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7492B1 - 무인보안 경보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인보안 경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7492B1
KR100337492B1 KR1019990020809A KR19990020809A KR100337492B1 KR 100337492 B1 KR100337492 B1 KR 100337492B1 KR 1019990020809 A KR1019990020809 A KR 1019990020809A KR 19990020809 A KR19990020809 A KR 19990020809A KR 100337492 B1 KR100337492 B1 KR 100337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ruder
unit
signal
microprocessor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0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1532A (ko
Inventor
정보영
Original Assignee
정보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보영 filed Critical 정보영
Priority to KR1019990020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7492B1/ko
Publication of KR20010001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1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7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74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B43K23/12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s
    • B43K23/126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s with 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5/00Attaching writing implements to wearing apparel or objects involving constructional changes of the implements
    • B43K25/02Clips
    • B43K25/022Clips attached to a pen cap

Landscapes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특정공간 내에 침입자를 감지하여 그 사실을 경보하는 무인보안 경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침입자로부터 고유의 냄새가스를 감지하는 후각용 가스센서와, 상기 침입자로부터 발생하는 고유의 소리를 감지하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침입자로부터 온도를 감지하는 적외선센서과, 상기 침입자의 영상을 촬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서 촬상된 영상으로부터 움직임을 분석하고 인식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는 영상인식부를 가지고 후각과 청각과 시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상기 침입자를 3차원의 입체적으로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가스센서와 마이크로폰과 적외선센서의 감지신호를 증폭하고 노이즈를 필터링하여 인식가능한 파형으로 정형화하는 감지신호처리수단과; 상기 감지신호처리수단의 출력신호 및 상기 영상인식부와 이에 대한 기준신호를 비교, 판단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내부 출입자의 학습데이터를 저장하는 제어메모리부와; 상기 제어메모리부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출력신호와 상기 학습데이터와 기준신호를 비교, 판단하기 위한 산술적인 연산을 수행하고 그 결과에 기초한 적어도 하나의 경보신호와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경보신호에 의해 시각적으로 침입사실을 알려주는 경고등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경보신호에 의해 청각적으로 침입사실을 알려주는 경고음발생부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경보신호에 의해 침입사실을 통신라인으로 원격한 위치에게로 알려주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침입자의 냄새와 소리 및 온도와 영상으로 3차원의 입체적인 감지가 가능하기 때문에 사각지역에 위치한 침입자를 정확하게 인지하여 실내외는 물론 통신을 통하여 경보할 수 있고, 침입시 신속하게 출입구를 차단하여 침입자를 감금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무인보안 경보시스템{MANLESS PRESERVATION ALARM SYSTEM FOR PREVENTION OF INVASION}
본 발명은 무인보안 경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공간에 침입한 사람을 감지하여 외부 또는 내부로 그에 대한 경보를 수행하는 무인보안 경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무인보안 경보시스템은 가정집이나 사무실이나 공장에 관리자 즉 내부인이 아닌 침입자(사람 또는 동물)를 감지하여 경고등이나 경고알람으로 침입사실을 알려주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무인보안 경보시스템은 출입구에 설치되는 도어감지장치에 의해서 출입도어의 개폐여부를 감지하여 침입사실을알려주는 단순한 시스템이 개발된 후에 상기 단순시스템의 단점을 보안하고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킨 첨단의 비젼경보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런데, 상기 비젼경보시스템은 카메라를 이용한 임의의 물체 움직임의 검출에 따라 외부로부터의 침입상태를 판단하여그 침입사실을 알려주는 것으로, 사각지가 있는 경우 그 침입사실을 완벽하게 알 수 없는 단점이 있으며, 이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는 다수개의 카메라를 설치하여야 하는데 그 설치비와 관리비가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적외선을 이용한 감지시스템일 경우에는 상기 카메라보다 그 감지범위가 좁아 감지영역이 넓을 경우 카메라의 경우보다 더 많이 설치되어야 하고, 그에 따른 비용 또한, 상당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소정의 특정공간에 침입자가 있을 경우 사각지역 및 3차원의 공간을 입체적으로 확실하게 감지하여 통신이나, 기타의 경보수단으로 외부 및 내부에 알려주도록 한 무인보안 경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보안 경보시스템을 나타낸 볼록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감지부 3 ; 감지신호처리부
5 ; 제어부 7 ; 경고부
9 ; 가스센서 11 ; 마이크로폰
13 ; 적외선센서 15 ; 제어메모리부
17 ; 마이크로프로세서 19 ; 경고등
21 ; 경고음발생부 23 ; 통신부
25 ; 외부명령인식부 27 ; 카메라
29 ; 영상인식부 31 ; 출입저지부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소정의 특정공간 내에 침입자를 감지하여 그 사실을 경보하는 무인보안 경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침입자로부터 고유의 냄새가스를 감지하는 후각용 가스센서와, 상기 침입자로부터 발생되는 고유의 소리를 감지하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침입자로부터 온도를 감지하는 적외선센서과, 상기 침입자의 영상을 촬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서 촬상된 영상으로부터 움직임을 분석하고 인식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는 영상인식부를 가지고 후각과 청각과 시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상기 침입자를 3차원의 입체적으로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가스센서와 마이크로폰과 적외선센서의 감지신호를 증폭하고 노이즈를 필터링하여 인식가능한 파형으로 정형화하는 감지신호처리수단과; 상기 감지신호처리수단의 출력신호 및 상기 영상인식부와 이에 대한 기준신호를 비교, 판단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내부 출입자의 학습데이터를 저장하는 제어메모리부와; 상기 제어메모리부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출력신호와 상기 학습데이터와 기준신호를 비교, 판단하기 위한 산술적인 연산을 수행하고 그 결과에 기초한 적어도 하나의 경보신호와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경보신호에 의해 시각적으로 침입사실을 알려주는 경고등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경보신호에 의해 청각적으로 침입사실을 알려주는 경고음발생부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경보신호에 의해 침입사실을 통신라인으로 원격한 위치에게로 알려주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무인보안 경보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는 외부로부터 상기 통신라인을 통하여 수신된 원격 명령을 해석 및 인식하기 위한 외부명령인식부와, 상기 외부명령인식부로 인가된 외부명령에 따라 상기 특정공간의 출입구를 폐쇄시키는 출입저지부가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보안 경보시스템을 나타낸 볼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인보안 경보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정의 방, 거실 및 부엌과 사무실 등과 같은 임의의 특정한 공간내에 설치되어 침입자로부터 그 특정한 공간에 대한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침입자로부터 발생하는 고유의 냄새 또는 소리를 후각과 청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감지하는 감지부(1)와, 상기 감지부(1)의 감지신호를 소정크기의 이득으로 증폭하고 이로부터 잡음신호를 다시 필터링하여 인식가능한 정상적인 파형을 정형화하는 감지신호처리부(3)와, 상기 감지신호처리부(3)로부터의 출력신호와 보안을 위한 기준신호(정상상태일 경우 다수회 반복된 내부인의 감지신호를 학습한 신호)를 비교 및 판단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5)와, 상기 제어부(5)의 경보신호에 기초하여 실외와 실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향하여 시각과 청각과 통신라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경보하는 경보부(7)를 가지고있다. 이 때, 상기 감지신호처리부(3)는 증폭부와 필터부와 파형정형부로 구성되어 있다.
감지부(1)는 가스센서(9)와, 마이크로폰(11)과, 적외선센서(13)로 구성되어 각각 개별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가스센서(9)는 상기 침입자로부터 발생되는 고유의 냄새가스를 감지하여 냄새신호를 출력하고, 마이크로폰(11)은 상기 침입자로부터 발생되는 고유의 소리를 전기적인 음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적외선센서(13)는 상기 침입자로터 발생된 온도를 감지하여 전기적인 온도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이다.
제어부(5)는 정상상태일 경우에 감지되는 내부 출입자의 모든 데이터 즉 상기 가스센서(9)로부터 냄새신호, 마이크로폰(11)으로부터 음신호, 적외선센서(13)로부터 온도신호를 다수회 반복해서 저장하고, 이를 시간대별로 분류하는 학습알고리즘을 수행하여 최종적으로 학습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학습데이터와 상기 감지부(1)에서 입력되는 현재의 감지신호를 비교 및 판단하여 그 판단에 기초하여 경보신호를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학습알고리즘과 학습데이터 및 비교, 판단알고리즘은 제어메모리부(15)에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제어메모리부(15)에 데이터를 산술적으로 연산은 마이크로프로세서(17)에서 수행된다.
즉, 시스템이 외부 출입자와 내부 출입자를 구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어부(5)는 정상상태일 때의 내부 출입자의 감지데이터 즉 냄새데이터, 소리데이터, 온도데이터의 특성을 분석하고, 학습하여 최종의 학습데이터(기준데이터신호)를 저장하고 있으며, 무인보안상태일 경우 상기 의 학습데이터와, 상기 감지신호처리부(3)의 출력신호 즉 현재의 침입자의 후각과 청각 및 온도에 대한 데이터신호를 비교하고 판단하여 그 결과에 따라 침입사실을 경보신호로 발생시킨다.
경보부(7)는 상기 제어부(5)로부터의 경보신호에 기초하여 시각적으로 상기 침입사실을 알려주는 경고등(19)와, 상기 경보신호에 기초하여 청각적으로 상기 침입사실을 경고음으로 알려주는 경고음발생부(21)와, 상기 경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침입사실을 통신라인으로 원격한 위치의 장소에게 통신를 개시하고 그 침입사실을 음성으로 알려주는 송신용 통신부(23)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상기 경고등(19)은 소정의 밝기를 가지고 시스템을 리셋팅하기 전까지 점멸되며, 상기 경고음은 침입사실을 사실적으로 즉 "현재 어디에 무단침입 발생"이라는 음성 또는 특정한 주파수를 갖는 소리이다. 이 때, 상기 통신부(23)의 음성과 상기 경고음의 음성은 상기 제어메모리부(15)에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통신부에는 수신을 위하여 전속된 상기 통신라인을 통한 외부의 원격명령을 상기 제어부(5)가 인가하도록 해석해서 인가하는 외부명령인식부(25)가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부(5)는 상기 외부명령인식부(25)로 인가된 명령에 의해서 상기 특정공간의 출입구를 폐쇄시키는 출입저지부(31)가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출입저지부(31)는 상기 출입문을 개폐구동하고, 폐쇄된 출입문을 잠금락(lock)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5)의 경보신호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17)에는 특별한 감지부(1) 즉 영상인식부(29)와 카메라(27)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있는데, 카메라(27)는 상기 침입자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상하고, 영상인식부(29)는 상기 촬상된 영상으로부터 움직임을 분석하고 인식하여 그 결과를 상기 제어부(5)에게 출력한다.
한편,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7)에는 상기 감지부(1)의 기능 이외에 독특한 감지기능을 갖는 소자 및 장치를 확장하여연결할 수 있는 외부확장포트(33)가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무인보안 경보시스템은 정상상태의 경우에 내부인의 감지데이터를 연속적으로 학습하고, 방범상태일 경우에 그 학습된 데이터신호와 침입자의 냄새와 소리 및 온도와 영상에 대한 감지신호를 비교하고 현재 실내에 있는 사람의 침입유무를 판단하여 경찰서 또는 경비실, 방범센타에게로 비상통신을 수행하거나, 실내 또는 실외에 경고음이나 경고등으로 침입사실을 알려준다.
이 때, 상기 비상통신은 ARS음성으로 침입사실을 알려주고, 상기 경고음은 음성 및 소리로 알려준다. 그리고, 외부에서 침입사실을 인지하여 통신으로 본 시스템으로 출입구 폐쇄명령을 전송하면 실내의 출입구가 폐쇄되어 침입자의 도주로를 차단하게 된다.
본 발명은 침입자의 냄새와 소리 및 온도와 영상으로 3차원의 입체적인 감지가 가능하기 때문에 사각지역에 위치한 침입자를 정확하게 인지하여 실내외는 물론 통신을 통하여 경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침입시 신속하게 출입구를 차단하여침입자를 감금시킬 수 있어 거의 완벽한 보안방범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무인보안 경보시스템이 제공된다.

Claims (6)

  1. 소정의 특정공간 내에 침입자를 감지하여 그 사실을 경보하는 무인보안 경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침입자로부터 고유의 냄새가스를 감지하는 후각용 가스센서와, 상기 침입자로부터 발생되는 고유의 소리를 감지하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침입자로부터 온도를 감지하는 적외선센서와, 상기 침입자의 영상을 촬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서 촬상된 영상으로부터 움직임을 분석하고 인식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는 영상인식부를 가지고 후각과 청각과 시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상기 침입자를 3차원의 입체적으로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가스센서와 마이크로폰과 적외선센서의 감지신호를 증폭하고 노이즈를 필터링하여 인식가능한 파형으로 정형화하는 감지신호처리수단과;
    상기 감지신호처리수단의 출력신호 및 상기 영상인식부와 이에 대한 기준신호를 비교, 판단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내부 출입자의 학습데이터를 저장하는 제어메모리부와;
    상기 제어메모리부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출력신호와 상기 학습데이터와 기준신호를 비교, 판단하기 위한 산술적인 연산을 수행하고 그 결과에 기초한 적어도 하나의 경보신호와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경보신호에 의해 시각적으로 침입사실을 알려주는 경고등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경보신호에 의해 청각적으로 침입사실을 알려주는 경고음발생부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경보신호에 의해 침입사실을 통신라인으로 원격한 위치에게로 알려주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보안 경보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는 외부로부터 상기 통신라인을 통하여 수신된 원격명령을 해석 및 인식하기 위한 외부명령인식부와;
    상기 외부명령인식부로 인가된 외부명령에 따라 상기 특정공간의 출입구를 폐쇄시키는 출입저지부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보안 경보시스템.
  6. 삭제
KR1019990020809A 1999-06-05 1999-06-05 무인보안 경보시스템 KR100337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0809A KR100337492B1 (ko) 1999-06-05 1999-06-05 무인보안 경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0809A KR100337492B1 (ko) 1999-06-05 1999-06-05 무인보안 경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532A KR20010001532A (ko) 2001-01-05
KR100337492B1 true KR100337492B1 (ko) 2002-05-23

Family

ID=19590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0809A KR100337492B1 (ko) 1999-06-05 1999-06-05 무인보안 경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74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2448B1 (ko) * 2013-06-27 2014-01-10 박한영 원격 감시 장치와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5711A (ko) * 2001-03-27 2002-10-05 전순용 압력 변화에 감응하는 보안 시스템 및 방법
CN116386245A (zh) * 2023-06-07 2023-07-04 吉林省日月智感互联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模块化设计的无人值守报警系统及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2448B1 (ko) * 2013-06-27 2014-01-10 박한영 원격 감시 장치와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532A (ko) 200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4942B2 (en) Local ver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ty monitoring
US5091780A (en) A trainable security system emthod for the same
US6441734B1 (en) Intruder detection through trajectory analysis in monitoring and surveillance systems
KR100809044B1 (ko) 비접촉식 얼굴인증 도어락 시스템
US20070182543A1 (en) Intelligent Home Security System
US20170132888A1 (en) Intruder detection devices, methods and systems
CN116457851B (zh) 用于地产监控的系统和方法
KR100297059B1 (ko) 스테레오 비젼의 3차원 정보를 이용한 동작 검출기 및 그 방법
KR100337492B1 (ko) 무인보안 경보시스템
EP2182495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 alarm apparatus and method
KR100746650B1 (ko) 블루투스 카메라장치 및 보안 카메라 시스템
JP2005309965A (ja) 宅内セキュリティ装置
KR20170121934A (ko) 스마트 도어벨 및 이를 포함한 주택 보안 시스템
KR20040039661A (ko) 마이크로웨이브 감지기
JPH10162256A (ja) 防犯システム
KR101131659B1 (ko) 방범장치가 일체화된 현관등
CN213241391U (zh) 一种基于红外探测器的智能家居防入侵监控系统
KR102154409B1 (ko) 출입 감지 장치
US20230071428A1 (en) Security system with ferromagnetic sensing
KR200374832Y1 (ko) 홈 보안 시스템
KR102469066B1 (ko) 문 스트라이크 장치를 이용한 침입 방범 시스템
KR20190143514A (ko) 얼굴인식 도어록과 연동하는 집관리 보안로봇 및 이를 이용한 집관리 보안방법
KR100625773B1 (ko) 실내온도조절기를 이용한 비상 통보시스템
KR200360324Y1 (ko) 실내온도조절기를 이용한 비상 통보시스템
JPH06282654A (ja) 学習可能な保安装置とそ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