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4035B1 - 양 베어링릴의 백래시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양 베어링릴의 백래시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4035B1
KR100334035B1 KR1020000009316A KR20000009316A KR100334035B1 KR 100334035 B1 KR100334035 B1 KR 100334035B1 KR 1020000009316 A KR1020000009316 A KR 1020000009316A KR 20000009316 A KR20000009316 A KR 20000009316A KR 100334035 B1 KR100334035 B1 KR 100334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weight
braking
force
centrifugal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9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6731A (ko
Inventor
노다히데오
호가키도시히코
Original Assignee
우라카미 히로시
료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라카미 히로시, 료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우라카미 히로시
Publication of KR20000076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6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4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40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55Antibacklash devices
    • A01K89/01555Antibacklash devices using 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력 및 원심력을 이용한 양 베어링릴의 백래시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양 베어링릴의 스풀에 저속회전시에 원심력에 의한 제동력이 걸리지 않도록 한다.
핸들(6)에 의해 회전되는 스풀(4)과, 스풀(4)에 형성된 도전환체(導電環體) (16)와, 도전환체(16)를 협지하도록 대향 배치된 1쌍의 자석(17),(18)과, 스풀(4)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스풀(4)의 직경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배설된 추(25)와, 원심력에 의해 이동하는 추(25)가 접촉할 수 있는 릴본체(1)에 배설된 환형의 제동판(26)을 구비한 양 베어링릴의 백래시 방지장치에 있어서, 추(25)와 스풀(4)과의 사이에 스풀(4)이 소정의 회전수에 도달하기까지 추(25)의 제동판 (26)에의 접촉을 규제하는 저항수단(28)을 형성한다.

Description

양 베어링릴의 백래시 방지장치{BACKLASH PREVENTING MECHANISM IN DOUBLE BEARING TYPE FISHING REEL}
본 발명은 자력 및 원심력을 이용한 양 베어링릴의 백래시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양 베어링릴에 사용되는 자석을 이용한 백래시 방지장치는, 릴 측판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스풀에 그 축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고착된 도전환체(導電環體)와, 이 도전환체를 협지하도록 배치된 1쌍의 자석을 구비하고, 1쌍의 자석중 어느 한쪽의 자석을 다른쪽의 자석 또는 도전환체에 대하여 축방향이나 직경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또는 둘레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도전환체에 작용하는 자속밀도를 조정하여, 이로써 스풀에의 제동력을 가감하도록 되어 있다.
이 자석을 이용한 백래시 방지장치는, 스풀의 회전에 대하여 항상 자기(磁氣)제동력을 부하(負荷)하여, 스풀 또는 도전환체의 회전속도에 비례하여 제동력을 걸 수 있으므로 초심자에게는 사랑받는다.
그러나, 이 백래시 방지장치는 스풀의 고속회전시에 확실하게 제동력을 부하할 수 있도록 자기제동력을 조정한 경우는, 투척 초기 및 투척 후반시에도 큰 제동력이 걸리므로, 경량의 루어나 공기저항이 큰 루어를 투척할 때에는, 초기속도의상승 및 후반의 비산 거리의 연장을 저해하게 된다.
그러므로, 서밍 등에 숙달된 베테랑에게는 낚시줄의 비산거리를 연장할 수 없다고 하여 경원시된다.
그래서, 일본국 실공소 62(1987)-35329호 공보의 백래시 방지장치는, 자석을 이용한 백래시 방지장치와 함께 원심력을 이용한 원심브레이크식 백래시 방지장치를 설치하여, 스풀의 고속회전시에 있어서의 과(過)회전을 원심브레이크에 의해 제동하고자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일본국 실공소 62(1987)-35329호 공보의 원심력을 이용한 백래시 방지장치는, 스풀의 직경방향에 설치한 가이드핀에 추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하고, 가이드핀의 선단 주위를 환상(環狀)의 제동판으로 둘러싼 것에 지나지 않으므로, 스풀의 저속회전시에 있어서도 아래쪽을 향한 가이드핀 위의 추가 그 자체 무게에 의해 차례로 제동판에 접촉하여 스풀에 제동력을 가해지게 된다.
즉, 스풀의 저속회전시에 있어서도 자석을 이용한 백래시 방지장치와 원심력을 이용한 백래시 방지장치 양쪽의 제동력이 스풀에 부하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전술한 자석을 이용한 백래시 방지장치와 마찬가지로, 투척 초기 및 투척 후반시에도 제동력이 걸려서 초기속도의 상승 및 후반의 비산거리의 연장이 저해되게 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은, 핸들(6)에 의해 회전되는 릴본체(1)의 측판(2),(3)사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스풀(4),(104)과, 이 스풀(4),(104)에 형성된 비자성재료로 이루어지는 도전환체(16)와, 이 도전환체 (16),(116)를 협지하도록 대향 배치된 1쌍의 자석(17),(18)과, 상기 스풀(4),(104)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상기 스풀(4),(104)의 직경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추(25),(125)와, 원심력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추(25),(125)가 접촉할 수 있는 상기 릴본체(1)에 배설된 환상(環狀)의 제동판(26)을 구비한 양 베어링릴의 백래시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추(25),(125)와 상기 스풀(4),(104)과의 사이에, 상기 스풀(4),(104)이 소정의 회전수에 도달하기까지 상기 추(25),(125)의 상기 제동판(26)에의 접촉을 규제하는 저항수단(28,34)이 형성된 양 베어링릴의 백래시 방지장치를 채용한다.
또,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은, 상기 도전환체(116)가 상기 스풀(10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도전환체(116)와 상기 스풀(104)과의 사이에, 상기 스풀 (104)에 대한 상기 도전환체(116)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동조정수단(30),(32) 등이 형성된 청구항 1에 기재한 양 베어링릴의 백래시 방지장치를 채용한다.
또,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은, 상기 1쌍의 자석(17),(18)중 어느 한쪽의 자석(18) 또는 (17)을 다른쪽 자석 또는 상기 도전환체(16),(116)에 대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도전환체(16),(116)에 작용하는 자속밀도를 조정하는 조정수단(23) 등이 형성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양 베어링릴의 백래시방지장치를 채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백래시 방지장치를 구비한 양 베어링릴의 수평단면도.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도.
도 3은 도 2중 Ⅲ-Ⅲ선에서 본 단면도.
도 4는 도 3중 Ⅳ-Ⅳ선에서 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양 베어링릴의 요부 확대도.
도 6은 도 5중 Ⅵ-Ⅵ선에서 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릴본체, 2, 3 : 측판,
4, 104 : 스풀, 6 : 핸들,
16, 116 : 도전환체, 17, 18 : 1쌍의 자석,
23 : 노브, 25, 125 : 추,
26 : 제동판, 28 : 압축코일스프링,
30 : 조정너트, 32 : 압축코일스프링,
34 : 토션스프링
다음,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양 베어링릴은 릴본체(1)의 측판(2),(3)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스풀(4)을 가진다.
스풀(4)과 일체화된 스풀축(4a)의 양단은, 각각 베어링(5,6)을 통하여 릴본체(1)에 지지되어 있다.
릴본체(1)의 한측에는 스풀(4)을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6)이 장착되어 있다. 핸들축(6a)은 한쪽의 측판(3)에 스풀축(4a)과 평행으로 지지되고, 그 중간부에는 드랙장치(7)를 통하여 마스터기어(8)가 장착되어 있다.
이 마스터기어(8)는 스풀축(4a)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덮어 씌워지는 슬라이드통(9)의 일단에 형성된 피니언(9a)과 맞물려 있다
슬라이드통(9)의 타단과 스풀(4)의 일단과의 대향부에 요철부로 이루어지는 클러치클릭(10)이 형성되어 있다.
도 1 중 슬라이드통(9)이 스풀축(4a)상을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하면, 클러치 클릭(10)이 서로 이반(離反)하여 핸들(6)과 스풀(4)과의 운동이 단절되어(클러치 오프), 스풀(4)은 자유 회전이 가능해진다.
반대로, 슬라이드통(9)이 스풀축(4a)상을 왼쪽으로 슬라이드하면, 클러치클릭(10)이 서로 계합하여 핸들(6)과 스풀(4)이 운동하여(클러치온), 핸들(6)을 돌리면 스풀(4)이 회전하여 낚시줄의 감기가 가능해진다.
슬라이드통(9)의 슬라이드는, 슬라이드통(9)에 끼워 넣은 시프터(11)를 클러치레버(12)로 조작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클러치레버(12)는 릴본체(1)에 스풀(4)과 평행으로 걸쳐 놓여진 레버 축 (12a)에 장착되어 있다.
한편, 시프터(11)에 대향하는 클러치캠(13)이 슬라이드통(9)을 둘러싸도록 릴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장작되어 있다. 이 클러치캠(13)과 상기 레버축(12a)이 각종 링크(14) 및 데드포인트스프링(15)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클러치레버(12)가 클러치오프측으로 조작되면, 클러치캠(13)이 시프터(11)를 도 1중 오른쪽으로 밀어내므로, 슬라이드통(9)도 마찬가지로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하여 클러치클릭(10)이 이반하여 클러치오프로 된다. 또, 동시에 데드포인트스프링(15)이 반전하여, 클러치오프상태를 유지한다.
이 클러치오프상태는 다음에 핸들(6)이 조작되기까지 데드포인트스프링(15)의 부세력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지만, 클러치오프상태에서 핸들(6)을 돌리면 클러치클릭 (10)을 클러치온상태로 자동적으로 복귀시키는 복귀기구가 릴본체(1)내에 형성되어 있다.
도 2 ∼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구성의 양 베어링릴은, 자석식 제동부와 원심력식 제동부로 구성되는 백래시 방지장치를 릴본체(1)내에 가진다.
자석식 제동부는 스풀(4)에 형성된 알루미늄, 동 등의 비자성재료로 이루어지는 도전환체(16)와, 이 도전환체(16)를 협지하도록 대향 배치된 1쌍의 자석 (17),(18)을 구비한다.
도전환체(16)는 스풀축(4a)상의 클러치클릭(10)과는 반대측으로 보스부 (16a) 및 원반부(16b)를 통하여 고정되어 있다. 도전환체(16)는 원반부(16b)의 주위 에지에서 원통형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로써, 도전환체(16)는 스풀(4)과 일체로 회전 가능하다.
1쌍의 자석(17),(18)은 도전환체(16)와의 사이에 작은 간극이 생기도록 지지프레임(20)상에 배치되어 있다.
1쌍의 자석(17),(18)중 한쪽의 자석(18)은 원하는 극수(極數)의 자석편(도시하지 않음)이 도전환체(16)의 외주면에 대향하도록 환상(環狀)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환상(環狀)의 요크(22)를 통하여 지지프레임(20)상에 고정되어 있다.
다른쪽의 자석(17)은 원하는 극수(極數)의 자석편(도시하지 않음)이 도전환체(16)의 내주면에 대향하도록 환상(環狀)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지지프레임(20)상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환상(環狀)의 요크(21)에 지지되어 있다.
스풀(4)이 도전환체(16)를 따라서 회전하면, 그 회전수에 비례하여 도전환체 (16)에 와전류가 발생하고, 도전환체(16)는 스풀(4)에 제동력을 가하여 그 과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지지프레임(20)은 릴본체(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측판(2)내에 고정되어 있다. 측판(2)을 릴본체(1)로부터 분리하면, 1쌍의 자석(17),(18)은 도전환체(16)로부터 이반한다.
또 지지프레임(20)의 중심부에는 스풀축(4a)을 지지하는 한쪽의 베어링(5)이 고정되어, 스풀축(4a)은 이 베어링(5)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다. 따라서, 측판 (2)은 스풀축(4a)으로부터도 이탈 가능하다.
이 자석식 제동부에는 한쪽의 자석(17)을 다른쪽의 자석(18)에 대하여 이동시킴으로써, 도전환체(16)에 작용하는 자속밀도를 조정하는 조정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지지프레임(20)상에서 회동 가능한 요크(21)는 측판(2)밖에서 회동조작이 가능하며, 이 요크(21)를 돌리기 위한 노브(23)가 측판(2)에 장착되어 있다.
노브축(23a)은 스풀축(4a)과 평행으로 측판(2)의 안쪽으로 관통하고, 그 선단에는 소기어(24)가 고정되고, 이 소기어(24)가 요크(21)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대기어(21a)에 맞물려 있다.
이로써, 노브(23)를 돌리면 회동체로서의 요크(21)가 어느 한쪽 방향으로 회동하고, 이 요크(21)상의 다른쪽의 자석(17)이 한쪽의 자석(18)에 대하여 위치를 변경한다.
따라서, 양 자석(17),(18)사이의 자속밀도가 증감하는 동시에 도전환체(16)에 발생하는 와전류도 증감하여, 스풀(4)에 걸리는 제동력의 크기가 조절된다.
또, 원심력식 제동부는 스풀(4)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스풀(4)의 직경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추(25)와, 스풀(4)의 직경방향으로 이동하는 추(25)가 접촉할 수 있도록 릴본체(1)에 장착된 환상(環狀)의 제동판(26)을 구비한다.
추(25)는 봉형상으로 형성되고, 스풀(4)에 형성된 가이드수단, 즉 스풀(4) 과 일체로 회전할 수 있는 도전환체(16)의 원반부(16b)상에 그 반경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넣어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원반부(16b)에 끼워 넣어진 지지체(19)에 가이드 홈(27)이 반경방향으로 형성되고, 이 가이드 홈(27)에 추(25)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스풀(4)이 회전하면 그 회전에 따른 원심력으로 추(25)는 가이드 홈(27)내를 원심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환상(環狀)의 제동판(26)은 상기 측판(2)내의 지지프레임(20)에 고정되어 있으며, 가이드 홈(27)내를 원심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추(25)의 선단이 접촉함으로써 이 추(25)를 통하여 스풀(4)에 제동력을 가한다.
또, 추(25)와 상기 스풀(4)과 일체로 회전하는 상기 지지체(19)와의 사이에는, 스풀(4)이 소정의 회전수에 도달하기까지 추(25)의 제동판에의 접촉을 규제하는 저항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저항수단은 구체적으로는 탄성부재인 압축코일스프링(28)이며, 이 압축코일스프링(28)은 가이드 홈(27)내에 수납된 추(25)의 후단의 콜러(25a)에 접촉하여 추 (25)를 가이드 홈(27)의 안쪽 즉 향심(向心)방향으로 항상 부세한다.
이로써, 스풀(4)이 비교적 작은 회전수로 회전할 때는 추(25)는 압축코일스프링(28)의 압축력에 의한 저항을 받아서 제동판(26)까지 도달하지 않고, 스풀(4)이 회전수의 증가에 따라 고속회전하기 시작하면, 추(25)에 걸리는 원심력이 압축코일스프링(28)의 압축력을 이기고, 추(25)는 제동판(26)에 접촉한다.
따라서, 스풀(4)의 회전수가 소정의 회전수에 도달하면, 스풀(4)에 제동력이 가해지게 된다.
상기 구성의 백래시 방지장치에 의하면, 스풀(4)의 저속회전시에 있어서는 자석식 제동부에 의한 제동력을 낮게 억제하고, 원심력식 제동부에 의한 제동력은 스풀(4)에 작용하지 않도록 하여, 스풀(4)의 고속회전시에 있어서는 자석식 제동부와 원심력식 제동부의 양쪽의 제동력을 스풀(4)에 작용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투척 초기에 있어서의 초기 속도의 상승 및 투척 후반시에 있어서의 비산거리의 연장을 도모하고, 또 최고속시에 있어서의 백래시를 방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실시형태 2가 실시형태 1과 다른 점은,
(1) 실시형태 1에서는 도전환체(16)가 스풀(4)과 일체 회전하는데 대하여, 실시형태 2에서는 도전환체(116)가 스풀축(4a)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다는 것,
(2) 실시형태 2에 있어서는 도전환체 (116)가 스풀축과의 상대 회전량의 차이를 조절하는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
(3) 원심력식 제동부(25),(33)의 기구가 다른 것 등이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형태 2의 양 베어링릴도, 자석식 제동부와 원심력식 제동부로 구성되는 백래시 방지장치를 릴본체(1)내에 가진다.
자석식 제동부는 스풀(104)에 형성된 비자성재료로 이루어지는 도전환체 (116)와, 실시형태 1에 있어서와 동일한 1쌍의 자석(17),(18)을 구비한다.
도전환체(116)는 스풀축(104a)에 보스부(116a) 및 원반부(116b)를 통하여 장착되어 있다. 또, 보스부(116a)는 스풀(104)과 일체의 스풀축(104a)상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그러므로 도전환체(116)는 스풀축(104a)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다.
이 도전환체(116)와 스풀축(104a)과의 사이에는 스풀축(104a)에 대한 도전환체(116)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동조정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제동조정수단은 스풀축(104a)의 베어링(5)의 가까이에 형성되는 수나사(29)에 나사 결합하는 조정너트(30)와, 도전환체(116)의 보스부(116a)의 일단에 접촉하도록 스풀축(104a)상에 장착된 마찰와셔(31)와, 조정너트(30)와 마찰와셔(31)와의 사이에 개재하여 보스부(116a)의 타단을 스풀(104)의 일단에 압착하는 압축코일스프링(32)을 구비한다.
측판(2)을 지지프레임(20)과 함께 릴본체(1)로부터 분리한 후에, 조정너트 (30)를 어느 한쪽의 방향으로 돌려서 스풀축(104a)의 수나사(29)상에서 나사식으로 전진 후퇴시키면, 압축코일스프링(32) 및 마찰와셔(31)를 통하여 도전환체(116)의 보스부(116a)를 스풀(104)의 일단에 누르는 힘이 조절된다.
이 제동조정수단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조작된다.
먼저, 측판(2)을 릴본체(1)로부터 분리하여 조정너트(30)를 노출시킨 후에, 조정너트(30)를 한쪽으로 돌려서 도 5중 왼쪽방향으로 전진시키면 압축코일스프링 (32)의 도전환체(116)를 스풀(104)에 압착하는 부세력은 작아져서 최종적으로 0 이 된다.
이 부세력이 0 이 된 시점에서는, 도전환체(116)는 스풀축(104a)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스풀(104)에 자석(17),(18)에 의한 제동력이 전혀 걸리지 않는 상태에서 릴을 조작할 수 있다.
즉, 제동조정수단의 조정에 의해 제동을 해소하면, 도전환체(116)는 스풀 (104)에 대하여 정지하므로, 후술하는 원심력에 의한 제동력만을 스풀(104)에 걸리게 할 수 있다.
또, 조정너트(30)를 반대로 돌려서 스풀축(104a)위를 도 5중 오른쪽 방향으로 전진시키면, 압축코일스프링(32)의 도전환체(116)에 대한 부세력이 높아지고, 이 부세력이 최대로 되면 도전환체(116) 및 스풀축(104a)은 일체로 회전한다.
따라서, 1쌍의 자석(17),(18)에 의한 도전환체(116)에의 제동력이 직접 스풀 (104)에 작용하여, 스풀(104)의 회전에 대하여 강한 제동력이 가해지게 되어, 부세력이 최대가 된 시점에서는 도전환체(116)는 스풀(104)에 대하여 회전 불능상태가 되고, 자석에 의한 제동력과 후술하는 원심력에 의한 제동력의 양쪽이 스풀(104)에 걸리게 된다.
또, 조정너트(30)를 도 5중 스풀축(104a)의 수나사(29)상에서 중간위치로 이동시키면, 도전환체(116)는 압축코일스프링(32)으로부터 최대와 최소 사이 크기의 부세력을 받는다.
이 상태에서 스풀(104)로부터 낚시줄이 풀려져 나와 스풀(104)이 회전하면, 도전환체(116)는 압축코일스프링(32)의 부세력에 의해 스풀축(104a)이 일체로 되어 회전하고자 하지만, 도전환체(116)는 1쌍의 자석(17),(18)의 자속밀도에 의해 회전하지 않도록 제동력을 받고 있으며, 또한 압축코일스프링(32)의 도전환체(116)에 대한 부세력이 그다지 강하지 않으므로, 도전환체(116)와 스풀축(104a)과는 일체로 회전할 수 없고, 도전환체(116)는 마찰와셔(31), 스풀(104) 및 스풀축과의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슬립을 발생하면서 스풀축(104a)상에서 회전한다.
즉, 조정너트(30)의 조작에 의해 제동을 중간으로 설정하면, 도전환체(116)는 스풀(104)에 대하여 슬립하면서 함께 회전하므로, 자석에 의한 다소 약한 듯한 제동력과 원심력에 의한 제동력이 양쪽을 스풀(104)에 걸리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자석식 제동부에도 실시형태 1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로, 한쪽의 자석(17)을 다른쪽의 자석(18)에 대하여 이동시킴으로써 도전환체(116)에 작용하는 자속밀도를 조정하는 조정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원심력식 제동부는 스풀(104)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스풀 (104)의 직경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추(125)와, 원심력에 의해 스풀 (104)의 직경방향으로 이동하는 추(125)가 접촉할 수 있도록 릴본체(1)에 장착된 환상(環狀)의 제동판(26)을 구비한다.
스풀(104)의 주위 에지부에는 스풀축(104a)에 평행으로 지지핀(33)이 복수개고정되고, 각 지지핀(33)에 추(125)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핀(33)은 제동판(26)과 도전환체(116)와의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고, 추 (125)는 이 공간내에 수납되도록 만곡편(彎曲片)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추(125)와 스풀(104)과의 사이에는, 스풀(104)이 소정의 회전수에 도달하기까지 추(125)의 제동판(26)에의 접촉을 규제하는 저항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저항수단은 구체적으로는 탄성부재인 토션스프링(34)이며, 이 토션스프링 (34)이 지지핀(33)에 감겨지는 동시에 양단이 스풀(104)의 주위 에지와 추(125)에 걸어 맞춰짐으로써, 추(125)는 스풀축(104a)을 향하여, 즉 향심(向心)방향으로 항상 부세된다.
이로써, 스풀(104)이 비교적 적은 회전수로 회전할 때는 추(125)는 토션스프링(34)의 부세력에 의한 저항을 받아서 제동판(26)까지 도달하지 않고, 스풀(104)의 속도가 증가하여 소정의 회전수에 도달하면 추(125)에 걸리는 원심력이 토션스프링(34)의 부세력을 이기고, 추(125)는 제동판(26)에 접촉한다.
따라서, 스풀(104)의 회전수가 소정의 고속회전수에 도달하면, 스풀(104)에 제동력이 가해지게 된다.
상기 구성의 백래시 방지장치에 의하면, 제동조정수단의 조정너트(30)를 어느 한쪽의 방향으로 돌려서 스풀축(104a)의 수나사(29)상에서 나사식으로 전진 후퇴시킴으로써, 압축코일스프링(32) 및 마찰와셔(31)를 통하여 도전환체(116)의 보스부(116a)를 스풀(104)의 일단에 누르는 힘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자석식 제동부에 의한 제동력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또, 스풀(104)의 저속회전시에는 토션스프링(34)의 작용에 의해 원심력식 제동부에 의한 제동력은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스풀(104)의 저속회전시에 있어서는, 스풀(104)에 걸리는 제동력을 낮게 억제함으로써, 투척 초기에 있어서의 초기 속도의 상승 및 투척 후반시에 있어서의 비산 거리의 연장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스풀의 고속회전시에 있어서는, 추(125)가 토션스프링(34)의 부세력을 이기고 제동판(26)에 접촉하므로, 원심력식 제동부에 의한 제동력이 발생하여, 이것에 자석식 제동부에 의한 제동력이 가해진다.
그러므로, 최고속시에 있어서의 백래시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1)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자석식 제동부는, 통형의 도전환체의 내외주에 배치한 1쌍의 자석중 내측의 자석을 외측의 자석에 대하여 회동시켜서 제동력을 조정하도록 했으나, 외측의 자석을 내측의 자석에 대하여 회동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또, 도전환체의 직경방향으로 자석을 이동시키도록 해도 된다.
(2)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전환체는 바닥이 있는 통형으로 형성하였으나, 원반형으로 형성하여 그 양측면에 1쌍의 자석을 대향 배치시키도록 해도 된다.
(3)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원심력식 제동부는, 자석식 제동부와 함께 반핸들측으로 형성하였으나, 핸들측으로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 원심력식 제동부와 자석식 제동부는 핸들측과 반(反)핸들측으로 각각 분리하여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4)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원심력식 제동부는, 도전환체의 지지체에형성한 바닥이 있는 구멍내에 추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한 구조의 것, 또는 스풀의 측면에 스풀축과 평행으로 지지핀을 돌출 설치하여 이 지지핀에 추를 요동 가능하게 형성한 구조의 것으로 하였으나, 스풀에 그 직경방향으로 돌출하는 축부재를 배설하여 이 축부재에 추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외장(外裝)하는 등 공지의 수단으로 바꾸어 놓을 수 있다.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핸들에 의해 회전되는 릴본체의 측판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스풀과, 이 스풀에 형성된 비자성재료로 이루어지는 도전환체와, 이 도전환체를 협지하도록 대향 배치된 1쌍의 자석과, 스풀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스풀의 직경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추와, 추 보다 외측에 있어서 릴본체에 배설된 환상(環狀)의 제동판을 구비한 양 베어링릴의 백래시 방지장치에 있어서, 추와 스풀과의 사이에, 스풀이 소정의 회전수에 도달하기까지 추의 제동판에의 접촉을 규제하는 저항수단이 형성된 것에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① 스풀의 저속회전시에 있어서 원심력에 의한 제동력의 스풀에의 부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므로, 투척시에 있어서의 초기 속도의 상승 및 후반의 비산거리의 연장을 얻을 수 있다.
② 스풀이 소정 회전수를 넘은 고속회전을 하면, 회전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자석에 의한 제동력과 회전속도의 제곱으로 제동력이 증가하는 원심력에 의한 제동력이 합쳐져서 스풀에 부하되므로, 고속회전에 따른 스풀의 관성회전력을 확실하게 억제하여, 관성회전으로 인한 백래시의 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③ 고속회전시에 있어서의 관성 회전력을 자석에 의한 제동력 뿐만이 아니라속도의 제곱으로 제동력이 증가하는 원심력에 의한 제동력에 의해서도 제동할 수 있으므로, 고속회전시에 있어서의 자석에 의한 제동력을 작게 설정할 수 있고, 따라서 저속회전시에 있어서의 자석에 의한 제동력을 가급적 작게 하여 투척시에 있어서의 초기 속도의 상승 및 후반의 비산거리의 연장을 얻을 수 있다.
④ 투척 초기 및 투척 후반시의 스풀에의 제동력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경량의 루어, 공기저항이 큰 루어 등이라도 멀리 확실하게 투척할 수 있다.
⑤ 종래의 낚시용 릴에 대해서도 추에 대하여 저항수단을 형성하는 것만으로 족하므로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 도전환체가 스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도전환체와 스풀과의 사이에, 스풀에 대한 도전환체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동조정수단이 형성되었으므로, 제동조정수단의 조정에 의해 제동을 해소하면, 도전환체는 스풀에 대하여 자유 회전하므로 추의 원심력에 의한 제동력만을 스풀에 걸리게 할 수 있고, 또한 제동을 최대로 설정하면 자석에의한 제동력과 추의 원심력에 의한 제동력의 양쪽을 스풀에 걸리게 할 수 있고, 또한 제동을 중간에 설정하면 도전환체는 스풀에 대하여 슬립하면서 함께 회전하므로, 자석에 의한 다소 약한 듯한 제동력과 추의 원심력에 의한 제동력이 양쪽을 스풀에 걸리게 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 1쌍의 자석중 어느 한쪽의 자석을 다른쪽의 자석 또는 도전환체에 대하여 이동시킴으로써 도전환체에 작용하는 자속밀도를 조정하는 조정수단이 형성된 것에서, 루어의 중량, 공기저항, 바람의 방향 등의 조건에 따라서 자석에 의한 제동력의 크기를 미세 조정할 수 있고, 따라서 환경에 따른 투척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Claims (3)

  1. 핸들에 의해 회전되고, 릴본체의 측판 사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스풀과,
    이 스풀에 형성된 비자성재료로 이루어지는 도전환체(導電環體)와,
    이 도전환체를 협지하도록 대향 배치된 1쌍의 자석과,
    상기 스풀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상기 스풀의 직경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추와,
    원심력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추가 접촉할 수 있는 상기 릴본체에 배설된 환상(環狀)의 제동판을 구비한 양 베어링릴의 백래시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추와 상기 스풀과의 사이에, 상기 스풀이 소정의 회전수에 도달하기까지 상기 추의 상기 제동판에의 접촉을 규제하는 저항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베어링릴의 백래시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환체가 상기 스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도전환체와 상기 스풀과의 사이에, 상기 스풀에 대한 상기 도전환체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동조정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베어링릴의 백래시 방지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자석중 어느 한쪽의 자석을 다른쪽의 자석 또는 상기 도전환체에 대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도전환체에 작용하는 자속밀도를 조정하는 조정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베어링릴의 백래시 방지장치.
KR1020000009316A 1999-03-09 2000-02-25 양 베어링릴의 백래시 방지장치 KR1003340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061587A JP2000253783A (ja) 1999-03-09 1999-03-09 両軸受リールのバックラッシュ防止装置
JP61587 1999-03-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6731A KR20000076731A (ko) 2000-12-26
KR100334035B1 true KR100334035B1 (ko) 2002-04-25

Family

ID=13175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9316A KR100334035B1 (ko) 1999-03-09 2000-02-25 양 베어링릴의 백래시 방지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0253783A (ko)
KR (1) KR1003340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64543B2 (en) * 2021-01-25 2024-01-09 Cary Hogan JONES Fly fishing reel with brake assembly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6731A (ko) 2000-12-26
JP2000253783A (ja) 2000-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09535B2 (ja)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
US9635843B2 (en) Spool braking device and fishing reel
US7618003B2 (en) Baitcast reel having externally adjustable dual brakes having centrifugal and magnetic brakes
JPH07274782A (ja) 魚釣用リールのバックラッシュ防止装置
US5273235A (en) Fishing reel having a brake mechanism for braking a rotary element
US5749534A (en) Brake mechanism for double-bearing fishing reel
US7823823B2 (en) Drag adjusting device for dual-bearing reel
US5863007A (en) Spinning wheel having improved balance during reverse rotation
US7850110B2 (en) Drag adjusting device for dual-bearing reel
KR100334035B1 (ko) 양 베어링릴의 백래시 방지장치
US4618106A (en) Fishing reel with friction and magnetic brakes
US5402953A (en) Shaft supporting structure for a fishing reel
JP3159620B2 (ja)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
KR100987115B1 (ko) 스피닝 릴의 스풀 지지구조
JPH0142464Y2 (ko)
US4484720A (en) Drag mechanisms of fishing spinning reels
US20240138389A1 (en) Drag Lever and Dual-Bearing Reel for Fishing
US20240138388A1 (en) Dual-Bearing Reel for Fishing
JP3501617B2 (ja) 魚釣用リール
JP2000209989A (ja) 両軸受リ―ル
JPH11299403A (ja) 両軸受けリールのバックラッシュ防止装置
JPH1098992A (ja)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
JP3610276B2 (ja)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
JP2000014289A (ja) 両軸受けリールのバックラッシュ防止装置
JPH012085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