26)가 배치된다.
상기 합성수지재 망체(27)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수지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또는 비닐 수지와 같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미세한 구멍들이 형성되어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합성수지재 망체(27)의 표면은 매우 매끄럽게 형성되어, 상기 흡음부재(26)의 표면 마찰계수보다 작게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흡음부재(26)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상기 흡음부재(26)가 상기 합성수지재 망체(27)에 대해 상대적인 미끄럼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소음저감부재(20)로 장기간 소음 음파와 공기가 유입되는 경우, 미세한 진동에 의해 상기 흡음부재(26)와 상기 외장체(221, 241)가 반복적으로 마찰됨에 따라 흡음부재(26)가 파손되고 부스러기가 외부로 배출 비산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흡음부재(26)에 가해지는 진동에 의해 상기 흡음부재(26)가 매끄럽게 형성되는 상기 합성수지재 망체(27)에 대해 상대적인 미끄럼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흡음부재(26) 표면이 상기 외장체(221, 241) 내면과 마찰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흡음부재(26)가 합성수지재 망체(27)에 대해 미세하게 상대 유동될 수 있도록 하여 흡음부재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도 4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전방부와 후방부 내부에 복수의 합성수지재 망체(27)들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흡음부재(26)들이 복수 개의 층으로 적층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흡음부재(26)가 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된 상태에서, 복수의 합성수지재 망체(27)들 사이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적층되어 소음저감부재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합성수지재 망체(27)는 상기 전방부(22)와 후방부(24)의 내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합성수지재 망체(27)의 테두리 부분에 실리콘과 같은 실링재가 도포되어, 상기 전방부(22)와 후방부(24)의 내면에 고정된다.
그리하여, 장기간 진동이 인가되는 경우에도 상기 합성수지재 망체(27)가 상기 소음저감부재(20) 내부에서 위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흡음부재(26)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방부(22)와 후방부(24)의 표면에는 미세한 오목부(224, 244)들이 형성된다.
상기 미세한 오목부(224, 244)들은 샌드 블러스팅(Sand Blusting)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부일 수 있다.
상기 전방부(22)와 후방부(24)를 형성하는 외장체(221, 241)들의 표면에 샌드 블러스팅 가공에 의한 미세한 오목부(딤플)들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전방부(22)와 후방부(24) 표면과 공기 간의 마찰을 감소시켜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장치 내부로 공기가 보다 원활히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공기가 상기 전방부(22)와 후방부(24)의 외장체(221, 241)에 부딪힘으로 인해 발생되는 진동을 감소시킴으로써, 흡음부재(26)의 파손과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견지에서, 도 5 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선단돌출부(21)에도 미세한 오목부(21-2)들을 형성하여, 상기 선단돌출부(21) 표면과 공기 간의 마찰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선단돌출부(21)와 공기 간의 접촉에 의한 진동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부(22)의 측단면 상 중심선(CL1)은, 상기 후방부(24)의 측단면 상 중심선(CL2)에 대해 미리 지정된 각도(a) 기울어지도록, 상기 전방부(22)가 후방부(24)에 대해 기울어져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후방부(24)의 측단면 상 중심선(CL2)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전방부(22)의 측단면 상 중심선(CL1)은 상기 수평 방향에 대해 35도 내지 50도 하방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재(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인접하여 상하로 배치되는 소음저감부재들(20)에서, 상부에 배치되는 소음저감부재의 전방부(22)에서 가장 아래에 배치되는 부분(FB)이, 그 하부에 배치되는 소음저감부재의 후방부(24)에서 가장 높이 배치되는 부분(RT)보다 낮게 설치된다.
그리하여, 아래 위로 배치되는 전방부(22)들 사이로 유동되는 공기가, 상기 전방부(22)의 기울어진 표면에 의해 상방으로 유도되어, 상부에 배치되는 소음저감부재(20) 내의 흡음부재(26)로 유도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부재(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인접하여 상하로 배치되는 소음저감부재들(20)에서, 상부에 배치되는 소음저감부재의 전방부(22)에서 가장 아래에 배치되는 부분(FB)은, 그 하부에 배치되는 소음저감부재(20)의 후방부(24) 중심선(CL2) 보다는 높게 배치된다.
그리하여, 상하로 배치되는 전방부(22)들 사이의 공간이, 공기의 원활한 유동을 위한 충분한 크기의 공간이 되도록 하면서도, 상기 하우징부재(10)의 전면을 기준으로 하여, 전체 전면부를 통해 공기가 흡음부재(26)로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하우징부재(10)의 전면에서 바라볼 때, 위에 배치되는 전방부(22)들이 아래에 배치되는 후방부(24)를 간섭하도록 배치되므로, 상기 전방 유입구(2)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전방부(22)들에 수용되는 흡음부재(26)로 모두 유입된다.
따라서, 상하로 배치되는 소음저감부재(20)들 사이의 공간이 공기의 유동 통로로서의 역할을 하여 공기가 원활히 유동되도록 하면서도, 전체 공기가 일차적으로 상기 전방부(22)들의 흠음부재에 부딪히도록 하여 소음 감쇄 효과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도 7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높이 방향을 따라 인접하게 배치되는 전방부(22) 표면(22-1, 22-2) 간의 최단거리(S2)보다 후방부(24) 표면(24-1, 24-2) 간의 최단거리(S1)가 크게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도 7(b)에서와 같이, 상기 후방부(24) 표면(24-1, 24-2) 간의 최단거리를 S1 이라 할 경우, 전방부(22) 표면(22-1, 22-2) 간의 최단거리 S2 는 S1 * cos a(각도 a 는 후방부에 대해 전방부가 기울어진 각도) 보다 작아지는데, 각도 a 가 90 도 보다 작은 각도이므로, 결과적으로 S2 는 S1 보다 작게 된다.
즉, 본원발명의 구성에서 전방부(22)들 사이의 폭은 후방부(24)들 사이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공기가 상기 유입구(2)로부터 유출구(4)를 향하는 동안 유로 공간의 폭이 변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공기 유동 동안 유로 공간의 크기가 변동되므로, 공기와 함께 유동되는 음파에도 변동이 발생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소음저감부재(20)들을 하우징부재의 유입구로부터 유출구를 향하여 복수의 열로 설치할 경우에는, 보다 좁은 폭의 전방부들 사이의 공간을 통과한 공기가 보다 넓은 폭의 후방부들 사이의 공간으로 유동되고, 이후 다시 보다 좁은 폭의 전방부들 사이의 공간과 보다 넓은 폭의 후방부들 사이의 공간으로 유동되는 과정에서, 음파는 좁은 공간과 넓은 공간을 교대로 통과하게 되므로 상쇄 간섭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2 에 도시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첫번째 열의 소음저감부재 후방부(24)들 사이사이에 두번째 열의 소음저감부재 전방부(22)들이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음파의 유동 공간 변화를 통한 이러한 음파의 상쇄간섭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방부(22)와 후방부(24)의 경계부분에는 풍향유도부(2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전방부(22)의 표면을 따라 유동되는 공기와 음파를 상기 풍향유도부(23)를 통해, 위쪽에 배치되는 후방부(24) 내의 흡음부재(26) 쪽으로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도 2 와 3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풍향유도부(23)의 표면에는 미세한 오목부(234)들과 공기 통과를 위한 개구(232)들이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풍향유도부(23)와 유동 공기 간의 마찰력을 최소화하면서도, 유동되는 공기를 상기 후방부(24)의 흡음부재(26) 쪽으로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유동되는 공기에 대한 저항을 최소화하면서 보다 부드럽게 상기 후방부(24)의 흡음부재(26) 쪽으로 유도하도록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8 과 11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풍향유도부(23)가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되, 만곡된 곡면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8 내지 10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전방부(22)와 후방부(24)의 표면에는 상기 전방부(22)와 후방부(24)의 표면에 결합되는 결합부(282)와 상기 결합부(202)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284)를 포함하여 "ㅗ" 형상으로 형성되는 와류형성부(28)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와류형성부(28)에 의해 아래 위로 배치되는 전방부(22)들 사이의 공간과 후방부(24)들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는 공기와 음파에 와류를 형성함으로써, 불규칙적인 와류 상태의 공기와 음파가 상기 흡음부재(26)들과 부딪히도록 하여 소음의 감쇄 효과를 높이도록 구성된다.
도 10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284)의 표면에는 미세한 오목부들(2844)과 복수의 개구(2842)들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유동되는 공기에 대한 저항을 최소화하면서 와류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8 에서와 같이 상하로 배치되는 상기 와류형성부(28)들이 서로 대면되도록 설치함으로써, 공기의 유동 공간이 좁아졌다 다시 넓어지는 상태가 반복되도록 하여, 소음 감쇄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는, 도 9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하로 배치되는 와류형성부(28)들이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공기의 유동 공간이 좁아졌다 넓어지는 상태가 반복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2 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소음저감부재(20)는 상기 하우징부재(10)의 유입구로부터 유출구를 향하여 복수의 열로 배치되며, 전방에 배치되는 소음저감부재(20)의 후방부(24)들 사이에 후방에 배치되는 소음저감부재(20)의 전방부(22)의 선단부(2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의해, 공기의 유동 공간의 크기를 변화시키고, 전방부와 후방부에 수용되는 흡음부재(26)에 공기와 음파가 부딪히는 정도를 최대화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 하우징부재
20: 소음저감부재
21: 선단돌출부
22: 전방부
23: 풍향유도부
24: 후방부
26: 흡음부재
27: 합성수지재 망체
28: 와류형성부

Claims (16)

  1. 소음저감장치의 외장을 형성하는 하우징부재와;
    상기 하우징부재 내부에서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치되는 소음저감부재를 포함하는 소음저감장치로서,
    상기 하우징부재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전방과 후방에 공기 유입구와 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소음저감부재는 상기 하우징부재의 전방을 향하여 설치되는 전방부와;
    상기 전방부와 연결되되 상기 하우징부재의 후방을 향하여 설치되는 후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부의 선단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되, 원호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선단돌출부가 배치되며,
    상기 전방부와 후방부에는 복수 개의 개구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부와 후방부 내부에는 부직포로 형성되는 흡음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부재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인접하게 배치되는 소음저감부재들 사이에는 공기의 유동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전방부와 후방부의 표면에는 미세한 오목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부의 측단면 상 중심선은 상기 후방부의 측단면 상 중심선에 대해 미리 지정된 각도 기울어지도록 상기 전방부가 후방부에 대해 기울어져 배치되되,
    상기 하우징부재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인접하여 상하로 배치되는 소음저감부재들에서 상부에 배치되는 소음저감부재의 전방부에서 가장 아래에 배치되는 부분이 그 하부에 배치되는 소음저감부재의 후방부에서 가장 높이 배치되는 부분보다 낮게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부재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인접하여 상하로 배치되는 소음저감부재들에서 상부에 배치되는 소음저감부재의 전방부에서 가장 아래에 배치되는 부분은 그 하부에 배치되는 소음저감부재의 후방부 중심선 보다는 높게 배치되고,
    상기 전방부와 후방부의 경계부분에서 풍향유도부가 형성되며, 상기 풍향유도부의 표면에는 미세한 오목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풍향유도부에는 복수의 개구들이 형성되며,
    상기 전방부와 후방부 내부에는 합성수지재 망체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흡음부재가 복수 개의 층으로 적층 배치되며, 상기 복수 층의 흡음부재들 사이에는 합성수지재 망체가 배치되되, 상기 흡음부재의 표면 마찰계수보다 상기 합성수지재 망체의 표면 마찰계수가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한 오목부들은 샌드 블러스팅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유도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되, 만곡된 곡면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재 망체 중 상기 전방부와 후방부의 내면에 접촉되는 합성수지재 망체의 테두리 부분에는 실링재가 도포되어, 상기 합성수지재 망체가 상기 전방부와 후방부의 내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부와 후방부의 표면에는 상기 전방부와 후방부의 표면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ㅗ" 형상으로 형성되는 와류형성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표면에는 미세한 오목부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는 복수의 개구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높이 방향을 따라 인접하게 배치되는 전방부 표면 간의 최단거리보다 후방부 표면 간의 최단거리가 크게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부의 측단면 상 중심선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전방부의 측단면 상 중심선은 상기 수평 방향에 대해 35도 내지 50도 하방으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저감부재는 상기 하우징부재의 유입구로부터 유출구를 향하여 복수의 열로 배치되며,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출구를 향하는 방향에 대해 유입구쪽에 가까이 배치되는 소음저감부재들의 후방부들 사이의 높이에, 유출구쪽에 가까이 배치되는 소음저감부재 전방부의 선단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90089224A 2019-07-23 2019-07-23 소음저감장치 KR102101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224A KR102101173B1 (ko) 2019-07-23 2019-07-23 소음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224A KR102101173B1 (ko) 2019-07-23 2019-07-23 소음저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1173B1 true KR102101173B1 (ko) 2020-04-16

Family

ID=70454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9224A KR102101173B1 (ko) 2019-07-23 2019-07-23 소음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117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0572A (ja) * 1993-05-20 1994-11-29 Dainetsu Kk スプリッタ型消音器
KR200155736Y1 (ko) * 1995-12-15 1999-09-01 정몽규 에어덕트의 소음 방지장치
JP2008144996A (ja) * 2006-12-07 2008-06-26 Mk Seiko Co Ltd 消音装置
JP2010065492A (ja) * 2008-09-12 2010-03-25 Nippon Sheet Glass Environment Amenity Co Ltd 透光性防音パネル
KR101435007B1 (ko) * 2013-04-22 2014-08-28 반석공조시스템(주) 소음 저감형 루버
KR20160035299A (ko) * 2014-09-23 2016-03-3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파티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0572A (ja) * 1993-05-20 1994-11-29 Dainetsu Kk スプリッタ型消音器
KR200155736Y1 (ko) * 1995-12-15 1999-09-01 정몽규 에어덕트의 소음 방지장치
JP2008144996A (ja) * 2006-12-07 2008-06-26 Mk Seiko Co Ltd 消音装置
JP2010065492A (ja) * 2008-09-12 2010-03-25 Nippon Sheet Glass Environment Amenity Co Ltd 透光性防音パネル
KR101435007B1 (ko) * 2013-04-22 2014-08-28 반석공조시스템(주) 소음 저감형 루버
KR20160035299A (ko) * 2014-09-23 2016-03-3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파티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30307A1 (en) Muffle duct
ES2439222T3 (es) Dispositivo de canal de flujo de amortiguación de sonido
KR101682643B1 (ko) 모드 감쇄기와 이를 이용한 노이즈 저감 방법
JP6530977B2 (ja) 建設機械の吸気構造
JP2010084768A (ja) 音響減衰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00018798A1 (en) Noise silencer for construction equipment
US10411556B1 (en) Enclosure with inlet and outlet baffles for generator set
US7350620B2 (en) Compact silencer
KR102024833B1 (ko) 흡음형 댐퍼 및 이를 이용한 댐퍼 구조체
WO2022021767A1 (zh) 一种导风箱及应用有该导风箱的内循环吸油烟机
KR102101173B1 (ko) 소음저감장치
KR101962404B1 (ko) 소음원의 주파수 특성에 맞추어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소음 감쇠기
KR100918700B1 (ko) 스플리터 내부에 공기층과 진동판을 구비한 소음기
KR100555375B1 (ko) 공명형 덕트 소음기
KR102640388B1 (ko) 소음저감장치
JP2003216159A (ja) ダクト消音装置
JP2000074471A (ja) エアダクト用消音器
CN209944714U (zh) 消音装置及空调器
JP6807780B2 (ja) ガスタービンの排気消音器
KR102496986B1 (ko) 방음식 연기 배출관
JP2012145776A (ja) 音響特性改善構造
JP6635837B2 (ja) 立坑構造
RU2757554C1 (ru) Глушитель шума (гш)
CN220753064U (zh) 一种片式消声器装置
CN212847670U (zh) 一种快速通风散热消声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