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6362B1 - 엘리베이터 버튼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버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6362B1
KR100336362B1 KR1019990030404A KR19990030404A KR100336362B1 KR 100336362 B1 KR100336362 B1 KR 100336362B1 KR 1019990030404 A KR1019990030404 A KR 1019990030404A KR 19990030404 A KR19990030404 A KR 19990030404A KR 100336362 B1 KR100336362 B1 KR 100336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body
design plate
hook
button
hook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0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1163A (ko
Inventor
이준희
Original Assignee
장병우
엘지 오티스 엘리베이터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병우, 엘지 오티스 엘리베이터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장병우
Priority to KR1019990030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6362B1/ko
Publication of KR20010011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1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6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63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1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rofile
    • B66B1/462Mechanical or piezoelectric input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버튼장치에 관한 것으로, 의장표판(6)의 결합용 구멍(6a)에 버튼 본체(10)가 삽입되어 버튼 본체(10)의 걸림테(10b)가 의장표판(6)의 결합용 구멍(6a) 주변부에 걸리게 되고, 상기 버튼 본체(10)의 후방부에 후크커버(12)를 밀어 넣으면 상기 후크커버(12)의 양측면에 형성된 후크간(11)의 걸고리부(11a)가 버튼 본체(10)의 양측면에 형성된 걸림턱(10a)에 걸리고, 후크커버(12)의 상,하면에 형성된 탄지간(9)의 밀착돌기(9a)가 의장표판(6)의 내면에 밀착되어 버튼 본체(10)를 탄력적으로 후방으로 밀게 되므로 버튼 본체(10)이 안정하게 결합 고정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의장표판에 버튼 본체를 삽입하고, 버튼 본체에 후크커버를 결합하면 후크커버의 자체 탄성에 의하여 볼트 작업 없이 간단히 조립된다. 그리고, 의장표판의 두께가 다른 경우에도 후크커버에 형성된 탄지간의 밀착돌기가 의장표판에 밀착되어 간격 조절이 자체적으로 이루어지면서 견고하게 조립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생산, 조립 설치 작업이 간편하게 되고, 의장표판이 다양하게 변경되는 경우 두께 변화에 대한 우수한 적응성을 발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버튼장치{BUTTON DEVICE FOR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등에 사용되는 엘리베이터 버튼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의장표판에 버튼 본체를 삽입하고, 버튼 본체에 후크커버를 결합하여, 간단히 조립할 수 있도록 하고, 의장표판의 두께가 다른 경우에도 탄력적으로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됨으로써 두께 변화에 대한 적응성이 우수한 엘리베이터 버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에 건물층 등록, 부름등록 등을 위하여 사용되는 버튼은 여러 건물의 각 층에 설치되어 많은 승객이 사용하게 되므로 견고하게 결합되어야 하고, 수량적인 측면에서도 다량이므로 생산 및 작업성이 좋아야 한다.
또한, 엘리베이터 건물주들이 다양한 의장표판을 요구함에 따라 의장표판의 두께 변화에 수월하게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종래 버튼의 전형적인 형태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는 종래 엘리베이터 버튼장치의 평면도, 도 2에는 종래 엘리베이터 버튼장치의 측면도, 도 3에는 종래 엘리베이터 버튼장치의 정면도가 각각 도시되고, 도 4에는 보상 플레이트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의장표판판의 볼트부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부호 1은 엘리베이터의 층수 번호를 보인 것이고, 2는 맹인용 점자를 보인 것으로 상기 층수 번호(1)와 맹인용 점자(2)가 표시되어있는 버튼 본체(5)의 양측부에는 결합용 구멍(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버튼 본체(5)가 결합되는 버튼부의 의장표판(6)에는 버튼 본체(5)의 돌출부가 끼워지는 결합용 구멍(6a)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 본체(5)의 결합용 구멍(3)에 삽입되는 볼트(4)가 양측부에 용접되어 있다.
상기 의장표판(6)과 버튼 본체(5)의 사이에 결합되는 보상 플레이트(7)에는 양측부에 상기 버튼 본체(5)의 결합용 구멍(3)과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용 구멍(7a)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 본체(5)의 중간 돌출부가 끼워져 노출되는 공간부(7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버튼은 상기 의장표판(6)에 버튼 본체(5)를 결합하면서, 의장표판(6)과 버튼 본체(5) 사이에 보상 플레이트(7)를 삽입하고 결합하며, 버튼 본체(5)의 돌출부가 보상 플레이트(7)와 의장표판(6)의 결합용 구멍(7b),(6a)에 끼워지는 동시에 보상 플레이트(7)와 버튼 본체(5)의 양측부에 형성된 결합용 구멍(7a),(3)에 의장표판(6)에 양쪽으로 고정된 볼트(4)가 삽입되도록 결합한 후, 볼트(4)의 단부에 와셔 등을 개재하고 너트(8)를 체결하여 조립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버튼장치는 버튼 조립시 의장표판(6)과 버튼 본체(5)를 고정하기 위하여 도 5와 같이, 의장표판(6)에 볼트(4)를 용접하여야 하고, 또한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따라 의장표판(6)의 두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도 5의 보상 플레이트(7)를 사용하여 의장표판(6)의 내측에 조립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버튼 제조시 용접작업을 행하여야 하므로 버튼의 제조성이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버튼의 조립작업이 번거로워 조립능력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의장표판에 버튼 본체를 삽입하고, 버튼 본체에 후크커버를 결합하여, 간단히 조립할 수 있도록 하고, 의장표판의 두께가 다른 경우에도 탄력적으로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됨으로써 두께 변화에 대한 적응성이 우수한 엘리베이터 버튼장치를 제공하자 함에 목적이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종래 엘리베이터 버튼장치에 관한 구성을 보인 것으로,
도 1은 종래 엘리베이터 버튼장치의 평면도.
도 2는 종래 엘리베이터 버튼장치의 측면도.
도 3은 종래 엘리베이터 버튼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보상 플레이트의 정면도.
도 5는 의장표판판의 볼트부 상세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 엘리베이터 버튼장치에 관한 도면으로서,
도 6은 본 발명 엘리베이터 버튼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엘리베이터 버튼장치의 평면도.
도 8은 버튼의 정면도.
도 9a는 도 7의 'A'부 상세도.
도 9b는 도 7의 'B'부 상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의장표판 6a : 결합용 구멍
9 : 탄지간 9a : 밀착돌기
10 : 버튼 본체 10b : 걸림테
10a : 걸림턱 11 : 후크간
11a : 걸고리부 12 : 후크커버
12a : 지지부 13 : 탄성수단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엘리베이터 버튼장치는 의장표판의 결합용 구멍에 버튼 본체가 삽입되어 버튼 본체의 걸림테가 의장표판의 결합용 구멍 주변부에 걸리게 되고, 상기 버튼 본체의 후방부에 후크커버를 밀어 넣으면 후크커버의 양측면에 형성된 후크간의 걸고리부가 버튼 본체의 양측면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리고, 후크커버의 상,하면에 형성된 탄지간의 밀착돌기가 의장표판의 내면에 밀착되어 버튼 본체를 탄력적으로 후방으로 밀게 되므로 버튼 본체이 안정하게 결합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탄지간은 탄성수단에 의해 탄성력을 보완할 수 있으며, 예컨데 이 탄성수단에는 압축 코일스프링이 이용되고, 후크커버의 지지부와 탄지간의 밀착돌기에 압축 코일스프링의 양단부가 지지되며, 압축 코일스프링의 양단부가 삽입되는 홈을 각각 형성하거나, 압축 코일스프링의 내경부에 끼워지는 돌기를형성하여 결합하게 된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 엘리베이터 버튼장치에 관한 도면으로서, 도 6은 본 발명 엘리베이터 버튼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엘리베이터 버튼장치의 평면도, 도 8은 버튼의 정면도를 각각 보인 것이고, 도 9a는 도 7의 'A'부 상세도를 보인 것이며, 도 9b는 도 7의 'B'부 상세도를 보인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면에서 1은 층수 번호, 2는 맹인용 점자를 각각 보인 것으로, 상기 층수 번호(1)와 맹인용 점자(2)가 표시되어있는 버튼 본체(10)의 양측면에는 걸림턱(10a)이 형성되고, 층수 번호(1)가 표시된 전면 주연부에는 걸림테(10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버튼 본체(10)가 결합되는 의장표판(6)에는 버튼 본체(10)가 끼워져 걸리는 결합용 구멍(6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버튼 본체(10)의 후방 내측부에는 상기 버튼 본체(10)를 의장표판(6)에 탄력적으로 밀착시켜 안정하게 고정하기 위한 후크커버(12)가 결합되며, 이 후크커버(12)는 대략 사각통체형 몸체의 양측부에 한 쌍의 후크간(11)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하측부에는 탄지간(9)이 형성되며, 상기 후크간(11)의 단부에는 걸고리부(11a)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탄지간(9)의 단부에는 밀착돌기(9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버튼 본체(10)와 후크커버(12)는 합성수지 사출성형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꼭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의장표판(6), 버튼 본체(10) 및 후크커버(12)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버튼은 도 6과 같이, 의장표판(6)의 결합용 구멍(6a)에 버튼 본체(10)가 삽입되어 버튼 본체(10)의 걸림테(10b)가 의장표판(6)의 결합용 구멍(6a) 주변부에 걸리게 되고, 상기 버튼 본체(10)의 후방부에 후크커버(12)를 밀어 넣으면 후크커버(12)의 양측면에 형성된 후크간(11)의 걸고리부(11a)가 버튼 본체(10)의 양측면에 형성된 걸림턱(10a)에 걸리고, 후크커버(12)의 상,하면에 형성된 탄지간(9)의 밀착돌기(9a)가 의장표판(6)의 내면에 밀착되어 버튼 본체(10)를 탄력적으로 후방으로 밀게 되므로 버튼 본체(10)이 안정하게 결합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의장표판(6)의 내면과 후크커버(12)의 후방면 사이의 간격과, 한 쌍의 탄지간(9)의 벌어짐 각도 및 휨 정도는 버튼의 규격에 따라 적정 치수로 설계하여 적용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탄지간(9)은 탄성수단(13)에 의해 탄성력을 보완할 수 있으며, 예컨데 이 탄성수단(13)에는 압축 코일스프링이 이용되고, 후크커버(12)의 지지부(12a)와 탄지간(9)의 밀착돌기(9a)에 압축 코일스프링의 양단부가 지지되며, 압축 코일스프링의 양단부가 삽입되는 홈을 각각 형성하거나, 압축 코일스프링의 내경부에 끼워지는 돌기를 형성하여 결합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 엘리베이터 버튼장치는 의장표판에 버튼 본체를 삽입하고, 버튼 본체에 후크커버를 결합하면 후크커버의 자체 탄성에 의하여 볼트 작업 없이 간단히 조립된다. 그리고, 의장표판의 두께가 다른 경우에도 후크커버에 형성된 탄지간의 밀착돌기가 의장표판에 밀착되어 간격 조절이 자체적으로 이루어지면서 견고하게 조립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생산, 조립 설치 작업이 간편하게 되고, 의장표판이 다양하게 변경되는 경우 두께 변화에 대한 우수한 적응성을 발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버튼장치는 엘리베이터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실제 사용하는 경우에는 꼭 엘리베이터에 한정하여 사용할 필요가 없고, 본 발명의 버튼장치가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는 것이라면 여러가지 전기, 전자 제품에 폭 넓게 활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이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4)

  1. 의장표판의 결합용 구멍에 버튼 본체가 삽입되어 버튼 본체의 걸림테가 의장표판의 결합용 구멍 주변부에 걸리고, 상기 버튼 본체의 후방부에 후크커버가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후크커버의 상,하면에 형성된 탄지간의 밀착돌기가 의장표판의 내면에 밀착되어, 자체적으로 두께 조절이 되면서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버튼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커버의 양측면에 형성된 후크간의 걸고리부가 버튼 본체의 양측면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려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버튼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탄지간은 탄성수단에 의해 탄성력이 보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버튼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에는 압축 코일스프링이 이용되고, 상기 후크커버의 지지부와 탄지간의 밀착돌기에 압축 코일스프링의 양단부가 지지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버튼장치.
KR1019990030404A 1999-07-26 1999-07-26 엘리베이터 버튼장치 KR100336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0404A KR100336362B1 (ko) 1999-07-26 1999-07-26 엘리베이터 버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0404A KR100336362B1 (ko) 1999-07-26 1999-07-26 엘리베이터 버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1163A KR20010011163A (ko) 2001-02-15
KR100336362B1 true KR100336362B1 (ko) 2002-05-13

Family

ID=19604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0404A KR100336362B1 (ko) 1999-07-26 1999-07-26 엘리베이터 버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63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62574A (zh) * 2017-10-30 2018-04-27 深圳市普渡科技有限公司 一种可自动使用电梯的机器人系统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43768U (ko) * 1977-09-01 1979-03-26
JPS6282525U (ko) * 1985-11-13 1987-05-26
KR940005618U (ko) * 1992-08-27 1994-03-18 현대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조작용 버튼
KR19990005056U (ko) * 1997-07-11 1999-02-05 조희재 엘리베이터 스위치 결합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43768U (ko) * 1977-09-01 1979-03-26
JPS6282525U (ko) * 1985-11-13 1987-05-26
KR940005618U (ko) * 1992-08-27 1994-03-18 현대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조작용 버튼
KR19990005056U (ko) * 1997-07-11 1999-02-05 조희재 엘리베이터 스위치 결합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1163A (ko) 200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7213B1 (en) Horizontal electrical box with internal mounting arrangement
US20040168384A1 (en) Skirting board with finishing elements
US20070102610A1 (en) Hook attaching unit
US7568680B2 (en) Rail clip assembly for connecting a fence rail to a fence post
US7679572B2 (en) Body mount for a vehicle antenna
US20110204658A1 (en) Fire Bolt Assembly for Door
US7658579B1 (en) Nut and retainer fastener assembly
KR100336362B1 (ko) 엘리베이터 버튼장치
KR200467183Y1 (ko) 벽 스위치의 브라켓
CA2042818A1 (en) Locking wall accessory fastener
KR100641814B1 (ko) 배선덕트의 연결구조
US6335484B1 (en) Electrical equipment support for attachment to trunking
US20070013275A1 (en) Coupling device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utilizing the same
US20070005066A1 (en) Modular nut plate
CN111927851B (zh) 拼装固定装置及方法
JP3673780B2 (ja) ラック用連結部材
KR200273593Y1 (ko) 건축외장재 고정장치
KR200404801Y1 (ko) Pcb 간격 유지장치
CN107683064B (zh) 卡扣结构及卡扣组件
CN211259249U (zh) 板件、显示器底座用组件及显示器底座
KR100569236B1 (ko) 범퍼 커버 그릴 결합 구조
US20240159261A1 (en) Bracket assembly
JPH04101006U (ja) スクリユーグロメツト
JP2979311B1 (ja) 壁保護装置
KR102305338B1 (ko) 월패드용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