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6981B1 - 액화연료의기화장치및그기화장치를설치한가스엔진 - Google Patents

액화연료의기화장치및그기화장치를설치한가스엔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6981B1
KR100336981B1 KR1019970053314A KR19970053314A KR100336981B1 KR 100336981 B1 KR100336981 B1 KR 100336981B1 KR 1019970053314 A KR1019970053314 A KR 1019970053314A KR 19970053314 A KR19970053314 A KR 19970053314A KR 100336981 B1 KR100336981 B1 KR 100336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vaporizer
mixer
liquefied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3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2924A (ko
Inventor
타다히로 우스키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80032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2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6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6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6Apparatus for de-liquefying, e.g. by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9Arrangement on engines or vehicle bodies; Conversion to gaseous fuel suppl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1/00Apparatus for thermally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31/02Apparatus for thermally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for heating
    • F02M31/14Apparatus for thermally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for heating by using heat from working cylinders or cylinder he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30Use of alternative fuels, e.g. biofu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간단하고 또한 저비용의 구조로 되어 있어서, 액체연료가 완전한 기화를 할 수 있는 기화능력의 크게 되는 액화연료의 기화장치를 제공한다.
액체연료를 기화하여 혼합기(74)에 도입하도록 한 가스엔진에 있어서, 열전도성이 높은 재료로 이루어져, 내부에 연료통로(80e)가 형성된 두꺼운 판형상의 베이퍼라이저를 실린더 본체에, 그 본체로부터의 입열이 가능하도록 고정하고, 상기한 연료통로(80e)의 입구를 상기한 액화가스용기에 접속하며, 출구를 상기한 혼합기(74)에 접속하여, 상기한 액체연료를 상기한 베이퍼라이저 안의 연료통로(80e)로 가열하거나, 혹은, 배기통로에 설치한 전열판에 의해 액체연료를 가열한다.

Description

액화연료의 기화장치 및 그 기화장치를 설치한 가스엔진
본 발명은 액화가스용기에 수용된 액체연료를 기화하여 가스엔진에 공급하기 위한 액화연료의 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8은 종래의 가스엔진의 액화연료 공급장치의 한 예를 표시하는 구성도이다. 휴대작업기에 탑재되는 2행정 엔진(B)은 다수의 냉각핀을 보유하는 실린더 본체(20)의 하부에 크랭크케이스(23)를 결합하고, 크랭크축(도시 안됨)의 전단부(前端部)에 클러치를 통해 기관을 시동하기 위한 리코일스타터(24)를 구비하고, 크랭크축 후단부(도 8에서 도면 뒤쪽)에 송풍기를 결합한 구조로 되어 있다.
송풍기는 실린더 본체(20)와 크랭크케이스(23)의 배후에 결합된 팬케이스(22)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고, 상기 크랭크축의 후단부로부터 외기를 흡입한다. 그리고, 송풍기로부터의 냉각풍은 실린더 본체(20)의 배후로부터 냉각핀 사이를 거쳐서 엔진의 앞부분으로 보내진다. 실린더 본체(20)의 좌측벽에 설치된 흡기포오트는 단열관(17)을 통해 혼합기(C)에 결합되며, 우측벽에 설치된 배기포오트는 배기머플러(21)에 연결된다. 부호 19는 점화플러그이다.
상기 엔진(B)의 아래쪽에는, 가정용 곤로 등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액화가스용기(봄베)(3)의 지지기(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기(2)의 우단벽에 연료코크(5)와 연료출구(6)가 있다.
상기 액화가스용기(3)는, 연료흡입관(3a)이 액면 아래로 돌출하도록 상기 지지기(2)의 좌단벽과 우단벽의 사이에 탄성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연료코크(5)를 열면 액화가스용기(3) 내의 액체연료가 연료흡입관(3a), 연료코크(5), 연료출구(6)를 거쳐 엔진(B)의 혼합기(C)에 공급된다. 한편, 외기온도가 낮을 때(약 10℃ 이하)는, 상기한 연료출구(6)의 연료는 대부분이 액상 상태에 있다.
7은 상기 액화가스용기(3)로부터의 액체연료를 기화하기 위한 베이퍼라이저이고, 엔진(B)의 실린더 본체(20)의 전벽부(前壁部)(송풍기 부착부와 반대쪽)에 배치되어 있다. 그 베이퍼라이저(7)는 U자형으로 만곡된 금속관으로 이루어지며, 실린더 본체(20)의 앞부분에 거의 수평으로 설치된다.
상기 베이퍼라이저(7) 일단부의 입구(7a)는 아래쪽으로 굴곡되어 관(6a)을 거쳐 액화가스용기(3)의 연료출구(6)에 접속된다. 또한, 베이퍼라이저(7) 타단부의 출구(7b)는 1차조압기(調壓器)(A)의 입구(12)에 접속된다. 1차조압기(A)의 상자형 몸체(13)와 바닥판(13a) 사이에 다이어프램(10)이 배치되고, 이 다이어프램(10)에 의해 위쪽의 연료실(11)과 아래쪽의 대기실로 각각 구획되며, 지지축(14)에 의해 연료실(11) 벽에 지지된 밸브체(8)가 다이어프램(10)에 결합된 로드에 연결된다. 상기 밸브체(8)는 스프링(9)의 힘을 받아 밀려서 입구(12)를 개방한다.
상기 연료실(11)은 출구(12a), 관(15), 혼합기(C)와 일체인 2차조압기(E)의 입구통로(44a), 밸브체(44)를 통해 정압연료실(38)과 통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혼합기(C)에서, 본체(35)를 관통하는 흡기통로(36)의 좌단과 우단이 각각 공기청정기(도시 안됨)와 단열관(17)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본체(35)에는, 흡기통로(36)에 돌출하고 기관의 연료와 공기를 가열하는 공지의 피스톤형 스로틀밸브(37)가 조립되어 있다. 이 스로틀밸브(37)는 후술하는 연료통로(37a)로 돌출되는 니이들밸브를 구비하고 있고, 가속레버(도시 안됨)에 의해 스로틀밸브(37)가 상하로 이동하면 흡기통로(36)의 공기가 가속되는 동시에 니이들밸브가 작동하여 정압연료실(38)로부터 연료통로(37a)를 통해 흡기통로(36)로 흡인된다.
E는 2차조압기이고, 본체(35)의 하벽과 바닥판(39) 사이에 다이어프램(40)이 배치되고, 다이어프램(40) 상하 각각에 상기 정압연료실(38)과 대기실이 각각 구획형성된다. 또, 상기 정압연료실(38)에는 지지축(42)에 의해 지지된 레버(41)가 설치되고, 레버(41)의 좌단부와 우단부는 각각 다이어프램(40)과 밸브체(44)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밸브체(44)는 스프링(43)의 힘을 받아 연료의 입구통로(44a)를 폐쇄하는데, 상기 정압연료실(38)의 연료가 적어져서 연료 압력이 낮아지면 대기압을 받는 다이어프램(40)보다 레버(4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밸브체(44)가 입구통로(44a)를 열어 연료를 정압연료실(38)에 보급한다. 정압연료실(38)은 연료통로(37a)를 흡기통로(36)로 개구시킨다.
상기 흡기통로(36)에는 엔진을 윤활하기 위한 오일통로(34)가 개구되어 있다. 오일통로(34)는 상기 본체(35)의 윗벽에 결합한 투명관(33)에 연통된다. 투명관(33)은 유량조정밸브(D)의 밸브상자(32)를 지지한다. 밸브상자(32)의 밸브실(32a)에 체결 지지된 니이들밸브(31)는 밸브실(32a)의 하단 출구로부터 투명관(33)으로 들어가는 오일량을 조정한다. 또, 상기 밸브실(32a)에는 유조(61)로부터의 오일이 출구관(63), 관(45)을 통해 가압공급된다. 그러므로, 상기 유조(61)에는 공기펌프(F)로부터 입구(62)를 통하여 압축공기가 공급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을 구비한 엔진의 연료장치의 작동에 관해서 설명한다. 엔진(B)의 운전중, 팬케이스(22)의 내부의 송풍기로부터 실린더 본체(20)로 보내지는 냉각풍이 커버(18)에 부딪히거나 기관의 뒤쪽으로부터 앞쪽으로 거의 수평으로 흐르면서 실린더 본체(20)를 냉각하여 고온으로 되며, 커버(18)의 외부, 즉, 기관의앞쪽으로 방출되면서 베이퍼라이저(7)를 가열한다. 따라서, 액화가스용기(3)로부터의 액상의 연료는 베이퍼라이저(7)에 의해 열을 받아 기화하며, 입구(12)로부터 1차조압기(A)의 연료실(11)로 들어간다. 연료실(11)의 연료압력이 소정값 보다 높으면, 밸브체(8)가 입구(12)를 닫아 연료실(11)의 연료압력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한다.
상기 연료실(11)의 연료는 출구(12a)와 밸브체(44)를 거쳐서 2차조압기(E)의 정압연료실(38)로 들어간다. 이 정압연료실(38)의 연료압력이 높게 되면, 다이어프램(40)이 내리밀리고, 스프링(43)의 힘을 받는 레버(41)가 다이어프램(40)을 따라 회전하여 밸브체(44)가 닫혀 정압연료실(38)의 연료압력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한다. 정압연료실(38)의 연료는 통로(37a)를 지나 흡기통로(36)의 공기와 혼합되고 오일통로(34)의 오일과 혼합되면서 기관의 연소실로 흡인된다.
도 8에 표시하는 종래의 가스엔진에 있어서는, 액체연료를 기화하기 위한 U형 관으로 이루어지는 베이퍼라이저(7)를 엔진의 실린더 본체(20) 가까이 배치하고, 실린더 본체 냉각 후의 고온냉각풍에 접촉하여 베이퍼라이저 내부의 액체연료를 가열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하절기와 같이 외기 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액체연료를 완전히 기화할 수 있지만, 외기온도가 대략 16℃ 이하인 동절기 등에는 충분한 가열열량이 얻어지지 않아 액체연료의 기화가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액상 연료가 혼합기에 유입되어 혼합기의 작동불량이 발생하고, 이에 의해서 엔진의 정지가 야기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를 감안하여, 간단하고도 저렴한 비용의 구조로 액체연료를 완전히 기화시킬 수 있는 기화능력이 큰 액화연료 기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하면, 액화가스용기로부터 공급되는 액체연료를 기화하여 혼합기에 도입하도록 한 가스엔진에 이용되며,
알루미늄 합금 등의 열전도성이 높은 재료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연료통로가 형성된 후판형상의 베이퍼라이저를 실린더 본체(20)에 그 본체로부터의 입열가능하게 고정하고,
상기 연료통로의 입구를 상기 액화가스용기에 접속하고, 출구를 상기 혼합기에 접속하여, 상기 액체연료를 상기 베이퍼라이저 내의 연료통로에서 가열하도록 한 액화연료의 기화장치가 제안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액화가스용기로부터의 액체연료는 열의 양도체로 이루어지는 후판형상 베이퍼라이저 안의 연료통로 내에 들어가며, 그 연료통로를 지나는 동안에 그 베이퍼라이저에서 실린더 본체로부터 전도되는 열에 의해서 가열되어 기화하여 혼합기에 도입된다.
따라서, 액체연료는 실린더 본체로부터의 직접적인 열전도에 의한 열로 가열되는 것이므로, 액체연료가 완전히 기화할 수 있는 온도까지 가열할 수 있어서, 액상의 연료가 혼합기에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후판형상 베이퍼라이저를 실린더 본체에 고정하는 것만으로 기화장치를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간단하고도 저렴한 비용의 유체연료의 기화장치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가스엔진에, 상기 가스용기와 혼합기를 접속하는 연료관 중의 소정길이부분을 엔진의 실린더 냉각 후의 냉각풍 통로 중에 노출시켜서 배설하며,
상기 엔진의 배기통로의 플랜지면 사이에, 그 플랜지면으로부터의 열전도가 가능하도록 전열판을 협지함과 동시에, 그 전열판의 일단을 상기 연료관의 상기 노출부 근방에 고정하여, 전열관의 노출부 및 전열판에 의해 액체연료를 가열, 기화하는 베이퍼라이저로 한 액화연료의 기화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액화가스용기로부터의 액체연료는, 연료관의 실린더 냉각 후의 고온의 냉각풍 통로에 노출된 부분을 흐를 때에 고온의 냉각풍에 의해 가열됨과 동시에, 그 노출부에 고정된 전열판에 전도되어 오는 배기가스열에 의해서도 가열된 후, 혼합기에 도입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의하면, 액체연료는 실린더 냉각 후의 고온의 냉각풍과 배기가스로부터의 전도열의 쌍방에 의해 가열되게 되어, 그 액체연료가 완전히 기화할 수 있는 온도까지 가열할 수 있어, 액상의 연료가 혼합기에 유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 의하면, 연료관을 실린더 냉각 후의 냉각풍 통로에 노출시킴과 동시에, 배기통로 플랜지에 전열판을 협지한다고 하는 간단하고도 저렴한비용의 수단으로 액체연료의 가스화를 완전하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전열판이 고정된 연료관의 중간에, 제1실시예에 의한 상기 후판형상 베이퍼라이저를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제1실시예의 이점과 제2실시예의 이점의 상승효과가 얻어지며, 또, 높은 액체연료의 기화효율이 얻어진다.
또,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실시예에 있어서, 엔진의 실린더 커버와 상기 베이퍼라이저와의 사이에, 상기 실린더 본체를 냉각 후의 고온풍의 일부를 상기 베이퍼라이저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혼합기의 방향으로 안내하여, 그 고온풍에 의해 그 베이퍼라이저의 출구, 입구 관부 및 혼합기를 가열시키는 배플플레이트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기화장치가 제안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실린더 본체를 냉각하여, 승온된 고온풍의 일부는 배플플레이트에 충돌하여 진행방향을 90°횡방향으로 변환하여, 베이퍼라이저의 주로 출구, 입구 관부를 가열한 후, 혼합기로 흘러서 이것을 가열한다.
따라서, 외기에 의하여 온도가 떨어지기 쉬운 베이퍼라이저의 주로 출구, 입구 관부 및 기화열에 의하여 온도가 떨어진 혼합기를, 상기 고온풍에 의해서 가열할 수 있어, 액체연료의 기화효율이 더욱 향상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액체연료의 기화장치의 주요부를 표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베이퍼라이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제2실시예의 주요부를 표시하는, 도 1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베이퍼라이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주요부를 표시하는, 도 1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제3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제3실시예의 배플플레이트를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종래의 액화연료의 공급장치를 표시하는 정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단, 이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부품의 치수, 재질, 형상, 그 상대적 배치 등은 특별히 특정적인 기재가 없는 한 단순한 일례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액체연료 기화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베이퍼라이저의 구조도를 각각 표시한다.
도 1에서, B는 2사이클 엔진, 70은 엔진의 실린더 본체, 71은 팬케이스(22)와 일체인 실린더 커버(도 8 참조), 72는 크랭크케이스, 75는 공기청정기, 74는 혼합기(조압기), 73은 혼합기(74)와 후술하는 베이퍼라이저(80) 사이에 설치되는 단열관, 76은 액화가스용기(3)를 지지하는 액화가스용기 지지기(도 8 참조), 80은 베이퍼라이저이고, 베이퍼라이저(80)와 상기 액화가스용기 지지기(76)는 연료관(81)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82는 베이퍼라이저(80)와 혼합기(74)를 접속하는 연료관이다.
베이퍼라이저(80)를 상세하게 표시하는 도 2에 있어서, 베이퍼라이저(80)는 알루미늄 합금 등의 열전도성이 양호한 금속재료로 이루어지는 후판형상의 일체 구조로 구성되며, 중앙에 연료가스 흡기통로(80a)가 관통 형성되며, 양쪽에 2개의 부착용 볼트구멍(80b)이 형성되어 있다.
80c는 상기 가스용기로부터의 연료관(81)에 접속되는 연료구멍, 80d는 상기 연료관(82)에 접속되는 연료구멍이다.
상기 2개의 연료구멍(80c,80d)은 베이퍼라이저(80)내의 흡기통로(80a)를 우회하여 설치된 연료통로(80e)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러 구성의 2사이클 엔진의 운전 시, 액화가스용기 지지기(76) 내의 액화가스용기(3)(도 8 참조)를 나간 액상 연료는 연료관(81)과 연료구멍(80c)을 통해 베이퍼라이저(80)로 들어간다. 이 액체연료는 내부의 연료통로(80e)를 통과하는 도중에 열전도성이 양호한 재료로 이루어진 베이퍼라이저(80)의 벽면으로부터, 엔진(B)으로부터 전달된 열을 받아 기화하여 연료가스로 된다. 이 연료가스는 연료구멍(80d)에서 나간 뒤, 연료관(82)을 지나 혼합기(74)에 공급된다.
베이퍼라이저(80)는 이와 같이 엔진(B)의 실린더 본체(70)로부터의 열전도에 의해 기화에 필요한 충분한 열을 연료에 전달할 수 있다. 또, 종래와 마찬가지로, 단열관(73)은 혼합기(74)와 베이퍼라이저(80) 및 실린더 본체(20)와의 사이를 단열하여, 혼합기(74)의 가열을 방지한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표시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액체연료를 실린더와 배기가스 양쪽의 열로 가열하여 기화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며, 도 3 내지 도 4에서 83은 베이퍼라이저이고 액화가스용기(3)(도 8 참조)에 접속되는 입구관부(83e)로부터 실린더 본체(70)의 주위를 감아서 실린더 본체로부터 가열되어 상기 혼합기(74)에 접속되는 출구관부(83f)에 이르기까지의 굴곡된 관형 가열부(83a)를 구비한다.
또, 상기 베이퍼라이저(83)는 그 일단부가 관형 가열부(83a)에 고정되고, 배기머플러(176) 통로를 향해 배기통로의 플랜지에 볼트로 체결된 전열판(83b)을 구비하고 있다. 83c는 배기구멍, 83d는 전열판(83b)을 배기머플러(176)에 체결하기 위한 볼트구멍이다.
77은 머플러커버이고, 그밖의 부재는 도 1 내지 도 2와 같다.
상기 제2실시예에 의한 2사이클 엔진(B)의 운전 시, 액화가스용기(3)(도 8참조)를 나간 액체연료는 베이퍼라이저(83)의 입구관부(83e)에 들어가며, 실린더 본체(70)의 주위에 감긴 관형 가열부(83a)를 지나는 동안 도 4의 L 영역내에서 실린더 본체(70)를 냉각하여 가열된 고온공기에 의해서 가열됨과 동시에, 전열판(83b)을 통해 배기포오트로부터의 전도열에 의해 가열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액체연료는 기화에 필요한 충분한 열을 받아 기화되어 출구관부(83f)로부터 혼합기(74)에 보내진다.
한편, 도 3 내지 도 4에 표시하는 제2실시예의 관형 가열부(83a)의 중간에 제1실시예의 베이퍼라이저(80)를 조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표시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2 실시예의 베이퍼라이저(83)에 배플플레이트(90)를 장착한다.
즉, 도 5, 6에서, 90은 배플플레이트이며, 도 3, 4에 도시된 제 2실시예의 베이퍼라이저(83)의 관형 가열부(83a)와 실린더 커버(71)의 전면 사이에 수직으로 장착된다.
도 7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배플플레이트(90)는 L형 박판으로 구성되며, 그 주면(90b)이 관형 가열부(83a)의 전방에 위치되고, 도 6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의 볼트구멍(90a)에 삽입되는 볼트(90c)(실린더 본체(70)와 크랭크케이스(72)와의 체결용 볼트를 겸용하여도 좋다)에 의해 실린더 본체(70)에 체결된다. 또, 실린더 커버(71)의 하부 측면에는 베이퍼라이저(83)를 삽입하기 위한 구멍(71b)이 뚫려 있다.
이러한 제3실시예에서, 배플플레이트(90)의 직립 주면(90b)은 베이퍼라이저(83)의 관형 가열부(83a)와 실린더 커버(71)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어, 엔진(B)의 정면에서 보아 실린더 커버(71) 전면의 냉각풍의 배풍구(71a)의 하측부분(도 6에 표시하는 5개의 구멍 중의 2개)을 막는다. 엔진(B)의 운전 중, 실린더 본체(70)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진행하면서 실린더 본체(70)를 냉각하여 열을 받은 고온풍은의 상측부분은 그대로 전방으로 진행하여 실린더 커버(71)의 배풍구(71a)로부터 외기로 배출된다.
한편, 고온풍의 하측부분은 상기 배플플레이트(90)에 충돌하여 진행방향을 90°옆으로 꺾어 실린더 커버(71) 측벽의 구멍(71b)으로 배출된다. 이 온풍은 횡방향으로 꺽어진 후, 베이퍼라이저(83)의 출구관부(83f) 및 입구관부(83e)를 가열함과 동시에, 혼합기(74)에 도달하여 혼합기(74)도 가열한다. 즉, 상기 배플플레이트(90)에 의해 안내된 고온풍은 외기 및 기화열에 의해 온도가 떨어진 베이퍼라이저(83)의 출구, 입구관부(83f,83e) 및 기화열에 의해 온도가 떨어진 혼합기(74)를 가열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엔진으로부터의 직접적인 열전도에 의해 액체연료를 가열하는 베이퍼라이저에 의해 외기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액체연료를 기화시키기에 충분한 열량을 얻을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혼합기에 기화되지 않은 액상 연료를 공급하지 않게 되어 혼합기의 작동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부에 연료통로를 보유하는 후판체나 배기통로에 장착한 전열판 등 극히 간단하고도 저렴한 베이퍼라이저이면서도 전술한 바와 같이 액화연료를 완전히 기화시킬 수 있다.
또, 배플플레이트를 설치하면, 외기에 의해 냉각되기 쉬운 베이퍼라이저 부분이나 혼합기도 실린더 냉각 후의 고온풍으로 가열할 수 있다.

Claims (8)

  1. 액화가스용기로부터 공급되는 액화연료를 기화하여 혼합기로 인도하는 가스엔진에 이용되고;
    알루미늄 합금 등의 열전도성이 높은 재료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연료통로가 형성된 후판형상의 베이퍼라이저를 실린더 본체의 열을 전달 받을 수 있도록 실린더 본체에 고정하고;
    상기 연료통로의 입구를 상기 액화가스용기에 접속하며, 출구를 상기 혼합기에 접속하고;
    상기 액체연료를 상기 베이퍼라이저내의 연료통로에서 가열하도록 한 액화연료의 기화장치.
  2. 액화가스용기로부터 공급되는 액체연료를 기화하여 혼합기로 인도하도록 한 가스엔진에 이용되고;
    상기 액화가스용기와 혼합기를 접속하는 연료관 중의 소정 길이부분을 엔진의 실린더 냉각 후의 냉각풍의 통로에 노출되도록 설치하며;
    상기 엔진의 배기통로의 플랜지면 사이에 플랜지면으로부터의 열전도가 가능하도록 전열판을 장착함과 동시에, 그 전열판의 일단을 상기 연료관의 상기 노출부 근방에 고정하며, 전열관의 노출부 및 전열판에 의해 액체연료를 가열, 기화하는 베이퍼라이저로 구성된 액화연료의 기화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알루미늄 합금 등 열전도성이 높은 재료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연료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연료관의 중간에 설치되는 후판형상의 베이퍼라이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연료의 기화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엔진의 실린더 커버의 전면과 상기 베이퍼라이저의 가열부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박판 형태의 배플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플 플레이트는 실린더 커버와 가열부 사이에 위치하는 넓은 판으로 이루어진 주면과 실린더 본체에 체결되는 하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실린더 본체를 냉각한 뒤의 고온풍의 일부를 상기 베이퍼라이저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혼합기 방향으로 안내하여, 그 고온풍으로 베이퍼라이저의 출입구관부 및 혼합기를 가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연료의 기화장치.
  5. 액화가스용기로부터 공급되는 액화연료를 기화하여 혼합기로 인도하는 가스엔진에 이용되고, 알루미늄 합금 등의 열전도성이 높은 재료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연료통로가 형성된 후판형상의 베이퍼라이저를 실린더 본체의 열을 전달 받을 수 있도록 실린더 본체에 고정하고, 상기 연료통로의 입구를 상기 액화가스용기에 접속하며 출구를 상기 혼합기에 접속하고, 상기 액체연료를 상기 베이퍼라이저내의 연료통로에서 가열하도록 한 액화연료의 기화장치를 설치한 가스엔진.
  6. 액화가스용기로부터 공급되는 액화연료를 기화하여 혼합기로 인도하도록 한 가스엔진에 이용되고, 상기 액화가스용기와 혼합기를 접속하는 연료관 중의 소정 길이부분을 엔진의 실린더 냉각 후의 냉각풍의 통로에 노출되도록 설치하며, 상기 엔진의 배기통로의 플랜지면 사이에 플랜지면으로부터의 열전도가 가능하도록 전열판을 장착함과 동시에 그 전열판의 일단을 상기 연료관의 상기 노출부 근방에 고정하며, 전열관의 노출부 및 전열판에 의해 액체연료를 가열, 기화하는 베이퍼라이저로 구성된 액화연료의 기화장치를 설치한 가스엔진.
  7. 액화가스용기로부터 공급되는 액체연료를 기화하여 혼합기로 인도하도록 한 가스엔진의 상기 액화가스용기와 혼합기를 연결하는 연료관의 중간에, 알루미늄 합금 등의 열전도성이 높은 재료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연료통로가 형성된 후판형상의 베이퍼라이저를 설치한 액화연료의 기화장치를 설치한 가스엔진.
  8. 제6항에 있어서, 엔진의 실린더 커버의 전면과 상기 베이퍼라이저의 가열부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박판 형태의 배플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플 플레이트는 실린더 커버와 가열부 사이에 위치하는 넓은 판으로 이루어진 주면과 실린더 본체에 체결되는 하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실린더 본체를 냉각한 뒤의 고온풍의 일부를 상기 베이퍼라이저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혼합기 방향으로 안내하여, 그 고온풍으로 베이퍼라이저의 출입구관부 및 혼합기를 가열시키는 액화연료의 기화장치를 설치한 가스엔진.
KR1019970053314A 1996-10-18 1997-10-17 액화연료의기화장치및그기화장치를설치한가스엔진 KR1003369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97227 1996-10-18
JP8297227A JPH10122056A (ja) 1996-10-18 1996-10-18 液化燃料の気化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924A KR19980032924A (ko) 1998-07-25
KR100336981B1 true KR100336981B1 (ko) 2002-08-21

Family

ID=17843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3314A KR100336981B1 (ko) 1996-10-18 1997-10-17 액화연료의기화장치및그기화장치를설치한가스엔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896847A (ko)
JP (1) JPH10122056A (ko)
KR (1) KR100336981B1 (ko)
CN (2) CN1077651C (ko)
TW (1) TW39624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9293B2 (ja) * 1999-11-25 2005-08-31 株式会社共立 4サイクル内燃エンジン
FR2818699B1 (fr) * 2000-12-21 2003-04-11 Roxer Dispositif d'injection d'un carburant gazeux sous forme liquide pour moteur a combustion interne comportant des moyens de transfert de chaleur
US6557535B2 (en) 2001-05-08 2003-05-06 Ise Research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heat from exhaust gasses to compressed gas fuel
MXPA04000820A (es) * 2001-07-27 2004-05-21 Merquinsa Mercados Quimicos S Termoplastico de poliuretano ionomerico.
AU2002367843A1 (en) * 2001-11-07 2003-12-02 Mag Ultra Phase, Llc. Fuel vaporization systems for vaporizing liquid fuel
MXPA05002769A (es) * 2002-09-11 2005-06-06 Vaporate Pty Ltd Sistema de suministro de combustible.
JP4732973B2 (ja) * 2006-07-14 2011-07-27 株式会社ニッキ ガス燃料エンジンのベーパライザ
US8656884B1 (en) 2007-02-06 2014-02-25 Bernardo J. Herzer Portable gas power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arrangement
US9765918B2 (en) * 2007-02-06 2017-09-19 Bernardo J. Herzer Portable gas power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arrangement
US9121372B2 (en) * 2007-02-06 2015-09-01 Bernardo J. Herzer Portable gas power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arrangement
US7424886B1 (en) * 2007-02-06 2008-09-16 Herzer Bernardo J Portable gas power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arrangement
JP4980134B2 (ja) * 2007-05-09 2012-07-18 株式会社ニッキ ガスエンジンのベーパライザ
US7878170B1 (en) * 2007-10-24 2011-02-01 Herzer Bernardo J LPG fuel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powered devices
JP4380759B2 (ja) 2007-11-21 2009-12-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ガスエンジンおよびガスエンジン搭載型作業機
US8103327B2 (en) 2007-12-28 2012-01-24 Rhythmia Medical, Inc. Cardiac mapping catheter
US8538509B2 (en) 2008-04-02 2013-09-17 Rhythmia Medical, Inc. Intracardiac tracking system
JP5069196B2 (ja) * 2008-09-26 2012-11-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ガスエンジン用燃料供給装置
US8511286B2 (en) 2009-08-03 2013-08-20 Bernardo J. Herzer Carburetor arrangement
JP5478300B2 (ja) * 2010-03-02 2014-04-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ガスエンジン搭載型船外機
JP5555522B2 (ja) * 2010-03-29 2014-07-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手持ち式作業機
CN105592778B (zh) 2013-10-14 2019-07-23 波士顿科学医学有限公司 高分辨率心脏标测电极阵列导管
EP3151772A1 (en) 2014-06-03 2017-04-12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Electrode assembly having an atraumatic distal tip
JP2017516588A (ja) 2014-06-04 2017-06-22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サイムド,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Boston Scientific Scimed,Inc. 電極組立体
WO2017031197A1 (en) 2015-08-20 2017-02-23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Flexible electrode for cardiac sensing and method for making
CN105257439B (zh) * 2015-09-29 2018-11-16 江苏来德福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气缸体气化燃料油燃烧装置
CN105201700B (zh) * 2015-09-29 2018-11-27 温岭市东风汽车配件厂 一种内燃机有机液体燃料即时气化的方法
CN105840281A (zh) * 2016-06-03 2016-08-10 杨庆申 一种燃油内燃机的余热恒温节能减排装置
CN110778423A (zh) * 2019-11-07 2020-02-11 广西擎芯动力科技有限公司 一种点燃式多燃料缸内直喷发动机集成式气轨总成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15684A (en) * 1934-06-28 1938-04-26 Emily W Porter Fuel feed mechanism
US4445486A (en) * 1982-06-28 1984-05-01 Kirloskar Oil Engines Limit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4103864A (ja) * 1990-08-22 1992-04-06 Walbro Far East Inc 内燃機関の燃料供給装置
EP0519543A3 (en) * 1991-06-20 1992-12-30 Agfa-Gevaert N.V. A silver salt diffusion transfer material and method for making an image therewith
JPH05141314A (ja) * 1991-11-15 1993-06-08 Mitsubishi Heavy Ind Ltd 液化ガス機関用燃料供給装置
JP3100094B2 (ja) * 1992-08-22 2000-10-16 株式会社日本ウォルブロー 内燃機関の液化石油燃料供給装置
JPH103864A (ja) * 1996-06-13 1998-01-06 Hitachi Ltd カラー陰極線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8913C (zh) 2004-02-18
US5896847A (en) 1999-04-27
CN1077651C (zh) 2002-01-09
TW396242B (en) 2000-07-01
CN1181457A (zh) 1998-05-13
JPH10122056A (ja) 1998-05-12
CN1313464A (zh) 2001-09-19
KR19980032924A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6981B1 (ko) 액화연료의기화장치및그기화장치를설치한가스엔진
US3851633A (en) Fuel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3738334A (en) Emission reduction system
US4841943A (en) Gasoline superheater
US4665879A (en) Fuel eva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US5331937A (en) Charge inlet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3395681A (en) Fuel evaporator and economiz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5118451A (en) Fuel vaporization device
EP0076795A1 (en) Fuel vaporizer
US4106455A (en) Vaporizer system for gasoline engines
US2232413A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196710A (en) Fuel device for a gasoline engine
US3963012A (en) Engine with vapor heat transfer capsule for intake mixture heating
US2766974A (en) De-icing means for carburetors
CA1052207A (en) Engine with fast warm up heat pipe mixture heating
JP3100094B2 (ja) 内燃機関の液化石油燃料供給装置
US4029065A (en) Carburetor
NO885039L (no) Innretning for bedring av en motors, brenners og lignendeytelse etc.
JPH05202750A (ja) 蒸発冷却式内燃機関
US2821181A (en) Engine induction means
US1359166A (en) Kerosene and like engine
US3016890A (en) System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he operation of an engine
US4337732A (en) Fuel and water conditioner and method therefor
JPH04103864A (ja) 内燃機関の燃料供給装置
US4453510A (en) Reciprocating pist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