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3302B1 - 스크립트 기반 실시간 캡션 시스템 및 스크립트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스크립트 기반 실시간 캡션 시스템 및 스크립트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3302B1
KR100333302B1 KR1019990010170A KR19990010170A KR100333302B1 KR 100333302 B1 KR100333302 B1 KR 100333302B1 KR 1019990010170 A KR1019990010170 A KR 1019990010170A KR 19990010170 A KR19990010170 A KR 19990010170A KR 100333302 B1 KR100333302 B1 KR 100333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ipt
file
time
digital content
ca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0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1254A (ko
Inventor
강춘운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10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3302B1/ko
Publication of KR20000061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1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3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33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8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for searching program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4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subti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개시된 스크립트 기반 실시간 캡션 시스템 및 스크립트 처리방법은 HTML과 유사한 형태를 갖는 SCHL을 이용하여 출력기기의 기종과는 무관하게 실행될 수 있는 캡션 데이터를 작성하고자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스크립트 기반 실시간 캡션 시스템 및 스크립트 처리방법은 서버에서 디지털 컨텐트에 부가적으로 첨가되는 캡션 데이터를 HTML과 유사한 형태를 갖는 SCHL을 이용하여 작성한 후 스크립트 파일로 생성하고, 이를 디지털 컨텐트의 전송포맷에 따라 전송 파일로 변환시켜 사용자의 다운로드신호에 의해 단말장치로 전송하고, 단말장치로 전송된 디지털 컨텐트를 실행시키는 경우, 이와 동시에 실시간으로 스크립트 파일을 실행시켜 화면상으로 캡션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처리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스크립트 기반 실시간 캡션 시스템 및 스크립트 처리방법{Real Time Caption System, based on Script and Script processing method}
본 발명은 서로 다른 기종의 출력기기에서 상호 호환 가능한 스크립트 기반 실시간 캡션 시스템 및 스크립트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HTML과 유사한 형태를 갖는 SCHL을 이용하여 출력기기의 기종과는 무관하게 실행될 수 있는 캡션 데이터를 작성하고자 하는 스크립트 기반 실시간 캡션 시스템 및 스크립트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캡션이라는 것은 방송에서부터 시작된 것으로 청각장애자들이 텔레비전 수상기를 통해 방송 인물들의 대사를 직접 청취할 수 없음을 해결하기 위해 방송 인물들의 대사에 해당하는 음성신호, 음성신호와 동일한 문자데이터 및 영상신호를 합성시켜 송출시키고, 텔레비전 수상기에서는 상술한 신호를 수신받아 영상, 음성신호에 동기된 문자데이터를 화면상으로 출력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상술한 캡션은 어학 학습용 비디오 테이프 교재나, 또는 노래반주시스템의 가사자막을 화면으로 표시하고자 이용되고 있으며, 이 이외에도 여러 분야에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방송, 비디오 테이프 교재, 노래반주 시스템에서 캡션 데이터를 어떠한 방식으로 처리하고 있는지를 언급하고자 한다.
먼저, 방송에서 이용되고 있는 캡션 데이터는 방송신호의 블랭킹구간에 실려 텔레비전 수상기로 전송되고, 텔레비전 수상기는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캡션용 디코더를 이용하여 캡션 데이터를 디코딩한 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이 때, 방송에서 이용되는 캡션 데이터는 다른 기종의 출력기기에서 수신받아 출력시켜 볼 수 없다. 특히 동일한 텔레비전 수상기라 하더라도 캡션용 디코더가 없는 경우 캡션 데이터를 화면상으로 볼 수 없다.
또한, 비디오용으로 제작되는 학습 교재에 이용되는 캡션 데이터는 오디오 데이터용 트랙, 비디오 데이터용 트랙처럼 별도의 트랙을 가지고 있거나, 또는 비디오 트랙에 소정의 블록단위로 기록되어 있다.
그러므로, 비디오 테이프 상에 기록된 캡션 데이터도 방송에 이용되는 캡션데이터와 마찬가지로 VTR에서만 재생시켜 볼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상술한 캡션 데이터가 노래반주시스템에 적용되는 경우인데, 노래반주시스템에 구비된 데이터중 가사정보가 캡션 데이터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캡션 데이터 중 노래반주시스템에 적용된 캡션 데이터는 특히 여러 가지 방식에 의해 스크립트 파일로 생성되고, 처리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스크립트 파일 생성 및 처리 방식에는 ISS(IMplay Sound System), OKM(OKSORI MIDI), Mr. MP3, SMIL(Synchronized Multimedia Integration Language)방식이 있다. 상술한 방식에 대해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ISS 방식은 파일을 순차적으로 읽어가면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스크립트 데이터를 출력해주는 방식이며, 스크립트 데이터를 갖는 ISS 파일과 미디데이터를 갖는 IMS 파일이 동시에 존재하며, 미디 데이터를 연주하면서 스크립트 데이터를 입력해서 ISS 파일을 생성하게 된다.
상술한 ISS 방식에 의해 생성된 ISS 파일이 ISM 파일과 함께 노래반주시스템에서 처리되는 과정을 첨부 도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노래반주 시수템의 사용자가 소정의 노래를 선곡하게 되면, 도면에 미도시된 노래반주시스템의 제어수단이 저장수단으로부터 사운드 데이터를 읽어들인(S10) 후, 그 사운드 데이터에 연계된 스크립트 데이터를 읽어(S20) 들인다.
그리고, 상술한 단계(S20)에서 읽어들인 스크립트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하기 위한 스크립트 테이블을 생성(S30)한다. 그리고, 사운드 데이터를 음원으로변환시켜 출력하는 재생과정 및 그 재생과정과 동시에 화면상으로 그 가사정보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스크립트 데이터를 출력(S40)한다.
둘째, OKM은 기본적으로는 ISS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다만 스크립트데이터가 미디 데이터와 함께 하나의 파일로 존재한다는 점이 ISS 방식과 다르다.
셋째, Mr. MP3은 MP3 파일을 이용하는 것으로, MP3 파일이 연주되고 있는 동안에 스크립트를 출력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술한 ISS 방식과 마찬가지로 MP3 파일이외에 외부에 스크립트 파일을 별도로 가지고 있으며, 이를 출력해 준다.
넷째, SMIL은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을 기반으로 하며,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태그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웹기반 멀티미디어 통합 언어로서, SMIL은 웹 상에 분산되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캡션 데이터에 여러 가지 효과를 주어 사용자에 보여주는 것이다.
물론, 상술한 모든 분야의 캡션 데이터는 캡션 데이터와 함께 입력되는 캡션데이터 제어신호에 의해 글자색, 글자크기, 출력되는 위치 등을 결정할 수 있으나,한번 결정된 캡션 데이터의 출력형태는 사용자에 의해 수정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술한 ISS, OKM, Mr. MP3 방식은 각각의 고유 포맷의 스크립트 파일을 사용함으로써, 다른 응용프로그램과 데이터를 공유할 수 없다. 즉, 기종이 서로 다른 출력기기는 그 기기에만 사용되는 이진 파일 포맷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입력한 데이터를 다른 기기에서 출력시켜 보고자 하는 경우 현재 작성된 파일을 그기기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형식의 이진파일로 변환시켜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SMIL은 전체 스크립트를 구성하고 있어 다양한 출력 형태를 구현할 수 있으나, 사운드 플레이어에 있어서 필요로 하는 태그를 지원하지 못하므로 미디에 따른 캡션데이터는 파일로 생성할 수 없는 것과 같이 모든 분야에서 폭넓게 사용할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출력기기의 기종에 무관하게 스크립트 파일을 실행시킬 수 있도록 HTML과 유사한 형태를 갖는 SCHL을 이용하여 스크립트 파일을 생성하고자 하는 스크립트 기반 실시간 캡션 시스템 및 스크립트 처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재생되는 음악에 부가되는 캡션 데이터 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립트 기반 실시간 캡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개략적인 도면,
도 3은 도 2에 적용된 서버의 내부를 본 발명에 의해 구현시키기 위해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에 적용된 단말장치의 내부를 본 발명에 의해 구현시키기 위해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립트 기반 실시간 캡션 시스템 및 스크립트 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도 6은 도 5에 적용된 테이블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작성된 스크립트 파일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과 같이 작성된 스크립트 파일이 실행되는 경우 화면의 출력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서버
110 : 파일 생성수단
120 : 전송 파일 생성수단
130 : 파일 전송수단
200 : 단말장치
21O : 저장수단
220 : 테이블 생성수단
230 : 캡션 스크립트 처리수단
240 : 캡션 스크립트 출력수단
250 : 스크립트 편집수단
300 : 통신망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정보 제공자가 캡션 데이터를 HTML과 유사한 형태를 갖는 SCHL를 이용하여 스크립트 파일로 생성하고, 생성된 스크립트 파일을 디지털 컨텐트와 함께 전송될 수 있도록 전송 파일 포맷에 따라 변환시키며, 사용자의 다운로드신호에 따라 선택된 디지털 컨텐트와 함께 스크립트 파일을 전송하는 서버와, 서버에서 제공하는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된 파일로부터 디지털 컨텐트 및 캡션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소정 브라우져가 장착된 단말장치와, 서버와 단말장치가 상호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망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저장수단의 디지털 컨텐트를 선택하고, 선택된 디지털 컨텐트를 실행시키기 위한 오픈신호를 입력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와, 제 1 단계의 판단 결과, 디지털 컨텐트를 실행시키기 위한 오픈신호가 입력된 경우 선택된 디지털 컨텐트에 스크립트 파일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와, 제 2 단계의 판단 결과 스크립트 파일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저장수단으로부터 선택된 스크립트 파일을 읽어들이는 제 3 단계와, 제 3 단계에서 읽어들인 스크립트 파일을 실시간으로 처리하기 위한 테이블을 생성하는 제 4 단계와, 제 4 단계에서 테이블 생성된 후에 디지털 컨텐트를 실행시키는 제 5 단계와, 제 5 단계에서 생성된 테이블 내에 시간요소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제 6 단계와, 제 6 단계의 판단 결과, 시간요소가 존재하는 경우, 시간에 해당하는 캡션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7 단계와, 제 6 단계의 판단 결과, 생성된 테이블 내에 더 이상의 시간요소가 없는 경우, 종료인지를 판단하여 종료이면 종료하고, 종료가 아닌 경우 시간요소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제 6 단계부터 재 수행하는 제 8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즉, 본원 발명은, MP3, MPEG 등의 디지털 컨텐트에 대한 자막 정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SCHL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SCHL 파일에서는 상술한 디지털 컨텐츠를 호출하여 출력함과 동시에, SCHL 파일에 기 작성된 스크립트에 의하여 출력되는 디지털 컨텐츠의 비디오 정보위에 자막 정보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하드웨어의 변경 없이 단지 소프트웨어 적으로, 이 기종에 독립적인 자막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이전에 본 발명에 적용된 SCHL(Synchronized Caption Handling Language)에 대해서 설명하면, 상술한 SCHL은 전술한 SGML과 마찬가지로 HTML과 유사한 태그(tag)를 사용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SGML이 분산되어 있는 파일을 이용해서 여러 가지 효과를 주는 반면, SCHL은 일반적인 디지털 컨텐트뿐만 아니라 암호화된 디지털 컨텐트의 파일 내에 리소스(Resource)를 저장하여 저장된 리소스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효과를 부여하는 언어이다.
또한, SCHL은 기본적으로 HTML 태그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으며, 필요로 하는 태그 수가 극히 적으므로 정보 제공자는 스크립트 파일을 쉽게 작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이미 작성된 스크립트 파일을 쉽게 편집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립트 기반 실시간 캡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개략적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제공자가 HTML과 유사한 형태를 갖는 SCHL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캡션 데이터를 스크립트 파일로 생성하여 디지털 컨텐트와 함께 전송될 수 있도록 전송 파일 포맷에 따라 파일로 변환시켜 저장하고, 다운로드신호에 따라 선택된 파일을 전송하는 서버(100)와, 상술한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된 파일로부터 디지털 컨텐트 및 캡션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말장치(200)와, 상술한 서버(100)와 단말장치(200)가 상호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망(300)으로 이루어진다.
도 3은 도 2에 적용된 서버의 내부를 본 발명에 의해 구현시키기 위해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서버(1OO)는 정보 제공자가 HTML과 유사한 형태를 갖는 SCHL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캡션 데이터를 스크립트 파일로 생성하는 파일생성수단(110)과, 별도로 입력되는 디지털 컨텐트에 상술한 파일생성수단(110)에서 스크립트 파일로 생성된 캡션 데이터를 부가시켜 전송 파일 포맷에 따라 전송 파일을생성하는 전송 파일 생성부(120)와, 상술한 단말장치(200)의 다운로드신호에 따라 선택된 전송 파일 생성부(120)의 전송 파일을 통신망(300)을 통해 전송하는 파일전송 수단(130)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파일로 생성된 캡션 데이터는 서로 다른 기종의 출력기기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XML 및 HTML의 형태와 유사한 형태를 갖는 SCHL를 이용하여 스크립트로 작성된다.
도 4는 도 2에 적용된 단말장치의 내부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단말장치(2OO)는 상술한 통신망(3OO)을 통해 서버(100)에서 제공되는 파일을 저장하는 저장수단(210)과, 사용자의 오픈신호에 따라 선택된 파일을 저장수단(210)으로부터 읽어들여 개체를 추출하여 테이블을 생성하는 테이블 생성수단(220)과, 상술한 테이블 생성수단(220)에 의해 생성된 테이블에 따라 파일 내에 적용된 스크립트를 해석하여 처리하는 스크립트처리수단(230)과, 상술한 스크립트 처리수단(230)에 의해 처리된 스크립트를 화면상으로 표출되도록 하는 스크립트 출력수단(240)과, 사용자의 오픈신호에 의해 저장수단으로부터 읽어들인 파일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입력되는 편집신호에 의해 스크립트를 편집하는 스크립트 편집수단(250)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저장수단(210)으로부터 읽어들여지는 파일은 디지털 컨텐트와 함께 전송파일 포맷에 따라 서버(100)로부터 전송된 스크립트 파일로서, 현재 실행시키고자 하는 디지털 컨텐트를 지원하기 위한 캡션 데이터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버(1O0) 및 단말장치(2OO)에 구비된 각 수단들은 단말장치(200)가 가지고 있는 제어수단을 그 기능에 따라 나누어준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립트 기반 실시간 캡션 시스템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립트 기반 실시간 캡션 시스템 및 스크립트 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된 서버(1OO) 및 통신망(3OO)을 통해 단말장치(200)는 서버(100)에 의해 작성된 디지털 컨텐트를 통신상에서 선택하여 다운로드 받는다.
이렇게 다운로드 된 디지털 컨텐트는 단말장치(2OO)의 저장수단(1OO)에 저장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장치(200)의 테이블 생성수단(22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서버(100)로부터 전송되어 저장수단(210)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트가 선택되고, 선택된 디지털 컨텐트를 실행시키기 위한 오픈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S400)한다.
상술한 단계(S400)의 판단 결과, 디지털 컨텐트를 실행시키기 위한 오픈신호가 입력된 경우 선택된 디지털 컨텐트에 스크립트 파일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S410)한다.
한편, 상술한 디지털 컨텐트는 서버(1OO)에서 제공하는 순수한 데이터만을 가지고 있을 수 있으나, 단말장치(200)의 사용자에게 상술한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부가정보들 중 캡션 데이터를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이때 캡션 데이터를 표현하기 위한 부가정보는 SCHL로 작성된 스크립트 파일형태로 존재한다.
만약, 상술한 디지털 컨텐트가 음악파일인 경우 부가정보로 가사정보를 가질수 있으며, 디지털 컨텐트가 어학 학습용 파일인 경우 그 영어 자막정보를 부가정보로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가사정보 또는 영어 자막정보 등과 같은 정보를 스크립트 파일로 작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이렇게 제공된 스크립트 파일을 필요에 따라 사용자는 화면상으로 출력시켜 볼 수 있으며, 또한, 필요에 따라서스크립트 파일 자체를 편집도 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단계(S410)의 판단 결과, 스크립트 파일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저장수단(210)으로부터 선택된 스크립트 파일을 읽어(S420) 들이고, 저장수단(210)으로부터 읽어들인 스크립트 파일을 실시간으로 처리하기 위한 테이블을 생성(S430)하고, 디지털 컨텐트를 실행(S440)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컨텐트를 실행(S440)시킴과 동시에 상술한 단계(S440)에서 생성된 테이블 내에 시간요소가 존재하는지를 판단(S450)하고, 판단 결과 시간요소가 존재하는 경우, 시간에 해당하는 캡션 데이터를 출력(S460)한다.
한편 상술한 단계(S450)의 판단 결과, 생성된 테이블 내에 더 이상의 시간요소가 없는 경우, 스크립트 파일 내의 명령어를 체크하여 종료인지를 판단(S470)하고, 판단 결과 종료인 경우 스크립트 출력모드를 해제한 후 종료하고, 그렇지 않은경우 또 다른 시간요소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450)로 복귀하여 재 수행한다.
도 6은 도 5에 적용된 테이블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동작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테이블 생성단계(S430)는, 저장수단(210)으로부터 스크립트 파일을 읽어들이고, 이 스크립트 파일로부터 각 개체를 추출(S431)하고, 추출된 각 개체를 실시간으로 처리하기 위한 테이블을 생성(S432)한다.
상술한 개체라 하면 전술한 시간요소 및 그 제어명령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그 상세한 설명한 전술한 내용의 반복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테이블로 생성된 개체들이 SCHL에 적용되고 있는 스크립트명령어인지를 체크(S433)하고, 체크 결과 스크립트 명령어만이 사용된 경우 스크립트 파일을 구성하고 있는 프로그램이 SCHL에 적용되고 있는 스크립트 문법만을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는지를 체크(S434)한다.
상술한 과정을 거쳐 스크립트 파일에 에러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상술한 테이블에 따라 캡션 스크립트 처리수단(230)을 통해 스크립트를 처리하고, 재생되는 디지털 컨텐트에 동기된 캡션 데이터가 캡션 스크립트 출력수단(240)을 통해 화면상으로 출력(S435)되도록 한다.
만약, 전술한 단계(S433)(S434)에서 적합하지 않은 명령어가 사용되었거나, 또는 적합하지 않은 문법이 사용된 경우 정상 동작을 수행할 수 없음을 알리는 에러 메시지를 출력(S436)한 후 종료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작성된 스크립트 파일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캡션 데이터가 출력되는 시간을 나타내기 위한 시간요소 및 그 시간에 출력되는 캡션 데이터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서, 여기서는 캡션 데이터가 출력되는 시점만을 나타내고 있으나, 시간요소 <time> 뒤에 캡션 데이터의문자색 및 출력위치를 변경시키기 위한 요소들을 추가시킬 수 있으며, 상술한 기능 이외에 또 다른 요소를 추가시켜 캡션 데이터의 출력형태를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다.
그러므로, 서버(1OO)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사용자가 텍스트 데이터 앞에 작성되는 스크립트 명령어에 따른 제어데이터를 변경시켜 줌으로써 화면상에 출력되는 캡션 데이터의 출력형태를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변경할 수 있다.
도 8은 도 7과 같이 작성된 스크립트 파일이 실행되는 경우 화면의 출력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노래의 가사정보가 도 7에서와 같이 시간요소에 따라서 화면에 출력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MP3으로 작성된 노래인 디지털 컨텐트가 재생되고 난 후 44초 후에 화면상으로 출력되는 가사정보를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지털 컨텐트에 부가되는 캡션 데이터를 HTML과 유사한 형태를 갖는 SCHL을 이용하여 작성함으로써 서로 다른 기종에서도 쉽게 실행시켜 캡션 데이터를 화면상으로 표출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에 캡션 데이터를 좀더 효과적으로 볼 수 있도록 그 출력형태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스크립트 파일을 사용자가 쉽게 편집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정보 제공자가 SCHL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캡션 데이터를 파일로 생성하여 디지털 컨텐트와 함께 전송될 수 있도록 전송 파일 포맷에 따라 파일로 변환시켜 저장하고, 다운로드신호에 따라 선택된 파일을 전송하는 서버;
    상기 서버에서 제공하는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된 파일로부터 디지털 컨텐트 및 캡션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소정 브라우져가 장착된 단말장치; 및
    상기 서버와 단말장치가 상호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망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립트 기반 실시간 캡션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정보 제공자가 태그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캡션 데이터를 파일로 생성하는 파일생성수단;
    별도로 입력되는 디지털 컨텐트에 상기 파일생성수단에서 파일로 생성된 캡션 데이터를 부가시켜 전송 파일 포맷에 따라 전송 파일을 생성하는 전송 파일 생성부; 및
    상기 단말장치의 다운로드신호에 따라 선택된 전송 파일 생성부의 전송 파일을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파일 전송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립트 기반 실시간 캡션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로 생성된 캡션 데이터는,
    서로 다른 기종의 출력기기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스크립트 파일로 작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립트 기반 실시간 캡션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통신망을 통해 서버에서 제공되는 파일을 저장하는 저장수단;
    사용자의 오픈신호에 따라 선택된 파일을 저장수단으로부터 읽어둘여 파일 내에 적용된 개체를 추출하여 테이블을 생성하는 테이블 생성수단;
    상기 테이블 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테이블에 따라 파일 내에 적용된 스크립트를 해석하여 처리하는 스크립트 처리수단; 및
    상기 스크립트 처리수단에 의해 처리된 스크립트를 화면상으로 표출되도록 하는 스크립트 출력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립트 기반 실시간 캡션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사용자의 오픈신호에 의해 저장수단으로부터 읽어들인 파일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입력되는 편집신호에 의해 스크립트를 편집하는 스크립트 편집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립트 기반 실시간 캡션 시스템.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 읽어들여지는 파일은, 디지털 컨텐트를 지원하기 위한 캡션 데이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립트 기반 실시간 캡션 시스템.
  7. 사용자에 의해 저장수단의 디지털 컨텐트를 선택하고, 선택된 디지털 컨텐트를 실행시키기 위한 오픈신호를 입력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판단 결과, 디지털 컨텐트를 실행시키기 위한 오픈신호가 입력된 경우 선택된 디지털 컨텐트에 스크립트 파일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의 판단 결과 스크립트 파일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저장수단으로부터 선택된 스크립트 파일을 읽어들이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에서 읽어들인 스크립트 파일을 실시간으로 처리하기 위한 테이블을 생성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4 단계에서 테이블 생성된 후 디지털 컨텐트를 실행시키는 제 5 단계;
    상기 제 5 단계에서 생성된 테이블 내에 시간요소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제 6 단계;
    상기 제 6 단계의 판단 결과, 시간요소가 존재하는 경우, 시간에 해당하는 캡션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7 단계; 및
    상기 제 6 단계의 판단 결과, 생성된 테이블 내에 더 이상의 시간요가 없는 경우, 종료인지를 판단하여 종료된 경우 종료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시간요소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제 6 단계부터 재 수행하는 제 8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립트 기반 실시간 캡션 시스템 및 스크립트 처리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저장수단으로부터 읽어들인 스크립트 파일로부터 각 개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추출된 각 개체를 실시간으로 처리하기 위한 테이블로 생성하는 단계;
    상기 테이블로 생성되는 스크립트 파일에 적합한 명령어를 사용하고 있는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단계의 체크 결과, 적합한 명령어만이 사용된 경우 스크립트 파일을 구성하고 있는 프로그램이 적합한 문법을 사용하고 있는지를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체크 결과, 적합한 문법만을 사용하는 경우 정상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립트 기반 실시간 캡션 시스템 및 스크립트 처리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적합하지 않은 명령어가 사용되었거나, 또는 적합하지 않은 문법이 사용된 경우 정상 동작을 수행할 수 없음을 알리는 에러 메시지를 출력한 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립트 기반실시간 캡션 시스템 및 스크립트 처리방법.
KR1019990010170A 1999-03-24 1999-03-24 스크립트 기반 실시간 캡션 시스템 및 스크립트 처리방법 KR100333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0170A KR100333302B1 (ko) 1999-03-24 1999-03-24 스크립트 기반 실시간 캡션 시스템 및 스크립트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0170A KR100333302B1 (ko) 1999-03-24 1999-03-24 스크립트 기반 실시간 캡션 시스템 및 스크립트 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1254A KR20000061254A (ko) 2000-10-16
KR100333302B1 true KR100333302B1 (ko) 2002-04-24

Family

ID=19577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0170A KR100333302B1 (ko) 1999-03-24 1999-03-24 스크립트 기반 실시간 캡션 시스템 및 스크립트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330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4520A (ja) * 1995-09-05 1997-03-18 Osamu Ando 字幕入れ用データの作成方法とその装置
JPH10294896A (ja) * 1997-04-18 1998-11-0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字幕情報付きディジタル情報処理方法及び装置
JPH10320317A (ja) * 1997-05-15 1998-12-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クリプトメール送信方法およびスクリプトメール受信方法およびスクリプトメール送受信方法
US5854930A (en) * 1996-12-30 1998-12-29 Mci Communications Corporations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cript process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4520A (ja) * 1995-09-05 1997-03-18 Osamu Ando 字幕入れ用データの作成方法とその装置
US5854930A (en) * 1996-12-30 1998-12-29 Mci Communications Corporations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cript processing
JPH10294896A (ja) * 1997-04-18 1998-11-0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字幕情報付きディジタル情報処理方法及び装置
JPH10320317A (ja) * 1997-05-15 1998-12-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クリプトメール送信方法およびスクリプトメール受信方法およびスクリプトメール送受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1254A (ko) 200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7126B1 (ko) 음성 xml 파일을 자동적으로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시스템
US7234104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oring multimedia contents description metadata
RU2292584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инхронизации интерактивного содержимого
KR20040083350A (ko) 복합 미디어 콘텐츠의 변환 장치 및 변환 방법과 복합미디어 콘텐츠 변환 프로그램
JPH11249867A (ja) 音声ブラウザシステム
EP1964406A1 (en) Triggerless interactive television
JP2005158015A (ja)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
JP2007067595A (ja) 番組情報の通知方法
JP2011030224A (ja) マルチメディア字幕表示システム及びマルチメディア字幕表示方法
JP2001024610A (ja) 自動番組制作装置および自動番組制作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0333302B1 (ko) 스크립트 기반 실시간 캡션 시스템 및 스크립트 처리방법
JP3968515B2 (ja) 電子機器装置及びプログラム生成方法
KR20040058263A (ko) 스케일러블 브라우저
JP2005141424A (ja) 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KR20010038854A (ko) 악보와 가사가 함께 제공되는 음악 파일 형식 및 제공 방법
JP4587966B2 (ja) データ処理装置
KR10045515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smil 메시지 생성방법
WO2023132140A1 (ja) プログラム、ファイル生成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4796466B2 (ja) コンテンツ管理サーバ、コンテンツ提示装置、コンテンツ管理プログラム、及びコンテンツ提示プログラム
KR20030040929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재생방법
KR20020031902A (ko) 멀티미디어 자료와 웹 컨텐츠의 시간에 의한 동기화 방법
KR20180036197A (ko) 스크립트 길이 기반의 장면 인식 방법 및 시스템
KR20020036895A (ko)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
KR100738695B1 (ko) 학습컨텐츠 편집시스템 및 방법
KR100585711B1 (ko) 오디오 및 음성 합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