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5646B1 - 레일형이송시스템 - Google Patents
레일형이송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35646B1 KR100335646B1 KR1019960702334A KR19960702334A KR100335646B1 KR 100335646 B1 KR100335646 B1 KR 100335646B1 KR 1019960702334 A KR1019960702334 A KR 1019960702334A KR 19960702334 A KR19960702334 A KR 19960702334A KR 100335646 B1 KR100335646 B1 KR 1003356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rail
- rail section
- point
- load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3/00—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to special systems or purposes
- B61C13/04—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to special systems or purposes for elevated railways with rigid 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 Chain Conveyers (AREA)
- Handcart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레일형 이송 시스템은 스테이숀들 사이에서 순환하는 자기 추진식 콘테이너 트럭을 포함한다. 콘테이너 트럭은 해정가능한 짐부리기 수단(46,48,50)을 포함하고 있다. 수취소로 구성된 스테이숀에는 적어도 하나의 정지지점이 장비되어 있고 이송된 재료를 수취하기 위한 수취수단(26)이 있다. 각 정지지점은 콘테이너 트럭의 길이에 상당하는 레일 섹숀(30)을 포함하며, 그 레일섹숀(30)은 콘테이너 트럭의 궤도 바퀴둘레로 C자 형상으로 측방에서 맞무는 레일부분을 갖고 있다. 레일섹숀(30)은 한 종방향 측부에서 콘테이너 트럭을 짐부리기 하기 위해 피벗측(32)주위로 선회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짐부리기쪽으로 피벗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특허 청구의 범위 제 1 항의 전제 부에 의한 레일형(레일이 설치된)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레일형 이송 시스템은 예컨대 스위스 특허 제 496 603호로부터 오랫동안 알려져 왔다. 이 이송 시스템은 발송 소와 수취 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발송 소에서는 종점 코드를 제공하여 이송 트럭에 짐싣기(적재)하여 발송시킨다. 수취 소에서는 이송 트럭을 다시 수동으로 짐부리기 하고, 그런 다음 다시 짐싣기하거나 또는 빈 채로 수집 소로 보낸다. 그리하여 조작 자는 항상 짐싣기 및 짐부리기를 위해 필요하며 그런 사람을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이송 트럭은 발송 또는 수취 소에서 대기해야 하고 그래서 다른 필요에 이용될 수 없다. 그러나, 대기하는 이송 트럭들은 선점되어 있음을 보여주어 다른 이송 트럭의 진입을 저지하고 그리하여 발송 소 또는 수취 소를 폐색하고 만다.
독일 특허 제 24 47 294호로부터 서류용의 유사한 이송 시스템이 알려져 있는데, 이 시스템은 스테이숀(발송 소 또는 수취 소)의 상부에 물건을 이송 트럭 내에 배치시킬 적재 수단을 설치해 둠으로써 상기한 결점을 극복하고 있다. 짐부리기를 위해, 이송 트럭의 콘테이너에는 바닥이 설치된 플랩이 장비 되어 있어, 이 플랩을 개방함으로써 물건을 스테이숀에 제공된 수납용기내에 투입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의 결점은, 바닥설치플랩이 방해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 콘테이너는 이송 트럭의 구동 기구의 상부가 아니라 일 측면에 설치되어야 하는 점이다. 이 때문에 구조가 복잡해지고, 결국 용기를 섀시위의 일 측면에 배치함으로 인해 비대칭적, 따라서 바람직하지 않은 힘분포를 초래하게 되고, 트럭의 궤간 폭은 넓어야 한다 (즉, 와이드 게이지 트럭으로 된다.)
본발명의 목적은 위에 약술한 결점을 방지하기 위해 전술한 종류의 레일형 이송 시스템을 개량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본발명에 따라 특허청구의 범위 제 1 항의 특징부에 의해 달성된다.
레일섹숀(레일부분), 따라서 그위에 위치된 콘테이너 트럭을 피벗시킴으로써, 이 트럭은 경사 위치를 갖게 되고, 이로 인해 트럭의 하물이 배출될 수 있다. 그결과로, 콘테이너 트럭은 통상적 방식으로 트럭위에 바로 설치될 수 있고 그럼으로써 균일한 힘분포를 보장하는 공지의 대칭구조가 얻어진다. 그럼으로써 구조는 간단해진다. 상세하게는, 이에 의해 좁은 구조가 될 수 있고 따라서 궤도(트랙)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로 유지할 수 있다.
이송 시스템의 유리한 구체예가 특허 청구의 범위 제 2 항 내지 14 항에 기재되어 있다.
피벗 동작을 개시시키기 위해서는 수많은 방법이 있을 수 있으며, 그중 제 2 항은 트럭 자체의 구동장치에 의해 즉 추가의 구동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피벗을 개시시킬 수 있는 특히 간단한 해답을 기재하고 있다. 제 3 항은 레일섹숀을 피벗시키는 다른 가능한 방법을 기재하고 있는 한편, 제 4 항에 의하면 스테이숀에는 추가의 전기 구동 모터가 장착될 수 있다. 특히 간단한 해법은 제 5 항에 기재되어 있는데, 그것에 의하면 이동중에 있는 콘테이너 트럭이 피벗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다.
레일 섹숀을 인상시키기에 또는 퍼벗시키기에 필요한 승강부재는 또한 여러 형태를 취할 수 있는 것으로, 예컨대, 제 6 항에서처럼 캠 형태일 수 있고, 제 7 항에 따라 랙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고 제 8 항에 있어 피벗 레버의 형태일 수도 있다.
콘테이너 트럭의 짐부리기 수단은 아주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는 것으로, 예컨대 이 수단은 제 9 항에 따라 외방으로 선회 될 수 있는 측벽부분의 형태 또는 제 10 항에 따라 외방으로 선회될 수 있는 콘테이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는데, 이들 내방 및 외방 선회 운동은 수취소의 정지지점(정지장소)에서 레일섹숀을 위로 피벗시킴으로써 행해진다.
발송 및 /또는 수취소는 예컨대 제 12 항 내지 14항에 기재된 것과 같이 공지의 방식으로 대단히 많은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발송 및 / 또는 수취소에서 그리고 콘테이너 트럭에서 짐싣기 및 짐부리기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순수한 기계식 절환부재(스위칭 부재)로부터 전기 광학식 절환수단까지 그리고 다시 트럭의 소프트웨어 제어에 이르기까지 다수의 상이한 구조가 있다. 그런 절환수단은 공지 종류의 현존 레일형 이송 시스템에 다수 존재하며 현 발명의 목적을 위해 바로 채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요지를 예시하는 구체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하겠다.
제 1 도는, 단순 가역 진입소의 형태로된, 짐싣기 및 짐부리기를 위한 발송 및 수취소의 도해도를 보여주며;
제 2 도는 레일 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본, 제 1 도의 발송/수취소에 있는 콘테이너 트럭을 나타내며;
제 3 도는 짐부리기쪽에서 본 제 1 도에 있어 스테이숀의 정지지점(정지장소)을 나타내며;
제 4 도는 제 1 도에 있는 스테이숀의 정지지점의 평면도이며;
제 5 도는 제 1 도에 있는 스테이숀의 정지지점의 단면도이며;
제 6 도는 제 5 도와 유사하게 바라본 변형된 구동장치를 가진 정지지점을 보여주며;
제 7 도는 짐부리기쪽으로부터 먼쪽의 종방향측 위로 본 절환수단을 구비한 정지지점을 보여주며;
제 8 도는 제 7 도의 VIII-VIII선을 따른 정지지점의 단면도이며;
제 9 도는 짐부리기쪽으로부터 먼쪽의 종방향측을 따라 본 다른 정지지점의 부분 단면도이며;
제 10 도는 짐부리기쪽위로 본 제 9 도의 정지지점을 보여주며;
제 11 도는 XI-XI선을 따른 제 9 도의 정지지점의 단면도이며;
제 12 도는 레일섹숀이 상방으로 경사된 상태에서, 제 11 도의 정지지점을 보여주며;
제 13 도는 짐부리기쪽을 따라 본 다른 정지지점의 단면도이며;
제 14 도는 XIV-XIV선을 따른 제 13 도의 정지지점의 단면도이며;
제 15 도는 짐부리기쪽으로부터 먼쪽에서 본 다른 정지지점을 보여주며;
제 16 도는 레일섹숀이 상방으로 경사된 상태에 있어, XVI-XVI선을 따른 제 15 도의 정지지점을 보여주며;
제 17 도는 주행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본, 외방으로 선회될 수 있는 콘테이너를 구비한 다른 콘테이너트럭을 나타내며;
제 18 도는 이송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본, 짐싣기 및 짐부리기를 위한 절첩벽부분을 가진 다른 이송 트럭을 보여주며;
제 19 도 내지 제 22 도는 개방될 수 있는 콘테이너의 부분을 고정하기 위한 상이한 쇄정장치를 나타내며;
제 23 도는 쇄정동작을 보조하기 위해 콘테이너의 주행로에 배치될 가압로울러를 나타내며; 및
제 24 도는 통과소로서 구성된 수취소의 도해도이다.
제 1 도는 스위스 특허 제 496 603 호에 따른 가역진입소로 구성된 스테이숀(S)을 나타내는데, 그의 레일 궤도(2)는 절환 지점(4)을 경유하여 수직 궤도(6,8)에 연결되어 있다. 그위에, 다른 레일 섹숀(10)이, 절환 지점(4)의 다른쪽에 있는 궤도(2)와 연결되어 저류구역 역할을 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실시예에서는, 스테이숀(S)은 콘테이너트럭(B)을 위한 하나의 정지지점(H)을 갖고 있으며 짐싣기와 짐부리기의 두가지를 하기 위한 것이다. 스테이숀은 두 개 또는 그이상의정지지점을 가질 수도 있다. 스테이숀은 송출수단(12)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수단은 하방으로 개방될 수 있는 바닥(16)을 가진 송출매가진(14)을 포함한다. 송출수단은 콘테이너 트럭(B)의 개방가능한 뚜껑(18)에 마주하여 위치되어 있다. 뚜껑은 종방향으로 섹숀으로 구성되어 있고, 뚜껑섹숀(20,22)은 제 2 도에 예시된 것처럼 내방으로 피벗될 수 있고 스프링(표시안됨)에 의해 스토퍼(24)에 대하여 폐쇄위치로 편의 되어 있다.
그러나, 이 스테이숀은 수취소로도 또한 구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것처럼 송출수단(12)의 하부 또는 송출수단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는 대응 수취수단(26)을 포함하고 있다. 이들 수취수단은 포집바스켓(28)을 포함하며, 이 바스켓에는 충만수준을 표시하기 위해 충만표시기(상세히는 표시안됨) 예컨대 광원이 설치될 수 있다. 더욱이, 수취 수단(26)은, 짐부리기쪽의 피벗축(32)주위로 피벗가능하게 장착된 레일섹숀(30)을 구비하고 있다. 레일섹숀(30)은 공지의 방식으로 2개의 통전 레일(34,36)을 구비하고, 또한 콘테이너트럭(B)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레일(38)을 갖고 있다. 이 제어레일(38)은 동시에 정지지점(H)을 위한 구동장치(40)를 제어하는 역할도 하며, 구동장치의 모터(41)는 기어를 통하여 레일섹숀(30)을 상방으로(위로) 선회시키는 역할을 하는 승강부재(42)에 연결되어 있다. 표시된 실시예에서는, 승강부재는 레일섹숀(30)의 하면(44)과 협동하는 제어캠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외방으로 선회된 위치에서, 콘테이너 트럭은 절환부재(예컨대 제 7 도의 절환 부재(82)와 유사한것)와 협동하여 그 절환부재는 쇄정기구(V)를 해제하며, 쇄정기구는 다시 힌지(50)에 의해 콘테이너(48)의 상부에 힌지 연결된 피벗가능한측벽(46)을 해방한다. 일단 측벽(46)이 개방되면, 이송되는 물질은 콘테이너(48)로부터 미끄러져나와 포집 바스켓(28)내에 투입된다. 배출동작은, 짐부리기쪽으로 하방 경사져 있는 콘테이너의 바닥(52)에 의해 촉진된다. 콘테이너(48)가 모두 비워지면, 레일부분(30)을 원래의 위치로 다시 선회시키기 위해 수단(상세히 표시안됨)에 의해 구동장치(40)를 스위치 온 한다. 그와 동시에 측벽(46)은 쇄정기구(V)에 의해 폐쇄, 쇄정된다. 콘테이너는 이제 다른 작업을 할 준비가 되었으며, 예컨대 송출수단으로부터 새로운 물질을 받아들일 수도 있고, 또는 종점코드가 상세히는 도시되지 않은 방식으로 자동적으로 수집소로 절환되어, 콘테이너 트럭(B)은 자동으로 스테이숀을 떠나 수집소로 진행해 갈 수도 있다.
제 3 도 내지 5도는 다시 제 1 및 제 2 도에 있어 스테이숀(S)의 정지지점(H)의 상세를 보여준다. 볼트(54)에 의해 형성된 피벗축(32)을 볼 수 있다. 볼트(54)는 섀시(56)에 고정되어 있고, 철제 앵글(60)에 있는 구멍(58)내에 맞물려 있으며, 철제앵글(60)에는 레일섹숀(30)이 고정되어 있다. 제 3 도 내지 5 도는, 캠으로 형성된 승강부재(42)와 함께 섀시(56)에 부착된 구동장치(40)를 역시 보여주는데, 승강장치는 레일섹숀(30)의 하면(44)과 협동작용한다.
제 6 도는 섀시(56)에 고정된 구동장치(62)의 다른 구체예를 보여준다. 이 구동장치는 승강부재(68)에 연결된 전동장치(66)를 가진 모터(64)를 포함하고 있으며 승강장치는 진동레버의 형태로 되어 있고 레일섹숀(30)의 하면(44)과 공동작용한다.
제 7 도 및 8도는 스테이숀(S1)의 정지지점(H1)의 다른 구체예 그리고 특히피벗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보여준다. 섀시(56)에 연결된 구동장치(70)는 모터(72)를 포함하고 모터는 전동장치(74)를 경유하여 역시 캠으로 구성된 승강부재(76)에 결합되어 있다. 캠 대신에, 구동장치는 레일섹숀(30)의 하면과 협동할 랙과 공동작용하는 피니언 기어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피벗축(32)으로부터 먼쪽의 레일 섹숀(30)에는 앵글 이형재(78)가 고정되어 있는데, 이 이형재는 그 자유단에서 접촉부재(교대)를 형성하고 이 접촉부재는 레일섹숀의 피벗동작을 제한한다. 외방 선회위치에서, 접촉부재(80)는 절환부재(82)와 상호작용하며 그리하여 접촉부재는 쇄정기구를 해정하여 콘테이너 트럭의 콘테이너가 완전히 빌때까지 일시적으로 구동장치(70)를 중지시킨다. 그런 뒤 구동장치(70)는 다시 스위치 온 되며 그리하여 레일섹숀(30)은 앵글 이형재(78)와 섀시(56)사이에 배치된 인장 스프링(84)의 힘을 받아 그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이때에, 레일 섹숀(30)은 절환수단(86)과 공동작용하여 절환수단은 구동장치(70)를 스위치 오프하며 이미 상술한 다른 기능을 개시한다.
제 9 도 내지 12 도는, 콘테이너 트럭(B1)이 고정지점(88)까지 주행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종말소로서 구성된 스테이숀(S2)의 다른 정지지점(H2)을 나타낸다. 이렇게 함으로써, 콘테이너 트럭(B1)의 구동장치(90)는 레일섹숀(30)을 피벗축(32)주위로 피벗동작시키기 위한 승강부재(92)의 구동장치(91)로서의 역할로 동시에 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구동장치(90)에 연결되어 있고 궤도의 어떤 섹숀(부분)에 있어 레일위의 랙과 협동하는 톱니바퀴(96)는 정지지점(H2)에서 승강부재(92)에 결합된 톱니바퀴(98)와 맞물린다. 이제 콘테이너 트럭(B1)이정지지점(H2)에 진입하면, 트럭은, 톱니바퀴(96)와 (98)이 맞물도록 배치된 접촉부재(88)에 궤도 바퀴(100)를 접촉되게 한다. 구동장치(90)를 스위치 온 하면, 톱니바퀴(96)는 레일섹숀(30)의 톱니바퀴(98)를 기동시키며, 레일섹숀(30)이 외방선회되고 접촉부재(80)가 제어부재(82)와 접촉할때까지 승강부재(92)를 피벗시킨다. 제어부재(82)는 추가적으로 구동장치(90)를 중지시키고 상기한 기능들도 개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구동장치(90)의 회전방향을 역전시킴으로써, 승강장치(92)는 원래의 위치로 선회복귀될 수 있고, 따라서 레일섹숀(30)은 원래의 위치를 회복하고 그 위치에서 제어부재(86)가 기동되어 상기한 기능들을 개시할 수 있다.
제 13 도 및 14도는, 콘테이너 트럭(B1)의 구동장치(90)의 톱니바퀴(96)가 톱니바퀴(98)와 상호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안내로울러(106)위로 안내되고 승강부재(110)에 연결된 톱니바퀴(108)와 협동하는 톱니벨트(104)와 상호작용 것을 제외하고는, 제 9 도 내지 12도에 있는 스테이숀(S2)의 정지지점(H2)의 구동장치(91)와 유사하게 구성된 정지지점(H3) 및 스테이숀(S3)의 구동장치(102)의 다른 구체예를 보여준다. 승강부재(110)는 다시 캠으로 구성되어 있고 섀시(56)의 지지판(112)과 공동작용한다.
제 15 도 및 제 16 도는 수취소(S4)에 있는 정지지점(H4)의 특히 간단한 다른 구체예를 보여준다. 레일섹숀(30)을 피벗시키기 위한 구동장치(114)는 피벗가능한 레일섹숀(30)위의 스핀들(118)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레버(116)를 포함하고 있다. 레버(116)는 그 상단에 아암(120)을 갖고 있고, 이 아암은 콘테이너 트럭(B)의 진행로 내로 돌출해 있으며 상기 트럭에 의해 작동된다. 레버는 앵글레버로 형성되어 있고 제 2 레버 승강부재(122)역할을하여 섀시(56)상의 지지판(124)과 협동한다. 제 15 도에서 볼 수 있는바와 같이, 레버(116)는 들어오는 콘테이너 트럭(B)에 의해 경도되며, 그럼으로써 제 16 도에 도시된 것처럼 승강부재(122)가 레일섹숀(30)을 피벗시킨다. 짐부리기 작업이 완료된 후, 콘테이너 트럭의 이동방향을 역전함으로써 레버(116)는 그 본래 위치로 복귀하여 레일섹숀(30)을 다시 선회시킬 수 있다.
제 17 도는 콘테이너(126)를 가진 다른 콘테이너 트럭(B)을 보여주는데, 이 콘테이너(126)는 짐부리기쪽으로부터 먼쪽 섀시의 상단에서 종축(128)주위로 피벗될 수 있게 섀시(130)에 부착되어 있다. 레일섹숀(상세히 표시안됨)이 수취소에서 상기한 방식으로 피벗되는 결과로, 콘테이너(126)는 제 17 도에 도시된 것처럼 짐부리기쪽으로 외방 선회한다. 이 선회동작 동안 또는 선회위치에 도달한 뒤, 바닥(132)은, 제 17 도의 파선으로 표시된 것처럼, 해방되어 외방으로 개방된다. 배출시킨 뒤에는, 콘테이너(126)의 복귀 선회에 의해 바닥(132)은 다시 폐쇄되고 쇄정된다. 바닥(132)은 섀시(130)에 맞서 위치해 있기 때문에, 일단 콘테이너(126)가 안쪽으로 복귀선회된 뒤에는, 잘못하여 개방되는 것이 또한 방지된다. 콘테이너(126)의 상단에는 뚜껑(134)이 설치되어 있어, 이 뚜껑을 발송소에서 해정하여 콘테이너에 짐싣기를 할 수 있다.
제 18 도는, 트럭의 콘테이너(136)가, 한 종방향측면을 따라 하부축(138)주위로 피벗될 수 있는 측벽(140)을 갖고 있는 다른 콘테이너 트럭(B3)을 보여주는 데, 그 측벽(140)은 그 양쪽에 측벽섹숀(142)을 갖고 있고 그 측벽섹숀은단벽(144)을 부분적으로 덮는다. 짐싣기때에는, 측벽(140)은 외방으로 경사되고(파선으로 표시된 것처럼) 그리하여 콘테이너에 짐싣기가 될 수 있도록 상부쪽에 측방개구(오프닝)를 형성한다. 더욱이, 바닥(146)이 측벽(140)에 고정되어 있고 측벽(140)이 폐쇄될 때는 짐부리기쪽으로 경사져 있다. 짐부리기쪽에서는, 측벽(148)이 상부축(150)주위로 피벗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단벽(144)과 상호작용하는 측벽부분(152)을 또한 갖고 있다. 짐부리기때에는, 측벽(148)은 스테이숀에 있는 레일섹숀이 피벗동작됨으로써 외방으로 선회되어(파선으로 표시되어 있음) 이송되어 온 물질의 배출을 위한 하향개구를 형성한다. 통상적인 쇄정수단이 주행하는 동안 측벽(140,148)을 폐쇄 위치에 유지시킨다.
제 19 도 내지 22 도는, 개방해야할 필요가 있는 콘테이너의 벽 및 뚜껑 부분을 위한 여러 쇄정기구(V1,V2,V3,V4)를 보여준다.
제 19 도의 쇄정 기구(V1)는 스핀들(156)주위로 피벗 가능하게 장착된 단순 외팔레버(158)의 형태로된 스냅삽입부재(154)를 보여주며, 이 레버는 스프링(160)에 의해 쇄정위치로 편의 되어 있다. 쇄정위치에서는, 레버(158)는 부착부재(162)를 거쳐 예컨대 전자석 형태의 작동기구(166)의 푸시로드(밀기막대)(164)에 접촉한다. 스냅삽입부재는 도입면(170)을 가진 후크(168)를 포함하고 있으며 피벗가능한 벽 부분(174)위에 배치된 후크(172)와 협동한다. 작동기구(166)에 의해, 스냅삽입부재(154)는 해방위치로 급히 이동되어 후크(172)를 해방하고 그리하여 벽 부분(174)을 해방시킨다.
제 20 도의 쇄정기구(V2)도 제 19 도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것으로, 스냅삽입부재(176)는 두팔레버로 되어 있고 후크(168)가 한 아암(178)위에 형성되어 있는 한편 다른 아암(180)에서는 스프링(160)이 결합되어 있다.
제 21 도는 또다른 쇄정기구(V3)를 보여주는데, 거기서는 캐치(피포집체)(184)가 작동기구(182) 예컨대 전자석에 의해 피벗 가능한 벽부분(186)에 고정되어 있다. 쇄정된 위치에서는, 캐치(184)가 수용부재(188)에 접촉하고 있는데, 수용 부재는 섀시(56)에 힌지 연결되어 있어 편의 스프링(바이어스 스프링)(190)의 영향으로 축(192)주위로 피벗될 수 있다. 캐치(184)와 수용부재(188)는 도입면(196 및 198)을 갖고 있어, 캐치(184)는 수용부재(188)에 자동으로 스냅결합될 수 있다.
제 22 도는 2개의 스냅삽입부재(200,202)를 가진 다른 쇄정기구(V4)를 보여주는데, 스냅삽입부재들은, 서로 다른쪽을 바라보는 래치(204,206)로, 서로 마주 바라보고 예컨대 피벗가능한 벽부분(212)상에 설치된 래치 요부(208,210)내에 맞물려 있다. 스냅삽입 부재들(200,202)은 앵글 레버로 형성되어 있고 앵글레버의 절곡부분(214)은 볼트(216)상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스냅삽입부재들은 각각 서로 마주보는 아암(218,220)을 갖고 있으며, 그 부재들은 볼트(222)에 의해 함께 힌지 연결되어 있고 한편 작동기구(224)가 이 볼트상에 작용한다. 편의 스프링(226)은 스냅삽입부재들(200,202)을 외방으로 편의시켜 래치(204,206)를 래치 요부(208,210)내에 확실히 맞물려 있게 한다. 자동 래칭을 보장하는 도입면들(228,230)이 래치(204,206)와 래치 요부(208,210)상에 형성되어 있다.
제 23 도는 스테이숀의 출구에 설치될 고정장치(232)를 표시하는데, 고정장치(232)는 스핀들(234)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포음로울러(발포체 로울러)(236)를 갖고 있다. 이 고정장치(232)는, 짐싣기와 짐부리기를 위해 외방으로 선회될 콘테이너의 부분과 협동할 수 있도록, 콘테이너 트럭용 궤도를 따라 설치된다. 포옴 로울러(236)는, 콘테이너 트럭이 통과할 때 피벗가능한 부분을 쇄정위치로 누를수 있도록 위치하여, 쇄정위치가 실제로 유지되도록 보장한다.
제 24 도는 통과소(S5)로 구성된 수취소를 나타내는데, 통과소는 절환 지점(4)을 지나 궤도(6,8)에 연결된 레일루프(238)를 갖고 있다. 스테이숀(통과소)은 하나 또는 그이상의 정지지점을 가질 수 있으며, 현재의 예에서는 4개의 정지지점(H5,H6,H7,H8)이 있고 그 각각은 관련된 피벗가능한 레일 섹숀(30)과 포집바스켓(28)을 갖고 있다. 각각의 정지 지점은 종말소로 구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 3 도 내지 8 도에 도시된 구동장치가 피벗가능한 레일섹숀(30)을 구동하기 위해서는 바람직하다. 짐부리기후 콘테이너 트럭은 정지지점을 떠나고, 필요에 따라 절환 지점(4)이 계속 주행을 위해 절환될 때까지 레일 루프(238)의 상부분(240)에 저류될 수 있다. 그러나 레일섹숀(240)은 반대방향으로도 주행될 수 있어, 정지지점이 빌 때까지의 유입 콘테이너 트럭용 저류보급소 역할을 할 수도 있다. 통과소에는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방식으로 제 1 도의 스테이숀(H)과 유사하게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송출수단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들 송출수단은 정지 지점(H5,H6,H7,H8)의 상부에 또는 그 지점으로부터 어긋나게 배치된다. 그 때에는 상부 레일섹숀(240)에 임시 저류된 콘테이너 트럭은 먼저 짐싣기를 위해 송출수단에 이동되고 그런 뒤 망 내로 이송되거나 또는 외부로 호출된다.
발송 및/또는 수취소에서 또한 콘테이너 트럭위로의 짐싣기 및/또는 짐부리기 작업은, 가장 간단하 기계적 절환요소(스위칭 소자)로부터 전기적 절환요소 그리고 다시 완전자동화 프로그램 제어에 이르는 그 자체공지의 수많은 방법으로 제어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런 제어수단은 현재 토의중인 종류의 레일형 이송 시스템에 있어 다른 용도를 위해서는 주지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 바로 채용될 수 있다.
콘테이너 트럭은 발송 및/또는 수취소에서 자동적으로 짐싣기 및/또는 짐부리기 되기 때문에, 빈 이송트럭은 바로 이송 시스템내로 복귀될 수도 있고, 또는 수집지점에 보내어져 다음의 지시를 대기할 수도 있고, 또는 바로 다른 스테이숀에 보내어져 어떤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런 식으로 구성된 이송 시스템은, 이송트럭이 훨씬 신속히 자기의 작업을 끝내고 곧장 다음 일을 하는데 이용될 수 있기 때문에 훨씬 더 효율적이며, 따라서 공지의 이송 시스템과 동일한 용량을 달성할수 있으면서도 그 보다 작은 수의 콘테이너 트럭을 사용한다. 더욱이, 각각의 스테이숀은 더 이상 대기하는 콘테이너 트럭에 의해 폐색되지 않는데 이것은 시스템의 경제성 및 융통성이 현격히 향상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자동화에 의해, 특정 이송 시스템의 구조에 따라 여태까지 필요했던 콘테이너 트럭수의 최대 50%까지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참조번호목록
B 내지 B3 ‥ 콘테이너 트럭
H 내지 H8 ‥ 정지 지점
S 내지 S5 ‥ 스테이숀
V 내지 V4 ‥ 쇄정 기구
2 ‥‥‥‥‥ 레일 궤도
4 ‥‥‥‥‥ 절환지점
6 ‥‥‥‥‥ 수직궤도
8 ‥‥‥‥‥ 수직궤도
10 ‥‥‥‥ 레일섹숀, 저류영역
12 ‥‥‥‥ 송출수단
14 ‥‥‥‥ 송출 매가진
16 ‥‥‥‥ 바닥
18 ‥‥‥‥ 뚜껑
20 ‥‥‥‥ 뚜껑섹숀
22 ‥‥‥‥ 뚜껑섹숀
24 ‥‥‥‥ 스토퍼
26 ‥‥‥‥ 수취수단
28 ‥‥‥‥ 포집 바스켓
30 ‥‥‥‥ 레일 섹숀
32 ‥‥‥‥ 피벗 축
34 ‥‥‥‥ 송전 레일
36 ‥‥‥‥ 송전 레일
38 ‥‥‥‥ 제어 레일
40 ‥‥‥‥ 구동장치
41 ‥‥‥‥ 모터
42 ‥‥‥‥ 승강부재
44 ‥‥‥‥ 하면
46 ‥‥‥‥ 측벽
48 ‥‥‥‥ 콘테이너
50 ‥‥‥‥ 힌지
52 ‥‥‥‥ 바닥
54 ‥‥‥‥ 볼트
56 ‥‥‥‥ 섀시
58 ‥‥‥‥ 개구
60 ‥‥‥‥ 철제 앵글
62 ‥‥‥‥ 구동장치
64 ‥‥‥‥ 모터
66 ‥‥‥‥ 전동장치
68 ‥‥‥‥ 승강 부재
70 ‥‥‥‥ 구동장치
72 ‥‥‥‥ 모터
74 ‥‥‥‥ 전동장치
76 ‥‥‥‥ 승강부재
78 ‥‥‥‥ 앵글이형재
80 ‥‥‥‥ 접촉부재
82 ‥‥‥‥ 절환부재
84 ‥‥‥‥ 인장스프링
86 ‥‥‥‥ 절환부재
88 ‥‥‥‥ 접촉부재
90 ‥‥‥‥ 구동장치
91 ‥‥‥‥ 구동장치
92 ‥‥‥‥ 승강부재
94 ‥‥‥‥ 레일 섹숀
96 ‥‥‥‥ 톱니바퀴
98 ‥‥‥‥ 톱니바퀴
100 ‥‥‥ 궤도바퀴
102 ‥‥‥ 구동장치
104 ‥‥‥ 톱니 벨트
106 ‥‥‥ 안내 로울러
108 ‥‥‥‥ 톱니 바퀴
110 ‥‥‥‥ 승강부재
112 ‥‥‥‥ 지지판
114 ‥‥‥‥ 구동장치
116 ‥‥‥‥ 레버
118 ‥‥‥‥ 스핀들
120 ‥‥‥‥ 아암
122 ‥‥‥‥ 승강부재
124 ‥‥‥‥ 지지판
126 ‥‥‥‥ B의 콘테이너
128 ‥‥‥‥ 종축
130 ‥‥‥‥ 섀시
132 ‥‥‥‥ 바닥
138 ‥‥‥‥ 하부축
140 ‥‥‥‥ 측벽
142 ‥‥‥‥ 측벽부분
144 ‥‥‥‥ 단벽
146 ‥‥‥‥ 바닥
148 ‥‥‥‥ 측벽
150 ‥‥‥‥ 상부 축
152 ‥‥‥‥ 측벽 부분
154 ‥‥‥‥ 스냅삽입 부재
156 ‥‥‥‥ 축
158 ‥‥‥‥ 레버
160 ‥‥‥‥ 스프링
162 ‥‥‥‥ 부착부재
164 ‥‥‥‥ 푸시로드
166 ‥‥‥‥ 작동기구
168 ‥‥‥‥ 후크
170 ‥‥‥‥ 도입면
172 ‥‥‥‥ 후크
174 ‥‥‥‥ 벽부분
176 ‥‥‥‥ 스냅삽입부재
178 ‥‥‥‥ 아암
180 ‥‥‥‥ 아암
182 ‥‥‥‥ 작동기구
184 ‥‥‥‥ 캐치
186 ‥‥‥‥ 벽 부분
188 ‥‥‥‥ 수용부재
190 ‥‥‥‥ 스프링
192 ‥‥‥‥ 축
196 ‥‥‥‥ 도입면
198 ‥‥‥‥ 도입면
200 ‥‥‥‥ 스냅삽입 부재
202 ‥‥‥‥ 스냅삽입 부재
204 ‥‥‥‥ 래치
206 ‥‥‥‥ 래치
208 ‥‥‥‥ 래치 요부
210 ‥‥‥‥ 래치 요부
212 ‥‥‥‥ 벽 부분
214 ‥‥‥‥ 절곡 부분
216 ‥‥‥‥ 볼트
218 ‥‥‥‥ 아암
220 ‥‥‥‥ 아암
222 ‥‥‥‥ 볼트
224 ‥‥‥‥ 작동기구
226 ‥‥‥‥ 스프링
228 ‥‥‥‥ 도입 면
230 ‥‥‥‥ 도입 면
232 ‥‥‥‥ 고정장치
234 ‥‥‥‥ 축
236 ‥‥‥‥ 포옴 로울러
238 ‥‥‥‥ 레일 루프
240 ‥‥‥‥ 레일 섹숀
Claims (14)
- 발송 및 수취소를 구비하고 또한 자기 추진형 콘테이너 트럭을 구비한 레일형 이송 시스템으로서, 콘테이너 트럭(B,B1,B2,B3)은 해정할 수 있는 짐싣기 수단(18,20,22,134,138,140) 및 짐부리기 수단(46,126,132,150,152)을 갖고 있고발송소(S1) 및 수취소(S1,S2,S3,S4,S5)는 자동 짐싣기 및 짐부리기를 위한 송출수단(12) 및 수취수단(26)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정지 지점(H1,H2,H3,H4,H5,H6,H7,H8)을 갖고 있는 레일형 이송 시스템에 있어서,수취소(S 내지 S5)의 각 정지지점(H 내지 H8)은 콘테이너 트럭(B 내지 B3)의 길이에 실질적으로 상당하고 콘테이너 트럭의 궤도바퀴의 측면 주위로 C자 형상으로 맞무는 레일부분을 가진 레일섹숀(30)을 갖추고 있으며,짐부리기 수단이 수취수단(28)에 대해 개방될 수 있도록, 레일섹숀(30)은 한 종방향측부에서 피벗축(32)주위로 짐부리기 쪽으로 피벗동작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형 이송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수취소의 정지지점은 짐부리기를 위해 콘테이너 트럭에 의해 작동될 수 있고 레일섹숀(30)을 피벗시키기 위한 승강부재(42,68,76,92,110,122)을 갖춘 구동장치(40,62,70,91,102,114)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시스템.
- 제 2 항에 있어서, 콘테이너 트럭(B2)은, 일정한 길이에 걸쳐 레일의 랙과 협동하고, 수취소(S2,S3)의 정지 지점(H2,H3)에서 레일 섹숀(30)을 피벗시키는 승강부재(92,110)와 구동관계로 연결된 톱니바퀴(98) 또는 톱니벨트(104)와 상호 작용하는 구동 톱니바퀴(96)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시스템.
- 제 3 항에 있어서, 구동장치(40,62)는 고정식 전기모터(41,64)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시스템.
- 제 3 항에 있어서, 수취소의 정지지점은 콘테이너 트럭의 주행로내로 돌출하는 피벗가능한 작동 레버(116,120)를 갖고 있고, 상기 작동 레버는 레일 섹숀(30)을 피벗시키기 위한 승강 부재(122)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시스템.
- 제 2 항 내지 5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승강부재(42,68,76,92,110)는 섀시(56)와 피벗가능한 레일섹숀(30)사이에 배치된 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시스템.
- 제 2 항 내지 5 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승강부재(76)는 섀시(56)와 피벗가능한 레일섹숀(30)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시스템.
- 제 2 항 내지 5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승강부재(68,122)는 섀시(56)와 피벗가능한 레일 섹숀(30)사이에 배치된 피벗 레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콘테이너 트럭의 짐부리기 수단은, 종방향쪽으로 콘테이너(48,136)의 상부분에 피벗 가능하게 힌지 연결된 측벽부분(46,148)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측벽부분은 하단에서 짐부리기쪽으로 해정상태로 외방선회될 수 있는 한편 콘테이너(48,136)의 바닥(52,146)은 바람직하게 짐부리기쪽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콘테이너 트럭(B2)의 짐부리기수단은 상부 종방향 가장자리(128)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된 콘테이너(126)를 포함하며, 이 콘테이너는 짐부리기쪽으로 외방 선회될 수 있고 그의 바닥(132)은 외방으로 접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시스템.
- 제 2 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콘테이너 트럭(B1)은, 수취소(S2)에서의 짐부리기의 목적을 위해, 고정된 그리고 선택적으로는 수축될 수 있는 접촉부재(88)에 접촉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자동 짐싣기 및 짐부리기를 위한 복수개의 정지지점(H5,H6,H7,H8)을 가진 발송 및 수취소(S5)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가역 진입소(S)로 구성된 발송 및 수신소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레일 루프(238)를 가진 통과소(S5)로 구성된 발송 및 수신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루프의 하부분은 발송 및 수취소의 정지지점(H5,H6,H7,H8)을 포함하는 한편, 상부 레일섹숀(240)은 임시 저류되어야 할 콘테이너 트럭용 대기 지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H350793 | 1993-11-24 | ||
CH3507/93-0 | 1993-11-24 | ||
PCT/EP1994/003772 WO1995014599A1 (de) | 1993-11-24 | 1994-11-14 | Schienengebundene förderanlag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705708A KR960705708A (ko) | 1996-11-08 |
KR100335646B1 true KR100335646B1 (ko) | 2002-09-27 |
Family
ID=4257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60702334A KR100335646B1 (ko) | 1993-11-24 | 1994-11-14 | 레일형이송시스템 |
Country Status (11)
Country | Link |
---|---|
US (1) | US5735217A (ko) |
EP (1) | EP0729420B1 (ko) |
KR (1) | KR100335646B1 (ko) |
CN (1) | CN1065489C (ko) |
AT (1) | ATE157606T1 (ko) |
AU (1) | AU682234B2 (ko) |
DE (1) | DE59403991D1 (ko) |
ES (1) | ES2107293T3 (ko) |
MY (1) | MY111494A (ko) |
SG (1) | SG49593A1 (ko) |
WO (1) | WO199501459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309605C (zh) * | 2003-01-30 | 2007-04-11 | 沈湧 | 小型车辆的轨道交通系统 |
KR100805861B1 (ko) | 2005-09-07 | 2008-02-21 | 전봉균 | 모노레일을 이용한 무인 화물 운반장치 |
US7845285B2 (en) | 2005-11-23 | 2010-12-07 | Swisslog Telelift Gmbh | Rail for self-propelled electric trucks |
WO2007116538A1 (ja) * | 2006-03-31 | 2007-10-18 | S & S Engineering Corp. | 自走台車の水平搬送機構 |
CN103273052B (zh) * | 2012-12-20 | 2016-04-13 | 贵州航天乌江机电设备有限责任公司 | 一种悬挂式浇铸小车快速转移的装置 |
CN103264703A (zh) * | 2013-06-04 | 2013-08-28 | 张振宇 | 向限车轨系统 |
DE102017127329B4 (de) | 2017-11-20 | 2020-08-06 | Telelift Gmbh | Selbstfahrender Förderwagen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15554A (en) * | 1898-12-06 | William hogan | ||
US1426027A (en) * | 1922-08-15 | Assigwos to wood equipment | ||
US1301208A (en) * | 1916-09-23 | 1919-04-22 | Wood Equipment Company | Car hoisting and dumping apparatus. |
US1706985A (en) * | 1927-09-06 | 1929-03-26 | Ramsay Erskine | Roller support for rotary dumps |
CH273497A (de) * | 1949-02-19 | 1951-02-15 | Huebscher Hermann | Vorrichtung zum Transport von Gütern. |
US2826315A (en) * | 1955-07-21 | 1958-03-11 | Fujishige Hatsujiro | Tippler apparatus |
US2953408A (en) * | 1956-09-06 | 1960-09-20 | Emil H Koenig | Side and rear dumping body for trucks |
FR1279381A (fr) * | 1960-11-08 | 1961-12-22 | Frangeco | Wagon de marchandises ou berline à déchargement unilatéral |
CH496603A (de) * | 1965-03-29 | 1970-09-30 | Buero Patent Ag | Geleisegebundene automatische Förderanlage |
US3583334A (en) * | 1969-09-17 | 1971-06-08 | Pullman Inc | Hinged roof construction for open top railway cars |
DE2447294C3 (de) * | 1974-10-03 | 1978-06-22 | Ralfs Gmbh, 7346 Wiesensteig | Archivierungsanlage für Akten |
CN2033790U (zh) * | 1988-07-09 | 1989-03-08 | 周兰碧 | 铁路新型货车 |
CN2040490U (zh) * | 1988-09-21 | 1989-07-05 | 水电部郑州机械设计研究所 | 侧倾式翻车机 |
US4974520A (en) * | 1989-04-21 | 1990-12-04 | Jervis B. Webb Company | Conveyor with self-loading and unloading carriers |
DE69108902T2 (de) * | 1991-05-17 | 1995-09-28 | Fluidelec Sa | Vorrichtungen für den Transport von leichten Lasten auf selbstfahrenden schienengebundenen Laufwerken. |
US5488911A (en) * | 1994-11-10 | 1996-02-06 | Riggin; Loren E. | Compactable self-ejecting refuse car |
-
1994
- 1994-11-14 AU AU10647/95A patent/AU682234B2/en not_active Ceased
- 1994-11-14 US US08/633,755 patent/US5735217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4-11-14 WO PCT/EP1994/003772 patent/WO1995014599A1/de active IP Right Grant
- 1994-11-14 DE DE59403991T patent/DE59403991D1/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4-11-14 KR KR1019960702334A patent/KR10033564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4-11-14 ES ES95901377T patent/ES2107293T3/es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4-11-14 SG SG1996000489A patent/SG49593A1/en unknown
- 1994-11-14 EP EP95901377A patent/EP0729420B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4-11-14 AT AT95901377T patent/ATE157606T1/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4-11-14 CN CN94194268A patent/CN1065489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4-11-24 MY MYPI94003137A patent/MY111494A/en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65489C (zh) | 2001-05-09 |
ATE157606T1 (de) | 1997-09-15 |
AU682234B2 (en) | 1997-09-25 |
SG49593A1 (en) | 1998-06-15 |
KR960705708A (ko) | 1996-11-08 |
DE59403991D1 (de) | 1997-10-09 |
AU1064795A (en) | 1995-06-13 |
US5735217A (en) | 1998-04-07 |
WO1995014599A1 (de) | 1995-06-01 |
MY111494A (en) | 2000-06-30 |
EP0729420B1 (de) | 1997-09-03 |
ES2107293T3 (es) | 1997-11-16 |
CN1135738A (zh) | 1996-11-13 |
EP0729420A1 (de) | 1996-09-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1936400B (zh) | 卸载站和对装载有运输货物的运输货物容器进行卸载的方法 | |
US3695462A (en) | Baggage handling system | |
US3576265A (en) | Material collection system | |
KR100335646B1 (ko) | 레일형이송시스템 | |
US20190218033A1 (en) | Material Handling Apparatus Having Safety Mechanism for Storage Locations | |
US2823818A (en) | Bin and truck refuse disposal device | |
JP2001213525A (ja) | 搬送装置 | |
CN112793790B (zh) | 物流无人机的装卸输送平台 | |
US5015141A (en) | Freight transportation system | |
SU255878A1 (ru) | Линия погрузочно-разгрузочных работ в экспедициях и хранилищах хлебозаводов | |
JP2904728B2 (ja) | 排出装置付きコンテナ輸送車 | |
PL179635B1 (pl) | Urzadzenie skrzynkowe do sortowania tarcicy lub podobnego materialu PL | |
CN115338129A (zh) | 物流分拣设备和分拣方法 | |
CN210456117U (zh) | 一种自卸式货柜和包括该自卸式货柜的货柜系统 | |
JP3180892B2 (ja) | 物品収納装置 | |
SU982999A1 (ru) | Тележечный конвейер | |
JPH07137805A (ja) | 入出庫用搬送装置 | |
JPS60236932A (ja) |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の充填・荷役システム | |
SU1676958A1 (ru) | Накопительный конвейер штучных грузов | |
KR0132046B1 (ko) | 자동판매기 | |
CN115339828A (zh) | 运载系统及分拣方法 | |
CN115338128A (zh) | 分拣系统及分拣方法 | |
US2053922A (en) | Mine car | |
SU1671541A1 (ru) | Саморазгружающийс передвижной бункер | |
SU901211A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ерегрузки сыпучих грузов из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 бунке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0423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