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1184B1 - 식기 건조기 - Google Patents

식기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1184B1
KR100331184B1 KR1020000013356A KR20000013356A KR100331184B1 KR 100331184 B1 KR100331184 B1 KR 100331184B1 KR 1020000013356 A KR1020000013356 A KR 1020000013356A KR 20000013356 A KR20000013356 A KR 20000013356A KR 100331184 B1 KR100331184 B1 KR 100331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rip tray
drip
plate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3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4597A (ko
Inventor
노무라히데후미
Original Assignee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 야스아키
Publication of KR20010014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4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1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11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9/00Drying devic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tea-cloths
    • A47L19/04Crockery baskets; Draining-r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성을 향상시키며, 사용상의 편리성이 좋은 식기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온풍 발생수단(4)을 내장하는 본체(1)와, 그 본체(1) 상방을 개폐 자유롭게 덮는 뚜껑체(6)와, 상기 본체(1)와 뚜껑체(6)로서 형성되는 식기 건조실(8)에 착탈 자유롭게 수납되는 물받이판(16)과, 그 물받이판(16)에 놓이는 식기장(23)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식기 건조기{TABLE DISHES DRYING APPARATUS}
본 발명은, 온풍 발생수단을 갖는 본체와 뚜껑체로 구성되는 식기 건조실내에 식기장을 수납하여 식기를 건조시키는 식기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와같은 종류의 식기 건조기로서, 온풍 발생수단을 갖는 본체와 이 본체 상부를 개폐 자유롭게 덮는 뚜껑체로 형성되는 식기 건조실내에, 세척한 식기를 올려놓는 식기장을 수납하여 식기를 건조시키는 구성의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식기 건조기에 있어서는, 식기에 부착된 물방울이 본체의 식기 건조실의 바닥면으로 적하되어 본체의 일부에 형성된 배수 구멍에 의해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이를 반복하여 사용하면 식기 건조실의 바닥면에 물 때가 부착되게 되지만, 본체내에는 온풍 발생수단이 수납되어 있기 때문에 물 세척을 할 수가 없어 청소하기가 어렵다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결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세척성을 향상시키며, 사용상의 편리성이 좋은 식기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식기 건조기의 정면도.
도 2는, 상기 식기 건조기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식기 건조기의 단면도.
도 4는, 상기 식기 건조기의 식기장을 분리시킨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상기 식기 건조기의 뚜껑체를 개방한 상태의 상면도.
도 6은, 상기 식기건조기의 다른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7은, 상기 식기 건조기의 물받이판의 상면도.
도 8은, 상기 물받이판의 일부를 파단한 측면도.
도 9는, 상기 물받이판의 다른 방향에서 본 일부 파단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식기 건조기의 단면도.
도 11은, 상기 건조기의 다른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식기 건조기의 단면도.
도 13은, 상기 건조기의 식기장 및 물받이판을 분리한 상태의 식기 건조기의 단면도.
도 14는, 상기 물받이판의 일부 파단 측면도.
도 15는, 상기 물받이판을 다른 방향에서 본 일부 파단 측면도.
도 16은, 상기 물받이판과 식기장을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7은, 상기의 다른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18은, 상기의 상면도.
도 19는, 상기 물받이판의 상면도.
도 20은, 상기 본체의 뚜껑체를 개방한 상태의 상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 4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식기 건조기의 단면도.
도 22는, 상기의 다른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23은, 상기 본체의 뚜껑체를 개방한 상태의 상면도.
도 24는, 상기 물받이판을 수납한 상태에서 뚜껑체를 개방한 본체의 상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 5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본체의 뚜껑체를 개방한 상태의 상면도.
도 26은, 상기 물받이판을 수용한 상태에서 뚜껑체를 개방한 본체의 상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34. 본체 3. 팬(온풍 발생수단)
4. 히터(온풍 발생수단) 8, 38. 식기 건조기
9, 40. 배수 구멍 16, 42. 물받이판
17, 43. 배수구 18. 패킹
23. 식기장 23a. 다리부(걸림수단)
25. 플랜지 26. 계단부(段部)
30. 마개(개폐수단) 31. 스프링(개폐수단)
32. 지지부재 33. 걸림부재(걸림수단)
본 발명은, 온풍발생수단을 내장하고 상면에 배수구멍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방을 개폐 자유롭게 덮는 뚜껑체와, 상기 본체 상면과 뚜껑체로 형성되는 식기건조실에 착탈 자유롭게 수납되는 식기장을 구비하고, 배수구를 형성하고 상기 식기건조실에 착탈 자유롭게 수납되며 상기 식기장이 재치되는 물받이판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물받이판을 식기 건조실에 수납한 상태로, 본체의 배수 구멍과 물받이판의 배수구가 거의 일치하는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온풍 발생수단을 내장하고, 상면에 배수 구멍을 갖는 본체와, 그 본체 상방을 개폐 자유롭게 덮는 뚜껑체와, 배수구를 갖고 상기 본체의 상면과 뚜껑체로서 형성되는 식기 건조실에 착탈 자유롭게 수납되는 물받이판과, 그 물받이판에 놓이는 식기장을 구비하고, 상기 물받이판의 개방구 테두리부에, 상기 물받이판과 본체의 내부 측벽을 물 밀봉(水密)상태로 유지하는 내열성을 갖는 패킹을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온풍 발생수단을 내장하고, 상면에 배수 구멍을 갖는 본체와, 그 본체 상방을 개폐 자유롭게 덮는 뚜껑체와, 배수구를 갖고 상기 본체의 상면과 뚜껑체로서 형성되는 식기 건조실에 착탈 자유롭게 수납되는 물받이판과, 그 물받이판에 놓이는 식기장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개방구 상부에 계단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물받이판의 개방구 테두리에 상기 계단부에 지지되는 플랜지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를 물받이판의 내부측으로 경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은, 온풍 발생수단을 내장하고, 상면에 배수 구멍을 갖는 본체와, 그 본체 상방을 개폐 자유롭게 덮는 뚜껑체와, 배수구를 갖고 상기 본체의 상면과 뚜껑체로서 형성되는 식기 건조실에 착탈 자유롭게 수납되는 물받이판과, 상기 물받이판에 놓이는 식기장을 구비하고, 상기 물받이판과 식기장에 상호 착탈 자유롭게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온풍 발생수단을 내장하고, 상면에 배수 구멍을 갖는 본체와, 그 본체 상방을 개폐 자유롭게 덮는 뚜껑체와, 배수구를 갖고 상기 본체의 상면과 뚜껑체로서 형성되는 식기 건조실에 착탈 자유롭게 수납되는 물받이판과, 상기 물받이판에 놓이는 식기장을 구비하고, 상기 물받이판과 식기장에 상호 착탈 자유롭게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물받이판에 식기장을 걸어 결합시킨 상태로 본체로부터 들어낼 때에, 상기 물받이판의 배수구를 폐쇄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온풍 발생수단을 내장하고, 상면에 배수 구멍을 갖는 본체와, 그 본체 상방을 개폐 자유롭게 덮는 뚜껑체와, 배수구를 갖고 상기 본체의 상면과 뚜껑체로서 형성되는 식기 건조실에 착탈 자유롭게 수납되는 물받이판과, 그 물받이판에 놓이는 식기장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상면을, 외주로부터 배수 구멍을 향해 점차 낮게 되도록 경사시킴과 동시에, 상기 물받이판의 바닥면을 외주로부터 배수구를 향해 점차 낮게 되도록 경사시키며, 상기 물받이판의 경사를 본체 상면의 경사보다 완만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1은, 합성수지제의 본체로서, 그 본체(1) 후방에 히터(2) 및 송풍기(3)로 이루어지는 온풍 발생수단(4)을 내장하는 온풍 발생수단 수납실(5)이 형성되어 있다.
6은, 상기 본체(1) 상면을 개폐 자유롭게 덮는 복수의 뚜껑부재(7)로 이루어지는 뚜껑체로서, 본체(1)와 뚜껑체(6)로서 후술하는 식기장(22) 및 물받이판(16)을 형성하고 있다.
9는, 상기 본체(1)의 상면[상기 식기 건조실(8)의 바닥면]에 형성된 배수 구멍으로서, 상기 본체(1)의 그 배수 구멍(9) 하방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물받이접시(10)가 착탈 자유롭게 배설되어 있다.
11은, 상기 본체(1)의 하부에 형성된 소품 수납부로서, 그 소품 수납부(11)에 도마판 등의 소품을 수납하는 쟁반(12)이 출납 자유롭게 수납되도록 되어 있으며, 그 소품 수납부(11)에 쟁반(12)을 수납하므로서 소품 건조실을 형성하고 있다.
13은, 본체(1)의 온풍 발생수단 수납실(5)과 연통하고 또한 식기건조실(8)에 면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온풍 발생수단(4)으로부터의 온풍을 식기건조실(8)로 공급하는 제 1 온풍공급구이다.
14는, 본체(1)의 온풍 발생수단 수납실(5)과 연통하고 또한 소품 수납부(11)에 면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온풍 발생수단(4)으로부터의 온풍을 소품 수납부(11)로 공급하는 제 2 온풍공급구이다.
15는, 상기 본체(1)의 전면부에 회동자유롭게 배설된 식칼케이스로서, 상기 소품 수납부(11)와 연통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2 온풍공급구(14)로부터 공급되는 온풍이 소품 수납부(11)를 통하여 상기 식칼케이스(15)로 공급되므로서 식칼을 건조시키도록 되어 있다.
16은, 상기 식기건조실(8)에 수납되는 스테인레스 등의 내부식성 및 내열성을 갖는 금속제 물받이판으로서, 상기 본체(1)의 상면에 거의 일치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본체(1)의 상면에서 유지됨과 동시에, 상기 물받이판(16)의 상기 본체(1)의 배수 구멍(9)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배수구(17)가 형성되어 있다.
18은, 상기 물받이판(16)의 상면 개방구 테두리부에 배설된 실리콘수지 등의 내열성을 갖는 패킹으로서, 상기 물받이판(16)을 본체(1)의 상면에 올려놓은 상태로 본체(1)의 내부 측벽에 맞접하여 물받이판(16)과 본체(1)를 물밀봉 상태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물받이판(16)의 상기 제 1 온풍공급구(13)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개방구(19)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개방구(19)의 제 1 온풍공급구(13)측에도 내열성을 갖는 패킹(20)이 배설되어 있는 것에 의해 상기 제 1 온풍공급구(13)로부터 공급되는 온풍이 물받이판(16)과 본체(1)의 사이로 흐르는 것이 방지되어 온풍을 확실하게 물받이판(16)측으로 안내하므로서 후술하는 식기장(23)의 식기를 효율좋게 건조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21은, 상기 물받이판(16) 내면의 배수구(17)측에 돌출 설치된 지지돌출부로서, 상기 배수 구멍(9)을 향하여 점차 하방으로 경사시킨 본체(1)의 상면과 일치시켜, 배수구(17)를 향해 점차 하방으로 경사시킨 물받이판(16)의 바닥면에 후술하는 식기장(23)을 올려놓았을 때에, 식기장(23)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22는, 상기 물받이판(16)의 내부 측면의 일부분에 물받이판(16)의 바깥쪽을향하여 오목하게 설치된 손잡이부로서, 상기 물받이판(16)의 내부측에 형성된 상기 손잡이부(22)를 잡고 물받이판(16)을 본체(1)로부터 착탈시킬수 있도록 되어 있다.
23은, 상기 물받이판(16)의 위에 놓이는 스테인레스제의 식기장으로서, 그 식기장(23)의 개방구 테두리의 서로 대향하는 2변[본 실시형태에서는 식기장(23)의 좌우의 2변]에 수지제의 손잡이부재(24)가 배설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부재(24)에, 가역성(可逆性)을 갖는 도료(본 실시형태에서는, 소정의 온도범위를 초과하면 변색함과 동시에, 온도가 내려가면 다시 원래의 색으로 환원하는 성질을 갖는 도료)를 도포, 또는, 가역성수지(본 실시형태에서는, 소정의 온도범위를 초과하면 변색함과 동시에, 온도가 내려가면 다시 원래의 색으로 환원하는 성질을 갖는 수지)를 이겨 넣으면, 식기건조 직후에 식기장(23)의 가열된 상태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건조 직후의 가열된 상태의 식기장(23)에 잘못 접촉하여 화상을 입는 등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성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체(1)에 물받이판(16)을 올려놓음과 동시에 식기장(23)을 수납하고, 온풍 발생수단(4)을 가동시키면, 온풍이 제 1, 제 2 온풍공급구(13, 14)를 통해 식기 건조실(8) 및 소품 수납부(11)로 공급되어 식기나 도마판 등을 건조시킨다.
식기에 부착된 물은, 물받이판(16)에 적하되어 배수구(17) 및 본체(1)의 배수 구멍(9)을 통하여 물받이접시(10)에 모아진다.
물받이판(16)의 개방구 테두리부 및 개방구(19)의 제 1 온풍공급구(13) 측면에는 패킹(18, 20)이 배설되어 있기 때문에, 식기장(23)에 세척한 식기를 수납할 때에 물받이판(16)의 개방구 테두리부에 물이 적하되어도, 물받이판(16)의 개방구 테두리부와 본체(1) 사이의 틈새로 본체(1)의 상면위에 물이 침입할 수 없으므로 본체(1)의 상면을 오손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 1 온풍공급구(13)로부터의 온풍이 개방구(19)를 통하여 확실하게 물받이판(16) 내부측으로 안내될 수가 있어 식기장(23)에 수납된 식기를 효율좋게 건조시킬 수가 있다.
청소를 하는 경우에는, 식기장(23)의 손잡이부(24)를 잡고 식기장(23)을 인출하며, 또한 물받이판(16)의 손잡이부(22)를 잡고 물받이판(16)을 들러내어 물받이판(16)을 물세척할 수가 있으므로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되며, 또한 본체(1)의 상면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의 실시형태에서는, 물받이판(16)을 본체(1)의 상면으로 지지하고, 물받이판(16)의 개방구 테두리부에 패킹(18)을 배설하여 물밀봉 상태를 유지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제 2의 실시형태와 같이, 물받이판(16)의 상면 개방구부에 플랜지부(25)를 형성하여, 본체(1)의 상면 개방구부 근방에 형성한 계단부(26)에 올려놓아 물받이판(16)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고, 또한 상기 플랜지부(25)를 그 자유단부가 상방에 위치하도록 물받이판(16)의 중앙부측으로 경사시켜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물받이판(16)의 개방구 테두리부에 패킹을 배설하지 않고도, 물받이판(16)과 본체(1)의 틈새로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 플랜지부(25)를 물받이판(16)의 중앙부측으로 경사시키므로서, 플랜지부(25)에 물이 적하되어도 물받이판(16) 위로 물이 확실하게 안내되어 본체(1)의 상면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다음에, 도 12 내지 도 20에 의거하여 제 3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 부분은, 동일부호를 사용하여 설명은 생략한다.
27은, 상기 본체(1)의 배수 구멍(9)에 형성된 돌기부로서, 배수 구멍(9)의 상부에 형성된 '十'형상의 리브(28)에 형성되어 있다.
29는, 상기 물받이판(16)의 배수구(17)에 배설된 개폐기구로서, 상기 배수구(17)를 폐쇄하는 마개(30)와, 그 마개(30)를 배수구(17)측으로 가세하는 스프링(31)과, 그 스프링(31)을 지지하는 지지부재(32)로 구성되어 있다.
33은, 상기 물받이판(16)의 상면에 형성된 걸림부재로서, 상기 식기장(23)의 다리부(23a)를 걸어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식기 건조기를 부엌의 싱크대 근방에 둘 수 없는 경우 등에 식기를 세척할 때, 식기장(23)의 다리부(23a)를 물받이판(16)의 걸림부재(33)에 걸어 고정시키고 식기장(23)을 물받이판(16)과 함께 들어내어, 싱크대 근방에 두고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물받이판(16)을 본체(1)에서 들어내면, 마개(30)가 스프링(31)의 가세력에 의하여 배수구(17)측으로 밀려 물받이판(16) 위의 물이 배수구(17)에서 적하하지 않으므로, 세척한 식기를 올려놓은 식기장(23)을 본체(1)가 있는 곳으로 옮길 때에 마루를 더럽히는 일이 없다.
그리고, 물받이판(16)에 고정한 식기장(23)을 옮겨 물받이판(16) 및 식기장(23)을 함께 식기 건조실(8)에 수납하면, 본체(1) 상면의 배수 구멍(9)에 형성한 돌기부(27)에 의하여 물받이판(16)의 마개(30)가 스프링(31)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밀어올려지므로서, 물받이판(16)의 배수구(17)와 본체(1) 상면의 배수 구멍(9)이 연통하게 되어 식기로부터 물받이판(16) 위에 적하한 물이 배수구(17) 및 배수 구멍(9)을 통하여 물받이접시(10)로 모아진다.
따라서, 식기장(23) 및 물받이판(16)을 본체(1)에서 들어낸 상태에서는 물받이판(16)으로부터 물이 적하되는 일이 없음과 동시에, 식기장(23) 및 물받이판(16)을 본체(1)에 수납하였을 때에는 물받이판(16)위의 물이 본체(1)의 물받이접시(10)로 모아지기 때문에, 식기를 세척할 때에 식기장(23) 및 물받이판(16)만을 싱크대 근방으로 옮겨서 사용하고, 젖은 식기를 올려놓은 식기장(23) 및 물받이판(16)을 다시 본체(1)가 있는 곳으로 옮길 때에, 마루를 더럽히지 않고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4의 실시형태를 도 21 내지 도 2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식기장을 생략하고 있다.
34는, 도시하지 않은 히터 및 송풍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온풍 발생수단을 내장하는 온풍 발생수단 수납실(35)을 형성한 본체이며, 이 본체(34) 상면을 개폐 자유롭게 덮는 복수의 뚜껑부재(36)로 이루어지는 뚜껑체(37)로서 식기 건조실(38)을 구성하고 있다.
39는, 상기 본체(34)에 식기 건조실(38)에 면해서 형성된 온풍공급구로서, 이 온풍공급구(39)는 후술하는 물받이판(42)의 개방구 테두리 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40은, 상기 본체(34)의 상면[식기 건조실(38)의 바닥면]의 거의 중앙부에 형성된 배수 구멍으로서, 상기 본체(34)의 상면은 바깥둘레로부터 상기 배수 구멍(40)을 향하여 점차 낮게 되도록 경사져 있음과 동시에, 상기 본체(34)의 상기 배수 구멍(40)의 하방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물받이접시(41)가 착탈 자유롭게 배설되어 있다.
42는, 상기 본체(34)의 상면에 놓이는 스테인레스 등의 내부식성 및 내열성을 갖는 금속제의 물받이판으로서, 이 물받이판(42)의 상기 본체(34)의 배수 구멍(40)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배수구(4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물받이판(42)은, 바깥둘레로부터 배수 구멍(43)을 향하여 점차 낮게 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바, 그 물받이판(42)의 경사는 상기 본체(34)의 상면의 경사보다 완만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물받이판(42)을 식기 건조실(38)에 수납한 상태에서는 물받이판(42)의 이면 모서리부가 전체 둘레에 걸쳐 본체(34)의 상면과 접촉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물받이판(42)의 4변이 전체 둘레에서 본체(34)의 상면에 접촉하기 때문에, 물받이판(42)의 지지부를 따로 설치할 필요 없는 간단한 구성으로 물받이판(42)을 식기 건조실(38)에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가 있다.
또, 물받이판(42)의 지지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물받이판(42)이없는 식기장만인 기종과의 공통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물받이판(42)을 갖는 기종에 있어서도, 물받이판(42)을 사용하지 않고, 식기장을 직접 본체(34)의 상면에 올려놓고 사용할 수도 있으나, 상기 제 2의 실시형태와 같이, 물받이판에 플랜지부를 형성하여 본체상부의 계단부로 지지하게 하는 구성에서는, 본체의 상면에서 상기 계단부까지의 높이 치수가 물받이판의 깊이 치수보다 클 경우, 물받이판 없이 식기장을 직접 본체의 상면에 올려놓으면, 물받이판 위에 식기장을 놓은 경우보다 제 1 온풍공급구가 식기장의 높은 위치에 면하게 되어 식기장에 대하여 비교적 높은 위치에 온풍공급구가 위치하게 되므로, 온풍이 식기 전체에 닿지 않게 되어 식기의 건조효율이 저하된다.
이에 대하여, 본 제 4 실시형태의 구성으로 하면, 물받이판(42)의 유무에 관계없이 온풍공급구(39)에 대한 식기장의 상대적 높이가 변하지 않기 때문에, 물받이판(42)의 유무에 상관없이 식기를 효율좋게 건조시킬 수가 있다.
또, 상기 제 4의 실시형태에서는, 배수 구멍(40)을 본체(34) 상면의 거의 중앙부에 형성하고, 물받이판(42)의 4변이 본체(34)의 상면과 접촉하도록 구성하였으나, 도 25 및 도 26에 나타내는 제 5의 실시형태와 같이, 본체(34) 상면의 배수 구멍(40)을 본체(34)의 한쪽으로 위치하게 함과 동시에, 본체(34)의 다른쪽의 2개의 테두리부에서 배수 구멍(40)을 향하여 본체(34)의 상면을 경사시켜, 물받이판(42)의 이면의 3변이 본체(34)의 상면과 접촉하도록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의하면, 식기장의 식기로부터의 물이 식기 건조실에착탈 자유롭게 수납된 물받이판에 적하하는 바, 청소를 할 경우에는 식기장 및 물받이판을 들어내어 물받이판을 물세척할 수가 있으므로 사용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본체의 상면에는 물이 적하하지 않아 본체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의하면, 식기장의 식기로부터의 물이 식기 건조실에 착탈 자유롭게 수납된 물받이판에 적하하는 바, 청소를 할 경우에는 식기장 및 물받이판을 들어내어 물받이판을 물세척할 수가 있으므로 사용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본체의 상면에는 물이 적하하지 않아 본체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또, 본체 상면의 배수 구멍과 물받이판의 배수구를 일치시키므로서, 물받이판의 배수구로부터 적하하는 물에 의해 본체의 상면이 젖기 어려워 확실하게 본체의 상면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의하면, 식기장의 식기로부터의 물이 식기 건조실에 착탈 자유롭게 수납된 물받이판에 적하하는 바, 청소를 할 경우에는 식기장 및 물받이판을 들어내어 물받이판을 물세척할 수 있으므로, 사용편리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물받이판의 개방구 테두리부에 패킹을 배설하였기 때문에, 물받이판의 개방구 테두리와 본체의 틈새로부터 본체 상면으로의 물의 침입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으므로 본체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의하면, 식기장의 식기로부터의 물이 식기 건조실에착탈 자유롭게 수납된 물받이판에 적하하는 바, 청소를 할 경우에는 식기장 및 물받이판을 들어내어 물받이판을 물세척할 수가 있으므로 사용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본체의 상면에는 물이 적하하지 않으므로 본체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또, 물받이판에 플랜지부를 형성하고, 본체의 개방구 상부에 형성한 계단부로 상기 물받이판을 지지하기 때문에, 물받이판의 개방구 테두리부에 패킹을 배설할 필요 없이, 물받이판의 개방구 테두리와 본체의 틈새로의 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비용의 절감에 기여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의하면, 식기장의 식기로부터의 물이 식기 건조실에 착탈 자유롭게 수납된 물받이판에 적하하는 바, 청소를 할 경우에는 식기장 및 물받이판을 들어내어 물받이판을 물세척할 수가 있으므로 사용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본체의 상면에는 물이 적하하지 않으므로 본체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또, 물받이판에 플랜지부를 형성하고, 본체의 개방구 상부에 형성한 계단부로 상기 물받이판을 지지하기 때문에, 물받이판의 개방구 테두리부에 패킹을 설치할 필요 없이, 물받이판의 개방구 테두리와 본체의 틈새로의 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비용의 절감에 기여한다.
또한, 플랜지부를 물받이판 내측으로 경사시키므로서, 플랜지부에 물이 적하해도 물받이판 위로 물이 확실하게 안내되어, 보다 확실하게 본체 상면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의하면, 식기장의 식기로부터의 물이 식기 건조실에 착탈 자유롭게 수납된 물받이판에 적하하는 바, 청소를 할 경우에는 식기장 및 물받이판을 들어내어 물받이판을 물세척할 수가 있으므로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본체의 상면에는 물이 적하하지 않으므로 본체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또, 식기장과 물받이판에 결합수단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식기건조기를 부엌의 싱크대 근방에 두지 못하는 경우 등에 식기를 세척할 때에, 식기장을 물받이판에 걸어결합시킨 후 식기장을 물받이판과 함께 들어내어 싱크대 근방에 놓고 사용할 수 있어서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의하면, 식기장의 식기로부터의 물이 식기 건조실에 착탈 자유롭게 수납된 물받이판에 적하하는 바, 청소를 할 경우에는 식기장 및 물받이판을 들어내어 물받이판을 물세척할 수가 있으므로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본체의 상면에는 물이 적하하지 않으므로 본체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또, 식기장과 물받이판에 결합수단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식기건조기를 부엌의 싱크대 근방에 두지 못하는 경우에 식기를 세척할 때에, 식기장을 물받이판에 걸어결합시킨 후 식기장을 물받이판과 함께 들어내어 싱크대 근방에 놓고 사용할 수가 있으므로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식기장과 물받이판을 함께 들어낼 때에는, 물받이판의 배수구가 폐쇄되기 때문에, 세척한 식기를 수납한 식기장을 본체로 운반할 때 등에 마루 바닥에물이 적하하지 않으므로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8에 의하면, 식기장의 식기로부터의 물이 식기 건조실에 착탈 자유롭게 수납된 물받이판에 적하하는 바, 청소를 할 경우에는 식기장 및 물받이판을 들어내어 물받이판을 물세척할 수 있으므로 사용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본체의 상면에는 물이 적하하지 않으므로 본체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또, 물받이판의 경사를 식기 건조실 바닥면의 경사보다 완만하게 형성하므로서, 물받이판의 이면의 모서리부가 거의 전체 둘레로 식기 건조실 바닥면에 접촉하기 때문에, 물받이판의 지지부를 설치할 필요 없는 간단한 구성으로 물받이판을 식기 건조실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가 있다.
또한, 물받이판의 지지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물받이판이 없고 식기장만 있는 기종과의 공통사용이 가능함과 동시에, 물받이판에 플랜지부를 형성하여 본체 상부의 계단부로 지지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물받이판의 유무에 관계없이 식기 건조실에 수납한 식기장의 높이가 변하지 않기 때문에, 식기장에 대한 온풍공급구의 상대적 위치가 변동되지 않으므로, 물받이판의 유무에 관계없이 식기를 효율좋게 건조시킬 수가 있다.

Claims (8)

  1. 온풍발생수단을 내장하고 상면에 배수구멍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방을 개폐 자유롭게 덮는 뚜껑체와, 상기 본체 상면과 뚜껑체로 형성되는 식기건조실에 착탈 자유롭게 수납되는 식기장을 구비하고, 배수구를 형성하고 상기 식기건조실에 착탈 자유롭게 수납되며 상기 식기장이 재치되는 물받이판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건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판을 식기 건조실에 수납한 상태에서, 본체의 배수 구멍과 물받이판의 배수구가 거의 일치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건조기.
  3. 온풍 발생수단을 내장하고 상면에 배수 구멍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방을 개폐 자유롭게 덮는 뚜껑체와,
    배수구를 갖고 상기 본체의 상면과 뚜껑체로서 형성되는 식기 건조실에 착탈 자유롭게 수납되는 물받이판과,
    상기 물받이판에 놓이는 식기장을 구비하고,
    상기 물받이판의 개방구 테두리부에, 물받이판과 본체의 내측벽을 물밀봉 상태로 유지하는 내열성을 갖는 패킹을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건조기.
  4. 온풍 발생수단을 내장하고 상면에 배수 구멍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방을 개폐 자유롭게 덮는 뚜껑체와,
    배수구를 갖고 상기 본체의 상면과 뚜껑체로서 형성되는 식기 건조실에 착탈 자유롭게 수납되는 물받이판과,
    상기 물받이판에 놓이는 식기장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개방구 상부에 계단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물받이판의 개방구 테두리에 상기 계단부에 지지되는 플랜지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건조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를 물받이판의 내측으로 향하여 경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건조기.
  6. 온풍 발생수단을 내장하고 상면에 배수 구멍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방을 개폐 자유롭게 덮는 뚜껑체와,
    배수구를 갖고 상기 본체의 상면과 뚜껑체로서 형성되는 식기 건조실에 착탈 자유롭게 수납되는 물받이판과,
    상기 물받이판에 놓이는 식기장을 구비하고,
    상기 물받이판과 식기장에 상호 착탈 자유롭게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설치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건조기.
  7. 온풍 발생수단을 내장하고 상면에 배수 구멍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방을 개폐 자유롭게 덮는 뚜껑체와,
    배수구를 갖고 상기 본체의 상면과 뚜껑체로서 형성되는 식기 건조실에 착탈 자유롭게 수납되는 물받이판과,
    상기 물받이판에 놓이는 식기장을 구비하고,
    상기 물받이판과 식기장에 상호 착탈 자유롭게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설치하며, 상기 물받이판에 식기장을 결합시킨 상태로 본체로부터 들어낼 때에, 상기 물받이판의 배수구를 폐쇄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건조기.
  8. 온풍 발생수단을 내장하고 상면에 배수 구멍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방을 개폐 자유롭게 덮는 뚜껑체와,
    배수구를 갖고 상기 본체의 상면과 뚜껑체로서 형성되는 식기 건조실에 착탈 자유롭게 수납되는 물받이판과,
    상기 물받이판에 놓이는 식기장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상면을 외주로부터 배수 구멍을 향하여 점차 낮게 되도록 경사시킴과 동시에, 상기 물받이판의 바닥면을 외주로부터 배수구를 향해 점차 낮게 되도록 경사시키며, 상기 물받이판의 경사를 본체 상면의 경사보다 완만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건조기.
KR1020000013356A 1999-04-26 2000-03-16 식기 건조기 KR1003311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118521 1999-04-26
JP11852199A JP4190085B2 (ja) 1999-04-26 1999-04-26 食器乾燥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4597A KR20010014597A (ko) 2001-02-26
KR100331184B1 true KR100331184B1 (ko) 2002-04-01

Family

ID=14738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3356A KR100331184B1 (ko) 1999-04-26 2000-03-16 식기 건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190085B2 (ko)
KR (1) KR1003311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0776A (ko) * 2001-09-04 2003-03-10 이해익 주방용구용 살균기
KR101977842B1 (ko) * 2018-01-05 2019-05-13 한일전기 주식회사 탈부착형 전장물을 가지는 식기건조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2801Y1 (ko) * 1984-02-10 1985-11-25 삼성전자공업주식회사 식기 건조기의 물받이통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2801Y1 (ko) * 1984-02-10 1985-11-25 삼성전자공업주식회사 식기 건조기의 물받이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190085B2 (ja) 2008-12-03
JP2000300503A (ja) 2000-10-31
KR20010014597A (ko) 2001-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57982B1 (en) Dishwasher
US6595607B2 (en) Counter top appliance stand
KR100331184B1 (ko) 식기 건조기
JP3819811B2 (ja) 食器乾燥機
KR101629916B1 (ko) 가구의 사이펀 및 아이템
JPH08191998A (ja) ランドリーユニット
JP2004321707A (ja) 食器乾燥機
KR200155868Y1 (ko) 씽크대의 세척통 개폐장치
KR100850477B1 (ko) 싱크대에 장착되는 음식물 처리를 위한 비닐지 고정대
JP2003038412A (ja) 食器乾燥機
JP4149085B2 (ja) 食器乾燥機
KR200450421Y1 (ko) 고무장갑 건조용 보관함
KR200486258Y1 (ko) 식기 건조 장치
CN215993789U (zh) 一种易清洁的马桶盖板及智能马桶
JP2562245Y2 (ja) 流し台
KR950005961Y1 (ko) 식기 건조대
KR100679647B1 (ko) 씽크
JP2516078Y2 (ja) 食器乾燥器
JPS5818758Y2 (ja) 調理台
KR100609774B1 (ko) 조리도구 수납케이스
JPS58465Y2 (ja) 食器乾燥機
JPH0595885A (ja) 食器乾燥機
KR101144789B1 (ko) 수납장이 구비된 세탁기
KR200377902Y1 (ko) 개수대 매립형 거치대
JPH0523283A (ja) 食器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