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2060B1 - 곡물세척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곡물세척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2060B1
KR100332060B1 KR1019990031934A KR19990031934A KR100332060B1 KR 100332060 B1 KR100332060 B1 KR 100332060B1 KR 1019990031934 A KR1019990031934 A KR 1019990031934A KR 19990031934 A KR19990031934 A KR 19990031934A KR 100332060 B1 KR100332060 B1 KR 100332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ite rice
shaft
separation
mix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1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6804A (ko
Inventor
배근수
Original Assignee
배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근수 filed Critical 배근수
Priority to KR1019990031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2060B1/ko
Publication of KR20010016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6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2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20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1/00Preparing grain for milling or like processes
    • B02B1/04Wet treatment, e.g. washing, wetting, soft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5/00Grain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2B5/02Combined processes

Landscapes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물에 식물성 기름 및 가온공기를 혼합하여 곡물에 묻은 이물질을 분리하여 제거하는 곡물세척방법 및 그 장치로서, 곡물의 세척시 식물성 기름을 사용하여 백미(100)에 묻은 이물질 및 미강을 제거함으로써, 백미(100)에 수분이 잔류되는 것을 방지하여 세척된 백미(100)가 세균에 의해 부패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쌀뜨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환경오염의 방지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곡물세척방법 및 그 장치{A GRAIN WASHING METHOD AND A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곡물세척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곡물에 식물성 기름 및 가온공기를 혼합하여 곡물에 묻은 이물질을 분리하여 제거함으로써, 곡물의 세척시 수분의 잔류를 방지함과 동시에, 쌀뜨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환경오염의 방지에 기여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쌀 등의 곡물은 탈곡 및 도정 과정에서 곡물의 표면에 이물질이 묻게 되고, 저장 등의 과정에서 세균 등의 미생물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요인으로 인하여 곡물의 저장성이 저하되어 장기간 곡물을 저장할 경우 세균이나 벌레가 번식하여 곡물을 손상시키며, 곡물을 취식할 때에는 불결함을 제거하기 위하여 곡물을 다수 번 세척하여야 한다.
이러한 번거로움을 덜기 위하여 곡물을 도정한 후 미리 세척하여 건조함으로써, 곡물을 취식하기 위하여 조리할 때 세척하지 않고 바로 조리할 수 있도록 한 곡물세척장치가 다수 개발되었다.
이러한 곡물세척장치로서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한 예를 도 1에 도시한다.
이 곡물세척장치는 백미(10)를 공급하는 공급구(20)와, 이 공급구(20)로부터공급되는 백미(10)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22)과, 물과 백미(10)를 이송시키며 혼합시키는 원통체(30)와, 이 원통체(30) 내의 수분이 함유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구(50) 및 원통체(30)를 통과한 백미(10)를 배출시키는 배출구(4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서 원통체(30) 내에는 구동모터(60)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32)과, 이 회전축(32)에 형성되어 물과 함께 공급되는 백미(10)를 이송시키는 이송 스크류(34)와, 이 이송 스크류(34)에 연속하여 회전축(32)에 형성되며 백미(10)와 물을 혼합하는 혼합 스크류(36)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원통체(30)에서 흡입구(50)로 연결되는 부분에는 백미(10)는 잔류되고 이물질이 포함된 물만이 통과되는 크기를 가진 투과공(38)이 형성되고, 흡입구(50)에는 배기관(54)을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52)이 설치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종래 곡물세척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공급구(20)로 백미(10)를 공급하고 급수관(22)으로 물을 공급하면, 백미(10)와 물은 원통체(30) 내로 투입되어 구동모터(60)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32)에 형성된 이송 스크류(34)에 의해 도 1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이동한다. 이어서 혼합 스크류(36)에서 백미(10)와 물은 혼합되며 백미(10)에 붙은 잔류 미강이나 이물질이 물에 세척된다.
이러한 이물질을 세척한 물은 투과공(38)으로 빠져 흡입구(50)로 들어가고, 흡입팬(52)의 흡입력에 의해 배기관(54)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원통체(30) 내의 백미(10)는 투과공(38)으로 빠지지 않고 계속 이동하여원통체(30)를 빠져 나와 배출구(40)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곡물세척장치는 백미(10)를 물과 혼합하여 백미(10)에 붙은 잔류 미강이나 이물질을 세척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곡물세척장치는 물을 사용하여 백미(10)를 세척하므로, 물에 포함된 미생물이 백미(10)를 세척하는 과정에서 백미(10)에 묻어 번식하여 백미(10)를 부패시킨다. 따라서 종래의 곡물세척장치로 세척한 백미(10)는 대략 한달정도의 짧은 유통수명을 가지므로, 이 기간 내에 백미(10)를 소비하지 못하면 폐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곡물세척장치는 물을 사용하여 백미(10)를 세척하므로, 백미(10)의 세척과정에서 반드시 쌀뜨물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쌀뜨물은 생화학적 산소요구량이 대단히 높은 물질로서, 하천을 오염시키는 대단히 중요한 인자가 되고 있다. 즉, 쌀을 주식으로 하고 있는 동양의 하천은 쌀뜨물에 의해 불가피하게 오염되므로, 환경정화를 인류생존을 위한 과제로 하고 있는 국가정책적에 큰 문제점이 되고 있다. 종래의 곡물세척장치도 백미(10)를 세척하는 동안 발생되는 쌀뜨물에 의해 수질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여전히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곡물의 세척시 수분의 잔류를 방지함과 동시에, 쌀뜨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환경오염의 방지에 기여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곡물세척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세척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호퍼 200: 오일주입장치
300: 제 1피더 310: 제 1혼합관
320: 제 1축 322: 제 1이송날개
324: 제 1혼합이송날개 400: 제 2피더
410: 제 2혼합관 420: 제 2축
422: 제 2혼합이송날개 500: 제 1분리기
510: 제 1분리관 520: 제 3축
522: 제 2이송날개 524: 제 1분리날개
530: 제 1타공망 540: 제 1배기구
550: 제 1배기팬 600: 제 2분리기
610: 제 2분리관 620: 제 4축
622: 제 3이송날개 624: 제 2분리날개
630: 제 2타공망 640: 제 2배기구
650: 제 2배기팬 660: 배출구
700: 가온송풍장치 800: 초음파 가습장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곡물에 식물성 기름을 주입하는 과정; 상기 곡물에 가온공기를 공급하는 과정; 상기 곡물를 혼합하는 과정; 상기 곡물에 초음파 살균 습기를 공급하는 과정; 상기 곡물과 상기 기름에 뭉쳐진 이물질을 분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곡물세척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곡물세척방법의 실시에 사용되는 장치로서, 곡물을 공급하는 호퍼; 상기 호퍼에 식물성 기름을 주입하는 오일주입장치; 상기 호퍼에 연결되어 상기 곡물을 이송시키며 혼합하는 혼합장치; 상기 혼합장치에 가온공기를 공급하는 가온송풍장치; 상기 혼합장치에 살균 습기를 공급하는 초음파 가습장치; 및 상기 혼합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곡물을 혼합하며 이물질을 분리하는 분리장치;를 포함하는 곡물세척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곡물에 식물성 기름 및 가온공기를 혼합하여 곡물에 묻은 이물질을 분리하여 제거함으로써, 곡물의 세척시 수분의 잔류를 방지하여 미생물의 번식에 의한 곡물의 부패를 방지함과 동시에, 곡물을 씻은 폐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환경오염의 방지에 기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세척방법 및 그 장치의 양호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여 본 발명의 상세히 한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곡물세척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에 본 실시예에 따른 곡물세척장치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곡물세척장치는, 백미(100)를 공급하는 호퍼(110)와, 호퍼(110)에 식물성 기름을 주입하는 오일주입장치(200)와, 호퍼(110)에 연결되어 백미(100)를 이송시키며 혼합하는 혼합장치와, 혼합장치에 가온공기를 공급하는 가온송풍장치(700)와, 혼합장치에 살균 습기를 공급하는 초음파 가습장치(800)와, 혼합장치에 연결되어 백미(100)를 혼합하며 이물질을 분리하는 분리장치로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히, 혼합장치는 제 1피더(300)와 제 2피더(400)로 이루어진다.
먼저 제 1피더(300)는, 호퍼(110)에 연결되어 백미(100)가 통과되는 제 1혼합관(310)과, 제 1혼합관(310) 내에 설치되는 제 1축(320)과, 제 1축(320)에 형성된 제 1이송날개(322)와, 제 1이송날개(322)에 연속하여 제 1축(320)에 형성된 제 1혼합이송날개(32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 1이송날개(322)는 날개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백미(100)를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며, 제 1혼합이송날개(324)는 날개가 단속적으로 형성되어 백미(100)를 혼합하며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제 2피더(400)는, 제 1혼합관(310)에 연결되어 백미(100)가 통과되는 제 2혼합관(410)과, 제 2혼합관(410) 내에 설치되는 제 2축(420) 및 제 2축(420)에 형성된 제 2혼합이송날개(42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 2혼합이송날개(422)도 날개가 단속적으로 형성되어 백미(100)를 혼합하며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분리장치는 제 1분리기(500)와 제 2분리기(600)로 이루어진다.
먼저 제 1분리기(500)는, 혼합장치에 연결되어 백미(100)가 통과되는 제 1분리관(510)과, 제 1분리관(510)내에 설치되는 제 3축(520)과, 제 3축(520)에 형성된 제 2이송날개(522)와, 제 3축(520)에 형성되어 제 2이송날개(522)에 비해 저밀도의 회전수를 갖는 제 1분리날개(524)와, 제 1분리날개(524)에 해당되는 부분의 제 1분리관(510)에 형성된 제 1타공망(530)과, 제 1타공망(530)에 연결설치되는 제 1배기구(540)와, 제 1배기구(540)에 설치되는 제 1배기팬(55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 1타공망(530)은 백미(100)는 빠지지 않으며, 기름에 의해 뭉쳐진 이물질 덩어리는 빠지는 크기로 형성한다.
그리고 제 2분리기(600)는, 제 1분리관(510)에 연결되어 백미(100)가 통과되는 제 2분리관(610)과, 제 2분리관(610)내에 설치되는 제 4축(620)과, 제 4축(620)에 형성된 제 3이송날개(622)와, 제 4축(620)에 형성되어 제 3이송날개(622)에 비해 저밀도의 회전수를 갖는 제 2분리날개(624)와, 제 2분리날개(624)에 해당되는 부분의 제 2분리관(610)에 형성된 제 2타공망(630)과, 제 2타공망(630)에 연결설치되는 제 2배출구(640) 및 제 2배출구(640)에 설치되는 제 2배기팬(65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 2타공망(630)은 백미(100)는 빠지지 않으며, 기름에 의해 뭉쳐진 이물질 덩어리는 빠지는 크기로 형성하고, 제 2분리날개(624)는 가죽으로 형성함으로써 백미(100)에 묻은 이물질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 2분리관(610)의 미단에는 백미(100)가 배출되는 배출구(660)가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백미(100)에 식물성 기름을 주입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호퍼(110)에 백미(100)를 담아 제 1혼합관(310)으로 공급하고, 오일주입장치(200)로 백미(100)에 식물성 기름을 공급한다.
다음은, 백미(100)에 가온공기를 공급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제 1혼합관(310)과 제 1분리관(510)의 입구로 공급되는 식물성 기름이 혼합된 백미(100)에 가온송풍장치(700)로 가온공기를 공급한다.
다음은, 백미(100)를 혼합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는 혼합장치로 식물성 기름과 가온공기가 주입된 백미(100)를 혼합하며 이송시킨다.
먼저 호퍼(110)에 연결된 제 1피더(300)의 제 1혼합관(310)으로 백미(100)가 공급되면, 제 1축(320)에 형성된 제 1이송날개(322)가 회전하며 백미(100)를 도 2를 기준으로 우측으로 이송시키고, 이러한 이송작용에 연속하여 제 1축(320)에 형성된 제 1혼합이송날개(324)가 회전하며 백미(100)를 혼합하며 이송시킨다. 따라서 백미(100)에 식물성 기름 및 가온공기가 양호하게 혼합된다.
이때 백미(100)에 묻어 있는 미강과 이물질이 식물성 기름에 뭉치게 된다. 이러한 작용은 가온공기에 의해 더욱 양호하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제 1피더(300)의 작용에 이어서, 제 2피더(400)에서도 백미(100)를 혼합하는 이송시킨다.
여기서는 제 1혼합관(310)에 연결되는 제 2혼합관(410)으로 백미(100)가 공급되면, 제 2축(420)에 형성된 제 2혼합이송날개(422)가 회전하여 백미(100)를 혼합하며 도 2를 기준으로 좌측으로 이송시킨다.
따라서 계속해서 백미(100)에 묻어 있는 미강과 이물질이 기름에 뭉치게 된다.
그 다음, 백미(100)에 초음파 살균 습기를 공급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여기서는 초음파 가습장치(800)로 살균 습기를 혼합장치 즉, 제 2피더(400)의 입구와 출구에 각각 공급한다. 이러한 습기는 기름에 의해 뭉쳐진 이물질과 미강 덩어리를 백미(100)로부터 용이하게 떨어지도록 한다. 또한 살균 습기를 백미(100)에 공급하므로, 물로써 백미(100)를 씻을 때와 같이 물에 함유된 세균이 백미(100)에 묻지 않게 된다.
그 다음, 백미(100)와 기름에 뭉쳐진 이물질을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는 분리장치로 기름에 뭉쳐진 이물질을 분리한다.
이러한 분리장치는 제 1분리기(500)와 제 2분리기(600)로 나누어져 이단 분리작업이 이루어진다.
먼저 제 1분리기(500)는, 제 2혼합관(410)에 연결된 제 1분리관(510)으로 백미(100)가 공급되면, 제 3축(520)에 형성된 제 2이송날개(522)가 회전하여 백미(100)와 이물질 덩어리를 도 2를 기준으로 우측으로 이송시키며, 제 2이송날개(522)에 비해 저밀도의 회전수를 갖는 제 1분리날개(524)가 회전하며 백미(100)와 이물질 덩어리를 혼합하며 이송시키는 사이에 백미(100)와 이물질 덩어리가 분리된다.
이와 동시에 제 1분리날개(524)에 해당되는 부분에 형성된 제 1타공망(530)을 통해 제 1배기구(540)에 설치된 제 1배기팬(550)이 흡기작용을 일으켜 이물질을 흡입하여 배출시킨다. 그리고 백미(100)는 계속하여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제 1분리기(500)의 작용에 이어서 제 2분리기(600)는, 제1분리관(510)에 연결된 제 2분리관(610)으로 백미(100)가 공급되면, 제 4축(620)에 형성된 제 3이송날개(622)가 회전하여 백미(100)를 도 2를 기준으로 좌측으로 이송시키며, 제 3이송날개(622)에 비해 저밀도의 회전수를 갖는 제 2분리날개(624)가 회전하여 백미(100)에 혼합되어 있는 잔류 이물질 덩어리를 혼합하며 이송시키는 사이에 백미(100)와 잔류 이물질 덩어리가 분리된다.
이러한 제 2분리날개(624)는 가죽으로 되어 있으므로 백미(100)에 묻은 잔류 이물질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제 2분리날개(624)에 해당되는 부분에 형성된 제 2타공망(630)을 통해 제 2배출구(640)에 설치된 제 2배기팬(650)이 흡기작용을 일으켜 잔류 이물질을 배출시킨다. 그리고 백미(100)는 계속하여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모든 이물질이 분리된 정결한 백미(100)가 배출구(660)를 통해 배출된다. 이로써 모든 곡물세척과정이 종료된다.
이와 같이 배출구(660)로 배출되는 백미(100)는 모든 이물질이 제거되어 있으므로, 취사시에 세척할 필요가 없는 무세미가 된다. 그리고 제 1분리기(500) 및 제 2분리기(600)에서 배출되는 이물질은 주로 미강이 기름에 뭉쳐진 덩어리이므로 가축의 사료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백미(100)의 세척과정에서 생성되는 물질도 활용할 수 있으므로 환경오염을 방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곡물세척장치는 식물성 기름으로 백미(100)에 묻은 이물질 및 미강을 제거하므로, 백미(100)가 윤기가 나며 정결하게 세척된다. 또한 세척과정에서 물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물에 함유된 미생물이 백미(100)에 묻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쌀뜨물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별도의 폐수정화시설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곡물에 식물성 기름 및 가온공기를 혼합하여 곡물에 묻은 이물질을 분리하여 제거하는 곡물세척방법 및 그 장치로서, 곡물의 세척시 식물성 기름을 사용하여 백미(100)에 묻은 이물질 및 미강을 제거함으로써, 백미(100)에 수분이 잔류되는 것을 방지하여 세척된 백미(100)가 미생물의 번식에 의해 부패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동시에, 본 발명은 백미(100)를 세척하는 동안 쌀뜨물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하천의 오염을 방지하여 수질을 향상시키려는 국가정책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백미(100)에 식물성 기름을 주입하는 과정;
    상기 백미(100)에 가온공기를 공급하는 과정;
    상기 백미(100)를 혼합하는 과정;
    상기 백미(100)에 초음파 살균 습기를 공급하는 과정; 및
    상기 백미(100)와 상기 기름에 뭉쳐진 이물질을 분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세척방법.
  2. 백미(100)를 공급하는 호퍼(110);
    상기 호퍼(110)에 식물성 기름을 주입하는 오일주입장치(200);
    상기 호퍼(110)에 연결되어 상기 백미(100)를 이송시키며 혼합하는 혼합장치;
    상기 혼합장치에 가온공기를 공급하는 가온송풍장치(700);
    상기 혼합장치에 살균 습기를 공급하는 초음파 가습장치(800); 및
    상기 혼합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백미(100)를 혼합하며 이물질을 분리하는 분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세척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장치는, 상기 호퍼(110)에 연결되어 백미(100)가 통과되는 제 1혼합관(310);
    상기 제 1혼합관(310) 내에 설치되는 제 1축(320);
    상기 제 1축(320)에 형성된 제 1이송날개(322);
    상기 제 1축(320)에 형성된 제 1혼합이송날개(324);
    상기 제 1혼합관(310)에 연결되어 상기 백미(100)가 통과되는 제 2혼합관(410);
    상기 제 2혼합관(410) 내에 설치되는 제 2축(420); 및
    상기 제 2축(420)에 형성된 제 2혼합이송날개(4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세척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장치는, 상기 혼합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백미(100)가 통과되는 제 1분리관(510);
    상기 제 1분리관(510)내에 설치되는 제 3축(520);
    상기 제 3축(520)에 형성된 제 2이송날개(522);
    상기 제 3축(520)에 형성되어 상기 제 2이송날개(522)에 비해 저밀도의 회전수를 갖는 제 1분리날개(524);
    상기 제 1분리날개(524)에 해당되는 부분의 상기 제 1분리관(510)에 형성된 제 1타공망(530);
    상기 제 1타공망(530)에 연결설치되는 제 1배기구(540);
    상기 제 1배기구(540)에 설치되는 제 1배기팬(550);
    상기 제 1분리관(510)에 연결되어 상기 백미(100)가 통과되는 제2분리관(610);
    상기 제 2분리관(610)내에 설치되는 제 4축(620);
    상기 제 4축(620)에 형성된 제 3이송날개(622);
    상기 제 4축(620)에 형성되어 상기 제 3이송날개(622)에 비해 저밀도의 회전수를 갖는 제 2분리날개(624);
    상기 제 2분리날개(624)에 해당되는 부분의 상기 제 2분리관(610)에 형성된 제 2타공망(630);
    상기 제 2타공망(630)에 연결설치되는 제 2배출구(640); 및
    상기 제 2배출구(640)에 설치되는 제 2배기팬(6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세척장치.
KR1019990031934A 1999-08-04 1999-08-04 곡물세척방법 및 그 장치 KR100332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1934A KR100332060B1 (ko) 1999-08-04 1999-08-04 곡물세척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1934A KR100332060B1 (ko) 1999-08-04 1999-08-04 곡물세척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6804A KR20010016804A (ko) 2001-03-05
KR100332060B1 true KR100332060B1 (ko) 2002-04-10

Family

ID=19606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1934A KR100332060B1 (ko) 1999-08-04 1999-08-04 곡물세척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20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9711B1 (ko) * 2002-09-23 2005-12-30 서영석 살균 세척장치에 의해 생산되는 기능성 쌀 및 그 제조방법
KR100740269B1 (ko) * 2006-08-22 2007-07-18 (주)클레슨 기계부품용 초음파 자동세척기
KR100804135B1 (ko) * 2007-04-11 2008-02-19 손창구 곡물세척기
KR102541713B1 (ko) * 2022-08-24 2023-06-13 김용우 도정미 품질 향상을 위한 도정미 처리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645A (en) * 1980-06-09 1982-01-08 Satake Eng Co Ltd Method of processing polished rice
JPH0277216A (ja) * 1988-09-13 1990-03-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超音波洗米装置
JPH09121793A (ja) * 1995-11-07 1997-05-13 Atsushi Watanabe 精米された米穀を研磨洗浄するペーストと粉体の 混在する研摩材
KR0114913Y1 (ko) * 1994-02-01 1998-04-15 김광호 전자동 취반기의 세미장치
JPH1132707A (ja) * 1997-07-22 1999-02-09 Akoro:Kk 無菌早炊米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645A (en) * 1980-06-09 1982-01-08 Satake Eng Co Ltd Method of processing polished rice
JPH0277216A (ja) * 1988-09-13 1990-03-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超音波洗米装置
KR0114913Y1 (ko) * 1994-02-01 1998-04-15 김광호 전자동 취반기의 세미장치
JPH09121793A (ja) * 1995-11-07 1997-05-13 Atsushi Watanabe 精米された米穀を研磨洗浄するペーストと粉体の 混在する研摩材
JPH1132707A (ja) * 1997-07-22 1999-02-09 Akoro:Kk 無菌早炊米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6804A (ko) 200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072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iological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US5119721A (en) Apparatus for producing washed rice
KR100853758B1 (ko) 음식물 폐기물을 이용한 액상 가축 사료 제조 시설
US9169147B2 (en) Precision lime stabiliz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eatment of sewage sludge
KR100332060B1 (ko) 곡물세척방법 및 그 장치
CN109332359A (zh) 一种蚯蚓消纳的餐厨废弃物无害饲料预处理设备及工艺
KR101936872B1 (ko) 음식물쓰레기 퇴비화 장치
KR980008016A (ko) 음식물 찌꺼기를 이용한 사료제조 방법 및 장치
KR20130142825A (ko) 미생물 발효를 이용한 애견사료와 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080036766A (ko) 축분용 고액 처리 방법
KR200216319Y1 (ko) 음식 쓰레기 발효장치
KR20020076831A (ko) 오존을 이용한 곡물가공방법 및 그 장치
JP2000189136A (ja) 鶏用マッシュ飼料の熱処理設備
EP0483929B1 (en) Device for the valorisation of slaughter residues
KR930000435A (ko) 분뇨 및 가축분 처리장치 및 그 방법
JP2001010713A (ja) 搬送処理装置
CN217893893U (zh) 一种防止饲草霉变的消毒储存系统
JPH11268982A (ja) 糞尿処理設備
CN216320866U (zh) 一种饲料加工废气除臭装置
CN210841228U (zh) 箱式有机废弃物处理装置
KR20020024510A (ko) 음식 쓰레기 발효장치
KR101638528B1 (ko)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장치
KR101853206B1 (ko) 진공식 원통수평회전형 고속 교반발효기 및 이를 이용한 수분 및 유해가스제거방법
JPH05212302A (ja) 洗米装置
JP2005193160A (ja) 生ゴミ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