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7002B1 - 안내 레일 상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된 시트로 구성된 자동차용시트 조립체 - Google Patents

안내 레일 상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된 시트로 구성된 자동차용시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7002B1
KR100337002B1 KR1019980057391A KR19980057391A KR100337002B1 KR 100337002 B1 KR100337002 B1 KR 100337002B1 KR 1019980057391 A KR1019980057391 A KR 1019980057391A KR 19980057391 A KR19980057391 A KR 19980057391A KR 100337002 B1 KR100337002 B1 KR 100337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s
guide rail
lock
fixing
sea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7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3338A (ko
Inventor
베르나르 보이세
쟝-미셀 뤼진느
로랑 슈바르쯔
Original Assignee
포레시아 시에쥐 도또모빌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FR9716244A external-priority patent/FR2772685B1/fr
Application filed by 포레시아 시에쥐 도또모빌 에스.아. filed Critical 포레시아 시에쥐 도또모빌 에스.아.
Publication of KR19990063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3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7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70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60N2/015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 B60N2/01508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 B60N2/01516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with locking mechanisms
    • B60N2/01525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with locking mechanisms with locking elements expanding inside or under the vehicle floor or rail
    • B60N2/01541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with locking mechanisms with locking elements expanding inside or under the vehicle floor or rail using moving 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60N2/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to a position in which it can be used as a support for objects, e.g. as a tr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205/00General mechanical or structural details
    • B60N2205/40Dual or redundant actuating means, e.g. backrest tilting can be actuated alternatively by a lever at the backrest or a lever in the luggage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를 고정부상에 결합되도록 하는 수직 집게(14)에 의해 다리부(5)가 2개의 고정부(10)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자동차용 시트(2)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안내 레일 상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된 시트로 구성된 자동차용 시트 조립체
본 발명은 안내 레일 상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된 시트로 구성된 자동차용 시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자동차용 시트 조립체는
- 자동차 플로어와 일체이면서 소위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안내 레일과,
- 상기 안내 레일로부터 시트가 탈거될 수 있도록 하기위해 적어도 하나가 안내 레일 상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된 다리부에 의해 지지되는 시트로 구성되며, 상기 다리부는 시트의 다리부를 안내레일과 고정하기 위하여 결합 잠금부가 안내 레일과 결합되는 잠금 위치와 다리부가 안내 레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해제 위치 사이를 조절 수단에 의해 이동하는 결합 잠금부로 구성된다.
FR-A-2 700 735 특허는 이러한 시트 조립체의 예를 기술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안내 레일은 고정부를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조립된 가동부로 구성되고, 상기 가동부는 안내 레일에 의해 운반되며 시트에 조립된 안내 레일 조절기에 의해 조절되는 안내 레일 잠금부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특허에서 제안된 구성은 탈거되었던 시트를 안내 레일상에 재조립할 때 안내 레일 조절기가 안내 레일 잠금부와 완벽하게 연결되는 것을 필요로 한다. 특히, 이러한 요구조건은 시트가 자동차의 전방 또는 후방쪽으로 향하도록 조립하기 원할 경우 시트 형상을 심각하게 제한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특허에 기술된 시트 조립체는 시트의 구속력이 가동부를 통과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가동부가 시트 및 고정부와 연결되도록 하고, 가동부가 충분한 크기로 커지도록 하며, 시트 조립체의 비용을 다시 상승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제거한다는 특수한 목적을 갖는다.
이러한 목적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당해 형식의 시트 조립체는 상기 결합 잠금부가 시트 다리부로부터 하부 다리부의 단부까지 거의 수직으로 연장된 제 1 집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집게부는 길이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축 주위로 회전하며 상기 결합 잠금부가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를 운동할 때 잠금 및 해제 위치 사이를 이동하고; 상기 제 1 집게부는 결합 잠금부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 다리부와 고정부의 분리를 방지하면서 고정부의 일부분 아래에 체결될 수 있는 자유 단부의 결합 클로(claw)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 클로는 결합 잠금부가 해제 위치에있을 때 해당 다리부와 고정부가 분리되는 동안 고정부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고정부로부터 충분히 이격되며, 상기 시트는 안내 레일 조절기에 의해 작동되며 시트의 길이방향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부와 맞물릴 수 있는 잠금 수단으로 더 구성된다는 점에서 본질적인 특징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시트가 탈거될 때 안내 레일 잠금부와 이의 조절기의 분리에 관련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시트 다리부의 결합이 고정부에 직접 이루어지고, 이는 자동차 플로어에 대한 시트의 결합 강성을 보강하게 된다.
더욱이, 안내 레일 가동부는 완전히 제거되어 시트 조립체의 비용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조립체의 안내 레일은 절대 최소값으로 축소된 크기를 갖기 때문에 시트가 탈거될 때 탑승자에 어떠한 불편도 주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다음의 구성중 하나 및/또는 다른 것들을 수단으로 쓸수 있다.:
- 상기 결합 잠금부는 안내 레일 고정부의 양측부에 놓여 각각 시트의 다리부로부터 자유 하단부까지 거의 수직으로 연장된 제 1 및 제 2 집게부를 포함하는 집게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집게부의 결합 클로는 제 2 집게부쪽으로 거의 수평으로 돌출되며, 상기 고정부는 2개의 집게부 사이에 수평으로 클램핑되어 결합 잠금부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시트의 길이방향 이동을 방지하고, 상기 2개의 집게부는 결합 잠금부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 고정부로부터 측방향으로 분리된다;
- 상기 제 1 집게부는 고정부에 대향하여 위치된 홈부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결합 잠금부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시트의 길이방향 슬라이딩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1 집게부의 홈부와 맞물리는 상보 홈을 갖는다;
- 상기 제 2 집게부 또한 결합 잠금부가 잠금 위치 및 해제 위치 사이를 이동할 때 이동할 수 있고, 제 2 집게부는 결합 잠금부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 고정부의 일부분 아래에 체결되며 제 1 집게부쪽으로 거의 수평으로 돌출된 자유 단부의 결합 클로로 구성되고, 제 2 집게부는 결합 잠금부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 해당 다리부와 고정부가 분리되는 동안 제 2 집게부의 클로와 고정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고정부로부터 충분히 이격된다;
- 상기 제 2 집게부는 고정부에 대향하여 위치된 홈부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결합 잠금부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시트의 길이방향 슬라이딩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2 집게부의 홈부와 맞물리는 상보 홈을 갖는다;
- 상기 결합 잠금부는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 중간에 소위 슬라이딩 위치를 갖고, 여기서 결합 잠금부의 집게부는 상기 고정부를 따라 해당 다리부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고정부로부터 충분히 이격되나, 적어도 제 1 집게부의 결합 클로는 고정부 아래에 맞물린채로 남아있다;
- 상기 시트 조립체는 제 1 안내 레일과 유사하며 이와 평행하게 놓이고 고정부가 제공된 제 2 안내 레일로 구성되며, 상기 시트는 2개의 고정부상에 공통으로 연결되도록 위치되고 이들 고정부상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조립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다리부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쌍의 각 다리부는 해당 고정부 양측에 위치되어 각각 해당 다리부로부터 하부 자유 단부까지 거의 수직으로 연장된 제 1 및제 2 집게부를 포함하는 집게로 이루어진 결합 잠금부로 구성되며, 상기 2개의 집게부는 결합 잠금부가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를 이동할 때 이동가능하고, 상기 고정부는 결합 잠금부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시트의 길이방향 이동을 방지하며 2개의 집게부사이에 수평으로 클램핑되고, 각각의 집게부는 결합 잠금부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 해당 고정부와 해당 다리부의 분리를 방지하며 고정부의 일부분 아래에 체결되고 고정부쪽으로 거의 수평으로 돌출된 자유 단부의 클로로 구성되며, 상기 2개의 집게부는 결합 잠금부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 해당 다리부와 고정부가 분리되는 동안 이들 집게부의 클로와 고정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당 고정부로부터 충분히 이격된다;
- 상기 시트 조립체는 2개의 고정부상에 공통으로 연결되도록 위치되고 이들 고정부상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조립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다리부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쌍의 각 다리부는 해당 고정부 양측에 위치되어 각각 해당 다리부로부터 하부 자유 단부까지 거의 수직으로 연장된 제 1 및 제 2 집게부를 포함하는 집게로 이루어진 결합 잠금부로 구성되며, 상기 2개의 집게부는 결합 잠금부가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를 이동할 때 이동가능하고, 각각의 집게부는 결합 잠금부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 해당 고정부와 해당 다리부의 분리를 방지하며 고정부의 일부분 아래에 체결되고 고정부쪽으로 거의 수평으로 돌출된 자유 단부의 클로로 구성되며, 상기 2개의 집게부는 결합 잠금부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 해당 다리부와 고정부가 분리되는 동안 이들 집게부의 클로와 고정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당 고정부로부터 충분히 이격된다;
- 상기 제 1 쌍의 각 다리부의 결합 잠금부는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 중간에 소위 슬라이딩 위치를 갖고, 여기서 결합 잠금부의 집게부는 상기 고정부상의 해당 다리부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해당 고정부로부터 충분히 이격되나, 상기 잠금부의 각 결합 클로는 고정부 아래에 맞물린채로 남아있으며, 상기 제 1 쌍의 다리부의 결합 잠금부는 공통 조절부에 의해 슬라이딩 위치에서 동시에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 2 쌍의 다리부의 결합 잠금부는 단지 격벽 브라켓트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 각 고정부상에서 슬라이딩된다;
- 상기 고정부는 T형부를 갖고, 각각의 결합 클로는 상기 T형부의 수평 분지아래에 맞물린다;
- 상기 집게부의 자유 단부와 고정부는 시트가 고정부상에 수직으로 결합될 때 결합 잠금부를 고정부상에 고정할 수 있는 해제 위치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서로 결합되도록 채용된 캠면을 갖는다;
- 상기 잠금 수단은 시트의 길이방향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내 레일이 고정부를 따라 위치된 잠금부 수용 영역과 맞물리는 잠금 위치와 안내 레일이 상기 잠금부 수용 영역과 간섭하지 않는 해제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으며 시트에 의해 운반되는 안내 레일 잠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 레일은 시트에 의해 운반되는 안내 레일 조절기에 의해 작동된다;
- 상기 안내 레일과 결합 잠금부는 채용된 결합 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결합 잠금부와 안내 레일 잠금부는 모두 잠금 위치에 놓이며, 제 1 집게부는 고정부에 대하여 클램핑되고,
상기 안내 레일 조절기가 작동하는 동안 안내 레일 잠금부를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1 집게부는 시트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 1 집게부와 고정부사이에 배치된 슬라이딩 위치에 놓이나, 결합 클로는 고정부 아래에 맞물린채로 남아있다;
- 상기 결합 수단이 채용됨에 따라;
상기 안내 레일 잠금부는 결합 잠금부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 해제되고,
상기 결합 잠금부의 클로는 안내 레일 잠금부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안내 레일의 고정부 아래에 맞물린다;
- 상기 안내 레일 조절기는 결합 잠금부도 작동시키며,
결합 잠금부와 안내 레일 잠금부가 모두 잠금 위치에 있고, 제 1 집게부가 안내 레일의 고정부에 대하여 클램핑되는 제 1 위치,
안내 레일 잠금부가 해제 위치에 있고 결합 잠금부가 슬라이딩 위치에 있는 제 2 위치 및
안내 레일 잠금부가 해제 위치에 있고 결합 잠금부가 해제 위치에 있는 제 3 위치의 3가지 위치를 이동할 수 있다;
- 상기 안내 레일 조절기는 시트에 대하여 안내 레일 조절기의 제 1, 제 2 및 제 3 위치 사이를 피벗하는 횡 조절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 샤프트는 안내 레일 조절 캠으로 안내 레일 잠금부를 작동시킨다.
- 상기 시트 조립체는 2개의 유사한 평행 안내 레일로 구성되고, 상기 2개의 안내 레일에 의해 운반되며 서로 연결되도록 배치된 두 개의 다리부를 각각 포함하는 제 1 및 제 2 다리부쌍과 고정부를 각각 가지며, 상기 제 1 쌍의 각 다리부는 결합 잠금부와 안내 레일 잠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쌍의 다리부의 안내 레일 잠금부와 결합부는 탄성적으로 잠금 위치쪽으로 보조되며 제 1 조절부에 의해 각 해제 및 잠금 위치로 동시에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제 1 쌍의 2개의 다리부의 안내 레일 잠금부는 결합 잠금부가 해제 위치로 이동되는 것 없이 제 2 조절부에 의해 풀림 위치로 동시에 이동할 수 있다;
- 상기 제 2 쌍의 각 다리부는 결합 잠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쌍의 2개의 다리부의 결합 잠금부는 탄성적으로 잠금 위치쪽으로 보조되며 제 3 조절부에 의해 해제 위치로 동시에 이동할 수 있다;
- 상기 잠금 수단은 제 1 집게부를 포함하고, 제 1 집게부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시트를 고정하기 위하여 고정부의 잠금부 수용 영역과 맞물리도록 채용된다;
- 상기 안내 레일 조절기는 제 1 집게부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 고정부 아래에 결합 클로를 제공하여 클램핑함으로써 제 1 집게부를 상승시키도록 채용된다;
- 상기 결합 클로는 제 1 집게부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 고정부의 해당부 아래에 배치된 상보 홈부와 맞물리도록 상방으로 향한 홈부를 갖는다;
- 상기 안내 레일 조절기는
제 1 집게부가 안내 레일 고정부에 대하여 클램핑되는 제 1 위치,
제 1 집게부의 클로는 고정부의 해당부 아래에 맞물린채로 남아있으나 시트의 길이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 1 결합부와 고정부 사이에 소정 공간이 배치되며, 제 1 집게부가 슬라이딩 위치에 있는 제 2 위치 및,
제 1 집게부가 해제 위치에 있는 제 3 위치의 3가지 위치에서 이동할 수 있다;
- 상기 안내 레일 조절기는 제 1 집게부의 잠금 및 해제 위치에 각각 해당하는 각 잠금 및 풀림 위치 사이의 시트에 대하여 피벗하는 횡 조절 샤프트를 포함하며, 이 조절 샤프트는 상기 조절 샤프트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위치되어 조절 샤프트가 각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제 1 집게부를 해제 위치쪽으로 피벗시키도록 채용된 제 1 결합 조절 캠으로 제 1 집게부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 1 집게부는 잠금 위치쪽으로 탄성적으로 보조된다;
- 상기 제 1 집게부는 해당 다리부상의 소정 수직 공간으로 피벗되고, 상기 횡 조절 샤프트는 조절 샤프트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위치되어
조절 샤프트가 각 잠금 위치에 있을 때 고정부 아래에 결합 클로를 제공하여 클램핑함으로써 제 1 집게부를 상승시키고,
조절 샤프트가 각 잠금 및 풀림 위치사이의 중간 각 위치에 있을 때 결합 클로와 고정부사이에 소정 공간을 배치함으로써 상기 제 1 잠금부를 하강시키기 위하여 제 1 집게부와 맞물리는 제 2 잠금 조절 캠으로 구성된다;
- 상기 제 1 집게부의 결합 클로가 아래에 맞물리는 고정부의 부분은 하방으로 개구된 길이방향의 그루브를 갖는 반면, 상기 결합 클로는 조절 샤프트가 각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그루브에 맞물리도록 채용된 상방으로 돌출된 노우즈(nose)를 갖는다;
- 상기 고정부는 한편으론 자동차 플로어와 일체로 된 알루미늄 기저부로 된성형 몸체로 구성되고, 다른 한편으로 잠금부 수용 영역을 형성하는 노치로 구성되어 상기 알루미늄 몸체를 부분적으로 덮는 접힌 강판으로 구성된다;
- 상기 결합 잠금부는 단지 제 1 집게부만 포함한다;
- 상기 시트 조립체는 각각 고정부를 포함하는 2개의 유사한 평형 안내 레일로 구성되며, 적어도 2개의 시트 다리부가 각각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각각의 결합 클로를 갖는 2개의 제 1 집게부에 의해 상기 2개의 고정부상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된다;
- 상기 고정부는 거의 수평인 기저부와 거의 수직인 2개의 웨브와 함께 거의 상방으로 개구된 U자형부를 갖고, 상기 웨브중 하나는 다른 웨브쪽으로 돌출된 거의 수평의 엣지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집게부는 결합 클로가 고정부의 수평 엣지 아래에 맞물릴 수 있도록 고정부의 2개 웨브 사이를 관통하도록 채용된다;
- 상기 제 1 집게부로 구성된 다리부는 하방으로 돌출된 안내부를 갖고, 작은 공간을 두고 상기 고정부의 웨브 사이에 맞물리도록 채용된다;
- 상기 제 1 집게부로 구성된 다리부는 고정부에 평행한 길이방향 수평축을 따라 작은 각 공간으로, 횡 회전축을 따라 시트상에서 피벗된다;
- 상기 제 1 집게부로 구성된 다리부는 결합 클로와 고정부 사이에 소정 수직 공간을 만들어서, 탑승자가 시트에 앉지 않을 때 고정부 아래에 지지된 결합 클로를 유지하도록 채용된 굴절성 슬라이딩 패드를 통해 고정부상에 놓인다;
- 상기 결합 클로는 굴절성 물질로 된 라이닝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히고, 탑승자가 시트에 앉지 않았을 때 고정부 아래에 지지되도록 채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트 조립체의 측면도이고,
도 2는 전방 다리부중 하나와 도 1의 시트 조립체의 해당 안내레일을 도시한 상세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Ⅳ-Ⅳ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5는 시트의 슬라이딩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에 있는 전방 다리부중 하나의 결합 잠금부를 도시한 상세도이고,
도 6은 도 1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 및 도 8은 시트의 다리부중 하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각각 본 발명의 제 3 및 제 4 실시예를 도시한 상세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따른 시트 조립체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의 시트 조립체에 포함된 전방 다리부중 하나가 안내 레일상에 잠긴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한 수직 종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서 볼 수 있는 일부 요소의 상세 사시도이며,
도 12 및 도 13은 도 10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각각 안내 레일을 따라 시트가 슬라이딩 하는 위치와 시트의 분리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도 10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시트의 후방 다리부중 하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5는 도 9의 시트 조립체의 측면도이고,
도 16은 도 12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 6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 또는 유사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되었다. 도 1은 두 개의 다리부에 연결된 수평 로드(9)에 의해 서로 바람직하게 연결되어 시트의 동일측편에 위치된 4개의 다리부 즉, 제 1 횡 수평축(7)을 중심으로 시트부(3)상에서 피벗되는 한쌍의 전방 다리부(5)와 제 2 수평축(8)을 중심으로 시트부(3)상에서 피벗되는 한쌍의 후방 다리부(6)상에 설치된 시트부(3)와 여기에선 전방으로 접힌 상태가 도시된 시트백(4)을 포함하는 시트(2)와,
자동차 플로어(11)에 고정되어 소위 길이방향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시트(2)가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하며, 각각 시트의 동일측편에 위치된 상기 2개의 다리부(5)(6)을 지지하는 2개의 평행 안내 레일(10)로 구성된 자동차용 시트 조립체(1)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안내 레일(10)은 자동차 플로어에 배치된 홈(미도시)에 바람직하게 설치되는 고정부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경합금으로 제조된 고형 금속부인 고정부(10)는 대략 T형부를 갖고, 상기 T형부의 수평 분지의 엣지는 각각 수직 그루브로 이루어진 일련의 치형부(12)로 구성된다.
전방 또는 후방 다리부(5)(6)는 각각 수직 끼움으로 고정부(10)에 결합되며, 상기 다리부는 하방으로 개구된 고형 포크 형태이며 해당 고정부에 결합되는 하부또는 지지부(13)을 갖기 때문에 시트가 횡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도 3 및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다리부(5)(6)는 집게 형태의 결합 잠금부(14)(15)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잠금부는 각각 해당 다리부(5)(6)에 수평 종축을 중심으로 체결되어 결합 클로(18)(19)가 제공된 자유 단부까지 하방으로 연장된 2개의 집게부(16)(17)로 구성된다.
이러한 클로는 해당 고정부(10)쪽으로 수평으로 돌출되어, 집게부(16)(17)의 자유 단부가 서로를 향하여 이동하는 위치인 소위 잠금 위치에 결합 잠금부(14)(15)가 있을 때 고정부의 T형부의 수평 분지 아래에 맞물리도록 채용된다.
또한, 각각의 결합 잠금부(14)(15)는 회전축 아래 2개의 잠금부사이에 조립된 스프링(20)(21)에 의해 잠금 위치쪽으로 보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결합 잠금부(14)(15)는 수직력에 의해 시트(2)가 고정부(10)로부터 상승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고정부(10)의 상부는 측부 캠 면(22)을 갖고, 잠금부(16)(17)의 자유 단부도 상보 캠 면(23)(24)을 가짐에 따라 시트(2)는 어떠한 조절수단도 작동시킬 필요없이 수직 끼움으로 고정부(1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방 다리부의 집게부(16)의 내면이 각 고정부(10)의 양 측부에 형성된 치형부(12)와 맞물리도록 채용된 일련의 치형부(25)로 구성됨에 따라, 전방 결합 잠금부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시트(2)는 고정부(10)상에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할 수 없게 된다.
반면, 바람직하게, 길이방향으로 시트(2)가 슬라이딩하는데 간섭되지 않도록 후방 잠금부(17)의 내면은 평탄하다.
마지막으로, 각 결합 잠금부의 2개의 집게부(16)(17)는 맞물림 치형 피니언(27)(28)으로 구성되어, 상기 2개의 집게부는 고정부(10)에 동시에 밀착되거나 고정부로부터 동시에 측방향으로 분리된다.
상기 2개의 집게부중 하나는 레버(33)(34)로 작동되는 로커 암(31)(32)과 강성 로드(29)(30)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전방 레버(33)와 전방 로커 암(31)은 전방 다리부(5)의 2개의 결합 잠금부에 공통되며, 상기 후방 로커 암(32)과 아울러 후방 레버(34)는 2개의 후방 다리부(6)의 결합 잠금부와 공통된다.
따라서, 레버(33)(34)를 작동시킴으로써, 결합 클로(18)(19)가 더 이상 고정부(10)와 간섭되지 않는 해제 위치로 상기 결합 잠금부(14)(15)가 이동되기 때문에, 시트(2)를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상기 다리부(5)(6)가 마찰적으로 시트(3)에 조립되거나 통상의 사용 위치에 해당하는 각 제동 위치를 가짐에 따라 상기 다리부는 시트부(2)를 상승시킨 후 자유롭게 소음를 내지 않는다.
또한, 고정부(10)에 고정된채 유지되는 다리부의 횡 수평축(7)(8)을 중심으로 피벗시켜 시트의 시트부(3)를 상승 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오직 후방 다리부(6)의 브라켓트 또는 오직 전방 다리부(5)의 브라켓트만을 해제하여 시트(2)를 "포켓북(pocketbook)" 위치에 놓는 것 역시 가능하다.
이 위치에서, 상기 로드(9)는 고정부(10)로부터 해제된 2개의 후방 다리부(6)를 피벗시킴에 따라 상기 2개의 다리부는 시트부(3)의 하부면을 따라 배치된다.
따라서, 시트(2)의 탑승자가 고정부(10)상에서 시트의 길이방향 위치를 조절하기 원할 경우, 로드(36)에 의해 전방 로커 암(31)에 연결된 측부 레버(35)를 당기게 된다.
상기 레버는 로커 암(31)이 제한 거리를 약간 넘어 회전되도록 하여 전방 결합 잠금부(14)가 잠금과 해제 위치 중간인 소위 슬라이딩 위치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위치에서, 상기 집게부(16)의 내부 치형부(25)는 각 고정부의 치형부(12)로부터 해제되나, 클로(18)는 고정부의 T형부의 수평 분지 아래에 맞물린채로 남아있게 된다.
이 위치에서, 시트(2)는 후방 결합 잠금부(15)가 슬라이딩을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전방 또는 후방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딩 할 수 있으나, 시트(2)는 클로(18)(19)에 의해 유지되기 때문에 고정부(10)로부터 상방향으로 분리될 위험은 없다.
물론, 본 발명은 후술되는 엄밀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상에서 시트(2)가 안정적으로 슬라이딩하도록, 전방 다리부(5)의 포크 형상 지지부(13)의 하부가 전방 및 후방 다리부 사이의 고정부(10)를 덮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전방 다리부의 횡 수평축을 중심으로 피벗시켜 시트를 수직 위치에 놓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다리부(6)의 집게부(17)와 같이, 전방 다리부(5)의 집게부(16)도 집게부의 회전축 아래에 배치되어 조절 수단에 의해 작동될 때 상기 집게부를 분리하도록 채용된 캠(37)에 의해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조절 수단은 이미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것일 수 있다.
시트 조립체의 장착은 집게부(16)(17)의 상단부가 피니언(27)(28)로 구성되지 않을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잠금부를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하여 결합 잠금부(14)(15)의 스프링(20)(21)이 집게부(16)(17)의 회전축 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캠(37) 또한 집게부의 내면에 대하여 작용하도록 하여 결합 잠금부를 잠금 위치에 통상적으로 유지시키도록 집게부(16)(17)의 회전축 위에 배치되고, 예를 들어 각 다리부에 배치된 로타리 핸들 또는 다른 조절 수단을 통한 캠의 고의 각운동은 결합 잠금부(14)(15)가 스프링(20)(21)의 힘을 받아 해제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9 내지 도 1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서, 시트 조립체(1)는 시트부(3)와 시트백(4)이 제공된 시트(2)를 포함하고(도 9참조), 상기 시트부(3)는 4개의 다리부 즉, 전방 다리부쌍(5)과 후방 다리부쌍(6)에 장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방 다리부(5)는 제 1 횡 수평축(7)을 중심으로 시트에서 피벗되며, 후방 다리부(6)는 제 2 횡 수평축(8)을 중심으로 시트에서 피벗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시트 조립체는 자동차 사용자를 위하여 안내 레일(10)이 플로어에 배치된 슬롯(10a)의 형상으로만 외부적으로 보여지도록, 자동차의 플로어(11)에 고정되어 바람직하게는 플로어와 완전히 일체인 2개의 평형 안내 레일(10)로 구성된다.
각 안내 레일(10)은 시트가 길이방향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시트의 동일 측편에 위치된 2개의 다리부(5)(6)를 갖는다.
도 10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안내 레일(10)은 상방으로 개구된 U자형부를 갖는 고정부(37)로 이루어지며, 자동차 플로어(11) 내부에 배치된 채널(38)에 수용된다.
상기 고정부(37)는 나사(41) 또는 그와 유사한 것에 의해 플로어에 고정된 수평 기저부(40)와 2개의 수직 웨브(42)(43)로 구성되며, 상기 웨브(43)는 U자형부 내부에 위치된 상부 수평 엣지(44)를 갖고 시트의 내부쪽으로 배치되며, 이 엣지는 약간 낮은 그루브(45)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하게도, 상기 고정부는:
- 경 알루미늄에 기초한 합금으로 제작되어 U자형부를 갖는 몸체(39)와,
- 웨브(43)의 상부에 끼워지고, 강판(46)의 길이를 따라 분포된 노치를 형성하는 공동(47)을 갖으며, 엣지(44)와 하부 그루브(45) 형상을 따라 접힌 강판(46)을 포함한다(도 11 참조).
- 또한, 각각의 다리부(5)(6)는 고정부(37) 수직 웨브(42)(43) 사이의 작은 공간을 관통하는 하부 안내핀(49)을 포함하는 고형 중공 몸체(48)로 구성되며, 상기 안내핀(49)에는 고정부와의 접촉으로 인한 마찰과 소음을 제한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 외부 플라스틱 라이닝(50)이 제공된다.
- 각 다리부(5)(6)의 외부 몸체(48)는 해당 고정부의 엣지(44)의 상부에 거의 수평인 내부면(51)으로 더 구성되고, 상기 하부면(51)에는 (바람직하게는 약간 굴절성과 압축성이 있는) 플라스틱 또는 다른 물질로된 슬라이딩 패드(52) 또는 고정부를 따라 시트가 용이하게 슬라이딩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면 베어링부가 제공된다.
또한, 각 다리부(5)(6)는 시트부(3)와 일체로 되어 해당 피벗축(7)(8)을 따라 연장된 고정 허브(53)을 중심으로 피벗된다.
바람직하게, 고정 허브(53)를 중심으로한 다리부(5)(6)의 피벗은 측방향으로 제거되는 두 개의 베어링 즉,
- 상기 허브(53)와의 공간없이 피벗을 가능하게 하는 제 1 베어링(54)과,
- 고정부(37)에 평행한 종 수평축을 중심으로 다리부(5)(6)가 소정 각 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자동차 플로어(11)상에 시트(2)를 설치하는 동안 (안내 레일에 수직인) 횡 수평 방향을 따라 안내 레일의 정렬 결함을 용이하게 개선할 수 있도록 탄성계 홈(55)으로 형성된 제 2 베어링을 통해 얻어진다.
또한, 각 전방 다리부(5)의 외부 몸체(48)는 내부적으로:
-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다리부의 몸체(48)와 일체인 로드(56)를 중심으로 소정의 수직 공간을 두고 피벗되며, 고정부의 수직 웨브(43)쪽으로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고정부의 엣지(44) 아래에 맞물리도록 채용됨과 아울러 단부가 고정부의 엣지(44) 아래에 형성된 그루브에 맞물리도록 채용된 융기 노우즈(58)로 끝나는 클로(따라서 2개의 전방 다리부(5)의 클로(18)는 서로 대향한다)까지 외부 몸체(48) 내부의 슬롯(57)을 통해 하방으로 연장되고, 이 경우 집게 또는 후크부(16)로 이루어진 결합 잠금부(14)와,
- 해당 다리부(5)의 몸체(48)에 대하여 수직으로 이동가능하며 접힌 강판(46)의 노치(47)에 결합되도록 채용된 하나 또는 다수개의 하부 치형부(60)로 이루어지고, 도 10 및 도 11에서 볼수 있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다리부의 외부 몸체(48)상에서 수직으로 슬라이딩하도록 조립될 수 있는 안내 레일 잠금부(59)로 구성된다.
- 각 다리부(5)의 안내 레일 잠금부(59)와 결합 잠금부(14)는 해당 다리부에 속한 동일한 조절기(61)에 의해 작동된다.
상기 조절기는
- 상기 횡 수평축(63)을 중심으로 다리부(5)상에서 피벗되는 조절 샤프트(62)와,
- 상기 조절 샤프트(62)에 고정되어 안내 레일 조절 캠을 형성하며, 안내 레일 잠금부(59)에 속하고 종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장홀(65)에 수직 공간없이 수용되는 제 1 편심 디스크(64)와,
- 상기 조절 샤프트(62)에 고정되어 이의 외부 방사상 원주면(67)이 동일한 수직 공간을 두고 조절 샤프트(52)를 관통하는 집게부(16)의 상단부에 형성된 엣지(68)를 지지하는 캠을 상부에 형성하는 제 2 편심 디스크(66)와,
- 상기 에지(68)의 단부(70)가 지지되며, 램프(71)(이하, 제 1 결합 조절 캠이라 칭함) 형식으로 축 캠면(67)(이하, 제 2 결합 조절 캠이라 칭함)을 형성하는(도 11 참조) 칼라(69)와,
- 상기 집게부의 결합 클로가 고정부의 엣지(44) 아래에 맞물리는 잠금 위치로 집게부(16)를 보조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잠금부(59)의 구멍(73)을 통과하여 상기 집게부(16)를 다리부(5)의 외부 몸체(48)의 벽체중 하나에 연결하는 스프링(72), 및
- 상기 조절 샤프트(62)를 다리부의 외부 몸체(48)에 연결하여 상기 조절 샤프트를 제 1 각위치쪽으로 보조하기 위한 코일 스프링으로된 스프링(74)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각위치에서,
- 상기 안내 레일 조절 캠(64)은 고정부의 노치(47)에 잠금부의 치형부(60)가 맞물리는 잠금 위치로 안내 레일 잠금부(59)가 낮아지도록 하고,
- 상기 칼라(70)의 램프(71)는 집게부(16)의 클로(18)가 고정부의 엣지(44) 아래에 있도록 집게부의 엣지(68)와 연결되지 않으며,
- 상기 제 1 결합 조절 캠은 고정부의 그루브(45) 속으로 결합 클로의 노우즈(58)를 제공함으로써 집게부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집게부(16)의 엣지(68)와 맞물리고, 고정부와 다리부(5)(6)의 외부 몸체(48) 사이의 슬라이딩 패드(52)를 클램핑한다.
도 10에 도시된 정지 위치 또는 제 1 각위치로부터, 각 다리부의 조절 샤프트(62)는 시트의 상승을 허용하지 않고 안내 레일(10)에서 시트(2)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제 2 각위치 또는 당해 다리부(5)가 해당 안내 레일(10)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제 3 각위치까지 피벗될 수 있다.
상기 조절 샤프트(62)가 제 1 각위치로부터 소정의 각방향으로 소정 각도(α)로 피벗될 때, 상기 조절 샤프트는 도 12에 도시된 제 2 각위치에 있게 된다.
이 위치에서,
- 상기 안내 레일 조절 캠(64)은 고정부의 노치(47)와 맞물리지 않는 풀림 위치까지 안내 레일 잠금부(59)를 상승시키고,
- 상기 제 2 결합 조절 캠(67)은 집게부(16)가 로드(56)상으로 하향 이동할 수 있도록 엣지(68)과 맞물림에 따라(이때, 상기 스프링(72)은 전술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장되지 않은 상태이다), 상기 집게부(16)는 집게부가 고정부(37)로부터 소정 공간을 두고 분리되는 소위 슬라이딩 위치에 있으며,
- 상기 제 1 결합 조절 캠(71)은 집게부(16)의 클로(18)가 항상 고정부의 엣지(44) 아래에 맞물린채로 남아있도록 엣지(68)의 단부(70)와 항상 맞물리는 것은 아니다.
도 13에 도시된 제 3 각위치까지 상기 조절 샤프트(62)가 제 1 각위치로부터 전술한 각방향으로 각도(α)보다 큰 각도(β) 이상으로 피벗될 때:
- 상기 안내 레일 조절 캠(66)은 안내 레일 잠금부(59)를 풀림 위치에 유지시키고,
- 상기 슬롯(57)을 통하여 집게부(16)를 안내핀(49) 내부로 피벗시킴으로써,제 1 결합 조절 캠(71)은 집게부의 클로(18)가 더 이상 고정부의 엣지(44) 아래에 돌출되지 않아서 다리부(5)가 안내 레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해제 위치까지 엣지(68)의 단부(70)상에서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각각의 후방 다리부(6)는 전술한 전방 다리부(5)와 유사하고, 심지어 전방 다리부와 동일하다. 그러나, 바람직하게, 상기 후방 다리부는 다음과 같은 차이점에 의해 전방 다리부와 구별된다:
- 상기 집게부(16)는 수직 공간을 두고 상기 세로 로드(56)상에서 바람직하게 피벗되고,
- 상기 다리부(6)는 편심 디스크(66)로 구성되지 않으며,
- 상기 클로(18)는 집게부(16)가 잠김 위치에 있을 때 고정부 엣지(44)의 하부면과 클로(18) 사이에 수직하게 삽입되며 플라스틱 물질 또는 기타 상대적으로 굴절성있는 물질로 제조된 상부 라이닝(79)로 구성되고,
- 상기 다리부(6)는 안내 레일 잠금부 또는 안내 레일 조절 캠(64)으로 구성되지 않는다.
상기 후방 다리부의 집게부(16)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 라이닝(79)에 의해 고정부로부터 클로가 분리되기 때문에 집게부의 클로(18)는 통상적으로 고정부와 직접 접촉되지 않는다.
반면, 시트가 조립된 자동차가 사고를 당하는 경우, 상기 라이닝(79)이 압착되어 클로(18)는 고정부의 엣지(44) 아래에 배치된 그루브(45)의 하부와 밀접하게 접촉된다.
도 14에 도시된 수직 위치 또는 전방 다리부(5)에 대하여 도 13에 도시된 위치와 유사한 풀림 위치에 해당 결합 잠금부(14)를 위치시키기 위하여, 각 후방 다리부의 조절 샤프트(62)는 단지 제 1 및 제 3 각위치 사이에서만 이동된다.
따라서, 안내 레일(10)을 따라 시트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시트의 전방 다리부(5)의 조절 샤프트(62)가 제 2 각위치에 놓일 때, 후방 다리부(16)의 집게부(16)는 풀림 위치에 남게되며, 안내 레일(10)을 따라 후방 다리부(6)가 슬라이딩하는 것은 단지 패드(52)와 라이닝(50)(79)이 고정부(37)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유리하게도, 이러한 슬라이딩은 탑승자가 시트에 앉았을 때 패드(52)의 압착에 의해 더욱 용이해지고, 이러한 미세한 압착이 고정부의 엣지(44)와 집게부(16)의 라이닝(79) 및 클로(18)사이에 수직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변형예로써, 상기 전방 다리부(5)의 조절 샤프트(62)는 집게부의 잠금 및 풀림 위치에 각각 해당하는 제 1 및 제 3 각위치사이에서만 함께 이동될 필요가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전방 다리부(5)는 편심 디스크(66)로 구성되지 않으며 집게부(16)는 해당 로드(56)상에 수직 공간없이 바람직하게 조립되고, 전방 다리부의 클로(18)에는 바람직하게 라이닝(79)이 제공된다.
상기 전방 다리부(5)가 안내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것이, 바람직하게는 후방 다리부(6)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패드의 미세한 압착과 함께, 단지 각각의 전방 다리부의 라이닝(50)(79)과 패드(52)를 해당 고정부를 따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유리하게도, 상기 2개의 전방 다리부(5)의 조절 샤프트(62)는 2개의 후방 다리부(6)의 조절 샤프트(62)와 같이 특히 관상인 강성 연결막대(75)에 의해 함께 고정된다. 전방 다리부(5) 또는 후방 다리부(6)의 조절기는 바람직하게 이러한 연결막대에 의해 작동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한정 실시예로서, 전방 및 후방 연결막대(75)는 각각 후방으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보상기를 형성하는 절곡부를 가질 수 있다.
전방 보상기(76)는 안내 레일(10)로부터 전방 다리부가 분리될 수 잇는 제 3 각위치까지 2개의 전방 다리부(5)의 조절 샤프트(62)를 이동시킴으로써 각도(β)이상 화살표(78) 방향으로 상방으로 피벗될 수 있는 반면, 후방 보상기(76)는 후방 다리부(6)의 조절 샤프트(62)를 제 3 각위치로 피벗시켜 후방 다리부(6)가 안내 레일(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동일 각도(β)만큼 화살표(78) 방향으로 피벗될 수 있다.
상기 전방 및 후방 보상기(76)가 동시에 작동될 때, 시트(2)는 자동차로부터 분리되거나 자동차의 다른 위치에 배치하기 위해 완전히 상승될 수 있으며, 후방 보상기(76)만 작동될 때, 시트(2)는 시트부(3)가 거의 수직으로 배치되는 "포켓북" 위치에 놓이도록 전방 다리부상에서 피벗될 수 있다.
또한, 시트(2)의 길이방향 위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전방 시트의 조절 샤프트(62)만 제 2 각 위치에 놓이도록 전술한 각도(α)로 피벗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시트(2)는 2개의 전방 다리부(5)상에 피벗되는 예를 들어 절곡관(81)으로 형성된 추가적인 보상기(8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전방을 향해 위치된다.
이 보상기(80)는 보상기(80)가 반대 방향(77)으로 피벗될 때 전술한 각방향(78)으로 연결막대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전방 다리부의 연결막대(75)와 일체로 된 상보 캠(83)과 맞물리도록 채용된 캠(82)과 일체이다.
상기 관(81)은 단지 각공간(α)만큼만 또는 적어도 보상기(80)가 작동될 때 연결막대(75)가 각방향(78)으로 단지 각도(α)만큼 피벗하도록 채용된 각공간 만큼만 피벗될 수 있도록 전방 다리부(5)에 조립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는 도 9 내지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하나, 하기된 사항에 의해 구별된다:
- 상기 접힌 강판(46)은 노치를 형성하는 근접홀(85)이 내부에 천공되며 그루브(45)의 상부에 배치된 하부 수평 절곡부(84)를 형성한다.
- 상기 절곡부(84)는 고정부 웨브(43)의 내부면과 접하는 웨브 플레이트(85)에 의해 하방으로 연장된다.
- 상기 웨브 플레이트(85) 자체는 수평 기저부(86)에 의해 연장되며, 수평 기저부는 고정부의 기저부(40)상에 놓여져 자동차 플로어에 고정부(37)를 고정하는 나사(41)에 의해 상기 기저부에 고정된다.
- 상기 강판(46)은 노치(47)를 포함하지 않으며, 전방 다리부(5)는 수직 잠금부(59) 또는 로타리 캠(64)을 포함하지 않는다.
- 상기 전방 다리부의 결합 클로(18)는 집게부(16)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 고정부의 그루브(45) 속으로 관통함으로써 접힌 강판(46)의 노치(85)와 맞물리도록 채용된 치형부(88)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 조립체는 탈거되었던 시트를 안내 레일상에 재조립할 때 안내 레일 조절기가 안내 레일 잠금부와 완벽하게 연결되고, 시트의 형상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으며, 시트의 구속력이 가동부를 통과하지 않아 가동부가 시트 및 고정부와 연결되지 않고 가동부의 크기를 줄일수 있어서 시트 조립체의 제작 비용을 줄일 수 있다.

Claims (33)

  1. 자동차 플로어(11)와 일체이면서 소위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안내 레일(10)과,
    상기 안내 레일로부터 시트가 탈거될 수 있도록 하기위해 적어도 하나가 안내 레일(10) 상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시트의 다리부를 안내레일과 고정하기 위하여 결합 잠금부가 안내 레일과 결합되는 잠금 위치와 다리부가 안내 레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해제 위치 사이를 조절 수단(33)(34)(61)(76)에 의해 이동하는 결합 잠금부(14)(15)를 포함하는 다리부(5)(6)에 의해 지지되는 시트(2)로 구성된 자동차용 시트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결합 잠금부(14)(15)는 시트 다리부(5)(6)로부터 하부 다리부의 단부까지 거의 수직으로 연장된 제 1 집게부(16)(17)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집게부는 길이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축 주위로 회전하며 상기 결합 잠금부가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를 운동할 때 잠금 및 해제 위치 사이를 이동하고; 상기 제 1 집게부는 결합 잠금부(14)(15)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 다리부(5)(6)와 고정부의 분리를 방지하면서 고정부(10)(37)의 일부분 아래에 체결될 수 있는 자유 단부의 결합 클로(18)(19)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 클로(18)(19)는 결합 잠금부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 해당 다리부와 고정부가 분리되는 동안 고정부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고정부(10)(37)로부터 충분히 이격되며, 상기 시트는 안내 레일 조절기(35)(61)에 의해 작동되며 시트의 길이방향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부와 맞물릴 수 있는 잠금 수단(16)(59)으로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잠금부(14)는 안내 레일 고정부(10)의 양측부에 놓여 각각 시트의 다리부(5)로부터 자유 하단부까지 거의 수직으로 연장된 제 1 및 제 2 집게부(16)를 포함하는 집게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집게부의 결합 클로(18)는 제 2 집게부(16)쪽으로 거의 수평으로 돌출되며, 상기 고정부(10)는 2개의 집게부(16) 사이에 수평으로 클램핑되어 결합 잠금부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시트의 길이방향 이동을 방지하고, 상기 2개의 집게부(16)는 결합 잠금부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 고정부(10)로부터 측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집게부(16)는 고정부에 대향하여 위치된 홈부(25)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결합 잠금부(14)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시트의 길이방향 슬라이딩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1 집게부의 홈부와 맞물리는 상보 홈(1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조립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집게부(16) 또한 결합 잠금부(14)가 잠금 위치 및 해제 위치 사이를 이동할 때 이동할 수 있고, 제 2 집게부는 결합 잠금부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 고정부(10)의 일부분 아래에 체결되며 제 1 집게부(16)쪽으로 거의 수평으로 돌출된 자유 단부의 결합 클로(18)로 구성되고, 제 2 집게부는 결합잠금부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 해당 다리부와 고정부가 분리되는 동안 제 2 집게부의 클로와 고정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고정부로부터 충분히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집게부(16)는 고정부(10)에 대향하여 위치된 홈부(25)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결합 잠금부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시트의 길이방향 슬라이딩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2 집게부의 홈부와 맞물리는 상보 홈(1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조립체.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잠금부(14)는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 중간에 소위 슬라이딩 위치를 갖고, 여기서 결합 잠금부의 집게부(16)는 상기 고정부를 따라 해당 다리부(5)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고정부(10)로부터 충분히 이격되나, 적어도 제 1 집게부의 결합 클로(18)는 고정부 아래에 맞물린채로 남아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조립체.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조립체는 제 1 안내 레일과 유사하며 이와 평행하게 놓이고 고정부가 제공된 제 2 안내 레일(10)로 구성되며, 상기 시트는 2개의 고정부(10)상에 공통으로 연결되도록 위치되고 이들 고정부상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조립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다리부(5)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쌍의 각 다리부(5)는 해당 고정부(10) 양측에 위치되어 각각 해당 다리부로부터 하부 자유 단부까지 거의 수직으로 연장된 제 1 및 제 2 집게부(16)를 포함하는 집게로 이루어진 결합 잠금부(14)로 구성되며, 상기 2개의 집게부(16)는 결합 잠금부(14)가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를 이동할 때 이동가능하고, 상기 고정부(10)는 결합 잠금부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시트의 길이방향 이동을 방지하며 2개의 집게부(16)사이에 수평으로 클램핑되고, 각각의 집게부는 결합 잠금부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 해당 고정부와 해당 다리부의 분리를 방지하며 고정부의 일부분 아래에 체결되고 고정부(10)쪽으로 거의 수평으로 돌출된 자유 단부의 클로(18)로 구성되며, 상기 2개의 집게부(16)는 결합 잠금부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 해당 다리부와 고정부가 분리되는 동안 이들 집게부의 클로(18)와 고정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당 고정부(10)로부터 충분히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조립체는 2개의 고정부(10)상에 공통으로 연결되도록 위치되고 이들 고정부상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조립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다리부(6)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쌍의 각 다리부(6)는 해당 고정부(10) 양측에 위치되어 각각 해당 다리부(6)로부터 하부 자유 단부까지 거의 수직으로 연장된 제 1 및 제 2 집게부(17)를 포함하는 집게로 이루어진 결합 잠금부(15)로 구성되며, 상기 2개의 집게부(17)는 결합 잠금부(15)가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를 이동할 때 이동가능하고, 각각의 집게부(17)는 결합 잠금부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 해당 고정부와 해당 다리부의 분리를 방지하며 고정부의 일부분 아래에 체결되고 고정부(10)쪽으로 거의 수평으로 돌출된 자유 단부의 클로(19)로 구성되며, 상기 2개의 집게부(17)는 결합 잠금부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 해당 다리부와 고정부가 분리되는 동안 이들 집게부의 클로(19)와 고정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당 고정부(10)로부터 충분히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조립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쌍의 각 다리부(5)의 결합 잠금부(14)는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 중간에 소위 슬라이딩 위치를 갖고, 여기서 결합 잠금부의 집게부(16)는 상기 고정부상의 해당 다리부(5)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해당 고정부(10)로부터 충분히 이격되나, 상기 잠금부의 각 결합 클로(18)는 고정부 아래에 맞물린채로 남아있으며, 상기 제 1 쌍의 다리부(5)의 결합 잠금부(14)는 공통 조절부(35)에 의해 슬라이딩 위치에서 동시에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 2 쌍의 다리부(6)의 결합 잠금부(15)는 단지 잠금부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 각 고정부(10)상에서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조립체.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0)는 T형부를 갖고, 각각의 결합 클로(18)(19)는 상기 T형부의 수평 분지아래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조립체.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부(16)(17)의 자유 단부와 고정부(10)는 시트(2)가 고정부상에 수직으로 결합될 때 결합 잠금부(14)(15)를 고정부(10)상에 고정할 수 있는 해제 위치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서로 결합되도록 채용된캠면(22)(23)(2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조립체.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수단은 시트의 길이방향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내 레일이 고정부(37)를 따라 위치된 잠금부 수용 영역(47)과 맞물리는 잠금 위치와 안내 레일이 상기 잠금부 수용 영역과 간섭하지 않는 해제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으며 시트(2)에 의해 운반되는 안내 레일 잠금부(5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조립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레일(59)과 결합 잠금부(14)는 채용된 결합 수단(16)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상기 결합 잠금부(14)와 안내 레일 잠금부(59)는 모두 잠금 위치에 놓이며, 제 1 집게부(16)는 고정부에 대하여 클램핑됨에 따라, 상기 안내 레일 조절기(76)(62)(64)가 작동하는 동안 안내 레일 잠금부를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1 집게부(16)는 시트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 1 집게부와 고정부(17)사이에 배치된 슬라이딩 위치에 놓이나, 결합 클로(18)는 고정부 아래에 맞물린채로 남아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조립체.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레일(59)과 결합 잠금부(14)는 채용된 결합 수단(16)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상기 안내 레일 잠금부(59)는 결합 잠금부(16)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 해제됨에 따라, 상기 결합 잠금부의 클로(18)는 안내 레일 잠금부(59)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안내 레일의 고정부(37) 아래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조립체.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레일 조절기(61)는 결합 잠금부(14)도 작동시키며, 결합 잠금부(14)와 안내 레일 잠금부(59)가 모두 잠금 위치에 있고 제 1 집게부(16)가 안내 레일의 고정부(37)에 대하여 클램핑되는 제 1 위치, 안내 레일 잠금부(59)가 풀림 위치에 있고 결합 잠금부(16)가 슬라이딩 위치에 있는 제 2 위치 및 안내 레일 잠금부(59)가 풀림 위치에 있고 결합 잠금부(14)가 해제 위치에 있는 제 3 위치의 3가지 위치를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조립체.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레일 조절기(61)는 시트에 대하여 피벗하는 횡 조절 샤프트(62)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 샤프트는 안내 레일 조절 캠(64)으로 안내 레일 잠금부(59)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조립체.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조립체는 2개의 유사한 평행 안내 레일(10)로 구성되고, 상기 2개의 안내 레일에 의해 운반되며 서로 연결되도록 배치된 두 개의 다리부(5)(6)를 각각 포함하는 제 1 및 제 2 다리부쌍과 고정부(37)를 각각 가지며, 상기 제 1 쌍의 각 다리부(5)는 결합 잠금부(14)와 안내 레일 잠금부(59)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쌍의 다리부의 안내 레일 잠금부(59)와 결합 잠금부(14)는 탄성적으로 잠금 위치쪽으로 보조되며 제 1 조절부(76)에 의해 각 해제 및 잠금 위치로 동시에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제 1 쌍의 2개의 다리부(5)의 안내 레일 잠금부(59)는 결합 잠금부(14)가 해제 위치로 이동되는 것 없이 제 2 조절부(80)에 의해 풀림 위치로 동시에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조립체.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쌍의 각 다리부(6)는 결합 잠금부(14)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쌍의 2개의 다리부(6)의 결합 잠금부는 탄성적으로 잠금 위치쪽으로 보조되며 제 3 조절부(76)에 의해 해제 위치로 동시에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조립체.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수단은 제 1 집게부(16)를 포함하고, 제 1 집게부(16)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시트를 고정하기 위하여 고정부의 잠금부 수용 영역(85)과 맞물리도록 채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조립체.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레일 조절기(61)는 제 1 집게부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 고정부(37) 아래에 결합 클로(18)를 제공하여 클램핑함으로써 제 1 집게부를 상승시키도록 채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조립체.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클로(18)는 제 1 집게부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 고정부의 해당부(44) 아래에 배치된 상보 홈부와 맞물리도록 상방으로 향한 홈부(88)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조립체.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레일 조절기(61)는 제 1 집게부(16)가 안내 레일 고정부(37)에 대하여 클램핑되는 제 1 위치, 제 1 집게부의 클로(18)는 고정부의 해당부(44) 아래에 맞물린채로 남아있으나 시트의 길이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 1 결합부와 고정부 사이에 소정 공간이 배치되며 제 1 집게부(16)가 슬라이딩 위치에 있는 제 2 위치 및 제 1 집게부(16)가 해제 위치에 있는 제 3 위치의 3가지 위치에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조립체.
  23. 제 12 항 및 제 2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레일 조절기(61)는 제 1 집게부의 잠금 및 해제 위치에 각각 해당하는 각 잠금 및 풀림 위치 사이의 시트에 대하여 피벗하는 횡 조절 샤프트(62)를 포함하며, 이 조절 샤프트는 상기 조절 샤프트(62)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위치되어 조절 샤프트가 각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제 1 집게부를 해제 위치쪽으로 피벗시키도록 채용된 제 1 결합 조절 캠(71)으로 제 1 집게부(16)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 1 집게부(16)는 잠금 위치쪽으로 탄성적으로 보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조립체.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집게부(16)는 해당 다리부(5)(6)상의 소정 수직 공간으로 피벗되고, 상기 횡 조절 샤프트(62)는 조절 샤프트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위치되어 조절 샤프트(62)가 각 잠금 위치에 있을 때 고정부(37) 아래에 결합클로(18)를 제공하여 클램핑함으로써 제 1 집게부를 상승시키고, 조절 샤프트(62)가 각 잠금 및 풀림 위치사이의 중간 각 위치에 있을 때 결합 클로(18)와 고정부(37)사이에 소정 공간을 배치함으로써 상기 제 1 잠금부를 하강시키기 위하여 제 1 집게부와 맞물리는 제 2 잠금 조절 캠(67)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조립체.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집게부의 결합 클로(18)가 아래에 맞물리는 고정부의 부분(44)은 하방으로 개구된 길이방향의 그루브를 갖는 반면, 상기 결합 클로는 조절 샤프트(62)가 각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그루브에 맞물리도록 채용된 상방으로 돌출된 노우즈(58)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조립체.
  26. 제 12 항 및 제 2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37)는 한편으론 자동차 플로어(11)와 일체로 된 알루미늄 기저부로 된 성형 몸체(39)로 구성되고, 다른 한편으로 잠금부 수용 영역을 형성하는 노치(47)(85)로 구성되어 상기 알루미늄 몸체를 부분적으로 덮는 접힌 강판(46)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조립체.
  27. 제 12 항 및 제 2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잠금부는 단지 제 1 집게부(16)만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조립체.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조립체는 각각 고정부(37)를 포함하는 2개의 유사한 평형 안내 레일(10)로 구성되며, 적어도 2개의 시트 다리부(5)(6)가 각각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각각의 결합 클로(18)를 갖는 2개의 제 1 집게부(16)에 의해 상기 2개의 고정부상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조립체.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37)는 거의 수평인 기저부(40)와 거의 수직인 2개의 웨브(42)(43)와 함께 거의 상방으로 개구된 U자형부를 갖고, 상기 웨브중 하나(43)는 다른 웨브(42)쪽으로 돌출된 거의 수평의 엣지(44)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집게부(16)는 결합 클로(18)가 고정부의 수평 엣지(44) 아래에 맞물릴 수 있도록 고정부의 2개 웨브 사이를 관통하도록 채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조립체.
  30. 제 27 항 내지 제 2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집게부(16)로 구성된 다리부(5)(6)는 하방으로 돌출된 안내부(49)를 갖고, 작은 공간을 두고 상기 고정부의 웨브(42)(43) 사이에 맞물리도록 채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조립체.
  3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집게부(16)로 구성된 다리부(5)(6)는 고정부에 평행한 길이방향 수평축을 따라 작은 각 공간으로, 횡 회전축(7)(8)을 따라 시트상에서 피벗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조립체.
  3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집게부(16)로 구성된 다리부(5)(6)는 결합 클로와 고정부 사이에 소정 수직 공간을 만들어서, 탑승자가 시트에 앉지 않을 때 고정부(37) 아래에 지지된 결합 클로(18)를 유지하도록 채용된 굴절성 슬라이딩 패드(52)를 통해 고정부상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조립체.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클로(18)는 굴절성 물질로 된 라이닝(79)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히고, 탑승자가 시트에 앉지 않았을 때 고정부(37) 아래에 지지되도록 채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조립체.
KR1019980057391A 1997-12-22 1998-12-22 안내 레일 상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된 시트로 구성된 자동차용시트 조립체 KR1003370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716244A FR2772685B1 (fr) 1997-12-22 1997-12-22 Ensemble d'assise pour vehicule comportant un siege amovible monte sur glissieres
FRFR9716244 1997-12-22
FRFR9808753 1998-07-08
FR9808753A FR2772686B3 (fr) 1997-12-22 1998-07-08 Ensemble d'assise pour vehicule comportant un siege amovible monte sur glissier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3338A KR19990063338A (ko) 1999-07-26
KR100337002B1 true KR100337002B1 (ko) 2002-10-11

Family

ID=26234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7391A KR100337002B1 (ko) 1997-12-22 1998-12-22 안내 레일 상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된 시트로 구성된 자동차용시트 조립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357814B1 (ko)
EP (1) EP0925996B1 (ko)
JP (1) JP3268763B2 (ko)
KR (1) KR100337002B1 (ko)
CN (1) CN1117670C (ko)
BR (1) BR9805706A (ko)
DE (1) DE69816254T2 (ko)
FR (1) FR2772686B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52540A1 (de) * 1998-11-05 2000-05-11 Brose Fahrzeugteile Vorrichtung zur lösbaren Befestigung eines Fahrzeugsitzes oder von Teilen eines Fahrzeugsitzes in einem Kraftfahrzeug
FR2812251B1 (fr) * 2000-07-27 2003-01-03 Antolin Grupo Ing Sa Dispositif de guidage et d'ancrage pour siege amovible de vehicule
FR2815911B1 (fr) * 2000-10-27 2003-01-10 Faurecia Sieges Automobile Pietement pour siege de vehicule et siege de vehicule comportant un tel pietement
DE20020753U1 (de) * 2000-12-07 2002-04-25 Johnson Controls Gmbh Verankerungseinrichtung für einen werkzeuglos ein- und ausbaubaren Fahrzeugsitz
WO2003004304A1 (de) * 2001-06-29 2003-01-16 Werner Badorrek Einrichtung zur verstellung und arretierung einer mit einer struktur, z.b. mit einem boden eines verkehrs- oder transportmittels verbindbaren baueinheit
FR2829439B1 (fr) * 2001-09-07 2004-01-16 Faurecia Sieges Automobile Pietement de siege de vehicule, siege comportant un tel pietement et ensemble d'assise comportant un tel siege
FR2834942B1 (fr) * 2002-01-21 2004-04-02 Faurecia Sieges Automobile Dispositif de commande et siege de vehicule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US20030151294A1 (en) * 2002-02-13 2003-08-14 Glater Irving W. Interchangeable seat cushions for automotive bucket seats
FR2837149B1 (fr) * 2002-03-15 2004-06-25 Antolin Grupo Ing Sa Compensateur de defaut de parallelisme pour siege amovible de vehicule
US6736457B2 (en) 2002-06-07 2004-05-18 Elio Engineering Inc. Continuous seat adjustment mechanism
FR2861341B1 (fr) 2003-10-23 2007-02-23 Faurecia Interieur Ind Vehicule automobile a moyens de liaison a un siege et a une console, ensemble comprenant un siege, une console et des moyens de liaison au plancher d'un tel vehicule, et utilisation d'un siege a la place d'une console
DE102004007168B4 (de) * 2004-02-09 2013-01-24 Volkswagen Ag Verfahren zur Entlastung von Laufrollen in Führungsschienen
DE102004036402A1 (de) * 2004-07-23 2006-03-16 Volkswagen Ag Sitzarretierung
DE102005007430A1 (de) * 2005-02-18 2006-03-30 Daimlerchrysler Ag Befestigungs- und Positionier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JP5225610B2 (ja) * 2007-05-17 2013-07-03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DE102008048744B4 (de) * 2008-09-24 2014-01-16 Airbus Operations Gmbh Vorrichtung zum Bewegen eines Objekts an Schienen, Verwendung einer solchen Vorrichtung und Verkehrsmittel mit einer solchen Vorrichtung
FR2948632B1 (fr) * 2009-07-28 2011-08-26 Attax Systeme d'accrochage d'un siege d'aeronef
US9676298B2 (en) * 2010-12-30 2017-06-13 C. Rob. Hammerstein Gmbh & Co. Kg Longitudinal adjustment device for a motor vehicle seat, comprising two pairs of rails
FR2986751B1 (fr) * 2012-02-10 2014-03-21 Antolin Grupo Ing Sa Mecanisme d'ancrage d'un siege amovible
FR2990165B1 (fr) * 2012-05-04 2014-05-09 Trw Automotive Electron & Comp Clip de fixation
DE102013109049A1 (de) 2013-08-21 2015-02-26 Airbus Operations Gmbh Befestigungssystem zum Befestigen eines Objekts in einem Raum eines Verkehrsmittels und Verkehrsmittel mit einem Raum und mindestens einem derartigen Befestigungssystem
DE102016224663B4 (de) * 2015-12-15 2019-11-21 Lear Corporation Schienenanordnung
DE102016212891A1 (de) * 2016-07-14 2018-01-1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Fahrzeugsitzanordnung
US20190366880A1 (en) * 2016-11-21 2019-12-05 Adient Engineering and IP GmbH Vehicle seat, in particular motor vehicle seat
US10926667B2 (en) * 2018-05-04 2021-02-23 Lear Corporation Track assembly
US11040639B2 (en) 2018-05-04 2021-06-22 Lear Corporation Track assembly
US10889208B2 (en) 2018-05-04 2021-01-12 Lear Corporation Track assembly
US10882420B2 (en) 2019-03-08 2021-01-05 Lear Corporation Track assembly
US10906431B2 (en) 2018-05-04 2021-02-02 Lear Corporation Track assembly
US11040638B2 (en) 2018-05-04 2021-06-22 Lear Corporation Track assembly
US11358497B2 (en) 2018-05-04 2022-06-14 Lear Corporation Track system having a rolling member
US11225201B2 (en) 2018-12-10 2022-01-18 Lear Corporation Track assembly
US11440482B2 (en) 2018-12-10 2022-09-13 Lear Corporation Track assembly
US10855037B2 (en) 2018-12-17 2020-12-01 Lear Corporation Support assembly with a support member and a track assembly
US11613220B2 (en) 2018-12-17 2023-03-28 Lear Corporation Electrical assembly
US11117538B2 (en) 2018-12-17 2021-09-14 Lear Corporation Electrical assembly
US10950977B2 (en) 2018-12-18 2021-03-16 Lear Corporation Track assembly for a vehicle component
DE102019000381B4 (de) * 2019-01-22 2023-04-27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Führungsvorrichtung mit Verriegelungsvorrichtung
US11975665B2 (en) 2019-02-20 2024-05-07 Lear Corporation Electrical assembly
US11040653B2 (en) 2019-02-25 2021-06-22 Lear Corporation Track assembly
US11299075B2 (en) 2019-03-06 2022-04-12 Lear Corporation Electrical assembly
US11807142B2 (en) 2019-03-06 2023-11-07 Lear Corporation Electrical track assembly
CN113677558A (zh) * 2019-03-29 2021-11-19 提爱思科技股份有限公司 车辆座椅
FR3096745B1 (fr) * 2019-05-28 2021-06-11 Conseil & Technique Dispositif de fixation d’un objet sur un rail avec un pas de positionnement déterminé
CN112296141B (zh) * 2019-07-31 2022-09-02 嘉意机床(上海)有限公司 一种窄状钢板的加工设备及方法
US11323114B2 (en) 2019-10-04 2022-05-03 Lear Corporation Electrical system
US11463083B2 (en) 2019-10-04 2022-10-04 Lear Corporation Electrical system
US11634101B2 (en) 2019-10-04 2023-04-25 Lear Corporation Removable component system
US11835119B2 (en) 2020-02-21 2023-12-05 Lear Corporation Track system with a support member
US11505141B2 (en) 2020-10-23 2022-11-22 Lear Corporation Electrical system with track assembly and support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53025A (en) * 1968-02-08 1969-07-01 Caterpillar Tractor Co Operator's seat assembly
DE2729770C2 (de) * 1977-07-01 1982-03-18 C. Rob. Hammerstein Gmbh, 5650 Solingen Feststellvorrichtung für Gleitschienenführungen eines Fahrzeugsitzes
US4277043A (en) * 1979-05-25 1981-07-07 Koehler-Dayton, Inc. Locking assembly for aircraft seat
GB8301644D0 (en) * 1983-01-21 1983-02-23 Ti Cox Ltd Slide assembly
DE3414649A1 (de) * 1984-04-18 1985-10-31 Adam Opel AG, 6090 Rüsselsheim Kraftfahrzeugsitz
JPS62210143A (ja) * 1986-03-11 1987-09-16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用シ−トのスライドレ−ル構造
US5104084A (en) * 1989-03-16 1992-04-14 Shiroki Corporation Seat-sliding device for front seat of vehicle
DE9113919U1 (ko) * 1991-11-08 1992-03-12 Westfalia-Werke Franz Knoebel & Soehne Kg, 4840 Rheda-Wiedenbrueck, De
CA2072809C (en) * 1992-06-30 1998-05-19 Rudolf Gruber Seat adjuster with compensating link
CA2074205C (en) * 1992-07-20 1996-04-30 Frank Thomas West Automotive seat track locking mechanism
FR2700735B1 (fr) 1993-01-27 1995-04-07 Matra Automobile Siège de véhicule enlevable et réglable en position.
US5280987A (en) * 1993-03-10 1994-01-25 General Motors Corporation In-floor seat adjuster
US5364152A (en) * 1993-05-24 1994-11-15 General Motors Corporation Adjustable seat for van-type vehicles
NO932534L (no) * 1993-07-12 1995-01-13 Norsk Hydro As Et system for låsing og tilpassing av bilseter
DE9314844U1 (de) * 1993-10-01 1994-02-03 Westfalia Werke Knoebel Vorrichtung zur Befestigung von Sitzgestellen am Boden eines Fahrzeugs
JP3660008B2 (ja) * 1995-03-20 2005-06-15 デルタ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DE19617935A1 (de) * 1996-04-26 1997-10-30 Isringhausen Geb Fahrzeugsitz mit einer Bodenschienenmont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9805706A (pt) 1999-12-07
FR2772686A1 (fr) 1999-06-25
JPH11240360A (ja) 1999-09-07
CN1117670C (zh) 2003-08-13
DE69816254T2 (de) 2004-05-27
KR19990063338A (ko) 1999-07-26
CN1224675A (zh) 1999-08-04
DE69816254D1 (de) 2003-08-14
US6357814B1 (en) 2002-03-19
JP3268763B2 (ja) 2002-03-25
EP0925996A1 (fr) 1999-06-30
FR2772686B3 (fr) 2000-02-18
EP0925996B1 (fr) 2003-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7002B1 (ko) 안내 레일 상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된 시트로 구성된 자동차용시트 조립체
JP4719677B2 (ja) 自動車シート用のレール長手方向ガイドに対するメモリ装置
EP1697161B1 (en) Vehicle seat assembly and floor rail for lateral seat shuttling
US6050633A (en) Vehicle seat including a foldaway headrest, and a vehicle including such a seat
KR101312602B1 (ko) 록킹 장치, 특히 차량 시트용 록킹 장치
KR100442762B1 (ko) 절첩식 시트백을 가진 자동차 시트
KR20100106296A (ko) 차량 시트용 피팅
EP0980785A3 (en) Seatback latch mechanism with locking pin
US6688666B2 (en) Second row fold and pivot seat assembly
KR101555173B1 (ko) 차량 시트, 특히 자동차 시트
JPH11321393A (ja) 車両用座席のためのスライドレ―ルと、このスライドレ―ルを含む座席
JP2892984B2 (ja) 自動車シート用レール対
US7017994B2 (en) Motor vehicle seat
EP1518745A2 (en) Seat structure for a vehicle and vehicle provided therewith
WO2002040309A3 (de) Kraftfahrzeugsitz
JP4712036B2 (ja) 自動車用座席
KR950003046B1 (ko) 시트 조정 장치
US5482325A (en) Height-adjustable guide fitting for a seat belt of a motor vehicle
US6761411B2 (en) Seat cushion with locking system
JPS6248632B2 (ko)
JP3635890B2 (ja) 自動車用シート
KR20150063694A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EP3756939A1 (en) Passenger seat for vehicles
JPH04262931A (ja) 車両用シート
JP3455117B2 (ja) 自動車のシー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