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8641B1 - 모뎀 구성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모뎀 구성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8641B1
KR100328641B1 KR1019997002974A KR19997002974A KR100328641B1 KR 100328641 B1 KR100328641 B1 KR 100328641B1 KR 1019997002974 A KR1019997002974 A KR 1019997002974A KR 19997002974 A KR19997002974 A KR 19997002974A KR 100328641 B1 KR100328641 B1 KR 100328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m
configuration information
default
data
call attemp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2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8936A (ko
Inventor
문빌리
Original Assignee
도날드 디. 먼둘
에릭슨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날드 디. 먼둘, 에릭슨 인크. filed Critical 도날드 디. 먼둘
Publication of KR20000048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8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8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86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Lubricants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뎀 전단부가 모뎀 후단부에서 물리적으로 이격될 때 셀룰러 무선 통신 시스템내에 모뎀을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구성 방법은 구성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와, 임의의 비디폴트 구성 정보를 식별하기 위해 구성 정보와 디폴트 구성 파라미터를 비교하는 단계와, 비디폴트 구성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각 호출 시도에 따라 비디폴트 구성 정보를 무선 링크를 통해 모뎀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식으로, 구성 정보 손실의 문제점이 극복되고, 모뎀 후단부가 각 데이터 호출 시도에 따라 통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하도록 적절히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 청구된 장치는 구성 정보가 전체 통신 세션동안 모뎀 전단부에 의해 유지되게 하고, 비디폴트 구성 정보가 호출 시도가 행해질 때마다 모뎀 후단부와 쌍을 이루게 한다. 청구된 방법 및 장치의 사용은 특히 데이터 호출 시도가 첫 번째 시도에서 실패할 때에 언제든지 셀룰러 무선 통신 시스템내의 모뎀의 사용자에게 향상된 성능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모뎀 구성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 MODEM}
셀룰러 무선 통신 시스템이 더 대중화됨에 따라, 더 많은 통상의 음성 신호에 추가하여 그러한 시스템을 통해 모뎀으로부터 송신하는 데이터 신호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어 왔다. 대부분의 현재 사용 가능한 셀룰러 무선 통신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음성 신호와 같은 모뎀 데이터 신호를 처리함으로써 모뎀 데이터 신호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한 셀룰러 무선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이동국 가입자)가 모뎀 데이터 신호가 발생되거나 수신되는 임의의 이동국 위치로 완전한 모뎀 하드웨어를 갖추기를 요구한다. 이동국 가입자가 운반해야 하는 설비의 양을 감소시키도록 노력하여, 셀룰러 무선 통신 시스템 산업은 모뎀 하드웨어의 일부가 이동국 위치에 완전히 위치되기 보다는 셀룰러 무선 통신 시스템 자체 내의 다른 위치에 위치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 바 있다.
예를 들어, 미국 통신 산업 협회의 잠정 표준 IS-130 및 IS-135에 기술된 향상된 시스템은 모뎀의 논리 성분이 모뎀 전단부 및 모뎀 후단부 사이에서 분리되는 셀룰러 무선 통신 시스템을 개시하는데, 여기에서 모뎀 전단부 및 모뎀 후단부는 물리적으로는 분리되어 있지만 무선 링크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그러한 시스템에서의 동작 중에, 모뎀 전단부는 이동 유닛에 위치된다. 그러나, 보조 모뎀 후단부는 이동 유닛에 위치되지 않고, 그 대신에 셀룰러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임의의 위치에 존재한다. 또한, 복수의 모뎀 후단부가 그 위치에서 풀(pool) 구조로 함께 그룹을 이룬다. 그러한 셀룰러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 신호는 셀룰러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부를 상기 풀에서 임의적으로 선택된 모뎀 후단부에 삽입하여 송달된다. 이와 같이, 임의의 하나의 제공된 모뎀 전단부는 제공된 호출 시도에 대한 운용 모뎀을 생성하도록 복수의 모뎀 후단부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각각의 후속 호출 시도는 유사하게 동일한 모뎀 전단부가 다른 모뎀 후단부와 결합되게 할 것이다. 따라서, 운용 모뎀, 보조 모뎀 후단부 및 모뎀 전단부쌍을 포함하는 특정 성분은 호출 시도 중에 유사하게 변화한다.
일반적인 데이터 통신 소프트웨어 응용에서, 모뎀을 사용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IS-130 또는 IS-135에 의해 통제되는 셀룰러 무선 통신 시스템 또는 유사한 시스템에서 적절하게 기능할 수 없다. 호출 시도 중에 제공된 모뎀 전단부로의 모뎀 후단부의 가변 지정에서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IS-130 또는 유사한 셀룰러 무선 통신 시스템은 모뎀 후단부가 후속 데이터 호출 시도로 지정되기 전에 디폴트 구조로 리세트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이전의 데이터 호출 시도로부터 임의의 비디폴트 모뎀 구성 정보가 손실된다. 결국, 이들 형태의 셀룰러 무선 통신 시스템은 모뎀 후단부의 비디폴트 구성이 필요한 경우, 그러한 비디폴트 구성 정보는 각 데이터 호출 시도의 셋업 중에 송출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다수의 통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다른 세트의 가정을 이용하여 설계되었다. 통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통신 세션의 제1 호출 시도를 갖는 모뎀 구성 정보를 송출한다. 그러나, 호출 시도가 실패한 때(예컨대, 수신지가 「통화중」인 경우), 다수의 통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동일한 통신 세션에서의 후속 호출 시도를 위해 사용되는 모뎀이 이전의 호출 시도의 종료시에 남아 있던 모뎀과 동일한 구성 상태에 있는 것으로 가정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따라서, 구성 상태의 변화가 필요하지 않는 한 구성 정보를 재송출하지 않는다. 통상의 전용 모뎀에 있어서, 퍼스널 컴퓨터의 내부에 공통적으로 발견되거나 퍼스널 컴퓨터에 물리적으로 부착되는 것처럼, 구성 상태 유지의 가정은 정확하다. 그러나, 복수의 호출 시도 통신 세션(집합적으로, IS-130 시스템) 중에 IS-130 또는 단일 모뎀 전단부가 하나 이상의 모뎀 후단부에 무선 링크를 통해 접속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셀룰러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 동작하는 셀룰러 무선 통신 시스템에 발견되는 가변 지정 가능성에 기인하여, 모뎀의 구성 상태에 관한 통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가정은 유지할 수 없다. IS-130 시스템에서의 후속 데이터 호출 시도를 위해 유지되지 않는 공통적으로 좌우되는 모뎀 구성 정보의 예는 종료 문자, 줄 먹임 문자, 접속 시간 경과, 콤마 시간, 자동 분리 지연, 응답 포맷, 호출 진행 모니터, 수신 라인 신호 셀렉터, 질의 분리 타이머, 셀룰러 결과 부호, 데이터 압축 리포팅, 데이터 압축 선택, 프레임 검사 시퀀스, 에러 제어 리포팅, 에러 제어 선택, 호출 종료, 버퍼 관리, 모듈러 리포팅, 변조 선택, V.18 리포팅 및 V.18 선택용의 구성 세팅을 포함한다. 이들 구성 세팅이 통신 프로그램이 기대하는 것과 같이 정확하지 않은 경우, 모뎀은 적절하게 기능하지 않는다. 따라서, IS-130 환경에서 동작하는 여러 가지 통신 프로그램의 사용자는 항상 데이터 호출이 첫 번째 시도에서 달성되지 않는 어려움을 경험할 수 있다. 더욱이, 이들 사용자는 이들 접속중 어느 하나가 비디폴트 모뎀 구성의 사용을 필요로 하는 경우 동일 통신 세션 내에서 복수의 수신지에 도달하도록 시도하거나 동일한 수신지에 복수회 도달하도록 시도하는데 있어 항상 어려움을 경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셀룰러 무선 통신 시스템용 모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뎀을 분할하기 위한 구성 정보의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셀룰러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본 구조의 블록도.
도 2는 셀룰러 무선 통신 시스템의 분할 모뎀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모뎀 전단부의 동작의 플로우차트.
분할 모뎀을 구비한 종래 기술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결점에 비추어, 본 발명의 목적은 모뎀 전단부에 국한된 모뎀 구성 정보를 저장하고, 적절한 시간에 결합된 모뎀 후단부에 비디폴트 구성 정보를 재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모뎀 전단부 및 모뎀 후단부의 보조쌍이 대부분의 통신 시스템 프로그램이 기대하는 바와 같이 각 호출 시도에 대해 적절하게 구성된다. 특히, 디폴트 구성 세팅과는 달리, 모뎀 후단부는 동일한 통신 세션중의 이전의 호출 시도 동안 설정된 임의의 비디폴트 구성 세팅에 따라서 구성된다. 본 발명은 구성 정보를 모뎀 전단부에 입력하는 단계와, 비디폴트 구성 정보를 식별하기 위해 상기 구성 정보를 소정의 디폴트 파라미터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디폴트 구성 정보를 모뎀 전단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할 모뎀 구성 방법을 제공한다. 선택된 모뎀 후단부에 대해 접속이 이루어지면, 비디폴트 구성 정보가 모뎀 후단부에 송신되어 모뎀 후단부는 임의의 이전의 호출 시도에서 디폴트 구성으로 리세트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적절하게 구성될 수 있다. 최종 결과는 최종 사용자에 대해, 그리고 그 통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대해, 본 발명의 분할 모뎀은 셀룰러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의해 물리적으로 분리되지만 링크된 성분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모뎀과 같이 동작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돕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의 모뎀 전단부는 비디폴트 구성 정보를 인식 및 저장하고, 호출 시도가 이루어질 때 쌍을 이루는 모뎀 후단부에 송신하기 위한 비디폴트 구성을 출력하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발명의 예시에 불과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하는 도면으로부터 명백하고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당업자라면 그 목적 및 장점이 명백해지고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셀룰러 무선 통신 시스템(10)의 기본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셀룰러 무선 통신 시스템(10)은 제한된 무선 통신 가능 영역을 갖는 기지국(12)으로 각각 서비스되는 여러 개의 셀로 지리학적 영역을 분할하여 동작한다. 기지국(12)은 예컨대, 지상 통신선 공공 교환 전화 네트워크 또는 통합 시스템 디지털 네트워크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18)에 차례로 접속되는 이동 서비스 교환 센터(MSC)(14)에 접속된다. 셀룰러 무선 통신 시스템(10)의 각 사용자(이동국 가입자)에게는 휴대용, 포켓용, 손에 들거나, 차량 장착용의 무선 통신 장치(이동 유닛)(20)가 제공된다. 각 이동 유닛(20)은 선택적으로 컴퓨터(5)에 접속될 수 있다. 도 1은 하나의 MSC(14), 2개의 기지국(12) 및 하나의 이동 유닛(20)을 예시할 목적으로 도시하며, MSC(14), 기지국(12) 및 이동 유닛(20)의 수는 실제적으로는 더 넓게 변화한다.
이동 유닛(20)은 무선 링크(25)를 통해 인접 기지국과 음성 및/또는 데이터를 통신한다. 기지국(12)은 MSC(14)와 이동 유닛(20) 사이에 정보를 중계하고 다른 시스템 오버헤드를 실행하며 기능을 제어한다. 기지국(12)은 무선, 마이크로파, 배선, 광섬유 또는 유사한 링크(22)를 통해 MSC(14)와 통신하고, 무선 링크(25)를 통해 이동 유닛(20)과 통신한다. MSC(14)는 예컨대, 각 이동 유닛(20)과 다른 이동 유닛(20) 또는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18)의 지상 통신선 전화선 사이의 교환 호출 및 신호 제어와 같은 통신을 쉽게 한다. MSC(14), 기지국(12) 및 이동 유닛(20)의 상세한 동작은 당업계에 잘 공지되어 있으며; 그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불필요하다.
도 2는 셀룰러 무선 통신 시스템(10)의 분할 모뎀(5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분할 모뎀(50)은 모뎀 전단부(30) 및 모뎀 후단부(40)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모뎀 전단부(30)는 이동 유닛(20)에 물리적으로 통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는 다른 구성은 PCMCIA 컴퓨터 카드 또는 컴퓨터 물리 본체와 일시적 또는 영구적인 설치를 위한 유사한 장착부상에 공급되는 모뎀 전단부(30)를 갖는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모뎀 후단부(40)는 내부 작업 유닛(IWU)(16)으로 공지된 MSC(14)의 보조부에 의해 제어되는 모뎀 풀의 일부로서 MSC(14)에 물리적으로 위치된다.
모뎀 전단부(30)는 제1 데이터 포트(32) 및 포터 조정기(34)를 포함한다. 모뎀 후단부(40)는 프로토콜 프로세서(42),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44) 및 제2 데이터 포트(46)를 포함한다. 제1 데이터 포트(32)는 포트 조정기(34)를 컴퓨터(5)와 같은 데이터 신호원에 접속시킨다. 일반적으로, 제1 데이터 포트(32)는 퍼스널 컴퓨터(5)로의 데이터 케이블 접속을 수용하는 RS-232 커넥터이다. 포트 조정기(34)는 제1 데이터 포트(32)를 프로토콜 프로세서(42)에 접속시키고, 제1 데이터 포트(32)와 프로토콜 프로세서(42) 사이에 흐르는 통신을 모니터 및 제어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포트 조정기(34)는 또한 구성 정보의 용량을 검출 및 지시한다. 프로토콜 프로세서(42)는 데이터 번역을 실행하고, 모뎀의 전체적인 제어를 행한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44)는 프로토콜 프로세서(42)와 제2 데이터 포트(46) 사이에 데이터 신호가 흐르기 쉽게 하고, 또한 필요한 경우 상기 데이터 신호를 디지털에서 아날로그 형태로 양방향으로 변환시킨다. 제2 데이터 포트(46)는 번역된 데이터 신호를 준비하여 송신한다. 일반적으로, 제2 데이터 포트(46)는 공동 전화 벽 배출구(common telephone wall outlet)를 통해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18)로의 전화 코드 접속을 수용하기 위한 RJ-11 형이다. 분할 모뎀(50)의 기능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18)와 같은 통신 링크를 통해 데이터 신호의 통신을 쉽게 하는 것이다.
종래의 모뎀과 같은 분할 모뎀(50)은 또한 역방식으로, 즉 제2 데이터 포트(46)에서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제1 데이터 포트(32)에서 송신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모뎀은 선택된 구성 세팅에 의존하는 여러 가지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일부 구성 세팅이 미리 조절되며; 이들 세팅은 디폴트 구성 세팅이라 칭해진다. 비디폴트 구성은 개별 구성 파라미터를 변경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는 소위 「AT 명령」의 사용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모뎀을 이용하는 통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모뎀 초기화 공정의 일부로서 어느 비디폴트 모뎀 구성 파라미터를 설정한다. 모뎀의 구성 파라미터는 또한 동작시에 새로운 비디폴트 세팅 또는 다시 디폴트 세팅중 하나에 대해 변경될 수 있다. 구성 정보가 제1 데이터 포트(32)에서 수신될 때, 그 정보는 포트 조정기(34)로 통신되어 거기에서 적절한 때 프로토콜 프로세서(42)로 통신된다. 프로토콜 프로세서(42)는 구성 정보를 해석하여 구성 정보에 따르도록 다른 성분에 적절한 지시를 발행한다.
종래의 모뎀은 모뎀 전단부(30)와 무선 링크(25)를 통해 접속되지 않고 물리적으로 함께 위치되는 모뎀 후단부(40)를 갖는다. 종래의 모뎀에 대해 공통적인 프랙티스(practice)는 컴퓨터(5)내에 내부 설치를 위해 설계된 단일 컴퓨터 회로 기판상에 위치되는 모든 모뎀 부품을 갖는 것(내부 모뎀) 또는 컴퓨터(5)의 외부에서 컴퓨터(5)와 함께 동작하기 위해 전체적으로 패키지화된 모뎀 부품을 갖는 것(외부 모뎀)이다. 종래의 모뎀은 단일 유닛으로서 패키지화되어 있기 때문에, 개별 모뎀전단부(30)는 동일한 모뎀 후단부(40)와 항상 쌍을 이룬다. 따라서, 개별 포트 조정기(34)는 동일한 프로토콜 프로세서(42)에 항상 정합된다. 더욱이, 종래의 모뎀의 중요한 특징은 프로토콜 프로세서(42)가 현재의 통신 세션이 종료될 때까지 구성 정보를 유지하는 것이다. 그 자체로, 제1 호출 시도가 실패한 경우, 제2 호출 시도를 개시하기 전에 프로토콜 프로세서(42)에 추가의 구성 정보가 송출될 필요가 없다(구성에 대한 변경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로 가정).
대조적으로, 분할 모뎀(50)에 있어서, 모뎀 전단부(30) 및 모뎀 후단부(40)는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지만, 동작중에 셀룰러 무선 통신 시스템(10)의 무선 링크(25)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동시에, 보조 모뎀 전단부(30) 및 모뎀 후단부(40)는 통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과 대화할 목적으로 종래의 모뎀으로서 기능한다. 그러나, IS-130 시스템의 중요한 특성은 어느 하나의 정해진 모뎀 전단부(30)가 정해진 호출 시도를 위한 운용 분할 모뎀(50)을 생성하도록 복수의 모뎀 후단부(40)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각 후속 호출 시도는 동일한 모뎀 전단부(30)가 상이한 모뎀 후단부(40)에 결합되기 쉽게 할 것이다. 따라서, 운용 분할 모뎀(50), 보조 모뎀 후단부(40) 및 모뎀 전단부(30) 쌍을 포함하는 특정 성분들은 호출 시도 중에 변화하기 쉽다. 더욱이, IS-130 시스템은 모뎀 후단부(40)가 새로운 호출 시도로 지정되기 전에 디폴트 구성 세팅으로 리세트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비디폴트 구성 정보는 호출 시도 중에 모뎀 후단부에 의해 손실된다.
IS-130 시스템으로 동작하는 분할 모뎀의 다른 특성은 더 복잡한 구성 프로토콜 구조이다. IS-130 시스템에 있어서, 모뎀 전단부(30)에 의해 수신된 구성 정보는 국소, 원격 또는 공유 실현용으로 분류될 수 있다. 구성 정보가 국소형인 경우, 모뎀 전단부(30)는 모뎀 후단부(40)를 수반하지 않고 상기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그러나, 구성 정보가 원격형 또는 공유형인 경우, 상기 구성은 모뎀 후단부(40)의 수반없이는 실현될 수 없다. 상기 구성 정보는 모뎀 후단부(40)에서 외부원으로부터 수신 및 모뎀 전단부(30)로 송신될 수도 있다. 그러한 경우에, 국소, 원격 또는 공유로서 상기 구성 정보의 분류는 모뎀 후단부(40)의 관점에서 이루어진다. 일관성을 위해, 그리고 과도하게 불필요한 설명을 피하기 위해, 모뎀 전단부를 제외하든지 또는 공유하든지 간에 모뎀 후단부에 의해 수행될 임의의 구성 정보는 집합적으로 원격 전파로(remote profile) 데이터로 칭해진다. 환언하면, 원격 전파로 데이터는 모뎀 전단부(30)에 의해 초기에 수신된 경우 원격 또는 공유형으로서 모뎀 전단부(30)에 의해 판단되는 임의의 구성 정보이다. 완전하게 하기 위해, 모뎀 전단부(30)에 의해 초기에 수신된 경우, 임의의 구성 정보는 모뎀 전단부(30)에 의해 국소 전파로 데이터로 칭해질 국소형으로서 판단된다.
구성 정보의 손실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IS-130 시스템으로 동작하는 분할 모뎀(50)은 복수의 호출 시도 통신 세션중에 적절하게 기능하도록 호출 시도중에 구성 정보를 보호할 필요가 있다. 그렇게 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모뎀 전단부(30)는 데이터 저장 유닛(36)으로서 디폴트 레지스터(37) 및 구성 레지스터(38)를 차례로 포함한다. 데이터 저장 유닛은 포트 조정기(34)로부터의 명령에 응답하여 데이터 저장을 관리한다. 디폴트 레지스터(36)는 디폴트 구성 세팅을 나타내는 값들을 저장한다. 구성 레지스터(38)는 현재의 구성 세팅을 나타내는 값들을 저장한다. 이들 레지스터의 주용도는 동일한 통신 세션중에 후속 호출 시도에 사용하는 필수 구성 정보를 유지하는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디폴트 레지스터(37)는 모뎀 후단부(40)의 디폴트 구성만을 나타내는 값들, 즉 디폴트 원격 전파로 데이터를 저정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디폴트 레지스터(37)는 다른 디폴트 구성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성 레지스터(38)는 현재의 원격 전파로 데이터만을 나타내는 값들을 저장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구성 레지스터(38)는 다른 형재의 구성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호출 시도를 개시할 때, 모뎀 전단부(30)는 구성 레지스터(38)에 저장된 정보를 디폴트 레지스터(37)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고, 임의의 비디폴트 전파로 데이터가 무선 링크(25)를 통해 모뎀 후단부(40)로 송출되게 한다. 따라서, 임의의 비디폴트 원격 전파로 데이터는 각 호출 시도로 송출된다. 이 방식으로, 분할 모뎀(50) 및 특히 모뎀 후단부(40)는 디폴트 구성으로 리세트됨에도 불구하고 각 호출 시도에 대해 적절한 구성 상태를 얻을 수 있다.
이동국 사용자의 관점에서, 종래의 모뎀과 IS-130 시스템내의 본 발명의 분할 모뎀(50)의 동작 사이의 기능적인 차이는 미세하다. 동일한 통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장착된 동일한 컴퓨터(5)가 종래의 모뎀이 아닌 모뎀 전단부(30)에 접속된다. 그러나, 이동 유닛(20)으로 더 간단하고 가능하게 통합되는 모뎀 전단부(30)는 종래의 모뎀보다 전송하는데 있어 부담이 더 적어야 한다.
도 3은 모뎀 전단부(30) 동작의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통신 세션은 통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요청시에 개시된다(블록 100). 통신 세션은 하나 이상의 호출 시도로 구성된다. 호출 시도는 궁극적으로 성공이든지 또는 실패이든지 간에 셀룰러 무선 통신 시스템(10)을 통해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18) 또는 다른 이동국 가입자에 접속하기 위한 이동국 가입자의 통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의한 요청이다. 통신 세션의 개시는 일반적으로 제1 데이터 포트(32)상에 DTR 신호의 존재로 표시되고, 통신 세션의 종료는 제1 데이터 포트(32)에서 DTR 신호의 강하로 표시된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는, 통신 세션은 AT 명령의 수신으로 개시 및/또는 유휴 기간중의 시간 경과로 종료할 수도 있다.
통신 세션의 개시 직후에, 통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구성 정보가 제1 데이터 포트(32)로 송출되게 한다(블록 200). 포트 조정기(34)는 구성 정보의 존재를 검출하여 데이터 저장 유닛(36)에 원격 전파로 데이터를 구성 레지스터(38)내에 저장하도록 지시한다(블록 210). 제1 데이터 포트(32)에서 다이얼 명령을 수신할 때(블록 220), 모뎀 전단부(30)는 무선 링크(25)를 통해 모뎀 후단부(40)로의 접속을 설정하도록 이동 유닛(20)에 지시한다(블록 230).
접속의 설정은 데이터 호출 시도를 IWU(16)로 경로 선정하도록 MSC(14)에 요구한다. IWU(16)는 그 후 모뎀 후단부(40)를 디폴트 구성값으로 리세트하도록 지시한 후에 호출 시도를 모뎀 풀내의 미점유 모뎀 후단부(40)로 지정한다. 다른 방법으로는, 모뎀 후단부(40)는 이전의 호출 시도에서 해제될 때 디폴트 구성값으로 자동으로 리세트된다. 선택된 모뎀 후단부(40)는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18)로의 접속을 설정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모뎀 후단부(40)로의 접속후 또는 중에, 모뎀 전단부(30)는 디폴트 레지스터(37)내의 값들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모뎀 후단부(40)의 디폴트 구성 세팅에 대해 저장된 원격 전파로 데이터를 비교한다(블록 240). 비교의 목적은 수신된 구성 정보내의 어떤 구성값들이 비디폴트 원격 전파로 데이터를 나타내는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원격 전파로 데이터가 정합하거나 단지 디폴트 구성 세팅의 서브세트로 구성되는 경우, 모뎀 전단부(30)는 원격 전파로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지만(블록 250), 모뎀 후단부(40)로 다이얼 명령을 대신에 송출한다(블록 270). 원격 전파로 데이터가 디폴트 구성 세팅과 다른 경우(블록 250), 모뎀 전단부(30)는 다이얼 명령에 따라(블록 270) 비디폴트 원격 전파로 데이터가 모뎀 후단부(40)로 송출되게 한다(블록 260).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비교 프로세스는 우회될 수 있고, 구성 레지스터(38)에 저장된 완전한 원격 전파로 데이터는 모뎀 후단부(40)로 송출될 수 있지만, 이러한 프로세스는 비효율적이다.
호출 시도는 성공적인 접속 또는 접속 실패중 하나를 야기한다(블록 300). 호출 시도 접속 실패는 통신 소프트웨어로 송출되는 접속 실패 통지를 야기한다(블록 310). 호출 시도 접속 성공은 이동 유닛(20)에 위치되는 소스 컴퓨터(5)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18)의 수신단에서와 같은 어느 위치의 수신지 컴퓨터 사이의 데이터 통신에 따른다(블록 350∼390). 데이터 통신중에, 포트 조정기(34)는 데이터 통신 모드에 있다(블록 350). 이 모드에 있는 동안, 포트 조정기(34)는 온라인 명령 모드가 입력되는지를 결정하도록 데이터 통신량을 모니터한다(블록 360). 온라인 명령 모드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호출 시도는 종료되지 않고(블록 380), 포트조정기(34)는 데이터 통신의 모니터를 계속한다(블록 350). 온라인 명령 모드가 입력된 경우, 포트 조정기(34)는 수신된 임의의 새로운 원격 전파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데이터 저장 유닛(36)에 지시한다(블록 370). 호출 시도가 먼저 종료되지 않은 경우(블록 380), 포트 조정기(34)는 온라인 명령 모드의 종결시에 데이터 통신 모드들 재입력시킨다(블록 350).
데이터 통신이 완료되면, 완료 통지가 통신 소프트웨어로 송출된다(블록 390). 완료 통지 또는 접속 실패 통지중 하나의 수신시에, 통신 소프트웨어는 새로운 호출 시도를 개시할 것인지를 결정한다(블록 110). 새로운 호출 시도가 보장되지 않는 경우, 통신 소프트웨어는 통신 세션을 종료시킨다(블록 150). 새로운 호출 시도가 보장되는 경우, 통신 세션은 종료되지 않는다. 대신에, 통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새로운 구성이 필요한지를 결정하고(블록 120), 그렇다면 모뎀 전단부(30)에 임의의 새로운 구성 정보를 송출한다(블록 130). 통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그 후 새로운 다이얼 명령을 송출한다. 모뎀 전단부(30)는 새로운 구성 정보에 대해 검사한다(블록 200). 만일 검출되는 것이 있으면, 새로운 구성 정보는 어떤 새로운 값이 존재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구성 레지스터(38)내의 기존의 값과 비교된다. 어떤 새로운 값이 존재하는 경우, 적절한 변화가 구성 레지스터(38)에 대해 이루어지고; 어떤 새로운 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변화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블록 210). 모뎀 전단부(30)는 그 후 송신 및 비교 절차를 다시 개시한다.
상기 절차는 통신 세션이 종료될 때까지 동일한 통신 세션내에서 임의의 후속 호출 시도가 뒤따른다(블록 150). 중요한 것은, 구성 레지스터(38)내의 값들은통신 세션중에 하나의 호출 시도에서 다음 호출 시도까지 유지된다는 것이다. 통신 세션 종료시에, 구성 레지스터(38)는 비디폴트 구성 정보가 하나의 통신 세션에서 다른 통신 세션으로 크로스오버하도록 비어 있다(블록 400).
다른 방법으로서, 상기 절차는 수신된 임의의 구성 정보가 구성 레지스터(38)내에 저장된 후 보다는 구성 레지스터(38)내에 저장되기 전에 디폴트 레지스터(37)내의 값들과 비교될 수 있는 점을 제외하고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두가지 방법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지만, 저장후 비교하는 절차는 더욱 신축적이고 수행하기에 더욱 간단하게 될 것으로 확신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동작은 어떤 데이터 호출 시도가 통신 링크의 이동 유닛(20)단에서 발생하는 것을 가정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데이터 호출 시도가 이동 유닛(20)으로부터, 예컨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18)를 통해 어떤 사람의 가정용 컴퓨터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발생할 때도 동작한다. 그러한 경우에, 본 발명의 근본적인 동작은 다이얼 명령 수신(블록 220) 및 다이얼 명령 송출(블록 270) 단계가 생략되는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바와 같다.
비디폴트 구성 정보가 모뎀 전단부(30)에 의해 저장되고 통신 세션중에 하나의 호출 시도에서 다음 호출 시도까지 재송신되기 때문에, 지정된 모뎀 후단부(40)를 포함하는 전체 운용 모뎀은 이동국 가입자의 통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기대하는 것과 같이 구성되며, 그것에 의해 사용자의 어려움을 감소시킨다.
간략하게 하기 위해, 본 명세서내의 본 발명의 설명에서 셀룰러 통신 시스템(10)내에서 무선 링크(25)를 설정 및 유지하는데 필요한 복잡한 상호 작용의 설명은 생략하였으며, 그 이유는 그러한 작용은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있어 중요하지 않고 당해 기술 분야에서 널리 공지되어 있기 때문이다. 유사하게, 본 명세서내의 본 발명의 설명에서, 일단 개시되면, 데이터 통신은 너무 빠르게 종료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하였고, 그러한 상황에 대응하는데 필요한 복잡한 작용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본 발명은 물론 발명의 사상 및 기본 특성에서 벗어남없이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다른 특정 방법으로도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두 예시적인 것이지 제한하고자 하는 의도는 아니며, 첨부된 청구의 범위의 평균 및 등가의 범위내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변형이 여기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19)

  1. 분할 모뎀의 전단부가 무선 링크를 통해 분할 모뎀의 후단부와 통신하는 셀룰러 무선 통신 시스템내에 분할 모뎀을 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a) 구성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와;
    b) 상기 모뎀 전단부에 의해 개시되는 이전의 호출 시도에서 상기 구성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모뎀 전단부에 저장하는 단계와;
    c) 통신 세션중의 상기 모뎀 전단부에 의해 개시되는 제1 호출 시도후의 상기 모뎀 전단부에 의해 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호출 시도에 따라 상기 저장된 구성 정보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모뎀 후단부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모뎀 구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 후단부에 송신되는 상기 저장된 구성 정보는 비디폴트 원격 전파로 데이터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모뎀 구성 방법.
  3. 분할 모뎀의 전단부가 무선 링크를 통해 분할 모뎀의 후단부와 통신하는 셀룰러 무선 통신 시스템내에 분할 모뎀을 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a) 구성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와;
    b) 비디폴트 구성 정보를 식별하기 위해 상기 구성 정보를 소정의 디폴트 구성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와;
    c) 상기 모뎀 전단부에 의해 개시되는 이전의 호출 시도에서 상기 비디폴트 구성 정보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모뎀 전단부에 저장하는 단계와;
    d) 통신 세션중의 상기 모뎀 전단부에 의해 개시되는 제1 호출 시도후의 상기 모뎀 전단부에 의해 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호출 시도에 따라 상기 저장된 비디폴트 구성 정보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모뎀 후단부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모뎀 구성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비디폴트 구성 정보는 원격 전파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모뎀 구성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폴트 구성 정보와 상기 비디폴트 원격 전파로 데이터는 모두 상기 모뎀 전단부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모뎀 구성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a) 사용 가능한 유닛의 그룹에서 모뎀 후단부를 선택하는 단계와;
    b) 상기 모뎀 전단부 및 상기 선택된 모뎀 후단부 사이에 접속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모뎀 구성 방법.
  7. 셀룰러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통신하는 분할 모뎀에 있어서:
    a) 컴퓨터와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제1 데이터 포트를 갖는 모뎀 전단부와;
    b) 상기 모뎀 전단부에서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와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제2 데이터 포트를 갖는 모뎀 후단부와;
    c) 상기 모뎀 전단부에 위치되어, 비디폴트 원격 전파로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해 상기 모뎀 전단부에 의해 수신된 구성 정보를 소정의 디폴트 구성 정보와 비교하는 수단과;
    d) 상기 비디폴트 원격 전파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e) 상기 모뎀 전단부는 통신 세션중의 상기 모뎀 전단부에 의해 개시되는 제1 호출 시도후의 상기 모뎀 전단부에 의해 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호출 시도에 따라 상기 비디폴트 원격 전파로 데이터를 상기 모뎀 후단부에 송신하기 위한 송신 장치에 출력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모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 전단부는 통신 세션중의 상기 모뎀 전단부에 의해 개시되는 제1 호출 시도후에 새로운 구성 정보가 상기 모뎀 전단부에 의해 수신될 때까지 상기 모뎀 전단부에 의해 개시되는 각 호출 시도에 따라 상기 비디폴트 원격 전파로 데이터를 상기 모뎀 후단부에 송신하기 위한 송신 장치에 출력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모뎀.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와 소정의 디폴트 구성 정보를 비교하는 수단은 상기 모뎀 전단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모뎀.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 전단부 및 상기 모뎀 후단부는 무선 링크를 통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모뎀.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중의 상기 비디폴트 원격 전파로 데이터만이 상기 모뎀 후단부에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모뎀.
  12. 셀룰러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통신하는 분할 모뎀에 있어서:
    a) 컴퓨터와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제1 데이터 포트를 갖는 모뎀 전단부와;
    b) 상기 모뎀 전단부에서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와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제2 데이터 포트를 갖는 모뎀 후단부를 포함하고;
    c) 상기 모뎀 전단부는 비디폴트 원격 전파로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해 상기 제1 데이터 포트에서 수신된 구성 정보와 소정의 디폴트 구성 정보를 비교할 수 있으며;
    d) 상기 모뎀 전단부는 상기 비디폴트 원격 전파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e) 상기 모뎀 전단부는 통신 세션중의 상기 모뎀 전단부에 의해 개시되는 제1 호출 시도후의 상기 모뎀 전단부에 의해 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호출 시도에 따라 상기 비디폴트 원격 전파로 데이터를 상기 모뎀 후단부에 송신하기 위한 송신 장치에 출력하도록 동작되어, 상기 모뎀 후단부가 적절히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모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 전단부 및 상기 모뎀 후단부는 무선 링크를 통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모뎀.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중의 상기 비디폴트 원격 전파로 데이터만이 상기 모뎀 후단부에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뎀.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19997002974A 1996-10-11 1997-10-03 모뎀 구성 방법 및 장치 KR1003286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729,437 1996-10-11
US8/729,437 1996-10-11
US08/729,437 US5864758A (en) 1996-10-11 1996-10-11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 split mod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8936A KR20000048936A (ko) 2000-07-25
KR100328641B1 true KR100328641B1 (ko) 2002-03-20

Family

ID=24931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2974A KR100328641B1 (ko) 1996-10-11 1997-10-03 모뎀 구성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5864758A (ko)
EP (1) EP0931426B1 (ko)
JP (1) JP2001504650A (ko)
KR (1) KR100328641B1 (ko)
CN (1) CN1113561C (ko)
AR (1) AR010998A1 (ko)
AU (1) AU724101B2 (ko)
BR (1) BR9712627A (ko)
DE (1) DE69719346D1 (ko)
EE (1) EE9900129A (ko)
HK (1) HK1023252A1 (ko)
WO (1) WO199801707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72985B1 (en) 1998-01-28 2001-01-09 Gateway 2000, Inc. Automatic detection of pots line
US6522640B2 (en) * 1998-01-28 2003-02-18 Gateway, Inc. Distributed modem for non-cellular cordless/wireless data communication for portable computers
US6363426B1 (en) * 2000-01-07 2002-03-26 Dialout.Net, Inc. System and method of allocating modem resources to software applications
JP2002101198A (ja) * 2000-09-26 2002-04-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インターネット電話システム
GB2377127B (en) * 2001-06-29 2003-05-07 Ming-Tsan Pe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group of subscribers with access to a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US7152100B2 (en) * 2002-07-09 2006-12-19 Adtran,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sioning network access devices
WO2005053228A1 (en) * 2003-11-27 2005-06-0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nfiguring network equipment via bluetooth mobile phone
US8254921B2 (en) * 2004-08-12 2012-08-28 Qualcomm Incorporated Default configurations with differential encod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086737B2 (en) * 2005-12-07 2011-12-27 Cisco Technology, Inc. System to dynamically detect and correct errors in a sessio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5243A (en) * 1978-11-17 1980-07-29 Racal-Vadic Inc. Automatic modem identification system
US4841561A (en) * 1987-12-08 1989-06-20 General Datacomm, Inc. Operating default group selectable data communication equipment
US5268928A (en) * 1991-10-15 1993-12-07 Racal-Datacom, Inc. Data modem with remote firmware update
US5249218A (en) * 1992-04-06 1993-09-28 Spectrum Information Technologies, Inc. Programmable universal interface system
US5479480A (en) * 1993-12-30 1995-12-26 At&T Corp. Dual mode cellular modem
US5570389A (en) * 1994-06-30 1996-10-29 Compaq Computer Corporation Method for reliable exchange of modem handshaking information over a cellular radio carrier
US5787364A (en) * 1995-01-30 1998-07-28 Paradyne Corporation Transparent call progr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24101B2 (en) 2000-09-14
EE9900129A (et) 1999-12-15
AU4665897A (en) 1998-05-11
CN1233377A (zh) 1999-10-27
KR20000048936A (ko) 2000-07-25
DE69719346D1 (de) 2003-04-03
WO1998017075A3 (en) 1998-07-09
JP2001504650A (ja) 2001-04-03
EP0931426B1 (en) 2003-02-26
BR9712627A (pt) 1999-10-26
EP0931426A2 (en) 1999-07-28
HK1023252A1 (en) 2000-09-01
US5864758A (en) 1999-01-26
CN1113561C (zh) 2003-07-02
WO1998017075A2 (en) 1998-04-23
AR010998A1 (es) 2000-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56166B1 (en) Reestablishment of call after disconnect
US8442054B2 (en) Method and core network node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through a core network
KR100721641B1 (ko) 콜 개시에 대한 무선 요구를 거절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5898920A (en) Data communication using a dual mode radiotelephone
JP2000504178A (ja) 自動データサービス選択方法
EP0609422A1 (en) Portable to portable communications in a cordless telephone system
JP3372612B2 (ja) デ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
KR100328641B1 (ko) 모뎀 구성 방법 및 장치
US5995494A (en) Data communication using network DCE and modified channel associated signaling
US6202094B1 (en) Adding links simultaneously to a multilink bundle using bandwidth allocation protocol
US6038225A (en)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frames of differing configuration during communication, and a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655323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unit passivation
JPH08205239A (ja) 無線電話装置
JP3014460B2 (ja) 伝送網における適応無線加入者局の整合方法および対応する無線加入者局
JPH0983423A (ja) 衛星通信端末システム
JPH0329541A (ja) 通信装置
EP0571125A1 (en) Data processing terminals with modem communications
JP3149536B2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WO1999012376A3 (en) Procedure for setting up a call in a wireless local loop
JP3016457B2 (ja) 通信システム
KR100425990B1 (ko) 아이엠티2000 기지국 제어기 테스트 시스템
KR970001864B1 (ko)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연속통화제어방법
JPH11168423A (ja) 移動体データ通信システム用マルチ接続装置、移動体データ通信システムおよびマルチ接続方法
KR0181653B1 (ko) Cdma 이동통신망에서 이동데이타통신 제어시스템 및 방법
JPH06225356A (ja) 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