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5299A - 파티션 - Google Patents

파티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5299A
KR20160035299A KR1020140126707A KR20140126707A KR20160035299A KR 20160035299 A KR20160035299 A KR 20160035299A KR 1020140126707 A KR1020140126707 A KR 1020140126707A KR 20140126707 A KR20140126707 A KR 20140126707A KR 20160035299 A KR20160035299 A KR 20160035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sound
plate
diaphragm
sound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6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4011B1 (ko
Inventor
이동훈
Original Assignee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26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4011B1/ko
Publication of KR20160035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5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4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4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1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panels without a frame or supporting posts, with or without upper or lower edge locating rails
    • E04B2/7403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panels without a frame or supporting posts, with or without upper or lower edge locating rails with special measures for sound or thermal insulation including fire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파티션이 개시된다. 상기 파티션은 사각 형상의 삽입공간을 형성한 파티션프레임; 및 상기 삽입공간 내부로 삽입되어 설치되는 흡음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흡음패널은, 상기 흡음패널의 제1 외면을 형성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위로 적층된 제1 흡음재; 상기 제1 흡음재의 위로 적층된 격판; 상기 격판의 위로 적층된 제2 흡음재; 및 상기 제2 흡음재의 위로 적층되고 상기 흡음패널의 제2 외면을 형성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흡음패널의 외부로부터 음파가 유입되기 위한 다수의 개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파티션을 이용하면 실내 공간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파티션{PARTITION}
본 발명은 파티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 공간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파티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티션(사무용 간이 칸막이)은 사무실 등의 실내에 수직으로 설치하여 실내공간을 구획함으로서 사무실 내에서의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지키고 각 부서의 공간을 외부와 간접적으로 차단하여 구성원의 업무집중력을 향상하거나 또는 창조적인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독립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파티션은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그 중에서도 일반 파티션은 가장 흔히 사용되는 것으로서 다양한 색상을 선택할 수 있고 높이 및 두께에 따라 설계되는데, 파티션의 높이는 업무특성을 고려하여 선택하면 되고, 두께가 넓을수록 안정감이 뛰어나며 블록 파티션은 일반 파티션의 단조로움을 덜고 구성원의 디자인 감각이나 업무효율을 증대하고자 할때 사용하는 파티션으로서 블록의 수와 각 블록의 색상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파티션은 공간의 효율화를 기할 수 있게 해주는 측면이나, 각 개인의 활동을 타인의 시선으로부터 보호하는 측면에서는 일정정도 제 기능을 발휘하지만, 소음을 저감시키는 기능에서는 크게 미흡하다. 예컨대 사무용 공간 내에서는, 통상적으로 각 구성원이 한 대 이상의 컴퓨터를 구비하고 있고, 그밖에 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리 등 다양한 사무용기기들이 설치되어 있어서 적지 않은 기계 소음이 발생되는데, 종래의 파티션은 이러한 소음이 인근의 구성원들에게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은 차단하지만, 소음의 절대적인 양을 저감시키지는 못한다. 특히, 다양한 실험장비 및 측정장비를 구비하고 있는 연구소나, 각종 생산설비가 밀집되어 설치된 공장에서는 이러한 소음 저감 문제가 더욱 심각하다고 할 수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제20-2012-0008773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파티션이 설치된 실내 공간에서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도록 한 파티션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은 사각 형상의 삽입공간을 형성한 파티션프레임; 및 상기 삽입공간 내부로 삽입되어 설치되는 흡음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흡음패널은, 상기 흡음패널의 제1 외면을 형성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위로 적층된 제1 흡음재; 상기 제1 흡음재의 위로 적층된 격판; 상기 격판의 위로 적층된 제2 흡음재; 및 상기 제2 흡음재의 위로 적층되고 상기 흡음패널의 제2 외면을 형성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흡음패널의 외부로부터 음파가 유입되기 위한 다수의 개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격판은 상기 격판의 장축방향의 단면이 곡선 또는 직선이 지그재그 형태로 연속되는 형상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격판은 상기 격판의 장축방향의 단면이 'S'자 형상이 연속되는 형상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격판은 상기 격판의 장축방향의 단면이 '<'와 같은 화살촉 형상이 연속되는 형상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격판은 상기 격판의 장축방향의 단면이 지그재그로 형태로 연속된 요철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흡음패널은 상기 제1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제2 플레이트를 향하여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로형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로형성부재는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흡음패널의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통로형성부재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소정의 패턴으로 절곡된 형태로 상기 제2 플레이트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제2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상기 통로형성부재의 둘레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통로형성부재는 복수의 층을 이루는 다중관 형태이고, 상기 다중관의 각각의 층에는 상기 다수의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티션은 제1 회절음 감쇄부재 및 제2 회절음 감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절음 감쇄부재 및 상기 제2 회절음 감쇄부재는 상기 파티션프레임의 상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 또는 만곡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회절음 감쇄부재 및 제2 회절음 감쇄부재는 상기 파티션프레임의 상단부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파티션은 상기 제1 회절음 감쇄부재 및 상기 제2 회절음 감쇄부재의 내면에 설치된 롤스크린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에 의하면, 실내 공간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다.
또한 파티션을 사이에 둔 두 공간 사이에 바람은 통과되도록 하면서 소음은 효과적인 감쇄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파티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격판의 다른 형태들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파티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파티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파티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파티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파티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파티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파티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파티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파티션은 파티션프레임(110) 및 흡음패널(120)을 포함한다.
파티션프레임(110)은 흡음패널(120)을 수용하는 프레임이다. 일 예로, 파티션프레임(110)은 전체 형상이 사각 형상일 수 있고, 흡음패널(120)을 수용하기 위해 사각 형상의 삽입공간(111)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파티션프레임(110)은 복수로 연결될 수 있다. 파티션프레임(110)을 복수로 연결하기 위해, 파티션프레임(110)의 좌, 우측의 장축변에는 조립용 프레임(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흡음패널(120)은 파티션프레임(110)의 삽입공간(111) 내로 삽입 설치되어 파티션 주변의 소음을 감쇄시키는 패널이다. 흡음패널(120)은 제1 플레이트(121), 제1 흡음재(123), 격판(125), 제2 흡음재(124), 제2 플레이트(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21)는 삽입공간(111)을 커버할 수 있는 크기의 사각 형상의 플레이트일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21)에는 다수의 개구(121a)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121a)의 형상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원, 사각 등의 도형일 수 있고, 또는 새, 개, 고양이 등의 동물 형상일 수 있고, 또는 물결 무늬 등의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플레이트(121)의 재질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일 수 있다.
제1 흡음재(123)는 파티션 주변의 고주파 및 저주파의 소음을 흡수하여 감쇄시킨다. 이를 위해, 제1 흡음재(123)는 제1 플레이트(121)의 위로 적층되며, 제1 플레이트(121)의 개구(121a)를 통해 유입되는 음파를 흡수하여 소음을 감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1 흡음재(123)의 재질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부직포일 수 있다. 제1 흡음재(123)가 부직포인 경우, 예를 들면, 니들펀치 부직포, 우터니들 부직포, 스펀본드 부직포, 양모 펠트 등의 펠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부직포 섬유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섬유, 나일론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아크릴 섬유, 천연 섬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흡음재(123)의 두께는, 0.3 ~ 1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흡음재(123)의 두께가 0.3mm 미만에서는 충분한 흡음 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또한 15mm를 초과하면 파티션프레임(110)의 삽입공간(111) 내부로 수납하기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제1 흡음재(123)의 단위 무게는 10 ~ 1000g/m2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g/m2 미만에서는 충분한 흡음 효과가 얻어지지 못하고, 또한 1000g/m2 를 넘으면 경량성이 확보되지 못하여 파티션프레임(110)에 삽입된 경우 파티션 전체의 무게가 증가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제1 흡음재(123)를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는 0.1 ~ 30데시텍스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0.1데시텍스 미만에서는 저주파 소음의 흡수가 어렵다. 또는 30데시텍스를 넘으면 고주파 소음의 흡수가 어려우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격판(125)은 제1 흡음재(123)의 위로 적층된다. 제1 흡음재(123)의 위로 적층된 격판(125)은 파티션의 외부로부터 제1 플레이트(121)의 개구(121a)를 통해 유입된 소음(음파)이 제1 흡음재(123)에서 완전히 흡음되지 못한 경우 소음을 제1 흡음재(123)측으로 반사시켜서 제1 흡음재(123)가 흡음하도록 한다.
이러한 격판(125)의 형상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예를 들면, 격판의 장축방향의 단면이 곡선 또는 직선이 지그재그 형태로 연속되는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격판(125)의 형태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형태들일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격판의 다른 형태들을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격판(125)은 격판(125)의 장축방향의 단면이 'S'자 형상이 연속되는 형상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격판(125)은 격판(125)의 장축방향의 단면이 '<'와 같은 화살촉 형상이 연속되는 형상일 수 있다.
도 5을 참조하면, 격판(125)은 격판(125)의 장축방향의 단면이 지그재그로 형태로 연속된 요철 형상일 수 있다.
격판(125)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형태들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1 흡음재(123) 및 제2 흡음재(124)로 완전히 흡음되지 못한 음파들이 격판(125)의 표면에 부딪힐 때 난반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난반사 효과에 의해 음파들이 효율적으로 제1 흡음재(123) 및 제2 흡음재(124)를 향해 이동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음파가 제1 흡음재(123) 및 제2 흡음재(124)가 미처리된 음파를 흡음 및 소멸시킬 수 있다.
제2 흡음재(124)는 제1 흡음재(123)와 동일하게 파티션 주변의 고주파 및 저주파의 소음을 흡수하여 감쇄시킨다. 이를 위해, 제2 흡음재(124)는 격판(125)을 기준으로 제1 흡음재(123)의 반대편에 위치하도록 격판(125)의 위로 적층되며, 제2 플레이트(122)의 후술하는 개구(122a)를 통해 유입되는 음파를 흡수하여 소음을 감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2 흡음재(124)로 사용되는 소재 및 소재의 특성은 제1 흡음재(123)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제1 흡음재(123)의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파티션은 사무실과 같은 실내의 업무 공간에 배치된 각 책상들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각 업무자의 업무 중 전화통화, 타이핑 소리 등의 소음을 감쇄시켜 사무실 전체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파티션을 실내의 업무 공간에 설치하여 사용하면, 각 업무자의 전화통화, 타이핑 소리 등의 발생된 소음은 흡음패널(120)에 의해 소음이 감소하게 되는데, 상기 소음은 제1 플레이트(121)에 형성된 개구(121a) 및 제2 플레이트(122)에 형성된 개구(122a)로 유입되고, 개구(121a, 122a)를 통해 유입된 소음은 제1 흡음재(123) 및 제2 흡음재(124)로 흡음되어 감소하게 된다.
이때, 제1 흡음재(123) 및 제2 흡음재(124) 사이에 배치된 격판(125)에 의해 제1 흡음재(123)로 흡음된 소음은 제2 흡음재(124)를 향해 이동하지 못하고 제1 흡음재(123) 내에서 감쇄되며 제2 흡음재(124)로 흡음된 소음은 제1 흡음재(123)를 향해 이동하지 못하고 제2 흡음재(124) 내에서 감쇄하게 된다. 따라서 제1 플레이트(121)에 마주하는 공간 및 제2 플레이트(122)에 마주하는 공간에서 발생된 각각의 소음은 다른 공간으로 이동하지 않고 각각의 공간 내에서 감쇄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파티션을 이용하면 사무실과 같은 실내 공간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감쇄되며, 이에 의해 업무 집중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실시예 2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파티션을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파티션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파티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파티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파티션은, 흠음패널(120)이 통로형성부재(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파티션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통로형성부재(130)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통로형성부재(130)는 제1 플레이트(121)로부터 제2 플레이트(122)를 향해 또는 제2 플레이트(122)로부터 제1 플레이트(121)를 향해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통로형성부재(130)는 제1 단부(130a) 및 제2 단부(130b)를 포함하는 관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단부(130b)는 제1 단부(130a)로부터 소정의 패턴으로 절곡된 형태로 연장될 수 있고, 이에 의해 관은 절곡된 관 형태일 수 있다.
일 예로, 통로형성부재(130)는 제1 단부(130a)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된 제1 연장부(131), 제1 연장부(131)에 수직하도록 제1 연장부(131)의 아래로 연장된 제2 연장부(132), 제2 연장부(132)에 수직하고 제1 연장부(131)에 평행하도록 제2 연장부(132)로부터 연장된 제3 연장부(133)를 포함할 수 있고, 제3 연장부(133)의 끝단부는 제2 단부(130b)이다. 이러한 경우, 제1 단부(130a)는 제1 플레이트(121)의 일부분에 고정되어 제1 플레이트(121)의 외부와 연통되고, 제1 연장부(131), 제2 연장부(132) 및 제3 연장부(133)는 제1 흡음재(123), 격판(125) 및 제2 흡음재(124)를 관통하고, 제3 연장부(133)의 끝단부인 제2 단부(130b)는 제2 플레이트(122)의 일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통로형성부재(130)는 제1 플레이트(121) 및 제2 플레이트(122)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통로형성부재(130)는 그 둘레에 다수의 구멍(134)이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구멍(134)은 상기 제1 연장부(131), 제2 연장부(132) 및 제3 연장부(133)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통로형성부재(130)는 제1 플레이트(121), 제1 흡음재(123), 제2 흡음재(124) 및 제2 플레이트(122)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이때 통로형성부재(130)의 주변은 제1 흡음재(123) 및 제2 흡음재(124)로 둘러싸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파티션은 소음은 감쇄시키되 파티션을 사이에 둔 두 공간은 서로 바람이 통할 수 있도록 하며,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면, 파티션을 사이에 두고 제1 플레이트(121)에 마주하는 제1 공간과 제2 플레이트(122)에 마주하는 제2 공간(111)에서 발생된 소음은 제1 플레이트(121)의 개구(121a) 및 제2 플레이트(122)의 개구(122a)를 통해 흡음패널(120)의 내부로 유입되어 제1 흡음재(123) 및 제2 흡음재(124)를 통해 감쇄하게 된다. 이때, 제1 공간(111) 및 제2 공간(111)에서 발생된 소음은 통로형성부재(130) 내부로도 유입되게 된다.
통로형성부재(130) 내로 유입된 소음은 통로형성부재(130)의 제1 연장부(131), 제2 연장부(132), 제3 연장부(133)를 통과하게 되며, 이때 상기 소음은 제1 연장부(131), 제2 연장부(132) 및 제3 연장부(133) 둘레에 형성된 구멍(134)들을 통해 제1 흡음재(123) 및 제2 흡음재(124)를 향해 이동하여 흡음된다.
또한 통로형성부재(130)에는 소음과 함께 바람(공기)도 통과하게 된다. 예를 들면, 통로형성부재(130)의 제1 단부(130a)를 통해 소음과 함께 통로형성부재(130) 내부로 유입된 바람은 제1 연장부(131), 제2 연장부(132) 및 제3 연장부(133)를 통과하여 제2 단부(130b)측으로 이동하며, 이에 의해 상기 제1 공간(111)으로부터 상기 제2 공간(111)으로 바람은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파티션을 이용하면, 통로형성부재(130)를 통해 파티션을 통해 구획된 공간들 간에 바람이 통할 수 있게 되고, 이에 의해 예를 들면, 여름철에 실내에서 가동되는 에어컨의 바람이 파티션에 의해 구획된 각 공간들 모두에 공급될 수 있다.
실시예 3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파티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파티션은 파티션프레임(210), 흡음패널(220), 제1 플레이트(221), 제1 타공판(223), 격판(225), 제2 타공판(224), 제2 플레이트(222)를 포함할 수 있다.
파티션프레임(210), 제1 플레이트(221), 제2 플레이트(222), 격판(225)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파티션의 파티션프레임(210), 제1 플레이트(221), 제2 플레이트(222), 격판(225)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도 1을 참조한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한다.
제1 타공판(223)은 제1 플레이트(221)의 개구(221a)를 통해 유입된 소음을 감쇄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1 타공판(223)은 제1 플레이트(221)의 위로 배치되고 다수의 제1 타공(223a)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타공판(223)은 복수로 설치된다. 제1 타공판(223)이 복수로 설치될 때, 각각의 제1 타공판(223)은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
제2 타공판(224)은 제2 플레이트(222)의 개구(222a)를 통해 유입된 소음을 감쇄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2 타공판(224)은 격판(225)의 위로 배치되며 제2 플레이트(222)의 아래에 배치된다. 제2 타공판(224)은 복수로 설치된다. 제2 타공판(224)이 복수로 설치될 때, 각각의 제2 타공판(224)은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파티션은 제1 타공판(223) 및 제2 타공판(224)에 의한 소음 감쇄 작용을 하는 것으로서, 공명형으로 이루어진다.
소음이 감쇄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제1 플레이트(221)의 개구(221a)를 통해 유입된 소음은 제1 타공판(223)에 다수 형성된 제1 타공(223a)들을 불규칙한 패턴으로 통과하게 되고, 제1 타공(223a)들을 통과한 소음은 격판(225)에 부딪혀 다시 제1 타공판(223)을 향해 이동한다. 이와 같이 제1 플레이트(221)의 개구(221a)를 통해 유입된 소음은 복수의 제1 타공판(223) 및 격판(225) 사이의 공간들에서 이동 및 순환하는 과정에서 대부분 감쇄될 수 있다.
또한 제2 플레이트(222)의 개구(222a)를 통해 유입된 소음은 제2 타공판(224)에 다수 형성된 제2 타공(224a)들을 불규칙한 패턴으로 통과하게 되고, 제2 타공(224a)들을 통과한 소음은 격판(225)에 부딪혀 다시 제2 타공판(224)을 향해 이동한다. 이와 같이 제2 플레이트(222)의 개구(222a)를 통해 유입된 소음은 복수의 제2 타공판(224) 및 격판(225) 사이의 공간들에서 이동 및 순환하는 과정에서 대부분 감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파티션을 이용하면, 사무실과 같은 실내 공간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감쇄되며, 이에 의해 업무 집중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실시예 4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파티션을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파티션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파티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파티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파티션은 흡음패널(220)이 통로형성부재(2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파티션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파티션의 통로형성부재(230)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파티션의 통로형성부재(130)의 형태와 동일 또는 유사하며,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파티션의 통로형성부재(230)는 복수의 층을 이루는 다중관 형태이고, 상기 다중관의 각각의 층에는 다수의 구멍(23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통로형성부재(230)는 공명 형태로 소음을 감쇄시키는 본 발명의 실시예 3 및 실시예 4와 같은 파티션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통로형성부재(230) 내부로 유입된 소음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중 구조를 이루고 있는 각각의 관들에 형성된 구멍(234)들을 불규칙한 패턴으로 통과 및 순환하면서 감쇄될 수 있다. 따라서 통로형성부재(230)는 다중관 구조에 의해 소음은 감소시키고 바람은 통과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파티션을 이용하면, 통로형성부재(230)를 통해 파티션에 의해 구획된 공간들 간에 바람이 통할 수 있게 되고, 이에 의해 예를 들면, 여름철에 실내에서 가동되는 에어컨의 바람이 파티션에 의해 구획된 각 공간들 모두에 공급될 수 있다.
실시예 5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파티션을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파티션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파티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파티션은 제1 회절음 감쇄부재(141) 및 제2 회절음 감쇄부재(14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절음 감쇄부재(141) 및 상기 제2 회절음 감쇄부재(142)는 상기 파티션프레임(110)의 상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 또는 만곡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회절음 감쇄부재(141) 및 제2 회절음 감쇄부재(142)는 상기 파티션프레임(110)의 상단부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파티션과 동일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파티션은 흡음패널(120)을 통해 소음을 감쇄시킬 뿐만 아니라, 제1 회절음 감쇄부재(141) 및 제2 회절음 감쇄부재(142)에 의해 소음을 더욱 감쇄시킬 수 있다.
즉, 소음은 회절하는 성질이 있는데, 이러한 소음의 회절하는 성질에 의해 파티션의 일측 공간에서 발생된 소음이 파티션의 상단부를 넘어 다른 공간으로 회절하여 이동하는 것을 제1 회절음 감쇄부재(141) 및 제2 회절음 감쇄부재(142)에 의해 제한하여 소음을 더욱 감쇄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파티션을 사이에 둔 제1 공간(111) 및 제2 공간(111) 중 제1 공간에서 발생된 소음의 일부는 흡음패널(120)에 의해 감쇄되고 파티션의 상단부를 향해 이동하는 소음은 제1 회절음 감쇄부재(141)에 부딪혀 다시 파티션의 하단부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반복될 수 있고, 이러한 현상이 반복되는 것에 의해 회절하는 소음을 감쇄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공간에서 발생된 소음 역시 이러한 현상으로 감쇄될 수 있고, 이때에는 제2 회절음 감쇄부재(142)에 의해 회절하는 소음이 감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파티션은 소음의 감쇄 효과가 더욱 뛰어나다.
실시예 6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파티션을 도 12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파티션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파티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파티션은 제1 회절음 감쇄부재(141) 및 제2 회절음 감쇄부재(142)의 내면에 설치된 롤스크린장치(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파티션과 동일하다.
일 예로, 롤스크린장치(150)는 케이스(151), 보빈(152), 텐션스프링(153), 스크린(154), 당김바(155)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51)는 제1 회절음 감쇄부재(141) 및 제2 회절음 감쇄부재(142)의 일부분에 고정될 수 있고, 보빈(152), 텐션스프링(153), 스크린(154)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케이스(151)는 긴 장방형의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보빈(152)은 케이스(151) 내에 수용되고, 스크린(154)을 권취할 수 있다. 이러한 보빈(152)은 케이스(151)의 내부에서 케이스(151)의 길이 방향의 양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텐션스프링(153)은 보빈(152)이 회전될 때 탄성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보빈(152)에 감긴 스크린(154)이 펼쳐질 때 보빈(152)이 일측으로 회전한 후 다시 스크린(154)이 권취될 수 있도록 스크린(154)이 펼쳐질 때 보빈(152)이 회전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보빈(152)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텐션스프링(153)은 태엽 스프링일 수 있고, 이러한 경우 태엽 스프링의 일단은 보빈에 연결되고 타단은 케이스(151)의 내면에 고정될 수 있다.
스크린(154)은 일단부가 보빈(152)에 고정되어 보빈(152)에 권취될 수 있다. 스크린(154)은 평상시 보빈(152)에 권취된 채로 케이스(151) 내에 수용되고 필요시 케이스(151)의 내부에서 인출될 수 있다. 일 예로, 스크린(154)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사각의 시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스크린(154)의 인출 부분의 하단부에는 구멍(154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린(154)이 인출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해 파티션의 제1 플레이트(121) 및 제2 플레이트(122)에는 고정용 돌기(126)가 설치될 수 있다. 고정용 돌기(126)에는 상기 구멍(154a)이 체결되어 펼쳐진 스크린(154)이 고정될 수 있다.
당김바(155)는 스크린(154)의 인출 부분의 하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당김바(155)는 케이스(151)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이에 의해 당김바(155)는 케이스(151)의 외부에 노출되어 케이스(151)의 하단부에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당김바(155)는 스크린(154)을 케이스(151) 내부에서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 케이스(151)의 아래 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다.
이러한 롤스크린장치(150)는 파티션의 사용자가 메모지(예를 들면, 포스트잇), 문서, 달력 등을 고정하기 위한 사무용품으로 이용될 수 있다.
즉, 메모지, 문서, 달력 등을 고정 및 확인하기 위해 당김바(155)를 잡고 아래로 당기면 스크린(154)은 케이스(151)의 내부에서 인출되며, 인출된 스크린(154)에 형성된 구멍(154a)을 상기 고정용 돌기(126)에 고정하면 스크린(154)의 인출된 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메모지, 문서, 달력 등을 스크린(154)의 표면에 고정하여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파티션을 이용하면, 소음의 감쇄 효과와 함께 롤스크린장치(150)가 제공될 수 있으므로 업무의 효율성 및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파티션프레임 111 : 삽입공간
120 : 흡음패널 121 : 제1 플레이트
122 : 제2 플레이트 123 : 제1 흡음재
124 : 제2 흡음재 125 : 격판

Claims (11)

  1. 사각 형상의 삽입공간(111)을 형성한 파티션프레임(110); 및
    상기 삽입공간(111) 내부로 삽입되어 설치되는 흡음패널(120)을 포함하고,
    상기 흡음패널(120)은,
    상기 흡음패널(120)의 제1 외면을 형성하는 제1 플레이트(121);
    상기 제1 플레이트(121)의 위로 적층된 제1 흡음재(123);
    상기 제1 흡음재(123)의 위로 적층된 격판(125, 125', 125'', 125''');
    상기 격판(125, 125', 125'', 125''')의 위로 적층된 제2 흡음재(124); 및
    상기 제2 흡음재(124)의 위로 적층되고 상기 흡음패널(120)의 제2 외면을 형성하는 제2 플레이트(12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121) 및 상기 제2 플레이트(122)는 상기 흡음패널(120)의 외부로부터 음파가 유입되기 위한 다수의 개구(121a, 122a)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2. 사각 형상의 삽입공간(211)을 형성한 파티션프레임(210); 및
    상기 삽입공간(211) 내부로 삽입되어 설치되는 흡음패널(220)을 포함하고,
    상기 흡음패널(220)은,
    상기 흡음패널(220)의 제1 외면을 형성하는 제1 플레이트(221);
    상기 제1 플레이트(221)의 위로 배치되고 다수의 제1 타공(223a)을 형성한 하나 이상의 제1 타공판(223);
    상기 제1 타공판(223)의 위로 배치된 격판(225);
    상기 격판(225)의 위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제2 타공판(224); 및
    상기 제2 타공판(224)의 위로 배치되고 상기 흡음패널(220)의 제2 외면을 형성하는 제2 플레이트(22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221) 및 상기 제2 플레이트(222)는 상기 흡음패널(220)의 외부로부터 음파가 유입되기 위한 다수의 개구(221a, 222a)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판(125, 125', 125'', 125''')은 상기 격판의 장축방향의 단면이 곡선 또는 직선이 지그재그 형태로 연속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판(125')은 상기 격판(125')의 장축방향의 단면이 'S'자 형상이 연속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판(125'')은 상기 격판(125'')의 장축방향의 단면이 '<'와 같은 화살촉 형상이 연속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판(125''')은 상기 격판(125''')의 장축방향의 단면이 지그재그로 형태로 연속된 요철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패널(120, 220)은 상기 제1 플레이트(121, 221)로부터 상기 제2 플레이트(122, 222)를 향하여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로형성부재(130, 2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로형성부재(130, 230)는 상기 제1 플레이트(121, 221) 및 상기 제2 플레이트(122, 22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흡음패널(120, 220)의 외부와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형성부재(130)는 제1 단부(130a) 및 제2 단부(130b)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부(130a)는 상기 제1 플레이트(121, 221)에 고정되고,
    상기 제2 단부(130b)는 상기 제1 단부(130a)로부터 소정의 패턴으로 절곡된 형태로 상기 제2 플레이트(122, 222)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제2 플레이트(122, 222)에 고정되고,
    상기 통로형성부재(130)의 둘레에는 다수의 구멍(13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형성부재(230)는 복수의 층을 이루는 다중관 형태이고,
    상기 다중관의 각각의 층에는 상기 다수의 구멍(23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은 제1 회절음 감쇄부재(141) 및 제2 회절음 감쇄부재(14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절음 감쇄부재(141) 및 상기 제2 회절음 감쇄부재(142)는 상기 파티션프레임(110)의 상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 또는 만곡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회절음 감쇄부재(141) 및 제2 회절음 감쇄부재(142)는 상기 파티션프레임(110)의 상단부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은 상기 제1 회절음 감쇄부재(141) 및 상기 제2 회절음 감쇄부재(142)의 내면에 설치된 롤스크린장치(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KR1020140126707A 2014-09-23 2014-09-23 파티션 KR101664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6707A KR101664011B1 (ko) 2014-09-23 2014-09-23 파티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6707A KR101664011B1 (ko) 2014-09-23 2014-09-23 파티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299A true KR20160035299A (ko) 2016-03-31
KR101664011B1 KR101664011B1 (ko) 2016-10-10

Family

ID=55652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6707A KR101664011B1 (ko) 2014-09-23 2014-09-23 파티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40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173B1 (ko) * 2019-07-23 2020-04-16 양준석 소음저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8166B1 (ko) * 2020-02-27 2021-01-27 주식회사 오피스안건사 미세 먼지 제거 수단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칸막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058Y2 (ja) * 1988-04-20 1994-04-27 ヤマハ株式会社 室内防音用間仕切装置
JPH0637099B2 (ja) * 1989-04-19 1994-05-18 早川ゴム株式会社 制振防音パネル
KR100518631B1 (ko) * 2005-02-21 2005-10-05 주식회사 제일.원 종합 건축사 사무소 건축물용 층간 소음 방지장치
KR20120008773U (ko) 2011-06-14 2012-12-24 유상현 가구용 서랍 개폐장치
KR101272066B1 (ko) * 2010-07-14 2013-06-14 동원엔지니어링(주) 방음벽용 소음감쇠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058Y2 (ja) * 1988-04-20 1994-04-27 ヤマハ株式会社 室内防音用間仕切装置
JPH0637099B2 (ja) * 1989-04-19 1994-05-18 早川ゴム株式会社 制振防音パネル
KR100518631B1 (ko) * 2005-02-21 2005-10-05 주식회사 제일.원 종합 건축사 사무소 건축물용 층간 소음 방지장치
KR101272066B1 (ko) * 2010-07-14 2013-06-14 동원엔지니어링(주) 방음벽용 소음감쇠기
KR20120008773U (ko) 2011-06-14 2012-12-24 유상현 가구용 서랍 개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173B1 (ko) * 2019-07-23 2020-04-16 양준석 소음저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4011B1 (ko) 2016-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29911A (ko) 칸막이 패널
JP2008009014A (ja) 多孔質防音構造体
US2308869A (en) Acoustic wall panel
KR101664011B1 (ko) 파티션
US8910748B2 (en) Panel
KR101112444B1 (ko) 흡음블록을 이용한 방음판넬
JP2014037671A (ja) ブース装置及びその天井部ユニット
JP6222628B2 (ja) ペーパーコア材を使った吸音パネル
JP2017210867A (ja) ペーパーコア材を使った吸音パネル
DE102017126980A1 (de) System und Verfahren zur Fluidakustikbehandlung
KR20160059506A (ko) 흡음 방음판
JP6379413B2 (ja) コア材と多孔ボード材とを使った吸音パネル
KR101715241B1 (ko) 향음 기능을 갖는 흡음장치
EP2943728A1 (en) Attenuator for ventilation duct
KR102195355B1 (ko) 가설 방음판
KR101167090B1 (ko) 소음 감쇠기
JP2007203252A (ja) 換気口用フィルタ
CN106766084B (zh) 消音结构、风机盘管组件及风柜机组
DE102008000500A1 (de) Schallabsorbereinheit
JP2010008997A (ja) 吸音構造体
KR101810093B1 (ko) 흡차음형 목재 방음판 및 그것이 적용된 방음벽
EP2571022B1 (de) Schallabsorber
JP7074897B2 (ja) 防音構造体、防音パネル、及びルーバー
EP3587691B1 (de) Schalldaempfende vorrichtung
KR102284220B1 (ko) 흡음 기능을 제공하는 사물함 수납 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