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6009B1 - 철도차량의 도어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의 도어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6009B1
KR100336009B1 KR1020000023748A KR20000023748A KR100336009B1 KR 100336009 B1 KR100336009 B1 KR 100336009B1 KR 1020000023748 A KR1020000023748 A KR 1020000023748A KR 20000023748 A KR20000023748 A KR 20000023748A KR 100336009 B1 KR100336009 B1 KR 100336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test
closing
opening
solenoid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3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1953A (ko
Inventor
박승원
Original Assignee
김 영 창
주식회사 우진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 영 창, 주식회사 우진산전 filed Critical 김 영 창
Priority to KR1020000023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6009B1/ko
Publication of KR20000071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1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6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60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8Railway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된 외부 전원을 해당 구동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원공급부와,이 전원공급부로부터 입력되는 구동전압을 솔레이노이드 밸브와 도어엔진으로 공급시키는 콘넥터수단를 구비하고 도어의 개폐시험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패널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와 제어패널부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와 도어엔진으로 입력되는 구동 전압을 개폐하므로 시험동작을 실행하는 제1, 2시험스위치와, 상기 시험대상인 솔레노이드 밸브와 도어엔진를 경유하여 입력되는 시험전류에 따라 동작되는 릴레이부와, 이 릴레이부에 의해 동작되어 도어의 개폐여부를 표시하는 도어 개폐 표시부를 구비한 철도차량의 도어 시험장치에 관한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철량차량의 제작이 완료된 상태에서 도어엔진과 솔레노이드 밸브등을 콘넥터를 통해 연결하여 철도차량의 모든 도어의 개폐기능을 통합 시험하게 되므로써, 객차에 도어를 설치할시 일일이 도어엔진만을 개별적으로 분리해내어 도어 개폐시험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에따라 시험장치의 기능성을 상당히 향상시키게 됨은 물론 제작된 객차의 도어를 통합하여 동시에 도어 개폐시험을 하게 되므로 그에따라 도어장치의 고장을 신속히 검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철도차량의 도어 시험장치{door testing system of the railway carrige}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도어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철량차량의 제작이 완료된 상태에서 도어엔진과 솔레노이드 밸브등을 콘넥터를 통해 연결하여 철도차량의 모든 도어의 개폐기능을 통합 시험하는 철도차량의 도어 시험장치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은 동력을 발생시키는 기관차와, 이 기관차에 다량 연결되어 화물이나 승객을 실는 화차 혹은 객차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러한 객차나 화차의 제작시 각종 장치부 예컨데, 객차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시키기 위한 보조전원 장치나 객차의 도어 혹은 냉방기등이 내부에 설치제작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객차에 구비되는 도어구조를 도 1을 참고로 살펴보면, 먼저, 객차의 일정간격 마다 다수개 설치되는 도어(70)와, 이 도어(70)를 개패하는 도어엔진(71)과 이 도어엔진(71)를 구동하는 솔레노이드밸브(72)와, 이 솔레노이드 밸브(72)의 동작을 제어하는 배전반(73)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도어구조를 객차에 설치할 경우 각 개별 도어별로 도어엔진(71)을 분리하여 기능시험을 행하게 되는데, 이때 해당 도어엔진(71)을 객차에서 분리한다음 배전반(73)이나 기타 시험을 할 수 있는 시험장비(74)를 솔레노이드 밸브(72)와 도어 엔진(71)에 연결한다음 도어(70)의 개패시험을 행하게 된다. 예컨데, 시험장비(74)를 통해 열림제어신호를 주게되면 정상적일 경우 솔레노이드 밸브(72)가 동작되어 도어엔진(71)을 구동하고 그에따라 도어(70)가 열리게 된다. 이때, 만약 상기 도어(70)에 고장이 발생될 경우 이 도어(70)는 열리지 않게되므로 시험자는 이를 수리하여 다시 객차에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같은 과정을 거처 객차내에 설치된 개별 도어를 각각 분리해 내어 도어의 개폐시험을 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도어 개폐장치는 객차에 도어를 설치할 경우 도어엔진(71)을 일일이 개별적으로 분리해 낸다음 도어의 개폐시험을 실시해야 하므로 그에따라 도어의 개폐시험를 신속히 실행하지 못해 개폐시험의 기능성을 상당히 저하시켰으며, 또한, 도어엔진(71)만을 개별적으로 분리해 내어 시험한 다음 다시 조립하게되는데, 이과정에서 다시 오류가 빈번하게 발생되므로 그에따라 도어 개폐시험의 신뢰성도 상당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철량차량의 제작이 완료된 상태에서 도어엔진과 솔레노이드 밸브등을 콘넥터를 통해 연결하여 철도차량의 모든 도어의 개폐기능을 통합 시험하게 되므로써, 객차에 도어를 설치할시 일일이 도어엔진만을 개별적으로 분리해내어 도어 개폐시험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에따라 시험장치의 기능성을 상당히 향상시키는 철도차량의 도어 시험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작된 객차의 도어를 통합하여 동시에 도어 개폐시험을 하게 되므로 그에따라 도어장치의 고장을 신속히 검출할 수 있는 철도차량의 도어 시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입력된 외부 전원을 해당 구동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원공급부와,이 전원공급부로부터 입력되는 구동전압을 솔레이노이드 밸브와 도어엔진으로 공급시키는 콘넥터수단를 구비하고 도어의 개폐시험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패널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와 제어패널부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와 도어엔진으로 입력되는 구동 전압을 개폐하므로 시험동작을 실행하는 제1, 2시험스위치와, 상기 시험대상인 솔레노이드 밸브와 도어엔진를 경유하여 입력되는 시험전류에 따라 동작되는 릴레이부와, 이 릴레이부에 의해 동작되어 도어의 개폐여부를 표시하는 도어 개폐 표시부를 구비한 철도차량의 도어 시험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철도차량의 도어구조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 장치의 블록도.
<부호의 상세한 설명>
1 : 외부전원 2 : 메인 스위치
3 : 전원공급부 4 : 제어스위치
5 : 솔레노이드 밸브 6 : 도어엔진
7 : 콘넥터 8 : 도어
9 : 제어 패널부 10: 제1,2 시험스위치
11: 릴레이부 12: 도어개폐표시부
17: 표시부
이하, 본 발명의 일실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외부 전원(1)의 유출입을 제어하는 메인 스위치(2)와, 이 메인 스위치(2)를 경유하여 입력된 전원을 해당 구동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원공급부(3)와, 이 전원공급부(3)의 구동 전압에 따른 오동작방지 스위칭기능을 실행하는 제어스위치(4)와, 이 제어스위치(4)를 통해 입력되는 구동전압을 해당 도어 구동 장치 예컨데, 솔레노이드 밸브(5)와 도어엔진(6)로 공급시키는 콘넥터(7)를 구비하고 도어(8)의 개폐시험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패널부(9)와, 상기 제어스위치(4)와 제어 패널부(9)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5)와 도어엔진(6)으로 입력되는 구동 전압을 개폐하므로 시험동작을 실행하는 제1,2 시험스위치(10)와, 상기 시험대상 예컨데, 솔레노이드 밸브(5)와 도어엔진(6)를 경유하여 입력되는 시험전류에 따라 동작되는 릴레이부(11)와, 이 릴레이부(11)에 의해 동작되어 도어(8)의 개폐여부를 표시하는 도어 개폐 표시부(12)로 이루어 진다.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부(3)에는 외부전원 예컨데, 220[v]의 전원을 입력받아 예컨데, 110[v]와 12[v]의 구동전원으로 유기하여 출력하는 트랜스(13)와, 이트랜스(13)로부터 출력된 예컨데, 110[v]의 전압을 정류하는 제1 브리지단(14)과, 상기 트랜스로부터 출력된 예컨데, 12[v]의 전압을 정류하는 제2 브리지단(15)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도어개폐표시부(12)에는 도어(8)의 열림을 표시하는 램프(R1O-R4O)와, 도어(8)의 닫힘을 표시하는 램프(R1C-R4C), 이들 램프(R1O-R4O,R1C-R4C)들을 스위칭 연결해주는 릴레이접점들(a,b)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릴레이 접점들(a,b)은 상기 릴레이부(11)의 릴레이들(RY1-RY4)에 의해 제어되게 되는데, 통상, 신호가 입력될 경우 도어(8)의 열림을 알리는 램프(R1O-R4O)를 스위칭하는 "a"접점에 연결되어 있다가 신호가 없으면 도어(8)의 닫힘을 알리는 램프(R1C-R4C)를 스위칭하는 "b"접접으로 복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브리지단(15)의 일단에는 객차(도시안됨)의 좌측 도어 혹은 우측 도어만을 선별적으로 시험할 수 있는 그룹선택스위치(16)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브리지단(14)의 다른 일단에는 상기 그룹선택스위치(16)의 제어상태를 표시하는 램프(R1,R2) 및 상기 제1,2 시험스위치(10)의 제어상태를 표시하는 램프(R3,R4)를 포함하는 표시부(17)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릴레이부(11)에는 제어스위치(4)의 제어상태에 따라 접점작용을 하는 릴레이접점(RC1-RC4)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공급부(3)와 릴레이부(11)는 제어 패널부(9)에 내장되고, 상기 제어스위치(4), 제1,2 시험스위치(10), 그룹선택스위치(16), 표시부(17) 및 도어개폐표시부(12)는 제어 패널부(9)의 외부 패널상에 고정설치된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된 본 발명 일실시예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예컨데, 제작이 완료된 객차 1량에 구비된 도어엔진(6)과 솔레노이드 밸브(5)의 연결접점(도시안됨)을 제어 패널부(9)의 외부 패널상에 설치된 콘넥터(7)에 연결시키고 메인 스위치(2)와 제어스위치(4)를 온시킨다음 제1,2 시험스위치(10)를 온/오프시키면서 도어 개폐 시험을 실행하면된다.
즉, 도어 개폐시험을 위해 상기 메인 스위치(2)를 온시킨상태에서 제어스위치(4)를 온시키고 그와 동시에 그룹선택스위치(16)를 통해 시험할 대상 도어 예컨데, 좌측도어측을 선택하고 제1,2 시험스위치(10)를 온시키게 되면 전원공급부(3)의 트랜스(13)가 외부 전원(1) 예컨데, 교류 220[v]를 인가받아 본 발명실시예에 필요한 구동전압 예컨데, 110[v]와 12[v]를 유기하여 제1 브리지단(14)과 제2 브리지단(15)으로 각각 입력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2 브리지단(15)은 입력된 교류 12[v]를 정류하여 도어개폐표시부(12)의 램프들(R1O-R4O,R1C-R4C)과 표시부(17)의 램프들(R1-R4)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게되고, 이와동시에 제1 브리지단(14)은 입력된 교류 110[v]를 정류하여 제어스위치(4)와 제1,2 시험스위치(10)를 거쳐 제어 패널부(9)의 콘넥터(7)에 접속된 좌측 도어엔진(6)과 솔레노이드 밸브(5)로 공급하게된다.
이때, 상기 제어스위치(4)가 온되게 되면 릴레이부(11)의 릴레이 접점(RC1-RC4)도 모두 온되게되어 시험기의 폐회로를 구성해주게 되고, 표시부(17)에는 그룹선택스위치(16)의 선택위치를 알리는 램프(R1)와, 제1,2 시험스위치(10)의 온상태를 알리는 램프(R3,R4)가 점등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2 시험스위치(10)가 온(on)되어 구동전원이 도어엔진(6)과 솔레노이드 밸브(5)에 공급되면 이 솔레노이드 밸브(5)가 동작되어 도어엔진(6)를 구동하게 된다. 그러면, 이 도어엔진(6)이 구동되어 예컨데, 선택된 객차의 좌측 도어(8)를 정상적이라면 모두 열어주게 되고, 이 도어들(8)이 열리게 되면 도어엔진(6)과 솔레노이드 밸브(5)의 접접작용에 따라 신호전류가 제어 패널부(9)의 콘넥터(7)를 통해 릴레이부(11)의 릴레이(RY1-4)와 릴레이접점들(RC1-RC4)을 경유하여 흐르게 된다. 그러므로, 이 릴레이(RY1-교4)가 동작되어 도어개폐표시부(12)의 "a" 접점을 연결시켜주게 되므로 도어(8)의 열림을 알리는 램프들(R1O-R4O)이 모두 온되게된다.
이때, 객차의 좌측 도어(8)의 열림동작이 정상적으로 구동된다면 이 도어(8)의 열림을 알리는 램프들(R1O-R4O)이 모두 점등되게 되나, 만약 고장난 도어가 있다면 그 해당 램프는 점등이 안되게 되므로 검시자는 이를 판단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게 된다.
한편, 검시자가 도어(8)의 닫힘기능을 시험할 경우는 제어 패널부(9)의 외부 패널상에 설치된 상기 제1,2 시험스위치(10)를 오프시켜주면된다. 그러면, 제어 패널부(9)의 콘넥터(7)를 통해 도어엔진(6)과 솔레노이드 밸브(5)에 공급되던 구동전원이 차단된다. 따라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5)가 도어엔진(6)의 기능을 원상태로 복귀시키게 되므로 도어(8)는 닫히게 되고 그와동시에 이 솔레노이드 밸브(5)와 도어엔진(6)의 접점작용에 따라 릴레이부(11)의 릴레이(RY1-4)에는 신호전류가 공급되지 않는다. 그러면, 릴레이부(11)의 릴레이들(RY1-4)이 도어개폐표시부(12)의 "a"접점들을 "b"접점으로 모두 복귀시킨다. 따라서, 제1 브리지단(14)의 동작전원이 이 도어개폐표시부(12)의 "b"접점을 통해 도어(8)의 닫힘을 알리는 램프(R1C-R4C)에 공급되므로 이 램프들(R1C-R4C)이 모두 점등되게 된다.
그러므로, 검시자는 이들 램프들(R1C-R4C)이 정상적으로 점등되는 것을 판단하여 도어(8)의 닫힘기능을 시험할 수가 있다. 이때, 만약 상기 도어중 이상이 있는 도어가 있다면 그 해당 램프는 점등되지 않으므로 검시자는 이를 판단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설명을 객차의 좌측 도어들을 기준으로 하였으나, 상기 그룹선택스위치(9)를 우측도어측에 놓는다면 상기 과정과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스위치(4)가 릴레이부(11)의 릴레이점점(RC1-4)들을 제어하게 되므로 본 발명의 폐회로상에서 발생되는 오류를 방지하는 스위칭기능을 실행한다.
이상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철량차량의 제작이 완료된 상태에서 도어엔진과 솔레노이드 밸브등을 콘넥터를 통해 연결하여 철도차량의 모든 도어의 개폐기능을 통합 시험하게 되므로써, 객차에 도어를 설치할시 일일이 도어엔진을 개별적으로 분리해내어 도어 개폐시험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에따라 시험장치의 기능성을 상당히 향상시키게 됨은 물론 제작된 객차의 도어를 통합하여 동시에 도어 개폐시험을 하게 되므로 그에따라 도어장치의 고장을 신속히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입력된 외부 전원을 해당 구동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원공급부와,이 전원공급부로부터 입력되는 구동전압을 솔레이노이드 밸브와 도어엔진으로 공급시키는 콘넥터수단를 구비하고 도어의 개폐시험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패널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와 제어패널부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와 도어엔진으로 입력되는 구동 전압을 개폐하므로 시험동작을 실행하는 제1, 2시험스위치와, 상기 시험대상인 솔레노이드 밸브와 도어엔진를 경유하여 입력되는 시험전류에 따라 동작되는 릴레이부와, 이 릴레이부에 의해 동작되어 도어의 개폐여부를 표시하는 도어 개폐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도어 시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와 제1,2 시험스위치사이에 릴레이부의 릴레이점점들을 제어하는 제어스위치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도어 시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폐부가 도어의 열림을 표시하는 램프와, 도어의 닫힘을 표시하는 램프 및 이들 램프들을 스위칭 연결해주는 릴레이접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도어 시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의 일단에는 객차의 좌측 도어 혹은 우측도어만을 선별적으로 시험할 수 있는 그룹선택스위치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하는 철도차량의 도어 시험장치.
KR1020000023748A 2000-05-03 2000-05-03 철도차량의 도어 시험장치 KR100336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3748A KR100336009B1 (ko) 2000-05-03 2000-05-03 철도차량의 도어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3748A KR100336009B1 (ko) 2000-05-03 2000-05-03 철도차량의 도어 시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1953A KR20000071953A (ko) 2000-12-05
KR100336009B1 true KR100336009B1 (ko) 2002-05-08

Family

ID=19667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3748A KR100336009B1 (ko) 2000-05-03 2000-05-03 철도차량의 도어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60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701B1 (ko) * 2009-02-23 2011-03-22 현대로템 주식회사 고속열차용 기밀시험 제어장치
KR101334751B1 (ko) 2012-07-30 2013-12-05 서울메트로 전동차용 출입문 현장시험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1074B1 (ko) * 2000-12-28 2003-1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 슬라이딩 도어 내구시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8315A (ja) * 1983-04-27 1984-11-10 Hitachi Ltd 車両用自動試験装置
JPH06241948A (ja) * 1993-02-18 1994-09-02 Toshiba Corp 列車状態監視装置
KR970010507A (ko) * 1995-08-16 1997-03-27 석진철 철도차량용 모니터링 장치
JP2001074615A (ja) * 1999-09-06 2001-03-23 Hitachi Ltd 鉄道車両用自動試験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8315A (ja) * 1983-04-27 1984-11-10 Hitachi Ltd 車両用自動試験装置
JPH06241948A (ja) * 1993-02-18 1994-09-02 Toshiba Corp 列車状態監視装置
KR970010507A (ko) * 1995-08-16 1997-03-27 석진철 철도차량용 모니터링 장치
JP2001074615A (ja) * 1999-09-06 2001-03-23 Hitachi Ltd 鉄道車両用自動試験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701B1 (ko) * 2009-02-23 2011-03-22 현대로템 주식회사 고속열차용 기밀시험 제어장치
KR101334751B1 (ko) 2012-07-30 2013-12-05 서울메트로 전동차용 출입문 현장시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1953A (ko) 2000-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11009B (zh) 用于诊断切断和连接电池和车载电力网的设备操作的方法
CN101305439B (zh) 用于防故障地关断电消耗装置的安全开关装置
CN102341288B (zh) 铁道车辆用门控制系统
JP2608741B2 (ja) 自動車に設置された複数の型式の電子制御システムの異常または故障を診断する装置
JP6105482B2 (ja) インターフェイスユニットと搬送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0374701C (zh) 发动机起动控制系统和控制方法
US10259327B2 (en) Vehicl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08535048A (ja) 電気負荷部の安全な切断用の安全スイッチング装置
CN117644768A (zh) 在用于自动驾驶的冗余系统中用于解耦和防止补偿电流的设备
US20130057065A1 (en) Engine control unit for driving an electric circuit and method
CN111619593A (zh) 一种轨道交通列车故障下的安全控制系统及方法
KR100336009B1 (ko) 철도차량의 도어 시험장치
CN210714273U (zh) 一种地铁屏蔽门监测装置
CA2704798A1 (en) Method and kit for testing 3-phase supplies onboard of an aircraft
KR20110103426A (ko) 유도 차량의 분야의 전기 스위칭 시스템의 스위칭 상태의 조절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3997529B2 (ja) 車両の故障診断方法
KR19980087253A (ko) 전기 회로 장치
KR101018916B1 (ko) 자동차의 엔진 버튼 시동 장치의 전원 모듈 고장 진단 방법
KR20200111314A (ko) 차량의 고전압 릴레이 시스템 및 그 진단방법
CN101393457A (zh) 一种诊断仪诊断系统及其诊断方法
KR101448142B1 (ko) 전동차의 배전반 제어장치
US20070267986A1 (en) Multiple Control Device for Electric Motors
JP2000146768A (ja) 車両の故障診断装置
US4980622A (en) Actuator two-fault tolerance apparatus
CN113752841B (zh) 多合一控制器pdu模块的故障确定装置、方法和汽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