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6429B1 - 먼지 털이개용 먼지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먼지 털이개용 먼지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6429B1
KR100336429B1 KR1019990026891A KR19990026891A KR100336429B1 KR 100336429 B1 KR100336429 B1 KR 100336429B1 KR 1019990026891 A KR1019990026891 A KR 1019990026891A KR 19990026891 A KR19990026891 A KR 19990026891A KR 100336429 B1 KR100336429 B1 KR 100336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ntainer
hairs
hair
du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6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3351A (ko
Inventor
이교석
Original Assignee
이교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교석 filed Critical 이교석
Priority to KR1019990026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6429B1/ko
Publication of KR19990073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3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6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64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38Other dust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57Suction cleaners adapted for cleaning of brushes

Landscapes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먼지 털이개에 붙은 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먼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원통형의 먼지 털이통 내부에 다수의 걸림 링을 설치하여 먼지 털이개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회전시켜서 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먼지 털이개용 먼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어 먼지 털이개를 삽입할 수 있도록 된 먼지 털이통과; 먼지 털이개의 털이 걸려 먼지가 제거되도록 원형 링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먼지 털이통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여 복수개가 설치된 걸림 수단과; 상기 걸림 수단을 먼지 털이통 내부에 고정하는 지지수단으로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먼지 털이통은 그 하부에 먼지를 모을 수 있는 포집통이 구비되고, 상기 포집통은 그 하부에 진공 청소기 등에 연결할 수 있는 먼지 배출 호스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먼지 털이개용 먼지 제거장치{Device for clearing dust of a duster}
본 발명은 먼지 털이개에 붙은 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먼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원통형의 먼지 털이통 내부에 다수의 걸림 링을 설치하여 먼지 털이개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회전시켜서 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먼지 털이개용 먼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통상의 먼지 털이개가 도시된 도면으로서, 먼지 털이개(10)는 긴 봉에 방사형으로 다수의 털(15)이 부착되어 손잡이(11)를 잡고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먼지 털이개(10)는 다수의 털(15)을 먼지를 제거하고자 하는 벽면이나 물체 등에 접촉시켜 물체에 붙어 있는 먼지를 제거하도록 되어 있는 바, 이와 같이 사용한 후에는 먼지 털이개(10)의 털(15)에 많은 먼지가 붙어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먼지 털이개(10)에 붙은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벽 등에 때리면서 제거해야 되고, 이때 주변으로 많은 먼지가 날리기 때문에 먼지 털이개의 먼지 제거 작업이 상당히 불편하고, 아울러 주변 환경을 더럽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먼지 털이통 내부에 다수의 걸림 링을 설치하여 먼지 털이개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회전시켜 먼지 털이개에 뭍은 먼지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먼지 털이개용먼지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상기 먼지 털이통 내에서 제거된 먼지는 진공 청소기 등을 사용하여 흡입 처리토록 구성하여 먼지의 처리 작업이 간편하고 주변 환경도 저해하지 않도록 하는 먼지 털이개용 먼지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먼지 털이개용 먼지 제거장치는 먼지 털이개를 삽입할 수 있도록 상측이 개방되는 먼지 털이통과, 먼지 털이개의 털이 걸려 먼지가 제거되도록 상기 먼지 털이통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여 다수개로 설치되는 걸림 링과, 상기 걸림 링을 먼지 털이통 내부에 고정하도록 상기 걸림 링과 먼지 털이통 내측면과의 사이에 연결되는 지지 와이어와, 상기 먼지 털이통의 하부에 설치되어 걸러진 먼지가 저장되는 포집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먼지 털이개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먼지 털이개용 먼지 제거장치가 도시된 외관도,
도 3은 본 발명의 내부 구조가 도시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먼지 털이개 15 : 털
20 : 진공 청소기 21 : 흡입 호스
30 : 먼지 제거장치 31 : 먼지 털이통
32 : 커버 32a : 개구부
33 : 포집통 34 : 먼지 배출호스
35 : 받침대 36 : 걸림 링
37 : 지지 와이어 38 : 보조 와이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먼지 털이개용 먼지 제거장치가 도시된 사용 상태의 외관도이고,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내부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먼지 털이개용 먼지 제거장치(30)는 상부가 개방되어 먼지 털이개(10)를 삽입할 수 있도록 원통형 형성된 먼지 털이통(31)과, 먼지 털이개(10)의 털이 걸려 먼지가 제거되도록 원형 링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먼지털이통(31)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여 다수 개가 설치된 걸림 링(36)과, 상기 걸림 링(36)을 먼지 털이통(31) 내부에 고정하는 지지 와이어(37)로 구성된다.
상기한 먼지 털이통(31)은 그 상부에 먼지 털이개(10)를 넣고 먼지를 제거할 때 외부로 먼지가 나오지 않도록 커버(32)가 씌워지고, 이 커버(32)에는 상기 먼지 털이개(10)가 삽입되는 개구부(32a)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32a)는 먼지 털이개(10)의 둘레면적, 즉 외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먼지 털이통(31)의 하부에는 먼지를 모을 수 있는 역원뿔형의 포집통(33)이 구비되고, 상기 포집통(33)의 하단부에는 진공 청소기(20)의 흡입 호스(21)를 연결할 수 있도록 먼지 배출 호스(34)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포집통(33)은 먼지 털이통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먼지 털이통(31)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먼지 배출호스(34)의 끝단부는 진공 청소기(20)의 흡입 호스(21)에 용이하게 끼울 수 있도록 원뿔형으로 형성된 니플(34a)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먼지 털이통(31)은 상기와 같이 하부에 먼지 배출호스(34)가 구비되는 관계로 수직으로 세워진 받침대(35)가 구비된다.
다음, 상기 걸림 링(36)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와이어(37)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 바, 걸림 링(36)은 두 가닥의 와이어가 서로 연결되어 원형으로 형성되고, 지지 와이어(37)는 상기 걸림 링(36)을 형성하는 두 와이어가 서로 꼬여지게 형성되어 끝단부가 상기 먼지 털이통(31)의 내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 링(36)은 지지 와이어(37)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양측으로부터 상기 먼지 털이통(31) 내부에 고정되는 보조 와이어(38)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상기 걸림 링(36)은 그 직경이 먼지 털이개(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야 하며, 걸림 링과 걸림 링 사이의 간격은 먼지 털이개(1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먼지가 충분히 털릴 수 있을 정도로 설정된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먼지 털이통과 걸림 링이 원형 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필요에 따라 육각, 사각 모양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먼지 털이개용 먼지 제거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지 털이개(10)를 먼지 털이통(31)에 넣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다수의 털(15)이 걸림 링(36)에 걸리면서 먼지가 분리되어 먼지 털이통(31) 내부에 떨어지게 된다.
또한, 먼지 털이개(10)의 손잡이를 잡고 회전시키면서 원심력을 이용하여 먼지를 제거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먼지 털이통(31) 내부에 떨어진 먼지는 자중에 의해 하부의 포집통(33)에 모이게 되고, 먼지 배출 호스(34)에 진공 청소기(20)의 흡입 호스(21)를 연결하여 흡수하게 되면 깨끗하게 먼지가 처리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의 먼지 털이개용 먼지 제거장치는 통 내부에 먼지 털이개를 집어넣어 상하로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킴으로써 간편하게 먼지를 제거할 수 있고, 이렇게 제거된 먼지는 진공 청소기로 흡수하여 처리함으로써 먼지의 처리도 편리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Claims (2)

  1. 먼지 털이개를 삽입할 수 있도록 상측이 개방되는 먼지 털이통과; 먼지 털이개의 털이 걸려 먼지가 제거되도록 상기 먼지 털이통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여 다수개로 설치되는 걸림 링과; 상기 걸림 링을 먼지 털이통 내부에 고정하도록 상기 걸림 링과 먼지 털이통 내측면과의 사이에 연결되는 지지 와이어와; 상기 먼지 털이통의 하부에 설치되어 걸러진 먼지가 저장되는 포집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털이개용 먼지 제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통은 먼지를 모을 수 있도록 역원뿔 형태로 형성되고, 그 일측에는 진공 청소기 등에 연결할 수 있는 먼지 배출 호스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털이개용 먼지 제거장치.
KR1019990026891A 1999-07-05 1999-07-05 먼지 털이개용 먼지 제거장치 KR100336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6891A KR100336429B1 (ko) 1999-07-05 1999-07-05 먼지 털이개용 먼지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6891A KR100336429B1 (ko) 1999-07-05 1999-07-05 먼지 털이개용 먼지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3351A KR19990073351A (ko) 1999-10-05
KR100336429B1 true KR100336429B1 (ko) 2002-05-11

Family

ID=37479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6891A KR100336429B1 (ko) 1999-07-05 1999-07-05 먼지 털이개용 먼지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64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646B1 (ko) * 2007-09-19 2008-09-03 정석동 진공청소기용 먼지 흡입기구
KR100903649B1 (ko) * 2007-10-04 2009-06-18 주식회사 에이펙스 먼지털이개의 먼지떨이장치
US8635738B2 (en) 2009-12-22 2014-01-28 Ab Electrolux Dusting system
CN112386184A (zh) * 2019-08-15 2021-02-23 添可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表面清洁设备及表面清洁系统
CN214712327U (zh) * 2021-01-18 2021-11-16 宁波博瑞德凯国际贸易有限公司 一种带掸子清洁功能的吸尘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3351A (ko) 1999-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6281B2 (en) Dust-removing device for the dust-collecting tank of a dust-collecting machine
RU2169517C2 (ru) Пылесос и собирающий контейнер (варианты)
US5078761A (en) Shroud
KR100709418B1 (ko) 진공청소기
JP2007252885A (ja) 真空掃除機のサイクロン集塵装置
RU98117333A (ru) Пылесос и собирающий контейнер (варианты)
KR20060118795A (ko) 진공청소기
US6149252A (en) Glove box for cutting a hole in a ceiling
RU168074U1 (ru) Узел в сборе для фильтрации
KR100336429B1 (ko) 먼지 털이개용 먼지 제거장치
KR20010043379A (ko) 진공 청소기 또는 기타의 청소기기용 툴 및 툴 홀더어셈블리
JP2009052353A (ja) ヘアキャッチャー
US20110154677A1 (en) Ringed Umbrella Dryer
JPH0724816B2 (ja) クリルスタンドにおける繊維屑などの集塵装置
CN210115295U (zh) 一种工程造价用仪表防尘装置
US5822820A (en) Apparatus for cleaning a computer mouseball
US4678485A (en) Vacuum cleaner exhaust dust collector
US2885714A (en) Combined hassock and vacuum cleaner
KR20130131855A (ko) 하부 배출도어를 갖는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
CN108941059A (zh) 一种活塞型耳机内廓清洗器
JP2009257044A (ja) へアキャッチャー
KR101796567B1 (ko) 푸시 클린 빗자루
KR100496163B1 (ko) 집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공 청소기
JP5095852B1 (ja) 電気掃除機
KR200191026Y1 (ko) 드릴용 이물질받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