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3321B1 - 김치냉장고용 저장용기 - Google Patents
김치냉장고용 저장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33321B1 KR100333321B1 KR1019990050713A KR19990050713A KR100333321B1 KR 100333321 B1 KR100333321 B1 KR 100333321B1 KR 1019990050713 A KR1019990050713 A KR 1019990050713A KR 19990050713 A KR19990050713 A KR 19990050713A KR 100333321 B1 KR100333321 B1 KR 1003333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orage container
- kimchi
- storage
- kimchi refrigerator
- evaporator coil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21109 kimchi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4512 die cast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8 Al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124 Brassica olerac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899 Brassica oleracea var acepha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301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169 Brassica oleracea var olerac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78 EU approved seasonin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88415 Raphanus sativ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140 Raphanus sativus var sativ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97 Zn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07 ferment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95 investment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85 plastic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21 preser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070 ripen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8—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 A47J47/10—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with arrangements for keeping fresh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4—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deep-frozen articl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liquids, e.g. brin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6—Doors; Covers for open-top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발기 코일을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증발면적을 극대화하고, 최대의 냉각효율을 얻을 수 있으며, 용기의 제작시 변형을 최소화 한 김치저장고용 저장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한 본 발명의 김치냉장고용 저장용기는 냉장보관용 김치를 수납하기 위해 저장실(9, 90)을 형성하고 있는 저장용기(1, 10)로서, 상기 저장용기(10)의 상부 벽체(11)의 내부에는 코일형상의 증발기 코일(30)이 일체형으로 삽입되어 있다. 이런 본 발명의 김치냉장고용 저장용기는 다이케스트(die casting) 주조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이렇게 형성된 본 발명의 김치냉장고용 저장용기는 다이케스트 주조방법에 의해서, 증발기 코일을 벽체의 내부에 일체형으로 삽입시키고 있기 때문에, 최대의 냉각효율을 갖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김치냉장고용 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계실의 상부에서 다수의 저장용기들을 보관하고 있는 저장실을 안전하게 지지하는 김치냉장고용 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쌀을 주식으로 하는 나라의 음식 중에는 배추나 무우와 같은 야채류에 각종 양념을 첨가한 다음, 이를 적절히 숙성시켜 만든 딤채류가 발달되어 있다. 이러한 딤채류 중에서도 특히, 김치는 아주 오래 전부터 애용해 오는 발효식품으로서, 추운 겨울철에는 많은 양의 김치를 저장하였다가 조금씩 꺼내 먹기도 하였다. 냉장고가 없었던 과거에는 더운 여름철에 김치를 저장하기가 상당히 힘들었으나, 전기 냉장고의 등장으로 여름철에도 보다 오랜 기간동안 김치를 보관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냉장고를 자주 열고 닫는 과정에서 냉장고 내부온도가 심하게 변화되고, 김치를 다른 그릇에 담기 위해 냉장고 밖으로 김치통을 꺼내는 도중에 외부 공기와의 접촉에 의해서 김치의 보존 기간이 짧으며, 김치의 알맞은 숙성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기가 매우 어렵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계절의 변화 및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김치를 적당히 숙성시킨 다음, 적정온도로 유지하여 잘 익은 김치의 맛을 오랫동안 보존할 수 있는 김치냉장고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김치냉장고의 내부에는 냉각장치와 가열장치를 구비되어 있어, 초기에는 가열장치를 이용하여 빠른 시간 내에 저장용기에 저장되어 있는 김치를 기호에 맞게 숙성시킨 다음, 냉각장치를 이용하여 저장용기의 온도를 적정수준으로 유지함으로써, 김치의 맛과 신선도를 장기간 보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원리를 갖는 일반적인 김치냉장고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김치통(도시 안됨)을 수납하기 위해서, 저장용기(1)로 둘러싸인 저장실(9)과, 이런 저장실(9)의 하부에 배치된 기계실(2) 및, 단열재를 개재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저장용기(1)와 기계실(2)을 감싸고 있는 상자형상의 외부 케이싱(4)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런 외부 케이싱(4)의 안쪽으로 저장용기(1)의 둘레에는, 상기 기계실(2)에 장착된 응축기 코일에서 나온 냉매가 지나면서 열교환하여, 저장실(9)의 내부에 냉기를 전달하는 증발기 코일(3)들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런 김치냉장고는 힌지에 의해서 외부 케이싱(4)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8)를 구비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된 일반적인 김치냉장고는 차갑게 냉각된 냉매를 증발기 코일(3)에 공급하므로써, 저장용기(1)에 의해 형성된 저장실(9)의 내부에 냉기를 전달한다. 이때, 저장실(9)의 내부로 유입되는 냉기는 자연대류 및 전도에 의해서 저장실(9)의 내부와 김치통을 냉각시킨다.
종래 기술에 따른 김치냉장고용 저장용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크기의 용적을 갖는 저장실(9)을 형성하는 직사각 저장용기(1)이다. 이런 저장용기(1)는 플라스틱판 또는 철판 재질로서 프레스 딥 드로잉(press dip drawing) 공정에 의해서 형성된다.
여기에서, 프레스 딥 드로잉은 상온에서 편평한 판금 원판을 컵 모양 또는 바닥이 있는 용기 모양으로 압출하는 가공법을 의미한다.
이렇게 형성된 저장용기(1)는 김치냉장고에 장착시, 그 둘레에 파이프를 코일형상으로 형상시켜 냉매를 전달한 증발기 코일(3)을 감고 있다. 이런 경우, 증발기 코일(3)은 저장용기(1)의 바깥 표면에 면접촉 또는 선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증발기 코일(3)의 냉매는 상기 저장용기(1)의 접촉에 따른 열전달을 하고, 저장용기(1) 내부의 저장실(9)을 냉각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김치냉장고용 저장용기는 바깥 표면에서 증발기 코일과 면접촉 또는 선접촉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증발면적이 작아 손실 냉각 효율이 많은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김치냉장고용 저장용기는 프레스 딥 드로잉 작업시, 안쪽으로 빨리는 현상에 의해서, 저장용기의 표면이 안쪽으로 휘어지는 등과 같은 제품 불량으로 인하여, 증발기 코일과 밀착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김치냉장고용 저장용기는 저장용기의 외표면에 증발기 코일을 고정시켜야 하는 번거러운 제작작업으로 인하여, 많은 인력과 제작비의 상승의 요인이 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증발기 코일을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증발면적을 극대화하고, 최대의 냉각효율을 얻을 수 있으며, 용기의 제작시 변형을 최소화 한 김치저장고용 저장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김치냉장고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김치냉장고용 저장용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김치냉장고용 저장용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김치냉장고용 저장용기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저장용기 11 : 상부 벽체
30 : 증발기 코일 90 : 저장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냉장보관용 김치를 수납하기 위해 저장실을 형성하고 있는 저장용기인 김치냉장고용 저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의 상부 벽체의 내부에는 코일형상의 증발기 코일이 일체형으로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용 저장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저장용기는 주물사와 같은 플라스틱, 왁스 재질의 증발기 코일 형체를 상부 벽체의 내부에 삽입시키 제조되므로써, 상부 벽체의 내부에 냉매를 유동시킬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용기는 상기 증발기 코일을 일체형으로 삽입시키기 위해서, 다이케스트 주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김치냉장고용 저장용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도 3은 본 발명의 김치냉장고용 저장용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김치냉장고용 저장용기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에 보이듯이, 본 발명의 김치냉장고용 저장용기는 소정용량의 저장실(90)을 형성하는 저장용기(10)로서, 다이케스트(die casting) 주조방법에 의해 삽입된 코일형상의 증발기 코일(30)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다이케스트 주조방법은 정밀한 금형을 사용하여 자동 또는 수동으로 주탕하고, 탕에 압력을 가해서 주조하는 통상적인 정밀 주조 방법이다. 이런 다이캐스트는 정밀도가 높기 때문에 대부분 기계 다듬질할 필요가 없고, 알루미늄, 아연 합금의 주조에 많이 이용되며, 대량 생산에 적합한 주조방법이다.
이런 다이케스트 주조방법에 의해 증발기 코일(30)은 저장용기(10)의 상부 벽체(11) 내부에 삽입된 채로 저장용기(10)와 일체형으로 제조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저장용기(10)는 그 상부에서 바깥방향으로 돌출된 직사각 테두리(11)가 형성되어 있어서, 김치냉장고의 상면에 결합된다.
아래에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김치저장고용 저장용기의 결합관계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은 다이케스트 주조방법에 의해 제작된 본 발명의 저장용기(10)에는 상부 벽체(11)를 통과하는 방향으로 저장용기(10)의 둘레에 증발기 코일(30)이 삽입되어 있다. 이런 경우, 증발기 코일(30)은 저장용기의 상부 벽체(11)의 내부에 일체형으로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증발기 코일(30)을 통과하는 냉매의 접촉면적은 상대적으로 매우 증가된다. 또한, 증발기 코일(30)의 냉매는 표면적 전체를 통하여 저장용기(10)로 열전달할 수 있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김치냉장고용 저장용기는 증발기 코일을 벽체의 내부에 일체형으로 삽입시키고 있기 때문에, 최대의 냉각효율을 갖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김치저장고용 저장용기는 대량 생산과 정밀한 부품을 제조할 수 있는 다이케스트 주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되므로써, 저장용기의 표면이 안쪽으로 휘어지는 등과 같은 제품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김치저장고용 저장용기는 다이케스트 주조방법의 특성상 대량생산과 공장자동화가 가능하므로써, 인력 소비 및 제작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김치저장고용 저장용기는 부가적으로 증발기 코일을 벽체에 삽입시킨 형태를 취하지 않고, 냉매를 통과시킬 수 있는 공간을 일체형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장용기는 주물사와 같은 성격의 플라스틱, 왁스 재질의 증발기 코일 형체를 삽입시키고, 다이케스트 주조작업 후, 약간 고온으로 저장용기를 가열하면, 상기 왁스 재질의 증발기 코일 형상이 녹아 흘러내리므로써, 저장용기의 벽체에 냉매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런 경우에도, 본 발명의 김치저장고용 저장용기와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김치냉장고용 저장용기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2)
- 냉장보관용 김치를 수납하기 위해 저장실(9, 90)을 형성하고 있는 저장용기(1, 10)인 김치냉장고용 저장용기에 있어서,상기 저장용기(10)의 상부 벽체(11)의 내부에는 코일형상의 증발기 코일(30)이 일체형으로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용 저장용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저장용기(10)는 주물사와 같은 플라스틱, 왁스 재질의 증발기 코일 형체를 상기 상부 벽체(11)의 내부에 삽입시키 제조되므로써, 상기 상부 벽체의 내부에 냉매를 유동시킬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용 저장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50713A KR100333321B1 (ko) | 1999-11-15 | 1999-11-15 | 김치냉장고용 저장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50713A KR100333321B1 (ko) | 1999-11-15 | 1999-11-15 | 김치냉장고용 저장용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46809A KR20010046809A (ko) | 2001-06-15 |
KR100333321B1 true KR100333321B1 (ko) | 2002-04-25 |
Family
ID=19620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50713A KR100333321B1 (ko) | 1999-11-15 | 1999-11-15 | 김치냉장고용 저장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33332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06039B1 (ko) * | 2001-07-10 | 2003-11-17 |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 김치저장고의 저장실내 상하 온도편차 보상구조 |
KR102494787B1 (ko) * | 2018-03-13 | 2023-03-09 | (주)후앤파트너스 | 대류에 의한 열전달에 의해 제품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온도유지팩 |
-
1999
- 1999-11-15 KR KR1019990050713A patent/KR10033332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46809A (ko) | 2001-06-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567616Y2 (ja) | 漬け物室を備えた冷蔵庫 | |
JP3681356B2 (ja) | キムチ冷蔵庫 | |
CN106257169A (zh) | 用于制冰装置的冰盘以及制冰的方法 | |
KR100333321B1 (ko) | 김치냉장고용 저장용기 | |
KR100302859B1 (ko) | 김치냉장고 | |
KR100325379B1 (ko) | 김치 냉장고 | |
KR960001194Y1 (ko) | 김치실이 구비된 냉장고 | |
KR100345088B1 (ko) | 김치냉장고용 케이싱 | |
KR100297133B1 (ko) | 김치저장고의온도센서장착구조 | |
KR100595221B1 (ko) | 김치 냉장고 | |
KR100376790B1 (ko) | 김치저장고의 열교환기 | |
KR200264515Y1 (ko) | 김치냉장고의 증발기 일체형 저장케이스 | |
KR200184636Y1 (ko) | 김치 냉장고의 증발기 코일 조립구조 | |
KR100389400B1 (ko) | 직냉식 냉장고의 증발기 및 히터배치구조 | |
KR100482741B1 (ko) | 김치냉장고 | |
KR200279648Y1 (ko) | 김치냉장고 | |
KR100739186B1 (ko) | 김치냉장고 | |
KR200374048Y1 (ko) | 김치저장고용 인너케이스 구조 | |
KR100550269B1 (ko) | 업소용 테이블식 김치 냉장고의 구조 | |
CN2231666Y (zh) | 保鲜包装盒 | |
KR0117766Y1 (ko) | 냉장고의 김치실 응축수 배수장치 | |
JP2003172572A (ja) | 冷凍冷蔵庫 | |
JPH0519727Y2 (ko) | ||
JPH09126628A (ja) | 高湿度低温庫 | |
KR20000059477A (ko) | 김치 냉장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