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3292U - 보일러용 워터트랩 - Google Patents

보일러용 워터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3292U
KR20090003292U KR2020070016200U KR20070016200U KR20090003292U KR 20090003292 U KR20090003292 U KR 20090003292U KR 2020070016200 U KR2020070016200 U KR 2020070016200U KR 20070016200 U KR20070016200 U KR 20070016200U KR 20090003292 U KR20090003292 U KR 2009000329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ate
boiler
water trap
wate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62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정선
남기환
정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롯데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롯데기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롯데기공
Priority to KR20200700162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3292U/ko
Publication of KR200900032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29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6Arrangements for water drain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BSTEAM OR VAPOUR CONDENSERS
    • F28B9/00Auxiliary systems, arrangements, or devices
    • F28B9/08Auxiliary system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collecting and remov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7/00Removing ice or water from heat-exchange apparatus
    • F28F17/005Means for draining condensates from heat exchangers, e.g. from evapo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Instantaneous Water Boilers,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nd Control Of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REA)

Abstract

보일러용 워터트랩이 개시된다. 보일러에 구비되어 열교환기로부터 발생된 응축수를 배수하는 워터트랩에 있어서, 몸체의 내부에 수용공간부가 형성되고, 연결구는 몸체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며, 응축수 유입구는 연결구와 일체로 몸체의 수용공간부 하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응축수가 몸체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임시수용부는 응축수 유입구의 외곽을 둘러쌓아 응축수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응축수를 충진하고 충진된 응축수가 오버플로우된 경우에 수용공간부로 유입되도록 하고, 배수관은 몸체의 하면에 연장 형성되어 수용공간부로 유입된 응축수를 배수한다.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용 워터트랩에 의하면, 구조가 간단하고 소형으로 제작 가능하여 보일러 내부에 공간 확보가 용이하고 설치가 간편하며, 응축수를 중성 PH 농도로 중화시켜 배수하고 응축수를 중화하는 중화제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고, 분해 및 결합이 용이하여 응축수를 중화하는 중화제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내부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보일러, 워터트랩, 응축수, 중화제

Description

보일러용 워터트랩{a water-trap of boiler}
본 고안은 보일러용 워터트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일러의 열교환기로부터 발생되는 응축수를 담수하여 배수하는 워터트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는 난방 및 온수를 제공받을 수단의 일환으로 여러 형태의 보일러가 설치되어 지고, 이러한 보일러는 크게 공급되는 연료를 점화·연소시키기 위한 연소부와, 그 연소부에서 발생된 열량을 난방수에 전달하여 고온 상태가 되도록 하는 열교환기와, 고온상태로 열교환이 이루어진 난방수를 난방 및 온수공급을 위해 순환·공급시키는 난방배관으로 나뉘어 지며, 연소시 사용되는 연료에 따라 가스보일러와 기름보일러로 구분되어 진다.
한편, 근래에 들어서는 최소한의 연료 소모로 열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현열 열교환부와 잠열 열교환부로 구성된 열교환기를 구비한 콘덴싱 방식의 가스보일러가 대중화되고 있는 실정으로, 이 같은 콘덴싱 방식의 보일러에 있어서는 그 배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수증기가 노점온도 이하에서 응축되어 열교환기의 외부로 배출되는 데, 이 응축수의 산성도가 대략 PH3~PH4 정도의 산성 응축수로서, 이는 보일러를 구성하는 부품에 닿게 될 경우에는 부식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그대로 배수될 경우에는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었다.
도 7은 일반적인 콘덴싱 가스보일러에 워터트랩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정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기존의 워터트랩(100)은 산성 응축수 배수로 발생되는 보일러 부품의 부식 및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열교환기(110)로부터 발생된 응축수는 통상적으로 워터트랩(100)을 거치게 되고, 이때 워터트랩(100)은 연소가스가 배기되지 않도록 응축수를 일정 량 담수하여 배수되게 한다. 이러한 워터트랩(100)은 콘덴싱 가스보일러(1)의 열교환기(110)로부터 응축수를 유입받을 수 있도록, 연결호스(112)가 몸체(102)의 상부에서 내부 하측까지 형성된 연결관(104)의 상부와 연결되고, 물탱크(120)와 연결호스(122)에 의해 오버플로우된 물이 몸체(102) 내부로 일부는 유입되고 일부는 바로 배출될 수 있도록 몸체(102)의 내부와 연결되는 보조 연결관(106) 및 배수관(108)이 일체로 형성되게 구성된다.
도 8은 기존의 보일러용 워터트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전개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기존의 보일러용 워터트랩(200)은 몸체(210) 내부에는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부(220)가 형성되고, 연결구(240)는 몸체(210)의 상면에 연장 형성되어 연교환기(110)로부터 생성된 응축수를 몸체(210)로 유입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응축수 유입구(250)는 연결구(240)와 일체로 결합하고 몸체(210) 하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응축수를 수용공간부(220)로 유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조 연결관(260)은 몸체(210)의 상부 일측에 수용공간부(220)와 연결되도록 상향으로 형성되어 물탱크(120)로부터 오버플로우된 물을 몸체(210)로 유입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배수관(280)은 보조 연결관(260)을 통해 유입된 물 및 수용공간부(220)에 충진된 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보조 연결관(260)과 일체로 형성되고 몸체(210)의 상부 일측 하향으로 연장된다.
기존의 보일러용 워터트랩(200)은 열교환 과정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연결구(240) 및 응축수 유입구(250)를 통해 유입받아 이를 몸체(210) 내의 수용공간부(220)에 점차적으로 충진한다. 또한 기존의 보일러용 워터트랩(200)은 물탱크에서 오버플로우된 물을 보조 연결관(260)을 통하여 유입받아 일부는 배수관(280)을 통하여 직접 배수하고, 나머지는 수용공간부(220)로 유입한다. 그리고 기존의 보일러용 워터트랩(200)은 몸체(210)에 담수된 물을 배수관(280)을 통하여 배수한다.
그리고 기존의 워터트랩(200)은 필요에 따라 외부에서 몸체(210) 내로 몸체(102)에 담수된 담수 량을 보충하기 위해 별도로 물을 공급받는 것이 필요하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구조가 간단하고 소형으로 제작 가능하여 보일러 내부에 공간 확보가 용이하고 설치가 간편한 보일러용 워터트랩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응축수를 중성 PH 농도로 중화시켜 배수하고, 응축수를 중화하는 중화제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보일러용 워터트랩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분해 및 결합이 간편하여 응축수를 중화하는 중화제를 교체 및 내부 청소가 용이한 보일러용 워터트랩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용 워터트랩은, 보일러에 구비되어 열교환기로부터 발생된 응축수를 배수하는 워터트랩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부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는 연결구; 상기 연결구와 일체로 상기 몸체의 수용공간부 하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응축수가 상기 몸체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응축수 유입구; 상기 응축수 유입구의 외곽을 둘러쌓아 상기 응축수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응축수를 충진하고 상기 충진된 응축수가 오버플로우된 경우에 상기 수용공간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임시수용부; 및 상기 몸체의 하면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부로 유입된 응축수를 배수하는 배수관;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임시수용부는 상기 응축수를 중화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이를 위해 상기 임시수용부의 내주면과 상기 응축수 유입구 사이에 응축수를 중화하는 필터가 게재하거나 상기 임시수용부는 중화제를 장착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의 상측부는 상기 연결구 및 응축수 유입구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하측부는 상기 수용공간부 및 임시수용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상측부 및 하측부는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용 워터트랩에 의하면, 구조가 간단하고 소형으로 제작 가능하여 보일러 내부에 공간 확보가 용이하고 설치가 간편하며, 응축수를 중성 PH 농도로 중화시켜 배수하고 응축수를 중화하는 중화제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고, 분해 및 결합이 용이하여 응축수를 중화하는 중화제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내부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용 워터트랩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용 워터트랩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용 워터트랩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용 워터트랩(300)은 보일러 에 구비되어 열교환기로부터 발생된 응축수를 일정량 담수하고 담수된 응축수를 보일러 외부로 배수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용 워터트랩(300)은 몸체(310), 수용공간부(320), 임시수용부(330), 연결구(340), 응축수 유입구(350) 및 배수관(360)을 구비한다.
몸체(310)는 설치시 최소한의 점유면적을 가지면서 열교환기의 연결관과 간편하게 연결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지면, 일예로 몸체(310)는 원통형일 수 있고, 몸체(310) 내부에는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부(320)가 형성된다. 즉 수용공간부(320)는 몸체(3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보일러의 열교환기로부터 배수되는 응축수를 수용한다.
연결구(340)는 열교환기 및 몸체(31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관과 결합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한 일 실시예로 연결구(340)는 몸체(310)의 상면에 연장 형성되며, 열교환기 및 몸체(31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관에 내측으로 삽입 결합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응축수 유입구(350)는 연결구(340)와 일체로 결합하고 몸체(310) 하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열교환기로부터 발생한 응축수를 수용공간부(320)로 유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임시수용부(330)는 응축수 유입구(350)로부터 유입된 응축수를 충진하고 충진된 응축수의 양이 증가하여 오버플로우되면 오버프로우된 응축수를 수용공간부(320)로 유입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한 일 실시예로 임시수용부(330)는 응축수 유입구(350)의 외곽을 둘러쌓고 하면(332)은 차단되고 상면(335, 336)은 개방된 형태를 갖도록 수용공간부(320)내에 형성된다. 즉 응축수 유입 구(350)로부터 하측으로 유입된 응축수는 임시수용부(330)의 하면(332)부터 상면(335, 336)으로 점차적으로 충진되고, 결국 임시수용부(330)에 충진된 응축수의 수위가 상면(335, 336)에 도달하면 오버플로우가 발생하게 되고, 오버플로우된 응축수는 수용공간부(320)로 유입된다.
배수구(360)는 수용공간부(320)로 유입된 물을 배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한 일 실시예로 몸체(310)의 하면에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수용공간부(320)로 유입된 응축수는 자유낙하 하여 배수구(360)로 유입되고, 배수구(360)로 유입된 응축수는 배수구(360)를 통해 보일러 외부로 배수된다.
도 3은 콘덴싱 가스보일러에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 워터트랩이 설치된 상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정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용 워터트랩(500)은 열교환기(501)의 열교환 과정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연결구(540) 및 응축수 유입구(350)를 통해 유입받아 이를 몸체(510) 내의 임시수용부(330)에 점차적으로 충진한다. 이때, 응축수 유입구(350)가 임시수용부(330)의 하부 측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응축수와 같이 배기되는 연소가스는 배출되지 않고 응축수만이 임시수용부(330)에 충진된 후 배수되게 된다. 임시수용부(330)에 충진된 물은 임시수용부(330)에 담수되어 있다가 오버플로우가 발생된 경우에는, 수용공간부(320)로 유입된다. 수용공간부(320)로 유입된 응축수는 결국 배수구(560)로 유입되어 보일러 외부로 배수된다.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용 워터트랩(300)은 기존의 보일러용 워터트랩(200)의 몸체(210)의 상부 일측에 상향으로 형성된 보조 연결관(260)이 없다. 또한 기존의 보일러용 워터트랩(200)에서 배수관(280)은 보조 연결관(260)과 서로 연결되도록 일체로 형성되고 몸체(210)의 상부 일측 하향으로 연장되어 있지만,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용 워터트랩(300)에서 배수관(280)은 몸체(310)의 하면에 연장되게 형성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용 워터트랩(300)은 기존의 보일러용 워터트랩(200)보다 구조가 간단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용 워터트랩(300)은 기존의 보일러용 워터트랩(200)의 보조 연결관(260) 및 배수관(280)이 차지하는 공간을 감소됨으로, 기존의 보일러용 워터트랩(200) 보다 소형으로 제작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용 워터트랩(300)은 보일러 내부에 공간 확보가 용이하며 설치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용 워터트랩에 대한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임시수용부(630)는 응축수를 중화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일예로 임시수용부(630)는 응축수를 중화하는 중화제(632)를 장착한다. 이러한 중화제(632)로 산화마그네슘과 탄산칼슘 등의 알칼리성 물질 또는 알루미늄, 아연, 주석 등의 양성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임시수용부(630)에 충진된 응축수는 수용공간부(620)로 오버플로우되기 전까지 장기간 중화제(632)에 의해 중화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용 워터트랩(600)은 응축수를 중성 PH 농도로 중화시켜 배수하고, 응축수를 장기간 중화시킬 수 있으므로 응축수의 중화율이 높은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용 워터트랩에 대한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응축수를 중화하는 필터(732)가 임시수용부(730)의 내주면과 응축수 유입구(750) 사이에 게재된다. 필터(732)는 임시수용부(730)에 충진된 응축수를 중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필터(230)는 응축수 유입구(750)로부터 하측으로 유입되는 응축수가 점차적으로 충진되어 상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응축수를 중화한다. 이러한 필터(732)를 구비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용 워터트랩(700)은 PH3~PH4의 응축수를 중성 PH농도 중화시키게 되고 중화된 응축수를 배수구(780)로 배수한다. 필터(732)는 그 자체가 중화 기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예로 석회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는 필터(732)는 내부에 중화제를 장착할 수 있다. 이러한 필터(732)는 일체형으로 되어 있으므로 교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용 워터트랩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몸체의 상측부(812)는 연결구(840) 및 응축수 유입구(85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몸체의 하측부(814)는 수용공간부(820) 및 임시수용부(83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몸체의 상측부(812) 및 하측부(814)는 나사 결합 등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용 워터트랩(800)은 분해 및 결합이 용이하여 응축수를 중화하는 중화제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수용공간부(820) 및 임시수용부(830)의 바닥면에 포집되는 이물질 등을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고 동시에 내부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용 워터트랩은 보일러에 구비될 수 있는 형태로 제작가능하며, 보일러의 열교환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중화하여 배수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용 워터트랩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용 워터트랩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3은 콘덴싱 가스보일러에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 워터트랩이 설치된 상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용 워터트랩에 대한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용 워터트랩에 대한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용 워터트랩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일반적인 콘덴싱 가스보일러에 워터트랩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정면도, 그리고,
도 8은 기존의 보일러용 워터트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전개 사시도이다.

Claims (3)

  1. 보일러에 구비되어 열교환기로부터 발생된 응축수를 배수하는 워터트랩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부(320)가 형성된 몸체(310);
    상기 몸체(310)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는 연결구(340);
    상기 연결구(340)와 일체로 상기 몸체(310)의 수용공간부(320) 하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응축수가 상기 몸체(31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응축수 유입구(350);
    상기 응축수 유입구(350)의 외곽을 둘러쌓아 상기 응축수 유입구(350)로부터 유입된 응축수를 충진하고 상기 충진된 응축수가 오버플로우된 경우에 상기 수용공간부(320)로 유입되도록 하는 임시수용부(330); 및
    상기 몸체(310)의 하면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부(320)로 유입된 응축수를 배수하는 배수관(3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워터트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수용부(330)는 상기 응축수를 중화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워터트랩.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310)의 상측부는 상기 연결구(340) 및 응축수 유입구(35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310)의 하측부는 상기 수용공간부(320) 및 임시수용부(33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310)의 상측부 및 하측부는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워터트랩.
KR2020070016200U 2007-10-04 2007-10-04 보일러용 워터트랩 KR2009000329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200U KR20090003292U (ko) 2007-10-04 2007-10-04 보일러용 워터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200U KR20090003292U (ko) 2007-10-04 2007-10-04 보일러용 워터트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292U true KR20090003292U (ko) 2009-04-08

Family

ID=41320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6200U KR20090003292U (ko) 2007-10-04 2007-10-04 보일러용 워터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3292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62897A (zh) * 2011-10-21 2013-04-24 樱花卫厨(中国)股份有限公司 冷凝式燃气热水器的液封装置
CN105509319A (zh) * 2016-01-22 2016-04-20 成都前锋电子有限责任公司 一种防止烟气泄漏的冷凝液收集排放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62897A (zh) * 2011-10-21 2013-04-24 樱花卫厨(中国)股份有限公司 冷凝式燃气热水器的液封装置
CN105509319A (zh) * 2016-01-22 2016-04-20 成都前锋电子有限责任公司 一种防止烟气泄漏的冷凝液收集排放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5202B2 (en) Condensate trap for condensing gas boiler
US20100270009A1 (en) Apparatus for recycling wasted heat using waste hot water
KR200444631Y1 (ko) 보일러용 워터트랩
JP3791451B2 (ja) ドレン中和槽
KR200453569Y1 (ko) 보일러용 워터트랩
JP2008170097A (ja) 燃焼装置
KR100899405B1 (ko) 보일러용 워터트랩
KR20090003292U (ko) 보일러용 워터트랩
KR101191382B1 (ko) 보일러 워터트랩
JP2007093114A (ja) 燃焼装置
JP2001141309A (ja) ドレン水貯留容器
JP5262349B2 (ja) 給湯装置
KR200446568Y1 (ko) 보일러용 워터트랩
JP5094241B2 (ja) 給湯器
KR100425916B1 (ko) 보일러의 응축수 처리장치
JP4052779B2 (ja) 風呂給湯設備
JP5005398B2 (ja) 燃焼機器
KR101781020B1 (ko) 보일러의 응축수 회수용 사이펀
KR100568779B1 (ko) 콘덴싱 기름보일러
KR101722888B1 (ko) 콘덴싱 보일러 배기관용 응축수 처리장치
JP6341406B2 (ja) 壁貫通設置型燃焼機器
JP5207749B2 (ja) 中和器と中和器を備える燃焼装置
KR100281467B1 (ko) 순환가열장치
KR100646341B1 (ko) 보일러의 응축수 드레인 이상유무 감지장치
KR200315203Y1 (ko) 콘덴싱 보일러의 중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