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2478B1 - 온풍난방기의 열교환기 드레인구조 - Google Patents

온풍난방기의 열교환기 드레인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2478B1
KR100332478B1 KR1019990060376A KR19990060376A KR100332478B1 KR 100332478 B1 KR100332478 B1 KR 100332478B1 KR 1019990060376 A KR1019990060376 A KR 1019990060376A KR 19990060376 A KR19990060376 A KR 19990060376A KR 100332478 B1 KR100332478 B1 KR 100332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drain
air heater
groove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0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7366A (ko
Inventor
조광연
이재준
Original Assignee
강성모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모,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성모
Priority to KR1019990060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2478B1/ko
Publication of KR20010057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7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2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24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6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 F24H3/08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by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6Arrangement of mountings or supports for heaters, e.g. boilers, other than space heating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6Arrangements for water drain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tantaneous Water Boilers,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nd Control Of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풍난방기의 열교환기 드레인구조에 관한 것으로, 온풍난방기(100)의 내측 버너부에서 연소된 연소열을 열교환기를 통해 순환시킨 후 연소된 가스는 배기관을 통해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외부공기와 배기부열의 온도차로 배기구측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받아 처리할 수 있도록, 배기구(35)가 일측으로 구비되고, 몸체 상부에는 열교환기 파이프가 설치되며, 몸체 하부에는 드레인홈(51)이 형성된 부열교환기(50)와;상기 부열교환기(50)의 드레인홈(51) 저면으로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위치되며, 몸체 후측부에는 열교환기(30) 몸체에 고정되도록, 장착부(11)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 내측으로는 수납부(12)가 형성된 드레인팬(10)과;상기 드레인팬(10)의 몸체 저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배출수단(2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상기 배출수단(20)은 드레인팬(10)의 바닥면 일측부에 배출홈(13)을 형성하고, 상기 배출홈(13)에 연결호스(21)를 장착한 후 상기 연결호스(21) 단부에 밸브(22)가 설치되므로, 외부온도와 배기구측의 온도차로 생성되는 응축수를 용이하게 받아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온풍난방기의 열교환기 드레인구조 {Heat exchanger drain structure of a hot air heater}
본 발명은 온풍난방기의 열교환기 드레인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온풍난방기의 배기부 형상을 갖는 부열교환기 하부에 드레인홈을 형성하고, 상기 드레인홈 저면으로는 드레인팬을 설치하여 외부공기와 배기부열의 온도차로 발생되는 응축수가 하부로 낙하되어 타 부품이 부식되는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풍난방기의 내측에는 버너부에서 연소된 연소열을 열교환기를 통해 순환시킨 후 연소된 가스는 배기관을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온풍난방기의 열교환기 배기구측에는 외부공기와 배기부열의 온도차에 의해 응축수가 생성된다.
또한, 상기 응축수는 강한 산성을 갖으므로, 타 부품과 접촉방지를 위해 관리자는 세심한 관리와 주의를 필요로 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종래 온풍난방기의 열교환기 배기구측에서 외부온도와 배기부의 온도차로 발생되는 응축수가 그대로 하부로 낙하되므로, 내부의 부품들이 쉽게 부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외부온도와 배기부의 온도차로 발생되는 응축수는 강한 산성을갖으므로, 타 부품과 접촉시에는 빠른 시간에 부식이 이루어지므로, 온풍난방기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상기 응축수가 타 부품과 접촉되어 발생되는 녹물이 외부로 누출되어 온풍난방기 외관미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온풍난방기의 배기부 형상을 갖는 부열교환기 하부에 드레인홈을 형성하고, 상기 드레인홈 저면으로는 드레인팬을 설치하여 외부공기와 배기부열의 온도차로 발생되는 응축수가 하부로 낙하되어 타 부품이 부식되는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온풍난방기의 열교환기 드레인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온풍난방기의 열교환기 드레인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온풍난방기의 형상을 도시한 일부 절결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열교환기의 배기구측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3은 열교환기의 배기구측에 설치되는 드레인팬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드레인팬의 형상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드레인팬 11 - 장착부
12 - 수납부 13 - 배출홈
14 - 체결홈 20 - 배출수단
21 - 연결호스 22 - 밸브
30 - 열교환기 35 - 배기구
40 - 고정부재 50 - 부열교환기
51 - 드레인홈 100 - 온풍난방기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온풍난방기(100)의 내측 버너부에서 연소된 연소열을 열교환기를 통해 순환시킨 후 연소된 가스는 배기관을 통해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외부공기와 배기부열의 온도차로 배기구측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받아 처리할 수 있도록, 배기구(35)가 일측으로 구비되고, 몸체 상부에는 열교환기 파이프가 설치되며, 몸체 하부에는 드레인홈(51)이 형성된 부열교환기(50)와;상기 부열교환기(50)의 드레인홈(51) 저면으로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위치되며, 몸체 후측부에는 열교환기(30) 몸체에 고정되도록, 장착부(11)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 내측으로는 수납부(12)가 형성된 드레인팬(10)과;상기 드레인팬(10)의 몸체 저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배출수단(2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상기 배출수단(20)은 드레인팬(10)의 바닥면 일측부에 배출홈(13)을 형성하고, 상기 배출홈(13)에 연결호스(21)를 장착한 후 상기 연결호스(21) 단부에 밸브(22)가 설치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인 온풍난방기의 열교환기 드레인구조는 부열교환기(50) 하부에는 드레인홈(51)을 형성하고, 상기 드레인홈(51)의 저면에는 드레인팬(10)이 형성되므로, 외부온도와 배기구측의 온도차로 열교환기(30) 내부에서 발생될 수 있는 응축수를 용이하게 받아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온풍난방기의 형상을 도시한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열교환기의 배기구측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열교환기의 배기구측에 설치되는 드레인팬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드레인팬의 형상을 측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 ∼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온풍난방기의 열교환기 드레인구조의 드레인팬(10)은 온풍난방기(100)의 내측 버너부에서 연소된 연소열을 열교환기를 통해 순환시킨 후 연소된 가스는 배기관을 통해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외부공기와 배기부열의 온도차로 열교환기 내부에서 발생될 수 있는 응축수를 받아 처리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팬(10)의 형상은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부열교환기(50)의 하부에 형성되는 드레인홈(51)의 저면에 위치되며, 몸체 후측부에는 열교환기(30) 몸체에 고정되도록, 장착부(11)가 구비된다.
상기 드레인팬(10)의 장착부(11)는 열교환기(30) 몸체 전면 하부에 설치되어 드레인팬(10)이 부열교환기(50)의 드레인홈(51) 하부로 위치되도록, 몸체 양측부에 체결홈(14)이 구비되어 고정부재(40)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팬(10)을 열교환기(30)의 몸체에 고정시키는 방식은 고정부재(40)를 이용한 방식이 아닌 클립고정방식이나 별도의 고정수단을 적용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드레인팬(10)의 몸체 내측으로는 낙하되는 응축수를 받아 저장할 수 있도록 수납부(12)가 구비된다.
상기 수납부(12)의 크기는 제품의 용량 및 설치되는 환경등에 따라 그 크기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한편, 상기 드레인팬(10)의 수납부(12) 일측부에는 선택적으로 배출수단(20)을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배출수단(20)은 드레인팬(10)의 일측부에 배출홈(13)을 형성하고, 상기 배출홈(13)에 연결호스(21)를 장착한 후 상기 연결호스(21) 단부에 밸브(22)를 설치하여, 응축수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드레인팬(10)의 수납부(12) 일측저면에 형성되는 배출수단(20)은 외부에서 응축수가 일정량 모이게 되면 밸브(22)를 개방시켜 응축수가연결호스(2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드레인팬(10)의 수납부(12) 저면의 바닥면은 배출홈(13)을 기준으로 경사부를 두고 응축수가 배출홈(13) 방향으로 모이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따라서, 본 발명인 온풍난방기의 열교환기 드레인구조는 부열교환기(50)의 몸체 저면에 드레인홈(51)을 형성하고, 상기 드레인홈(51)의 하부에는 드레인팬(10)이 설치되므로, 열교환기와 배기구측의 온도차로 발생되는 응축수가 하부로 낙하되어 타부품을 부식시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첫째, 온풍난방기(100)의 내측 열교환기(30) 하부의 부열교환기(50) 몸체 저면에 드레인홈(51)을 형성하고, 상기 드레인홈(51)의 하부에는 드레인팬(10)이 설치되므로, 종래와 같이 응축수가 하부로 낙하되면서, 타 부품을 부식시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둘째, 응축수가 낙하되면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온풍난방기(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종래와 같이 응축수가 하부로 낙하되어 온풍난방기(100)의 외관미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정정) 온풍난방기(100)의 내측 버너부에서 연소된 연소열을 열교환기를 통해 순환시킨 후 연소된 가스는 배기관을 통해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외부공기와 배기부열의 온도차로 배기구측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받아 처리할 수 있도록, 배기구(35)가 일측으로 구비되고, 몸체 상부에는 열교환기 파이프가 설치되며, 몸체 하부에는 드레인홈(51)이 형성된 부열교환기(50)와;
    상기 부열교환기(50)의 드레인홈(51) 저면으로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위치되며, 몸체 후측부에는 열교환기(30) 몸체에 고정되도록, 장착부(11)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 내측으로는 수납부(12)가 형성된 드레인팬(10)과;
    상기 드레인팬(10)의 몸체 저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배출수단(2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20)은 드레인팬(10)의 바닥면 일측부에 배출홈(13)을 형성하고, 상기 배출홈(13)에 연결호스(21)를 장착한 후 상기 연결호스(21) 단부에 밸브(22)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난방기의 열교환기 드레인 구조.
  2. (삭제)
  3. (삭제)
KR1019990060376A 1999-12-22 1999-12-22 온풍난방기의 열교환기 드레인구조 KR100332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0376A KR100332478B1 (ko) 1999-12-22 1999-12-22 온풍난방기의 열교환기 드레인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0376A KR100332478B1 (ko) 1999-12-22 1999-12-22 온풍난방기의 열교환기 드레인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7366A KR20010057366A (ko) 2001-07-04
KR100332478B1 true KR100332478B1 (ko) 2002-04-13

Family

ID=19628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0376A KR100332478B1 (ko) 1999-12-22 1999-12-22 온풍난방기의 열교환기 드레인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24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500B1 (ko) * 2017-08-31 2019-04-16 (주)동화엔텍 불순물 제거를 위한 드레인 공간부를 갖는 플레이트형 열교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7366A (ko) 2001-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56456B1 (en) Hot-water supply system having dual pipe
KR100332478B1 (ko) 온풍난방기의 열교환기 드레인구조
JP2903143B2 (ja) 熱交換装置用ドレン容器の保温装置
CN108151288B (zh) 窗机底盘、窗机空调器
KR200444631Y1 (ko) 보일러용 워터트랩
KR100899405B1 (ko) 보일러용 워터트랩
JP3007805B2 (ja) 排気ライン中の凝縮水排出構造
JP2007326085A (ja) ドレン中和器
KR100646341B1 (ko) 보일러의 응축수 드레인 이상유무 감지장치
KR102244776B1 (ko) 동결 방지 기능을 구비한 콘덴싱 보일러용 사이펀
RU2463528C2 (ru) Бытовой электроприбор
KR200186320Y1 (ko) 목재연소 보일러
KR102549102B1 (ko) 목초액 받이 구조를 갖는 화목 보일러
KR100588134B1 (ko) 냉장고
KR100557659B1 (ko) 보일러의 응축수 사이펀 히팅장치
KR20090003292U (ko) 보일러용 워터트랩
JP4352869B2 (ja) 加熱調理器
KR200362891Y1 (ko) 보일러의 응축수 사이펀구조
MY124552A (en) Air conditioner
KR810002431Y1 (ko) 구멍탄 온수 보일러
KR20080059966A (ko) 보일러의 중화처리 케이싱 동결방지구조
KR0127834Y1 (ko) 보일러용 응축수 귀환구조
KR900008388Y1 (ko) 공탄 보일러
KR900001957Y1 (ko) 보일러 설치대
KR19980047518U (ko) 가스보일러용 열교환기 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