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2514B1 - 상악및하악의교합확인장치 - Google Patents

상악및하악의교합확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2514B1
KR100332514B1 KR1019970030962A KR19970030962A KR100332514B1 KR 100332514 B1 KR100332514 B1 KR 100332514B1 KR 1019970030962 A KR1019970030962 A KR 1019970030962A KR 19970030962 A KR19970030962 A KR 19970030962A KR 100332514 B1 KR100332514 B1 KR 100332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l
shaft
support
maxillary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0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8180A (ko
Inventor
가즈오 시라이시
아끼히꼬 다시로
다다시 기무라
Original Assignee
산낑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낑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산낑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980008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8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2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2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2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the hinge means ; Articulators with pivo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2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the hinge means ; Articulators with pivots
    • A61C11/022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the hinge means ; Articulators with pivots with two adjustable pivoting points, e.g. Argon-type artic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8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determining occl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05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trac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6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incisal gu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8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 A61C11/088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using scre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악과 하악의 어긋난 상태를 용이하게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채득한 인상을 기초로 하여 구성한 상악 모형(UM) 및 하악 모형(LM)을 각각 개별적으로 지지하고, 이들 상하 양악 모형(UM)(LM)을 상호 대향 배치시키는 상부 활모양 부재(100) 및 하부 활모양 부재(200)와, 하부 활모양 부재(200)에서 상기 상악 모형(UM) 및 상기 하악 모형(LM)의 개폐회전축에 대응하는 부위에 그 개폐회전축을 따라 배치된 체커 핀(31)과, 외단면(306)이 상기 개폐회전축에 대해 직교하고, 상기 체커 핀(310)의 선단에 근접한 형태로 상부 활모양 부재(100)에 설치된 체커 플레이트(30)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상악 및 하악의 교합 확인장치{Occlusion Observing Device}
본 발명은 상악 및 하악의 어긋난 상태를 눈으로 확인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악과 하악의 관계는 이들이 상호 중심위치에 있는 경우, 다시 말해서 안정한 상태에서 교두가 서로 교합하고 있지 않은 경우와 상호 교두감합위치에 있는 경우에 위치가 어긋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러한 상악 및 하악과의 위치 어긋남을 본인이 의식하는 것은 드물고, 대부분은 의치를 설계할 때에 치과의사나 치과기공사 등에 의해 발견된다. 다시 말해, 치과의사나 치과기공사 등은 의치를 설계할 때에 환자로부터 채득한 인상을 기초로 하여 상하 양악 모형을 각각 형성한 후에, 교합기로 불리는 전용용구를 적용하여 이들 상하 양악 모형을 중심위치 및 교두감합위치에 배치시키는 작업을 행하기 때문에 상술한 상악 및 하악의 어긋난 상태를 인식하게 된다.
상악과 하악의 어긋남은 이것이 아주 작은 경우, 그대로 방치하여도 별로 문제가 되지 않지만, 허용 범위를 넘어서 큰 경우에는 음식을 씹을 때에 턱관절에 부담을 주게 되고, 턱관절증 등의 턱장애를 발생시키는 요인이 될 염려가 있기 때문에 본래에는 조기에 교합치료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종전에 있어서는 환자에 대하여 상악 및 하악과의 어긋난 상태, 예컨대, 어긋난 방향이나 어긋난 양을 용이하게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이 없었기 때문에 환자의 치료에 대한 고지에 입각한 동의의 관점에서 극히 불리하게 되어, 치료가 행해지지 않고 그대로 방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상악 및 하악의 어긋난 상태를 용이하게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채득한 인상에 기초하여 구성한 상악 모형 및 하악 모형을 각각 개별적으로 지지하고, 이들 상하 양악 모형을 서로 대향 배치시키는 한 쌍의 모형 지지체와, 한 쪽의 모형 지지체에서 상기 상악 모형 및 상기 하악 모형의 개폐회전축에 대응한 부위에 이 개폐회전축을 따라 배설한 지침부재와, 상기 개폐회전축에 대해 직교하고, 상기 지침부재의 선단에 근접하는 상태로 다른 쪽 모형 지지체에 설치된 지표면을 구비하여 상악 및 하악 교합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지침부재 및 상기 지표면을 각각 한 쌍씩 구비하고, 또 상기 상하 양악 모형의 정중앙면에 대해 이들 한 쌍의 지침부재 및 한 쌍의 지표면을 각각 대칭적으로 배치시키는 것이 좋다.
이러한 발명에 의하면, 지표면에 대한 지침부재의 어긋남을 통해 상악 및 하악의 어긋남을 용이하게 눈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의사와 환자 사이에 조기 교합치료에 대한 사전 동의를 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개폐 회전축에 축심을 합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한쪽의 모형 지지체에 고착하고, 개개의 축심상에 상기 지침부재를 진퇴 가능하게 끼워 맞추는 지침 관통공을 형성한 축부재와, 평탄면을 갖춘 지표부재와, 상기 축부재의 외주역에 착탈 가능하게 걸어 맞춘 상태에서 이 축부재의 축심 둘레로 회전 가능한 축수부재와, 상기 다른 쪽의 모형 지지체에 대해 상기 지표부재 및 상기 축수부재를 택일적으로 또 착탈 가능하게 지지시키는 선택 지지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선택 지지수단을 통해 상기 다른 쪽의 모형 지지체에 상기 축수부재를 지지시키고, 그 축수부재를 상기 축부재에 걸어 맞춘 경우에, 상기 상하 양악의 모형을 서로 중심위치가 되는 상태로 대향 배치시키는 동시에, 상기 한 쌍의 모형 지지체를 상기 개폐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 요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한편, 상기 선택 지지수단을 통해 상기 다른 쪽의 모형 지지체에 상기 지표부재를 지지시키고, 또 상기 축부재의 지침 관통공에 상기 지침부재를 끼워 맞춘 경우에, 상기 지표부재의 평탄면을 상기 지표면으로 하여 기능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상기 축부재, 상기 지표부재, 상기 축수부재 및 상기 선택 지지 수단을 각각 한 쌍씩 구비하고, 상기 상하 양악 모형의 정중앙면에 대해 이들 한 쌍의 축부재 및 한 쌍의 선택 지지수단을 각각 대칭으로 배치시키는 것이 좋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악 및 하악의 교합 확인장치의 일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보인 것으로,
도 1a는 모형 지지체의 다른 쪽을 보인 평면도,
도 1b는 모형 지지체의 한 쪽을 보인 평면도,
도 1c는 이들 한 쌍의 모형 지지체의 배치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상악 및 하악 교합 확인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상악 및 하악 교합 확인장치에서 상하 양악 모형을 지지시킨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상악 및 하악 교합 확인장치에 적용되는 지표부재의 배설상태를 보인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상악 및 하악 교합 확인장치에 적용되는 지침부재의 배설상태를 보인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상악 및 하악 교합 확인장치에서 지침부재 및 지표면의 배치상태를 보인 것으로,
도 6a는 중심위치의 상태를 보인 요부 사시도.
도 6b는 교두감합위치의 상태를 보인 요부 사시도.
도 7은 도 1에 도시한 상악 및 하악 교합 확인장치에 적용되는 축수부재의 배치상태를 보인 분해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한 상악 및 하악 교합 확인장치에서 축수부재와 축부재를 상호 계합시킨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한 상악 및 하악 교합 확인장치에서 축수부재와 축부재를 상호 계합시킨 상태를 보인 배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한 상악 및 하악 교합 확인장치에서 축수부재 및 축부재를 상호 계합시키고, 상하 양악 모형을 지지시킨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상부 활모양 부재 110 : 선택 지지수단
200 : 하부 활모양 부재 210 : 축부재
218 : 지침 관통공 300 : 체커 플레이트
306 : 외단면 310 : 체커 핀
320 : 축수부재 LM : 하악 모형
UM : 상악 모형
이하 일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상악 및 하악 교합 확인장치의 일실시형태를 개념적으로 보인 것이다. 여기에서 예시된 교합 확인장치는 환자로부터 채득한 인상에 기초하여 상악 모형(UM) 및 하악 모형(LM)을 구성하고, 이들 상하 양악 모형(UM)(LM)을 적용하여, 환자에게 상악과 하악의 어긋난 상태를 눈으로 확인시키는 것으로 상악 모형(UM)을 지지하기 위한 상부 활모양 부재(모형 지지체)(100)와, 하악 모형(LM)을 지지하기 위한 하부 활모양 부재(모형 지지체)(20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부 활모양 부재(100)는 인체의 상악골에 상당하는 것으로, 전후방향(도 1에서는 상하방향)을 따라 놓이는 플레이트 모양을 이루고, 그 중앙부 하면에 상악용 마운팅 플레이트(150)를 부착하기 위한 평탄한 부착 저면(102)을 갖추고 있고, 이 부착 저면(102)보다도 전방측에 위치하는 부위에 인사이드 핀(104)을 지지하고 있는 동시에, 그 부착 저면(102)보다도 후방측에 위치하는 부위에 한 쌍의 선택 지지수단(110)을 구비하고 있다.
인사이드 핀(104)은 상기 부착 저면(102)의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상태로 상부 활모양 부재(100)의 전단부 하면에서 하방으로 향하여 돌출한 것으로, 외경이 똑같은 원주형태로 되어 있고, 상부 활모양 부재(100)에 형성한 핀 관통 지지공(106)에 관통시킨 후, 이 핀 관통 지지공(106)에 출몰하는 상태로 상부 활모양 부재(100)에 나사 결합한 핀 부착 나사(108)를 체결함으로써, 상부 활모양 부재(100)의 하면으로부터의 돌출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또 그 상부 활모양 부재(100)에 대해 착탈가능하게 배치하고 있다.
한 쌍의 선택 지지수단(110)은 도 2 내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좌우로 나란히 설치된 형태로 상부 활모양 부재(100)의 하면에서 아래를 향해 돌출된 한 쌍의 직사각형 블록부(112)와, 각 직사각형 블록부(112)에 각각 관통 설치되고, 서로의 축심이 수평방향을 따라 합치되는 한 쌍의 선택 부착공(114)과, 각 직사각형 블록부(112)의 전단면에서 상기 선택 부착공(114)의 축심에 대응하는 부위에서 그 선택 부착공(114)에 개구되는 형태로 형성된 한 쌍의 조정용 절결부(116)와, 상부 활모양 부재(100)의 상면에서 각 조정용 절결부(116)에 개구되는 형태로 형성된 한 쌍의 볼트 수용공(118)과, 각 볼트 수용공(118)의 연장구역에 서로의 축심을 합치시킨 상태로 형성된 한 쌍의 나사공(120)과, 상부 활모양 부재(100)의 상면에서각 볼트 수용공(118)을 통하여 각각의 선단부가 대응하는 나사 구멍(120)에 나사 결합되고, 개개의 상단부에 조작 레버(122)를 고착한 한 쌍의 착탈 조작 볼트(12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들 한 쌍의 선택 지지수단(110)은 각각 조작레버(122)를 통해 착탈 조작 볼트(124)를 적절히 회동시킨 경우에, 각 조정용 절결부(116)의 이격 거리를 탄성적으로 변화시키고, 각각의 직사각형 블록부(112)에 형성된 선택 부착공(114)의 내경을 확대 축소 변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한편 상기 교합 확인장치의 하부 활모양 부재(200)는 인체의 하악골에 상당하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상부 활모양 부재(100)에 대응하는 플레이트부(202)와, 이 플레이트부(202)의 후단부 양측에서 각각 위로 향하여 연장 배치된 한 쌍의 아암부(204)를 구비하고 있다.
플레이트부(202)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 배치되는 플레이트 모양을 이루고, 그 중앙부 상면에 하악용 마운팅 플레이트(250)를 부착하기 위한 평탄한 부착면(206)을 갖추고 있으며, 그 부착면(206)보다도 전방측에 위치하는 부위에 인사이드 테이블(208)을 지지하고 있다. 인사이드 테이블(208)은 그 상면이 좌우양측에서 중심을 향해 점차적으로 낮아지는 형태로 경사져 있고, 하부 활모양 부재(200)에 대해 착탈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아암부(204)는 전방에서 보았을 경우에 위를 향해 개구되는 대략 U자 형태를 이루고, 개개의 상단부에 각각 축부재(210)를 지지하고 있다.
축부재(2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원주 형태를 이루는축부(212)와, 그 축부(212)의 선단부에 고착된 구상으로 된 과두부(214)를 구비한 것으로 각 과두부(214)의 상호간에 상술한 상부 활모양 부재(100)의 후단부를 끼워 설치하는데 충분한 간격을 확보한 상태에서 그 과두부(214)를 상호 대향시키고, 각 축부(212)의 축심이 서로 수평방향을 따라 합치되는 상태로, 각각의 축부(212)를 통해 각각의 아암부(204)에 형성된 축고착공(216)에 고착하고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 한 쌍의 축부재(210)에는 각 축부(212)의 축심상에 위치하는 부위에 지침 관통공(218)을 형성하고 있다. 지침 관통공(218)은 축부(212)의 기단면에서 과두부(214)의 외표면에 이르는 부위에 걸쳐 각 축부재(210)를 관통하고 있다. 또한 도 2의 부호 220은 한 쌍의 아암부(204)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220), 또 부호 222는 각각의 아암부(204)의 후단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다리부이며, 후방으로 향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아래로 경사지는 형태로 연장 배치되어 있다.
더구나, 상기 교합 확인장치는 도 1,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체커 플레이트(지표부재), 한 쌍의 체커 핀(지침부재)(310) 및 한 쌍의 축수부재(320)를 구비하고 있다.
체커 플레이트(30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상술한 선택 지지수단(110)의 선택 부착공(114)에 끼워 맞출 수 있는 외경을 가진 원주상의 플레이트 부착 기둥형상부(302)와, 그 플레이트 기둥형상부(302)보다도 충분히 큰 직경의 원판 모양으로 형성하고, 서로의 축심을 합치시킨 상태로 각 플레이트 부착 기둥형상부(302)의 일단부에 고착된 지표 플레이트부(304)를 구비하여 구성한 것으로 각각 지표 플레이트(304)의 외단면(지표면)(306)에 축심을 중심으로 한 크로스라인(308)을 구비하고 있다.
체커 핀(310)은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상기 축부재(210)에 형성된 지침 관통공(218)보다도 직경이 작은 원주 모양을 이루고, 개개의 선단부를 바늘모양으로 예리하게 형성한 것으로 각 지침 관통공(218)에 끼워 삽입시킨 경우에 각각의 양단부가 외부로 돌출되는 정도의 충분한 길이를 갖고 있다.
축수부재(32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2개의 규제 블록(322)(324)을 구비한 포사박스로 불리는 과두 지지부(326)와, 각 과두 지지부(326)의 일단부에서 연장 배치되고, 각각 상술한 체커 플레이트(300)의 플레이트 부착 기둥형상부(302)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축수 부착 기둥형상부(328)와, 각 과두 지지부(326)의 타단부에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각각 요동 중심의 근방에 위치하는 부위에 갈고리 형상부(도시안됨)를 갖춘 센트릭 래치(330)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으로 도 8 및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축수부재(210)의 각 과두부(214)를 과두 지지부(326)의 규제 블록(322)(324) 사이에 배치한 상태로 센트릭 래치(330)의 갈고리 형상부(도시안됨)를 통해 각각의 축부재(210)에 계합배치시킨 경우에, 각각의 축수 부착 기둥형상부(328)의 축심을 축수부재(210)의 축심상에 배치한 상태로 그 축부재(210)의 축심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교합 확인 장치에서는 먼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탈 조작 볼트(124)를 각각 이완시킨 상태에서 상부 활모양 부재(100)의 각각의 선택 부착공(114)에 축수부재(320)의 축수 부착 기둥형상부(328)를 삽입하고,그 후에 각각의 착탈 조작 볼트(124)를 체결함으로써 한 쌍의 축수부재(320)를 각각 상부 활모양 부재(100)에 지지시킨다.
이 상태에서 센트릭 래치(330)를 작용시켜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활모양 부재(100)에 지지된 각각의 축수부재(320)를 각각 하부 활모양 부재(200)의 축부재(210)에 지지시키면, 그 상부 활모양 부재(100)가 축부재(210)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하부 활모양 부재(200)에 대해 요동가능하게 지지되게 된다.
더우기 상술한 상태에서 적절한 체크 바이트 등의 전용기구를 적용하여 상기 축부재(210)의 축심이 실제의 악의 개폐회전축으로 된 상태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활모양 부재(100)의 부착 저면(102)에 상악용 마운팅 플레이트(150)를 통해 상악 모형(UM)을 지지시키는 동시에 하부 활모양 부재(200)의 부착면(206)에 하악용 마운팅 플레이트(250)를 통해 하악 모형(LM)을 지지시키고, 인사이드 핀(104)의 길이를 적절히 조정하여 이들 상하 양악 모형(UM)(LM)을 서로 중심 위치가 되는 상태로 대향 배치시킨다.
상기한 상태에서의 교합 확인장치는 하부 활모양 부재(100)를 요동시키면 하악 모형(LM)에 대해 상악 모형(UM)이 개폐 이동하게 되고, 한편 상부 활모양 부재(100)에 대해 축수부재(320)의 부착 방향을 적절히 조정하고, 축부재(210)의 과두부(214)에 대한 각각의 과두 지지부(326)의 두 개의 규제 블록(322)(324)의 배치 위치를 각각 적절히 조정한 후에 센트릭 래치(330)를 해제시키면 환자의 실제 교합시의 상악 및 하악의 어긋남을 재현시킬 수 있어서, 종전부터 의치의 설계에있어서 그 교합을 확인할 때에 사용되고 있는 반조절성 교합기로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이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활모양 부재(220)의 후단 가장자리와 한 쌍의 다리부(222)를 통해 교합 확인장치를 책상 위에 올려놓으면, 상하 양악 모형(UM)(LM)의 눈에 의한 확인성이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상술한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부 활모양 부재(100) 및 하부 활모양 부재(200)에 각각 상하 양악 모형(UM)(LM)을 지지시킨 후, 이번에는 센트릭 래치(330)를 해제시켜 상부 활모양 부재(100)를 하부 활모양 부재(200)에서 분리시키고, 앞과는 반대의 순서로 상부 활모양 부재(100)가 각각 축수부재(320)를 떼어 낸다.
이어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활모양 부재(100)의 각각의 선택 부착공(114)에 체커 플레이트(300)의 플레이트 부착 기둥형상부(302)를 삽입하고, 그 후에 각각의 착탈 조작 볼트(124)를 체결함으로써, 한 쌍의 체커 플레이트(300)를 각각 상부 활모양 부재(100)에 지지시킨다.
더우기 상부 활모양 부재(100)를 분리시킨 하부 활모양 부재(200)에는 도 1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축부재(210)의 지침 관통공(218)에 바늘모양으로 예리한 선단부가 상호 대향하는 형태로 각각의 바깥쪽에 체커 핀(310)을 삽입하여 배치시킨다.
상술한 상태에서 하부 활모양 부재(200)의 위쪽에 상부 활모양 부재(100)를 배치하고, 상하 양악 모형(UM)(LM)을 상호 대향 배치시키면, 이들 상하 양악모형(UM)(LM)이 재차 상호 중심위치가 되고, 그 때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커 핀(310)의 각 선단부가 각각 체커 플레이트(300)의 외단면(306)에 표시된 크로스라인(308)의 중심을 가리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악 모형(UM) 및 하악 모형(LM)을 상호 교두감합위치로 위치시킨 경우에, 이들 상하 양악 모형(UM)(LM)에 어긋남이 발생하면,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어긋난 방향 및 어긋난 양이 확인 플레이트(300)의 외단면(306)에 대한 체커 핀(310)이 어긋나게 되어 나타나게 된다.
이하 교합확인 장치의 원리와 조작을 총괄적으로 설명한다.
치과환자가 정상적인 과두의 위치라고 생각되는 위치에서 체크 바이트를 거쳐 하악 모형(LM)을 하부 활모양 부재(200)에 설치된 하악용 마운팅 플레이트(250)에 장착하고, 마찬가지로 상악 모형(UM)을 상부 활모양 부재(100)에 설치된 상악용 마운팅 플레이트(150)에 장착한다.
이렇게 하여 실제의 악의 개폐회전축과 하부 활모양 부재(200)의 축부재(210)의 축심을 일치시켜 하부 활모양 부재(100)이 축수부재(320)를 거쳐 하부 활모양 부재(200)의 축부재(210)의 축심주위로 회동하는 위치에 하악 모형(LM)과 상악 모형(UM)을 대향하여 배치한다.
이것이 실제의 악의 개폐회전축에 대한 하악 모형(LM)과 상악 모형(UM)의 정상적인 교합위치이다.
이 때 좌우의 센트릭 클러치(330)를 빼고, 축수부재(320)를 풀고 체커 플레이트(300)를 상부 활모양 부재(100)의 선택 지지수단(110)에 설치하고, 체커핀(310)을 축부재(210)의 지침 관통공(218)에 삽입하여 하부 활모양 부재(200)에 설치하고, 체커 핀(310)의 바늘모양 선단부를 상부 활모양 부재(100)에 설치한 체커 플레이트(300)의 지표면(306)에 근접하여 대향시킨다.
그러면 이 체크 바이트를 거친 하악 모형(LM)과 상악 모형(UM)의 정상적인 교합상태에서는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커 핀(310)의 바늘모양의 선단부는 체크 플레이트(300)의 지표면(306)의 중심을 나타낸다.
이번에는 체크 바이트를 빼고 하악 모형(LM)과 상악 모형(UM)을 교합시켜 치과환자의 습관적인 교합위치를 재현한다.
치과환자의 습관적인 교합위치가 정상적인 교합위치인 경우에는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커 핀(310)의 바늘모양 선단부가 체커 플레이트(300)의 지표면(306)의 중심을 지시하지만, 치과환자의 습관적인 교합위치가 정상적인 교합위치에서 벗어나 있는 경우에는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커 핀(310)의 바늘모양의 선단부가 체커 플레이트(300)의 지표면(306)의 중심에서 어긋난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의 교합 확인장치는 간단한 조작으로 치과환자의 습관적인 교합위치의 정상적인 교합위치로부터의 어긋남이 체커 핀(310)의 바늘모양의 선단부가 체커 플레이트(300)의 지표면(306)상에 지시하는 위치에 의해 명확하게 눈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환자의 입회하에 상술한 조작을 재현하면, 체커 플레이트(300)의 외단면(306)에 대한 체커 핀(310)의 어긋남을 통해 환자 자신이 상악 및 하악의 어긋남을 용이하게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의사와 환자 사이에 조기 교합 치료에대한 고지에 입각한 동의를 도출해 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상악 모형을 지지하는 모형 지지체에 지표면을 설치함과 동시에 하악 모형을 지지하는 모형 지지체에 지침부재를 배치하는 것으로 하거나, 그 반대로, 상악 모형을 지지하는 모형을 지지하는 모형 지지체에 지침 부재를 배치함과 동시에 하악 모형을 지지하는 모형 지지체에 지표면을 설치하여도, 장치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지침부재는 반드시 한 쌍 배치될 필요는 없고, 양단부가 예리한 하나의 지침부재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지표부재의 외단면에 지표면을 구성하고 있으나, 모형 지지체에 직접 지표면을 구성하여도 상관없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지표면을 구성하는 지표부재를 한 쪽의 모형 지지체에 대해 착탈가능하게 배치함과 동시에 지침부재를 다른 쪽의 모형 지지체에 대해 착탈가능하게 배치하고, 상기 지표부재 대신에 축수부재를 배치가능하게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교합 확인장치를 교합기로도 이용할 수 있으나, 교합기로서 이용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지표부재 및 지침부재를 각각 고착하는 형태로 모형 지지체에 배치하여도 좋다. 또한 이 경우에는 축수부재를 준비할 필요가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지표면에 대한 지침 부재의 어긋남을 통해 상악 및 하악의 어긋남을 용이하게 눈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의사와 환자 사이에 조기 교합 치료에 대한 고지에 입각한 동의를 도출해 낼수 있다.

Claims (4)

  1. 사람의 치형으로부터 채득한 인상을 기초로 하여 구성한 상악모형 및 하악모형을 서로 대향하여 배치시키고, 상기 하악모형을 유지하는 동시에 후방에 상기 상악모형을 상기 하악모형에 대하여 요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개폐회전축을 가지는 한 쪽의 모형지지체와 이 한 쪽의 모형지지체에 대하여 상기 개폐회전축 회전에 요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상악모형을 지지하는 다른 쪽의 모형지지체로 된 한 쌍의 모형지지체와,
    실제의 악의 개폐회전축에 상당하는 상기 상악모형 및 상기 하악모형의 상기 개폐회전축에 대응하는 부위에 이 개폐회전축을 따라 상기 한 쪽의 모형지지체가 배설되고, 상기 개폐회전축의 위치를 나타내는 선단부분을 가지는 지침부재와,
    상기 개폐회전축에 대하여 직교하고 또 상기 지침부재의 상기 선단부분에 근접하는 태양으로 상기 다른 쪽의 모형지지체에 설치된 지표면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 및 하악의 교합확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양악 모형의 정중앙면에 대하여 대칭하고, 상기 지침부재 및 상기 지표면을 좌우로 각각 한 쌍씩 배치하여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 및 하악의 교합확인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회전축에 축심을 합치시킨 상태로 상기 한 쪽의 모형지지체에 고착하고, 이 축심상에 상기 지침부재를 진퇴가능하게 끼워 맞추는 지침관통공을 형성한 축부재와,
    다른 쪽의 모형지지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평탄면을 가진 지표부재와, 상기 축부재 중 일부에 착탈가능하게 걸어 맞추고, 걸어 맞춘상태에서 해당 축부재의 축심회전으로 회전가능하게 되고, 상기 다른 쪽의 모형지지체에 착탈가능하게 고착되는 축수부재와,
    상기 지표부재 또는 상기 축수부재를 택일적으로 착탈가능하게 상기 다른 쪽의 모형지지체에 지지시키고, 상기 다른 쪽의 모형지지체에 형성된 선택 지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선택 지지수단을 통해 상기 다른 쪽의 모형지지체에 상기 축수부재를 지지시키고 또 해당 축수부재를 상기 축부재에 걸어 맞춘 경우에 상기 상하 양악 모형을 서로 중심위치가 되는 상태로 대향배치시키는 동시에 상기 한 쌍의 모형지지체를 상기 개폐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회전운동가능하게 지지시키는 한편,
    상기 선택 지지수단을 통해 상기 다른 쪽의 모형지지체에 상기 지표부재를 지지시키고 또 상기 축부재의 지침관통공에 상기 지침부재를 끼워 맞춘 경우에 상기 지표부재의 평탄면을 상기 지표면으로 하여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 및 하악 교합확인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재, 상기 지표부재, 상기 축수부재 및 상기 선택지지수단을 각각 한 쌍씩 구비하고, 또 상기 상하 양악 모형의 정중앙면에 대하여 대칭으로 상기 축부재 및 상기 선택지지수단을 좌우로 각각 배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 및 하악의 교합확인장치.
KR1019970030962A 1996-07-10 1997-07-04 상악및하악의교합확인장치 KR1003325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8069996A JP2955841B2 (ja) 1996-07-10 1996-07-10 咬合視認装置
JP180699/1996 1996-07-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180A KR980008180A (ko) 1998-04-30
KR100332514B1 true KR100332514B1 (ko) 2002-08-21

Family

ID=16087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0962A KR100332514B1 (ko) 1996-07-10 1997-07-04 상악및하악의교합확인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024563A (ko)
JP (1) JP2955841B2 (ko)
KR (1) KR1003325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7826B1 (ko) 2021-10-07 2022-02-08 (주)일우전자 휴대용 양악 교정기
KR20230041300A (ko) 2021-09-17 2023-03-24 (주)일우전자 휴대용 양악 교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21149B2 (en) * 2007-04-17 2011-09-20 Gnath Tech Dental System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replicating mandibular movement
US8382686B2 (en) * 2007-04-17 2013-02-26 Gnath Tech Dental System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mandibular movement
CN102475581A (zh) * 2010-11-25 2012-05-30 苏州卫生职业技术学院 一种检测固定义齿基牙倒凹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5210U (ko) * 1984-11-08 1986-06-04
JPS6218115U (ko) * 1985-07-19 1987-02-03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65116A5 (de) * 1983-05-10 1988-04-29 Roland Weber Vorrichtung fuer die aufzeichnung der kieferokklusion eines patienten und deren nachbildung anhand von gebissmodellen.
CA1216446A (en) * 1984-07-16 1987-01-13 Henry Shimbashi Dental articula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5210U (ko) * 1984-11-08 1986-06-04
JPS6218115U (ko) * 1985-07-19 1987-02-03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1300A (ko) 2021-09-17 2023-03-24 (주)일우전자 휴대용 양악 교정기
KR102357826B1 (ko) 2021-10-07 2022-02-08 (주)일우전자 휴대용 양악 교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24053A (ja) 1998-01-27
JP2955841B2 (ja) 1999-10-04
US6024563A (en) 2000-02-15
KR980008180A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06593B2 (ja) 顎咬合器及び咬合フォーク柱を備える顔弓
Keshvad et al. An appraisal of the literature on centric relation. Part I
US11259907B2 (en) Device for recording centric jaw relation and orientation jaw relation simultaneously
US5090901A (en) Face bow and adjustable occlusal fork
US3908271A (en) Dental articulator
KR200183333Y1 (ko)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기록장치
BRPI0904212A2 (pt) equipamento de posicionamento e reposicionamento rápido e simples das arcadas, sem utilização de gesso, que permite a simulação do movimento mandibular e respectivo método de operação
KR100332514B1 (ko) 상악및하악의교합확인장치
JPS5918053B2 (ja) 顎の中心関係および顎運動の記録を行う際に用いる口腔内記録装置
Hickey et al. A new articulator for use in teaching and general dentistry
US6287113B1 (en) Full reproduction articulator
JP3181517U (ja) バイトフォーク
US4368041A (en) Dental simulator and method for recording jaw movements
Christiansen Rationale of the face-bow in maxillary cast mounting
TW202011907A (zh) 能夠提供固定水平髁和可調水平髁的牙齒咬合架
JP2866084B2 (ja) 完全再現性咬合器
CN110740706A (zh) 咬合记录器具和咬合器
JP6755479B2 (ja) レーザー照射装置
KR100454222B1 (ko) 교합기
JPH11318940A (ja) 歯科用平行切削用補助具
KR100251238B1 (ko)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기록장치
US4466794A (en) Dental simulator
JP2002360607A (ja) 咬合器
JP2022101248A (ja) 咬合器
KR200320649Y1 (ko)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스테레오 기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00714

Effective date: 200201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