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7938B1 - 리드프레임용 파워 로울러 장치 - Google Patents

리드프레임용 파워 로울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7938B1
KR100337938B1 KR1020000043968A KR20000043968A KR100337938B1 KR 100337938 B1 KR100337938 B1 KR 100337938B1 KR 1020000043968 A KR1020000043968 A KR 1020000043968A KR 20000043968 A KR20000043968 A KR 20000043968A KR 100337938 B1 KR100337938 B1 KR 100337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oller
slide
moving
co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3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0316A (ko
Inventor
변장우
Original Assignee
정몽훈
성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훈, 성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훈
Priority to KR1020000043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7938B1/ko
Publication of KR20020010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0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7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79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01L23/495Lead-frames or other flat l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ad Frames F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드프레임용 파워 로울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동판 피딩시 얼라인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이 감지센서의 감지된 신호값에 대응되게 구동하여 베이스플레이트 상면에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플레이트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정,역구동가능한 이동모터와;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상면 양단에 개구부를 갖되, 판상으로 형성구비된 사이드플레이트와;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의 상면에 볼트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가 구비되되, 그 상면 양단에 구비된 압압조절수단에 의해 상하방향 인.입출가능하게 구비되는 압압부재와;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의 개구부의 양단에 그 양단이 접촉되게 슬라이드 삽입되어 고정된 하부고정부재와, 이의 상부에 위치하되, 개구부의 양단에 상하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구비됨과 아울러 그 상면이 압압부재의 타단과 접촉되는 상부슬라이드부재와; 상기 하부고정부재와 상부슬라이드부재의 중앙에 각각 베어링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구비됨과 동시에 일방향 인입출가능한 하부 및 상부착탈부재와; 상기 하부 및 상부착탈부재를 일방향 각각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일방향 이동되는 하부 및 상부착탈부재의 일단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동판을 피딩시키는 구동로울러 및 상부로울러와; 상기 구동로울러의 타단에는 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여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로울러를 교체할 수 있으며, 또한 동판 피딩에 따른 얼라인을 자동으로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얼라인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리드프레임용 파워 로울러 장치{POWER ROLLER STRUCTURE FOR LEAD FRAME}
본 발명은 리드프레임용 파워 로울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리드프레임용 동판을 피딩시키는 파워 로울러 장치를 착탈가능하게 구성하고, 아울러 리드프레임용 동판 피딩시 이를 자동 정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파워 로울러장치의 로울러의 교체작업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동판의 정렬을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 있도록 한 리드프레임용 파워 로울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리드프레임(Lead frame)은 트랜지스터나 IC의 팰릿 조립에 사용되는 금속프레임으로서, 금속박판을 적당한 패턴으로 도포에칭 혹은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하며, 보통 복수개의 패턴이 연속한 리드프레임 스트립으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리드프레임 스트립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은 박판의 동판을 이송장치 예컨대 로울러장치를 이용하여 피딩시킨 후, 이 동판의 상면 및 배면에 드라이필름을 코팅시킴으로써 제조되며, 첨부된 도면 도 1은 상술한 리드프레임의 공정에 라인에 구비되는 종래의 일반적인 리드프레임용 파워 로울러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인 리드프레임용 파워 로울러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리드프레임용 파워 로울러 장치(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미도시된 동판을 피딩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이의 구성을 살펴보면, 하부를 이루는 베이스플레이트(11)의 상면에 복수개의 노브볼트(12)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13)가 구비되고, 이의 상면에 있는 이동플레이트(15)와 함께 위치조정용 스크류부재(14)에 의해 소정량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구비됨과 동시에 이동플레이트(15) 내측으로는 후술할 한쌍의 로울러부재(20,21)가 갖추어진다.
이 이동플레이트(15)의 양측면은 동판을 인입 및 입출시키기 위해 개구되고, 그 상부는 볼트(16)를 매개체로 하여 착탈가능하게 상부플레이트(17)가 결합 구비되며, 이 상부플레이트(17)의 상부면에는 압압핸들(18)이 복수개 구비된다.
한편, 상기 고정플레이트(13)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한쌍의 로울러(20,21)는 구동모터(19)에 연결되어 이의 구동모터(19)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로울러(20)가 구비되고, 이의 상부로는 상하단으로 소정량 이동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자유회전가능한 압착로울러(21)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압착로울러(21)는 동판을 최초 이의 압착로울러(21)와 회전로울러(20) 사이로 개재시켜 피딩시킬 수 있도록 소정량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압착로울러(21)는 이의 상단으로 이동플레이트(15)의 상단부 양측면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부재(22)에 그 양단이 볼트(23)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재(22)를 기준으로 상,하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판상의 전달플레이트(24)의 양단 절곡편(24a)에 상기 압착로울러(21)의 양축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전달플레이트(24)의 상부면과 상부플레이트(17)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압압핸들(18) 사이에는 각각 그 일단이 접촉하여 압압핸들(18)의 압압력을 전달시키기 위한 탄성을 갖는 전달스프링부재(25)가 개재된다.
따라서, 상기 압압핸들(18)을 누르면 그 압압력을 전달스프링부재(25)가 전달플레이트(24)를 누르게 되고, 이 누르는 힘에 의해 압착로울러(21)는 회전로울러(20)의 외주면과 접촉하게 된다.
한편, 도 1의 도면 좌측 상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플레이트(15)의 일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일단은 전달플레이트(24)의 연장편(24a)과 접촉되도록 그 일부가 절취된 요홈접촉면(26a)을 갖는 이탈핸들(26)이 구비된다. 즉 이탈핸들(26)의 회전조작로 요홈접촉면(26a)과 접촉하고 있는 전달플레이트(24)가 상방향으로 들리게 되면서 이의 연장편(24a)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압착로울러(21)가 소정량 들리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리드프레임용 파워 로울러 장치(10)를 구동시켜 동판을 피딩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첨부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동판의 피딩에 따른 얼라인을 위해 스크류부재(14)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11)의 상면에서 소정량 슬라이드 이동가능한 이동플레이트(15)를 이동시키기 위해 노브볼트(12)를 풀고 이후, 다시 베이스플레이트(11)에 고정시켜 동판과의 얼라인을 조절한다.
이후, 이탈핸들(26)을 회전시키면 이의 요홈접촉면(26a)과 접촉하고 있는 전달플레이트(24)의 연장편(24a)이 요홈접촉면(26a)이 아닌 다른면과 접촉함에 따라 회전부재(22)가 회전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전달플레이트(24)의 연장편(24a)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압착로울러(21)가 회전로울러로(20)부터 이격된다. 이때 동판을 로울러들 사이로 개재시킨다. 이후 이탈핸들(26)을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전달플레이트(24)의 상면과 접촉하고 있는 전달스프링부재(25)의 압압력에 의해 요홈접촉면(26a)과 전달플레이트(24)의 연장편(24a)이 접촉됨과 동시에 압착로울러(21)가 구동모터(19)에 연결되어 회전하고 있는 회전로울러(20)와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압착로울러(21)가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동판을 피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리드프레임용 파워 로울러 장치가 구동중에 이의 로울러가 손상되어 이를 교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노브볼트에 의해 고정구비된 고정플레이트를 분리시키고, 이동플레이트의 상부에 볼트결합된 상부플레이트를 탈거시키며, 이동플레이트의 양측면에 볼트고정된 회동부재를 탈거시킨 후, 전달플레이트의 연장편으로부터 회전로울러를 이탈시켜 교체하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로울러의 교체는 고정플레이트, 상부플레이트, 회동부재, 전달플레이트의 순으로 해체 한 후 교체가 이루어지므로 교체에 따른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장치는 동판의 크기에 맞게 이동플레이트를 작업자가 직접 위치조정용 스크류부재를 조정함으로서 가능하게 되므로 그 정확성이 떨어지는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동판의 얼라인을 센서에 의해 감지하고 이의 감지된 값에 대응되게 이동플레이트를 자동 조작하고 또한, 원터치 방식으로 로울러들을 착탈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로울러의 교체 작업이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동판 피딩시 보다 정확하게 피딩시킬 수 있도록 한 리드프레임용 파워 로울러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리드프레임용 파워 로울러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인 리드프레임용 파워 로울러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드프레임용 파워 로울러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상부 로울러 및 구동로울러를 도시한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드프레임용 파워 로울러 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리드프레임용 파워 로울러 장치 105 : 동판
110 : 감지센서 115 : 베이스플레이트
120 : 이동플레이트 125 : 이동모터
130 : 사이드플레이트 135 : 압압조절수단
140 : 압압부재 145 : 하부고정부재
150 : 상부슬라이드부재 155 : 하부착탈부재
160 : 상부착탈부재 165, 170 : 이동수단
175 : 구동로울러 180 : 상부로울러
185 : 구동모터 190, 195 : 하우징
200, 205 : 핸들부 210, 215 : 연결부재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리드프레임 스트립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에 구비되어 박판의 동판을 피딩시키는 리드프레임용 파워 로울러 장치에 있어서, 동판 피딩시 얼라인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이 감지센서의 감지된 신호값에 대응되게 구동하여 베이스플레이트 상면에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플레이트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정,역구동가능한 이동모터와;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상면 양단에 개구부를 갖되, 판상으로 형성구비된 사이드플레이트와;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의 상면에 볼트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가 구비되되, 그 상면 양단에 구비된 압압조절수단에 의해 상하방향 인.입출가능하게 구비되는 압압부재와;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의 개구부의 양단에 그 양단이 접촉되게 슬라이드 삽입되어 고정된 하부고정부재와,이의 상부에 위치하되, 개구부의 양단에 상하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구비됨과 아울러 그 상면이 압압부재의 타단과 접촉되는 상부슬라이드부재와; 상기 하부고정부재와 상부슬라이드부재의 중앙에 각각 베어링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구비됨과 동시에 일방향 인입출가능한 하부 및 상부착탈부재와; 상기 하부 및 상부착탈부재를 일방향 각각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일방향 이동되는 하부 및 상부착탈부재의 일단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동판을 피딩시키는 구동로울러 및 상부로울러와; 상기 구동로울러의 타단에는 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프레임용 파워 로울러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이동수단은 하부고정부재와 상부슬라이드부재에 각각 볼트 고정되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어 이를 기점으로 회동가능하게 각각 구비되는 핸들부와, 상기 핸들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하부 및 상부착탈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핸들부의 조작에 대응되게 하부 및 상부착탈부재가 구동로울러 및 상부로울러와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프레임용 파워 로울러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드프레임용 파워 로울러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프레임 스트립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에 구비되어 박판의 동판을 피딩시키는 리드프레임용 파워 로울러 장치(100)는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동판(105) 피딩시 얼라인을 감지하는 한쌍의 감지센서(110)와, 이 감지센서(110)의 감지된 신호값에 대응되게 구동하여 베이스플레이트(115)상에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플레이트(120)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정,역구동가능한 이동모터(125)와, 상기 이동플레이트(120)의 상면 양단에 상향 개구부(130a)를 갖는 판상의 사이드플레이트(130)와, 상기 사이드플레이트(130)의 상면에 볼트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130b)가 구비되되, 그 상면 양단에 구비된 압압조절수단(135)에 의해 상하방향 인.입출가능하게 구비되는 압압부재(140)와, 상기 사이드플레이트(130)의 개구부(130a)의 양단에 그 양단이 접촉되게 슬라이드 삽입되어 고정된 하부고정부재(145) 및 이의 상부에 위치하되, 개구부(130a)의 양단에 상하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구비됨과 동시에 그 상면이 압압부재(140)의 타단과 접촉되는 상부슬라이드부재(150)와, 상기 하부고정부재(145)와 상부슬라이드부재(150)의 중앙에 각각 베어링(155a, 160a)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구비됨과 동시에 일방향 인입출가능한 하부 및 상부착탈부재(155, 160)와, 상기 하부 및 상부착탈부재(155, 160)를 일방향 각각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165, 170)과, 상기 이동수단(165, 170)에 의해 일방향 이동되는 하부 및 상부착탈부재(155, 160)의 일단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동판(105)을 피딩시키는 구동로울러 및 상부로울러(175, 180)와, 상기 구동로울러(175)의 타단에는 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185)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이동수단(165, 170)은 첨부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고정부재(145)와 상부슬라이드부재(150)에 각각 볼트 고정되는 하우징(190, 195)과, 이 하우징(190, 195)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어 이를 기점으로 회동가능하게 각각 구비되는 핸들부(200, 205)와, 상기 핸들부(200, 205)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하부 및 상부착탈부재(155, 160)에 연결되어 상기 핸들부(200, 205)의 조작에 대응되게 하부 및 상부착탈부재(155, 160)가 구동로울러 및 상부로울러와(175, 180)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부재(210, 215)로 이루어진다.
즉, 구동로울러 및 상부로울러(175, 180)를 사이드플레이트(130)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동판(105) 피딩시 수동으로 이동플레이트(120)를 조작하지 않고 감지센서(110)에 의해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리드프레임용 파워 로울러 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동판(105)이 전공정으로부터 피딩되면 이를 감지센서(110)가 센싱하게 된다. 이 센싱된 값에 대응되게 이동모터(125)가 구동하고 이의 구동으로 인하여 베이스플레이트(115) 상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된 이동플레이트(120)가 동판을 정확하게 피딩시킬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상부플레이트(130b)의 상면 양단에 구비된 압압조절수단(135)을 조절하여 압압력을 제거하면 이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부슬라이드부재(150)의 상면에 접촉하고 있는 압압부재(140)가 작동하여 상부슬라이드부재(150)의 상면과 이격된다. 이후, 상부로울러(180)를 상방향으로 들어 올리면 사이드플레이트(13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된 상부슬라이드부재(150)가 상향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고, 이의 이동으로 상부착탈부재(160)에 일단이 연결되며, 구동로울러(175)의 상부에 구비된 상부로울러(180)가 상방향 이동하게 된다.
이후, 동판(105)을 상기 로울러(175,180)들 사이로 개재시킨다.
이와 같이 동판(105)이 상기 로울러(175,180)들 사이에 개재되면 이의 동판(105)을 피딩시키도록 압압조절수단(135)을 조절하여 압압력을 공급하면, 이에 대응되게 압압부재(140)가 작동하여 상부슬라이드부재(150)의 상면과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구동모터(125)에 의해 구동하고 있는 구동로울러(175)와 상부로울러(180)사이로 개재되므로 동판(105)는 다음 공정으로 피딩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동중인 리드프레임용 파워 로울러 장치(100)의 구동 또는 상부로울러(175, 180)가 손상을 입어 이를 교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플레이트(130b)의 상면 양단에 구비된 압압조절수단(135)를 조절하여 압압력을 제거하면 상부슬라이드부재(150)의 상면과 접촉하고 있는 압압부재(140)가 이격된다.
이때 이동수단(170)의 핸들부(205)를 상향회동시키면 하우징(195)내측으로 그 일단은 상부착탈부재(160)와 핸들부(205)에 연결된 연결부재(215)가 인입되고, 이로 인해 상부착탈부재(160)의 타단이 상부로울러로(180)부터 이탈되게 된다.
즉, 베이스플레이트(115)의 상면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플레이트(120)와 이의 상부에 볼트결합된 상부플레이트(130b)를 해체시키지 않고도 이동수단(170)의 핸들부(205)만 회동시키면 간단하게 상부로울러(180)를 사이트플레이트(130)로부터 쉽게 이탈시킬 수 있다.
물론 구동로울러(175)의 탈거도 전술한 상부로울러(180)와 동일하게 하면 된다.
이상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동판을 피딩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파워 로울러 장치의 로울러의 교체를 이동수단의 핸들부를 회동시키면 로울러를 탈거시킬 수 있으므로 이의 로울러의 교체가 보다 쉽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동판 피딩시 얼라인을 맞추어 이동하는 이동플레이트의 이동을 감지센서로 감지한 후, 이의 감지된 값에 따라 이동플레이트를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보다 정확하고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리드프레임 스트립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에 구비되어 박판의 동판을 피딩시키는 리드프레임용 파워 로울러 장치에 있어서,
    동판 피딩시 얼라인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이 감지센서의 감지된 신호값에 대응되게 구동하여 베이스플레이트 상면에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플레이트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정,역구동가능한 이동모터와;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상면 양단에 개구부를 갖되, 판상으로 형성구비된 사이드플레이트와;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의 상면에 볼트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가 구비되되, 그 상면 양단에 구비된 압압조절수단에 의해 상하방향 인.입출가능하게 구비되는 압압부재와;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의 개구부의 양단에 그 양단이 접촉되게 슬라이드 삽입되어 고정된 하부고정부재와, 이의 상부에 위치하되, 개구부의 양단에 상하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구비됨과 아울러 그 상면이 압압부재의 타단과 접촉되는 상부슬라이드부재와;
    상기 하부고정부재와 상부슬라이드부재의 중앙에 각각 베어링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구비됨과 동시에 일방향 인입출가능한 하부 및 상부착탈부재와;
    상기 하부 및 상부착탈부재를 일방향 각각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일방향 이동되는 하부 및 상부착탈부재의 일단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동판을 피딩시키는 구동로울러 및 상부로울러와;
    상기 구동로울러의 타단에는 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프레임용 파워 로울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하부고정부재와 상부슬라이드부재에 각각 볼트 고정되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어 이를 기점으로 회동가능하게 각각 구비되는 핸들부와, 상기 핸들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하부 및 상부착탈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핸들부의 조작에 대응되게 하부 및 상부착탈부재가 구동로울러 및 상부로울러와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프레임용 파워 로울러 장치.
KR1020000043968A 2000-07-29 2000-07-29 리드프레임용 파워 로울러 장치 KR100337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3968A KR100337938B1 (ko) 2000-07-29 2000-07-29 리드프레임용 파워 로울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3968A KR100337938B1 (ko) 2000-07-29 2000-07-29 리드프레임용 파워 로울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0316A KR20020010316A (ko) 2002-02-04
KR100337938B1 true KR100337938B1 (ko) 2002-05-24

Family

ID=19680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3968A KR100337938B1 (ko) 2000-07-29 2000-07-29 리드프레임용 파워 로울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793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0316A (ko) 2002-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3569B1 (ko) 피딩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용 키패드의 원단 펀칭기
KR100337938B1 (ko) 리드프레임용 파워 로울러 장치
JP4342108B2 (ja) 印刷ユニットのローラをロックする方法および装置
EP0447162B1 (en) Thermal line printer
KR100285288B1 (ko) 라벨 자동 절단장치
CN113415072A (zh) 一种纸箱加工的印刷设备
JP2006521941A (ja) フレキソ印刷インク及びラッカーを用いる印刷
CN112299114A (zh) 一种膜料压合的收废装置
JPS6254637B2 (ko)
JP2866037B2 (ja) 輪転印刷機のための枚葉紙引き渡し胴
JP2008272913A (ja) セラミック基板形成装置
US5385096A (en) Printing plate contaminant removing device for printing press
JP2004177603A (ja) 画像露光装置
KR200247996Y1 (ko) 철판 이송용 롤러에 부착된 이물질 제거장치
CN218903396U (zh) 一种钣金成型用工业机器人的弯折机构
JP2582188B2 (ja) スクリーン印刷機における版取付枠の位置制御装置
KR100413068B1 (ko) 전사인쇄장치
KR100407791B1 (ko) 금박 인쇄장치
CN110978767B (zh) 一种柔版印刷机组
CN218577276U (zh) 一种纸板印刷设备
CN210590990U (zh) 一种用于移印机的定位机构
WO2000073068A1 (en) Film pressing system of a caption printer
KR200366807Y1 (ko) 인쇄용 피에스판 펀칭기의 카메라 이송장치
JPH09248896A (ja) 案内要素の軸方向移動調整装置
JP3100181U (ja) 全自動線上位置合わせパン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