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5337B1 - 동력공구 - Google Patents

동력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5337B1
KR100335337B1 KR1019990024397A KR19990024397A KR100335337B1 KR 100335337 B1 KR100335337 B1 KR 100335337B1 KR 1019990024397 A KR1019990024397 A KR 1019990024397A KR 19990024397 A KR19990024397 A KR 19990024397A KR 100335337 B1 KR100335337 B1 KR 100335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outer sleeve
tool
connecting means
power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4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6488A (ko
Inventor
죤케이 졍커스
Original Assignee
졍커스, 죤 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졍커스, 죤 케이 filed Critical 졍커스, 죤 케이
Publication of KR20000006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5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53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1/00Portable power-driven 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tools; Attachments for drilling apparatus serving the same purp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9/00Accessories
    • B25B29/02Bolt tensioners

Landscapes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 Gripping On Spindl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Grinding-Machine Dressing And Accessory Apparatuses (AREA)
  • Hand Tools For Fitting Together And Separating, Or Other Hand Tools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 Constituent Portions Of Griding Lathes, Driving, Sensing And Control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력공구에 관한 것으로, 축선을 가지고 상호반동하는 구동부분과 하우징부를 포함함으로서 동력공구의 작동중에 구동부는 어느 주어진 힘하에서 일측방향으로 회전하려는 경향을 가지는 반면에 하우징부는 동일한 주어진 힘하에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려는 경향을 가지며, 서로 나선으로 연결된 제 1 외측슬리이브와 제 2 내측슬리이브를 가진 슬리이브 부분과 축선의 둘레에서 내측슬리이브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는 마찰링을 가져서 외측슬리이브가 마찰링 상에서 회전할 때 내측슬리이브가 축방향으로 움직이고 내측슬리이브와 맞물리는 나선연결구를 축방향으로 옮겨주며, 구동부분을 외측슬리이브에 연결시켜주는 제 1 연결수단과 하우징부를 내측슬리이브에 연결하는 제 2 연결수단과 구동부를 하우징부에 연결하는 제 3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수단은 동력공구의 작동중에 내측슬리이브가 적어도 하나의 상호반동하는 공구부분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시켜준다.

Description

동력공구{POWER TOOL}
본 발명은 동력공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나선연결구를 신장시키거나 이완시키기 위한 유체작동형의 동력공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 언급된 일반적인 형태의 동력공구는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동력공구의 하나가 미국특허 제 5,499,558 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 특허 문헌에 기술된 동력공구는 구동부와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두 상호반동하는 공구부분을 갖는 공구수단과, 제 1 외측슬리이브, 상기 외측슬리이브와 나선으로 연결된 제 2 내측슬리이브와, 마찰링을 포함하는 슬리이브수단을 갖는다.공구부분은 슬리이브와 협동하여 외측슬리이브가 회전하고 그 결과로서 내측슬리이브가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내측슬리이브에 결합된 나선연결구가 신장되거나 이완되게 나선연결구를 이동시킨다.
상기 동력공구는 더욱 수정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동력공구를 수정한 상기 언급된 형태의 동력공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들 목적과 이후 명백하게 되는 다른 목적이 일치되게 본 발명의 한 특징은 요약컨데, 축선을 가지고 이 축선에 동축상이며 구동부분과 하우징부를 포함함으로서 작동중에 구동부는 어느 주어진 힘에서 일측방향으로 회전하려는 경향을 가지는 반면에 하우징부는 동일한 주어진 힘에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려는 경향을 가지는 두 상호작용부분, 서로 나선으로 연결된 제 1 외측슬리이브와 제 2 내측슬리이브를 포함하여 외측슬리이브가 축선의 둘레에서 내측슬리이브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는 슬리이브수단, 내측슬리이브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된 마찰링과, 구동부를 외측슬리이브에 연결하는 제 1 연결수단과 하우징부를 내측슬리이브에 연결하는 제 2 연결수단과 구동부를 하우징부에 연결하는 제 3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고, 연결수단이 작동중에 내측슬리이브가 적어도 하나의 상호반동하는 공구부분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형성되는 동력공구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특히 청구범위에서 한정된다.
그러나 본 발명 자체는 그 구조나 작동방법이 부가적인 목적 및 그 잇점과 함께 첨부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설명에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른 동력공구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동력공구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동력공구의 단면도.도 4는 도 1의 한 실시형태를 따른 동력공구의 분해사시도.도 5는 도 1의 한 실시형태에 따른 동력공구의 횡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동력공구는 도 1 ∼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호작용하는 두 부분 즉 구동부(2)와 하우징(3)을 포함하는 공구부분(1)을 갖는다. 구동부(2)는 예를 들어 유체작동형 실린더-피스턴 유니트로서 구성된 동력공구의 드라이브(D)에 연결된 구동판(4)과, 구동판(4) 내에 배치되고 잘 알려진 라쳇트-폴 기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라쳇트(5)를 포함한다.
구동판(4)의 회전에 응답하여 구동판상에 배치된 폴(도시하지 않았음)이 중심축선 0을 중심으로 하여 라쳇트(5)를 회전시킨다.
또한 구동부(2)는 한편으로는 외측면이 라쳇트(5)의 내면에 결합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소켓트(7)의 내면에 결합하는 링(6)을 포함한다.
상기 언급된 결합은 해당 면에 형성된 결합스플라인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반작용축(8)은 링(6)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이들 사이에 축선 0을 따라 축방향변위가 이루어지는 간극이 형성된다. 반작용축(8)은 서로 고정되도록 예를 들어 스크류(9)에 의하여 하우징(3)에 연결된다.
또한 동력공구는 슬리이브부분(10)을 갖는다. 이 슬리이브부분(10)은 내부나선이 구비된 외측슬리이브(11), 이 외측슬리이브(11)의 내부나선에 결합하는 외부나선이 구비된 내측슬리이브(12)와, 외측슬리이브(11)의 자유로운 접속을 위한상부면과 내측슬리이브(12)의 외측면의 일부와 결합하고 예를 들어 내측슬리이브(12)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내부면을 갖는 마찰링(13)을 갖는다.
소켓트(7)는 구동부(2)를 외측슬리이브(11)에 연결하는 제 1 연결수단을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소켓트(7)는 그 하측단에 외측슬리이브(11)의 상부면에 형성된 성곽구조의 톱니구조물과 결합되는 톱니구조물이 구비되어 있다. 반작용축(8) 특히 그 하측부는 하우징(3)을 내측슬리이브(12)에 연결하는 제 2 연결수단을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반작용축(8)의 하측단부는 내측슬리이브(12)의 상부톱니구조물에 결합하는 톱니구조물을 갖는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연결수단을 형성하는 소켓트(7)는 링(6)을 따라 축선 0의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반면에 제 2 연결수단을 형성하는 반작용축(8)은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다.
링(6)은 반작용축(8)과 함께 구동부(2)를 하우징(3)에 연결하는 제 3 연결수단을 형성한다.본 발명에 따른 동력공구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구동판(4)이 도 5에서 보는 드라이브(D)에 의하여 회전 될 때, 이것은 축선 0을 중심으로 하여 라쳇트(5)를 회전시키고, 라쳇트(5)는 링(6)과 소켓트(7)를 통하여 동일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외측슬리이브(11)를 회전시킨다. 외측슬리이브(11)의 회전에 응답하여, 나선에 의하여 외측슬리이브(11)와 연결된 내측슬리이브(12)가 축방향 상측으로 이동되어 반작용축(8)과 이에 연결된 하우징(3)이 역시 축방향으로 이동되며, 내측슬리이브(12)에 의하여 나선연결구가 조여지거나 풀어진다.도 2의 동력공구는 실질적으로 도 1의 실시형태의 동력공구와 같다.제 1 연결수단은 소켓트(7)로 형성되어 있다.그러나 도 2에서 보인 동력공구는 반작용축과 제 2 연결수단이 상이하게 구성된 점에서 상이하다. 반작용축(8')은 하우징(3)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대신에 예를 들어 반작용축(8')의 상측부와 하우징(3)의 상측부 사이의 스플라인연결에 의하여 하우징(3)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도 1의 실시형태와는 반대로 반작용축(8')의 하단부에 의하여 형성되며 하우징(3)을 내측슬리이브(12)에 연결시키는 제 2 연결수단은 특히 반작용축(8')의 하단부에 내측슬리이브(12)의 내측면에 형성된 스플라인과 결합되어 축방향으로 마련되어 있는 스플라인을 제공함으로서 축선 0 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도 2에서 보인 동력공구의 작동중에 외측슬리이브(11)가 제 1 연결수단을 형성하는 소켓트(7)을 통하여 구동부(2)에 의하여 회전될 때 내측슬리이브(12)는 축방향으로 이동하고 하우징(3)은 축방향으로 고정된 상태가 유지된다.도 3의 동력공구는 제 1 및 제 2 연결수단의 구성에서 상이한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의 동력공구와 동일하다.도 1의 실시형태에서 구동부(2)를 외측슬리이브(11)에 연결하는 제 1 연결수단을 형성하는 소켓트(7)가 축선 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에 반하여 도 3의 실시형태에서 구동부(2)를 외측슬리이브(11)에 연결하는 제 1 연결수단을 형성하는 소켓트(7')가 축선 0을 따라 이동할 수 없게 되어 있다.도 1의 실시형태에서 하우징(3)을 내측슬리이브(11)에 연결하는 제 2 연결수단을 형성하는 반작용축(8)은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으나, 도 3의 실시형태에서 반작용축(8')의 하측단부인 제 2 연결수단을 형성하는 반작용축(8')의 하측단부외면과 내측슬리이브(12)의 내면에 형성된 스플라인의 결합으로 축선 0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도 3에서 보인 동력공구의 작동중에 외측슬리이브(11)는 제 1 연결수단을 형성하는 소켓트(7')를 통하여 구동부(2)에 의해 회전되고 내측슬리이브(12)가 외측슬리이브(11), 마찰링(13)과 제 2 연결수단을 형성하는 반작용축(8')에 대하여 축방향 상측으로 이동된다. 동시에 하우징(3)은 반작용축(8')과 함께 축방향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상의 각 요소 또는 이들의 둘 이상이 상기 언급된 형태와 다른 형태의 구성에 유용하게 적용 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이 동력공구에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로써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구조적인 수정이나 변경이 가능하다.
달리 분석함이 없이 이상의 설명으로 본 발명의 요지는 충분히 밝혀졌다고 보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종래기술의 관점으로부터 본 발명의 주요특징을 구성하는 구조를 생략함이 없이 본 발명을 다른 분야에 용이하게 적용 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축선을 가지며 상기 축선과 동축상에 있는 두개의 상호작용하는 공구부분들을 포함하고 있는 하나의 공구부분과, 상기 상호작용하는 공구부분들은 주어진 힘에서 한방향으로 회전 할 수 있는 하나의 구동부분과 동일한 힘으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하나의 하우징부분을 포함하며, 나선에 의하여 내측슬리이브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축선 주위로 상기 내측슬리이브에 대하여 회전 할 수 있는 외측슬리이브와 내측슬리이브를 포함하고 있는 하나의 슬라이브부분과, 상기 내측슬리이브에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도록 연결되어 있는 마찰링과, 상기 외측슬리이브는 상기 마찰링 상에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으므로 상기 외측슬리이브에 나선으로 연결된 내측슬리이브는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또 상기 내측슬리이브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는 하나의 나선연결구를 축방향으로 옮겨 놓으며, 상기 구동부분을 상기 외측슬리이브에 연결시켜주며 상기 구동부분으로부터 상기 외측슬리이브로 주어진 힘을 전달하는 하나의 제 1 연결수단과 상기 하우징부분을 내측슬리이브에 연결시켜주며 하우징부분으로부터 내측슬리이브 쪽으로 상호작용하는 공구부분들의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내측슬리이브의 축방향의 옮김을 마련해주는 제 2 연결수단과, 슬리이브부분의 외측슬리이브와 공구부분의 작동부분에서 떨어져 있는 링형부재와, 상기 링형부재는 상기 공구부분의 작동부분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공구부분의 작동부분으로 부터 상기 제 1 연결수단 쪽으로 다음에 상기 슬리이브부분의 외측슬리이브 쪽으로 구동력을 전달 할 수 있게끔 상기 제 1 연결수단과 연결되어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이 동력공구의 작동중에 상기 외측슬리이브만이 회전하는 반면에 상기 내측슬리이브와 상기 하우징이 상기 외측슬리이브와 상기 마찰링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이 동력공구의 작동중에 상기 외측슬리이브만이 회전하는 반면에 상기 내측슬리이브가 상기 외측슬리이브와 상기 마찰링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하우징이 축방향으로 정지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이 동력공구의 작동중에 상기 외측슬리이브만이 회전하는 반면에 상기 내측슬리이브가 상기 외측슬리이브, 상기 마찰링과 상기 연결수단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하우징이 축방향으로 정지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공구.
KR1019990024397A 1998-06-29 1999-06-25 동력공구 KR1003353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106,591 US6230589B1 (en) 1998-06-29 1998-06-29 Power tool
US09/106,591 1998-06-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488A KR20000006488A (ko) 2000-01-25
KR100335337B1 true KR100335337B1 (ko) 2002-05-06

Family

ID=22312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4397A KR100335337B1 (ko) 1998-06-29 1999-06-25 동력공구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6230589B1 (ko)
EP (1) EP0968796B1 (ko)
JP (1) JP3437796B2 (ko)
KR (1) KR100335337B1 (ko)
CN (1) CN1127399C (ko)
AT (1) ATE267071T1 (ko)
AU (1) AU729131B2 (ko)
BR (1) BR9903073A (ko)
DE (1) DE69917379T2 (ko)
DK (1) DK0968796T3 (ko)
ES (1) ES2221306T3 (ko)
HK (1) HK1021344A1 (ko)
PT (1) PT968796E (ko)
SI (1) SI0968796T1 (ko)
TW (1) TW409089B (ko)
ZA (1) ZA99392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10571B1 (en) * 2003-07-23 2004-11-02 John K. Junkers Method of tightening and loosening an object
US6997083B1 (en) * 2003-08-01 2006-02-14 Battaglia Electric, Inc. Motorized conduit linking device and method
AU2004203297A1 (en) 2003-08-12 2005-03-03 John Kurt Junkers Socket for tightening, loosening or holding a hexagonal part underneath an equally sized hexagonal nut
US20050034568A1 (en) * 2003-08-12 2005-02-17 Junkers John K. Socket for tightening or loosening threaded connectors
ES2334081B2 (es) * 2006-04-28 2011-12-12 Unex Corporation Intensificador de par de torsion motorizado.
EP2988908B1 (en) 2013-04-24 2020-06-10 Hytorc Division Unex Corporation Apparatus for tightening threaded fasteners
AP2016009275A0 (ko) 2013-12-17 2016-06-30 Hytorc Division Unex Corp
CN104723276B (zh) * 2015-03-17 2016-06-08 中国科学院上海光学精密机械研究所 一种特制双螺纹连接器
CN107708933A (zh) 2016-03-02 2018-02-16 凯特克分部尤尼克斯公司 具有摩擦系数增大处理结构的螺纹紧固件
ES2928181T3 (es) 2017-03-02 2022-11-16 Hytorc Division Unex Corp Sujetador roscado con tratamientos de aumento del coeficiente de fricción
DE102018107657A1 (de) * 2018-03-29 2019-10-02 Frank Hohmann Vorrichtung zum Anziehen von Schraubverbindungen
BR112021008510A2 (pt) 2018-11-01 2021-08-03 HYTORC Division Unex Corporation arruela de reação anti-afrouxamento
US11396902B2 (en) 2019-06-20 2022-07-26 The Reaction Washer Company, Llc Engaging washers
US11534894B2 (en) 2020-11-17 2022-12-27 The Reaction Washer Company Llc Socket devices and methods of us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7456A (en) * 1974-12-17 1977-09-13 Kraftwerk Union Aktiengesellschaft Motor-driven screwing and transporting tool for reactor pressure vessel head retaining fastenings
DE2638688C2 (de) * 1976-08-26 1978-07-20 Kraftwerk Union Ag, 4330 Muelheim Vorrichtung zum Auffädeln und gleichzeitigen Drehen der Muttern mehrerer Schraubenbolzen
US5499558A (en) * 1992-05-07 1996-03-19 Junkers; John K. Fluid operated tool for elongating and relaxing a threaded connector
US5318397A (en) * 1992-05-07 1994-06-07 Junkers John K Mechanical tensioner
US5539970A (en) * 1994-10-21 1996-07-30 Junkers John K Method of and device for elongating and relaxing a stud
KR100230526B1 (ko) 1994-10-21 1999-11-15 죤 케이 졍커스. 스터드의 신장 및 이완방법과 장치
US5622465A (en) * 1996-04-26 1997-04-22 Junkers; J. K. Lock nu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993922B (en) 2000-01-10
ATE267071T1 (de) 2004-06-15
KR20000006488A (ko) 2000-01-25
SI0968796T1 (en) 2004-10-31
EP0968796B1 (en) 2004-05-19
CN1127399C (zh) 2003-11-12
DE69917379D1 (de) 2004-06-24
JP3437796B2 (ja) 2003-08-18
PT968796E (pt) 2004-09-30
JP2000042941A (ja) 2000-02-15
AU729131B2 (en) 2001-01-25
ES2221306T3 (es) 2004-12-16
CN1247789A (zh) 2000-03-22
DE69917379T2 (de) 2005-06-02
BR9903073A (pt) 2000-02-15
DK0968796T3 (da) 2004-09-27
AU3579199A (en) 2000-03-09
TW409089B (en) 2000-10-21
EP0968796A2 (en) 2000-01-05
HK1021344A1 (en) 2000-06-09
US6230589B1 (en) 2001-05-15
EP0968796A3 (en) 2000-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5337B1 (ko) 동력공구
EP1108900B1 (en) Fluid operated tool for elongating and relaxing a threaded connector
JP3726842B2 (ja) ラチェットレンチ
EP1094232B1 (en) Bolt and fastening arrangement
JPH10230471A (ja) リバーシブル高度インパクト機構
EP0666145A1 (en) Clutch mechanism in power driven screwdriver
JP2000506447A (ja) 動力ナットランナー
KR20030078640A (ko) 와샤, 와샤가 구비된 고정구, 대상물고정방법 및대상물고정용 동력공구
JP2008208932A (ja) 直動アクチュエータ
JPS6218284B2 (ko)
US6843141B2 (en) Hand-held power tool with a torque cut-off device
KR100335339B1 (ko) 대상체에 따라서 요소를 이동시켜 주는 동력공구와 그 방법
US6665923B2 (en) Clutch for a screw gun and utilizing method
KR100728487B1 (ko) 대상물에 대하여 요소를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공구와 그방법
JP2009285813A (ja) ドライバドリル
KR20180103740A (ko) 반작용 토크들을 전환시키는 지지 브래킷, 및 파워 스크류드라이버를 포함하는 조립체
JP2005153033A (ja) 電動ドライバ
KR0145012B1 (ko) 나선연결구의 신장 및 이완용 유체작동형 공구
MXPA99006071A (en) A power tool
JP2007332986A (ja) 非可逆装置
JP3238639B2 (ja) 電動スクリュドライバのサイレントクラッチ
KR100500264B1 (ko) 와샤, 와샤가 구비된 고정구, 와샤를 이용한 고정방법과고정용 동력공구
RU2145278C1 (ru) Гидравлический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перемещения в осевом направлении резьбового соединителя
JPH04269107A (ja) ドリル・たがね装置
KR830000368A (ko) 전동나사 체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