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3756B1 - 차량의 글로브 박스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글로브 박스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3756B1
KR100333756B1 KR1019990065340A KR19990065340A KR100333756B1 KR 100333756 B1 KR100333756 B1 KR 100333756B1 KR 1019990065340 A KR1019990065340 A KR 1019990065340A KR 19990065340 A KR19990065340 A KR 19990065340A KR 100333756 B1 KR100333756 B1 KR 100333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ve box
housing
roller
damp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5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5453A (ko
Inventor
신광섭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90065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3756B1/ko
Publication of KR20010065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5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3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37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8Interior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글로브 박스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글로브 박스를 열 때 서서히 열리게 함과 아울러 설치 공간의 제약을 해결하고 제품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크래쉬 패드(1)에 고정된 로워 마운팅 브래킷(2)에 커버(8)를 전방에 설치한 하우징(7)의 하단을 힌지 결합한 글로브 박스(5)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7) 측면의 로워 마운팅 브래킷(2)에 댐퍼 본체(9)를 설치하고, 상기 댐퍼 본체(9)내에 축(10)을 형성하여 상기 축(10)에 일단이 고정되는 판스프링(11)을 감은 후 판스프링(11)의 주위에 판스프링(11) 타단이 고정되고 상기 댐퍼 본체(9)에 지지되는 롤러(12)를 설치하며, 상기 롤러(12)에 일단이 하우징(7)의 측면에 연결된 와이어(13)를 권회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글로브 박스 개폐장치 {GLOVE BOX OPERATING DEVICE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글로브 박스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글로브 박스는 차량의 등록증 등과 같은 서류 또는 잡다한 물건 등을 수납하기 위하여 조수석 전면의 크래쉬 패드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글로브 박스의 개폐장치는 글로브 박스의 측벽에 걸림턱이 형성된 가이드를 회전할 수 있게 설치하고, 크래쉬 패드에 고정된 로워 마운팅 브래킷에 스톱퍼를 부착하여 상기 걸림턱이 걸리도록 한 것인 바, 상기 글로브 박스를 열 때 글로브 박스가 자유 낙하되면서 가이드의 걸림턱이 스톱퍼에 부딪치면서 열리게 되어 탑승자의 신경을 거슬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한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개폐장치를 제안하여 실용신안 등록 제 119996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 상기 개폐장치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래쉬 패드(1)에 고정된 로워 마운팅 브래킷(2)의 내벽에 댐퍼 하우징(3)을 고정하고, 상기 댐퍼 하우징(3)의 내부에 도시하지 않은 코일 스프링이 탄설된 피스톤(4)을 설치하며, 상기 피스톤(4)과 글로브 박스(5) 사이에 와이어(6)를 설치하고, 상기 피스톤(4)에 판상밸브(미도시)를 설치한 것으로서, 상기 글로브 박스(5)를 열 때 판상밸브의 닫힘에 의해서 글로브 박스(5)가 서서히 열리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차량의 글로브 박스 개폐장치는, 판상밸브가 피스톤(4)의 공기유통을 제어하므로서 글로브 박스(5)의 열림이 서서히 이루어지게 되고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 장점은 있으나, 댐퍼 하우징(3)은 길이가 길기 때문에 로워 마운팅 브래킷(2)의 내벽 하우징(3) 후방에 설치하므로 설치 공간의 제약과 제품 원가의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여, 글로브 박스를 열 때 서서히 열리게 함과 아울러 설치 공간의 제약을 해결하고 제품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글로브 박스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크래쉬 패드에 고정된 로워 마운팅 브래킷에 하우징의 하단을 힌지 결합한 글로브 박스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측면의 로워 마운팅 브래킷에 댐퍼 본체를 설치하고, 상기 댐퍼 본체내에 축을 형성하여 상기 축에 일단이 고정되는 판스프링을 감은 후 판스프링의 주위에 판스프링 타단이 고정되고 상기 댐퍼 본체에 지지되는 롤러를 설치하며, 상기 롤러에 일단이 하우징의 측면에 연결된 와이어를 권회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댐퍼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것의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2: 로워 마운팅 브래킷 5: 글로브 박스 7: 하우징 9: 댐퍼 본체
11: 판스프링 12: 롤러 13: 와이어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래쉬 패드(1)에 고정된 로워 마운팅 브래킷(2)에 글로브 박스(5)의 하우징(7) 하단을 힌지 결합하고, 상기 하우징(7) 전방에 커버(8)를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7) 측면의 로워 마운팅 브래킷(2) 일측에 열림 속도 조절용 댐퍼 본체(9)를 설치하고, 상기 댐퍼 본체(9)내의 중심에 축(10)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축(10)에 일단이 고정되는 판스프링(11)을 감은 후 판스프링(11)의 주위에 댐퍼 본체(9)에 지지되는 롤러(12)를 설치하여 롤러(12) 내측에 상기 판스프링(11)의 타단을 고정하며, 상기 롤러(12)에 와이어(13)의 일단을 고정하여 권회시킴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7)의 측면에 와이어(13)의 타단을 고정한 것이다.
상기 댐퍼 본체(9)는 하우징(7)의 열림 속도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내측에 설치한 판스프링(11)의 텐션에 의해서 롤러(12)가 적정한 속도로 회전되게 되면서 하우징(7)의 열림 속도가 적정하게 조절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댐퍼 본체(9)의 케이스(14)와, 상기 케이스(14)에 스크류(16)를 통해 고정된 커버(15) 내측에 원주상 돌기(14',15')를 형성하여 상기 롤러(12)의 양단이 지지되게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로워 마운팅 브래킷(2)의 일측에 댐퍼 본체(9)를 공간에 구애받지 않으면서 간단하게 고정하고, 상기 댐퍼 본체(9)의 롤러(12)에 권회된 와이어(13)를 하우징(7)의 일측부에 고정하여 하우징(7) 개방시에 열림 속도를 제어하는 것인 바, 상기 하우징(7)을 열면 자체 하중에 의해서 힌지를 기준으로 하우징(7)이 회전되게 되는데 이때 하우징(7)이 와이어(13)를 일정한 압력으로 당기게 되고, 와이어(13)는 하우징(7)의 당김에 의해서 롤러(12)에서 풀리게 되며, 상기 롤러(12)는 와이어(13)의 풀림에 의해서 회전되게 되고, 상기 롤러(12)가 회전됨과 동시에 판스프링(11)은 축(10)을 기준으로 풀리면서 회전되는 것이다.
상기 판스프링(11)이 풀리면서 회전될 때 자체 텐션력에 의해서 롤러(12)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것인 바, 상기 롤러(12)의 회전시점 초기에는 급속하게 판스프링(11)이 풀리게 되나 점차적으로 판스프링(11)의 타단측이 롤러(12)의 내주연을 압박하면서 풀리게되어 롤러(12)의 회전이 서서히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7)의 열림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와이어(13)의 당김이 지속되지 않게 되어 롤러(12)의 회전이 정지됨과 아울러 판스프링(11)은 풀린 상태에서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려고 롤러(12)를 상기한 역방향으로 당기게 되는 것인 바, 상기 판스프링(11)이 롤러(12)를 당기게 되면 롤러(12)는 와이어(13)를 당기게 됨으로서 와이어(13)는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하우징(7)을 닫게되면 와이어(13)는 자동적으로 롤러(12)에 권회되는 것으로서, 상기 와이어(13)가 하우징(7)의 닫힘에 의해서 느슨해지면 판스프링(11)과 롤러(12) 및 와이어(13)간에 형성되었던 힘의 평형현상이 없어지게 되는 것인 바, 상기 와이어(13)가 느슨해짐과 동시에 원주상 돌기(14',15')에 양단이 지지된 롤러(12)는 판스프링(11)의 회전력에 의해서 회전되면서 와이어(13)를 당기어 권회시키는 것이다.
상기한 로워 마운팅 브래킷(2)의 측부에 크기가 작은 댐퍼 본체(9)를 간단하게 설치하므로서 설치 공간의 제약에 구속받지 않게되고, 종래의 댐퍼 하우징(3)과 같은 복잡한 구조를 이용하지 않고 단순한 구조인 판스프링(11)과 와이어(13)만으로 하우징(7)의 회전속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제품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로워 마운팅 브래킷의 일측에 설치 공간에 구애받지 않으면서 댐퍼 본체를 설치하고, 상기 댐퍼 본체의 와이어를 하우징에 고정한 것인 바, 상기 하우징을 열게 되면 와이어가 긴장되면서 롤러를 회전시켜 판스프링이 풀리게 되고, 상기 판스프링은 풀리면서 자체 텐션에 의해서 롤러의 회전을 저지하게 됨으로서 하우징의 열림 속도가 서서히 이루어지는 것이며, 판스프링과 롤러 및 와이어만을 이용하여 하우징의 열림 속도 제어가 가능하게 되어 제품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댐퍼 본체의 케이스내에 판스프링을 위치시킴과 동시에 와이어가 권회된 롤러의 양단을 원주상 돌기에 지지하므로서 롤러의 회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Claims (2)

  1. 크래쉬 패드에 고정된 로워 마운팅 브래킷에 하우징의 하단을 힌지 결합한 글로브 박스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측면의 로워 마운팅 브래킷에 댐퍼 본체를 설치하고, 상기 댐퍼 본체내에 축을 형성하여 상기 축에 일단이 고정되는 판스프링을 감은 후 판스프링의 주위에 판스프링 타단이 고정되고 상기 댐퍼 본체에 지지되는 롤러를 설치하며, 상기 롤러에 일단이 하우징의 측면에 연결된 와이어를 권회한 차량의 글로브 박스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댐퍼 본체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된 커버에 원주상 돌기를 형성하여 롤러의 양단을 지지한 차량의 글로브 박스 개폐장치.
KR1019990065340A 1999-12-29 1999-12-29 차량의 글로브 박스 개폐장치 KR100333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5340A KR100333756B1 (ko) 1999-12-29 1999-12-29 차량의 글로브 박스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5340A KR100333756B1 (ko) 1999-12-29 1999-12-29 차량의 글로브 박스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5453A KR20010065453A (ko) 2001-07-11
KR100333756B1 true KR100333756B1 (ko) 2002-04-25

Family

ID=19632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5340A KR100333756B1 (ko) 1999-12-29 1999-12-29 차량의 글로브 박스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37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9742B1 (ko) * 2021-11-18 2022-07-12 주식회사 동일이엔티 전기 분전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490B1 (ko) * 2001-08-28 2004-09-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글로브박스 개폐장치
JP2006046490A (ja) * 2004-08-04 2006-02-16 Nifco Inc ダンパ装置
CN110406477A (zh) * 2019-08-20 2019-11-05 上海融康汽车设计有限公司 一种新型带有快速开启功能的手套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9742B1 (ko) * 2021-11-18 2022-07-12 주식회사 동일이엔티 전기 분전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5453A (ko) 2001-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18992B1 (en) Closure panel hinge
CN103917718A (zh) 用于重型设备的门铰链
KR100333756B1 (ko) 차량의 글로브 박스 개폐장치
US20050230991A1 (en) Storage apparatus for vehicle
KR101795365B1 (ko) 도어 클로저
JP3291411B2 (ja) 自動閉戸装置
KR101966444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자체 폐쇄 장치
JPH0849484A (ja) ロールスクリーン
KR200457055Y1 (ko) 선루프
GB2226361A (en) Telescopic spring
US1652643A (en) Spring-door closer
KR200150527Y1 (ko) 테일 게이트의 패키지 트레이 소음 방지장치
JP3273702B2 (ja) カセット式丁番
JPS6226534Y2 (ko)
JP2978109B2 (ja) 両扉同時開閉可能な観音開き扉
KR102187574B1 (ko) 트렁크 리드 개방속도 조절장치
KR100307141B1 (ko) 트렁크리드토션바장력조정장치
JP2000255269A (ja) 車両用ドア
KR0122294Y1 (ko) 자동차의 트렁크리드 힌지구조
KR200153925Y1 (ko) 자동차 트렁크 리드용 토션바의 장력 조절 장치
KR200215860Y1 (ko) 차량용 트렁크 리드 구조
JPH0218228Y2 (ko)
KR19980037476U (ko) 자동차 트렁크뚜껑 자동오픈장치
JP2002106246A (ja) 開き速度抑制構造
JPH02164994A (ja) 引戸用ドアクロー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