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3173B1 - 차량용 냉,난방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냉,난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3173B1
KR100333173B1 KR1019990042112A KR19990042112A KR100333173B1 KR 100333173 B1 KR100333173 B1 KR 100333173B1 KR 1019990042112 A KR1019990042112 A KR 1019990042112A KR 19990042112 A KR19990042112 A KR 19990042112A KR 100333173 B1 KR100333173 B1 KR 100333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evaporator
heat
condenser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2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9346A (ko
Inventor
이한석
Original Assignee
황한규
만도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한규, 만도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황한규
Priority to KR1019990042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3173B1/ko
Publication of KR20010029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9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3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31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71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carrying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42Modular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2001/00235Devices in the roof area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 등의 대형차량에 지붕 탑재형으로 설치된 에어컨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와 증발기에는 각각의 개폐구를 설치하여 이들을 냉기를 실내로 유도하여 공급하도록 하는 덕트에 설치하도록하며 상기 개폐구들의 동작에 따라 콘덴서의 열만이 상기 덕트를 통해 실내로 공급되도록 하므로서 실내의 난방을 도모하고 상기 콘덴서의 열을 차단하면서 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만을 덕트를 통해 실내에 공급하여 냉방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냉,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부로 열을 방출하는 콘덴서(2)와, 차량내에 설치된 덕트(4)로 저온의 열을 공급하는 증발기(3), 냉매를 압축하여 공급하는 압축기로 구성되고 상기 콘덴서(2)내의 팬이 작동하면서 응축열을 방출하게 되며 팽창밸브를 통한 냉매는 증발기 유닛내로 흡인된 공기의 열을 흡수하면서 공기를 저온화시키고 이 저온화된 공기를 블로어를 이용하여 차량의 실내로 공급하도록 구성된 에어컨을 버스 등의 차체지붕(1)에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2)와 증발기(3)들의 일방에는 상기 덕트(4)와 연결되는 연결통로(7)를 형성하여 이에 각각의 엑츄에이터(8)(9)에 의하여 작동하는 개폐용 댐퍼(10)(11)를 설치하며, 상기 엑츄에이터(8)(9)들은 에어컨 스위치(12)와 히팅 스위치(13)에 각각 연결시키고 이들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상기 댐퍼(10)(11)들을 작동시키면서 상기 콘덴서(2)의 열과 증발기(3)의 냉기를 상기 덕트(4)를 통해 차량의 실내로 공급하면서 냉,난방을 도모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냉,난방장치 {Cooling and heating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버스 등의 대형차량에 지붕 탑재형으로 설치된 에어컨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와 증발기에는 각각의 개폐구를 설치하여 이들을 냉기를 실내로 유도하여 공급하도록 하는 덕트에 설치하도록하며 상기 개폐구들의 동작에 따라 콘덴서의 열만이 상기 덕트를 통해 실내로 공급되도록 하므로서 실내의 난방을 도모하고 상기 콘덴서의 열을 차단하면서 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만을 덕트를 통해 실내에 공급하여 냉방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냉,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인 다인승용 버스등에는 차량 내부의 냉,난방을 위하여 냉,난방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냉방을 위해서는 차량의 지붕에 지붕형 에어컨을 설치하고 엔진의 열과 온풍기 및 히터를 이용한 난방장치를 별도로 구비하여 가동시키고 있었다.
또,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차량에 설치되는 에어컨은 냉방을 위해서만 사용이 가능하게 되어 있었으며 이 에어컨은 외부로 열을 방출하는 콘덴서와, 차량내에 설치된 덕트로 저온의 열을 공급하는 증발기, 냉매를 압축하여 공급하는 압축기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압축기가 구동되면 콘덴서내의 팬(fan)이 작동하면서 응축열을 방출하게 되며 팽창밸브를 통한 냉매는 증발기 유닛내로 흡인된 공기의 열을 흡수하면서 공기를 저온화시키고 이 저온화된 공기를 블로어를 이용하여 차량의 실내로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에어컨 시스템은 냉방용으로만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그 사용용도에 한정을 두게 되었으며 또, 상기 차량의 지붕에 설치된 콘덴서에서의 열을 대기로 방출하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에어컨의 열손실이 크게 되는 폐단이 있었고 상기 응축열의 단순 방출로 인하여 에너지를 낭비하게 되는 점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버스 등의 대형차량에 지붕 탑재형으로 설치된 에어컨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와 증발기에는 각각의 개폐구를 설치하여 이들을 냉기를 실내로 유도하여 공급하도록 하는 덕트에 설치하도록하며 상기 개폐구들의 동작에 따라 콘덴서의 열만이 상기 덕트를 통해 실내로 공급되도록 하므로서 실내의 난방을 도모하고 상기 콘덴서의 열을 차단하면서 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만을 덕트를 통해 실내에 공급하여 냉방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냉,난방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인바, 이를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에어컨장치를 차량의 상부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개폐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에어컨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개폐구 작동상태를 발췌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동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체지붕
2 : 콘덴서
3 : 증발기
4 : 덕트
5 : 유통로
6 : 개폐구
7 : 연결통로
8,9 : 엑츄에이터
10,11 : 댐퍼
12 : 에어컨 스위치
13 : 히팅 스위치
외부로 열을 방출하는 콘덴서(2)와, 차량내에 설치된 덕트(4)로 저온의 열을 공급하는 증발기(3), 냉매를 압축하여 공급하는 압축기로 구성되고 상기 콘덴서(2)내의 팬이 작동하면서 응축열을 방출하게 되며 팽창밸브를 통한 냉매는 증발기 유닛내로 흡인된 공기의 열을 흡수하면서 공기를 저온화시키고 이 저온화된 공기를 블로어를 이용하여 차량의 실내로 공급하도록 구성된 에어컨을 버스 등의 차체지붕(1)에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2)와 증발기(3)의 일방에는 상기 덕트(4)와 연결되는 연결통로(7)를 형성하여 이에 각각의 엑츄에이터(8)(9)에 의하여 작동하는 개폐용 댐퍼(10)(11)를 설치한다.
상기 엑츄에이터(8)(9)들은 에어컨 스위치(12)와 히팅 스위치(13)에 각각 연결시키고 이들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상기 댐퍼(10)(11)들을 작동시키면서 상기 콘덴서(2)의 열과 증발기(3)의 냉기를 상기 덕트(4)를 통해 차량의 실내로 공급하면서 냉,난방을 도모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차체지붕(1)에 설치된 에어컨을 가동시키게 되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외부로 열을 방출하면서 응축작용을 하는 콘덴서(2), 차량내에 설치된 덕트(4)로 저온의 열을 공급하는 증발기(3)에 의하여 열교환작용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 열교환에 의하여 저온화된 공기를 블로어를 이용하여 차량의 실내로 공급하도록 하면서 차량의 실내를 냉방시키도록 한다.
상기 냉방이 이루어질 때는 도 4에서와 같이 에어컨 스위치(12)를 작동시키게 되고 이 에어컨 스위치(12)를 작동시키게 되면 이에 연동되는 히팅 스위치(13)의 오프스위치가 작동하여 상기 콘덴서(2)의 엑츄에이터(8)가 댐퍼(10)를 작동시켜 이의 연결통로(7)를 폐쇄시키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증발기(3)의 일방에 설치된 연결통로(7)의 댐퍼(11)를 엑츄에이터(9)가 개방시켜 상기 증발기(3)로 부터의 냉기를 상기 덕트(4)를 통해 실내로 공급하게 된다.
한편, 동절기등과 같이 난방을 필요로 할 경우에는 상기 에어컨을 구동시킨 상태에서 히팅 스위치(13)를 작동시키게 되면, 이에 연동되는 에어컨 스위치(12)가 작동하면서
상기 콘덴서(2)의 엑츄에이터(8)가 댐퍼(10)를 작동시켜 이의 연결통로(7)를 개방시키게 되며 상기 증발기(3)의 일방에 설치된 연결통로(7)의 댐퍼(11)를 엑츄에이터(9)가 작동하여 폐쇄시키므로서 상기 증발기(3)로부터의 냉기가 상기 덕트(4)를 통해 실내로 공급되는 것이 차단되고 상기 응축열만이 덕트(4)를 통하여 차량의 실내로 공급되면서 난방을 도모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콘덴서(2)와 증발기(3)들에 각각의 엑츄에이터(8)(9)와 댐퍼(10)(11)들을 설치하고 이들을 각각의 에어컨 스위치(12)와 히팅 스위치(13)를 이용하여 작동시키면서 냉기 또는 열기를 차량의 실내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상기 차량에 설치되는 에어컨(2)의 열교환을 냉,난방으로 절환하여 냉,난방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하나의 시스템으로 2가지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되고, 또 종래와 같이 난방을 위한 난방시스템과 냉방을 위한 에어컨의 시스템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간단한 구조의 절환시스템으로 차량의 냉,난방을 도모할수 있게 되고 차체의 구조를 간단히 하면서 냉,난방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점 등의 특징을 지닌 것이다.

Claims (2)

  1. 외부로 열을 방출하는 콘덴서(2)와, 차량내에 설치된 덕트(4)로 저온의 열을 공급하는 증발기(3), 냉매를 압축하여 공급하는 압축기로 구성되고 상기 콘덴서(2)내의 팬이 작동하면서 응축열을 방출하게 되며 팽창밸브를 통한 냉매는 증발기 유닛내로 흡인된 공기의 열을 흡수하면서 공기를 저온화시키고 이 저온화된 공기를 블로어를 이용하여 차량의 실내로 공급하도록 구성된 에어컨을 버스 등의 차체지붕(1)에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2)와 증발기(3)들의 일방에는 상기 덕트(4)와 연결되는 연결통로(7)를 형성하여 이에 각각의 엑츄에이터(8)(9)에 의하여 작동하는 개폐용 댐퍼(10)(11)를 설치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난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엑츄에이터(8)(9)들은 에어컨 스위치(12)와 히팅 스위치(13)에 각각 연결시키고 이들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상기 댐퍼(10)(11)들을 작동시키면서 상기 콘덴서(2)의 열과 증발기(3)의 냉기를 상기 덕트(4)를 통해 차량의 실내로 공급하면서 냉,난방을 도모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난방장치.
KR1019990042112A 1999-09-30 1999-09-30 차량용 냉,난방장치 KR100333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2112A KR100333173B1 (ko) 1999-09-30 1999-09-30 차량용 냉,난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2112A KR100333173B1 (ko) 1999-09-30 1999-09-30 차량용 냉,난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9346A KR20010029346A (ko) 2001-04-06
KR100333173B1 true KR100333173B1 (ko) 2002-04-18

Family

ID=19613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2112A KR100333173B1 (ko) 1999-09-30 1999-09-30 차량용 냉,난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31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0215B1 (ko) * 2014-11-04 2016-05-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컨 결로방지 장치
KR102501049B1 (ko) 2021-12-20 2023-02-20 김학용 전복 양식 쉘터용 친환경 패널 및 그 친환경 쉘터와 이를 이용한 전복양식설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0215B1 (ko) * 2014-11-04 2016-05-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컨 결로방지 장치
KR102501049B1 (ko) 2021-12-20 2023-02-20 김학용 전복 양식 쉘터용 친환경 패널 및 그 친환경 쉘터와 이를 이용한 전복양식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9346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57298B (zh) 喷气增焓热泵空调系统和包括该热泵空调系统的电动车
EP3647090B1 (en) Thermal management system and flow control device
US10589600B2 (en) Vehicular air conditioner
JP3563094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H07232547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100333173B1 (ko) 차량용 냉,난방장치
KR20200045164A (ko) 일체형 냉난방 제습기
KR100188061B1 (ko) 자동차용 냉 난방겸용 공기조화기
KR100601834B1 (ko) 자동차 시트 공기조화장치
JP3275321B2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KR200221957Y1 (ko) 차량의 실내 열손실 방지장치
KR100347155B1 (ko) 차량용 냉,난방시스템
JPH06206439A (ja) 車両用ヒートポンプ式空調装置
KR20000004047U (ko) 차량용 에어컨의 응축기를 이용한 난방장치
KR200174990Y1 (ko) 냉·온풍 겸용 에어컨디셔너의 구조
CN113306451B (zh) 电池组温度控制装置、电动汽车及其控制方法
KR100285812B1 (ko)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
KR200157056Y1 (ko) 플로어 하부에 히팅장치를 내장한 대형버스
KR20020082349A (ko) 차량용 열교환기의 냉, 난방 절환장치
KR200221981Y1 (ko) 차량용 냉,난방시스템의 댐퍼장치
KR20020002842A (ko) 열교환기 장치
KR20240039913A (ko) 전기버스의 냉난방 시스템
KR0118785Y1 (ko) 냉.난방 겸용 에어콘의 제어장치
KR100486602B1 (ko) 순환수 가열기능을 구비한 냉난방 겸용 에어컨
KR20060082479A (ko)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의 전열히터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