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1361A - 차량용 머플러 - Google Patents

차량용 머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1361A
KR20040041361A KR1020020069715A KR20020069715A KR20040041361A KR 20040041361 A KR20040041361 A KR 20040041361A KR 1020020069715 A KR1020020069715 A KR 1020020069715A KR 20020069715 A KR20020069715 A KR 20020069715A KR 20040041361 A KR20040041361 A KR 20040041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baffle
pipe
muffl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9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동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9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1361A/ko
Publication of KR20040041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1361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16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movable parts
    • F01N1/165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movable parts for adjusting flow are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70/00Structure or shape of gas passages, pipes or tubes
    • F01N2470/02Tubes being perfor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30/00Selection of materials for tubes, chambers or housings
    • F01N2530/22Flexible elastomeric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5/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ombined or associated with devices profiting by exhaust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의 배기가스가 제공하는 유동압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배기가스가 통과하는 유로의 형상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머플러를 제공하여, 간단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엔진의 운전상태에 따라 자동적으로 머플러의 내부구조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소음특성과 배압특성을 엔진의 운전상태에 따라서 최적의 상태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머플러{muffler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되어 엔진의 배기소음을 저감시키도록 하는 머플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의 운전상태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그 소음특성 및 배압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배기시스템은 엔진에서 연료의 연소에 의해 생성되는 고온 고압의 가스를 적절히 안내함과 아울러, 이때 발생되는 연소음을 감쇄시키는 작용을 하는바, 이와 같은 배기시스템의 주요 특성은 소음특성과 배압특성이 있어서 소음저감과 배압저감을 위해 머플러나 파이프의 형상을 최적화하도록 노력해 왔다.
또한,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노력의 일환으로 머플러의 내부에 밸브를 설치하여 저속영역에서는 밸브를 닫고 고속영역에서는 밸브를 열어 저속시와 고속시의 상반되는 두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도록 한 것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가변머플러는 상기한 바와 같이 밸브의 개폐에 의해서만 그 구조가 변경되며, 저회전수와 고회전수의 두 가지 모드로만 밸브를 제어하게 되므로 실제 엔진의 전 운전영역에서 최적의 성능을 제공할 수는 없으며, 비교적 복잡하고 고가의 밸브 및 제어장치가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간단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엔진의 운전상태에 따라 자동적으로 머플러의 내부구조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소음특성과 배압특성을 최적의 상태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머플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머플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가동파이프와 중간파이프 및 지지파이프가 스프링에 의해 탄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머플러가 엔진이 고회전수로 운전될 때의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머플러하우징3; 가스통과홀
5; 제1배플7; 개폐플랜지
9; 가스유동로11; 가동파이프
13; 바이패스홀15; 지지파이프
17; 제2배플19; 중간파이프
21; 지지플랜지23; 중간플랜지
25; 제2스프링27; 제3스프링
29; 제1스프링31; 다공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용 머플러는 배기가스가 통과하도록 형성된 가스통과홀을 구비한 제1배플과;
상기 제1배플의 가스통과홀을 통과하는 배기가스의 유동압력을 받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가스통과홀을 감싸도록 형성된 개폐플랜지와, 상기 가스통과홀을 통과한 가스를 통과시키는 가스유동로를 구비한 가동파이프와;
상기 가동파이프가 상기 제1배플에 수직한 방향으로 직선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가동파이프 지지수단과;
상기 가동파이프의 개폐플랜지가 상기 제1배플의 가스통과홀을 감싸는 상태가 되도록 탄지하는 탄지수단과;
상기 가스통과홀을 통과한 배기가스가 상기 가스유동로를 바이패스하도록 형성된 바이패스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머플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머플러하우징(1)의 내측에 고정되어 배기가스가 통과하도록 형성된 가스통과홀(3)을 구비한 제1배플(5)과, 상기 제1배플(5)의 가스통과홀(3)을 통과하는 배기가스의 유동압력을 받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가스통과홀(3)을 감싸도록 형성된 개폐플랜지(7) 및 상기 가스통과홀(3)을 통과한 가스를 통과시키는 가스유동로(9)를 구비한 가동파이프(11)와, 상기 가동파이프(11)가 상기 제1배플(5)에 수직한 방향으로 직선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가동파이프 지지수단과, 상기 가동파이프(11)의 개폐플랜지(7)가 상기 제1배플(5)의 가스통과홀(3)을 감싸는 상태가 되도록 탄지하는 탄지수단과, 상기 가스통과홀(3)을 통과한 배기가스가 상기 가스유동로(9)를 바이패스하도록 형성된 바이패스홀(13)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가동파이프(11)의 외측에 삽입된 지지파이프(15)와, 상기 지지파이프(15)를 고정하도록 머플러하우징(1)에 설치된 제2배플(17)로 구성하고, 상기 지지파이프(15)와 가동파이프(11)의 사이에는 중간파이프(19)를 개재하였으며, 상기 탄지수단은 상기 지지파이프(15)에 형성된 지지플랜지(21)와, 상기 중간파이프(19)에 형성된 중간플랜지(23)와 상기 개폐플랜지(7) 사이에 설치된 제2스프링(25)과, 상기 중간플랜지(23)와 지지플랜지(21) 사이에 설치된 제3스프링(27)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홀(13)은 상기 제2배플(17)에 형성하였다.
즉, 상기 제1배플(5)과 제2배플(17)의 사이에 설치된 가동파이프(11)가 상기 지지파이프(15) 및 중간파이프(19)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가스통과홀(3)을 통과하는 배기가스의 유동압력 및 상기 제2,3스프링(25,27)의 탄성력에 의해 섭동하면서 머플러의 소음특성과 배압특성을 자동적으로 조절하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중간파이프(23)를 설치한 것은 상기 가동파이프(11)가 섭동할 때 상기 제1배플(5)에 개폐플랜지(7)가 부딪히면서 발생시키는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가동파이프(11)와 중간파이프(23)의 섭동마찰과 제2스프링(25) 및 상기 중간파이프(23)와 지지파이프(15)의 섭동마찰과 제3스프링(27)에 의해 2차에 걸쳐서 개폐플랜지(7)의 움직임을 감쇠시켜 개폐플랜지(7)와 제1배플(5)의 접촉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 하도록 한 것이다.
물론, 이와 같은 구성을 배제할 수도 있는 바,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다른 구성은 모두 같고 상기 중간파이프(23)가 배제되어, 상기 탄지수단이 상기 지지파이프(15)에 형성된 지지플랜지(21)와, 상기 지지플랜지(21)와 개폐플랜지(7) 사이에 설치된 제1스프링(29)으로 구성된 점이 다르다.
한편, 도 5에는 상기 지지파이프(15)와 중간파이프(23) 및 가동파이프(11)에 선택적으로 또는 전체에 다공홀(31)이 구비되도록 하여 보다 효과적인 머플러의 튜닝이 가능하도록 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도 1 내지 도 3에 개재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차량용 머플러가 작동하는 상태를 살펴본다.
도 1의 상태는 엔진의 저회전수 영역에서의 머플러 작동상태가 도시된 것으로서, 배기가스가 상기 제1배플(5)의 가스통과홀(3)을 통과하여 상기 개폐플랜지(7)에 유동압력을 가하여도, 그 압력이 상기 제2,3스프링(25,27)이 제공하는 탄성력에 비하여 작기 때문에 상기 가동파이프(11)의 개폐플랜지(7)는 상기 제1배플(5)의 가스통과홀(3)에 밀착되어, 상기 가스통과홀(3)을 통과하는 모든 배기가스가 가동파이프(11)의 가스유동로(9)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상태이다.
이 경우에는 배압의 영향이 작으므로 배기가스가 통과하는 단면적이 작아도 되므로 상기 가동파이프의 가스유동로(9)를 통하여 배기가스가 통과하여도 엔진의 출력에는 큰 지장이 없다.
반면, 상기와 같이 배기가스가 통과하는 단면적을 상기 가동파이프(11)에 의해 작게 함에 의해 부밍(booming)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되어 소음특성이 향상된다.
도 3의 상태는 엔진이 고회전수로 회전되는 경우에 머플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제1배플의 가스통과홀(3)을 통과한 배기가스의 유동압력이 상기 가동파이프의 개폐플랜지(7)에 작용하여, 상기 가동파이프(11)가 상기 제2스프링(25) 및 제3스프링(27)의 힘을 극복하고 이동하여, 상기 가스통과홀(3)을 통과한 배기가스가 상기 가동파이프(11)의 가스유동로(9) 이외에 상기 제2배플(17)에 형성된 바이패스홀(13)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된 상태이다.
물론, 상기 제1배플(5)의 가스통과홀(3)을 통과하는 배기가스의 유동압력에 따라서, 상기 가동파이프의 개폐플랜지(7)가 상기 가스통과홀(3)로부터 이격되는 정도는 연속적으로 달라지게 되며 도 3에는 이와 같은 다양한 상태 중 어느 한 상태만을 도시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엔진의 회전수가 증가할수록 상기 개폐플랜지(7)의 가스통과홀(3)에 대한 이격 정도는 점점 더 커지게 되어, 다양한 엔진 작동상태에 따라 적절한 머플러의 상태를 연속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개폐플랜지(7)가 가스통과홀(3)에서 이격되어 배기가스가 상기 가스유동로(9) 및 바이패스홀(13) 모두를 통해 배출되면 배기가스의 배출통로의 전체 단면적이 커지는 효과를 내게 되어 배기가스의 기류음이 저감되어 소음특성이 개선됨과 아울러 배기가스의 유동저항이 감소되어 배압을 저감시켜 엔진의 출력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엔진의 운전상태에 따라 자동적으로 머플러의 내부구조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소음특성과 배압특성을 엔진의 운전상태에 따라서 최적의 상태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5)

  1. 배기가스가 통과하도록 형성된 가스통과홀을 구비한 제1배플과;
    상기 제1배플의 가스통과홀을 통과하는 배기가스의 유동압력을 받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가스통과홀을 감싸도록 형성된 개폐플랜지와, 상기 가스통과홀을 통과한 가스를 통과시키는 가스유동로를 구비한 가동파이프와;
    상기 가동파이프가 상기 제1배플에 수직한 방향으로 직선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가동파이프 지지수단과;
    상기 가동파이프의 개폐플랜지가 상기 제1배플의 가스통과홀을 감싸는 상태가 되도록 탄지하는 탄지수단과;
    상기 가스통과홀을 통과한 배기가스가 상기 가스유동로를 바이패스하도록 형성된 바이패스홀;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머플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가동파이프의 외측에 삽입된 지지파이프와;
    상기 지지파이프를 고정하도록 설치된 제2배플;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머플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지수단은
    상기 지지파이프에 형성된 지지플랜지와;
    상기 지지플랜지와 개폐플랜지 사이에 설치된 제1스프링;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머플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홀은
    상기 제2배플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머플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파이프와 가동파이프의 사이에는 중간파이프가 개재되고;
    상기 탄지수단은 상기 지지파이프에 형성된 지지플랜지와, 상기 중간파이프에 형성된 중간플랜지와 상기 개폐플랜지 사이에 설치된 제2스프링과, 상기 중간플랜지와 상기 지지플랜지 사이에 설치된 제3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머플러.
KR1020020069715A 2002-11-11 2002-11-11 차량용 머플러 KR200400413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9715A KR20040041361A (ko) 2002-11-11 2002-11-11 차량용 머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9715A KR20040041361A (ko) 2002-11-11 2002-11-11 차량용 머플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1361A true KR20040041361A (ko) 2004-05-17

Family

ID=37338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9715A KR20040041361A (ko) 2002-11-11 2002-11-11 차량용 머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136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115B1 (ko) * 2004-12-17 2011-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가변 머플러
KR102462554B1 (ko) * 2022-03-11 2022-11-07 (주)한국소음진동 산업용 frp 공명형 소음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0213U (ko) * 1990-07-06 1992-03-11
KR19980046227A (ko) * 1996-12-11 1998-09-15 박병재 가변형 머플러
JPH10280939A (ja) * 1997-04-07 1998-10-20 Saade:Kk 内燃機関の消音器
KR19990039692U (ko) * 1998-04-16 1999-11-15 홍종만 차량의 배기가스 재순환장치
KR20010100400A (ko) * 2000-05-02 2001-11-14 류정열 자동차의 소음기 어댑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0213U (ko) * 1990-07-06 1992-03-11
KR19980046227A (ko) * 1996-12-11 1998-09-15 박병재 가변형 머플러
JPH10280939A (ja) * 1997-04-07 1998-10-20 Saade:Kk 内燃機関の消音器
KR19990039692U (ko) * 1998-04-16 1999-11-15 홍종만 차량의 배기가스 재순환장치
KR20010100400A (ko) * 2000-05-02 2001-11-14 류정열 자동차의 소음기 어댑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115B1 (ko) * 2004-12-17 2011-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가변 머플러
KR102462554B1 (ko) * 2022-03-11 2022-11-07 (주)한국소음진동 산업용 frp 공명형 소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6723B2 (en) Muffler for an exhaust gas system
US5014817A (en) Engine exhaust apparatus and method
RU146395U1 (ru) Выпуск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KR100367668B1 (ko) 배기파이프 구조
EP1029161B1 (en) Device and method for sound-attenuating units
JP4127292B2 (ja) マフラ
JP3326996B2 (ja) 自動車用排気消音装置
KR20040041361A (ko) 차량용 머플러
KR100587811B1 (ko) 머플러의 배압저감장치
KR20120110642A (ko) 소음기용 가변밸브
JPH0828243A (ja) 自動車用排気消音装置
KR100521516B1 (ko) 배압조절기구를 갖는 머플러
CN221053787U (zh) 一种内燃发动机的排气消声可变系统
KR20170013122A (ko) 웨이스트 게이트 밸브 액츄에이터 어셈블리
JP2516297Y2 (ja) 自動車用消音器内部のガス流路切換え装置
JPH0861040A (ja) 車両用エンジンの排気消音装置
KR101272951B1 (ko) 차량 소음기용 밸브 유닛
KR200427159Y1 (ko) 머플러의 배압 조절장치
KR20120060072A (ko) 차량의 머플러용 가변 밸브 장치
JP2004204802A (ja) 車両用マフラー
KR102610738B1 (ko) 차량용 가변형 소음기
KR100868206B1 (ko) 차량용 가변 머플러
KR100335959B1 (ko) 소음기용 밸브
KR100288231B1 (ko) 내연기관용 머플러
JPH054448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