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9979B1 - 유동형전기컨넥터및이것을가진전기컨넥터조립체 - Google Patents

유동형전기컨넥터및이것을가진전기컨넥터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9979B1
KR100329979B1 KR1019950014565A KR19950014565A KR100329979B1 KR 100329979 B1 KR100329979 B1 KR 100329979B1 KR 1019950014565 A KR1019950014565 A KR 1019950014565A KR 19950014565 A KR19950014565 A KR 19950014565A KR 100329979 B1 KR100329979 B1 KR 100329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circuit board
connecto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4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사카와가즈시게
Original Assignee
더 휘태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휘태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더 휘태커 코포레이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9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9979B1/ko

Link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바톰엔트리형 전기 컨넥터(30)와 감합가능한 유동형 전기 컨넥터(10)는 상하 2쌍의 하우징(11,12)과 리셉터클콘택트(13)를 갖는다. 리셉터클콘택트(13)는, 상부 하우징(11)에 지지되어 탭콘택트를 수용가능하게 형성되는 리셉터클부(14), 하부 하우징(12)에 압입하여 고정되는 기부(17)를 포함하고, 양자는 스프링부(15)에 의해 연락되므로 상, 하부 하우징은 서로 유동가능해진다. 스프링부(15)와 연속하는 간부(18)에는 상부 하우징(11)의 감합면측의 들어올려짐을 방지하는 제지부(22)가, 상, 하부 하우징(11,12)에는 상부 하우징(11)의 쓰러짐을 방지하기위하여 맞물림구조(22,23)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효과적인 위치어긋남보상기구를 구비함과 동시에 적당한 스톱퍼를 갖는 유동형 전기 컨넥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Description

유동형 전기 컨넥터 및 이것을 가진 전기 컨넥터 조립체
본 발명은 전기 컨넥터, 특히 프린트회로판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위한 유동형 전기 컨넥터 및 이 것을 갖는 전기 컨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프린트회로판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여러가지 구조의 전기컨넥터가 알려져 있으나, 일예로써 프린트회로판에 설치되어 프린트회로판의 이면측으로부터 상대 컨넥터가 삽입, 감합되는 소위 바톰엔트리형 전기컨넥터가 있다. 즉, 바톰엔트리형 전기 컨넥터의 감합면은 컨넥터 저면을 향하여 있고, 프린트회로판의 감합면대응위치에는 개구가 형성 될수 있다. 바톰엔트리형 컨넥터로써 예를 들면, 실개평2-41374호등을 들수 있다.
바톰엔트리형 전기컨넥터와 감합가능한 상대 컨넥터는 상대프린트 회로판위에 설치된다. 프린트회로판끼리의 위치어긋남을 피복(被覆)하기위하여, 양컨넥터의 콘택트는 점(포인트)적이 아니라, 어떤 범위(레인지)에서 접촉가능하게 형성되고, 또한, 양 컨넥터의 한쪽, 바람직하게는 상대 컨넥터가 유동가능하게 형성된다.
바톰엔트리형 전기 컨넥터는, 스택킹된 혹은 대략 직교방향으로 향하여진 프린트회로판끼리의 접속에 사용되지만, 특히, 후자에 있어서, 바톰엔트리형 컨넥터와 감합될 때의 효과적인 위치어긋남 보상기구를 갖는 상대 컨넥터는 종래에는 없었다. 위치어긋남 보상기구로써는, 3차원방향의 위치어긋남 보상이 요구된다. 특히, 위치어긋남보상때문에 유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컨넥터(유동형 컨넥터)에는 유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적당한 위치에 스톱퍼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프린트회로판 위에 놓여지는 하부 하우징과 이 하부 하우징의 약간 윗쪽으로 위치하는 상부 하우징과, 이 상,하부 하우징을 통하여 연장되며, 상기 상,하부 하우징에 지지되는 콘택트를 가지며, 이 콘택트는 상기 상,하부 하우징을, 탄성을 갖는 스프링부로 유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유동형전기 컨넥터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기 하부 하우징보다 전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됨과 동시에 후방에서 상기 하부 하우징의 양 외측면을 덮어서 밑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하부 하우징의 맞물림구조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회로판상에 설치되어지는 유동형 전기컨넥터와, 상기 제1회로판에 대하여 거의 직각방향을 향하는 제2회로판상에 설치되고, 상기 유동형 컨넥터와 감합되는 바톰엔트리형 전기 컨넥터로 이루어진 전기 컨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유동형 컨넥터는 상기 제1회로판상에 놓여지는 하부 하우징과, 이 하부 하우징의 윗쪽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 하우징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서 상기 바톰엔트리형 전기 컨넥터와의 감합위치까지 연장되는 상부 하우징을 구비하고, 이 상부 하우징은 후방에서 상기 하부 하우징의 양외측면을 덮어 밑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하부 하우징의 맞물림 구조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톰엔트리형 전기 컨넥터는 탭콘택트를 가지고, 리셉터클콘택트를 갖는 유동형의 상대전기컨넥터로 감합할 수 있다.
유동형 전기 컨넥터는 상하 2개의 하우징을 갖고, 리셉터클콘택트는 양하우징에 걸쳐서 배치된다. 하부 하우징은 상부 하우징보다 소형으로 형성되고, 상부 하우징의 후방에 위치한다.
리셉터클컨택트는 탭을 수용가능하게 형성하여 상부 하우징에 지지되는 리셉터클부(접촉부)를 가지며, 하부 하우징에 지지되는 기부(基部)를 갖는다. 리셉터클부와 기부의 사이는 스프링부에 의해 연결되므로, 상,하부 하우징 사이는 유동이 가능해 진다. 리셉터클콘택트는 상부 하우징 저벽의 내측으로 돌아 들어가는 제지부를 갖는다. 제지부가 상부 하우징의 감합면측으로부터 들어 올려졌을 때에 스톱퍼로써 기능한다. 또한, 상부 하우징은 후방에서 하부 하우징의 양외측면을 덮어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이 위치에서 상,하부 하우징은 맞물림구조를 갖는다. 맞물림구조는 상부 하우징의 감합면측이 쓰러질때 스톱퍼로써 기능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유동형 전기 컨넥터 및 전기 콘택트의 조립체의 양호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도 및 제 2 도에는 각각 본 발명의 제 1 컨넥터(유동형 전기 컨넥터)(10) 및 제1컨넥터와 감합 가능한 제2컨넥터(바톰엔트리형 전기컨넥터) (30)가 도시된다.
제 1 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컨넥터(10)는 2개의 하우징, 즉, 대형의 상부 하우징(11)과 소형의 하부 하우징 (12)및 그것들을 통해서 배치되는 리셉터클컨넥터(13)를 갖는다. 제1도(C)와 같이 상부 하우징(11)은 하부 하우징(12)의 위에 위치하고, 앞쪽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리셉터클콘택트(13)는 제1도(d)와 같이, 상대 탭(상대 접촉부)을 수용하는 리셉터클부(접촉부)(14), 리셉터클부(14)에 연속하여 감합면과 역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프링부(15), 하부 하우징(12)에 수용되는 기부(17), 스프링부(15)와 기부(17)를 연결하는 간부(幹部)(18), 기부(17)보다 하방으로 연장되고 프린트회로판의 관통구멍에 삽입되어 납땜되는 리드부(19)를 갖는다. 리셉터클콘택트(13)는 리드부(19)의 기부(17)에 대한 위치가 상이한 2종류의 리셉터클콘택트(13a),(13b)를 가지며, 이들은 하우징내에 서로 교호로 배치되므로 리드부(19)는 지그재그로 배열된다. 또한, 제1도(b)와 같이 일부의 리셉터클콘택트(13)의 리드부(19)에는 킨크(20)가 형성된다.
리셉터클콘택트(13)의 리셉터클부(14)는 상부 하우징(11)내에서 지지되고, 한쪽 기부(17)는 압입부(16)에 의해 하부 하우징(22)에 고정된다. 따라서, 양자를 연락하는 휨 가능한 스프링부(15)의 작용에 의해 상부 하우징(11)은 하부 하우징(12)에 대하여 유동가능해진다.
제1도(D)에 의하면, 스프링부(15)와 연속하는 간부(18)의 상단은 상부 하우징(11)의 저벽(21)으로 돌아 들어가, 그 윗쪽을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제지부(22)를 갖는다. 제지부(22)는 상부 하우징(11)의 감합면측이 들어 올려질때, 상부 하우징의 작동을 제지하는 스톱퍼로써 기능 한다. 실제로 제1도(b)에 단면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11)은 후방으로 하부 하우징(11)의 양외측면을 덮어서 밑쪽으로 연장되고, 이 위치에서 상,하부 하우징(11,12)은 맞물림구조(22,23)를 갖는다. 이들은 협동하여 상부 하우징(11)의 감합면측이 하방으로 쓰러질 때에 상부 하우징의 작동을 제지하는 스톱퍼로써 작용한다.
또한, 하우징은 상부 하우징(11)및 하부 하우징(12)의 2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내지만, 제조공정에서는 이들을 일제로 형성하고, 사용시에 일부를 분리하여 2개의 구조가 되게 할 수 있다.
제2도에는 제2컨넥터(바톰엔트리형 전기 컨넥터)(30)가 도시된다. 제2컨넥터(30)는 하우징(31)및 보호커버(32)를 가지며, 하우징(31)내에는 탭콘택트(33)가 배치된다. 탭콘택트(3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컨넥터(10)의 리셉터클콘택트(13)에 수용되어 감합될 수 있다.
탭콘택트(33)는 제2도(d)와 같이, 탭부(41), 압입부(45)및 프린트 회로판의 관통구멍(쓰루홀)에 삽입되어 납땜되는 리드부(39)를 갖는다. 제2도(b) 및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탭콘택트(33)는 리드부(39)의 위치가 상이한 2종의 콘택트(33a, 33b)를 가지며, 이들 하우징 내에 교호로 배열되므로, 리드부(19)는 제2도(b)와 같이 지그재그로 배열된다. 또한, 제2도(b)와 같이 일부의 리드부(39)는 킨크(38)를 갖는다.
바톰엔트리형 전기 컨넥터는 통상 납땜에 의해 프린트회로판에 설치된다. 프린트회로판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개구가 형성되므로, 납땜공정에 있어서의 플럭스(Flux)처리시에 플럭스가 개구를 통하여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들어가, 컨넥터내에 배치되는 콘택트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통상 콘택트의 감합면측에 테이프를 붙인다. 또는, 별도 부재로써, 보호커버를 설치하는등의 방법에 의해 플럭스의 상승을 방지하고 있다.
제2컨넥터(30)와 같이 보호커버를 부착한 바톰엔트리형 컨넥터에서는 보호커버가 탭콘택트의 탭부를 덮어 배치된다.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컨넥터의 탭콘택트에서는 콘택트를 고정하기위한 압입부가, 전기적 접속을 위한 탭부와 거의 직선상(狀)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컨넥터내에 배치될 때, 탭콘택트는 하우징 정벽(頂壁)부근에 위치하는 압입부로부터 탭부가 하방으로 연장 되도록 놓여진다. 압입부는 감합시에 탭을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그런데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바톰엔트리형 컨넥터는 개량할 점이 있었다. 상술한 종래의 구조에 의하면, 탭부가 적당한 유효감합길이를 필요로하기때문에, 탭부를 덮는 보호 커버의 저면은 비교적 밑쪽으로 위치하고, 프린트회로판에 컨넥터가 설치되었을 때 보호커버의 저면이 프린트회로판의 저면보다 돌출한 위치에 있었다. 따라서, 플럭스처리시, 플럭스가 커버표면을 올려 콘택트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었다. 이 문제는 컨넥터의 높이를 높이므로써 해결 되지만, 이러한 종류의 컨넥터에서는 저배위(低背位)일 것이 요구되기 때문에, 상술한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다.
제2컨넥터(30)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을 갖는다. 탭콘택트(33)의 압입부(45)는 제2도(d)와 같이 탭부(41)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다. 압입부(45)는 하우징(31)의 캐비티(43)내에 압입하여 고정된다. 탭콘택트(33)의 탭부(41)는 적당한 폭을 가지며, 그 상단부근은 하우징 정벽의 홈(22)안으로 위치맞춤하도록 배치되어 지지된다. 이것에 의해 컨넥터는 저배위로 형성될 수 있음과 동시에 보호커버의 저면을 비교적 윗쪽에, 즉 프린트회로판으로의 설치시에 프린트회로 저면보다 윗쪽으로 위치시켜 보호커버(32)에 따른 플럭스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컨넥터(30)의 상부 하우징(31)의 양측단에는 제2도(a)와 같이 아암(35)이 형성된다. 아암(35)의 외측면에는 프린트회로판과 계합하기위한 계합부(34)가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31)에는 상술한 보호커버(32)가 벗겨질 수 있게 설치한다. 정면(頂面)(44)은 아암(35)의 레버(36)를 관통가능하게 하는 개구(도시하지않음)를 가지며, 레버(36)의 계지부(37)가 개구의 상단에서 계지된다.
프린트회로판에 설치된 제2컨넥터(30)가 제3도(a)에 도시된다. 보호커버(32)는 프린트회로판(200)의 저면보다 위쪽으로 위치하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플럭스처리시의 보호커버(32)에 따른 플럭스의 상승이 방지된다.
제2컨넥터(30)의 사용시에는 보호커버(32)는 제거된다. 보호커버의 제거는 제3도(a) 및 (b)에 도시된바와 같이 레버(36)(제2도(a) 참조)를 조작하고, 계지부(37)의 계지를 해제하며, 제3도(a) 중의 화살표A방향으로 보호커버(32)를 누르고, 제3도(b)와 같이 아랫방향으로 압출하므로써 이루어진다.
제4도에는 제1컨넥터(10)와 제2컨넥터(30)의 감합상태가 도시된다. 제1컨넥터(10)는 프린트회로판(100)상의 면(101)위에, 제2컨넥터(30)는 프린트회로판(200)상의 면(201)상에 설치된다. 제1컨넥터(10)는 프린트회로판(200)에 형성되는 개구(203)를 통해서 제2컨넥터(20)와 감합되고, 리셉터클부(14)가 탭부(41)와 접촉한다. 스프링부(15)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프린트회로판(100,200)의 위치어긋남을 보상 하는 기능을 한다. 탭부(41)와 리셉터클부(14)는 접촉시, 탭부(41)의 폭방향의 다수의 어긋남을 허용한다. 이에 의해서도 프린트회로판(100,200)의 위치어긋남이 보상 될수 있다. 리드부(19,39)는 각각 프린트회로판(100,200)상의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므로 이들의 상호접속이 이루어 질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했으나,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형태, 변경이 가능하다. 상술한 양호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효과적인 위치 어긋남의 보상을 위해 유동기능을 구비한, 비교적 단순한 구조의 유동형 컨넥터 및 그것을 갖는 전기 컨넥터 조립체가 제공된다.
유동형 컨넥터의 하우징은 소형의 하부 하우징과, 이 하부 하우징의 윗쪽에 위치하여 앞쪽으로 연장되는 대형의 상부 하우징을 포함하나, 상부 하우징의 감합면측이 하부 하우징에 대하여 들어올려지는 방향 또는 쓰러지는 방향으로 움직여질때의 스톱퍼를 구비하기때문에, 상부 하우징이 하부 하우징에 대하여 과도하게 움직여지지는 않고 콘택트가 보호 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직교배치된 제1프린트회로판과 제2프린트회로판을 접속하는 전기 컨넥터조립체에 있어서, 예를들면 제2회로판에 무의식적인 힘이 가해졌을 때에도 유동형 컨넥터의 콘택트가 파손되지 않는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유동형 전기컨넥터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측면도, (d)는 하우징단면에 콘택트를 배치하여 도시하는 부분단면도이다.
제 2 도는 제1도의 전기 컨넥터와 감합가능한 바톰엔트리형 전기 컨넥터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정면도, (b)는 저면도, (c)는 측면도, (d)는 제1(d)도와 유사한 부분단면도이다.
제 3 도는 제2도의 전기 컨넥터의 보호커버의 제거를 도시한, 제1(d)도와 유사한 부분단면도로서, (a)는 제거전, (b)는 제거후를 도시한다.
제 4 도는 제1도 및 제2도에 각각 도시한 전기컨넥터끼리의 감합상태를 도시한 제1(d)도와 유사한 부분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유동형 전기컨넥터 11: 상부 하우징
12: 하부 하우징 13: 리셉터클콘택트
15: 스프링부 22,23: 맞물림구조
100: 제1회로판 200: 제2회로판

Claims (6)

  1. 회로판상에 놓여진 하부 하우징 및 이 하부 하우징의 실질적으로 윗쪽으로 위치하는 상부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하우징과, 스프링부를 통하여 상기 상,하부 하우징을 유동적으로 지지하는 복수의 콘택트를 포함하는 유동형 전기 컨택트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의 양단부를 상기 상부 하우징의 양측의 요부내로 유입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유동형 전기 컨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상,하부 하우징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콘택트에 의해 지지된 후에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유동형 전기 컨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의 후단부의 저면은 상기 하부 하우징의 저면과 거의 동일면으로 하고, 전단의 감합부를 상기 하부 하우징보다 앞쪽으로 돌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형 전기 컨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는 탄성금속판을 타발하여 형성된 판상이며, 상기 상부 하우징의후단부에 있어서 지그재그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형 전기 컨넥터.
  5. 제1회로판에 설치된 유동형 전기 컨넥터와, 장기 제1회로판에 대하여 거의 직교배치된 제2회로판에 설치되어 상기 유동형 전기 컨넥터에 감합되는 바톰엔트리형 전기 컨넥터를 구비하는 전기 컨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유동형 전기 컨넥터는 복수의 탄성 콘택트에 의해 유동적으로 연결되고 또한, 양단이 유동하므로써 맞물려진 상,하부 하우징을 가지며, 이 상부 하우징의 앞쪽으로 돌출하는 감합부가 상기 제2회로판의 개구를 통하여 상기 바톰엔트리형 전기 컨넥터에 감합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전기 컨넥터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톰엔트리형 전기 컨넥터에는 보호커버가 자유자재로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전기 컨넥터 조립체.
KR1019950014565A 1994-06-10 1995-06-02 유동형전기컨넥터및이것을가진전기컨넥터조립체 KR1003299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5282194A JP3377060B2 (ja) 1994-06-10 1994-06-10 遊動型電気コネクタ及びそれ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VUD6-152821 1994-06-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9979B1 true KR100329979B1 (ko) 2002-11-16

Family

ID=15548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4565A KR100329979B1 (ko) 1994-06-10 1995-06-02 유동형전기컨넥터및이것을가진전기컨넥터조립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377060B2 (ko)
KR (1) KR100329979B1 (ko)
CN (1) CN1103129C (ko)
MY (1) MY12427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7703304Y1 (pt) * 1996-10-10 2012-01-10 conector elétrico.
JP2004214091A (ja) * 2003-01-07 2004-07-29 Jst Mfg Co Ltd 可動型コネクタ用コンタク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可動型コネクタ
FR2854281B1 (fr) * 2003-04-28 2005-06-17 Valeo Equip Electr Moteur Connecteur electrique intercalaire destine a relier entre eux deux circuits electroniques superposes et son procede de montage
CN102324655B (zh) * 2011-06-09 2012-12-12 上海航天科工电器研究院有限公司 一种浮动电源连接器
JP2015049957A (ja) * 2013-08-30 2015-03-16 住友電装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の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377060B2 (ja) 2003-02-17
CN1103129C (zh) 2003-03-12
JPH07335339A (ja) 1995-12-22
CN1118526A (zh) 1996-03-13
MY124276A (en) 2006-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80449B1 (en) Surface mount electrical connector
CN1085421C (zh) 板对板连接器组件
US7931477B2 (en) Low profile board-to-board connector mating pair with solder barrier
US7252549B2 (en) Connector, receptacle for connector and plug for connector
JPH0531139U (ja) プリント基板用コネクタ
KR950034923A (ko) 낮은 형상의 기판연결용 컨넥터
KR100607003B1 (ko) 낮은 프로파일 전기 커넥터
KR0122783Y1 (ko) 인쇄 회로 기판용 연부 접속기
KR20070119708A (ko) 기판 대 기판 커넥터
US7052286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cover
KR100621392B1 (ko) 간단한 구조의 소형 커넥터
KR100497846B1 (ko) 전기 커넥터
KR20050065388A (ko)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100329979B1 (ko) 유동형전기컨넥터및이것을가진전기컨넥터조립체
JP3119612B2 (ja) プリント基板用コネクタ及びその実装構造
US7309254B2 (en) Connector which can be increased in holding strength with respect to a substrate
US5601438A (en) Independent socket for use with stacked memory card connector assembly
JPH09266035A (ja) 平型柔軟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US4634200A (en) Low profile stacking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s
KR100567587B1 (ko) 접지 연결용 홀드다운을 갖춘 전기 커넥터
KR20050065332A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JP7196028B2 (ja) コネクタ組立体
KR930002845Y1 (ko) 콘넥터 구조
KR0118721Y1 (ko) 전기접속용 커넥터
JP2006032244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