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5988B1 - 마그네틱 센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마그네틱 센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5988B1
KR100335988B1 KR1020000030039A KR20000030039A KR100335988B1 KR 100335988 B1 KR100335988 B1 KR 100335988B1 KR 1020000030039 A KR1020000030039 A KR 1020000030039A KR 20000030039 A KR20000030039 A KR 20000030039A KR 100335988 B1 KR100335988 B1 KR 100335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iller
permanent magnet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0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8965A (ko
Inventor
정수은
Original Assignee
권태웅
한국하니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태웅, 한국하니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권태웅
Priority to KR1020000030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5988B1/ko
Publication of KR20010108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8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5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5988B1/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마그네틱 센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틱 센서는,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저부에 수용되는 영구자석과, 상기 영구자석의 일측에 결합되는 자기감지소자와, 상기 하우징의 상하방향을 따라 상기 영구자석의 일측에 상단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자기감지소자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소정의 충진공간을 두고 수용되는 자기감지모듈과; 상기 하우징의 상하방향을 따라 내부에 소정의 충진제가 유입되는 유입로와 상기 충진공간으로부터의 충진제가 유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유출로를 가지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판면방향을 따라 상기 영구자석의 상측에 소정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부개구영역을 차단하도록 결합되는 유로형성바디와; 상기 유입로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충진공간내에 투입된 상기 충진제를 경화하여 형성되는 충진성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충진제의 소요량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충진제의 충진시 기포발생을 억제시켜 기포발생에 기인한 부품의 손상 및 작동불량을 억제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마그네틱 센서 및 그 제조방법{MAGNETIC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마그네틱 센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충진제의 충진시 기포발생을 억제하여 불량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 마그네틱 센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마그네틱 센서는 근접설정되는 감지영역내에서 자장이 투과되는 물체의 움직임을 검출하도록 고안된 센서의 일종이다.
도 1 내지 도 5는 각각 종래의 마그네틱 센서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네틱 센서는, 내부에 수용공간(S)이 형성된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자기감지모듈(120)과, 일단이 자기감지모듈(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하우징(110)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리드프레임(130)과, 하우징(110)의 내부에 소정의 충진제를 충진하여 사후에 형성되는 충진성형부(140)와, 하우징(110)의 외측에 리드프레임(130)이 매입되도록 1차 및 2차에 걸쳐 형성되는 몰딩부(151a,151b,153a,153b)로 구성된다.
자기감지모듈(120)은, 자기장을 형성하는 영구자석(121)과, 영구자석(121)의 일측에 배치결합되는 자기감지소자(123)와, 영구자석(121)의 일측에 배치되고 자기감지소자(123)와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125)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영구자석(121)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일측이 면취된원봉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일측 단부에는 자기감지소자(123)가 결합되어 있다.
영구자석(121)의 외경면에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수용될 경우 후술할 회전억제리브와 상호 결합되어 회전이 방지될 수 있도록 외면으로부터 함몰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리브수용그루브(122)가 형성되어 있다. 자기감지소자(123)에는 영구자석(121)의 면취영역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복수의 리드선(1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리드선(124)은 인쇄회로기판(125)을 관통하여 결합되어 있다.
인쇄회로기판(125)은 복수의 회로부품(126)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자기감지소자(123)의 대향측에는 리드프레임(130)이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의 패드부(128)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10)은 내부에 소정의 충진공간을 두고 자기감지모듈(120) 및 리드프레임(130)의 결합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S)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 상부영역에는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된 연장부(113)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10)의 내경면에는 중앙으로 돌출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영구자석(121)에 형성된 리브수용그루브(122)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회전억제리브(115)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먼저 영구자석(121)(103)의 일측에 자기감지소자(123)(107)를 결합하고, 자기감지소자(123)의 리드선(124)이 인쇄회로기판(125)을 통과하도록 결합하여 자기감지모듈(120)을 형성한다. 인쇄회로기판(125)에 형성된 패드부(128)에 리드프레임(130)의 일단을 납땜 등의 방법으로 각각 결합되도록 한다.
자기감지모듈(120)과 리드프레임(130)의 결합이 완료되면, 하우징(110)의 내경면에 형성된 회전억제리브(115)가 영구자석(121)에 형성된 리브수용그루브(122)내에 수용되도록 한 상태에서 이들의 결합체를 하우징(110)의 수용공간(S)내에 삽입되도록 한다. 하우징(110)의 내부에 하우징(110)의 상부개구를 통해 에폭시수지 등으로 된 충진제를 충전시킨 다음, 가온하여 경화되도록 하여 충진성형부(140)가 형성되도록 한다.
리드프레임(130)의 둘레영역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몰딩부(151a,151b)가 각각 형성되도록 합성수지 등으로 1차몰딩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몰딩부(151a,151b)의 주변영역을 몰딩하여 제2몰딩부(153a,153b)가 형성되도록 하면 마그네틱 센서가 완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마그네틱 센서 및 그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영구자석(121)과, 자기감지소자(123) 및 인쇄회로기판(125)을 가지는 자기감지모듈(120)과, 자기감지모듈(120)에 리드프레임(130)을 결합하여 이들의 결합체를 하우징(110)의 내부에 수용결합되도록 한 상태에서, 충진제를 하우징(110)의 상부개구를 통해 충진공간내에 충진하도록 되어 있어, 하우징(110)의 수용공간(S)의 저부면영역과, 자기감지소자(123), 영구자석(121) 및 인쇄회로기판(125)영역에는 충진제의 점도 등에 기인하여 미충진영역이 쉽게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미충진영역에는 공기등이 기포의 형태로 잔존하게 되고, 외부온도의 변화에 기인하여 공기가 압축 및 팽창하게 됨에 따라 자기감지소자(123) 및/또는인쇄회로기판(125)의 회로부품(126) 등의 손상을 가져올 수도 있으며, 이들 자기감지소자(123) 및/또는 회로부품(126)의 특성치를 변화시켜 오작동 또는 작동불능 등 작동불량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충진제의 충진시 기포발생을 억제시켜 기포발생에 기인한 부품의 손상 및 작동불량을 억제시킬 수 있는 마그네틱 센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는 각각 종래의 마그네틱 센서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센서의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7의 영구자석결합체의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각각 도 7의 바디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12는 도 7의 인쇄회로기판의 결합전 상태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하우징 11 : 회전억제리브
20 : 자기감지모듈 21 : 영구자석
23 : 자기감지소자 25 : 인쇄회로기판
26a : 절취부 30 : 유로형성바디
31a : 유입로 31b : 유출로
32 : 충진제수용부 33 : 리드프레임
35 : 접속부 37 : 삽입구간부
38a : 평탄부 38b : 리브수용그루브
38c : 충진제안내부 40 : 충진성형부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저부에 수용되는 영구자석과, 상기 영구자석의 일측에 결합되는 자기감지소자와, 상기 하우징의 상하방향을 따라 상기 영구자석의 일측에 상단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자기감지소자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소정의 충진공간을 두고 수용되는 자기감지모듈과; 상기 하우징의 상하방향을 따라 내부에 소정의 충진제가 유입되는 유입로와 상기 충진공간으로부터의 충진제가 유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유출로를 가지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판면방향을 따라 상기 영구자석의 상측에 소정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부개구영역을 차단하도록 결합되는 유로형성바디와; 상기 유입로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충진공간내에 투입된 상기 충진제를 경화하여 형성되는 충진성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센서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내에 삽입되는 상기 유로형성바디의 상기 유입로측 단부에는 상기 영구자석의 상단에 접촉되도록 돌출되어 상기 영구자석과 상호 협조적으로 상기 충진제를 상기 하우징의 상하방향에 가로로 안내하는 충진제안내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충진제안내부에 대응하여 상기 충진제가 상기 하우징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사이의 공간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절취된 절취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유로형성바디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외부와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도록 하는 접속부재가 매입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영구자석과, 상기 영구자석의 일측에 결합되는 자기감지소자와, 상기 영구자석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자기감지소자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을 상호 결합하여 형성되는 자기감지모듈과, 내부에 상기 자기감지모듈이 소정의 충진제가 충진될 수 있도록 소정의 충진간격을 두고 수용될 수 있도록 상향개구된 통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하방향을 따라 내부에 상기 충진제가 유입되는 유입로와 상기 충진공간으로부터의 충진제가 유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유출로를 가지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판면방향을 따라 상기 영구자석의 상측에 소정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부개구영역을 차단하도록 결합되는 유로형성바디를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자기감지모듈과 상기 유로형성바디를 상호 결합하여 결합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결합체를 상기 하우징내에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유입로를 통해 상기 하우징과 상기 결합체의 사이공간에 상기 충진제를 충진시키켜 충진성형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센서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유로형성바디를 마련하는 단계는, 상기 하우징내에 삽입되는 상기 유로형성바디의 상기 유입로측 단부에 상기 영구자석의 상단에 접촉되도록 돌출되어 상기 영구자석과 상호 협조적으로 상기 충진제를 상기 하우징의 상하방향에 가로로 안내하는 충진제안내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충진성형부를 형성하는 단계전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상기 충진제안내부에 대응하여 상기 충진제가 상기 하우징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사이의 충진공간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절취된 절취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유로형성바디를 마련하는 단계는, 상기 유로형성바디의 내부에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외부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접속부재를 매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센서의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영구자석결합체의 사시도이며, 도 9 및 도 10은 각각 도 7의 바디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7의 인쇄회로기판의 결합전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마그네틱 센서는,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S)이 형성되도록 상향개구된 통형상의 하우징(10)과, 하우징(10)내에 충진제의 충진을 위한 충진공간을 두고 수용되는 자기감지모듈(20)과, 내부에 충진제의 유입로(31a) 및 유출로(31b)가 형성되어 있으며 적어도 일영역이 하우징(10)의 내부에 수용되며 하우징(10)의 상부개구영역을 차단하도록 결합되는 유로형성바디(30)와, 유입로(31a)를 통해 충진제를투입하여 충진공간과 유입로(31a) 및 유출로(31b)에 걸쳐 형성되는 충진성형부(40)를 가진다.
하우징(10)은 상향개구된 원통형상을 가지며 내경면에는 중앙영역을 향해 돌출되고 상하방향을 따라 소정 연장된 회전억제리브(11)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0)의 외경면의 상부영역에는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연장부(13)의 단부영역에는 취부를 위한 부시(15)가 결합되어 있다.
자기감지모듈(20)은, 자기장을 형성하기 위한 영구자석(21)과, 영구자석(21)의 일측에 결합되는 자기감지소자(23)와, 영구자석(21)의 일측에 배치되고 자기감지소자(23)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영구자석(21)은 `일측이 면취되어 거의 반원단면형상을 가지며, 면취영역에는 인쇄회로기판(25)의 폭에 대응하여 인쇄회로기판(25)의 일영역을 수용지지할 수 있도록 기판결합부(22a)가 소정 함몰형성되어 있다. 기판결합부(22a)의 대향측 외주면에는 표면으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함몰되어 하우징(10)의 내경면에 형성된 회전억제리브(11)를 수용하도록 결합됨으로써 회전유동을 억제시키는 리브수용그루브(22b)가 형성되어 있다. 기판결합부(22a)의 중앙영역에는 기판결합부(22a)로부터 폭방향으로 축소되고 반경방향을 따라 함몰된 캐리어수용부(22c)가 형성되어 있으며, 캐리어수용부(22c)에는 축선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캐리어(22d)가 수용결합되어 있다.
캐리어(22d)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 연부에는 영구자석(21)에 고정결합될수 있도록 결합제의 투입을 위한 투입홀(22e)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 단부영역에는 자기감지소자(23)를 수용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에 가로로 소자수용부(22f)가 형성되어 있다. 소자수용부(22f)에는 리드선(24)이 인쇄회로기판(25)측을 향하도록 자기감지소자(23)가 수용결합되어 있다.
한편, 유로형성바디(30)는 하우징(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충진공간내로 충진제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로(31a)와 충진공간으로부터의 충진제가 유출되는 유출로(31b)가 내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도록 합성수지 등을 사출성형하여 제작된다. 유로형성바디(30)의 내부에는 또한, 인쇄회로기판(25)에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인쇄회로기판(25)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인쇄회로기판(25)에 외부로부터의 신호가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L”형상의 복수의 리드프레임(33)이 매입되어 있다.
유로형성바디(30)는 리드프레임(33)의 형상에 대응하여 “L”형상을 가지며 일측에는 리드프레임(15)이 외부와 접속될 수 있도록 사각형상의 접속부(35)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거의 원봉형상을 가지고 하우징(10)의 충진공간내에 삽입되는 삽입구간부(37)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구간부(37)는 리드프레임(15)의 단부가 소정 길이 구간 노출되고 노출단부에 인쇄회로기판(25)의 패드부(26c)가 결합될 수 있게 반경방향을 따라 소정 면취된 평탄부(38a)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구간부(37)의 내부 일측 영역에는 삽입구간부(37)의 하우징(10)내에 결합시 외부로부터 하우징(10)의 내부로 충진제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로(3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영역에는 충진공간으로부터의 충진제가 유출되는 유출로(31b)가 유입로(31a)에 평행하게 이격형성되어 있다. 유입로(31a)는 비교적 작은 직경을 가지는 원형단면형상을 가지며, 유출로(31b)는 유입로(31a)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폭을 가지는 사각단면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삽입구간부(37)의 외경면에는 하우징(10)의 회동억제리브(11)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함몰된 리브수용그루브(38b)가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구간부(37)의 하단에는 유입로(31a)에 대응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영구자석(21)의 상단에 접촉되어 유입로(31a)를 통해 유입되는 충진제를 영구자석(21)과 상호 협조적으로 하우징(10)의 상하 길이방향에 가로로 안내하는 충진제안내부(38c)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구간부(37)의 연장측 유로형성바디(30)의 상단면에는 유출로(31b)를 통해 유출된 충진제가 수용될 수 있도록 유출로(31b)의 폭에 비해 확장된 폭을 가지는 충진제수용부(32)가 함몰형성되어 있다.
한편, 인쇄회로기판(25)에는 충진제안내부(38c)에 대응하여 인쇄회로기판(25)과 하우징(10)의 내경면사이영역으로 충진제가 유입될 수 있도록 절취된 절취부(26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일단에는 자기감지소자(23)의 리드선(24)이 통과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의 결합공(26b)가 판면을 관통하여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먼저 영구자석(21)에 수용결합된 캐리어(22d)에 리드선(24)이 기판결합부(22a)측으로 향하도록 자기감지소자(23)를 결합한다. 다음, 캐리어(22d)를 영구자석(21)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시켜 영구자석(21)에 대한 자기감지소자(23)의 위치를 설정하고, 캐리어(22d)의 투입홀(22e)에 결합제를 투입하여캐리어(22d)와 영구자석(21)을 상호 고정시킨다.
영구자석(21)의 기판결합부(22a)에 인쇄회로기판(25)이 수용결합되도록 하고, 인쇄회로기판(25)의 결합공(26b)를 통과하여 결합되어 있는 자기감지소자(23)의 리드선(24)을 납땜 등의 방법으로 인쇄회로기판(25)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인쇄회로기판(25)의 패드부(26c)에 해당 리드프레임(33)을 배치되도록 하면, 유로형성바디(30)의 하단에 형성된 충진제안내부(38c)는 영구자석(21)의 상단면에 접촉되고 유로형성바디(30)의 하단은 영구자석(21)의 상단으로부터 충진제안내부(38c)의 돌출길이(H)만큼 이격배치된다. 리드프레임(33)을 인쇄회로기판(25)의 해당 패드부(26c)에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결합한다.
영구자석(21) 및 유로형성바디(30)에 각각 형성된 리브수용그루브(22b,38b)내에 하우징(10)의 내경면에 형성된 회동억제리브(11)가 수용되도록 한 상태에서, 자기감지모듈(20) 및 유로형성바디(30)를 하우징(10)내에 수용결합한다. 결합이 완료되면 유로형성바디(30)에 형성된 유입로(31a)를 통해 에폭시 수지 등으로 된 충진제를 소정 압력으로 주입한다.
유입로(31a)를 따라 유입된 충진제는 유로형성바디(30)의 하단에 형성된 충진제안내부(38c) 및 영구자석(21)의 상단면을 따라 인쇄회로기판(25)의 절취부(26a)영역으로 유동하게 되고, 절취부(26a)를 통과한 충진제는 하우징(10)의 저부영역에 수용된 자기감지소자(23), 영구자석(21) 및 인쇄회로기판(25)의 저부영역에 충진된다.
유입로(31a)를 따라 계속해서 유입되는 충진제는 하우징(10)의 상하방향을 따라 충진되며, 이 때, 충진공간내의 공기는 상부영역에 형성된 유출로(31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충진수위가 영구자석(21)의 상단에 이르게 되면 충진제안내부(38c)에 의해 영구자석(21)의 상단으로부터 충진제안내부(38c)의 돌출길이(H)만큼 이격배치된 유로형성바디(30)의 하단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충진제는 인쇄회로기판(25)의 배면으로 유동하게 된다.
충진제는 유출로(31b)를 따라 상향유동하여 유로형성바디(30)의 상단에 형성된 충진제수용부(32)내에 수용된다. 충진제수위가 충진제수용부(32)의 상단에 도달하게 되면 충진제의 주입을 중지하고 유입로(31a), 충진공간, 유출로(31b) 및 충진제수용부(32)에 충진 또는 수용된 충진제를 가온하여 경화시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진제성형부(40)가 형성되고 마그네틱 센서가 완성된다.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유로형성바디의 내부에 리드프레임이 매입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접속부를 유로형성바디로부터 충분히 이격된 영역에 형성하고자 할 경우에는 리드프레임을 케이블로 대체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그럴 경우, 유로형성바디는 전술한 실시예의 유로형성바디에서 접속부를 제외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충진제의 유입로 및 유출로가 형성된 유로형성바디를 하우징의 내부에 소정 삽입하여 충진제의 유동로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충진시 기포가 발생되던 종래와는 달리, 기포의 발생을 억제시킬 수있어 기포발생에 기인한 자기감지소자 및 회로부품의 손상 및 작동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마그네틱 센서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의 내부에 유로형성바디가 소정 구간 삽입되므로 충진제의 소요량을 그만큼 저감시킬 수 있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6)

  1.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저부에 수용되는 영구자석과, 상기 영구자석의 일측에 결합되는 자기감지소자와, 상기 하우징의 상하방향을 따라 상기 영구자석의 일측에 상단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자기감지소자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소정의 충진공간을 두고 수용되는 자기감지모듈과; 상기 하우징의 상하방향을 따라 내부에 소정의 충진제가 유입되는 유입로와 상기 충진공간으로부터의 충진제가 유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유출로를 가지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판면방향을 따라 상기 영구자석의 상측에 소정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부개구영역을 차단하도록 결합되는 유로형성바디와; 상기 유입로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충진공간내에 투입된 상기 충진제를 경화하여 형성되는 충진성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내에 삽입되는 상기 유로형성바디의 상기 유입로측 단부에는 상기 영구자석의 상단에 접촉되도록 돌출되어 상기 영구자석과 상호 협조적으로 상기 충진제를 상기 하우징의 상하방향에 가로로 안내하는 충진제안내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충진제안내부에 대응하여 상기 충진제가 상기하우징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사이의 공간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절취된 절취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센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형성바디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외부와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도록 하는 접속부재가 매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센서.
  4. 영구자석과, 상기 영구자석의 일측에 결합되는 자기감지소자와, 상기 영구자석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자기감지소자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을 상호 결합하여 형성되는 자기감지모듈과, 내부에 상기 자기감지모듈이 소정의 충진제가 충진될 수 있도록 소정의 충진간격을 두고 수용될 수 있도록 상향개구된 통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하방향을 따라 내부에 상기 충진제가 유입되는 유입로와 상기 충진공간으로부터의 충진제가 유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유출로를 가지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판면방향을 따라 상기 영구자석의 상측에 소정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부개구영역을 차단하도록 결합되는 유로형성바디를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자기감지모듈과 상기 유로형성바디를 상호 결합하여 결합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결합체를 상기 하우징내에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유입로를 통해 상기 하우징과 상기 결합체의 사이공간에 상기 충진제를 충진시키켜 충진성형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센서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형성바디를 마련하는 단계는, 상기 하우징내에 삽입되는 상기 유로형성바디의 상기 유입로측 단부에 상기 영구자석의 상단에 접촉되도록 돌출되어 상기 영구자석과 상호 협조적으로 상기 충진제를 상기 하우징의 상하방향에 가로로 안내하는 충진제안내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충진성형부를 형성하는 단계전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상기 충진제안내부에 대응하여 상기 충진제가 상기 하우징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사이의 충진공간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절취된 절취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센서의 제조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형성바디를 마련하는 단계는, 상기 유로형성바디의 내부에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외부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접속부재를 매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센서의 제조방법.
KR1020000030039A 2000-06-01 2000-06-01 마그네틱 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0335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0039A KR100335988B1 (ko) 2000-06-01 2000-06-01 마그네틱 센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0039A KR100335988B1 (ko) 2000-06-01 2000-06-01 마그네틱 센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8965A KR20010108965A (ko) 2001-12-08
KR100335988B1 true KR100335988B1 (ko) 2002-05-10

Family

ID=45855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0039A KR100335988B1 (ko) 2000-06-01 2000-06-01 마그네틱 센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59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030B1 (ko) * 2006-11-23 2008-04-07 한국하니웰 주식회사 마그네틱 센서 구조 및 그것의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28649A1 (en) * 1994-04-15 1995-10-26 Philips Electronics N.V. A magnetic field sensor, an instrument comprising such a senso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a sensor
KR960018612A (ko) * 1994-11-04 1996-06-17 윌리암 티. 엘리스 자계 센서, 브리지 회로 자계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20000052199A (ko) * 1999-01-30 2000-08-16 권태웅 마그네틱 센서
KR20010037021A (ko) * 1999-10-13 2001-05-07 권태웅 마그네틱 센서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28649A1 (en) * 1994-04-15 1995-10-26 Philips Electronics N.V. A magnetic field sensor, an instrument comprising such a senso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a sensor
KR960018612A (ko) * 1994-11-04 1996-06-17 윌리암 티. 엘리스 자계 센서, 브리지 회로 자계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20000052199A (ko) * 1999-01-30 2000-08-16 권태웅 마그네틱 센서
KR20010037021A (ko) * 1999-10-13 2001-05-07 권태웅 마그네틱 센서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8965A (ko) 2001-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2905B1 (ko) 정전용량 스위치 모듈
US5518427A (en) Pin header
KR101740014B1 (ko) 압력센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152051B1 (ko)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슬리브 제조방법
US7221149B2 (en) Moving object detection device
US6639557B2 (en) Small antenna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30096017A (ko) 모터의 스테이터구조
KR100788128B1 (ko) 자동차용 스피드 센서 및 그 조립방법
US9474168B2 (en) Electronic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nic module
JP2004153018A (ja) 近接センサの封止方法
CN104713583A (zh) 电子设备
KR100335988B1 (ko) 마그네틱 센서 및 그 제조방법
JP5123710B2 (ja) 回転検出装置および回転検出装置の製造方法
CN110114940B (zh) 连接器
CN111051635B (zh) 具有封装的电子器件的机动交通工具门把手装置
KR100309457B1 (ko) 마그네틱 센서 및 그 제조방법
JP5146901B2 (ja) 回転検出装置
JP6498570B2 (ja) 電気システム、電気装置、および電気装置の製造方法
CN209745993U (zh) 传感器
KR20160124332A (ko) 자성코어 및 홀 센서 집적회로가 일체로 모듈화된 전류 센서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 배터리용 전류 센서 박스
KR101864433B1 (ko) 회전체 검출 센서 구조물
KR100828645B1 (ko) 편평형 진동 모터
KR100843356B1 (ko) 인서트 사출 성형용 접속단자
KR101762429B1 (ko) 압력센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127745B1 (ko) 차량용 도어 방수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