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6646B1 - 진공청소기용 먼지 흡입기구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용 먼지 흡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6646B1
KR100856646B1 KR1020070095544A KR20070095544A KR100856646B1 KR 100856646 B1 KR100856646 B1 KR 100856646B1 KR 1020070095544 A KR1020070095544 A KR 1020070095544A KR 20070095544 A KR20070095544 A KR 20070095544A KR 100856646 B1 KR100856646 B1 KR 100856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duster
vacuum cleaner
suction
mal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5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석동
Original Assignee
정석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석동 filed Critical 정석동
Priority to KR1020070095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6646B1/ko
Priority to PCT/KR2008/004924 priority patent/WO2009038291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6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6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38Other dust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용 먼지 흡입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먼지떨이를 더욱 확실하게 마찰시켜 먼지떨이에 붙어 있는 먼지 및 이물질의 제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진공청소기용 먼지 흡입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지의 흡입 및 포집이 용이하도록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포집공간을 형성한 바디와, 상기 포집된 먼지를 진공청소기의 흡기관에 유입시킬 수 있도록 배출통로를 형성하되 단부를 상기 바디에 결합한 손잡이부와, 상기 흡기관에 흡입되는 흡입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부 일부에 설치한 흡기조절수단으로 구성되는 진공청소기용 먼지 흡입기구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와 결합되는 바디의 수(male)부재 중앙 내측에 먼지떨이와 접촉을 일으켜 먼지를 떨어내는 먼지떨이마찰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바디 일단 내측면에 다수의 먼지떨이턱을 등간격으로 돌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바디에 형성된 빗살 형태의 먼지떨이편과, 먼지떨이턱을 통해 먼지떨이를 마찰시키므로, 먼지떨이에 붙어 있는 먼지 및 이물질을 보다 확실하게 떨어뜨려 먼지 및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진공청소기, 먼지떨이, 먼지떨이편, 빗살, 먼지떨이턱.

Description

진공청소기용 먼지 흡입기구{Device for removing dust by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용 먼지 흡입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먼지떨이를 더욱 확실하게 마찰시켜 먼지떨이에 붙어 있는 먼지 및 이물질의 제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진공청소기용 먼지 흡입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먼지는 분진이라고도 불리는 작고 가벼운 티끌로써, 육안으로의 식별은 어렵지만 항상 공기 중에 부양되어 산재되어 있다.
이러한 먼지는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바람에 의해 지표면 등에 쌓이게 되고, 또한 그 주위를 더럽히게 되므로 위생 및 건강상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따라서, 사람들이 주로 거주 및 생활하는 장소에서는 먼지나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해 먼지떨이 및 진공청소기 등과 같은 각종 청소도구를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청소를 한다.
그러나, 상기한 청소도구 중 먼지떨이의 경우는 그 사용 특성상 각종 집기류 및 가구 등에 내려 앉은 먼지를 털어내는 데에는 탁월한 효과가 있으나, 정작 먼지떨이의 사용 이후에 먼지떨이에 달라붙은 먼지의 제거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즉, 먼지떨이를 이용하여 먼지를 털게 되면 먼지떨이의 솔 부분에 머리카락 및 먼지와 같은 이물질들이 뭉쳐지게 되는데, 기존에는 상기한 이물질을 직접 손으로 잡아 빼내어 제거함으로써, 상기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적지 않은 노력과 시간을 소비해야 하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이물질 제거작업은 손으로 작업하게 되는 특성상 지속적으로 작업을 하는 데에 한계가 있어 소진하는 시간만큼 작업능률이 오르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먼지떨이에 붙은 먼지의 제거가 깔끔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도 있었다.
다만, 청소를 하는 도중에 먼지떨이에 붙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창 밖이나 벽체에 대고 두드리거나 흔들어서 이물질을 제거할 수도 있으나, 이와 같은 방법은 실외로 떨어진 먼지에 의해 2차적인 오염이 발생하는 폐단이 있는 것이다.
도 1a, 1b와 도 2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진공청소기용 먼지제거장치"(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 20-0231359호)를 도시한 것으로, 진공청소기(10)에 구비된 연장관(16)에 먼지제거장치(20)를 결합한다.
이러한, 상기 먼지제거장치(20)는 크게 본체(30)와 협지부(40)와 가이드관(50)과 브러시대(60) 및 브러시(65)로 구성된다. 도 2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방에 흡입기(35)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본체(30) 상단에 리턴스프링(45)이 내장된 협지부(40)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리턴스프링(45)을 관통하도록 가이드관(50)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관(50)을 관통하여 자유이동이 가능하도록 손잡이부(61)가 구비된 브러시대(60)를 끼우고, 상기 브러시대(60)의 선단에서 가이드관(50)의 전방 일단 사이에 브러시(65)가 형성된 다수의 가이드링(66)을 설치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가이드링(66)은 신축성이 좋은 와이어(67)에 의해 연결하게 되는데, 여기서, 상기 브러시대(60) 양끝에 위치되는 각각의 가이드링(66)은 브러시대(60)와 가이드관(50) 일단에 고정 부착한다.
즉, 상기 먼지제거장치(20)를 진공청소기(10)의 연장관(16)에 결합하고 상기 진공청소기(10)를 작동시킨 이후에, 브러시(65)를 사용하여 청소할 부분에 대고 쓸 듯이 문지르거나 손잡이부(61)를 회전시키며 문질러서 상기 브러시(65)에 먼지가 달라붙도록 한다.
그리고, 먼지가 붙게 되면 브러시대(60)에 구비된 손잡이부(61)를 잡아당겨서 브러시(65) 사이의 간격을 좁히고, 상기와 같이 좁혀진 브러시(65)는 흡입기(35) 상부에 모이게 된다. 따라서, 흡입기(35)를 통하여 브러시(65)에 묻은 먼지를 진공청소기(10)의 내부에 모이게 하므로써, 청소 후 브러시(65)에 붙는 먼지 및 이물질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진공청소기용 먼지제거장치는 항상 진공청소기에 연장관을 연결한 상태에서 사용해야 하므로, 진공청소기의 이동에 따른 청소작업의 불편함이 있었고, 또한 여러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어 부피가 커지고 중량이 무거워져 사용상 불편한 문제가 있었으며, 브러시의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기가 협소하여 실제 사용시 먼지제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폐단도 있었다.
그리고, 상기한 먼지제거장치는 그 구성이 복잡하고 다수의 부품을 사용하여 제작함으로써, 생산비용 및 제조단가가 상승하여 제품의 가격경쟁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도 3과 도 4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이 재출원하여 특허 등록받은 "진공청소기용 먼지흡입구"(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547267호)에 대한 것으로, 바디(210)와 손잡이부(260)와 흡기조절수단(300)으로 구성된다.
설명하면, 상기 바디(210)는 먼지(D)의 흡입 및 포집이 용이하도록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포집공간(230)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포집공간(230)으로 흡입되는 먼지(D)가 흡기관(160)에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210) 일측에 배출통로(270)로 형성된 손잡이부(260)를 일체로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흡기관(160)에 흡입되는 흡입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부(260) 일측에는 흡기조절수단(300)을 설치한다.
즉, 상기한 진공청소기(100)에 사용되는 먼지흡입구(200')는 바디(210)에 먼지떨이(400)를 밀착시킨 후 먼지떨이(400)를 좌, 우 회전 및 상, 하로 왕복 이송시켜 문지르게 됨으로써, 먼지떨이(400)에 붙은 이물질을 바디(210) 내부에 포집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손잡이부(260)의 단부에는 진공청소기(100)의 흡기관(160)을 연결하여 바디(210)에 포집된 이물질을 흡입하게 됨으로써, 먼지떨이(400)에 붙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진공청소기용 먼지흡입구는 바디와 손잡이부가 서로 회전이 불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사용이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즉, 바디와 손잡이 부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고정되므로, 상기 바디에 먼지떨이를 접촉시키는 경우 손잡이부에 파지되는 손과 팔의 자세가 불편하기도 하였고, 또한 바디를 쓰레받기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손잡이부가 수평방향으로 고정되므로 이 역시 손과 팔의 자세가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또, 상기 바디와 손잡이부는 서로 고정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배출통로 내부에 끼는 이물질 및 묵은 때 등을 깨끗하게 청소할 수 없는 문제도 있었다.
도 5a와 도 5b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이 재차 선출원한 "진공청소기용 먼지 흡입기구"(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제10-2005-0114390호)에 대한 것으로, 바디(210)와 손잡이부(260)를 결합 및 분리 가능하면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수단을 형성한다.
설명하면,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바디(210) 외측에 포집공간(230)과 연통되는 수부재(212)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수부재(212)의 외주면을 따라 록킹돌기(214)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손잡이부(260) 단부에 배출통로(270)와 연통되는 암부재(262)를 형성하되 상기 록킹돌기(214)에 끼워질 수 있게 상기 암부재(262)의 내주면을 따라 록킹홈(264)을 함몰 형성한다. 즉, 수부재(212)의 록킹돌기(214)에 암부재(262)의 록킹홈(264)이 끼워지게 되므로, 손잡이부(260)에 바디(210)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진공청소기용 먼지 흡입기구(200")는 먼지(D)의 흡입세기가 강한 수부재 중심 부분에 먼지떨이(400)를 마찰시킬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이 마련되 지 않아 먼지떨이에 붙어 있는 먼지가 원활하게 털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즉, 먼지를 가장 효과적으로 흡수하기 위해서는 흡입구멍의 넓이가 좁은 수부재 중심부분 또는 바디 내측면에서 먼지가 털리는 동시에 포집될 수 있어야 하는데, 상기한 종래의 발명에서는 먼지떨이가 바디 상, 하부에서 마찰되므로 마찰에 의해 털려진 먼지는 그대로 바닥에 떨어지거나 공중에 부양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안출한 것으로, 먼지가 흡입되는 흡입통로의 근접 위치에서 먼지떨이와의 마찰을 일으켜 먼지의 포집 및 흡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진공청소기용 먼지 흡입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먼지의 흡입 및 포집이 용이하도록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포집공간을 형성한 바디와, 상기 포집된 먼지를 진공청소기의 흡기관에 유입시킬 수 있도록 흡입통로를 형성하되 단부를 상기 바디에 결합한 손잡이부와, 상기 흡기관에 흡입되는 흡입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부 일부에 설치한 흡기조절수단으로 구성되는 진공청소기용 먼지 흡입기구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와 결합되는 바디의 수부재 중앙 내측에 먼지떨이와 접촉을 일으켜 먼지를 떨어내는 먼지떨이마찰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바디 일단 내측면에 다수의 먼지떨이턱을 등간격으로 돌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수부재 내측에 빗살 형태를 갖는 먼지떨이편을 형성하여 먼지떨이를 마찰시키므로, 먼지떨이에 붙어 있던 먼지 및 이물질을 빗으로 빗어내 듯 포집공간 내부에 떨어뜨려 보다 효과적으로 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와 동시에 바디 내측에 돌출 형성된 먼지떨이턱에 먼 지떨이를 마찰시켜 먼지를 보다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바디의 변형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바디의 회동이 가능하므로 상기 바디의 일면을 바닥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쓰레받기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상기한 바디 일면에 형성된 먼지떨이턱에 의해 먼지를 보다 원활하게 쓸어담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 설명에 앞서, 상기 바디(210)와 손잡이부(260)의 구성은 종래기술에서 전술한 바 있는, 특허 출원번호 제10-2005-0114390호(명칭 : 진공청소기용 먼지 흡입기구)에서의 바디(210) 및 손잡이부(260)의 구성을 일부 인용한 것으로, 양자의 구성 중 서로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적용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6 내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용 먼지 흡입기구는 바디(210)에 형성된 먼지떨이마찰수단 및 먼지떨이턱(240)과 손잡이부(260)로 구성된다.
먼저, 바디(210)는 진공청소기(100)의 작동에 의해 먼지(D) 및 이물질 등을 흡입하기 위해 손잡이부(260)에 결합하는 것으로, 대략 반원의 통 형상으로 형성하고, 외주면을 만곡되게 형성하여 내부에 포집공간(230)을 조성한다.
이러한 상기 바디(210)는 포집공간(230)을 통해 외부의 먼지(D) 및 이물질을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진공청소기(100)에 보낼 수 있도록 바디(210) 외측 중심 부분에 수(male)부재(212)를 경사지게 돌출 형성하며, 상기 수부재(212) 단부 외주면 둘레에는 손잡이부(260)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록킹돌기(214)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바디(210) 내측면에는 정전기방지를 위해 알루미늄을 도장이나 코팅하여, 바디(210) 내측면에 담겨지는 이물질들이 정전기에 의해 붙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수부재(212) 중앙 내측에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 중 하나인 먼지떨이마찰수단을 구비하여 먼지떨이(400)와 접촉을 일으킬 수 있게 구성한다. 이러한, 상기 먼지떨이마찰수단은 도 6 및 도 8과 같이, 수부재(212) 내측 상, 하부를 가로질러 먼지떨이편(220)을 구비하고, 포집공간(230) 측으로 성형되는 상기 먼지떨이편(220)의 단부를 빗살 형태로 형성하여 상기 빗살 부분이 먼지떨이(400)와의 마찰이 된다.
여기서, 상기 수부재(212)가 바디(210) 중심에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특성상, 먼지떨이편(220)의 상부와 하부의 길이를 동일하게 형성하게 되면, 먼지떨이편(220)의 하단부가 포집공간(230) 측으로 돌출될 수 없으므로, 먼지떨이편(220)의 하단부 빗살 부분이 포집공간(230) 측으로 돌출 구비될 수 있게 상기 먼지떨이편(220)의 좌, 우 너비는 상부에서 하부로 향할수록 그 길이를 점차적으로 길게 형성한다.
계속해서, 도 6 내지 도 8과 같이 상기 바디(210)의 일단부 내측면에는 다수의 먼지떨이턱(240)을 등간격으로 이격시켜 돌출 성형한다. 이때, 상기 먼지떨이턱(240)은 포집공간(230) 외측에서 내측으로 향할수록 그 높이를 점차적으로 낮게 형성하는 것이 미관상이나 먼지(D)를 쓸어담기에 적절하다.
그리고, 상기 먼지떨이턱(240)에 근접된 바디(210) 일단부는 그 끝을 날카롭게 형성하는 것이 적절하고, 경우에 따라 마찰력이 좋은 재질의 별도의 블레이드(도시 생략)를 더 결합하거나 혹은, 고무재의 융착부(245)를 일체 형성하여 쓰레받기 겸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손잡이부(260)는 진공청소기(100)의 흡기관(160)과 바디(210) 사이에 결합되어 바디(210)로부터 흡입되는 먼지(D) 및 이물질을 진공청소기(100)에 보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손잡이부(260)는 양단을 관통 형성하여 내부에 흡입통로(270)를 조성하므로, 상기 바디(210)에 흡입되는 공기를 진공청소기(100)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흡입통로(270)와 연통되는 손잡이부(260) 단부에 암(female)부재(262)를 형성하고, 상기 암부재(262)에는 그 내주면을 따라 록킹홈(264)을 함몰 형성하여, 상기 록킹홈(264)에 수부재(212)에 형성된 록킹돌기(214)를 끼우게 됨으로써, 바디(210)와 손잡이부(260)를 서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고, 바디(210)를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흡기관(160)에 연결되는 상기 손잡이부(260) 단부의 형상은 다양한 형태의 흡기관(160)에 결합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끝으로 갈수록 길고 가늘게 형성하는 것이 적절하고, 또한 그 단부의 형상을 원형 및 사각형 등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7a, 7b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260)에는 흡입공기의 양을 조절 하는 역할의 흡기조절수단(300)을 설치한다.
설명하면, 상기 손잡이부(260) 둘레 일부에 복수의 걸림턱(310)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걸림턱(310) 사이에 소정 넓이를 갖는 조절구멍(320)을 형성하며, 상기 걸림턱(310) 사이에 일부가 개방 형성된 조절링(320)을 회전 가능하게 끼워 흡입공기의 양을 조절한다. 즉, 상기 조절링(320)의 회전 조작에 따라 조절구멍(320)을 열거나 닫게 됨으로써, 진공청소기(100) 내부에 흡입되는 흡입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대기 중에는 늘 소량의 먼지(D)가 산재하고 있어 청소를 하지 않고 이를 방치하게 되면 위생뿐만 아니라, 건강상 좋지 않은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집안 및 상가 등에서는 진공청소기(100) 및 먼지떨이(400)와 같은 청소도구를 이용하여 먼지(D)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작업을 하게 되고, 청소 후에는 먼지떨이(400)에 붙은 먼지(D)를 떼어내는 별도의 작업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먼지 흡입기구(200)를 이용하여 먼지떨이(400)에 붙어 있는 먼지(D)를 떼어내는 작용을 도 7a, 7b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바디(210)에 형성된 수부재(212)를 손잡이부(260)에 형성된 암부재(262)에 끼워 서로 결합시키고, 진공청소기(100)의 흡기관(160)에 손잡이부(260)를 연결한 후에 상기한 먼지떨이(400)를 공기가 유입되는 바디(210) 부분에 밀착시킨다.
이때, 사용자의 한손은 손잡이부(260)에 파지되는데, 바닥을 청소할 경우에 는 손목 및 팔 부분에 무리가 가지 않고 편안하게 손잡이부(260)를 파지할 수 있도록 바디(210)를 적절한 각도만큼 회동시켜 사용하게 된다.
이 후에, 진공청소기(100)를 작동하여 청소한 먼지떨이(400)를 바디(210)에 대고 문지르게 되면, 먼지떨이(400)에 붙어 있는 먼지(D) 및 이물질은 바디(210) 내부의 포집공간(230)을 통하여 손잡이부(260) 내부에 마련된 흡입통로(270)로 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통로(270) 내부에 유입되는 먼지(D) 및 이물질은 진공청소기(100)의 흡입력에 의해 흡기관(160)을 통하여 상기 진공청소기(100)의 내부로 빨려 들어가게 된다.
특히, 상기 먼지떨이(400)를 도 7b와 같이, 바디(210)에 밀착한 상태에서 좌, 우로 회전시키게 되면, 먼지떨이(400)는 수부재(212) 내측에 근접 구비된 먼지떨이편(220)의 빗살 부분(도 8 참조)에 마찰됨으로써, 먼지떨이(400)에 붙어 있던 먼지(D) 및 이물질이나 머리카락 등을 빗으로 빗어내 듯 포집공간(230) 내부에 떨어뜨릴 수 있고, 이에 따라 포집공간(230) 내부에 포집되는 먼지(D)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먼지떨이(400)를 상, 하로 문지르게 되면 바디(210) 내측에 돌출 형성된 먼지떨이턱(240)에 먼지떨이(400)가 마찰됨으로써, 먼지떨이(400)에 붙은 먼지(D) 및 이물질이 떨어져 손잡이부(260) 내부의 흡입통로(270)로 흡입이 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260)에는 흡기조절수단(300)을 구비하므로, 흡입통로(270)에 유입되는 흡입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진공청소기(100)의 과도한 흡입력에 의해 먼지떨이(400)가 먼지 흡입기구(200) 내부로 흡입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진공청소기(100)의 흡입력에 의해 먼지떨이(400)에 붙은 먼지(D) 및 이물질을 모두 제거하게 되더라도 상기 먼지떨이(400)의 사용으로 인해 공중에는 약간의 먼지(D)가 날리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비산먼지를 흡입하기 위해 바디(210)의 하단 부분을 비산먼지 방향으로 향하게 한 후 진공청소기(100)를 작동시키면, 상기 바디(210)가 넓게 형성되어 있어 바닥의 먼지(D) 뿐만 아니라 공중에 부양된 비산먼지 역시 빠르고 손쉽게 흡입 및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진공청소기(100)에 연결하여 먼지 흡입기구(200)를 사용한 이 후 더 이상 먼지 흡입기구(200)의 사용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진공청소기(100)의 흡기관(160)에서 먼지 흡입기구(200)를 분리하고,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흡기관(160)에 연장관을 결합하여 본래의 청소기로서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 흡입기구(200)는 다시 바디(210)와 손잡이부(260)로 각각 분리 가능함으로써, 청소 후 손잡이부(260)의 흡입통로(270)에 끼게 되는 묵은 때 및 먼지(D) 등을 보다 깔끔하게 청소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먼지 흡입기구(200)를 더욱 청결하게 보관 및 유지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플로어(floor) 타입의 청소기만을 도시하였으나, 핸드(hand) 타입과 같은 소형 진공청소기 또는 다른 중형 및 대형의 청소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한편, 상기 먼지 흡입기구(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바디(210)의 회동이 가능하므로, 바디(210)를 적절하게 회동시켜 쓰레받기 대용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먼지 흡입기구(200)의 바디(210) 내측에는 다수의 먼지떨이턱(240)이 구비되어, 먼지(D)를 털어내는 데 도움이 되는 동시에 먼지(D) 및 이물질 등이 보다 간편하게 쓸어 담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먼지 흡입기구(200) 내부에 잔량의 먼지(D) 및 오물 등을 쓸어 담은 이 후, 상기 먼지 흡입기구(200)를 위로 향하게 하여 진공청소기(100) 내부로 흡입할 수 있고, 특히 신축건설 현장과 같은 많은 양의 오물 및 비산먼지나 쌓인 먼지(D)가 많이 발생하는 곳에서는 더욱 효과적인 청소작업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a,1b는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되어 등록된 먼지제거장치의 사용상태 및 작동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a,1b에 의한 먼지제거장치의 형상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되어 등록된 다른 먼지흡입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의 먼지흡입구의 구조를 부분 확대하여 도시한 정단면도,
도 5a, 5b는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또 다른 먼지 흡입기구에 따른 결합수단의 장착구조 및 사용예를 부분 확대하여 도시한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먼지 흡입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7a, 7b는 본 발명에 따른 먼지 흡입기구의 장착구조 및 사용예를 부분 확대하여 도시한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먼지 흡입기구의 바디의 중심부분을 절개하여 도시한 저면 단면도.
*도면 중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200 : 먼지 흡입기구 210 : 바디
212 : 수부재 214 : 록킹돌기
220 : 먼지떨이편 230 : 포집공간
240 : 먼지떨이턱 245 : 융착부
260 : 손잡이부 262 : 암부재
264 : 록킹홈 270 : 흡입통로
300 : 흡기조절수단 310 : 걸림턱
320 : 조절구멍 330 : 조절링
400 : 먼지떨이 D : 먼지

Claims (5)

  1. 먼지의 흡입 및 포집이 용이하도록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포집공간을 형성한 바디와, 상기 포집된 먼지를 진공청소기의 흡기관에 유입시킬 수 있도록 흡입통로를 형성하되 단부를 상기 바디에 결합한 손잡이부와, 상기 흡기관에 흡입되는 흡입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부 일부에 설치한 흡기조절수단으로 구성되는 진공청소기용 먼지 흡입기구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260)와 결합되는 바디(210)의 수부재(212) 중앙 내측에 먼지떨이(400)와 접촉을 일으켜 먼지(D)를 떨어내는 먼지떨이마찰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바디(210) 일단 내측면에 다수의 먼지떨이턱(240)을 등간격으로 돌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먼지 흡입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떨이마찰수단은 수부재(212) 내측 상, 하부를 가로질러 먼지떨이편(220)을 구비하고, 포집공간(230) 측으로 성형되는 상기 먼지떨이편(220) 단부를 빗살 형태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먼지 흡입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부재(212) 내측 상, 하부를 가로질러 구비된 먼지떨이편(220)의 좌, 우 너비는 상부에서 하부로 향할수록 점차적으로 길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먼지 흡입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떨이턱(240)은 포집공간(230) 외측에서 내측으로 향할수록 그 높이가 점차적으로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먼지 흡입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210) 내측면에는 정전기를 방지하기 위해 알루미늄을 도장이나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먼지 흡입기구.
KR1020070095544A 2007-09-19 2007-09-19 진공청소기용 먼지 흡입기구 KR100856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544A KR100856646B1 (ko) 2007-09-19 2007-09-19 진공청소기용 먼지 흡입기구
PCT/KR2008/004924 WO2009038291A1 (en) 2007-09-19 2008-08-22 Device for removing dust by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544A KR100856646B1 (ko) 2007-09-19 2007-09-19 진공청소기용 먼지 흡입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6646B1 true KR100856646B1 (ko) 2008-09-03

Family

ID=40022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5544A KR100856646B1 (ko) 2007-09-19 2007-09-19 진공청소기용 먼지 흡입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56646B1 (ko)
WO (1) WO200903829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19228A (zh) * 2012-07-11 2015-05-13 川村敬一 软管连结件、拖把吸引件、电动吸尘器以及球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25031B2 (ja) 2010-04-26 2012-09-12 敬一 川村 モップの埃の吸引具
JP5616544B1 (ja) * 2013-09-18 2014-10-29 優子 青木 ハタキの塵埃吸引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3351A (ko) * 1999-07-05 1999-10-05 이교석 먼지털이개용먼지제거장치
US6446293B2 (en) 1999-12-03 2002-09-10 Aktiebolaget Electrolux Vacuum cleaner that charges a duster with static electricity
JP2004242731A (ja) * 2003-02-12 2004-09-02 Tadashi Hirakata 電気掃除機用の脱塵補助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4689Y1 (ko) * 2006-06-16 2006-08-28 백성욱 디스플레이패널의 먼지제거용 클리닝 핸드롤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3351A (ko) * 1999-07-05 1999-10-05 이교석 먼지털이개용먼지제거장치
US6446293B2 (en) 1999-12-03 2002-09-10 Aktiebolaget Electrolux Vacuum cleaner that charges a duster with static electricity
JP2004242731A (ja) * 2003-02-12 2004-09-02 Tadashi Hirakata 電気掃除機用の脱塵補助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19228A (zh) * 2012-07-11 2015-05-13 川村敬一 软管连结件、拖把吸引件、电动吸尘器以及球阀
CN104619228B (zh) * 2012-07-11 2017-03-08 川村敬一 软管连结件、拖把吸引件、电动吸尘器以及球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38291A1 (en) 2009-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6052511A (ja) 掃除機ヘッド
CA2165960C (en) Electric broom
JP6391116B2 (ja) ブラシ付き吸入筒の清掃具
CA2684751C (en) Cleaning brush
NZ314192A (en) Broom type vacuum cleaner with double row of bristles lining suction inlet
CN217645116U (zh) 真空工具
CN207949740U (zh) 一种可用于清扫阴角积尘的吸尘器
JP2012245318A (ja) 掃除機
KR100856646B1 (ko) 진공청소기용 먼지 흡입기구
JP2022153553A (ja) 清掃用具
CA3004809C (en) Dusting and dust collecting device
JP4577994B2 (ja) カーペット清掃用ブラシ
US8732900B2 (en) Vacuum cleaner lint brush attachment
US20110048461A1 (en) Tool for a steam cleaning device and method of cleaning
JP2012205799A (ja) 吸込口体及びこれを有する電気掃除機
KR100741026B1 (ko) 진공청소기용 먼지 흡입기구
KR100547267B1 (ko) 진공청소기용 먼지흡입구
JP4341038B2 (ja) 容器つきペットブラシ。
JPH0556893B2 (ko)
JP2006289039A (ja) 電気掃除機用ブラシ型ノズル
US11882973B2 (en) Cleaning apparatus
JP2019030652A (ja) 掃除具及び集塵ヘッド
JP5541995B2 (ja) 電気掃除機
WO2020160212A1 (en) Vacuum attachment for grooming
KR20180001802U (ko) 머리카락 거르개와 작은 솔이 부착된 쓰레받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