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7208B1 - 흡수식냉난방장치 - Google Patents

흡수식냉난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7208B1
KR100337208B1 KR1019970069638A KR19970069638A KR100337208B1 KR 100337208 B1 KR100337208 B1 KR 100337208B1 KR 1019970069638 A KR1019970069638 A KR 1019970069638A KR 19970069638 A KR19970069638 A KR 19970069638A KR 100337208 B1 KR100337208 B1 KR 100337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regenerator
condenser
refrigerant
evapo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9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4226A (ko
Inventor
아키라 스즈키
마나부 가가와
도루 후쿠다
도시미츠 다카이시
미츠루 이시가와
히데타카 가야누마
Original Assignee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54168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28127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94812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363057B2/ja
Application filed by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모토 노부히코
Publication of KR19980064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4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7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7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9/00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e.g. operating alternately or simultaneously
    • F25B29/006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e.g. operating alternately or simultaneously of the sorption type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7/00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intermittently, e.g. absorption or adsorption type
    • F25B17/02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intermittently, e.g. absorption or adsorption type the absorbent or adsorbent being a liquid, e.g. br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5/00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 F25B15/02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without inert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3/00Boilers; Analysers; Rectif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sorpt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46Operating intermittent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7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 F25B2313/0274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using two four-way 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7Relating to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technolog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62Absorption base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orption Type Refrigeration Machines (AREA)

Abstract

난방과 히트펌프, 직화 가열 난방의 변환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는 흡수식 냉난방 장치는 증발기(1)에서 발생한 냉매 증기를 흡수하여 흡수열을 발생하는 흡수제 용액을 수용하는 흡수기(2)와, 상기 용액중의 흡수제 농도를 회복시키는 재생기(3)와, 재생기에서 추출된 냉매를 응축시켜 상기 증발기로 환류하는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내에 배치된 냉수용 제 1관로와, 상기 흡수기 및 응축기내에 배치된 냉각수용 제 2관로와, 상기 냉수 및 냉각수의 한쪽을 공급하는 제 3관로를 가지며, 냉난방용 바람을 실내로 불어 넣는 실내기와, 상기 냉수 및 냉각수의 다른쪽을 공급하는 제 4관로를 가지며, 외기와의 열교환을 하는 현열 교환기를 구비한다. 냉방 모드에서는 상기 제 1 및 제 2관로가 각각 상기 제 3, 제 4관로에 연결되고, 난방모드에서는 상기 제 1 및 제 2관로가 각각 상기 제 4, 제 3관로에 연결되도록 한쌍의 4방 밸브에 의하여 관로를 변환한다.

Description

흡수식 냉난방 장치{COOLING AND HEATING APPARATUS OF ABSORPTION TYPE}
본 발명은 흡수식 냉난방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상의 난방 모드에서는 히트 펌프에 의한 고효율의 난방을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외기 온도가 낮아열의 퍼올림이 어려워질때에도 직화 가열 모드로 변환함으로써 난방 능력을 저하시키지 않고 난방을 행할 수 있으며, 또한 냉방과 히트펌프 난방 및 직화 가열 난방의 모드 변환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는 흡수식 냉난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직화 가열 난방으로부터 히트 펌프난방으로의 모드 변환시의 기동을 개선할 수 있는 흡수식 냉난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흡수 냉동기는 종래는 냉방 전용으로서 이용되고 있었으나, 최근 냉방 뿐만 아니라 흡수기로 퍼올린 열을 이용하여 히트 펌프난방도 행할 수 있게 한 냉난방 장치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히트 펌프 난방에는 외기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외기로부터의 열을 퍼올림 효율이 저하하여 간다는 특성이 있다. 그래서 외기 온도가 낮은 경우에 히트 펌프 난방을 대신하여 직화 가열 난방을 행할 수 있게 한 장지가 제안되어 있다.
일본국 특공평 1-47714호 공보, 특개평 6-2980호 공보, 특공평 7-96977호 공보등에는 냉난방에 공용할 수 있는 흡수식 히트 펌프장치나 흡수식 냉온수기가 제안되어 있다. 또 특공평 6-97127호 공보에는 냉방, 히트 펌프 사이클에 의한 난방 및 직화 가열에 의한 난방의 3모드로 할 수 있는 흡수식 냉난방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의 공냉식 흡수 냉난방기에서는 냉방에서 난방으로, 또는 그 반대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이 매우 복잡하게 되기 때문에 난방에 실용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어 상기 특공평 6-97127호 공보의 장치에서는 냉방과 히트 펌프난방의 모드 변환시 냉매 유로 또는 흡수제 용액 유로의 변환이 필요하며, 이것에 수반하여 냉매 계통에 흡수제 용액이 혼입한다. 이 때문에 냉방/히트펌프 난방/직화 가열 난방의 3모드간의 변환 기구가 매우 복잡화한다. 또 특공평 1-47714호 공보의 장치에서는 냉난방의 변환에 4방 밸브를 이용하여 유로 변환의 간단화를 도모하고 있으나, 역시 냉매 유로 및 흡수제 용액 유로의 변환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이 변환 시점에서 냉매액과 흡수제 용액이 혼합하기 때문에 변환후에 소정 성능을 발휘하기 까지에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냉방/히트 펌프난방의 모드 변환시에 냉매와 흡수제 용액이 혼합되지 않고, 히트 펌프난방과 직화 가열 난방과의 모드 변환도 간단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는 흡수식 냉난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 1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직화 가열 난방으로부터 히트 펌프 난방으로의 모드 이행시의 냉매량을 확보하여 히트 펌프난방의 기동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흡수식 냉난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다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냉난방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냉난방 장치의 냉방시의 배관 계통과 4방 밸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냉난방 장치의 난방시의 배관계통과 4방 밸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4는 도 1의 냉난방 장치를 직화 가열난방으로 변환할 때에 있어서의 펌프나 밸브 제어 장치의 개략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냉난방 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
도 6은 용액의 온도와 증기압 및 용액중의 흡수제 농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도,
도 7은 응축기 압력과 외기 온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냉매를 수용하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한 냉매 증기를 흡수하여 흡수열을 발생하는 흡수제를 포함하는 용액을 흡수하는 흡수기와, 상기 용액의 일부를 가열하여 냉매 증기를 추출하고, 용액중의 흡수제 농도를 회복시키는 재생기와, 추출된 상기 냉매 증기를 응축시켜 상기 증발기로 공급하는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내에 배치되고, 그 내부를 통과하는 냉수가 상기 증발기내의 냉매로 냉각되는 제 1관로와, 상기 흡수기 및 응축기내에 배치되고, 그 내부를 통과하는 냉각수가 상기 흡수기내의 용액 및 상기 응축기내의 냉매 증기와의 열교환에 의하여 승온되는 제 2관로와, 냉난방용 바람을 실내로 불어 넣기 위한 실내기와, 상기 실내기내에 배치되고, 상기 냉수 및 냉각수의 한쪽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제 3관로와, 상기 냉각수 및 냉수의 한쪽과 외기와의 열교환을 하는 현열 교환기와, 상기 현열 교환기내에 배치되고, 상기 냉수 및 냉각수의 다른쪽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제 4관로와, 상기 제 1 및 제 2관로의 각 일단 및 상기 제 3 및 제 4관로의 일단을 그 제 1 내지 제 4의 개구에 각각 연결된 제 1 사방밸브와, 상기 제 1 및 제 2관로의 각 타단 및 상기 제 3 및 제 4관로의 타단을 그 제 1 내지 제 4개구에 각각 연결된 제 2사방밸브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및 제 2사방밸브는 냉방 모드에서는 상기 제 1 및 제 2관로가 각각 상기 제 3, 제 4관로에 연결되고, 난방 모드에서는 상기 제 1 및 제 2관로가 각각 상기 제 4, 제 3관로에 연결되도록 변환된다.
또 상기 응축기 및 재생기를 유체적으로 연결하는 환류로를 더욱 구비함으로써 히트 펌프 사이클 난방을 할 수 없는 조건일 때에는 재생기로 발생된 냉매 증기를 상기 응축기로부터 상기 환류로를 거쳐 재생기로 순환시키는 직화 가열에 의하여 난방을 계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냉매를 수용하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한 냉매 증기를 흡수하는 흡수제를 포함하는 용제를 수용하는 흡수기와, 상기 용액의 일부를 가열하여 냉매 증기를 추출하고, 용액중의 흡수제 농도를 회복시키는 재생기와, 추출된 상기 냉매 증기를 응축시켜 상기 증발기에 공급하는응축기를 구비하고, 냉방, 히트 펌프난방 또는 직화 가열난방이 선택적으로 가능한 냉난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로부터 재생기에 냉매를 환류시키는 환류로와, 상기 환류로를 열어 냉매의 폐순환 루프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순환 냉매로 응축기를 통과하는 냉각수를 가열하는 직화 가열 난방으로 이행시키는 변환 수단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환류로를 통하여 상기 응축기로부터 상기 재생기로 냉매를 인출하는 순환 냉매 출구를 상기 응축기로부터 증발기로의 냉매 출구보다도 고위치로 한 점에 제 1특징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재생기로 발생하는 냉매 증기로부터 다시 흡수제 용액을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재생기의 상부에 설치되고, 하단의 회수단 및 상단의 농축단으로 이루어지는 정류기를 구비하고, 상기 재생기로 발생한 냉매 증기는 상기 정류기를 통하여 상기 응축기에 급송되도록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환류로 출구는 상기 순환 냉매 도입구보다도 저위치이며, 적어도 상기 회수단 보다도 고위치에 개구하고 있는 점, 상기 증발기로부터 냉매의 일부를 상기 정류기에 급송하는 브리드라인을 구비한 점 및 직화 가열 난방시 상기 브리드 라인을 거의 완전 개방으로 하여 상기 증발기내의 냉매를 상기 재생기로 급송하고, 상기 재생기내의 용액중의 흡수제 농도를 히트 펌프난방시와 비교하여 저하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점등에도 특징이 있다.
상기의 특징에 의하면, 직화 가열 난방으로 이행한 후, 재생기로 환류되는 냉매는 순환 냉매 인출구로부터 인출되기 때문에 응축기내에는 상기 순환매 인출구와 응축기 저부와의 사이에 저류된 일정량의 냉매가 확보된다.
냉매 증기는 정류기에 의하여 다시 농축된다. 또 순환 냉매는 응축기의 순환 냉매 인출구와 정류기측의 개구와의 낙차에 의하여 정류기로 자연적으로 흘러 떨어진다. 브리드 라인을 통하여 소량씩 냉매가 재생기로 급송되어 항상 냉매의 순도가 높아진다.
직화 가열 난방시에는 상기 증발기내의 냉매를 재생기로 급송하고, 상기 재생기내의 용액중의 흡수제 농도를 히트 펌프난방시와 비교하여 저하시킨다. 이 결과, 재생기내의 증기압을 난방에 필요한 소망치로 유지하는 데 필요한 용액 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고, 용액의 가열에 필요한 입열량을 감소시켜 직화 가열 난방시에 있어서의 열효율을 개선하여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흡수식 냉난방 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계통 블록도이다. 증발기(1)에는 냉매로서 트리플루오로에탄올(TFE) 등의 불화 알콜이, 흡수기(2)에는 흡수제를 포함하는 용액으로서 디메틸이미다졸리디논 등의 DMI유도체가 수용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냉매는 불화 알콜에 한하지 않고, 비동결 범위가 넓은 것이면 되고, 용액에 관해서도 DMI유도체에 한하지 않고, 비결정 범위가 넓고, TFE보다도 높은 상압비점을 가지며, TFE를 흡수할 수 있는 흡수제이면 된다. 예를 들어 물과 브롬화리튬의 조합은 외기 온도가 영도 가까이가 된 상태에서의 난방시에 있어서 용액의 온도 저하에 의하여 냉매인 물이 동결할 염려가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적합하다고는 하기 어렵다.
증발기(1)와 흡수기(2)는 증발(냉매)통로(5)를 개재하여 서로 유체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이들 공간을 예를 들어 30mmHg정도의 저압 환경하로 유지하면 증발기(1)내의 냉매가 증발하고, 도면에 있어서, 2중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통로를 개재하여 흡수기(2)내로 들어간다. 이 냉매 증기를 흡수기(2)내의 흡수제 용액이 흡수함으로써 흡수 냉동 동작이 행하여진다. 상기 증발 통로(5)에는 냉각기(열 교환기)(18)가 배치되어 있다.
버너(7)가 점화되고, 재생기(3)에 의하여 흡수기(2)내의 흡수제 용액 농도가 높아지면(버너 및 재생기 및 용액 농축에 관해서는 후기함), 흡수기(2)내의 용액이 냉매 증기를 흡수하고, 상기 냉매의 증발에 의한 잠열에 의하여 증발기(1)내가 냉각된다. 증발기(1)내에는 냉수가 통과하는 관로(1a)가 설치된다. 관로(1a)의 일단(도면에서는 출구단)은 제 1사방밸브(V1)의 #1개구에, 그 타단(도면에서는 입구단)은 제 2사방 밸브(V2)의 #1개구에 각각 연결된다(도 2, 3참조). 냉매는 펌프(P1)에 의하여 증발기(1)내에 설치된 산포 수단(1b)으로 유도되고, 상기 냉수가 통과하고 있는 관로(1a)상에 산포된다. 상기 냉매는 관로(1a)내의 냉수로부터 증발열을 빼앗아 냉매 증기로 되고, 증발 통로(5)를 지나 흡수기(2)로 유입한다. 그 결과, 상기 냉수의 온도는 강하한다. 증발기(1)내의 냉매는 상기 산포 수단으로 유도되는 외에 후기하는 바와 같이 그 일부는 필터(4)를 통하여 정류기(6)에도 급송된다. 증발기(1)와 필터(4)간의 유로(브리드 라인)(1c)에는 유량 조절 밸브(V5)가 설치되어 있다. 관로(1a)를 흐르는 냉수로서는 에틸렌글리콜 또는 프로필렌글리콜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불화 알콜의 증기 즉 냉매 증기가 흡수기(2)의 용액으로 흡수되면, 흡수열에 의하여 상기 용액의 온도는 상승한다. 용액의 흡수 능력은 상기 용액의 온도가 낮을수록 또 용액 농도가 높을 수록 크다. 그래서 상기 용액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기 위하여 흡수기(2)의 내부에는 관로(2a)가 설치되고, 상기 관로(2a)에는 냉각수가 지나게 된다. 관로(2a)의 일단(도에서는 출구단)은 응축기(9)내를 통과한 후, 펌프(P3)를 개재하여 제 1사방밸브(V1)의 #2개구에, 관로(2a)의 타단(도에서는 입구단)은 제 2사방밸브(V2)의 #2개구에 각각 연결된다. 관로(2a)를 통과하는 냉각수로서 상기 냉수와 같은 수용액을 사용한다.
용액은 펌프(P2)에 의하여 흡수기(2)내에 설치된 산포 수단(2b)으로 유도되고, 관로(2a)상에 산포된다. 그 결과, 용액은 관로(2a)를 지나고 있는 냉각수에 의해 냉각된다. 한편, 냉각수는 열을 흡수하기 때문에 그 온도가 상승한다. 흡수기(2)내의 용액이 냉매 증기를 흡수하고, 그 흡수제 농도가 저하하면 흡수 능력이 저하한다.
흡수기(2)에서 냉매 증기를 흡수하여 희석된 용액 즉 희석액은 상기 펌프(P2)에 의하여 상기 산포 수단(2b)으로 유도되는 외에 관로(7b)및 제어 밸브(V3)를 통하여 정류기(6)에 급송되어 재생기(3)로 유하시키게 된다. 재생기(3)는 상기 희석액을 가열하는 버너(7)를 가지고 있다. 상기 버너(7)는 가스 버너를 사용하고 있으나, 어떠한 가열 수단이어도 좋다. 재생기(3)에서 가열되고, 냉매 증기가 추출되어 농도가 높아진 용액(농축액)은 관로(7a)및 제어밸브(V4)를 통하여 상기 흡수기(2)로 되돌아 가고, 상기 산포 수단(2b)에 의하여 관로(2a)상에 산포된다.
재생기(3)에 급송된 희석액이 버너(7)에 의해 가열되면, 냉매 증기가 발생한다. 상기 냉매 증기는 정류기(6)내를 상승할 때, 정류기(6)내를 유하하는 용액과 충분히 접촉함으로써 혼입한 미량의 흡수제 용액 성분이 충분히 분리된 후, 응축기(9)로 급송된다. 응축기(9)에서 냉각되어 액화된 냉매는 관로(9b)를 지나 냉각기(18)및 감압밸브(유량 제어밸브)(11)를 경유하여 증발기(1)로 되돌아가 산포수단(1B)에 의해 산포된다. 상기 냉각기(18)는 일종의 열교환기이며, 증발기(1)에서 발생한 냉매 증기중에 혼재하는 냉매 미스트를 응축기(9)로부터 환류되는 따뜻한 냉매로 가열하여 그 기화를 촉진하는 한편, 증발기(1)로 환류되는 냉매의 온도를 저하시킨다.
응축기(9)로부터 증발기(1)에 공급되는 증기의 순도는 매우 높아져는 있으나, 환류 냉매중에 아주 약간 혼재하는 흡수제 성분이 장시간의 사이클에 의하여 축적하고, 증발기(1)내의 냉매의 순도가 서서히 저하하는 것은 피할 수 없다. 그래서 상기와 같이 증발기(1)로부터 냉매의 극히 일부를 필터(4)를 개재하여 정류기(6)로 급송하고, 재생기(3)로부터 생기는 냉매 증기와 함께 다시 순도를 올리기 위한 사이클에 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 필터(4)는 흡수제 용액중의 먼지나 녹등이 정류기(6)내의 충전재 관로를 막아 기능 저하의 원인이 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흡수기(2)와 정류기(6)를 연결하는 관로(7A, 7B)의 중간에 설치된 열교환기(12)에 의하여 재생기(3)로부터 나온 관로(7a)중의 고온 농축액은 흡수기(2)로부터 나온 관로(7)중의 희석액과 열교환하여 냉각된 후, 흡수기(2)로급송되어 산포된다. 한편, 열교환기(12)에 의해 예비적으로 가열된 희석액은 정류기(6)로 급송된다. 이렇게 하여 열효율의 향상이 도모되고 있으나, 다시 환류되는 상기 농축액의 열을 흡수기(2)또는 응축기(9)로부터 나온 관로(2a)내의 냉각수에 전달하기 위한 열교환기(도시 생략)를 설치함으로써 흡수기(2)로 환류되는 농축액의 온도는 보다 한층 저하시키고, 냉각수 온도는 더 올릴 수 있게 하여도 된다.
상기 냉수 또는 냉각수를 외기와 열교환하기 위한 현열 교환기(14)에는 관로(4a)가, 실내기(15)에는 관로(3a)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관로(3a, 4a)의 각 일단(도에서는 입구단)은 제 1사방밸브(V1)의 #3, 4개구에, 그 타단(도에서는 출구단)은 제 2사방밸브(V2)의 #3, 4 개구에 각각 연결된다(도 2, 3참조). 실내기(15)는 냉난방을 행하는 실내에 구비되고, 냉풍 또는 온풍의 분출용 팬(10)(양자는 공통)과 분출 출구(도시 생략)가 설치된다. 상기 현열 교환기(14)는 통상은 실외에 놓이고, 팬(19)으로 강제적으로 외기와의 열교환이 행하여진다.
도면중 수첨자 부호(T)는 온도 감지기, 수첨자 부호(L)는 액면 감지기, 수첨자 부호(PS)는 압력 감지기를 각각 나타내고, 또 수첨자의 부호(V)는 개폐 밸브 또는 유량 제어밸브를 나타내고 있다.
히트 펌프에 의한 난방시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사방밸브(V1, V2)를 각각의 #1 및 #4개구가 연통되고, #2 및 #3 개구가 연통되는 위치로 변환한다. 이로써 흡수기(2)및 응축기(9)내에서 따뜻해진 관로(2a)내의 냉각수가 실내기(15)의 관로(3a)로 유도되어 실내의 난방이 행하여진다.
이 히트 펌프에 의한 난방시에 있어서, 외기 온도가 극단으로 낮아지면, 현열 교환기(14)를 개재하는 외기로부터의 열퍼올림이 어려워지고, 난방 능력이 저하한다. 이와 같은 외기 온도 조건시에는 히트 펌프 사이클 난방은 정지하고, 재생기(3)에서 발생한 냉매 증기를 응축기(9)사이에서 환류시키고, 버너(7)에 의한 가열 열량을 응축기(9)내에서 효율좋게 관로(2a)내의 냉각수에 전도하는 직화 가열에 의하여 상기 냉각수를 승온시켜 난방 능력을 향상시킨다.
이 때문에 도 1의 실시예에서는 응축기(9)와 재생기(3)(또는 정류기(6))와의 사이를 바이패스하는 환류 통로(9a)및 개폐밸브(17)를 설치하고 있다. 외기 온도가 낮아져 난방 능력이 부족할 때에는 응축기(9)로부터 증발기(1)에 이르는 관로(9b)및 흡수기(2)및 재생기(3)간의 희석액, 농축액의 관로(7a, 7b)를 차단하여 히트 펌프사이클을 정지시키고, 상기 개폐밸브(17)를 개방하여 재생기(3)에서 발생한 증기를 응축기(9)와의 사이에서 환류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은 난방 능력의 향상을 위한 직화 가열로의 변환은 실내외의 적당한 부분(예를 들어 현열 교환기(14) 근방)에 온도 감지기(T14)를 설치하고, 감지된 온도가 예정치 이하가 되었을 때, 상기 밸브를 변환하는 제어 장치에 의하여 자동 제어할 수도 있다. 외기 온도가 예정치 이하로 저하한 것은 난방 부하의 대소에 의해서도 판정할 수 있다. 즉 외기 온도가 낮은 경우는 부하가 커지기 때문에 이 부하가 예정치를 넘어선 경우에 히트 펌프난방으로부터 「직화 가열 난방」으로 변환할 수 있다. 난방 부하의 연산에 관해서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일본국 특원평 8-94714호나 특원 8-333056호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을 원용하고, 그 기술을 여기에 종합하나, 이하에 간단하게 설명한다.
난방 부하의 크기는 난방을 위한 요구 열량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다음의 (수학식 1)로 계산된다.
요구 열량 QE = Qu + QV - QS - QM - QM -QF
여기서 QU는 실내외의 온도차에 의한 전열량, QV 는 환기에 의한 침입 열량, QS는 일사에 의한 복사열량, QM은 실내의 인간이나 페트 등의 발열량, QF는 냉장고등 실내의 다른 발열체의 발열량이다. 이들중, 실내외의 온도차에 의한 전열량(QU)은 외기 온도와 실내 온도와 실내기(15)가 설치된 방에 고유의 열전도율로 거의 일의적으로 결정된다. 전열량(QU)이외의 침입열량(QV), 복사열량(QS), 인간 등의 발열량(QM), 인간이외의 실내 발열체의 발열량(QF) 등의 부하에 대한 영향은 통상은 매우 작기 때문에 요구 열량(QE)은 실제상은 QU와 거의 동일하다. 상기 전열량(QU)은 다음의 식2에 의하여 산출할 수 있다.
QU = U (TR - TAM)
여기서 U는 실내기(15)가 설치된 방에 고유의 열전도율을 나타내는 정수, TR은 실내 온도, TAM 은 외기 온도이다. 정수(U)는 방의 크기, 벽의 구조 등에 의존하는 값이며, 미리 제어 장치에 설정하여 둘 수 있다. 실내 온도나 외기 온도는 적당한 온도 감지기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부하 즉 요구 열량(QE)은 실내외의 온도차에 의한 전열량(QU)으로 실질상 결정되나, 상기 침입 열량(QV), 복사열량(QS), 인간의 발열량(QM), 실내발열체의 발열량(QF) 등을 미리 실험이나 통계 등에 의거하여 계산하여도 좋은 것은 당연하다. 예를 들어 침입 열량(QV)은 방문이나 창의 크기 등을, 복사 열량(QS)은 방의 입지 조건 및 기상 조건을, 인간의 발열량(QM)은 가족 구성을, 실내의 발열체의 발열량(QF)은 평균적인 가정을 각각 고려하여 결정하여 두면, 상기 요구 열량은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하여 계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흡수식 냉난방 장치에 의한 냉방시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사방밸브(V1, V2)를 각각의 #1 및 #3개구가 연통되고, #2 및 #4개구가 연통되는 위치로 변환한다. 이로써 증발기(1)내에서 냉각된 관로(1a)내의 냉수가 실내기(15)의 관로(3a)로 유도되어 실내의 냉방이 행하여진다. 냉수가 실내기(15)로 유도되고, 상기 분출용 팬(10)에 의하여 냉풍이 실내로 분출된다.
히트 펌프에 의한 난방시에서는 외기 온도가 상기 예정치 이상이더라도 예를 들어 난방기의 설정 온도가 내려가 난방 부하가 급저하하였을 때에는 히트 펌프 사이클이 불가능하게 되는 일이 있다. 히트 펌프 사이클에서는 고압측인 응축기(9)의 압력과 저압측인 증발기(1)및 흡수기(2)의 압력과의 차압에 의하여 냉매나 용액의 순환이 확보되어 있다. 설정 온도가 내려가 난방 부하가 돌연 저하하면, 재생기로의 입열량이 감소하도록 제어되기 때문에 재생기(3)로 급송되는 희석액의 양이 감소하고, 이 때문에 응축기(9)의 압력이나 상기 압력차도 저하하여 히트 펌프 사이클 난방의 계속이 곤란 또는 불가능하게 되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 대비하여 응축기(9)내의 압력을 검지하기 위한 압력 감지기(PS9)를 설치하고, 농축기(9)내의 압력이 기준치 이하로 저하하였을 때 각 변환밸브를 변환하여 히트 펌프 사이클 난방으로부터 직화 가열 난방으로 변환하도록 하여도 된다. 증발기(1)내의 압력을 감지하는 증발기 압력 검지기(PS1)를 다시 설치하고, 양 압력 감지기의 출력차 즉 차압이 기준치 이하로 저하하였을 때 직화 가열 난방으로 변환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응축기 압력은 외기 온도 및 실내기 설정 온도의 함수가 되기 때문에 응축기 압력을 외기 온도 및 실내기 설정온도의 조합으로 대표되며, 상기 조합에 의해 결정하는 동작점이 예정 범위에서 벗어났을 때 변환 출력을 발생시켜 히트 펌프 사이클 난방으로부터 직화 가열 난방으로 변환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7은 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응축기 압력(세로축)은 외기 온도(가로축)및 실내기 설정 온도의 함수이며, 설정 온도가 T1<T0<Th와 같이 상승하면 함수 관계는 곡선(T1, T0, Th)등으로 나타내도록 변화한다. 히트 펌프 사이클 난방을 유효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응축기 압력이 그 역치(Ps)이상이 아니면 안되기 때문에 히트 펌프 사이클 난방이 가능한 범위는 설정 온도(T1)의 경우를 사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실내기 설정 온도에 대응하는 곡선의 우측(고온도측)이고, 또한 상기 역치(Ps)의 상측(고압측)의 영역에 동작점이 있는 경우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냉방시도 히트 펌프 난방시도 냉매나 흡수제 용액의 유로는 동일하며, 냉방/난방모드의 변환에 따라 냉매, 흡수제 용액 유로를 변환할 필요가 없고 단지 한쌍의 사방밸브에 의하여 냉각수와 냉수의 유로를 변환하는 것만으로 되기 때문에 구성이 대폭 간략화되어 가정용 등의 소형 냉난방 장치로서도 적합한 냉난방 장치가 제공된다. 또 냉방/난방의 모드 변환시에 냉매와 흡수제와의 분리 공정을 요하지 않기 때문에 신속하게 고효율로 이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통상의 난방시에는 히트 펌프 사이클을 이용한 고효율의 난방을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외기 온도가 극단으로 저하하여 열의 퍼올림이 곤란하게 되고, 히트 펌프 사이클 난방을 충분히 이용할 수 없는 경우나 난방 부하가 급감하여 응축기 등의 고압계의 압력이 저하하거나 응축기 등의 고압계의 압력과 증발기 등의 저압계의 압력과의 차가 기준이 이하로 저하할 염려가 있는 경우, 또는 외기 온도 및 난방 부하의 조합이 예정 범위로부터 벗어난 경우 등에 있어서도 냉매 증기를 응축기와 재생기사이에서 순환시킴으로서 간단하고 신속하게 직화 가열 난방으로 변환하여 원하는 난방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실시예의 흡수식 냉난방기에서는 직화 가열 난방으로부터 히트 펌프난방으로 이행할 때, 기동이 늦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직화 가열 난방에 있어서는 추출된 냉매는 재생기로 환류되어 있기 때문에 응축기내의 냉매의 양은 적어져 있다. 따라서 히트 펌프 난방으로의 변환시, 필요한 양의 냉매를 응축기로부터 증발기로 급송할 수 없기 때문에 응축기내에 일정량의 냉매가 확보될때 까지 히트 펌프난방은 정상 상태로 되지 않는다.
특히 재생기내의 용액의 흡수제 농도를 저하시켜 재생기에서의 열효율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직화 가열 난방시 증발기로부터 재생기에 냉매를 급송하는 구성을 취하는 경우에, 증발기내의 냉매량이 부족되기 쉬워진다.
외기 온도가 낮아져 난방 능력이 부족할 때에는 응축기(9)로부터 증발기(1)에 이르는 냉매의 관로(9b)및 재생기(3)로부터 흡수기(2)에 이르는 농축액의관로(7a)를 차단하여 히트 펌프 사이클을 정지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증발기(1)내의 냉매 및 흡수기(2)내의 흡수제 용액의 적어도 한쪽을 펌프(P1, P2)에 의하여 관로(1c, 7b)를 개재하여 재생기(3)로 급송하고, 재생기내의 용액의 흡수제 농도를 저하시킨다. 그후, 상기 개폐 밸브(17)를 개방하여 응축기(9)에서 액화된 냉매를 환류로(9a)를 개재하여 재생기(3)로 환류시킨다. 이로써 후기하는 바와 같이 관로(2a)내의 냉각수를 목적 온도까지 가열하는 데 필요한 버너(7)에 의한 가열량을 줄일 수 있다.
도 4는 상기와 같은 직화 가열 난방으로의 변환시에 있어서의 펌프나 밸브의 제어 장치(20)의 개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후기하는 바와 같은 적절한 운전 모드(난냉방)판정 수단 또는 수동 조작에 의하여 직화 가열 난방이 지시되면, 직화 가열 개시 수단(21)이 이송 제어수단(22)을 기동한다. 이송 제어수단(22)은 펌프(P1, P2)의 적어도 한쪽을 가세하고, 동시에 대응하는 밸브(V5, V3)를 완전 개방으로 하여 가능한한 단시간에 재생기(3)로의 냉매/흡수제 용액의 급송이 완료되도록 한다. 재생기(3)로의 냉매/흡수제 용액의 급송 시간 즉 펌프(P1, P2)의 시간은 타이머(24)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타이머(24)의 작동 시간을 미리 설정하여 둠으로써 재생기(3) 내에서의 액면 높이가 응축기(9)로부터 재생기(3)또는 정류기(6)로의 환류 냉매 방출구의 레벨을 넘어서지 않도록 급송하는 용액의 양 즉 액면 높이를 적정하게 제어한다. 이 경우, 액면계(도시 생략)를 재생기(3)나 정류기(6)의 적당한 개소에 설치하여 두고, 액면 높이를 감시 제어하여도 된다.
상기와 같이 재생기(3)내의 용액중의 흡수제 농도를 저하시킴으로써 직화 가열 난방의 열효율을 개선할 수 있음에 관하여 설명한다. 흡수제 용액(DMI유도체)의 농도와 온도 및 냉매(TFE)의 응축 증기압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듀링선도는 도 6과 같이 된다. 상기 도면에 있어서 응축기(9)내를 소정 압력(예를 들어 260mmHg)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흡수제 용액중의 흡수제 농도가 낮을수록 용액의 온도를 낮게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직화 가열 난방시에는 재생기(3)내의 용액중의 흡수제 농도를 되도록 저하시키고, 이로써 냉매의 증발량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재생기내의 용액 온도를 되도록 억제하고, 이로서 직화 가열 난방의 열효율의 개선이 기대된다. 용액 온도을 낮게 할 수 있으면, 버너(7)에 공급하는 연료량의 절감은 물론, 배기 온도도 낮아지고, 재생기나 용액 자체로부터의 복사열량이나 자연 방열량등도 감소하기 때문에 전체로서의 열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의 실험에 의하면, 전부의 냉매를 먼저 재생기로 급송한 후, 흡수제를 보충적으로 급송한 경우의 쪽이 반대의 경우에 비하여 재생기내의 용액 온도를 낮게 할 수 있음이 인정되었다. 또 이상에서는 냉매 및 흡수제 용액의 적어도 한쪽을 재생기로 급송한 후, 응축기로부터 재생기로 냉매를 환류시켜 직화 가열 난방을 개시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냉매 및 흡수제 용액의 재생기로의 급송 개시와 동시에 냉매를 환류시켜 직화 가열 난방을 개시하여도 좋은 것은 당연하다. 또한 응축기 대신 다른 형식의 분축기를 이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적합한 재생기(3), 정류기(6)및 응축기(9)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용액 및 냉매의 분리, 즉 재생을 위한 요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 2와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동등 부분을 나타낸다. 재생기(3)의상부에 설치된 정류기(6)는 하단의 회수단(6A)및 상단의 농축단(6B)으로 이루어지는 2단 구조를 가진다. 회수단(6A)은 흡수기(2)로부터 급송되어 관(25)으로부터 떨어지는 희석액의 받침 접시(26)및 상기 받침 접시(26)의 아래쪽에 설치된 접촉망(충전재)(27)을 가진다. 마찬가지로 농축단(6B)은 증발기(1)로부터 급송되어 관(28)으로부터 방울져 떨어지는 냉매의 받침 접시(29)및 상기 받침 접시(29)의 아래쪽에 설치된 접촉망(충전재)(30)을 가진다.
상기 받침 접시(26, 29)는 각각 희석액 및 냉매의 적하 노즐(26a, 29a)과 냉매 증기의 상승 통로 즉 증기구멍(26b, 29b)을 가진다. 또한 농축단(6B)의 받침 접시(29)상에는 응축기(9)로부터 환류한 냉매가 상기 받침 접시(29)로 방울져 떨어지도록 응축기(9)와 연결된 환류통로(9a)의 선단이 돌출하고 있다. 적하 노즐(26a, 29a)로부터 방울져 떨어진 희석액 또는 냉매는 접촉망(27, 30)과 접촉하여 흡수제 성분의 분리가 촉진된다. 접촉망(27, 30)은 일예로서 금속망 모양의 충전재로 구성된다. 이 구성에 의하여 상기 회수단(6A)에서 희석액으로부터 분리된 냉매 증기는 농축단에서 더욱 높은 순도로 분리되고, 응축기(9)에 급송된다.
응축기(9)의 하부 탱크(90)의 저부에는 증발기(1)에 냉매를 인출하기 위한 개구(9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91)는 개폐 밸브(92)를 개재하여 관로(9B)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하부 탱크(90)의 측벽에는 환류 통로(9a)의 개구(순환냉매 인출구)(93)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93)와 상기 받침 접시(29)상에 돌출한 환류통로(9a)의 선단과의 사이에는 응축기(9)로부터의 냉매가 환류 통로(9a)를 통하여 받침 접시(29)상에 자연스럽게 떨어지게 할 수 있도록 관로 저항을 고려한 낙차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직화 가열 난방에서는 증발기(1)의 냉매는 재생기(3)또는 정류기(6)로 급송되어 있기 때문에 증발기(1)내에 잔류하고 있는 냉매량은 매우 적다. 응축기(9)및 증발기(1)간의 관로(9b)에 포함되어 있을 지도 모르는 기포가 증발기(1)로 보내지면, 증발기(1)의 내압이 상승하여 흡수 냉동 사이클의 지장이 된다. 이들 이유에서 관로(9b)에는 냉매가 가득차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직화 가열 난방으로부터 히트 펌프난방으로의 이행시에는 응축기(9)로부터 신속하게 냉매를 증발기(1)에 급송하여 흡수 냉동 사이클이 신속하게 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 탱크(90)의 저부에서 개구(93)까지의 높이를 응축기(9)내에 적당한 양의 냉매가 항시 확보되어 있도록 설정하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응축기(9)내에는 적어도 상기 개구(93) 높이까지의 냉매량이 확보되고, 직화 가열 난방으로부터 히트 펌프 난방으로 신속하게 이행할 수 있다. 직화 가열 난방으로부터 히트 펌프 난방으로의 이행시에는 개폐 밸브(92)를 개방하여 저축되어 있던 냉매가 증발기로 일시에 공급되는 한편, 개폐 밸브(17)를 폐쇄하여 응축기(9)에서 얻어진 냉매는 증발기(1)로 순차 급송된다. 또 히트 펌프난방으로부터 직화 가열 난방으로의 이행시에는 개폐 밸브(92)를 패쇄함과 동시에 개폐 밸브(17)를 개방하여 응축기(9)로부터 정류기(6)로 냉매가 환류된다.
냉매액에 흡수제 성분이 혼입하여 있는 비율이 높으면, 히트 펌프 난방 개시 직후에 있어서 난방 능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응축기(9)에저류되어 있는 순도가 높은 냉매가 증발기(1)에 일시에 급송되기 때문에 히트 펌프 난방으로의 변환 직후부터 높은 난방 능력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응축기(9)로부터 농축단(6B)의 받침 접시(29)에 냉매를 환류하도록 하였으나, 냉매를 환류하는 위치는 농축단(6B)에 한하지 않고, 회수단(6A)의 받침 접시(26)상이어도 좋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직화 가열 난방중도 응축기내에는 일정량의 고순도 냉매가 확보되기 때문에 히트 펌프난방으로의 이행시 증발기의 냉매량을 신속하게 회복할 수 있고, 히트 펌프난방의 정상 상태로 신속하게 도달시킬 수 있다. 응축기로부터 재생기로의 냉매의 순환을 환류로를 개재한 상기 냉매의 자연 낙하에 의하여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직화 가열 난방중에 있어서 냉매액중으로의 흡수제 성분의 혼입율을 적게 할 수 있다. 증발기내의 냉매의 순도를 매우 높은 상태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직화 가열 난방으로부터 히트 펌프난방으로의 변환후의 증발기내의 흡수제 성분의 혼입율을 신속하게 저하시킬 수 있고, 정상상태로 신속하게 도달시킬 수 있다. 또한 직화 가열 난방중에 증발기의 냉매는 대부분이 재생기로 급송되어 열효율의 개선이 도모되는 한편, 특히 히트 펌프난방으로의 이행시 응축기로부터 증발기로의 냉매의 신속한 급송이 가능하다.

Claims (13)

  1. 냉매를 수용하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한 냉매 증기를 흡수하여 흡수열을 발생하는 흡수제를포함하는 용액을 수용하는 흡수기와,
    상기 흡수기로부터 급송되는 용액의 일부를 가열하여 냉매 증기를 추출하고, 용액중의 흡수제 농도를 회복시키는 재생기와,
    추출된 상기 냉매 증기를 응축시켜 상기 증발기로 공급하는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내에 배치되고, 그 내부를 통과하는 냉수가 상기 증발기내의 냉매로 냉각되는 제 1관로와,
    상기 흡수기 및 응축기내에 배치되고, 그 내부를 통과하는 냉각수가 상기 흡수기내의 용액 및 상기 응축기내의 냉매 증기에 의하여 승온되는 제 2관로와,
    상기 냉수 및 냉각수의 한쪽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제 3관로가 그 내부에 배치된 냉난방용 바람을 실내로 불어 넣기 위한 실내기와,
    상기 냉수 및 냉각수의 다른 쪽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제 4관로가 그 내부에 배치된 상기 냉수 및 냉각수의 다른쪽과 외기와의 열교환을 하는 현열 교환기와,
    상기 제 1 및 제 2관로의 각 일단 및 상기 제 3 및 제 4관로의 각 일단을 그 개구에 각각 연결된 제 1사방밸브와,
    상기 제 1 및 제 2관로의 각 타단 및 상기 제 3 및 제 4관로의 각 타단을 그개구에 각각 연결된 제 2사방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및 제 2사방밸브는 냉방시에는 상기 제 1 및 제 2관로가 각각 상기 제 3, 제 4관로에 연결되고, 난방시에는 상기 제 1 및 제 2관로가 각각 상기 제 4, 제 3관로에 연결되도록 변환되는 흡수식 냉난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생기에서 발생된 냉매증기가 상기 응축기로부터 상기 재생기로 순환되도록 상기 응축기 및 재생기를 유체적으로 연결하는 환류로와;
    상기 환류로를 개폐하는 밸브수단을 더욱 구비하고,
    상기 응축기로부터 상기 증발기에 이르는 관로 및 상기 재생기로부터 상기 흡수기에 이르는 관로를 차단하고, 상기 밸브수단을 개방하여 상기 환류로를 개방하여, 재생기로부터 발생된 냉매증기가 상기 응축기로부터 상기 환류로를 거쳐 재생기로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히트펌프 난방으로부터 직화가열 난방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난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펌프 난방으로부터 직화가열 난방으로의 전환은,
    외기 온도가 제 1예정치이하, 상기 응축기의 압력치가 제 2예정치 이하, 상기 응축기의 압력 및 증발기의 압력의 차압이 제 3예정치 이하, 외기 온도 및 실내기 설정온도의 조합으로 결정하는 동작점이 예정 범위외인 것의 4조건중 적어도 하나가 만족되었을 때 자동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난방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기와 응축기사이에 상기 재생기로 발생된 냉매 증기에 혼입한 흡수액 용액을 분리하는 정류기를 개재시킨 흡수식 냉난방 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환류로를 지나 상기 응축기로부터 상기 재생기로 냉매를 순환시키는 순환 냉매 출구가 상기 응축기로부터 증발기로의 냉매 출구보다도 높은 위치인 흡수식 냉난방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기는 상기 재생기의 상부에 설치되고, 하단의 회수단 및 상단의 농축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재생기로 발생한 냉매 증기가 상기 정류기를 지나 상기 응축기로 급송됨과 동시에,
    상기 환류로는 응축기내의 상기 순환 냉매 출구보다도 낮은 위치이고, 적어도 상기 회수단 보다도 높은 위치에 그 드레인 개구가 위치하고 있는 흡수식 냉난방 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내의 냉매의 일부를 상기 정류기에 급송하는 브리드 라인을 구비한 흡수식 냉난방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직화 가열 난방시에 상기 브리드 라인을 거의 완전 개방으로 하여 상기 증발기내의 냉매를 상기 재생기로 급송하고, 상기 재생기내의 용액중의 흡수제 농도를 히트 펌프 난방시와 비교하여 저하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흡수식 냉난방 장치.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 및 냉각수가 실질적으로 동일 성분인 흡수식 냉난방 장치.
  9. 냉매를 수용하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한 냉매 증기를 흡수하여 흡수열을 발생하는 흡수제를포함하는 용액을 수용하는 흡수기와,
    상기 흡수기로부터 급송되는 용액의 일부를 가열하여 냉매 증기를 추출하고, 용액중의 흡수제 농도를 회복시키는 재생기와,
    추출된 상기 냉매 증기를 응축시켜 상기 증발기로 공급하는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내에 배치되고, 그 내부를 통과하는 냉수가 상기 증발기내의 냉매로 냉각되는 제 1관로와,
    상기 흡수기 및 응축기내에 배치되고, 그 내부를 통과하는 냉각수가 상기 흡수기내의 용액 및 상기 응축기내의 냉매 증기에 의하여 승온되는 제 2관로와,
    상기 냉수 및 냉각수의 한쪽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제 3관로가 그 내부에 배치된 냉난방용 바람을 실내로 불어 넣기 위한 실내기와,
    상기 냉수 및 냉각수의 다른 쪽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제 4관로가 그 내부에 배치된 상기 냉수 및 냉각수의 다른쪽과 외기와의 열교환을 하는 현열 교환기와,
    상기 제 1 및 제 2관로의 각 일단 및 상기 제 3 및 제 4관로의 각 일단을 그 개구에 각각 연결된 제 1사방밸브와,
    상기 제 1 및 제 2관로의 각 타단 및 상기 제 3 및 제 4관로의 각 타단을 그 개구에 각각 연결된 제 2사방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및 제 2사방밸브는 냉방시에는 상기 제 1 및 제 2관로가 각각 상기 제 3, 제 4관로에 연결되고, 난방시에는 상기 제 1 및 제 2관로가 각각 상기 제 4, 제 3관로에 연결되도록 변환되는 흡수식 냉난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생기에서 발생된 냉매증기가 상기 응축기로부터 상기 재생기로 순환되도록 상기 응축기 및 재생기를 유체적으로 연결하는 환류로와;
    상기 환류로를 개폐하는 밸브수단을 더욱 구비하고,
    상기 응축기로부터 상기 증발기에 이르는 관로 및 상기 재생기로부터 상기 흡수기에 이르는 관로를 차단하고, 상기 밸브수단을 개방하여 상기 환류로를 개방하여, 재생기로부터 발생된 냉매증기가 상기 응축기로부터 상기 환류로를 거쳐 재생기로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히트펌프 난방으로부터 직화가열 난방으로 전환되며,
    상기 환류로를 통하여 상기 응축기로부터 상기 재생기로 냉매를 인출하는 순환 냉매 출구를 상기 응축기로부터 증발기로의 냉매 출구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난방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기로 발생한 냉매 증기로부터 다시 흡수제 용액을 분리하기 위해 상기 재생기의 상부에 설치되고, 하단의 회수단 및 상단의 농축단으로 이루어지는 정류기를 구비하고,
    상기 재생기로 발생한 냉매 증기가 상기 정류기를 통하여 상기 응축기에 급송됨과 동시에,
    상기 환류로는 응축기내의 상기 순환 냉매 출구보다도 낮은 위치이고, 적어도 상기 회수단 보다도 높은 위치에 드레인 개구가 위치하고 있는 흡수식 냉난방 장치.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로부터 냉매의 일부를 상기 정류기에 급송하는 브리드 라인을 구비한 흡수식 냉난방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직화 가열 난방시, 상기 브리드 라인을 거의 완전 개방으로 하여 상기 증발기내의 냉매를 상기 재생기로 급송하고, 상기 재생기내의 용액중의 흡수제 농도를히트펌프 난방시와 비교하여 저하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흡수식 냉난방 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 및 냉각수가 실질적으로 동일 성분인 흡수식 냉난방 장치.
KR1019970069638A 1996-12-18 1997-12-17 흡수식냉난방장치 KR1003372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354168 1996-12-18
JP35416896A JP3281275B2 (ja) 1996-12-18 1996-12-18 吸収式冷暖房装置
JP09481297A JP3363057B2 (ja) 1997-03-28 1997-03-28 吸収式冷暖房装置
JP9-94812 1997-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226A KR19980064226A (ko) 1998-10-07
KR100337208B1 true KR100337208B1 (ko) 2002-07-18

Family

ID=26436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9638A KR100337208B1 (ko) 1996-12-18 1997-12-17 흡수식냉난방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901567A (ko)
EP (1) EP0849548B1 (ko)
KR (1) KR100337208B1 (ko)
CN (1) CN1140742C (ko)
DE (1) DE69729847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8437A (ko) 2016-12-14 2018-06-22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냉방 및 증기 동시공급 흡수식 냉동/히트펌프 하이브리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21351A1 (de) * 1997-05-22 1998-11-26 Ees Erdgas Energiesysteme Gmbh Verfahren und Anlage zum Erzeugen von Kälte und/oder Wärme
JP3442974B2 (ja) * 1997-07-30 2003-09-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吸収式冷凍機の精留装置
US6427453B1 (en) * 1998-07-31 2002-08-06 The Texas A&M University System Vapor-compression evaporative air conditioning systems and components
JP3390672B2 (ja) * 1998-08-03 2003-03-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吸収式冷凍装置
US6718792B1 (en) * 2000-01-05 2004-04-13 Rocky Research Integrated aqua-ammonia chiller/heater
DE10014126A1 (de) * 2000-03-22 2001-10-04 Buderus Heiztechnik Gmbh Diffusionsabsorptionsanlage
JP2002147885A (ja) * 2000-11-08 2002-05-22 Sanyo Electric Co Ltd 吸収式冷凍機
JP4062479B2 (ja) * 2001-02-14 2008-03-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吸収式冷暖房装置
JP4827307B2 (ja) * 2001-03-26 2011-11-30 矢崎総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DE10231265A1 (de) * 2002-07-10 2004-01-22 Enginion Ag Absorptionswärmepumpe
CN101493270B (zh) * 2008-01-22 2011-05-18 苏庆泉 吸收式热泵系统及制热方法
WO2009109036A1 (en) * 2008-03-04 2009-09-11 Thermalfrost Inc. Ammonia refrigeration system
JP5190286B2 (ja) * 2008-03-27 2013-04-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ボイラー付吸収式ヒートポンプユニット
US8978397B2 (en) * 2009-04-24 2015-03-17 Thermax Limited Absorption heat pump employing a high/low pressure evaporator/absorber unit a heat recovery unit
JP5570969B2 (ja) * 2010-12-27 2014-08-13 三洋電機株式会社 排ガス熱回収器及び吸収式冷凍機
ES2525031B1 (es) * 2013-06-14 2015-09-25 Col-Ven S.A. Disposición de refrigeración para cabinas de vehículos
CN103398510B (zh) * 2013-08-21 2016-01-13 湖南科技大学 矿井热及湿源能量采集利用系统
US9933171B2 (en) * 2014-09-29 2018-04-03 Lee Wa Wong Air conditioning and heat pump system with evaporative cool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92894A (en) * 1944-02-19 1946-01-15 Worthington Pump & Mach Corp Refrigeration system
FR2504249A1 (fr) * 1981-04-15 1982-10-22 Inst Francais Du Petrole Procede de production de froid et/ou de chaleur au moyen d'un cycle a absorption
DE3222067A1 (de) * 1982-06-11 1983-12-15 Deutsche Forschungs- und Versuchsanstalt für Luft- und Raumfahrt e.V., 5300 Bonn Verfahren zum betrieb einer bivalent betreibbaren absorptionswaermepumpe und absorptionswaermepumpe zur durchfuehrung dieses verfahrens
NL8204161A (nl) * 1982-10-28 1984-05-16 Philips Nv Werkwijze voor het bedrijven van een bimodale warmtepomp, alsmede bimodale warmtepomp voor het toepassen van genoemde werkwijze.
KR900007721B1 (ko) * 1984-06-11 1990-10-19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흡수식 냉.온수기
US4593531A (en) * 1985-01-15 1986-06-10 Ebara Corporation Absorption cooling and heating apparatus and method
US4667485A (en) * 1986-03-14 1987-05-26 Gas Research Institute Absorption refrigeration and heat pump system
JPS6447714A (en) * 1987-08-19 1989-02-22 Kanebo Ltd Liposome-forming agent
US5367884B1 (en) * 1991-03-12 1996-12-31 Phillips Eng Co Generator-absorber-heat exchange heat transfer apparatus and method and use thereof in a heat pump
JPH062980A (ja) * 1992-06-16 1994-01-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吸収式ヒートポンプ装置
JPH0697127A (ja) * 1992-09-14 1994-04-08 Hitachi Ltd 配線形成方法
US5231849A (en) * 1992-09-15 1993-08-03 Rosenblatt Joel H Dual-temperature vehicular absorption refrigeration system
JPH0796977A (ja) * 1993-06-08 1995-04-11 Ajinomoto Co Inc 易酸化性物品二重包装物
US5456086A (en) * 1994-09-08 1995-10-10 Gas Research Institute Valving arrangement and solution flow control for generator absorber heat exchanger (GAX) heat pump
JP3272968B2 (ja) * 1996-03-26 2002-04-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吸収式冷暖房装置
JPH09269162A (ja) * 1996-03-29 1997-10-14 Sanyo Electric Co Ltd 吸収式冷凍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8437A (ko) 2016-12-14 2018-06-22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냉방 및 증기 동시공급 흡수식 냉동/히트펌프 하이브리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88221A (zh) 1998-07-22
EP0849548B1 (en) 2004-07-14
DE69729847T2 (de) 2005-07-14
CN1140742C (zh) 2004-03-03
DE69729847D1 (de) 2004-08-19
EP0849548A2 (en) 1998-06-24
US5901567A (en) 1999-05-11
KR19980064226A (ko) 1998-10-07
EP0849548A3 (en) 2003-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7208B1 (ko) 흡수식냉난방장치
KR100337210B1 (ko) 흡수식냉난방장치
JP4018443B2 (ja) 寒冷地対応サーモサイホンチラー冷凍機
JPH0235216B2 (ko)
JP4062479B2 (ja) 吸収式冷暖房装置
US6487874B2 (en) Absorption refrigerator
KR100417197B1 (ko) 흡수식 냉동장치
JP3902024B2 (ja) 吸収式冷暖房機
JP4097405B2 (ja) エンジン冷却方法及び装置並びに冷凍装置
JP3272968B2 (ja) 吸収式冷暖房装置
JP3448680B2 (ja) 吸収式空調装置
JP2001099474A (ja) 空調装置
JPH01174834A (ja) ビル空調システム
CN211822929U (zh) 热泵机组
JP3281275B2 (ja) 吸収式冷暖房装置
JP3813348B2 (ja) 吸収式冷凍機
KR19990029907A (ko) 흡수식냉동기
JP3363057B2 (ja) 吸収式冷暖房装置
JP3448681B2 (ja) 吸収式冷熱発生装置
JP3466866B2 (ja) 吸収式冷暖房装置
JPH11257782A (ja) 吸収式冷熱発生装置
CN113357721A (zh) 热泵机组
JP4330522B2 (ja) 吸収式冷凍機の運転制御方法
JP3594426B2 (ja) 空調装置
JP2780546B2 (ja) 熱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