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9145B1 - 호출음시간자동변경방법 - Google Patents

호출음시간자동변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9145B1
KR100329145B1 KR1019950006731A KR19950006731A KR100329145B1 KR 100329145 B1 KR100329145 B1 KR 100329145B1 KR 1019950006731 A KR1019950006731 A KR 1019950006731A KR 19950006731 A KR19950006731 A KR 19950006731A KR 100329145 B1 KR100329145 B1 KR 100329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time
predetermined time
tone
ring 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6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5365A (ko
Inventor
이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넷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넷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넷앤텍
Priority to KR1019950006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9145B1/ko
Publication of KR960035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5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9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91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striking a resonating body, e.g. bells, chimes or gongs
    • G10K1/06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striking a resonating body, e.g. bells, chimes or gongs the resonating devices having the shape of a bell, plate, rod, or tube
    • G10K1/062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striking a resonating body, e.g. bells, chimes or gongs the resonating devices having the shape of a bell, plate, rod, or tube electrically operated
    • G10K1/063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striking a resonating body, e.g. bells, chimes or gongs the resonating devices having the shape of a bell, plate, rod, or tube electrically operated the sounding member being a bell
    • G10K1/064Operating or striking mechanisms therefor
    • G10K1/065Operating or striking mechanisms therefor for timed or repeated ope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ic Clocks (AREA)
  • Interconnected Communication Systems, Intercoms, And Inte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 주택이나 아파트등에서 실외자가 실내자를 호출하는 호출시스템에 적용되는 호출음시간을 자동적으로 변경되도록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의 호출버턴을 눌을때마다 단계적으로 호출음 발생시간이 단축되도록하는 호출음시간 자동변경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인 구성은 첫번째 호출인가를 판정하여 첫번째 호출이 있을 경우에 첫번째 효출음을 발생시키는 1단계 호출음 발생단계; 상기 1단계 호출음 발생단계에서 첫번째 호출음이 발생된다음에 일정시간 경과여부를 판정하는 1단계 시간경과 판정단계; 상기 1단계 시간경과 판정단계에서 일정시간이 경과하지 않았을 경우 두번째 호출이 있을 경우에 두번째 호출음을 발생시키는 2단계 호출음 발생단계; 상기 2단계 호출음 발생단계에서 두번째 호출음이 발생된다음에 일정시간 경과여부를 판정하는 2단계 시간경과 판정단계; 상기 2단계 시간결과 판정단계에서 일정시간이 경과하지 않았을 경우 세번째부터 그 이상의 호출이 있을 경우에 세번째이상 호출음을 발생시키는 3단계 호출음 발생단계; 상기 3단계 호출음 발생단계에서 세번째 호출음이 발생된다음에 일정시간 경과여부를 판정하는 3단계 시간경과 판정단계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호출음시간 자동 변경방법
본 발명은 일반 주택이나 아파트등에서 실외자가 실내자를 호출하는 호출시스템에 적용되는 호출음시간을 자동적으로 변경되도록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의 호출버턴을 누를때마다 단계적으로 호출음 발생시간이 단축되도록하는 호출음시간 자동변경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주택, 다가구주택, 아파트에 있어서, 종래의 호출음발생 시스템은 현관문밖이나 대문등의 실외에 설치되는 호출버턴과, 호출버턴을 누르면 호출음발생 시스템이 동작하여 실내에 설치되어 있는 스피커를 통해서 호출음이 울리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종래의 호출음발생시간은 호출번턴을 누르는 횟수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시간으로 호출음이 발생되어, 실외에서 실내자를 호출하는 호출인의 조급한 마음을 실내자에게 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반 주택이나 아파트등에서 실외자가 실내자를 호출하는 호출시스템에 적용되는 호출음시간을 자동적으로 변경되도록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반 주택이나 아파트등에서 실외자가 실내자를 호출하는 호출시스템에 적용되는 호출음시간을 자동적으로 변경되도록한 방법을 제공함에 의하여, 외부의 호출버턴을 누를때마다 호출음 발생시간이 단계적으로 단축되도록하여 실내자를 재촉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은
첫번째 호출인가를 판정하여 첫번째 호출이 있을 경우에 첫번째 호출음을 발생시키는 1단계 호출음 발생단계;
상기 1단계 호출을 발생단계에서 첫번째 호출음이 발생된다음에 일정시간 경과여부를 판정하는 1단계 시간경과 판정단계;
상기 1단계 시간경과 판정단계에서 일정시간이 경과하지 않았을 경우 두번째호출이 있을 경우에 두번째 호출음을 발생시키는 2단계 호출음 발생단계;
상기 2단계 호출음 발생단계에서 두번째 호출음이 발생된다음에 일정시간 경과여부를 판정하는 2단계 시간경과 판정단계;
상기 2단계 시간경과 판정단계에서 일정시간이 경과하지 않았을 경우 세번째부터 그 이상의 호출이 있을 경우에 세번째이상 호출음을 발생시키는 3단계 호출음 발생단계;
상기 3단계 호출음 발생단계에서 세번째 호출음이 발생된다음에 일정시간 결과여부를 판정하는 3단계 시간경과 판정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회로도로서, 1은 중앙처리장치이며, 이는 외부에 설지되어 있는 호출버턴(SW)이 늘려지면 이를 인식하여 호출음펄스를 발생시킨다. 2는 신호증폭기이며, 이는 중앙처리장치(1)에서 발생되는 펄프신호를 증폭시킨다. 3은 파워증폭기이며, 이는 신호증폭기(2)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파워를 증폭시킨다. 4는 스피커이며, 이는 파워증폭기(3)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호출음으로 출력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라 호출음 발생회로에 의해서 발생되는 호출음시간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로서, (가)는 호출음이 "딩-, 동-"에 해방되는 경우에 펄스주파수를 나타낸 것이고, (나)는 1단계 호출음 발생단계에서 발생되는 호출음시간을 나타낸 것이고, (다)는 2단계 호출음 발생단계에서 발생되는 호출음시간을 나타낸 것이고, (라)는 3단계 호출음 발생단계에서 발생되는 호출음시간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방법이 수행될 호출음발생회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현관문 밖이나 대문등의 실외에 설치되는 호출버턴(SW)을 누르면 중앙처리장치(1)에서 이를 인식하게 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사전에 내장된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램을 처리되면서 실내에 설치되어 있는 스피커(4)를 통해서 호출음이 제2도(가)에 도시한 바와같이 "딩-" 에 해당되는 주파수(f1)는 대략 800∼900Hz로, "동-"에 해당되는 주파수는 대략 700Hz로 울리게 되는 것이다.
제3도를 참조하여 중앙처리장치(1)에 내장된 프로그램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31단계에서는 외부에 호출버턴(SW)으로부터 첫번째 호출인가를 판정한다. 32단계에서는 상기 31단계에서 첫번째 호출임이 판정되는 경우에 진행되는 단계로 첫번째 호출음을 제2도(나)에 도시한 바와같이 2.4초동안에 스피커(4)를 통해서 울리도록 호출음펄스를 출력한다.
33단계에서는 상기 32단계에서 첫번째 호출음펄스가 발생된다음에 일정시간, 예를 들면 대략 50초가 경과하였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34단계에서는 상기 33단계에서 일정시간, 대략 50초가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정된 시점에서 두번째 호출이 있는 가를 판정한다. 35단계에서는 상기 34단계에서 두번째임이 판정되는 경우에 진행되는 단계로 두번째 호출음을 제2도(다)에 도시한 바와같이 1.6초동안에 스피커(4)를 통해서 울리도록 호출음펄스를 출력한다.
36단계에서는 상기 35단계에서 두번째 호출음펄스가 발생된다음에 일정시간, 예를 들면 상기한 바와같이 대략 50초가 경과하였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37단계에서는 상기 36단계에서 일정시간, 대략 50초가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정된 시점에서 세번째 호출이 있는가를 판정한다. 38단계에서는 상기 37단계에서 세번째임이 판정되는 경우에 진행되는 단계로 세번째 호출음을 제2도(라)에 도시한 바와같이 0.8초동안에 스피커(4)를 통해서 울리도록 호출음펄스를 출력한다.
39단계에서는 상기 38단계에서 세번째 호출음펄스가 발생된다음에 일정시간, 예를 들면 상기한 바와같이 대략 50초가 경과하였는지 아닌지를 판정하여 이 판정결과가 50초가 결과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상기 37단계로 진행되고, 반면에 50초가 경과한 경우에는 프로그램이 리턴(Return)단계로 넘어가서 실질적으로 본 프로그램에 의한 하나의 루프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발명은 외부의 호출버턴을 눌을때마다 단계적으로 호출을 발생 시간이 단축되도록하여 호출인인 실외자가 실내자의 응답을 재촉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라 호출음 발생회로에 의해서 발생되는 호출음시간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호출음시간 자동변경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중앙처리장치 2 ‥‥‥ 신호증폭기
3 ‥‥‥ 파워증폭기 4 ‥‥‥ 스피커

Claims (1)

  1. 호출음시간 변경방법에 있어서,
    첫번째 호출인가를 판정하여 첫번째 호출이 있을 경우에 첫번째 호출음을 발생시키는 1단계 호출음 발생단계;
    상기 1단계 호출음 발생단계에서 첫번째 호출음이 발생된다음에 일정시간 경과여부를 판정하는 1단계 시간경과 판정단계;
    상기 1단계 시간경과 판정단계에서 일정시간이 경과하지 않았을 경우 두번째 호출이 있을 경우에 두번째 호출음을 발생시키는 2단계 호출음 발생단계;
    상기 2단계 호출음 발생단계에서 두번째 호출음이 발생된다음에 일정시간 경과여부를 판정하는 2단계 시간경과 판정단계;
    상기 2단계 시간경과 판정단계에서 일정시간이 경과하지 않았을 경우 세번째부터 그 이상의 호출이 있을 경우에 세번째이상 호출음을 발생시키는 3단계 호출음 발생단계;
    상기 3단계 호출음 발생단계에서 세번째 호출음이 발생된다음에 일정시간 경과여부를 판정하는 3단계 시간경과 판정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하는 호출음시간 자동 변경방법.
KR1019950006731A 1995-03-28 1995-03-28 호출음시간자동변경방법 KR100329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6731A KR100329145B1 (ko) 1995-03-28 1995-03-28 호출음시간자동변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6731A KR100329145B1 (ko) 1995-03-28 1995-03-28 호출음시간자동변경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5365A KR960035365A (ko) 1996-10-24
KR100329145B1 true KR100329145B1 (ko) 2002-08-08

Family

ID=37479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6731A KR100329145B1 (ko) 1995-03-28 1995-03-28 호출음시간자동변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914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5365A (ko) 1996-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20253C (zh) 控制来话呼叫通知的移动终端设备和方法
KR20060041853A (ko) 음성 집음 장치와 방법
KR101145401B1 (ko) 로봇의 음성인식 성능 평가장치 및 평가 방법
KR100329145B1 (ko) 호출음시간자동변경방법
CN109040473A (zh) 终端音量调节方法、系统和手机
JPS6184931A (ja) 無線個人呼出用受信機
KR19990020285A (ko) 키폰전화기에서 착신음 가변방법
US20040184590A1 (en) Device and method for caller identification
KR0135814B1 (ko) 무선호출장치의 호출음 발생장치 및 그 방법
JPS6041848A (ja) 電子式電話機
JPH024095A (ja) 話者判定装置
KR200270399Y1 (ko) 호출 응답장치
KR19990012104A (ko) 사용자에 의해 녹음된 전화벨 발생 방법
KR940008340A (ko) 주변 소음에 따른 음량조절기능을 가진 전화기 회로
KR100387047B1 (ko)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서 벨 볼륨 개별 조절방법
RU2092976C1 (ru) Определитель номера вызывающего абонента
KR920008763B1 (ko) 종합 정보 통신망의 데이타 어뎁터의 링 제어방법
KR970019473A (ko) 티브이 수상기의 주변소음 경고메세지 발생 시스템
JPH071881Y2 (ja) ホームセキュリティ装置
JPH01109850A (ja) 着信報知装置
JPS60107937A (ja) 雑音挿入方式
KR960003219A (ko) 링거가 제거된 전화기
KR980007397A (ko) 홈 오토메이션의 피시(pc)를 이용한 경비실 제어 방법
JP2000036853A (ja) 呼出音量制御手段付き通信端末装置
JPH08214347A (ja) 電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