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2671B1 - 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2671B1
KR100332671B1 KR1019990050625A KR19990050625A KR100332671B1 KR 100332671 B1 KR100332671 B1 KR 100332671B1 KR 1019990050625 A KR1019990050625 A KR 1019990050625A KR 19990050625 A KR19990050625 A KR 19990050625A KR 100332671 B1 KR100332671 B1 KR 100332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plastic elastomer
copolymer rubber
weight
parts
olef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0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6736A (ko
Inventor
신봉섭
김동건
김선준
조성옥
홍정락
Original Assignee
박정수
한국신발피혁연구소
윤영식
주식회사 세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수, 한국신발피혁연구소, 윤영식, 주식회사 세동 filed Critical 박정수
Priority to KR1019990050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2671B1/ko
Publication of KR20010046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6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2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26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25Crosslinking or vulcanising agents; including accel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4Pe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22Thermoplastic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4Thermoplastic elastomer

Abstract

본 발명은 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 유기 과산화물 존재하에서 반응시키는 결정성 폴리올레핀수지와 올레핀계 공중합체 고무의 블렌드에 추가적으로 반응성 관능기로서 적정량의 산무수물과, 반응성 관능기와 반응할 수 있는 디아미드 화합물을 첨가하여 결정성 폴리올레핀수지와 올레핀계 공중합체 고무를 공가교시킴으로써, 미세 균질의 고무입자가 생성되어 가공성, 인장강도, 인열강도, 신장영구늘음율, 압축영구줄음율 및 내오일성 등의 물리적 특성이 매우 우수한 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의 제조방법{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containing polyolefinic resin and rubber modified with functional monomer}
본 발명은 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 유기 과산화물 존재하에서 반응시키는 결정성 폴리올레핀수지와 올레핀계 공중합체 고무의 블렌드에 추가적으로 반응성 관능기로서 적정량의 산무수물과, 반응성 관능기와 반응할 수 있는 디아미드 화합물을 첨가하여 결정성 폴리올레핀수지와 올레핀계 공중합체 고무를 공가교시킴으로써, 미세 균질의 고무입자가 생성되어 가공성, 인장강도, 인열강도, 신장영구늘음율, 압축영구줄음율 및 내오일성 등의 물리적 특성이 매우 우수한 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는 일반적으로 올레핀수지와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이하, 'EPR'이라 한다) 또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이하, 'EPDM'이라 한다)와 같은 올레핀계 공중합체 고무를 주성분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상기 고무들은 반데르발스 인력, 정전기적 인력 및 수소결합 등의 2차적인 물리적 힘에 의해 결합되어 열가소성 탄성체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이들은 상온에서는 고무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고무와는 다른 용융 가공과 재생이 가능한 이점을 가지고 있어 탄성이 요구되는 여러 제품과 신발용 소재 등의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상기 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완전가교, 부분가교 및 미가교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방법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물리적 특성이 우수한 완전가교 방법에 따른 열가소성 탄성체를 제조하는 방법이 있다[미국특허 제4,801,647호]. 그러나, 이 방법은 그 제조방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고무성분의 조성이 증가할 경우 고무제품의 사출 및 압출시 열악한 가공성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비교적 제조공정이 간단하여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부분가교에 의한 열가소성 탄성체 제조방법이 공지되어 있다[일본특허등록 제5078529호와 일본특허등록 제5220825호]. 그러나, 상기 방법은 미가교된 고무성분과 고무, 수지간의 열악한 계면특성에 기인하여 가공성이 우수한 반면, 탄성체의 제반적인 물리적 특성이 감소하고, 특히 신장영구늘음특성과 압축영구줄음특성 및 내오일성에서 탄성체로서의 한계성을 보여준다.
또한, 미가교방법을 이용하여 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말레인산으로 그라프트된 수지와 고무 블렌드에 폴리에틸렌, 나일론 및 비닐계 고분자 등을 혼합하여 열가소성 탄성체를 제조하는 방법이 있다[유럽특허제0014018호]. 그러나, 상기 방법 역시 열악한 압축영구줄음특성에 기인하여 열가소성 탄성체로서는 유용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수지와 올레핀계 공중합체 고무를 유기 과산화물 존재하에서 반응시키는 방법이 있다[대한민국 특허등록 제38463호]. 그러나, 상기특허에 기술되어 있는 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의 제조방법에서는 혼련 압출할 때 불균일한 고무입자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와 같은 유기 과산화물 존재하에서 결정성 폴리올레핀수지와 올레핀계 공중합체 고무의 블렌드에 통상의 산화방지제, 충전제 및 오일을 첨가하여 1차 혼합물을 제조하고, 추가적으로 상기 1차 혼합물에 반응성 관능기로서 적정량의 산무수물을 첨가하여 2차 혼합물을 제조한 다음, 반응성 관능기와 반응할 수 있는 디아미드 화합물을 첨가하여 결정성 폴리올레핀수지와 올레핀계 공중합체 고무를 공가교시킴으로써, 미세 균질의 고무입자가 생성되어 가공성, 인장강도, 인열강도, 신장영구늘음특성, 압축영구줄음특성 및 내오일성이 매우 우수한 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결정성 폴리올레핀수지와 올레핀계 공중합체 고무의 블렌드를 주성분으로 하고 유기 과산화물 존재하에 산화방지제, 충전제, 오일 및 가교조제를 첨가하여 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를 제조함에 있어서,
a) 상기 결정성 폴리올레핀수지 및 올레핀계 공중합체 고무가 20:80 ∼ 80:20 중량부로 이루어진 블렌드를 제조한 다음, 여기에 통상의 산화방지제, 충전제 및 오일을 첨가하여 혼련기로 용융 혼련시켜 1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과정,
b) 상기 1차 혼합물에 20 ∼ 40 ℃의 온도로 조정된 롤밀을 이용하여 반응성 관능기로서 무수말레인산 및 아크릴산 중에서 선택된 산무수물을 상기 블렌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5 중량부로 첨가한 후, 통상의 유기 과산화물 및 가교조제를 첨가하여 혼련기에서 반응시켜 2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과정, 그리고
c) 상기 2차 혼합물에 디시안디아미드를 상기 올레핀계 공중합체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5 중량부로 첨가한 다음, 공가교시켜 제조하는 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의 제조방법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종래 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에 반응성 관능기로서 무수말레인산을 첨가하고, 유기 과산화물 및 가교조제를 첨가하여 롤밀에서 충분히 혼련한 후, 통상적인 혼련기를 이용하여 동적가교를 행하여 고무성분을 부분 가교시킴과 동시에, 상기 반응성 관능기로 작용하는 무수말레인산에 의해 결정성 폴리올레핀수지와 올레핀계 공중합체 고무에 관능성이 부여됨으로써, 이들 관능기와 반응할 수 있는 디아미드 화합물을 첨가하여 폴리올레핀수지와 올레핀계 공중합체 고무를 공가교시켜 제조하는 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결정성 폴리올레핀수지와 올레핀계 공중합체 고무를 20:80 ∼ 80:20 중량부로 혼합하여 사용하는데, 바람직하기로는 올레핀수지 성분이 20 ∼ 60 중량부가 되도록 사용한다. 이때, 상기 올레핀수지의 함량이 20 중량부 미만이면 흐름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80 중량부를 초과하면 수지의 특성에만 의존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결정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는 결정성 호모폴리프로필렌(pp),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또는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하여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할 수 있다.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공중합의 경우는, 에틸렌 함량이 5 ∼ 20 중량부이고, 용융지수 230 ℃, 2.16 kg 하중의 조건에서 0.5 ∼ 15g/10분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공중합체 수지의 용융지수가 0.5g/10분 미만이면 수지에 의한 연속상의 형성에 문제가 있으며, 반면 15g/분을 초과하면 물리적 특성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의 경우, α-올레핀 단량체로서 1-부텐, 1-펜텐 및 1-헥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공중합 조건은 α-올레핀 함량이 5 ∼ 20 중량부, 용융지수는 상기와 같은 0.5 ∼ 15g/10분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결정성 호모폴리프로필렌 수지와 무수말레인산 및 아크릴산과 같은 반응성기로 개질된 호모프로필렌 수지 중에서 선택된 것을 단독 또는 1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올레핀계 공중합체 고무로는 에틸렌 함량 40 ∼ 80 중량부로 구성된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R)와 같은 랜덤 탄성 공중합체, 또는 비공액디엔 2 ∼ 15 중량부와 에틸렌 함량 40 ∼ 80 중량부로 구성된 에틸렌-프로필렌-비공엑디엔 고무(EPDM)와 같은 랜덤 탄성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공액디엔으로는 디사이클로펜타디엔, 1,4-헥사디엔, 사이클로옥타디엔, 메틸리덴노보넨 및 에틸리덴노보넨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고무의 무니 점도(ML1+4125 ℃)는 5 ∼ 80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R)와 반응성기로 개질된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R), 또는 에틸렌-프로필렌-비공엑디엔 고무(EPDM)와 개질된 에틸렌-프로필렌-비공엑디엔 고무(EPDM) 중에서 선택된 것을 단독 또는 1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반응성 관능기로는 무수말레인산과 아크릴산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함량은 결정성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올레핀계 공중합체 고무와의 블렌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5 중량부, 바람직하기로는 1.5 ∼ 2.0 중량부로 사용한다. 이때, 사용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효과적인 반응성기의 도입이 어려운 문제가 있고, 반면 5 중량부를 초과하면 미반응된 반응성기에 의한 냄새, 블루밍과 같은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가교제 및 반응촉매로서 사용되는 유기 과산화물로는 벤조일퍼옥사이드, 1,3-비스(ter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벤젠, 2,5-디메틸-2,5-디(tert-부틸퍼옥사이드)헥산, 디큐밀-퍼옥사이드 및 2,4-디클르오로벤조일퍼옥사이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함량은 올레핀계 공중합체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10 중량부, 바람직하기로는 1.0 ∼ 2.0 중량부로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올레핀계 공중합체 고무의 가교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가교조제를 사용하는데,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디메틸아크릴레이트, 디아릴테레프탈레이트, 트리아릴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크릴레이트, 1,2-시스-폴리부타디엔 및 메타페닐렌디말레이미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함량은 상기 고무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6.0 중량부, 바람직하기로는 1.0 ∼ 3.0 중량부로 사용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디아미드 화합물로 디시안디아미드를 사용함으로써, 고무성분과 수지성분에 각각 그라프트된 반응기와 결합하여 고무와 수지를 공가교시킬 수 있으며, 그 사용함량은 올레핀계 공중합체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5.0 중량부, 바람직하기로는 1.0 ∼ 2.0 중량부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그 밖의 첨가제로는 올레핀계 공중합체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화방지제 0.1 ∼ 3.0 중량부, UV안정제 0.1 ∼ 2.0 중량부, 활제 0.1 ∼ 5.0 중량부, 충전제 1 ∼ 100 중량부 및 오일 1 ∼ 100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결정성 폴리올레핀수지와 올레핀계 공중합체 고무를 170 ∼ 200 ℃의 온도로 조정된 반바리믹서, 핵케 믹서(Haake mixer) 또는 니-더와 같은 혼련기에 투입하여 블렌드를 형성시키고, 중량비가 조정된 통상의 산화방지제, 충전제, 오일 등을 첨가하여 5 ∼ 15분 동안 혼련시켜 1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과정을거친다.
그 다음 과정으로, 본 발명은 상기 1차 혼합물에 20 ∼ 40 ℃로 유지된 롤밀을 이용하여 반응성 관능기인 산무수물을 첨가하고, 통상의 유기 과산화물 및 가교조제를 첨가하여 2 ∼ 5분 동안 충분한 혼련을 다시 행한다. 이렇게 얻어진 혼합물을 180 ∼ 230 ℃로 조정된 상기와 같은 혼련기에 투입하여 4 ∼ 6분 동안 50 ∼ 150 rpm의 전단력을 가하여 반응을 수행함으로써, 유기 과산화물의 개시반응에 의해 고무성분을 부분 가교시킬 뿐만 아니라, 산무수물과의 반응으로 관능화된 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와 관능화된 올레핀계 공중합체 고무의 2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과정을 거친다.
마지막 과정으로, 본 발명은 상기 2차 혼합물에 디아미드 화합물을 첨가하여 3 ∼ 4분 동안 반응시키면 관능화된 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와 관능화된 올레핀계 공중합체 고무가 공가교되어 열가소성 탄성체를 얻을 수 있으며, 이를 통상적인 압출 또는 사출을 통하여 다양한 형태로 성형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는 가공성, 인장강도, 인열강도, 신장영구늘음특성, 압축영구줄음특성 및 내오일성 등이 매우 우수하여 여러 고무 제품 등에 이용하기에 적합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19
다음과 같은 반응 조건하에서 다음 표 1과 같은 조성과 함량으로 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를 제조하였다.
EPDM은 에틸렌 함량 68.7 중량부, 에틸리덴노보넨 함량 5.0 중량부, 무늬점도 35.5의 중합 탄성체가 사용되었으며, PP는 용융지수 12의 결정성 호모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였다. 또한, 무수말레인산으로 개질된 폴리프로필렌은 용융지수 7, 무수말레인산의 함량이 0.5 중량부로 그라프트된 것을 사용하였다.
EPDM과 PP, m-PP, co-PP, co-PP 및 m-pp 중에서 선택된 올레핀계수지를 185 ℃로 조정된 핵케 믹서(Haake mixer)에 투입하여 100rpm에서 약 3분간 혼련을 행하고, 산화방지제(이르가녹스1010), 탄산칼슘, 미네랄 오일을 첨가한 다음, 약 2분간 계속 혼련을 행하여 1차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1차 혼합물에 20 ∼ 40 ℃로 조정된 롤밀을 이용하여 무수말레인산, 유기 과산화물로서 2,5-디메틸-2,5-디-tert-부틸퍼옥시헥산, 가교조제로서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를 첨가하여 균일한 분산이 되도록 약 4분간 충분한 혼련을 행하여 2차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2차 혼합물을 185 ℃의 온도, 100 rpm의 속도로 조정된 핵케 믹서(Haake mixer)에 투입하고 약 4분간 반응시킨 다음, 디시안디아미드를 첨가하고 약 4분간 반응시켜 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 19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다음 표 2와 같은 조성과 함량으로 제조하되, 비교예 9 ∼ 11은 각각 조성이 다른 산무수물을 첨가하였고, 비교예 12∼ 14는 각각 조성이 다른 디시안디아미드를 첨가하여 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 물성시험
상기 실시예 1 ∼ 19 및 비교예 1 ∼ 19에서 제조된 열가소성 탄성체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물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3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① 인장강도: ASTM D412 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② 신장율: ASTM D412 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③ 100% 탄성율: ASTM D412 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④ 인열강도: ASTM D624 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⑤ 신장영구늘음율: ASTM D412 방법에 따라 200% 신장에서 10분을 유지한 후, 응력을 제거하고 다시 10분 후에 변형된 정도를 측정하였다.
⑥ 압축영구줄음율: ASTM D395(Method B) 방법에 따라 100 ℃에서 22시간을 유지한 후 측정하였다.
⑦ 경도; ASTM D2240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⑧ 내오일성: ASTM D471 방법에 따라 120 ℃에서 3일 동안 ASTM #3 오일에 시편을 침적시킨 후, 흡유된 오일을 측정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는 종래에 비해 가공성, 인장강도, 인열강도, 신장영구늘음율, 압축영구줄음율 및 내오일성등의 물리적 특성이 매우 우수하다.

Claims (6)

  1. 결정성 폴리올레핀수지와 올레핀계 공중합체 고무의 블렌드를 주성분으로 하고 유기 과산화물 존재하에 산화방지제, 충전제, 오일 및 가교조제를 첨가하여 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를 제조함에 있어서,
    a) 상기 결정성 폴리올레핀수지 및 올레핀계 공중합체 고무가 20:80 ∼ 80:20 중량부로 이루어진 블렌드를 제조한 다음, 여기에 통상의 산화방지제, 충전제 및 오일을 첨가하여 혼련기로 용융 혼련시켜 1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과정,
    b) 상기 1차 혼합물에 20 ∼ 40 ℃의 온도로 조정된 롤밀을 이용하여 반응성 관능기로서 무수말레인산 및 아크릴산 중에서 선택된 산무수물을 상기 블렌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5 중량부로 첨가한 후, 통상의 유기 과산화물 및 가교조제를 첨가하여 혼련기에서 반응시켜 2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과정, 그리고
    c) 상기 2차 혼합물에 디시안디아미드를 상기 올레핀계 공중합체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5 중량부로 첨가한 다음, 공가교시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에서 사용된 결정성 폴리올레핀수지가 결정성 호모폴리프로필렌, α-올레핀계 공중합체, 그리고 상기 무수말레인산 및 아크릴산 중에서 선택된 산무수물에 의해 개질된 결정성 호모폴리프로필렌 중에서 선택된 것을단독 또는 1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에서 사용된 올레핀계 공중합체 고무가 에틸렌-프로필렌탄성 공중합체 고무(EPR), 상기 무수말레인산 및 아크릴산 중에서 선택된 산무수물에 의해 개질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EPR), 에틸렌-프로필렌-비공액디엔의 랜덤 탄성 공중합체 고무(EPDM) 및 무수말레인산 및 아크릴산 중에서 선택된 산무수물에 의해 개질된 에틸렌-프로필렌-비공액디엔 랜덤 공중합체 고무(EPDM) 중에서 선택된 것을 단독 또는 1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의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공액디엔은 디사이클로펜타디엔, 1,4-헥사디엔, 사이클로옥타디엔, 메틸리덴노보넨 및 에틸리덴노보넨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과산화물로는 디-tert-부틸큐밀퍼옥사이드, 디큐밀퍼옥사이드, 디(2-tert-부틸퍼옥시프로필-2)벤젠 및 2,5-디메틸-2,5-디(tert-부틸퍼옥시)헥산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의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조제로는 에틸렌글리콜디메틸아크릴레이트, 디아릴프탈레이트, 트리아릴시아누레이트, 트리아릴이소시아누레이트, 부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및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의 제조방법.
KR1019990050625A 1999-11-15 1999-11-15 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의 제조방법 KR100332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0625A KR100332671B1 (ko) 1999-11-15 1999-11-15 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0625A KR100332671B1 (ko) 1999-11-15 1999-11-15 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6736A KR20010046736A (ko) 2001-06-15
KR100332671B1 true KR100332671B1 (ko) 2002-04-17

Family

ID=19620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0625A KR100332671B1 (ko) 1999-11-15 1999-11-15 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26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967B1 (ko) * 2007-06-25 2009-01-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음이온 방사물질이 코팅된 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쉬트의 제조방법
KR101154879B1 (ko) * 2009-10-12 2012-06-18 (주) 화승소재 가드 밸브 바디용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53013A (en) * 1981-03-18 1982-09-21 Dainippon Ink & Chem Inc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JPS61278554A (ja) * 1985-06-03 1986-12-09 Nippon Mektron Ltd 加硫可能なアクリルゴム配合物
JPS61287921A (ja) * 1985-05-21 1986-12-18 Sumitomo Chem Co Ltd エラストマ−組成物
JPH03281608A (ja) * 1990-03-30 1991-12-12 Mitsui Petrochem Ind Ltd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H06256598A (ja) * 1993-03-10 1994-09-13 Mitsui Toatsu Chem Inc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53013A (en) * 1981-03-18 1982-09-21 Dainippon Ink & Chem Inc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JPS61287921A (ja) * 1985-05-21 1986-12-18 Sumitomo Chem Co Ltd エラストマ−組成物
JPS61278554A (ja) * 1985-06-03 1986-12-09 Nippon Mektron Ltd 加硫可能なアクリルゴム配合物
JPH03281608A (ja) * 1990-03-30 1991-12-12 Mitsui Petrochem Ind Ltd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H06256598A (ja) * 1993-03-10 1994-09-13 Mitsui Toatsu Chem Inc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6736A (ko) 200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9092B1 (ko) 탄성가소성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18018B1 (ko) 열가소성에라스토머(elastomer)조성물및그의제조방법
US6100334A (en) Thermoplastic vulcanizates from a cyclic olefin rubber, a polyolefin, and a compatiblizer
CA2047777C (en) Dynamically partially crosslinked thermo-plastic elastomer containing polybutene-1
KR101593256B1 (ko) 개질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제조방법
EP0918820B1 (en) Olefin-based cross-linked thermoplastic elastomers and a process of preparation thereof
EP2066745B1 (en)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s, methods of making and articles made from the same
JPS63251444A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組成物
JP2011528733A5 (ko)
EP0338860B1 (en)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US6610785B1 (en) Thermoplastic olefin elastomers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CN101367974A (zh) 具有优异的刚性和韧性的聚丙烯树脂组成物
EP0269265A2 (en)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EP1751230B1 (en) Modifiers for thermoplastic alloys and alloys produced using such modifiers
KR100332671B1 (ko) 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의 제조방법
US5569717A (en) Composition based on propylene polymer process for obtaining it and its use
EP1401925B1 (en) Process for cross-linking thermoplastic polyolefin elastomer compositions
US5030694A (en) High impact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s
KR101135699B1 (ko) 고용융장력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DE102012017354A1 (de) Thermplastische Elastomerzusammensetzung
CA1140294A (en) Thermoelastic mixture of polyolefin and partially cross-linked ethylene- propylene copolymers
JPH04114046A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の製造方法
JPH06145261A (ja) 変性ポリオレフィン
KR100617514B1 (ko) 도장성이 우수한 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JPH02170845A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0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