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0642A - 소음기용 가변밸브 - Google Patents

소음기용 가변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0642A
KR20120110642A KR1020110028640A KR20110028640A KR20120110642A KR 20120110642 A KR20120110642 A KR 20120110642A KR 1020110028640 A KR1020110028640 A KR 1020110028640A KR 20110028640 A KR20110028640 A KR 20110028640A KR 20120110642 A KR20120110642 A KR 201201106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member
shaft support
valve
elastic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8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5846B1 (ko
Inventor
문승진
김상호
성래진
Original Assignee
세종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종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종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8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5846B1/ko
Publication of KR20120110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0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5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5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16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movable parts
    • F01N1/18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movable parts having rotary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0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 F16K3/04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90/00Movable parts or members in exhaust systems for other than for control purposes
    • F01N2290/08Movable parts or members in exhaust systems for other than for control purposes with oscillating or vibrating movement
    • F01N2290/10Movable parts or members in exhaust systems for other than for control purposes with oscillating or vibrating movement actuated by pressure of exhaust gases, e.g. exhaust pul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음기용 가변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ㆍ중속 영역에서의 소음성능 향상 및 중ㆍ고속 영역에서의 출력성능 향상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소음기용 가변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소음기용 가변밸브는, 제1개구를 가지고, 후방 좌우 양측에 한 쌍의 축지지부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축지지부 측에 피벗축을 매개로 피벗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개구를 개폐하고, 제2개구를 가진 제1밸브부재; 상기 몸체의 축지지부 측에 상기 피벗축을 매개로 상기 제1밸브부재와 함께 피벗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밸브부재의 제2개구를 개폐하는 제2밸브부재; 및 상기 피벗축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1밸브부재를 탄성적으로 피벗시키는 제1비틀림탄성부 및 상기 제2밸브부재를 탄성적으로 피벗시키는 제2비틀림탄성부를 가진 비틀림스프링;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음기용 가변밸브{VARIABLE VALVE FOR MUFFLER}
본 발명은 소음기용 가변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ㆍ중속 영역에서의 소음성능 향상 및 중ㆍ고속 영역에서의 출력성능 향상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소음기용 가변밸브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소음기(muffler)라 함은 엔진에서 배출되는 고온, 고압의 배기가스를 차량 외부의 대기중으로 배출시키기 전에 압력과 온도를 낮춰줌으로써 배기가스의 급격한 팽창에 의해 발생하는 폭발음을 줄이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소음기로는 작동원리에 따라 가는 관에서 넓은 공간으로 확산시켜 소리를 작게 하는 팽창식, 가는 관의 많은 구멍에서 넓은 공명실(共鳴室)로 확산시켜 서로 음을 상쇄시키는 공명식(共鳴式), 스틸울(금속을 실 모양으로 한 것)에 흡수시키는 흡수식, 앞의 세 가지 방식을 혼합한 격벽식(隔壁式) 등이 있다.
그리고, 소음기는 소음(消音)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소음기의 저항을 크게 하면 배기소음을 줄일 수 있으나 배기 행정에 가해지는 저항 즉, 배압이 높아져 엔진의 출력을 저하시키고, 이와 반대로 배압을 줄이기 위하여 소음기의 저항을 작게 하면 배기소음(排氣騷音)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배기소음과 배압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가변제어밸브 부착형 소음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가변밸브 부착형 소음기는 소음기 내의 바이패스 파이프 또는 격벽 상에 설치되어 배기가스의 압력에 따라 그 개도가 가변가능한 가변밸브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가변밸브는 저속영역에서 배기가스의 압력이 낮기 때문에 닫힘 상태가 되어 저주파 소음을 감쇄시킬 수 있고, 가변밸브의 닫힘 상태에서도 배기가스의 압력이 낮기 때문에 엔진의 출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리고, 고속영역에서 배기가스의 압력이 높아짐에 따라 가변 밸브는 점차 열리면서 고주파 소음을 감소시킴과 더불어 배기가스의 저항을 줄일 수 있으므로 또한 엔진의 출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가변밸브 부착형 소음기는 배기소음 및 배압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종래기술에 따른 가변밸브는 엔진의 저속영역에서 고속영역으로 전환되면서 점진적이고 선형적으로 개방되어 배기가스를 소음기 내의 복수 챔버들로 순환시킬 수 있지만, 가변밸브의 선형적인 개방만으로는 엔진의 고속영역에서에서의 배기가스의 배출량을 충족시키지 못하여 고속영역에서의 역효과를 초래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2개 이상의 밸브를 엔진의 속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개방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저ㆍ중속 영역에서의 소음성능 향상 및 중ㆍ고속 영역에서의 출력성능 향상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소음기용 가변밸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소음기용 가변밸브는,
제1개구를 가지고, 후방 좌우 양측에 한 쌍의 축지지부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축지지부 측에 피벗축을 매개로 피벗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개구를 개폐하고, 제2개구를 가진 제1밸브부재;
상기 몸체의 축지지부 측에 상기 피벗축을 매개로 상기 제1밸브부재와 함께 피벗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밸브부재의 제2개구를 개폐하는 제2밸브부재; 및
상기 피벗축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1밸브부재를 탄성적으로 피벗시키는 제1비틀림탄성부 및 상기 제2밸브부재를 탄성적으로 피벗시키는 제2비틀림탄성부를 가진 비틀림스프링;를 포함하고,
상기 비트림스프링의 제1 및 제2 비틀림탄성부는 연결레그를 통해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제1비틀림탄성부의 스프링상수가 상기 제2비틀림탄성부의 스프링상수 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1비틀림탄성부의 축심과 상기 제2비틀림탄성부의 축심이 일치하고,
상기 제1비틀림탄성부의 단부에는 제1탄성레그가 형성되며, 상기 제1탄성레그에는 제1접촉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접촉부는 상기 제1밸브부재의 상면과 접촉하며,
상기 제2비틀림탄성부의 단부에는 제2탄성레그가 형성되고, 상기 제2탄성레그에는 제2접촉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접촉부는 상기 제2밸브부재의 상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레그는 제1 및 제2 비틀림탄성부를 "U"자 형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몸체의 후방단부에는 한 쌍의 걸림홈이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에는 상기 비틀림스프링의 연결레그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밸브부재의 외측가장자리에는 상향으로 절곡된 외측테두리가 형성되고, 상기 제1밸브부재의 후방 좌우 양측에는 한 쌍의 축지지부가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2밸브부재의 외측가장자리에는 상향으로 절곡된 외측테두리가 형성되고, 상기 제2밸브부재의 후방 좌우 양측에는 한 쌍의 축지지부가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밸브부재의 축지지부, 상기 제2밸브부재의 축지지부, 상기 몸체의 축지지부가 상호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피벗축은 그 양단부가 상기 제1밸브부재의 축지지부, 상기 제2밸브부재의 축지지부, 상기 몸체의 축지지부 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밸브부재의 각 축지지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밸브부재의 각 축지지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밸브부재의 각 관통공에는 부싱이 설치되고, 상기 각 부싱은 상기 제1밸브부재의 제1관통공 측에 설치되는 제1부싱면과 상기 제2밸브부재의 관통공 측에 설치되는 제2부싱면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부싱면은 곡면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밸브부재의 관통공은 상기 제1밸브부재의 관통공 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고, 상기 부싱의 제2부싱면은 상기 제1부싱면 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밸브부재의 후방단부에는 스토퍼가 하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밸브부재의 개방작동 시에 상기 스토퍼에 의해 상기 제2밸브부재의 스토퍼가 상기 제1밸브부재의 후방단부측에 걸려져 상기 제2밸브부재의 개방각이 일정각도로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밸브부재의 외측테두리 일측에는 절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취부에는 상기 제1비틀림탄성부의 제1탄성레그가 통과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제1 및 제2 밸브부재를 배기가스의 유입유량에 따라 단계적으로 개방함으로써 저ㆍ중속 영역에서의 소음성능 향상 및 중ㆍ고속 영역에서의 출력성능 향상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용 가변밸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용 가변밸브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용 가변밸브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화살표 A방향에서 바라본 본 발명에 따른 소음기용 가변밸브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화살표 B방향에서 바라본 비틀림스프링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C-C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D-D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E-E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3의 F-F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단면도에서 제1밸브부재 및 제2밸브부재의 개방상태를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3의 G-G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용 가변밸브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소음기용 가변밸브는 제1개구(11)를 가진 몸체(10), 몸체(10)측에 피벗축(35) 및 비틀림스프링(40)을 통해 탄성적으로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제1 및 제2 밸브부재(31, 32)를 포함한다.
몸체(10)는 제1밸브부재(31)에 의해 개폐되는 제1개구(11)를 가지고, 제1개구(11)의 내경에는 밸브시트(13, valve seat)가 형성되며, 밸브시트(13)의 내주면에는 제1실링부재(21)가 전둘레방향(원주방향)으로 설치된다. 제1실링부재(21)는 제1밸브부재(31)에 의한 폐쇄시에 제1개구(11)의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제1실링부재(21)는 와이어메쉬 등과 같은 내열성 완충재로 구성될 수 있고, 이에 제1밸브부재(31)의 폐쇄 작동 시에 제1밸브부재(31)는 제1실링부재(21)와 접촉함에 따라 제1개구(11)에 대한 밀봉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제1밸브부재(31)의 급격한 폐쇄작동 시에 충격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배기가스의 저주파소음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몸체(10)의 후방 좌우 양측에는 한 쌍의 축지지부(15)가 상호 마주보게 배치되고, 각 축지지부(15)에는 관통공(15a)이 각각 형성된다. 한 쌍의 축지지부(15)의 제1관통공(15a)에는 피벗축(35)의 양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몸체(10)의 후방단부에는 한 쌍의 걸림홈(16a, 16b)이 이격되어 형성되고, 이 걸림홈(16a, 16b)에는 후술하는 비틀림스프링(40)의 연결레그(43)가 끼워져 지지된다. 한편, 비틀림스프링(40)의 연결레그(43)의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몸체(10)의 걸림홈(16a, 16b)이 좌우방향으로 그 위치가 다양하게 설계변경가능하다.
제1밸브부재(31)는 피벗축(35)을 통해 몸체(10)측에 피벗가능하게 설치되어 몸체(10)의 제1개구(11)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제1밸브부재(31)에는 제2밸브부재(32)에 의해 개폐되는 제2개구(12)가 형성되고, 제2개구(12)는 제1개구(11) 보다 작은 내경을 가진다. 제2개구(12)의 가장자리 상면에는 환형의 제2실링부재(22)가 설치되고, 제2실링부재(22)는 제2밸브부재(32)에 의한 폐쇄시에 제2개구(12)의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제2실링부재(22)는 와이어메쉬 등과 같은 내열성 완충재로 구성될 수 있고, 이에 제2밸브부재(32)의 폐쇄 작동 시에 제2밸브부재(32)는 제2실링부재(22)와 접촉함에 따라 제2개구(12)에 대한 밀봉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제2밸브부재(32)의 급격한 폐쇄작동 시에 충격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배기가스의 저주파소음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제1밸브부재(31)의 외측가장자리에는 상향으로 절곡된 외측테두리(31a)가 형성되고, 제1밸브부재(31)의 후방 좌우 양측에는 한 쌍의 축지지부(31b)가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며, 제1밸브부재(31)의 축지지부(31b)는 몸체(10)의 축지지부(15)에 대응된다. 각 축지지부(31b)에는 관통공(31c)이 각각 형성되고, 각 관통공(31c)에는 부싱(50)이 각각 설치되며, 각 관통공(31c)에는 피벗축(35)의 양단부가 한 쌍의 부싱(50)을 통해 개별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밸브부재(31)의 후방단부에는 제1 및 제2 절취부(31d, 31e)가 형성되고, 제2밸브부재(32)의 피벗 작동 시에 제1 및 제2 절취부(31d, 32e)를 통해 제2밸브부재(32)의 후방단부는 제1밸브부재(31)의 후방단부와의 간섭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제2밸브부재(32)는 제1밸브부재(31)와 함께 동일한 피벗축(35)을 통해 몸체(10)측에 피벗가능하게 설치되고, 이에 제2밸브부재(32)는 제1밸브부재(31)의 제2개구(12)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제2밸브부재(32)의 외측가장자리에는 상향으로 절곡된 외측테두리(32a)가 형성되고, 제2밸브부재(32)의 후방 좌우 양측에는 한 쌍의 축지지부(32b)가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며, 제2밸브부재(32)의 축지지부(32b)는 몸체(10)의 축지지부(15) 및 제1밸브부재(31)의 축지지부(31b)에 대응된다. 각 축지지부(32b)에는 관통공(32c)이 각각 형성되고, 각 관통공(32c)에는 부싱(50)이 각각 설치되며, 피벗축(35)의 양단부가 한 쌍의 부싱(50)을 통해 개별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한편, 제2밸브부재(32)의 관통공(32c)은 제1밸브부재(31)의 관통공(31c) 보다 작은 내경을 가진다.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밸브부재(32)의 후방단부에는 스토퍼(32d)가 하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이에 제2밸브부재(32)의 개방작동 시에 제2밸브부재(32)의 스토퍼(32d)가 제1밸브부재(31)의 후방단부측에 걸려져 제2밸브부재(32)의 개방각이 일정각도로 규제될 수 있다(도 8의 가상선 참조).
그리고,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밸브부재(32)의 외측 테두리(32a) 일측에는 절취부(32e)가 형성되고, 이 절취부(32e)에는 후술하는 비틀림스프링(40)의 제1탄성레그(44)가 통과한다.
한 쌍의 부싱(50) 각각은 제1밸브부재(31)의 관통공(31c)측에 설치되는 제1부싱면(51)과 제2밸브부재(32)의 관통공(32c)측에 설치되는 제2부싱면(52)을 가진다. 제1 및 제2 부싱면(51, 52)은 곡면진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제1 및 제2 밸브부재(31, 32)의 관통공(31c, 32c) 내경면 또한 곡면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각 부싱(50)은 제1 및 제2 밸브부재(31, 32)의 관통공(31c, 32c)측에 안정적으로 설치됨으로써 이러한 각 부싱(50)을 통해 피벗축(35)의 양단부는 보다 안정적으로 회전지지될 수 있다.
한편, 제2밸브부재(32)의 관통공(32c)은 제1밸브부재(31)의 관통공(31c) 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고, 이에 대응하여 부싱(50)의 제2부싱면(52)은 제1부싱면(51) 보다 작은 외경을 가진다. 그리고, 몸체(10)의 관통공(15a), 제1밸브부재(31)의 관통공(31c), 제2밸브부재(32)의 관통공(32c), 피벗축(35)은 그 축심이 일치한다.
비틀림스프링(40)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벗축(35)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본 발명에 의한 비틀림스프링(40)은 서로 다른 스프링상수(spring constant)를 가진 제1 및 제2 비틀림탄성부(41, 42)를 가진다. 그리고, 제1비틀림탄성부(41)는 제1밸브부재(31)를 탄성적으로 피벗시키고, 제2비틀림탄성부(42)는 제2밸브부재(32)를 탄성적으로 피벗시키도록 구성된다.
특히, 제2비틀림탄성부(42)의 스프링상수가 제1비틀림탄성부(41)의 스프링상수 보다 낮게 설정됨에 따라 제2비틀림탄성부(42)의 토크 내지 스프링력은 제1비틀림탄성부(41)의 토크 내지 스프링력 보다 낮게 형성된다. 이에, 도 10(a)와 같이 제2밸브부재(32)는 상대적으로 적은 유량의 배기가스가 유입(엔진의 저속 영역 상태임)됨에 따라 개방될 수 있고, 제1밸브부재(31)는 상대적으로 많은 유량의 배기가스가 유입(엔진의 고속영역 상태임)됨에 따라 도 10(b)와 같이 개방될 수 있다.
제1비틀림탄성부(41) 및 제2비틀림탄성부(42)는 코일형상으로 감겨져 구성되고, 제1 및 제2 비틀림탄성부(41, 42)의 스프링상수는 코일의 외경, 선경, 감긴회수 등에 비례 또는 반비례한다. 이에 본 실시예의 비틀림스프링(40)은 제1 및 제2 비틀림탄성부(41, 42)의 각 스프링상수를 서로 다른 값으로 설정함에 따라 제1 및 제2 밸브부재(31, 32)의 개방작동을 배기가스의 유입량에 대응하여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 내지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비틀림탄성부(41)는 제2비틀림탄성부(42) 보다 작은 외경을 가진 원추형으로 감겨진 구조로 구성됨에 따라 제1비틀림탄성부(41)의 스프링상수가 제2비틀림탄성부(42) 보다 크게 형성된다.
제1 및 제2 비틀림탄성부(41, 42)는 그 축심이 동일하고, 특히 제1 및 제2 비틀림탄성부(41, 42)의 축심은 피벗축(35)의 축심과 일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비틀림탄성부(41, 42)는 "U"자 형상의 연결레그(43)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고, 이에 "U"자 형상의 연결레그(43)가 몸체(10)의 걸림홈(16a, 16b) 측에 안정적으로 끼워진다.
그리고, 제1비틀림탄성부(41)의 단부에는 제1탄성레그(44)가 형성되고, 제1탄성레그(44)에는 벤딩가공에 의해 제1접촉부(44a)가 형성된다.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탄성레그(44)는 제2밸브부재(32)의 절취부(32e)를 통과하여 설치되고, 제1접촉부(44a)는 제1밸브부재(31)의 일측 상면과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특히, 제1탄성레그(44)는 제2밸브부재(32)의 상면과의 접촉을 회피하도록 절곡됨이 바람직하다.
제2비틀림탄성부(42)의 단부에는 제2탄성레그(45)가 형성되고, 제2탄성레그(45)에는 벤딩가공에 의해 제2접촉부(45a)가 형성된다.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탄성레그(45)의 제2접촉부(45a)는 제2밸브부재(32)의 일측 상면과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소음기용 가변밸브의 작동을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엔진의 저속영역에서는 도 10(a)와 같이 저유량의 배기가스가 몸체(10)의 제1개구(11)측으로 유입되고, 저유량의 배기가스가 제2비틀림탄성부(42)의 스프링력을 극복하여 제2밸브부재(32)가 상향으로 피벗작동하며, 이에 제1밸브부재(31)의 제2개구(12)가 개방된다. 이렇게 제2밸브부재(32)가 개방됨에 따라 저ㆍ중속영역에서의 부밍 내지 소음효과가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제2밸브부재(32)는 스토퍼(32d)에 의해 그 개방각이 일정각도로 규제된다.
그리고, 엔진의 고속영역에서는 도 10(b)와 같이 고유량의 배기가스가 몸체(10)의 제1개구(11)측으로 유입되고, 고유량의 배기가스가 제2비틀림탄성부(42) 및 제1비틀림탄성부(41)의 스프링력을 극복함에 따라 제2밸브부재(32)를 개방시키고, 제2밸브부재(32)가 스토퍼(32d)에 의해 더 이상이 개방되지 않으면 제1밸브부재(31)를 상향으로 피벗작동시키며, 이에 몸체(10)의 제1개구(11)가 개방된다. 이렇게 제1밸브부재(31)가 개방됨에 따라 그 개방량이 대폭 확장되고, 이에 중ㆍ고속영역에서의 역효과가 방지되어 그 출력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10: 몸체 11: 제1개구
12: 제2개구 21: 제1실링부재
22: 제2실링부재 31: 제1밸브부재
32: 제2밸브부재 40: 비틀림스프링
41: 제1비틀림탄성부 42: 제2비틀림탄성부
43: 연결레그 44: 제1탄성레그
45: 제2탄성레그

Claims (6)

  1. 제1개구를 가지고, 후방 좌우 양측에 한 쌍의 축지지부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축지지부 측에 피벗축을 매개로 피벗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개구를 개폐하고, 제2개구를 가진 제1밸브부재;
    상기 몸체의 축지지부 측에 상기 피벗축을 매개로 상기 제1밸브부재와 함께 피벗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밸브부재의 제2개구를 개폐하는 제2밸브부재; 및
    상기 피벗축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1밸브부재를 탄성적으로 피벗시키는 제1비틀림탄성부 및 상기 제2밸브부재를 탄성적으로 피벗시키는 제2비틀림탄성부를 가진 비틀림스프링;를 포함하고,
    상기 비트림스프링의 제1 및 제2 비틀림탄성부는 연결레그를 통해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제2비틀림탄성부의 스프링상수가 상기 제1비틀림탄성부의 스프링상수 보다 작게 설정되며, 상기 제1비틀림탄성부의 축심과 상기 제2비틀림탄성부의 축심이 일치하고,
    상기 제1비틀림탄성부의 단부에는 제1탄성레그가 형성되며, 상기 제1탄성레그에는 제1접촉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접촉부는 상기 제1밸브부재의 상면과 접촉하며,
    상기 제2비틀림탄성부의 단부에는 제2탄성레그가 형성되고, 상기 제2탄성레그에는 제2접촉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접촉부는 상기 제2밸브부재의 상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용 가변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레그는 제1 및 제2 비틀림탄성부를 "U"자 형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몸체의 후방단부에는 한 쌍의 걸림홈이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에는 상기 비틀림스프링의 연결레그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용 가변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부재의 외측가장자리에는 상향으로 절곡된 외측테두리가 형성되고, 상기 제1밸브부재의 후방 좌우 양측에는 한 쌍의 축지지부가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2밸브부재의 외측가장자리에는 상향으로 절곡된 외측테두리가 형성되고, 상기 제2밸브부재의 후방 좌우 양측에는 한 쌍의 축지지부가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밸브부재의 축지지부, 상기 제2밸브부재의 축지지부, 상기 몸체의 축지지부가 상호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피벗축은 그 양단부가 상기 제1밸브부재의 축지지부, 상기 제2밸브부재의 축지지부, 상기 몸체의 축지지부 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용 가변밸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부재의 각 축지지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밸브부재의 각 축지지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밸브부재의 각 관통공에는 부싱이 설치되고, 상기 각 부싱은 상기 제1밸브부재의 제1관통공 측에 설치되는 제1부싱면과 상기 제2밸브부재의 관통공 측에 설치되는 제2부싱면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부싱면은 곡면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밸브부재의 관통공은 상기 제1밸브부재의 관통공 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고, 상기 부싱의 제2부싱면은 상기 제1부싱면 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용 가변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밸브부재의 후방단부에는 스토퍼가 하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밸브부재의 개방작동 시에 상기 스토퍼에 의해 상기 제2밸브부재의 스토퍼가 상기 제1밸브부재의 후방단부측에 걸려져 상기 제2밸브부재의 개방각이 일정각도로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용 가변밸브.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밸브부재의 외측테두리 일측에는 절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취부에는 상기 제1비틀림탄성부의 제1탄성레그가 통과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용 가변밸브.
KR1020110028640A 2011-03-30 2011-03-30 소음기용 가변밸브 KR101195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640A KR101195846B1 (ko) 2011-03-30 2011-03-30 소음기용 가변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640A KR101195846B1 (ko) 2011-03-30 2011-03-30 소음기용 가변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642A true KR20120110642A (ko) 2012-10-10
KR101195846B1 KR101195846B1 (ko) 2012-11-05

Family

ID=47281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8640A KR101195846B1 (ko) 2011-03-30 2011-03-30 소음기용 가변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584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71690A (zh) * 2016-05-17 2016-09-28 上海天纳克排气系统有限公司 排气系统的控制阀
US9784154B2 (en) 2015-05-06 2017-10-10 Hyundai Motor Company Variable valve
KR101942306B1 (ko) 2018-09-17 2019-01-25 주식회사 디에스피 소음기용 가변밸브 자동조립 장치 및 조립방법
US11698020B2 (en) * 2021-10-06 2023-07-11 Futaba Industrial Co., Ltd. Valve mounting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75355B2 (ja) 2007-10-15 2011-09-2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消音器用バルブ装置
KR101000903B1 (ko) 2009-04-09 2010-12-13 세종공업 주식회사 가변밸브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84154B2 (en) 2015-05-06 2017-10-10 Hyundai Motor Company Variable valve
CN105971690A (zh) * 2016-05-17 2016-09-28 上海天纳克排气系统有限公司 排气系统的控制阀
KR101942306B1 (ko) 2018-09-17 2019-01-25 주식회사 디에스피 소음기용 가변밸브 자동조립 장치 및 조립방법
US11698020B2 (en) * 2021-10-06 2023-07-11 Futaba Industrial Co., Ltd. Valve mounting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5846B1 (ko) 2012-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0903B1 (ko) 가변밸브
US7506723B2 (en) Muffler for an exhaust gas system
KR101195846B1 (ko) 소음기용 가변밸브
US6176347B1 (en) Semi-active muffl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WO2013125572A1 (ja) 排気流路用弁装置
US20110126531A1 (en) Variable muffler
US9109483B2 (en) Exhaust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10180092B2 (en) Flutter dampened exhaust valve
KR101883589B1 (ko) 비틀림 댐핑을 동반하는 배기 시스템 스프링
KR101436039B1 (ko) 자동차 머플러용 회전식 가변형 배기밸브
JP2012241543A (ja) 圧力制御弁
JP6328176B2 (ja) 排気消音器
JP2015094313A (ja) ダイヤフラム式アクチュエータ及び過給機
JP4775355B2 (ja) 消音器用バルブ装置
KR101760504B1 (ko) 게이트와 스프링이 일체 형성된 가변형 배기밸브
KR101135075B1 (ko) 가변제어밸브
KR101097959B1 (ko) 자동차 머플러용 배기 밸브
JPH1122444A (ja) 制御型マフラ
JP4446895B2 (ja) 排気制御弁
KR20150051350A (ko) 구조 개선된 배기시스템용 소음 및 배압 조절식 가변 밸브
JP4451728B2 (ja) 消音器
US10724409B2 (en) Muffler valve device for vehicle
WO2015111480A1 (ja) 排気流路用弁装置
JP5592709B2 (ja) 排気流路制御弁
JP2007192205A (ja) 排気消音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