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3291B1 - 자동차용 배기 파이프 지지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배기 파이프 지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3291B1
KR100333291B1 KR1019990068193A KR19990068193A KR100333291B1 KR 100333291 B1 KR100333291 B1 KR 100333291B1 KR 1019990068193 A KR1019990068193 A KR 1019990068193A KR 19990068193 A KR19990068193 A KR 19990068193A KR 100333291 B1 KR100333291 B1 KR 100333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exhaust pipe
hanger
support structure
muff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8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0081A (ko
Inventor
윤경식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90068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3291B1/ko
Publication of KR20010060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0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3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32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F01N13/1811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9/00Electrical control of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저면에 설치되는 배기 파이프의 지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머플러 및 배기 파이프의 진동이 가변되는 것에 따라 행거의 설치 위치가 가변됨으로써, 진동 감쇄 효과가 항상 최대로 유지되도록 구성된 자동차용 배기 파이프 지지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디와 배기 파이프(51) 및 머플러의 사이에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는 행거(53)를 설치하여 구성한 자동차용 배기 파이프 지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바디에 순차 설치됨과 아울러 배기 파이프(51) 및 머플러 측면에 위치되는 다수의 진동 감지 센서(1)와, 상기한 진동 감지 센서(1)에서 진동 신호를 인가받아 최대 진동점을 찾는 콘트롤 유닛(2)과, 상기한 최대 진동점에 따른 콘트롤 유닛(2)에서의 제어 신호에 의해 행거(53)를 이동시켜 지지점을 가변시키는 가변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배기 파이프 지지 구조{SUPPORT STRUCTURE OF EXGAUST PIPE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지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저면에 설치되는배기 파이프의 지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엔진의 폭발에서 발생되는 고온, 고압인 연소 가스가 대기중으로 방출될 때, 폭발음 발생을 방지함과 아울러 유해 가스의 방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기 장치가 설치되어 있게 된다.
상기한 배기 장치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의 배기 매니폴드(50)에 연결되어 있는 배기 파이프(51)와, 상기한 배기 파이프(51)의 중간 부분에 연결되어 연소 가스가 통과하도록 설치된 머플러(52)로 이루어져 있는 바, 상기한 머플러(52)를 고정시키도록 배기 파이프(51)와 프레임(또는 플로워) 사이에 행거(5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행거(53)의 설치 상태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 파이프(51) 또는 머플러에 고정 설치된 후크(54)가 일측 고정공(55)에 삽입되어 있고, 타측 고정공(55')에 프레임 또는 플로워(56)에 고정된 고정봉(57)이 삽입되어 있다.
즉, 상기한 행거(53)의 고정공(55, 55')에 후크(54)와 고정봉(57)을 삽입하여 고정하게 되는 바, 상기한 행거(53)가 고무 재질등과 같은 진동 감쇄 가능한 재질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한 차량 진동 시 또는 배기에 의한 진동 시 이를 흡수하여 진동 감쇄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행거(53)의 설치 장소는 머플러 및 배기 파이프(51)의 진동이 가장 심한 장소를 찾고, 상기한 장소에 행거(53)를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머플러 및 배기 파이프를 지지하는 행거를 일정 위치에고정시키게 되면, 상기한 머플러 및 배기 파이프의 진동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진동 감쇄 효과가 낮고 이로 인해 바디에 전달되는 진동이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한 머플러 및 배기 파이프를 통과하는 배기는 엔진 RPM에 따라 진동이 상이하게 되는 바, 이에 따라 진동이 가장 크게 일어나는 위치가 항상 가변되기 때문에, 고정된 위치에서 배기 파이프 및 머플러를 지지하게 되면, 진동 감쇄 효과가 낮아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머플러 및 배기 파이프의 진동이 가변되는 것에 따라 행거의 설치 위치가 가변됨으로써, 진동 감쇄 효과가 항상 최대로 유지되도록 구성된 자동차용 배기 파이프 지지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디와 배기 파이프 및 머플러의 사이에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는 행거를 설치하여 구성한 자동차용 배기 파이프 지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바디에 순차 설치됨과 아울러 배기 파이프 및 머플러 측면에 위치되는 다수의 진동 감지 센서와, 상기한 진동 감지 센서에서 진동 신호를 인가받아 최대 진동점을 찾는 콘트롤 유닛과, 상기한 최대 진동점에 따른 콘트롤 유닛에서의 제어 신호에 의해 행거를 이동시켜 지지점을 가변시키는 가변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배기 파이프 지지 구조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
도2는 도1에서 행거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도2의 조립 정면도,
도4는 일반적인 자동차에서 배기 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5는 도4에서 배기 파이프가 행거에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진동 감지 센서 2: 콘트롤 유닛
3: 액츄에이터 4: 로드
5: 힌지 6: 보조 후크
51: 배기 파이프 53: 행거
54: 후크
도1과 도2와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배기 파이프 지지 구조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와 분해 사시도와 조립 정면도로서, 배기 파이프(머플러)(51) 측면에 위치되도록 플로워(56) 저면에 순차 설치된 다수의 진동 감지 센서(1)와, 상기한 진동 감지 센서(1)에서 진동 신호를 인가받아 최대 진동점을 찾는 콘트롤 유닛(2)과, 상기한 최대 진동점에 따른 콘트롤 유닛(2)에서의 제어 신호에 의해 행거(53)를 이동시켜 지지점을 가변시키는 가변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가변 수단은 플로워(56) 저면 또는 프레임에 고정 설치된 액츄에이터(3)와, 상기한 액츄에이터(3)의 로드(4)가 일측 고정공(55)에 결합된 행거(53)와, 상기한 행거(53)의 타측 고정공(55')에 삽입됨과 아울러 배기 파이프(51)에 설치된 후크(54)와 힌지(5)로 결합되어 회전되면서 행거(53)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보조 후크(6)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한 진동 감지 센서(1)에서 최대 진동점을 찾게 되면, 상기한 콘트롤 유닛(2)이 액츄에이터(3)를 동작시켜 상기한 행거(53)를 최대 진동점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진동 감쇄 효과를 최대 상태로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차량 주행중 배기 파이프(51) 또는 머플러의 측면에 설치된 다수의 진동 감지 센서(1)가 진동을 감지하게 된다.
다수의 진동 감지 센서(1)가 진동을 감지하여 이에 따른 신호를 콘트롤 유닛(2)에 전달하게 되는 바, 콘트롤 유닛(2)은 상기한 신호중에서 최대 진동 위치를 찾게 된다.
콘트롤 유닛(2)이 최대 진동점을 찾게 되면, 상기한 콘트롤 유닛(2)에 이에 따른신호를 전달하게 되고, 콘트롤 유닛(2)은 상기한 액츄에이터(3)를 동작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행거(53)가 도1에서 우측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다수의 진동 감지 센서(1)중 중간 부분에 위치된 진동 감지 센서(1)가 최대 진동점이 되면, 상기한 액츄에이터(3)를 동작시켜 행거(53)를 밀게 된다.
액츄에이터(3)가 행거(53)를 밀게 되면, 상기한 행거(53)의 일측 고정공(55')에 끼워진 보조 후크(6)도 같이 이동하게 되는 바, 상기한 보조 후크(6)는 후크(54)와 힌지(5)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되면서 위치 이동 가능하게 된다.
물론, 상기한 보조 후크(6)의 길이는 상기한 다수의 진동 감지 센서(1) 전체를 커버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하게 제작된다.
액츄에이터(3)가 행거(53)를 밀어서 보조 후크(6)가 이동하게 되면, 실질적으로 상기한 행거(53) 전체가 이동된 상태가 되는 바, 배기 파이프(51) 및 머플러를 지지하는 지지점이 상기한 위치로 이동한 것이 된다.
지지점이 최대 진동점으로 판단되는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한 행거(53)에서 진동을 흡수 또는 감쇄시키는 효율이 항상 최대 상태가 되는 것이다.
즉, 상기한 행거(53)는 차량 주행 상태에 따라 최대 진동점이 변하는 것을 콘트롤 유닛(2)에서 판별하고, 이에 따라 최대 진동 위치로 항상 이동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배기 파이프(51) 및 머플러에서의 진동을 최대로 감쇄시켜 바디(플로워)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극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배기 파이프 및 머플러를 지지하는 행거가 항상 최대 진동점이 되는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차량 주행 상태에 관계없이 바디에 전달되는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바디와 배기 파이프 및 머플러의 사이에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는 행거를 설치하여 구성한 자동차용 배기 파이프 지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바디에 순차 설치됨과 아울러 배기 파이프 및 머플러 측면에 위치되는 다수의 진동 감지 센서와, 상기한 진동 감지 센서에서 진동 신호를 인가받아 최대 진동점을 찾는 콘트롤 유닛과, 상기한 최대 진동점에 따른 콘트롤 유닛에서의 제어 신호에 의해 행거를 이동시켜 지지점을 가변시키는 가변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배기 파이프 지지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가변 수단은 바디에 고정 설치된 액츄에이터와, 상기한 액츄에이터의 로드가 일측 고정공에 결합된 행거와, 상기한 행거의 타측 고정공에 삽입됨과 아울러 배기 파이프에 설치된 후크와 힌지로 결합되어 회전되면서 행거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보조 후크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배기 파이프 지지 구조.
KR1019990068193A 1999-12-31 1999-12-31 자동차용 배기 파이프 지지 구조 KR100333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8193A KR100333291B1 (ko) 1999-12-31 1999-12-31 자동차용 배기 파이프 지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8193A KR100333291B1 (ko) 1999-12-31 1999-12-31 자동차용 배기 파이프 지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0081A KR20010060081A (ko) 2001-07-06
KR100333291B1 true KR100333291B1 (ko) 2002-04-25

Family

ID=19635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8193A KR100333291B1 (ko) 1999-12-31 1999-12-31 자동차용 배기 파이프 지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32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19573B4 (de) * 2017-11-03 2021-11-11 Cisma Solutions Aps Auspuffblende mit Schallquel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0081A (ko) 200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1191424A (ja) パワ−ユニツトの制振装置
EP2381128A1 (en) Vehicle-mounted active vibration reducing device
KR20020031671A (ko) 배기파이프 구조
KR100333291B1 (ko) 자동차용 배기 파이프 지지 구조
US7597173B2 (en) Device for coupled attachment of an exhaust system 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848733B1 (ko) 자동차의 배기장치 행거러버
JP4736917B2 (ja) 内燃機関の懸架装置
JPH0532332Y2 (ko)
KR101189564B1 (ko) 자동차 배기계용 러버행거
JPS6353146A (ja) 自動車の室内騒音低減装置
KR100362712B1 (ko) 차량 배기계 장착장치
GB2262584A (en) Power unit mounting device for automotive vehicle
KR100336118B1 (ko) 프로펠러 샤프트의 진동 저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64075A (ko) 자동차 배기계의 액티브 댐퍼장치
KR20020044783A (ko) 배기 파이프용 행거
KR100279479B1 (ko) 자동차 배기계의 진동 저감장치
KR20020058894A (ko) 파워 트레인 진동 제어방법 및 시스템
JPH01240717A (ja) 自動車の振動減衰装置
KR0172571B1 (ko) 자동차용 머플러의 레저네이터 장치
KR970065082A (ko) 자동차용 변속레버의 진동방지장치
KR100275662B1 (ko) 자동차 배기장치의 선택적 고정구조
KR20040041361A (ko) 차량용 머플러
KR100316960B1 (ko) 자동차용 다이나믹 댐퍼
KR19990034307A (ko) 차량용 흡기계통의 레조네이터
JPS633232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