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2102B1 - 씰형 복합스텐실 - Google Patents

씰형 복합스텐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2102B1
KR100332102B1 KR1020000004007A KR20000004007A KR100332102B1 KR 100332102 B1 KR100332102 B1 KR 100332102B1 KR 1020000004007 A KR1020000004007 A KR 1020000004007A KR 20000004007 A KR20000004007 A KR 20000004007A KR 100332102 B1 KR100332102 B1 KR 100332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
mold
paper
pattern
mold s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4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4456A (ko
Inventor
다케베사부로
노무라마모루
모기마모루
다치카와요시유키
우에다히로시
Original Assignee
다케베 사부로
가부시키가이샤 아넥스재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케베 사부로, 가부시키가이샤 아넥스재팬 filed Critical 다케베 사부로
Publication of KR20010014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4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2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21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12Stencil printing; Silk-screen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34Screens, Frames; Hol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08Machines
    • B41F15/10Machines for multicolour pri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숙련기술자가 아니더라도 복수의 색채에 의해 하나의 도안을 정확하게 찍어낼수 있는 스텐실에 관한 것이다.
상호 다른 위치에 도안의 일부의 형을 뚫고 이들 뚫린 형 부분(4, 8)이 합해져서 하나의 완성된 도안을 구성하는 하면이 점착면으로 된 복수매의 형씰지(1, 2)의 기초부 소요범위를 상호 접착 고정하고, 하측의 형씰지(1)로부터 대상물(10)에 부착하여 그 뚫린 형 부분(4)에서 착색을 한 뒤 그 형씰지(1)를 대상물(10)로부터 벗겨냄과 동시에 기초부로부터 떼어내도록 하여 다색의 도안을 형성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씰형 복합스텐실{Seal type multiple stencil}
본 발명은 스텐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색에 의한 도안을 형성하기 위한 씰형 복합스텐실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소요의 대상물 표면에 다양한 도안을 프린트하기 위한 스텐실이 널리 보급되어 있다. 종래의 스텐실은, 소요 도안의 형이 뚫린 씰을 대상물의 표면에 부착하고, 그 씰의 위에서 브러쉬 등을 이용하여 착색용 도료를 바른 뒤 씰을 벗기면 형이 뚫린 부분의 형상의 도안이 대상물의 표면에 그려지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스텐실에서는, 하나의 뚫린 형(도안)을 도료에 의해 단순히 찍어낼 뿐이기 때문에 단색의 도안 밖에 얻을 수 없어, 단조로운 도안이 되어 다양함이 결여된 것이었다.
그렇지만, 다른 도안을 형이 뚫린 2매의 씰을 이용하여 겹쳐서 착색하도록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나, 하나의 도안을 2회에 나누어 착색하는 경우를 감안하더라도, 최초에 바른 부분과 나중에 겹쳐서 바르는 부분을 완전히 맞춘다는 것은 극히 어렵고, 숙련 기술이 없는 자 등은 도저히 무리한 것으로, 이에 따라 다색으로 도안을 용이하게 찍어낼 수 있는 스텐실은 아직 제공되고 있지 않은 현상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복수의 색채에 의해 하나의 도안을 상호 벗어남이 없이 깨끗하게 완성시킬 수 있는 씰형 복합스텐실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씰형 복합스텐실의 일실시형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씰형 복합스텐실의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f는 도 2의 스텐실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씰형 복합스텐실의 제조공정의 일례를 도시한 시트재의 흐름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5는 도4의 시트재의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6은 도안의 다른 예를 나타낸 이미지도이다.
<도면에서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S....씰형 복합스텐실 1....하측 형씰지
1a...기초부 1b...기초부 단(端)
1c...선단 2....상측 형씰지
2a...기초부 2c...선단
2d...손잡이 3....절취선
4, 8...뚫린 형(型) 5, 7...점착제
6....바탕지 9....박리지
9a...뒷단 테두리 10...대상물
11...브러쉬 12, 14...착색
15, 17...시트재 16...접착맞춤부
18, 19...슬릿(slit) 20...찌꺼기
21...권취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상호 다른 위치에 도안의 일부가 형이 뚫리고 이들 뚫린 형 부분이 합해져서 하나의 완성된 도안을 구성하는 하면이 점착면으로 된 복수매의 형씰지의 기초부 소요범위를 상호 접착 고정하고, 하측의 형씰지로부터 대상물에 부착하여 그 뚫린 형 부분에서 착색을 한 뒤 그 형씰지를 대상물로부터 벗겨냄과 동시에 기초부로부터 떼어내도록 하여 다색의 도안을 형성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에서 하측의 형씰지를 기초부로부터 절제하기 쉽게 하기 위해, 하측이 되는 형씰지의 기초부 단(端)으로부터 소요간격 떨어진 위치에 재봉눈금 등 용이하게 절취 가능한 절취선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 절취선을 상측의 형씰지의 하측 형씰지에의 접착 고정폭보다 약간(1-2mm정도) 선단쪽의 위치에 형성하고, 하측의 형씰지로부터 상측의 형씰지를 박리하여 반전시켰을 때 상측의 형씰지 하면의 박리지 뒷단테두리가 노출되도록 하면, 하측의 형씰지에 의한 착색 종료후, 상측의 형씰지를 하측의 형씰지로부터 벗겨서 상측의 형씰지를 반전시키듯이 뒤집음으로써 상측의 형씰지의 박리지 뒷단테두리가 상측의 형씰지로부터 약간 벗겨진 상태가 되어, 손가락으로 잡아 벗기든가, 혹은 손가락의 바닥으로 밀어내듯이 하면 상측의 형씰지가 대상물에 붙으면서 박리지를 분리시키며 정확한 위치에 붙일 수 있어, 바로 상측의 형씰지에 의한 착색을 할 수 있다.
상기의 어느 경우에서도, 먼저 대상물에 붙인 형씰지에 대하여 그 형씰지에 의한 착색을 하고 잘라내도 다음 형씰지의 기초부가 앞의 형씰지의 기초부에 접착 고정되어 있으므로 위치벗어남이 발생하지 않고 다음 위치의 형씰지를 대상물에 붙일 수 있어, 형이 뚫린 도안이 벗어나 버리는 일이 없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에 따른 씰형 복합스텐실(S)을 2매의 형씰지를 구비한 2색 착색용으로 한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하측 형씰지(1)와 상측 형씰지(2)와 각 씰지(1, 2)의 점착면에 붙어있는 박리지의 4매구조로 되어 있으며, 도 1에 그 분해된 사시도를, 도 2에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하측 형씰지(1)는, 그 기초부(1a)의 기초부 단(1b)으로부터 소요거리(L1, 약 7mm정도) 떨어진 위치에 폭방향으로 재봉눈금 등의 절취선(3)이 마련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절취선(3)으로부터 선단(1c)측의 범위에 도안의 일부가 형상이 뚫린 형(4, 4...)(이 예에서는 튜울립의 줄기와 잎)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측 형씰지(1)의 하면에는 점착제(5)가 도포되어 있어 사용전에 있어서는 바탕지(박리지)(6)에 박리 가능하게 점착되어 있다.
상측 형씰지(2)는, 상기 하측 형씰지(1)와 같은 크기와 형상을 가지고, 그하면에는 점착제(7)가 도포되어 있어 그 점착제(7)에 의해 기초부(2a)가 소요길이 (L2)에 걸쳐 하측 형씰지(1)의 기초부(1a)에 접착 고정되고, 이로부터 선단(2c)측의 범위에는 상기 하측 형씰지(1)의 뚫린 형(4)과 협동하여 하나의 완성된 도안을 구성하기 위한 도안 일부의 형상이 뚫린 형(8, 8...)(이 예에서는 튜울립의 꽃)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측 형씰지(2)의 선단(2c)의 중앙위치에 돌출되는 손잡이(2d) 및 상기 하측 형씰지(1)에 접착되는 기초부(2a)를 제외한 하면에는 박리지(9)가 부착되어 있고, 이 박리지(9)의 기초부측의 뒷단테두리(9a)는 상기 하측 형씰지(1)의 절취선(3)을 넘어 기초부(2a)측에 약간의 거리(L3, 약1-2mm 정도)만큼 치우친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어, 하측 형씰지(1)에 대하여 상측 형씰지(2)를 기초부(2a)의 접착고정부를 기점으로 하여 반전시켰을 때 박리지(9)의 뒷단테두리(9a)가 하측 형실지(1)로부터 떠오른 상태로 노출되어 벗기기 쉽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스텐실(S)을 사용하는 경우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탕지(6)로부터 스텐실(S)을 벗겨 내어 손톱, 문방구류, 그외 전사(傳寫)하려는 대상물(10)의 표면에 하측 형씰지(1)를 붙이고, 상측 형씰지(2)의 선단(2c)을 하측 형씰지(1)로부터 벗겨내어 반전시킨 뒤(도 3a), 브러쉬(11)등을 이용하여 하측 형씰지(1)의 위에서부터 도료를 바른다. 이에 따라 하측 형씰지(1)의 뚫린 형(4, 4...)부분을 투과하여 대상물(10)에 도료가 도포된다.
이어서 하측 형씰지(1)를 대상물(10)로부터 벗겨내고, 절취선(3)에서 절제한다. 이에 의해 도 3b와 같이 대상물(10)의 표면에 하측 형씰지(1)의 뚫린 형(4, 4...)에 의한 도안의 일부 착색(12, 12, 12)이 이루어진다.
한편, 하측 형씰지(1)에 의한 도료의 도포시에 상측 형씰지(2)를 반전시켰을 때 상측 형씰지(2)의 하면의 박리지(9)의 뒷단테두리(9a)가 하측 형씰지(1)의 절취선(3)을 넘어 기초부(1a)측에 위치하므로 노출되고, 이 박리지(9)에 손가락(13)을 대고 밀어내듯이 하면 도 3b 와 도 3c와 같이 상측 형씰지(2)가 대상물(10)의 표면에 부착되면서 박리지(9)는 저절로 박리되며, 그 결과 상측 형씰지(2)는 하측 형씰지(1)가 붙어있던 같은 장소에 정확히 붙게 된다(도 3d).
이와 같이 상측 형씰지(2)에 의해 상기와 마찬가지로 브러쉬(11) 등을 이용하여 두번째의 착색을 하면, 하측 형씰지(1)에 의한 착색(12, 12...)과 상측 형씰지(2)에 의한 착색(14, 14...)이 총합되어 하나의 완성된 도안이 그려진다(도 3e, 도 3f).
이것이 종료된 후 대상물(10)에 붙은 채로 있던 하측 형씰지(1)의 기초부 (1a)와 함께 상측 형씰지(2)를 대상물(10)으로부터 벗겨냄으로써 완료된다.
도 4, 도 5는 상기 스텐실(S)을 제조하는데 적합한 공정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 도면에서는 2종의 스텐실을 동시에 병렬적으로 제조하도록 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하측 형씰지(1)가 되는 띠형상의 시트재(15)에 미리 도안의 일부의 형뚫기(도 1에서의 뚫린 형(4)) 및 소요의 인쇄가 실시되고 절취선(3, 3)이 형성되어 있어, 이 시트재(15)가 롤 형상으로 감기고, 여기서부터 당겨져 나와 접착맞춤부(16)에 보내지게 된다.
상측 형씰지(2)가 되는 띠형상의 시트재(17)에 미리 도안의 일부 형뚫기(도 1에서의 뚫린 형(8)) 및 소요의 인쇄가 실시되고, 하면의 점착면(7)에 붙어있는 박리지(9)에 시트재(17)의 양측 테두리로부터 거리(L2, L2)(도 2에서의 거리 L2에 상당)를 둔 위치에 슬릿(18, 18)이 넣어져 있음과 동시에 중앙에 상측 형씰지(2)의 선단(2c)의 손잡이(2d)와 겹치는 위치에 슬릿(19, 19)이 넣어져 있어, 상기 하측 시트재(1)와 합체되기 전의 위치(도 4의 A위치)에서 상기 양측과 중앙의 박리지 (91, 91, 92)가 벗겨진다.
따라서, 접착맞춤부(16)에서 상하의 시트재(15, 17)가 합체될 때, 하측 시트재(15)의 절취선(3, 3)으로부터 기초부(1a)측(도 2의 L2의 범위)에서 접착됨과 동시에 상측 형씰지(2)의 선단(2c)의 손잡이(2d)에 상당하는 부분이 중앙의 박리된 점착면에 점착된다.
이렇게 접착맞춤부(16)에서 스텐실(S)의 외형상으로 바탕지를 제외하고 형이 뚫리고, 이 뚫린 찌꺼기(20)는 상측 시트재(17)로부터 벗겨져 권취부(21)에 감겨 회수된다.
따라서 완성된 스텐실(S, S...)은 도 5의 우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재(15, 17)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된 형태로 되어 연속적으로 제조되고 후공정에서 예컨대, 스텐실(S)을 10매 단위 등으로 시트재(15, 17)를 잘라 상품화한다.
도 6은 도 5의 한쪽의 스텐실의 도안으로서 도시한 뚫린 형(4, 8)으로 만들어지는 그림(팬더)을 이미지 도면으로서 나타내고 있다.
또,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형씰지(1, 2)를 상하 2매 구조로 한 경우에 대하여 나타내었으나, 3색 내지 그 이상의 다색용으로 하는 경우에는 하측 씰지(1)를 2매, 3매로 늘리면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하측 형씰지와 상측의 형씰지의 기초부를 접착 고정하고, 하측의 형씰지를 대상물에 부착하여 상측의 형씰지를 벗겨 반전시켜, 하측의 형씰지의 뚫린 형에서 착색한 뒤 그 하측의 형씰지를 기초부로부터 절제하고, 계속해서 상측의 형씰지를 대상물 위로 되돌려 부착하고 그 뚫린 형에서 착색하도록 했으므로, 복수회의 착색을 하여도 뚫린 형이 벗어나 버리는 일이 없고, 다색착색에 의한 도안을 숙련기술을 요하지 않고 깨끗하게 형성할 수 있어 실패없이 행할 수 있다.
청구항 2, 3에 의하면, 하측 형씰지를 사용한 뒤의 절제, 및 상측 형씰지의 박리지의 박리제거가 용이해 되며, 조작을 한층 하기 쉽게 하면서도 현저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상호 다른 위치에 도안의 일부의 형이 뚫리고 이들 뚫린 형 부분이 합해져서 하나의 완성된 도안을 구성하는 하면이 점착면으로 된 복수매의 형씰지의 기초부 소요범위를 상호 접착 고정하고, 하측의 형씰지로부터 대상물에 부착하여 그 뚫린 형 부분에서 착색을 한 뒤 그 형씰지를 대상물로부터 벗겨냄과 동시에 기초부로부터 잘라내도록 하여 다색의 도안을 형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형 복합스텐실.
  2. 제1항에 있어서,
    도안의 일부가 형이 뚫리고 기초부 단으로부터 소요간격 떨어진 위치에 재봉눈금 등의 절취선이 마련되고 하면이 점착면으로 된 하측 형씰지와, 이 형씰지의 상면 기초부의 소요폭에 걸쳐 접착되고 타부위의 범위에 박리지가 부착됨과 동시에 선단의 일부가 상기 하측 형씰지에 접착되며, 상기 하측 형씰지의 형이 뚫린 일부의 도안과 협동하여 하나의 도안을 구성하기 위한 도안의 일부가 형이 뚫린 상측 형씰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형 복합스텐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형씰지의 절취선은 상측 형씰지의 하측 형씰지에의 접착 고정폭보다 약간 선단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되고, 하측 형씰지로부터 상측 형씰지를 박리하였을 때 상측 형씰지 하면의 박리지 뒷단테두리가 노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형 복합스텐실.
KR1020000004007A 1999-07-30 2000-01-27 씰형 복합스텐실 KR1003321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216982 1999-07-30
JP11216982A JP3043760B1 (ja) 1999-07-30 1999-07-30 シ―ル型複合ステンシ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4456A KR20010014456A (ko) 2001-02-26
KR100332102B1 true KR100332102B1 (ko) 2002-04-10

Family

ID=16696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4007A KR100332102B1 (ko) 1999-07-30 2000-01-27 씰형 복합스텐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349640B1 (ko)
JP (1) JP3043760B1 (ko)
KR (1) KR100332102B1 (ko)
TW (1) TW471398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47051B2 (en) * 2003-08-11 2012-08-21 The Glidden Company Curable polymeric water based coating compositions and resulting coatings with barrier properties for gases and laminate structures
US7210487B2 (en) * 2003-09-26 2007-05-01 Carsh Charlotte E Three dimensional nail stencils and method of use
US8557758B2 (en) 2005-06-07 2013-10-15 S.C. Johnson & Son, Inc. Devices for applying a colorant to a surface
US8061269B2 (en) 2008-05-14 2011-11-22 S.C. Johnson & Son, Inc. Multilayer stencils for applying a design to a surface
JP4859092B2 (ja) * 2005-07-25 2012-01-18 エスケー化研株式会社 模様形成方法
WO2009019802A1 (ja) * 2007-08-08 2009-02-12 Fujix Ltd. 糸を用いた絵画用カンバス
US20100275796A1 (en) * 2009-04-29 2010-11-04 Shih-Feng Lee Pattern formation board structure
WO2018022691A1 (en) 2016-07-26 2018-02-01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Nipple areola complex stencil
CN114161812A (zh) * 2021-11-09 2022-03-11 霍连文 一种组合式镂版及印花工艺
USD1003741S1 (en) * 2022-06-28 2023-11-07 Singer Sourcing Limited Llc Sewing template
USD1015905S1 (en) * 2022-06-28 2024-02-27 Singer Sourcing Limited Llc Sewing templat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32834A (en) * 1922-04-14 1925-04-07 James H Rand Stencil sheet
US2066477A (en) * 1935-06-26 1937-01-05 Levin Murray Allen Progressive stencil device
US2357310A (en) * 1940-03-29 1944-09-05 Burchell Holloway Corp Apparatus for making designs
US2293696A (en) * 1940-03-29 1942-08-25 John Q A Halloway Method of making designs
US2444860A (en) * 1946-03-20 1948-07-06 Summer Harry Stencil and work holder for multicolor printings
US2630755A (en) * 1949-08-15 1953-03-10 Inez L Herrin Method of cutting stencils
GB697955A (en) * 1950-02-02 1953-10-07 Jafra Publicity Ltd A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colour printing on fabrics and like materials
US3665889A (en) * 1971-01-18 1972-05-30 Anita Wagenvoord Stencils for producing composite display
JPH06155879A (ja) * 1992-09-14 1994-06-03 Riso Kagaku Corp 孔版製版方法およびその方法に使用する孔版印刷用原稿用紙、孔版原紙ユニットおよび孔版印刷装置
US5967031A (en) * 1996-07-16 1999-10-19 Plaid Enterprises, Inc. Stencil set and method of applying stenciled desig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71398U (en) 2002-01-01
KR20010014456A (ko) 2001-02-26
US6349640B1 (en) 2002-02-26
JP3043760B1 (ja) 2000-05-22
JP2001039002A (ja) 2001-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24702A (en) Transfer adhesive sheet material
KR100332102B1 (ko) 씰형 복합스텐실
KR20170106944A (ko) 투명 시트필름을 이용한 접착식 교구
JP2000298434A (ja) 指定位置接着用粘着シールおよびその貼り付け方法
JPS6336027Y2 (ko)
US5275871A (en) Particulate matter image transfer apparatus
JPH0251756B2 (ko)
JP3059175U (ja) 印刷で粘着部本体を形成した両面粘着体
CN112297693A (zh) 具有切割纹路的膜材
JP3546874B2 (ja) 帯材装飾板の製作方法
CN210278263U (zh) 一种卡通上色玩具
JP2587699Y2 (ja) ラベル、ステッカーなどの貼付け片
KR200191776Y1 (ko) 현수막 쉬트
JPH0715100U (ja) 転写彩色玩具
JP2004306318A (ja) 装飾性を高めた印鑑
JPH0123566Y2 (ko)
JPH0345828Y2 (ko)
JP3054587U (ja) ステンドグラス風装飾セット
JPH0526605Y2 (ko)
JP2001029128A (ja) 爪用型抜きシール
GB2323330A (en) Stationery web with removable identity card
JP2820580B2 (ja) ステッカー及びディカル形成方法
JP2004066646A (ja) ちぎり絵制作用の台紙およびその台紙を使用したちぎり絵の制作方法
JP2005238189A (ja) 塗着剤塗工版、塗着剤の塗工方法および塗着剤塗工体
JPH0474684A (ja) リボン付きラベル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